KR100524057B1 - 스캔을 위한 쉐이딩 방법 - Google Patents
스캔을 위한 쉐이딩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24057B1 KR100524057B1 KR1019980011320A KR19980011320A KR100524057B1 KR 100524057 B1 KR100524057 B1 KR 100524057B1 KR 1019980011320 A KR1019980011320 A KR 1019980011320A KR 19980011320 A KR19980011320 A KR 19980011320A KR 100524057 B1 KR100524057 B1 KR 1005240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an
- region
- range
- scan range
- region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1—Compensating positionally unequal response of the pick-up or reproducing hea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6—Arrangements for the main scanning
- H04N1/128—Arrangements for the main scanning using a scanning head arranged for linear reciprocating mo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52—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elements within a scanning head
- H04N2201/02454—Element mounted or supported
- H04N2201/02456—Scanning element, e.g. CCD array, photo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6)
- 소정 영역에 설치된 화이트 패널을 스캔하여 기준 데이터를 설정하는 스캔을 위한 쉐이딩 방법에 있어서,상기 화이트 패널을 최대 스캔 범위와 같거나 작은 제 1 스캔 범위로 스캔하고 그에 대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상기 제 1 스캔 범위와 같거나 작은 도트 수를 갖는 밴드 영역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 1 스캔 범위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밴드 영역 내의 데이터 편차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로 선택하는 범위 선택 단계로서, 상기 전체 스캔 범위 내에서 상기 밴드 영역의 범위에 상응되는 크기의 영역을 복수 개 선택하여 각 영역의 양단의 출력 레벨의 편차를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범위 선택 단계;쉐이딩 과정에서 양단 간의 출력 레벨의 차가 적은 영역을 밴드영역으로 선택하는 단계; 및선택된 상기 밴드 영역을 액티브 도트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을 위한 쉐이딩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범위 선택 단계는:상기 전체 스캔 범위 내에서 상기 밴드 영역의 범위에 상응되는 크기의 영역을 복수 개 선택하여 각 영역의 양단의 출력 레벨의 편차를 계산한 후 이를 임시 저장하는 단계;상기 임시 저장된 편차가 소정 임계 범위 이내를 만족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영역을 수집하는 단계; 및수집된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영역 중 최대값을 갖는 도트의 위치가 센터에 최근접한 영역을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스캔을 위한 쉐이딩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저장하는 단계에서의 복수 개의 영역의 선택은 최초에 임의 영역을 선택하고, 일정 방향으로 소정 간격 시프트하면서 다른 복수의 영역을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스캔을 위한 쉐이딩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최초에 전체 스캔 영역 중 시점(始點)을 포함하는 영역을 선택하고, 최종에 전체 스캔 영역 중 종점(終點)을 포함하는 영역을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스캔을 위한 쉐이딩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시프트는 매 도트 단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스캔을 위한 쉐이딩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시프트는 복수 개의 도트 단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스캔을 위한 쉐이딩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전체 스캔 범위 내에서 상기 밴드 영역의 범위에 상응되는 크기의 영역을 복수 개 선택하여 각 영역의 양단의 출력 레벨의 편차를 계산한 후 임시 저장하는 단계; 및상기 임시 저장된 편차를 최소로 갖는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스캔을 위한 쉐이딩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저장하는 단계에서의 복수 개의 영역의 선택은 최초에 임의 영역을 선택하고, 일정 방향으로 소정 간격 시프트하면서 다른 복수의 영역을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스캔을 위한 쉐이딩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최초에 전체 스캔 영역 중 시점(始點)을 포함하는 영역을 선택하고, 최종에 전체 스캔 영역 중 종점(終點)을 포함하는 영역을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스캔을 위한 쉐이딩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시프트는 매 도트 단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스캔을 위한 쉐이딩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시프트는 복수 개의 도트 단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스캔을 위한 쉐이딩 방법.
- 스캐닝 시의 화상 값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 패널을 가지는 스캐너의 스캔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기준 패널을 스캐닝한 후 상기 스캐너의 최대 스캔 범위와 같거나 이보다 작은 제 1 스캔 범위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상기 제 1 스캔 범위와 같거나 작은 제 2 스캔 범위를 상기 제 1 스캔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제 1 스캔 범위에 대한 상기 제 2 스캔 범위의 위치를 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스캔 범위 내의 소정 위치를 기준으로 시프트하면서 복수 개의 영역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제 2 스캔 범위의 위치를 정하는 단계; 및상기 제 2 스캔 범위를 실제 스캔을 위한 액티브 스캔 범위로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을 위한 쉐이딩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들은 셔틀 방식 스캐너의 쉐이딩을 위하여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을 위한 쉐이딩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스캔 범위의 위치를 정하는 단계는;상기 제2 스캔 범위의 위치를 정하는 단계에서 선택된 영역들에 대한 양단 출력 레벨의 편차를 계산하여 저장하며, 최소 편차를 갖는 영역을 제 2 스캔 범위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을 위한 쉐이딩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시프트는 소정 도트 수 단위로 일 방향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을 위한 쉐이딩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양단 출력의 편차가 소정 임계치 이하 수준의 영역을 수집하는 단계; 및상기 수집된 영역 중 최대 출력이 센터에 최근접한 특정 영역을 제 2 스캔 범위로 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을 위한 쉐이딩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11320A KR100524057B1 (ko) | 1998-03-31 | 1998-03-31 | 스캔을 위한 쉐이딩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11320A KR100524057B1 (ko) | 1998-03-31 | 1998-03-31 | 스캔을 위한 쉐이딩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76392A KR19990076392A (ko) | 1999-10-15 |
KR100524057B1 true KR100524057B1 (ko) | 2006-01-27 |
Family
ID=37178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11320A KR100524057B1 (ko) | 1998-03-31 | 1998-03-31 | 스캔을 위한 쉐이딩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24057B1 (ko) |
-
1998
- 1998-03-31 KR KR1019980011320A patent/KR10052405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76392A (ko) | 1999-10-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90109502A1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EP0889642B1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 |
JP2013115617A (ja) | 画像処理装置 | |
KR100524057B1 (ko) | 스캔을 위한 쉐이딩 방법 | |
US20090195840A1 (en) | Method of shading correction in image reader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 |
EP0676714A2 (en) | Exposure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in a laser printer | |
EP2012519B1 (en) | Image scanning apparatus | |
US10455107B2 (en) | Scanner having a merging mark and white reference to correct output of the sensor chip | |
US6917374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exposure device changing pulse width of a light beam based on pattern data of an image | |
US6154293A (en) | Device for setting control parameters of image input/processing apparatus | |
JP2002023087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2197449A (ja) | 帳票はみ出し検出装置 | |
US10158766B2 (en) | Scanner, and image data generating method | |
US7149003B2 (en) | Bi-directional flatbed scanning and automatic document feed | |
US12003685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 |
KR19990043366A (ko) | 셔틀 스태닝 장치의 쉐이딩 보정 방법 | |
JP2009017021A (ja) |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 |
JP2887809B2 (ja) | 多値画像入力装置 | |
JP2532395B2 (ja) | 原稿読取り装置の走行体位置検出装置 | |
JP2002359742A (ja) | 画像読み取り装置 | |
JP2009296229A (ja) |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読取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 |
JPH10304130A (ja) | 画像読取り装置 | |
JP3392577B2 (ja) | 画像読取装置 | |
JP2007143032A (ja) | 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読取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2023123984A (ja) | 読取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33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1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3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0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510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9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