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9112U - 붕괴식 조향 샤프트 - Google Patents

붕괴식 조향 샤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112U
KR19990019112U KR2019970032446U KR19970032446U KR19990019112U KR 19990019112 U KR19990019112 U KR 19990019112U KR 2019970032446 U KR2019970032446 U KR 2019970032446U KR 19970032446 U KR19970032446 U KR 19970032446U KR 19990019112 U KR19990019112 U KR 199900191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retainer
steering shaft
steering column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4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헌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24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9112U/ko
Publication of KR199900191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112U/ko

Links

Landscapes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붕괴식 조향 샤프트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주행중에 충돌사고로 인해 운전자의 상체가 조향핸들에 부딪칠 때에 조향축이 조향칼럼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서 조향칼럼 속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반발 충격을 최소한으로 줄여줌으로써, 운전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향칼럼(3)의 외주면에는 지지브라켓(5)이 장착되면서 이 지지브라켓(5)에는 리테이너(6)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리테이너는 에어백의 팽창시에 에어백에 의해 당겨져 지지브라켓(5)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에어백과 와이어(7)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리테이너와 인접한 조향칼럼의 외주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면서 이 관통구멍과 일직선상으로 조향축에는 수용홈(8)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속에는 스톱퍼(9)가 삽입되어 그 한쪽 선단부가 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지지되면서 다른쪽 선단부는 조향칼럼의 관통구멍을 통해 돌출되어 리테이너와 밀접되어 상기 레테이너가 탈거되면 스프링에 의해 조향축과 조향칼럼으로부터 이탈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붕괴식 조향 샤프트
본 고안은 차량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주행중에 충돌사고로 인해 운전자의 상체가 조향핸들에 부딪칠 때에 조향축과 조향칼럼이 완전히 분리되면서 조향축이 조향칼럼속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상해를 방지해 줄 수 있도록 된 붕괴식 조향 샤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향장치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바꾸기 위해 조향을 하는 장치로서, 운전자가 직접 조향조작을 하여 그 조작력을 조향 기어 및 링크 등에 전달하기 위해 핸들과 조향축 및 조향칼럼 등으로 구성된 조작기구와, 상기 조향축의 회전을 감속하여 조작력을 크게 함과 동시에 조작기구의 운동방향을 바꾸어 링크기구에 전달하는 기어장치 및, 이 기어장치의 작동을 앞바퀴에 전달하고 또 좌우 바퀴의 관계 위치를 바르게 지지하기 위해 피트먼 아암과 드래그 아암, 너클 아암 및 타이 로드 등으로 구성된 링크기구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조향 조작기구는 운전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인접하게 배치되는 바, 이에 따라 차량의 충돌사고시에 조향조작기구로 인해 운전자가 상해를 입을 우려가 있으므로 적절한 충격흡수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조향 조작기구에 상기와 같은 충격흡수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인 바, 즉 조향핸들(101)이 장착된 조향축(102)의 외측에는 조향칼럼(103)이 끼워져 설치되어 있고, 이 조향칼럼(103)과 상기 조향축(102)사이에는 소정의 이격된 공간이 형성됨과 더불어 조향칼럼의 길이방향을 따른 소정부위가 조향축쪽으로 돌출되어 다수개의 마찰돌기(104)가 형성되면서 이 마찰돌기(104)는 조향축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중에 충돌사고로 인해 운전자의 상체가 상기 조향핸들에 부딪치게 되면, 그 충격으로 인해 조향축이 조향칼럼 속으로 이동되게 되는 바, 이러한 조향축의 충격 이동과정에 조향칼럼에 형성된 다수개의 마찰돌기가 조향축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조향축이 마찰돌기로 인해 미끄럼이동되면서 충격이 적절히 흡수되면서 운전자의 상해를 줄여주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충격흡수장치에서 마찰돌기의 개수와 마찰돌기가 조향축에 밀착되는 강도에 따라 충격흡수능력이 달라지게 되는 데, 적절한 충격흡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마찰돌기의 형성작업이 극히 어렵고, 또 마찰돌기의 마찰저항이 너무 강하게 되면 오히려 운전자에게 반발 충격이 그대로 가해져서 운전자에게 심각한 상해를 입힐 염려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주행중에 충돌사고로 인해 운전자의 상체가 조향핸들에 부딪칠 때에 조향축이 조향칼럼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서 조향칼럼 속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반발 충격을 최소한으로 줄여줌으로써, 운전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된 봉괴식 조향 샤프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충격흡수장치가 설치된 조향칼럼과 조향축의 결합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붕괴식 조향 샤프트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조향축 2-조향핸들
3-조향칼럼 4-마운팅 브라켓
5-지지브라켓 6-리테이너
7-와이어 8-수용홈
9-스톱퍼 10-스프링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조향칼럼의 외주면에는 지지브라켓이 장착되면서 이 지지브라켓에는 리테이너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리테이너는 에어백의 팽창시에 에어백에 의해 당겨져 지지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에어백과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리테이너와 인접한 조향칼럼의 외주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면서 이 관통구멍과 일직선상으로 조향축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속에는 스톱퍼가 삽입되어 그 한쪽 선단부가 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지지되면서 다른쪽 선단부는 조향칼럼의 관통구멍을 통해 돌출되어 리테이너와 밀접되어 상기 레테이너가 탈거되면 스프링에 의해 조향축과 조향칼럼으로부터 이탈되게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붕괴식 조향 샤프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인 바, 즉 조향축(1)의 상단부에는 조향핸들(2)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조향축(1)의 외측에는 조향칼럼(3)이 끼워져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조향칼럼(3)은 마운팅 브라켓(4)을 매개로 차체에 체결되어 지지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향칼럼(3)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부위에는 대체로 ㄷ자 형상을 한 브라켓(5)이 고정되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5)에는 리테이너(6)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어 있으며, 이 리테이너(6)는 에어백(도시되지 않음)과 와이어(7)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에어백이 팽창되면 와이어가 당겨지면서 리테이너가 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리테이너와 인접하는 조향칼럼의 소정부위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 관통구멍과 일직선상으로 조향축에는 반경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수용홈(8)이 형성되어 있고, 이 수용홈(8) 속에는 스톱퍼(9)가 수납되어 한쪽 선단부가 압축스프링(1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반면에 다른쪽 선단부는 상기 리테이너의 이면에 밀착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중에 충돌사고로 인해 차체에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에어백이 팽창되면서 와이어를 매개로 리테이너를 당겨주게 되는 데, 이 리테이너는 조향칼럼의 외주에 장착된 지지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리테이너가 제위치를 이탈하게 되면, 리테이너에 의해 막혀 있던 스톱퍼가 압축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조향축의 수용홈을 이탈해서 조향칼럼의 외부로 탈거되게 되고, 이에 따라 조향칼럼과 조향축이 서로 분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향축과 조향칼럼이 분리되게 되면, 차체의 충격으로 인해 조향핸들에 운전자의 상체가 부딪칠 때에 상기 조향축이 조향칼럼 속으로 저항없이 완전하게 수납되게 되므로, 운전자는 조향장치에 의해 거의 충격을 받지 않게 되어, 운전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붕괴식 조향 샤프트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중에 충돌사고로 인해 차체를 통해 충격이 조향장치에 전달되면, 조향축과 조향칼럼을 결합시키고 있던 스톱퍼가 탈거되면서 조향축이 조향칼럼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조향칼럼속으로 수납됨에 따라 운전자가 조향장치에 의해 상해를 입을 염려가 없으므로, 운전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조향칼럼의 외주면에 장착된 지지브라켓과, 이 지지브라켓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에어백의 팽창시에 에어백에 의해 당겨져 지지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에어백과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된 리테이너, 이 리테이너와 인접한 조향칼럼의 외주에 형성된 관통구멍, 이 관통구멍과 일직선상으로 조향축에 형성된 수용홈, 이 수용홈속에 삽입되어 한쪽 선단부가 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지지되면서 다른쪽 선단부는 조향칼럼의 관통구멍을 통해 돌출되어 리테이너와 밀접되게 설치된 스톱퍼를 갖춘 붕괴식 조향 샤프트.
KR2019970032446U 1997-11-17 1997-11-17 붕괴식 조향 샤프트 KR199900191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446U KR19990019112U (ko) 1997-11-17 1997-11-17 붕괴식 조향 샤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446U KR19990019112U (ko) 1997-11-17 1997-11-17 붕괴식 조향 샤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112U true KR19990019112U (ko) 1999-06-05

Family

ID=69676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446U KR19990019112U (ko) 1997-11-17 1997-11-17 붕괴식 조향 샤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911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073B1 (ko) * 2006-08-21 2012-04-26 주식회사 만도 와이어를 구비한 조향축의 충격 흡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073B1 (ko) * 2006-08-21 2012-04-26 주식회사 만도 와이어를 구비한 조향축의 충격 흡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9112U (ko) 붕괴식 조향 샤프트
KR100357390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휠
KR200167749Y1 (ko) 절첩식 조향핸들의 충격완화장치
KR100559904B1 (ko) 조향축의 완충구조
KR100263834B1 (ko) 에어백용조향컬럼장착장치
KR19980053975A (ko)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
KR19990029727U (ko) 조향축의 충격흡수장치
KR200178181Y1 (ko) 조향핸들의 충격흡수구조
KR200187368Y1 (ko) 조향칼럼의 충격흡수구조
KR200187161Y1 (ko) 자동차의 조향휠 충격흡수장치
KR19990037707U (ko) 조향컬럼의 충격흡수 구조
KR19980044956U (ko) 조향휠의 충격흡수구조
KR19980074854A (ko) 자동차 조향축의 중간샤프트 충격흡수구조
KR19980054111A (ko) 자동차의 조향휠
KR19990019151U (ko) 조향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9990034516A (ko)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의 조향 칼럼
KR19990019892A (ko)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
KR19980061315A (ko) 에어백장착용 스티어링 샤프트의 래칫형 어퍼 브라켓
KR19980050714A (ko) 조향휠의 충격 완화장치
KR19990029722U (ko) 조향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9980038218U (ko) 스티어링 휠의 완충구조
KR19980061249A (ko) 충돌시 조향칼럼 하강장치
KR19990042985A (ko) 조향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9990056657A (ko) 조향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9980061250A (ko) 충돌시 조향칼럼 하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