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758A - 리모콘센서및그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리모콘센서및그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758A
KR19990037758A KR1019990000962A KR19990000962A KR19990037758A KR 19990037758 A KR19990037758 A KR 19990037758A KR 1019990000962 A KR1019990000962 A KR 1019990000962A KR 19990000962 A KR19990000962 A KR 19990000962A KR 19990037758 A KR19990037758 A KR 19990037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remote control
human body
loads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0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5019B1 (ko
Inventor
박종국
Original Assignee
박종국
주식회사 키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국, 주식회사 키트론 filed Critical 박종국
Priority to KR1019990000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5019B1/ko
Publication of KR19990037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0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콘 센서 및 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등을 일정 시간 경과한 후 자동 소등되도록 하는 취침 및 방범 기능 외에 인체 감지 센서의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과 리모콘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부하 전등을 제어하여 ON/OFF할 수 있는 리모콘 센서 및 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AC 전원이 정류되고 정전압된 후 리세트부를 거쳐 안정화된 상태에서 마이컴에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마이컴에는 리모콘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와, 스위치로 구성되어 부하를 ON/OFF, ID 선택를 하거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키 조절부와, 가변 저항 및 콘덴서로 구성되어 시간이나 조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와,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와, 이상음을 출력하는 부저와, 빛의 조사량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유화카드뮴셀과, 부하 및 릴레이에 연결되는 릴레이 구동부와, 방범 출력부 및 릴레이에 연결되는 릴레이 구동부와, 인체 감지 센서의 입력 신호를 증폭하고 필터링하는 증폭 및 노이즈 필터부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센서 및 그 처리 방법을 제공하여, 취침 기능과 방범 기능을 갖는 리모콘의 기능을 리모콘 센서에 부가하되 침입자 및 인체 감지 기능을 더 추가하여 다기능의 리모콘 센서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리모콘 센서 및 그 처리 방법 {REMOCON SENSOR AND IT'S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리모콘 센서 및 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등을 일정 시간 경과한 후 자동 소등되도록 하는 취침 및 방범 기능 외에 인체 감지 센서의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과 리모콘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부하 전등을 제어하여 ON/OFF할 수 있는 리모콘 센서 및 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등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ON/OFF시키는 리모콘에는 전등을 일정 시간 경과한 후 자동으로 소등되게 하여 전등을 점등한 상태에서 잠이 들더라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소등이 되어 안심을 하고 취침을 할 수 있고 절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취침 기능과 주기적으로 점등되거나 소등되도록 하여 사람이 없는 방이나 주택을 외부에서 보기에 사람이 있는 것처럼 하여 외부인의 침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범 기능을 구비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취침 기능과 방범 기능을 갖는 리모콘의 기능을 리모콘 센서에 부가하되 침입자 및 인체 감지 기능을 더 추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취침 기능과 방범 기능을 갖는 리모콘의 기능을 리모콘 센서에 부가하되 침입자 및 인체 감지 기능을 더 추가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취침 및 방범 기능 외에 인체 감지 센서의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과 리모콘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부하 전등을 제어하여 ON/OFF할 수 있는 리모콘 센서 및 그 처리 방법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C 전원이 정류되고 정전압된 후 리세트부를 거쳐 안정화된 상태에서 마이컴에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마이컴에는 리모콘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와, 스위치로 구성되어 부하를 ON/OFF, ID 선택를 하거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키 조절부와, 가변저항 및 콘덴서로 구성되어 시간이나 조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와,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와, 이상음을출력하는 부저와, 빛의 조사량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유화카드뮴셀과, 부하 및 릴레이에 연결되는 릴레이 구동부와, 방범 출력부 및 릴레이에 연결되는 릴레이 구동부와, 인체 감지 센서의 입력 신호를 증폭하고 필터링하는 증폭 및 노이즈 필터부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센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하가 ON되어 있는 경우에 취침 버튼의 누름수에 따라 OFF 시간이 결정되어지는 취침 기능 처리 방법과, 방범이 세팅되면 부하가 OFF되고 인체 감지 센서가 작동하여 일정 시간 이내에 출입자가 감지된 후 다시 출입자가 감지되면 예비 경고로 부저 출력을 하고, 일정 시간 이내에 방범 기능을 해제하지 않으면 부저 출력하면서 방범 출력부, 부하, 발광 다이오드 출력하는 방범 기능 처리 방법과, 인체 감지 센서를 통한 입력 신호의 펄스폭이 정상적인 신호로 인정되는 경우 유화카드뮴셀의 전압과 럭스 조절용 전압을 비교하여 유화카드뮴셀의 전압이 크면 부하를 ON하고, 부하가 ON된 상태에서 정상적인 신호가 입력되면 설정된 시간만큼 ON시간이 연장되는 인체 감지 센서 신호의 처리 방법과,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된 부하의 ON/OFF, 취침, 방범에 관한 리모콘 수신 데이터중 리모콘을 통하여 부하가 ON되면 주위 조도 및 설정 시간의 적용을 받지 않고, 리모콘을 통하여 부하가 OFF되면 인체 감지 센서의 입력을 받아서 주위 조도 및 설정 시간에 따라 부하가 ON/OFF되는 리모콘 수신 기능 처리 방법을 포함하는 리모콘 센서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센서의 회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일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마이컴, 10: 정류부, 20: 정전압 전원부, 30: 리세트부, 40: 전원 안정화부, 50a,50b,50c: 릴레이 구동부, 60: 증폭 및 노이즈 필터부, 70a: 부하1, 70b: 부하2, 80: 방범 출력부, 90: 리모콘 수신부, 100: 키 조절부, 110: 조절부, 130: 발진부, C1,C2: 콘덴서, CdS: 유화카드뮴셀, LED1,LED2: 발광 다이오드, REL1,REL2,REL3: 릴레이, SEN: 인체 감지 센서, BZ: 부저, SW1,SW2,SW3,SW4: 스위치, VR1,VR2: 가변 저항.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2b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센서의 회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일예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AC 전원이 정류되고 정전압된 후 리세트부(30)를 거쳐 안정화된 상태에서 마이컴(1)에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마이컴(1)에는 리모콘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90)와, 스위치(SW1,SW2,SW3,SW4)로 구성되어 부하(70a,70b)를 ON/OFF, ID를 선택하거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키 조절부(100)와, 가변 저항(VR1,VR2) 및 콘덴서(C1,C2)로 구성되어 시간이나 조도를 조절하는 조절부(110)와,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LED1,LED2)와, 이상음을 출력하는 부저(BZ)와, 빛의 조사량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유화카드뮴셀(CdS)과, 부하(70a,70b) 및 릴레이(REL1,REL2)에 연결되는 릴레이 구동부(50a,50b)와, 방범 출력부(80) 및 릴레이(REL3)에 연결되는 릴레이 구동부(50C)와, 인체 감지 센서(SEN)의 입력 신호를 증폭하고 필터링하는 증폭 및 노이즈 필터부(60)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마이컴(1)에 입력되는 최초의 전원은 교류(AC)이므로 입력 전원으로 적당치 않다.
따라서, AC 전원을 브리지 회로의 정류부(10)를 통하여 정류하고 정전압 전원부(20)를 통해 전원을 일정하게 정전압시킨다.
이는 다시 리세트부(30)를 거쳐 마이컴(1)을 리세트시키고 전원 안정화부(40)를 거쳐 마이컴(1)의 전원으로 사용된다.
키 조절부(100)를 구성하는 스위치(SW1)는 부하1(70a)을 ON/OFF시키고, 스위치(SW2)는 부하2(70b)를 ON/OFF시키며, 스위치(SW3)로 통칭한 점프 핀은 리모콘 센서가 2개인 경우 리모콘 센서의 ID를 선택하고, 역시 스위치(SW4)로 통칭한 점프 핀은 전원 투입후 초기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즉, 리모콘 센서가 2개인 경우에 스위치(SW3)가 ON되면 ID가 1인 리모콘 센서를 선택하고 스위치(SW3)가 OFF이면 ID가 2인 리모콘 센서를 선택한다.
스위치(SW4)가 ON인 경우에는 인체 감지 센서(SEN) 우선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OFF인 경우에는 리모콘 우선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여 인체 감지 센서(SEN)의 감지는 방범 기능 설정시에만 유효하다.
조절부(110)를 구성하는 가변 저항(VR1)은 방범 기능이 해제된 상태에서 어두울 때만 동작하여 부하 점등 시간을 설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미설명 부호 130은 수정 진동자의 발진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리모콘 센서의 처리 방법을 살펴보면, 인체 감지 센서(SEN)의 신호는 증폭 및 노이즈 필터부(60)를 통해 증폭되고 필터링되어 마이컴(1)에 입력된다.
마이컴(1)에서는 입력 신호의 펄스폭이 일정 크기(예를 들어 50ms) 이하이면 노이즈로 간주하여 무시하고 이상이면 정상적인 신호로 인정한다.
정상적인 신호가 마이컴(1)에 입력된 상태에서 빛의 조사량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유화카드뮴셀(CdS)을 통해 입력된 전압과 럭스 조절용 전압 즉, 조절부(110)의 가변 저항(VR2)과 콘덴서(C2)를 통해 입력된 전압을 마이컴(1)에서비교 분석하여 유화카드뮴셀(CdS)의 전압이 높으면(주위의 조도치가 가변 저항(VR2)에 의해 설정된 럭스보다 작으면) 전등인 부하(70a,70b)를 릴레이 구동부(50a,50b) 및 릴레이(REL1,REL2)를 통해 ON시켜 점등시킨다.
일단 점등이 된 후에 계속하여 인체 감지 센서(SEN)를 통해 정상적인 신호가 입력되면 주위 조도와 관계없이 설정된 점등 시간만큼 부하(70a,70b)를 계속 점등시킨다.
한편 일단 부하(70a,70b)가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되면 OFF 상태로 전환된 후 일정 시간(예를 들어 1000ms) 이내에 인체 감지 센서(SEN)를 통해 정상적인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OFF 상태를 유지하고 일정 시간 경과한 후 인체 감지 센서(SEN)를 통해 정상적인 신호가 입력되어야만 부하(70a,70b)를 다시 ON시킨다.
또한 인체 감지 센서(SEN)의 입력 신호 레벨은 감지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일정 전압(예를 들어 2.5V) 전압을 유지하고 있다가 감지되면 일정 전압(3.2V) 이상이거나 일정 전압(1.8V) 이하이면 정상적인 신호 레벨로 인정하며 그 사이의 신호 레벨은 노이즈로 간주하여 무시한다.
이상과 같이 인체 감지 센서(SEN) 신호를 처리하고 다음 리모콘 수신 기능 처리 방법을 살펴보면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된 부하의 ON/OFF, 취침, 방범에 관한 리모콘 수신 데이터중에서 전등인 부하(70a,70b)를 ON 또는 OFF하라는 신호가 리모콘으로부터 통해 마이컴(1)에 입력되면 마이컴(1)은 전등인 부하(70a,70b)를 릴레이 구동부(50a,50b) 및 릴레이(REL1,REL2)를 통해 ON시켜 점등시키거나 OFF시켜 소등한다.
리모콘에 의해 점등한 경우에는 주위 조도 및 점등 시간의 적용을 받지 않고 부하(70a,70b)가 계속 점등 상태를 유지하고 리모콘에 의해 소등한 경우에는 인체 감지 센서(SEN)의 입력을 받아서 주위 조도 및 설정된 시간에 따라서 부하(70a,70b)가 점·소등을 한다.
취침 기능은 부하(70a,70b)가 ON상태에서만 작동하고 OFF 상태에서 취침 버튼을 눌러 시도하면 부저(BZ)를 통해 이상음(예를 들어 0.1초씩 2회)이 출력된다.
부하(70a,70b)가 ON되어 있는 경우에 취침 버튼의 누름수에 따라 OFF 시간이 결정되어지는 바, 예를 들어 취침 버튼을 1회 누르면 30분 후에 부하가 30분 후에 OFF되고, 30분 이내에 취침 버튼을 1회 더 누르면 60분 후에 OFF되며, 60분 이내에 취침 버튼을 1회 더 누르면 90분 후에 OFF된다.
계속하여 30분 이내에 취침 버튼을 1회 더 누르면(총 4회를 누르면) 취침 기능이 해제되고, 취침 기능이 작동중이더라도 부하(70a,70b)를 OFF시키거나 다른 기능을 수행하면 취침 기능이 해제된다.
방범 기능은 방범이 세팅되면 부하(70a,70b)가 OFF되고 인체 감지 센서(SEN)가 작동한다.
주위가 밝아졌다가 어두워지면 방범 설정 당시 상태대로 부하(70a,70b)가 일정 시간(예를 들어 5시간) ON되었다가 OFF된다.
다시 어두워지면 상기 기능을 반복하며 밝기 변화는 일정 시간(예를 들어 1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만 유효하다고 판단한다.
최초 방범 세트후 일정 시간 이내에 어두워지면 방범 설정 당시 상태대로 부하(70a,70b)가 ON되면서 인체 감지 센서(SEN)가 작동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예를 들어 20초) 이내에 출입자가 감지된 후 다시 인체 감지 센서(SEN)에 출입자가 감지되면 조도에 관계없이 일정 시간(예를 들어 20초간 1초 간격으로)동안 부저(BZ) 출력을 하여 예비 경고를 하고 일정 시간(예를 들어 20초) 이내에 방범 기능을 해제하지 않으면 연속음으로 부저(BZ) 출력하면서 설정 당시 상태대로 방범 출력부(80), 부하(70a,70b), 발광 다이오드(LED1,LED2) 출력한다.
이는 외출하기 직전에 실내에서 방범 기능을 설정하여 주인이 외출하면서 인체 감지 센서(SEN)에 감지되고 집이 비어 있는 상태에서 다시 주인이나 침입자가 들어올 경우 인체 감지 센서(SEN)에 의해 감지되면 부저(BZ)음으로 예비 경고를 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도 방범 기능이 해제되지 않으면(침입자의 경우 해제가 불가능함) 부저(BZ) 뿐만 아니라 방범 출력부(80), 부하(70a,70b), 발광 다이오드(LED1,LED2)를 통해 출력을 하는 경우이다.
또한 취침시 외출하지 않고 실내에서 리모콘으로 방범 기능을 설정하는 경우도 발생하는 바, 이때는 방범 설정 후 일정 시간 이내(예를 들어 20초)에 인체 감지 센서(SEN)에 출입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차후에 출입자가 감지되면 감지된 즉시 연속음으로 부저(BZ) 출력하면서 설정 당시 상태대로 방범 출력부(80), 부하(70a,70b), 발광 다이오드(LED1,LED2) 출력한다.
이와 같이 방범 기능을 외출하는 경우와 외출하지 않는 경우로 분류하여 외출하는 경우는 예비 경고를 한 후 주경고를 하고 외출하지 않는 경우는 즉시 주경고를 하여 방범 기능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처리 방법은, 부하(70a,70b)가 ON되어 있는 경우에 취침 버튼의 누름수에 따라 OFF 시간이 결정되어지는 취침 기능 처리 방법과,
방범이 세팅되면 부하(70a,70b)가 OFF되고 인체 감지 센서(SEN)가 작동하여 일정 시간 이내에 출입자가 감지된 후 다시 출입자가 감지되면 예비 경고로 부저(BZ) 출력을 하고, 일정 시간 이내에 방범 기능을 해제하지 않으면 부저(BZ) 출력하면서 방범 출력부(80), 부하(70a,70b), 발광 다이오드(LED1,LED2) 출력하는 방범 기능 처리 방법과,
인체 감지 센서(SEN1)를 통한 입력 신호의 펄스폭이 정상적인 신호로 인정되는 경우 유화카드뮴셀(CdS)의 전압과 럭스 조절용 전압을 비교하여 유화카드뮴셀(CdS)의 전압이 크면 부하(70a,70b)를 ON하고, 부하(70a,70b)가 ON된 상태에서 정상적인 신호가 입력되면 설정된 시간만큼 ON시간이 연장되는 인체 감지 센서 신호의 처리 방법과,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된 부하(70a,70b)의 ON/OFF, 취침, 방범에 관한 리모콘 수신 데이터중 리모콘을 통하여 부하(70a,70b)가 ON되면 주위 조도 및 설정 시간의 적용을 받지 않고, 리모콘을 통하여 부하가 OFF되면 인체 감지 센서(SEN)의 입력을 받아서 주위 조도 및 설정 시간에 따라 부하(70a,70b)가 ON/OFF되는 리모콘 수신 기능 처리 방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리모콘으로 작동되는 센서를 구성하되, 방범, 취침, 인체감지 센서(SEN) 신호 처리, 부하(70a,70b) ON/OFF 기능을 갖는 다기능의 리모콘 센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취침 기능과 방범 기능을 갖는 리모콘의 기능을 리모콘 센서에 부가하되 그 기능을 더 추가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취침 및 방범 기능 외에 인체 감지 센서의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과 리모콘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부하 전등을 제어하여 ON/OFF할 수 있는 다기능의 리모콘 센서를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AC 전원이 정류되고 정전압된 후 리세트부(30)를 거쳐 안정화된 상태에서 마이컴(1)에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마이컴(1)에는 리모콘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90)와, 스위치(SW1,SW2,SW3,SW4)로 구성되어 부하(70a,70b)를 ON/OFF, ID를 선택하거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키 조절부(100)와, 가변 저항(VR1,VR2) 및 콘덴서(C1,C2)로 구성되어 시간이나 조도를 조절하는 조절부(110)와,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LED1,LED2)와, 이상음을 출력하는 부저(BZ)와, 빛의 조사량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유화카드뮴셀(CdS)과, 부하(70a,70b) 및 릴레이(REL1,REL2)에 연결되는 릴레이 구동부(50a,50b)와, 방범 출력부(80) 및 릴레이(REL3)에 연결되는 릴레이 구동부(50C)와, 인체 감지 센서(SEN)의 입력 신호를 증폭하고 필터링하는 증폭 및 노이즈 필터부(60)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센서.
  2. 부하(70a,70b)가 ON되어 있는 경우에 취침 버튼의 누름수에 따라 OFF 시간이결정되어지는 취침 기능 처리 방법과,
    방범이 세팅되면 부하(70a,70b)가 OFF되고 인체 감지 센서(SEN)가 작동하여 일정 시간 이내에 출입자가 감지된 후 다시 출입자가 감지되면 예비 경고로 부저(BZ) 출력을 하고, 일정 시간 이내에 방범 기능을 해제하지 않으면 부저(BZ) 출력하면서 방범 출력부(80), 부하(70a,70b), 발광 다이오드(LED1,LED2) 출력하는 방범 기능 처리 방법과,
    인체 감지 센서(SEN1)를 통한 입력 신호의 펄스폭이 정상적인 신호로 인정되는 경우 유화카드뮴셀(CdS)의 전압과 럭스 조절용 전압을 비교하여 유화카드뮴셀(CdS)의 전압이 크면 부하(70a,70b)를 ON하고, 부하(70a,70b)가 ON된 상태에서 정상적인 신호가 입력되면 설정된 시간만큼 ON시간이 연장되는 인체 감지 센서 신호의 처리 방법과,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된 부하(70a,70b)의 ON/OFF, 취침, 방범에 관한 리모콘 수신 데이터중 리모콘을 통하여 부하(70a,70b)가 ON되면 주위 조도 및 설정 시간의 적용을 받지 않고, 리모콘을 통하여 부하가 OFF되면 인체 감지 센서(SEN)의 입력을 받아서 주위 조도 및 설정 시간에 따라 부하(70a,70b)가 ON/OFF되는 리모콘 수신 기능 처리 방법을,
    포함하는 리모콘 센서의 처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감지 센서(SEN) 신호의 처리 방법중 상기 부하(70a,70b)가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되면 OFF 상태로 전환된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인체 감지 센서(SEN)를 통해 정상적인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OFF 상태를 유지하고, 일정 시간 경과한 후 인체 감지 센서(SEN)를 통해 정상적인 신호가 입력되어야만 부하(70a,70b)가 ON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센서의 처리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감지 센서(SEN) 신호의 처리 방법중 인체 감지 센서(SEN)에 의해 감지되어 마이컴(1)에 입력될 경우 입력 신호 레벨이 일정 전압(3.2V) 이상이거나 일정 전압(1.8V) 이하이면 정상적인 입력 신호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센서의 처리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범 기능 처리 방법에 방범 설정후 일정 시간 이내에 인체 감지 센서(SEN)에 출입자가 감지되지 않았을 경우에 차후 출입자가 감지되면 부저(BZ) 출력하면서 방범 출력부(80), 부하(70a,70b), 발광 다이오드(LED1,LED2) 출력하는 방법이 추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센서의 처리 방법.
KR1019990000962A 1999-01-15 1999-01-15 방범용 경보제어 방법 KR100385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0962A KR100385019B1 (ko) 1999-01-15 1999-01-15 방범용 경보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0962A KR100385019B1 (ko) 1999-01-15 1999-01-15 방범용 경보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758A true KR19990037758A (ko) 1999-05-25
KR100385019B1 KR100385019B1 (ko) 2003-05-22

Family

ID=37417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0962A KR100385019B1 (ko) 1999-01-15 1999-01-15 방범용 경보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5019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453U (ko) * 1998-03-17 1998-06-05 최호준 자동등을 겸한 도난 경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5019B1 (ko)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4246293A (en) Travel convenience and security device
CA2607033C (en) Wireless variable illumination level lighting system
KR100524233B1 (ko) 사람의 감지와 형광등의 밝기를 자동 제어하는 조명 제어장치
US5646594A (en) Decorative remote lighting apparatus
JPH11191493A (ja) 照明装置
CA2619487C (en) Multiple sensor variable illumination level lighting system
JP2001338775A (ja) 照明器具
KR19990037758A (ko) 리모콘센서및그처리방법
JP4839755B2 (ja) 防犯点灯機能付き調光システム
CN113660755B (zh) 一种家居灯光智能控制方法
EP2278419B1 (en) Motion detector and load control unit
JP5057576B2 (ja) 照明装置
JP3932643B2 (ja) 照明装置
KR200370363Y1 (ko) 전등 점등장치
JP5158937B2 (ja) 照明装置
JP5051896B2 (ja) 照明装置
JP2005242487A (ja) スイッチ器具
US20230230462A1 (en) LED status indicating unit for an electrical appliance
JPH11225059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KR200157434Y1 (ko) 전등 자동 점멸장치
KR20050002148A (ko) 방범용 센서등 및 그 제어방법
KR200346592Y1 (ko) 센서등
JPH0587629A (ja) 熱線式検知器
JP2000277272A (ja) 熱線センサ付き配線器具
JP5042004B2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