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2985A - 조향칼럼의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조향칼럼의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2985A
KR19990042985A KR1019970063949A KR19970063949A KR19990042985A KR 19990042985 A KR19990042985 A KR 19990042985A KR 1019970063949 A KR1019970063949 A KR 1019970063949A KR 19970063949 A KR19970063949 A KR 19970063949A KR 19990042985 A KR19990042985 A KR 19990042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olumn
friction
column
impact
lower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혁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63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2985A/ko
Publication of KR19990042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2985A/ko

Links

Landscapes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칼럼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주행중에 충돌사고로 인해 운전자의 상체가 조향핸들에 부딪치면서 그 충격으로 상부 조향칼럼이 하부 조향칼럼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 상부 조향칼럼의 마찰돌기가 하부 조향칼럼의 외주면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할 때에 마찰돌기의 이동 스트로크에 따른 충돌 흡수 에너지량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받는 반발충격을 효과적으로 저감시켜줌으로써, 운전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향축의 외측에 각각 끼워지는 상부 조향칼럼(2)과 하부 조향칼럼(3)이 분할되어 하부 조향칼럼의 일부가 상부 조향칼럼에 중첩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 조향칼럼이 상부 조향칼럼에 끼워져 결합되는 상부 조향칼럼의 하단부에는 상부 조향칼럼이 충격으로 인해 하부 조향칼럼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는 과정에 하부 조향칼럼과 마찰을 발생시켜 충격을 흡수하는 다수개의 마찰돌기(4a,4b)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부 조향칼럼이 상부 조향칼럼에 끼워지는 상단부가 선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원추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마찰돌기가 하부 조향칼럼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상부 조향칼럼의 안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조향칼럼의 충격흡수장치
본 발명은 차량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주행중에 충돌사고로 인해 운전자의 상체가 조향핸들에 부딪칠 때에 상부 조향칼럼이 하부 조향칼럼을 따라 미끄럼이동되면서 상부 조향칼럼의 마찰돌기가 하부 조향칼럼의 외주면에 마찰을 일으켜서 적절히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켜주므로, 운전자의 상해를 효과적으로 줄여줄 수 있도록 조향칼럼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향장치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바꾸기 위해 조향을 하는 장치로서, 운전자가 직접 조향조작을 하여 그 조작력을 조향 기어 및 링크 등에 전달하기 위해 핸들과 조향축 및 조향칼럼 등으로 구성된 조작기구와, 상기 조향축의 회전을 감속하여 조작력을 크게 함과 동시에 조작기구의 운동방향을 바꾸어 링크기구에 전달하는 기어장치 및, 이 기어장치의 작동을 앞바퀴에 전달하고 또 좌우 바퀴의 관계 위치를 바르게 지지하기 위해 피트먼 아암과 드래그 아암, 너클 아암 및 타이 로드 등으로 구성된 링크기구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기구는 운전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인접하게 배치되는 바, 이에 따라 차량의 충돌사고시에 조향조작기구로 인해 운전자가 상해를 입을 우려가 있으므로 적절한 충격흡수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향조작기구에 상기와 같은 충격흡수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인 바, 즉 조향핸들이 장착된 조향축(101)의 외측으로 조향칼럼이 끼워지고, 이 조향칼럼은 상부 조향칼럼(102)과 하부 조향칼럼(103)으로 분할되어 형성되면서 하부 조향칼럼(103)의 상단부가 상부 조향칼럼(102)의 하단부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조향칼럼이 끼워지는 상부 조향칼럼의 결합부위에는 하부 조향칼럼의 외주면과 밀착되게 안쪽으로 꺾어진 다수의 마찰돌기(104)가 상부 조향칼럼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중에 충돌사고로 인해 운전자의 상체가 상기 조향핸들에 부딪치게 되면, 그 충격이 조향칼럼으로 전달되게 되는 데, 이 경우에 상기 상부 조향칼럼은 충격을 받아서 하부 조향칼럼쪽으로 이동됨과 더불어 이러한 미끄럼 이동과정에 상부 조향칼럼의 마찰돌기가 하부 조향칼럼의 외주면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충격을 적절히 흡수하여 운전자가 받게 되는 반발충격을 저감시켜 운전자의 상해를 경감시켜주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충격흡수장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돌기에 의한 충돌 흡수 에너지량이 초기에는 크게 되지만 상부 조향칼럼이 하부 조향칼럼쪽으로 계속해서 미끄럼이동되면 충돌 흡수 에너지량이 급격하게 감소되어, 운전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해주기가 미흡하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주행중에 충돌사고로 인해 운전자의 상체가 조향핸들에 부딪치면서 그 충격으로 상부 조향칼럼이 하부 조향칼럼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 상부 조향칼럼의 마찰돌기가 하부 조향칼럼의 외주면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할 때에 마찰돌기의 이동 스트로크에 따른 충돌 흡수 에너지량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받는 반발충격을 효과적으로 저감시켜줌으로써, 운전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조향칼럼의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찰돌기를 갖춘 조향칼럼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찰돌기에 의한 충돌 흡수 에너지 선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찰돌기를 갖춘 조향칼럼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찰돌기에 의한 충돌 흡수 에너지 선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조향축 2-상부 조향칼럼
3-하부 조향칼럼 4a,4b-마찰돌기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향축의 외측에 각각 끼워지는 상부 조향칼럼과 하부 조향칼럼이 분할되어 하부 조향칼럼의 일부가 상부 조향칼럼에 중첩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 조향칼럼이 상부 조향칼럼에 끼워져 결합되는 상부 조향칼럼의 하단부에는 상부 조향칼럼이 충격으로 인해 하부 조향칼럼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는 과정에 하부 조향칼럼과 마찰을 발생시켜 충격을 흡수하는 다수개의 마찰돌기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부 조향칼럼이 상부 조향칼럼에 끼워지는 상단부가 선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원추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마찰돌기가 하부 조향칼럼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상부 조향칼럼의 안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찰돌기를 갖춘 조향칼럼의 단면도인 바, 즉 조향핸들이 장착된 조향축(1)의 외측으로 조향칼럼이 끼워지고, 이 조향칼럼은 상부 조향칼럼(2)과 하부 조향칼럼(3)으로 분할되어 형성되면서 하부 조향칼럼(3)의 상단부가 상부 조향칼럼(2)의 하단부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조향칼럼이 끼워지는 상부 조향칼럼의 결합부위에는 하부 조향칼럼의 외주면과 밀착되게 안쪽으로 꺽어진 다수의 마찰돌기(4a,4b)가 상부 조향칼럼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조향칼럼(3)이 상부 조향칼럼에 끼워지는 하부 조향칼럼의 상단부는 그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원추형상을 하고 있고, 이러한 하부 조향칼럼의 상단부에 상부 조향칼럼의 마찰돌기가 접촉되려면 마찰돌기의 크기도 달라져야 하는 바, 즉 상부 조향칼럼의 하단부에 가장 인접되게 형성된 마찰돌기(4a)는 상부 조향칼럼의 안쪽으로 형성된 마찰돌기(4b)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중에 충돌사고로 인해 운전자의 상체가 상기 조향핸들에 부딪치게 되면, 그 충격이 조향칼럼으로 전달되게 되는 데, 이 경우에 상기 상부 조향칼럼은 하부 조향칼럼쪽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 조향칼럼이 하부 조향칼럼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는 과정에 상부 조향칼럼의 마찰돌기가 하부 조향칼럼의 외주면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충격을 적절히 흡수하여 운전자가 받게 되는 반발충격을 저감시켜 주게 된다.
여기서 상부 조향칼럼이 하부 조향칼럼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 마찰돌기와 하부 조향칼럼사이의 마찰력은 상부 조향칼럼의 이동스트로크에 거의 비례하게 되므로, 상기 마찰돌기에 의한 충돌 흡수 에너지량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크에 무관하게 거의 일정하거나 혹은 약간 커지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받게 되는 반발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켜 줄 수 있게 되므로, 운전자의 상해를 경감시켜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향칼럼의 충격흡수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중에 충돌사고로 인해 운전자의 상체가 조향핸들에 부딪치면서 그 충격으로 상부 조향칼럼이 하부 조향칼럼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 상부 조향칼럼에 형성된 마찰돌기에 의해 충격이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됨으로써, 운전자가 받게 되는 반발 충격을 저감시켜 운전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조향축의 외측에 각각 끼워지면서 2개로 분할되어 일부가 서로 중첩되게 결합된 상부 조향칼럼과 하부 조향칼럼, 상기 하부 조향칼럼이 상부 조향칼럼에 끼워져 결합되는 상부 조향칼럼의 하단부에 형성되면서 하부 조향칼럼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상부 조향칼럼이 충격으로 인해 하부 조향칼럼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는 과정에 마찰을 발생시켜 충격을 흡수하는 다수의 마찰돌기를 갖춘 조향칼럼의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조향칼럼의 상부 조향칼럼에 끼워지는 상단부는 선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원추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마찰돌기가 하부 조향칼럼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상부 조향칼럼의 안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19970063949A 1997-11-28 1997-11-28 조향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99900429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949A KR19990042985A (ko) 1997-11-28 1997-11-28 조향칼럼의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949A KR19990042985A (ko) 1997-11-28 1997-11-28 조향칼럼의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985A true KR19990042985A (ko) 1999-06-15

Family

ID=66095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949A KR19990042985A (ko) 1997-11-28 1997-11-28 조향칼럼의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29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42985A (ko) 조향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9990019151U (ko) 조향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200158237Y1 (ko)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 튜브의 충격 흡수장치
KR200178181Y1 (ko) 조향핸들의 충격흡수구조
KR19990056657A (ko) 조향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200171108Y1 (ko)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구조
KR200187368Y1 (ko) 조향칼럼의 충격흡수구조
KR20020047955A (ko) 차량용 조향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KR19990029724U (ko) 조향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0330901B1 (ko) 충격흡수용 스티어링컬럼 구조
KR19990037707U (ko) 조향컬럼의 충격흡수 구조
KR100764203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KR200177619Y1 (ko)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구조
KR19980054497U (ko)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
KR19980044983U (ko) 조향축과 조향핸들의 완충구조
KR19980027133U (ko) 자동차의 조향축 완충구조
KR20010092843A (ko) 자동차의 조향축
KR19990019112U (ko) 붕괴식 조향 샤프트
KR19990034516A (ko)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의 조향 칼럼
KR19990029727U (ko) 조향축의 충격흡수장치
KR200143955Y1 (ko) 충격흡수식 스티어링 인터미디에이트 샤프트
KR960003462Y1 (ko) 조향축 충격흡수장치
KR19980044924U (ko) 조향칼럼의 완충구조
KR19990029722U (ko) 조향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9980054337U (ko)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흡수형 조인트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