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3975A -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3975A
KR19980053975A KR1019960073105A KR19960073105A KR19980053975A KR 19980053975 A KR19980053975 A KR 19980053975A KR 1019960073105 A KR1019960073105 A KR 1019960073105A KR 19960073105 A KR19960073105 A KR 19960073105A KR 19980053975 A KR19980053975 A KR 19980053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ing structure
shock absorbing
shaft
lower shaft
upp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3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우진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73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3975A/ko
Publication of KR19980053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975A/ko

Links

Landscapes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 흡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충격 흡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로워 샤프트(50)와 어퍼 샤프트(54)가 삽입공(51)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로워 샤프트(50)와 어퍼 샤프트(54)의 사이에 충돌 시 로워, 어퍼 샤프트(50, 54)의 진행 방향을 상이하게 하여 충격치가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충격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흡수 변경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
본 발명은 충격 흡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는 차량의 전륜을 조향함으로써 차량의 진행 방향을 안정적으로 조정하게 되는 바, 이는 스티어링 휠 및 컬럼과 연결된 타이 로드가 허브와 연결되어 있는 너클을 회전시킴으로써 조향하게 된다.
이는 스티어링 휠과, 상기한 스티어링 휠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스티어링 칼럼과, 상기한 스티어링 칼럼의 종단에 연결 설치된 기어 박스와, 상기한 기어 박스에 연결됨과 아울러 양측 차륜의 너클에 연결되는 타이 로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스티어링 장치의 동작은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회전시키게 되면 이와 연결된 기어 박스가 동작하여 타이 로드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스티어링 휠 및 스티어링 칼럼은 차량의 정면 충돌 시 운전자에게 심각한 부상을 초래하게 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충격 흡수식 스티어링 장치가 개발되었다.
즉, 정면 충돌 시 스티어링 칼럼이 접히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바,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박스(미 도시)와 연결되는 로워 샤프트(50)와, 상기한 로워샤프트(50)의 종단이 끼워지도록 삽입공(51)이 형성됨과 아울러 결합공(52) 및 플라스틱 핀(53)으로 결합된 어퍼 샤프트(54)와, 상기한 로워, 어퍼 샤프트(50, 54)의 외주를 감싸는 로워 튜브(5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스티어링 장치에 충격이 발생되면 로워 샤프트(50)에 압축력이 전달되면서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로워 샤프트(50)가 상향될 때 상기한 충격력이 플라스틱 핀(53)의 강성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한 플라스픽 핀(53)이 파손되면서 로워 샤프트(50)가 어퍼 샤프트(54)의 삽입공(51)이 밀려 들어가게 된다.
즉, 상기한 로워 샤프트(50)의 변위를 어퍼 샤프트(54)가 흡수하게 됨으로써 정면충돌 시 어퍼 샤프트(54) 및 스티어링 휠이 운전자의 가슴 부위를 타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어퍼 샤프트와 로워 샤프트를 결합공 및 플라스틱 핀으로 고정시키게 되면 충돌 시 상기한 로워 샤프트가 어퍼 샤프트의 삽입공을 슬라이드 하는 거리만큼만 충격 흡수되고 충격이 더 클경우에는 스티어링 장치 전체가 운전자에게 충격을 가하기 때문에 부상이 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충격 흡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로워 샤프트와 어퍼 샤프트가 삽입공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로워 샤프트와 어퍼 샤프트의 사이에 충돌 시 로워, 어퍼 샤프트의 진행 방향을 상이하게 하여 충격치가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충격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흡수 변경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브라켓2:와이어
50:로워 샤프트54:어퍼 샤프트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와 A-A선 단면도로서, 로워 샤프트(50)와 어퍼 샤프트(54)의 사이에 충돌 시 로워, 어퍼 샤프트(50, 54)의 진행 방향을 상이하게 하여 충격치가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충격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흡수 변경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흡수 변경 수단은 로워 샤프트(50)와 어퍼 샤프트(54)의 대향 선단에 설치된 브라켓(1)과, 상기한 브라켓(1)을 연결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각각 탄성 계수가 상이한 다수의 와이어(2)로 구성되어 있다.
즉, 충돌 시 상기한 와이어(2)에서 흡수할 수 있는 충격량 및 신장량이 상이하기 때문에 충격이 클경우에는 로워, 어퍼 샤프트(50, 54)의 진행 방향이 상이하게 되어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충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자동차의 주행중 정면에서 충돌이 발생되면 상기한 충돌에 따른 충격이 범퍼 어셈블리와 엔진을 통해 스티어링 장치에 전달된다.
스티어링 장치에 전달된 충격은 로워 샤프트(50)에 전달되는 바, 상기한 충격에 의해 로워 샤프트(50)가 상부로 밀려 올라가게 된다.
로워 샤프트(50)가 상부로 밀리게 되면 이와 연결된 와이어(2)가 신장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바, 상기한 충격 와이어(2)의 충격 흡수력을 초과하게 되면 어퍼 샤프트(54)를 상향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한 다수 와이어(2)의 탄성 및 신장력은 상이하기 때문에 어퍼 샤프트(54)와 로워 샤프트(50)의 진행 방향이 상이하게 된다.
로워, 어퍼 샤프트(54)의 진행 방향이 상이하게 되면 충격력이 어퍼, 로워 샤프트(50, 54)에서 분산된 상태로 진행하게 되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충격력은 매우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즉, 로워 샤프트(50)가 상승하면서 어퍼 샤프트(54)를 밀어 올리는 방향이 각각 상이하게 됨으로써 충격력의 분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로워 샤프트와 어퍼 샤프트의 사이에 각각 신장이 상이하게 되는 와이어를 다수 설치함으로써 충격력을 분산시켜 정면 충돌 시 스티어링 장치에 의한 운전자의 부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로워 샤프트와 어퍼 샤프트가 삽입공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로워 샤프트와 어퍼 샤프트의 사이에 충돌 시 로워, 어퍼 샤프트의 진행 방향을 상이하게 하여 충격치가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충격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흡수 변경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흡수 변경 수단은 로워 샤프트와 어퍼 샤프트의 대향 선단에 설치된 브라켓과, 상기한 브라켓을 연결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각각 탄성 계수가 상이한 다수의 와이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
KR1019960073105A 1996-12-27 1996-12-27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 KR199800539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105A KR19980053975A (ko) 1996-12-27 1996-12-27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105A KR19980053975A (ko) 1996-12-27 1996-12-27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975A true KR19980053975A (ko) 1998-09-25

Family

ID=66382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3105A KR19980053975A (ko) 1996-12-27 1996-12-27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39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242B1 (ko) * 1999-11-23 2003-04-14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20080002251A (ko) * 2006-06-30 2008-01-04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242B1 (ko) * 1999-11-23 2003-04-14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20080002251A (ko) * 2006-06-30 2008-01-04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6909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시스템
KR19980053975A (ko)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
KR19980054497U (ko)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
KR101417132B1 (ko)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200171108Y1 (ko)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구조
KR200187368Y1 (ko) 조향칼럼의 충격흡수구조
KR100559904B1 (ko) 조향축의 완충구조
KR19990037706U (ko) 웨이브 스트랩을 이용한 조향컬럼의 충격흡수 장치
KR100231996B1 (ko)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 흡수구조
KR20000017738U (ko) 조향 컬럼의 충격흡수 장치
KR100240511B1 (ko)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 흡수구조
KR19980053978A (ko)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 흡수 구조
KR200177619Y1 (ko)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구조
KR200143798Y1 (ko) 자동차 스티어링 기어 마운팅 브래킷
KR100368860B1 (ko) 자동차의 조향축 마운팅 브라켓
KR100241712B1 (ko) 조향핸들의 완충장치
KR19980027133U (ko) 자동차의 조향축 완충구조
JPS62101579A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支持構造
KR960003462Y1 (ko) 조향축 충격흡수장치
KR19990019892A (ko)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
KR19990037985U (ko) 스트랩을 이용한 조향컬럼의 충격흡수 장치
KR19990019112U (ko) 붕괴식 조향 샤프트
KR100700790B1 (ko) 램프 브라켓이 장착된 조향 칼럼
KR19980038218U (ko) 스티어링 휠의 완충구조
KR19990034516A (ko)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의 조향 칼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