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696A - 주름진 쉬이트로 형성된 다층 절연컵. - Google Patents

주름진 쉬이트로 형성된 다층 절연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696A
KR19990037696A KR1019980701175A KR19980701175A KR19990037696A KR 19990037696 A KR19990037696 A KR 19990037696A KR 1019980701175 A KR1019980701175 A KR 1019980701175A KR 19980701175 A KR19980701175 A KR 19980701175A KR 19990037696 A KR19990037696 A KR 19990037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ayer
shell
sheet
sheet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2397B1 (ko
Inventor
리차드 바라노
클라우스 이. 사들리에르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이. 사들리에르
인술에어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이. 사들리에르, 인술에어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클라우스 이. 사들리에르
Publication of KR19990037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3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with double walls; with walls incorporating air-chambers; with walls made of 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B65D81/386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9/00Envelopes, wrappers, and paperboard boxes
    • Y10S229/939Container made of corrugated paper or corrugated paperboar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93/00Manufacturing container or tube from paper; or other manufacturing from a sheet or web
    • Y10S493/901Rigid container
    • Y10S493/906Rigid container having multilayer wall
    • Y10S493/907Li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Wire Bond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기다란 쉬이트(10)가 열절연 컵(30) 형성에 사용된다. 이 쉬이트는 중앙 부위(11)에 의해 연결되고 간격이 떨어진 한쌍의 매끈한 부위(12, 13)를 포함한다. 매끈한 부위는 중앙 부위의 반대면에 포개진다. 중앙 부위는 주름이 지거나 왜곡되거나 변형되어서 절연 공기공간을 생성한다. 매끈한 부위의 단부는 서로 연결되고 하부 폐쇄부(14)가 부착된다. 완성컵은 매끈한 외부쉘(12S), 매끈한 내부쉘(13S) 사이에 샌드위치된 중앙층(11L)을 포함한다. 또다른 구체예(도 5a)에서 중앙이 아니라 한 단부에 절연 부위(34)를 가지는 블랭크가 제공되며 절연층이 중앙층이 되도록 적당히 포개진다(도 6a). 또다른 구체예에서 블랭크는 두 지대(도 7a)를 가지고 컵이 외부 주름진 층(34)과 내부 매끈한 층(32)을 가지도록 제조된다.

Description

주름진 쉬이트로 형성된 다층 절연컵.
현재 사용중인 일회용 컵의 종류는 세가지이다: 폴리스티렌, 발포수지, 및 종이.
폴리스티렌 컵은 미학적으로 좋지만 차가운 드링크를 담는 용도로만 사용되며 생분해성이 아니며 쉽게 재활용할 수도 없다.
상표 스티로폼으로 판매되는 발포합성수지컵은 탁월한 열절연체여서 차갑든 뜨겁든 상관없이 장기간 드링크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드링크 온도에 상관없이 이들의 외부는 실온에 가깝기 때문에 취급하기가 편리하다. 그러나, 이들은 생분해성이 아니며 쉽게 재활용할 수 없으므로 환경적으로 비우호적이다. 따라서, 이들은 많은 지방자치체에서 사용이 금지된다.
표준 단일층 종이컵은 재생가능하며 생분해성이므로 환경적으로 우호적이다. 그러나, 이들은 불량한 열절연체여서 종이컵속의 음료가 빠르게 태워지거나(차갑다면) 냉각된다(뜨겁다면). 뜨겁거나 차가운 드링크는 손을 데거나 냉각시키므로 취급이 불편하다. 또한 차가운 드링크는 외부상에 응축을 야기하므로 종이컵을 미끄럽게 하고 붙잡기 어렵게 한다. 단일층 구조는 부서지기 쉬우므로 액체가 채워진 큰 컵은 장시간 취급후 쉽게 부서진다.
열절연성 및 증가된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서 다층 종이컵이 설계되었다. 미국특허 2,661,889(Phinney, 1948), 4,993,580(Smith, 1991), 5,092,485(Lee, 1992) 및 5,205,473(Coffin, 1993)는 매끈한 외부 및 내부 쉘과 주름진 중앙층을 가진 3층 컵을 보여준다. 주름진 층은 공기 포켓 또는 열절연 공간을 제공하며 지속된 취급을 견디게 하도록 강도를 증가시킨다.
비록 강하고 열적으로 효율적이라도 이들 컵은 3개의 층이 별도로 형성되서 이후에 조립되기 때문에 비싸며 제조하기가 비실용적이다. 이것은 층을 테이퍼형 실린더(원뿔)로 형성시키는 3개의 접착 조인트, 층을 조립하기 위한 두 개의 접착조인트, 저면을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 조인트를 적어도 필요로 한다. 어떤 컵은 훨씬 더 많은 접착 조인트를 필요로 한다. 풀의 남용은 컵의 재생을 어렵게 하거나 불가능하게 한다. 층들은 쉬이트에서 별도로 절단된 블랭크로부터 제조되므로 종이와 기계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한다. 게다가, 추가 단계는 제조공정을 느리게 하며 기존의 표준컵 형성기계에서 컵제조를 할 수 없게 한다. 또한 제조비용 및 노동력을 증가시키므로 비싸다. 따라서, 이러한 컵은 상업적 성공을 얻지 못했다.
다층 디자인에서 유사할지라도 종래의 주름진 판지는 이의 층들이 서로 영구적으로 부착고정되므로 원통형 음료컵 형성에 사용할 때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이것은 매끈한 원통형으로 판지를 구부리는 것을 어렵게 한다.
매우 뜨겁거나 차가운 음료를 종이컵에 파는 시설은 단일 종이컵의 문제를 피하고자 이중 컵이나 포갠 컵을 사용하지만 컵을 포개는 것은 시간 소모적이며 비싸다.
Sadlier 특허는 매끈한 내부 및 외부층과 주름진 중앙층을 가지는 3층컵을 발표하는데 하나의 연속 쉬이트를 나선형으로 감아서 이들을 형성한다. 공지의 컵보다 제조하는 것이 더욱 경제적일지라도 이 컵은 회전 맨드릴상에 3개의 층을 단일방향으로 감아서 제조된다. 그러므로 비회전 맨드릴 주위에 컵의 측벽 블랭크를 수직으로 원통형으로 감는 기존의 대량생산 컵형성기에 의해 쉽게 제조될 수 없다.
본 발명은 미국특허 5,363,982(C.E. Sadlier, 1994, 11, 15)의 개량발명이다.
본 발명은 일회용 용기, 특히 쉬이트 재료로 제조된 절연컵에 관계한다.
도 1a 는 본 발명에 따라서 중앙 주름진 지대를 가지는 일편 측부 성분을 사용하는 3층 절연컵 제조를 위한 블랭크 쉬이트형 성분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b 는 도 1a 의 블랭크 쉬이트 성분의 에지 도면이다.
도 1c 는 도 1a 와 유사하지만 측부성분이 초기에 3부분으로된 측부 평면도이다.
도 2a 는 포갠 후 도 1a 의 측부성분의 확대된 에지 도면이다.
도 2b 는 원통형으로 감긴 후 측부성분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완성컵의 확대된 평면 단면도이다.
도 4 는 완성컵의 확대된 측부 단면도이다.
도 5a 는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에 따라서 주름진 단부지대를 가지는 일편 측부 성분을 사용하는 3층 절연컵 제조용 블랭크 쉬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5b 는 도 5a 블랭크 쉬이트의 에지 도면이다.
도 5c 는 도 5a 와 유사하지만 측부 성분이 초기에 두부분인 측부 평면도이다.
도 6a 는 포갠후 도 5a 측부 성분의 평면도이다.
도 7A 는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에 따라서 주름진 단부지대를 가지는 일편 측부 성분을 사용하는 절연된 2층 컵 제조용 블랭크 쉬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7b 는 도 7a 측부 성분의 에지 도면이다.
도 8a 는 포갠후 도 7a 측부 성분의 에지 도면이다.
도 8B 는 원통형으로 감은 후 도 5a 측부성분의 평면도이다.
도 9 는 간격이 떨어진 홈을 사용하는 교대 절연층의 에지 도면이다.
* 부호 설명
10 ... 연속 쉬이트 11 ... 주름진 부위
11L ... 주름진 층 12 ... 제 1 매끈한 부위
12B ... 저부 에지 12F ... 자유 단부
12P ... 인접 단부 12S ... 외부 쉘
12T ... 상부 에지 13 ... 제 2 매끈한 부위
13B ... 저부 에지 13F ... 자유 단부
13P ... 인접 단부 13S ... 내부 쉘
13T ... 상부 에지 14 ... 저부 폐쇄부
14R ... 저부 폐쇄부 림 15 ... 공기 포켓
16 ... 방수 코팅 17 ... 반사 코팅
20 ... 연속 쉬이트 21 ... 주름진 단편
22 ... 매끈한 단편 23 ... 매끈한 단편
24 ... 저부 폐쇄부 30 ... 컵
31 ... 맨드릴 32 ... 중앙 지대
34 ... 우측 지대 36 ... 폴드 라인
38 ... 평평한 쉬이트 40 ... 스코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내용물의 온도를 유지시키며 취급이 편리하도록 열적으로 절연시키며 지속된 취급을 견디도록 충분히 튼튼하며 생분해성 및 재생가능한 재료로 제조되며 제조가 용이하고 값싸며 기존의 기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다른 목적은 구조가 더 간단하고 더욱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회전 맨드릴상에서 단일방향 감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절연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르면, 열적 절연컵이 두 개의 간격이 떨어진 매끈한 단부나 외부가 주름진 중앙부위에 의해 연결된 하나의 연속적인 균질 종이 쉬이트로부터 형성된다. 매끈한 단부는 주름진 부위의 대향측부위로 포개진다. 포개진 쉬이트는 맨드릴 주위로 구부러져서 사이에 주름진 부위가 샌드위치된 원통형 내부 및 외부 쉘을 형성한다. 각 매끈한 부위의 단부는 함께 밀폐된다. 저부 폐쇄부가 내부 쉘에 부착된다. 결과의 3층컵은 강하며 내용물의 온도를 유지하며 취급을 편리하게 하도록 양호한 열적절연을 제공하며 기존의 기계상에서 제조될 수 있다. 혹은, 연속 쉬이트가 함께 부착된 별도의 섹션으로 제조될 수 있다. 게다가, 주름진 또는 절연 부위가 중앙부위가 아니라 외부일 수 있다. 게다가, 포개진 후 외부상에 주름진 층이 있는 2층 절연 컵으로 감기도록 출발 쉬이트가 두 부위를 가질 수 있다.
도 1a 내지 1c - 쉬이트 블랭크
도 1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구체예에 따라서 컵 또는 용기(도 4)는 종이나 기타 적당한 쉬이트 재료로된 커다란 쉬이트(도시 안된)로부터 다이커팅된 연속적인 균질 쉬이트(10)로서 시작한다. 쉬이트(10)는 아아크형 주름진 중앙부위(11), 두 개의 더 길고 아아크형이며 주름진 부위(11) 단부로부터 연장된 제 1 및 제 2 매끈한 단부 또는 외부(12, 13)를 포함한다. 매끈한 부위(12, 13)는 인접 단부(12P, 13P), 자유단부(12F, 13F), 상부 에지(12T, 13T) 및 저부에지(12B, 13B)를 가진다. 둥근 저부 폐쇄부(14)는 별도로 절단된다. 부위(11)의 주름이 도 1b 의 에지도면에서 명백히 도시된다. 주름은 공지 방법으로 형성되어 예리한 주름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둥근 밴드부위를 가질 수 있다.
도 1c 에 도시된 발명의 제 2 구체예에 따르면 연속 쉬이트(20)는 주름진 단편(21)의 에지를 매끈한 단편(22, 23)에 부착하여 형성된다. 저부 폐쇄부(24)는 별도로 절단된다. 주름진 단편(21)은 도 1a 에 도시된 주름진 부위(11)보다 약간 더 길어서 이의 단부가 부착을 위해서 매끈한 단편(22, 23)에 약간 포개진다. 3개의 단편을 별도로 절단하는 것은 다중 쉬이트 재료가 쉬이트(20) 제조에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즉, 재생 종이가 주름진 단편(21)에 사용되고 SBS(고형 표백 아황산염)로 알려진 종이가 매끈한 단편(22, 23)으로 사용될 수 있다.
두 구체예에서 (도 1a, 1b 및 1c)에서 주름진 중앙 부위(11, 21)는 단부 또는 외부보다 약간 적은 높이를 가진다.
쉬이트(10)는 적어도 한 면이 방수 코팅된다. 폴리에틸렌과 같은 코팅은 가열될 때 접착제의 역할을 한다.
도 2a 및 2b - 포개기 및 감기
컵(도 3)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매끈한 부위(12, 13)는 도 2 에 도시된 대로 주름진 부위(1)의 대향면상에 포개진다. 이후에 쉬이트(10)는 매끈한 외부층 또는 부위간에 샌드위치된 주름진 층 또는 부위를 가진 평평한 3층 배열이 된다. 매끈한 부위(12, 13)는 주름진 부위(11)보다 길어서 이들의 자유 단부(12F, 13F)는 주름진 부위(11) 너머로 연장된다. 약한 풀, 탄성풀 또는 가열된 폴리에틸렌과 같은 약한 접착제가 감겨져서 밀봉될 때까지 포개진 3층 쉬이트를 평평하게 유지시키는데 사용된다. 접착제는 중앙층에 있는 작은 구멍(50)(도 11a 또는 11b)을 다이커팅함으로써 적용될 수 있어서 단일 접착제 방울이 중앙층을 부착시키지 않고 내부층과 외부층을 부착하기 위해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더 용이한 감기를 가능하게 한다. 제조되는 컵의 크기에 따라서 부위의 크기가 선택된다.
쉬이트(10)는 이후에 도 2b 에 도시된 대로 테이퍼된 맨드릴(31) 주위로 감긴다. 자유 단부(13F)의 과잉 부위를 냉간 접착제를 적용하거나 가열된 폴리에틸렌을 사용함으로써 인접 단부(13P)에 부착 또는 연결시킴으로써 매끄러운 내부층이 완결된다. 이후에 유사한 방식으로 자유단부(12F)를 부위(12)에 부착 또는 열밀봉함으로써 매끄러운 외부층이 완결된다.
도 3 및 도 4 - 단면도
테이퍼된 원통형 내부쉘(13S)과 외부쉘(12S)이 도 3 의 평면단면도에 도시된 대로 형성되고 밀봉된다. 주름진 부위(11)(도 2b)는 주름진 중앙 절연층(11L)을 형성하기 위해서 쉘사이에 샌드위치된다. 저부 폐쇄부(14)가 도 4 에서 설명된 대로 내부쉘(13S)내에 부착된다. 매끈한 부위(12)(도 2a)는 매끈한 부위(13)(도 2a)보다 길어서 원뿔형으로 형성된 이후에 주름진 층(11L)의 두께를 수용하기 위해 외부쉘(12S)은 내부쉘보다 직경이 더 크다. 이 실시예에서 쉬이트(10)가 사용될지라도 쉬이트(20)(도 1c)가 역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주름진 층(11L)은 쉘과 주름진 층 사이에 여러개의 절연 공기공간(15)을 형성한다. 만약 컵이 폴리에틸렌 코팅된 판지로 제조되면 컵은 이미 방수재를 컵상에 가진다. 중앙층(11L)의 내면은 반사물질(17)로 코팅된다. 이것은 컵 내용물이나 컵외부의 공기와 같은 열원에서 나오는 복사열을 열원에 반사하여서 열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쉬이트(10)를 포개고 감아서 3층 컵이 제조되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경제적이다.
도 4 의 측부 단면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컵(30)은 외부쉘(12S), 주름진층(11L) 및 내부쉘(13S)로부터 형성된 3개의 층을 포함한다. 상부 에지(12T, 13T)는 함께 주름이 잡히고 말려서 림을 형성한다. 저부 에지(12B, 13B)는 내향으로 포개지고 방수밀봉을 위해 저부 폐쇄부(14)상이 림(14R) 내부까지 밀봉된다. 주름진 부위(11)(도 1a)는 매끈한 부위(12, 13)(도 1a)보다 좁기 때문에 주름진 층(11L)의 상부 및 저부 에지는 주름진 상부와 컵(30) 저부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도 5a 내지 6b - 단부가 주름진 부위
도 1a 에 도시된 출발 블랭크 중앙에 주름진 부위를 제공하지 않고 도 5a 및 5b 에 도시된 대로 주름진 부위가 출발 블랭크의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출발 블랭크는 세 부위를 가진다: 좌측 단부 지대(12), 중앙 지대(32), 주름진 우측 단부 지대(34), 좌측 지대(12)는 도 1a 와 동일하다. 중앙 지대(32)는 도 1a 의 단부지대(13)와 동일하지만 좌측 단부지대(12)와 인접하며 연속적이다. 주름진 우측 단부지대(34)는 도 1a 의 주름진 중앙지대(11)와 동일하지만 중앙이 아니라 한 단부에 있다. 도 1a 및 1c 에서 처럼 도 5a 의 주름진 지대는 매끈한 지대와 같이 테이퍼된다. 블랭크는 연속적이고 일체형이고 균질적이며 지대(12, 32)는 점선(36)에 의해 분리되며 매끈하다. 지대(34)는 표준 다이커팅 공정(설명 안됨)에 의해 주름지거나 스코링된다(도 9 참조). 전체 블랭크는 하나의 커다란 출발 쉬이트로부터 다이커팅된다. 위에서 언급된 특징을 제외하고는 도 5a 및 5b 의 블랭크는 도 1a 의 블랭크와 유사하다.
도 5a 는 단일한 연속 출발 블랭크를 보여주는데 출발 블랭크는 도 5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별도의 부위로부터 형성된다. 좌측 단부 지대(12)와 중앙지대(32)로 구성된 한 부위는 매끈하고 일체형 또는 균질적이며 주름진 절연부위(3')로 구성된 다른 부위는 분리되며 별도로 형성된다. 이후에 도 5c 의 두 개의 분리된 부위가 주름진 부위의 지대중 좌측 지대를 따라 부착되어서 (공정은 설명되지 않음) 도 5a 와 유사한 블랭크를 형성한다. 위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조각을 별도로 절단하는 것은 다양한 종류의 쉬이트 재료가 쉬이트(20) 제조에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즉, 재생 종이가 주름진 조각(34) 형성에 사용되고 SBS는 매끄러운 조각(12, 32) 형성에 사용된다.
도 5a 의 블랭크(또는 부착후 도 5c 의 블랭크)는 주름진 지대(34)가 중앙의 매끄러운 지대(32)에 평행하게 인접하도록 포개지고 이후에 좌측 단부지대(12)가 주름진 부위 위로 포개져서 3개의 부위가 평행하게 하며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매끈한 부위 사이에 주름진 부위가 샌드위치된다. 지대(32)의 에지를 따라 지대(34')를 부착하고 지대(34')를 내향으로 포개는 것 대신에 지대(34')는 지대(32)상에 중심위치에서 배치됨으로써 지대(12)가 위로 포개지지만 하면 된다. 이후에 포개진 블랭크가 맨드릴(도시 안된) 주위에 감겨져서 도 6b 와 같은 원뿔을 형성한다. 도 4 의 구체예처럼 블랭크의 단부가 함께 밀봉되고 컵의 저부(도시 안된)가 유사한 방식으로 부착되고 도 4 와 유사한 방식으로 완결된다. 도 6b 원뿔로 제조된 컵은 도 4 컵의 모든 장점을 가진다. 주름진 지대가 중앙보다 한 단부에 있는 블랭크(도 5a)로부터 컵이 제조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8b - 2층 컵
도 7a 내지 8b 에 도시된 블랭크로부터 제조된 컵은 이전 구체예와 유사하지만 3개의 층 대신에 2개의 층을 포함하는 측벽을 가지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더욱 경제적이다.
도 7a 및 8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 블랭크는 평평한 또는 매끄러운 좌측지대(32)와 우측 주름진 지대(34)를 포함하며, 둘다는 도 5a 에 도시된 해당부분과 유사하다. 두 지대는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균질 조각으로서 형성되거나 도 7a 에 도시된 변형가능한 쉬이트 재료로된 단일 스트립을 형성하기 위해서 함께 부착되는 두 개의 조각(도시 안된)으로부터 형성된다.
블랭크의 상부 에지(13T)와 저부 에지(12B)는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구성과 공통 곡률중심을 가진다.
도시된 스트립(도 7a 및 7b)은 지대(32, 34)의 연결부에 있는 공통 접는 선을 따라 포개진다. 이것은 두 지대를 서로 대면하게 하여서 다층 용기 측벽 블랭크를 형성한다. 이 블랭크는 공통 접는선에 의해 한정된 블랭크의 좌측단부에 한 단부가 있으며 지대(32, 34)의 자유 단부에 의해 형성된 측벽 블랭크 우측 단부에 또다른 단부를 가진다. 지대(34)에 형성된 주름은 지대 표면에 오목부를 형성한다. 두 지대가 서로 대면하여서 도 8a 에 도시된 2층 블랭크를 포함하는 지대 또는 층사이에 복수의 공기 공간을 형성할 때 이들 오목부는 지대(32)의 관련 표면과 함께 작용한다.
측벽 블랭크(도 8a)는 이후에 맨드릴(도시 안된) 주위에 감겨서 블랭크의 반대 단부가 서로 포개지게 한다. 따라서 도 8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32, 34)의 자유 단부는 블랭크의 포개진 단부나 반대단부의 변부와 포개진다. 포개진 부위는 서로 연결되어서 도 8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용기 측벽을 형성한다. 이러한 연결작업은 컵의 측부시임을 형성하고 컵 및 용기 제조분야에서 공지된 방식으로 컵의 측벽 블랭크가 맨드릴상에 유지되는 동안에 수행된다.
용기형성에 사용되는 맨드릴의 형태는 다양하며 형성될 용기의 모양에 의해 결정된다. 도 7a 에 도시된 평평한 스트립으로부터 형성된 포개진 측벽 블랭크는 높이를 따라 원형 단면을 가지는 원통형 종이컵 제조에 특히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컵 제조에 원통형 맨드릴이 사용된다.
선호되는 컵구조에 따르면 매끈한 층(32)은 컵의 내면을 형성하고 주름진 층(34)은 컵의 외면 부위를 형성한다.
용기의 측벽 블랭크가 맨드릴에 유지되는 동안 컵의 저부가 감기 또는 구부르기 작업에 의해 측벽에 부착되며 비이드(bead)가 컵측벽 블랭크의 상부 단부 주위로 굴려져서 컵조립을 완성시킨다.
도 9 - 또다른 절연층
주름진 절연층 대신에 임의의 절연층이 평평한 쉬이트(38)(도 9)로 제조된다. 이러한 쉬이트는 간격이 떨어진 홈 또는 스코어(40)가 한 표면에 형성되고 도 9 의 외면과 같이 쉬이트의 한면상에 평평한 부위에 의해 분리된다. 이러한 홈을 형성함으로써 생성된 돌출부 또는 리브는 도 9 에 도시된 대로 쉬이트의 하부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된다. 스코링된 층(38)의 하부면상의 리브가 매끄러운 층의 관련 면과 대면하게 될 때 리브사이에 공기 공간이 생성되어 효과적인 절연을 제공한다. 홈 또는 스코어는 5 내지 10㎜ 떨어지며 1-3㎜ 깊이이다. 스코어는 오목부를 생성하기 위해서 쉬이트 맨드릴을 변위시키는 다이에 의해 쉬이트 표면에 형성 또는 엠보싱된다. 도 1a, 5a 또는 7a 의 쉬이트가 절단되고 단일 블랭킹 작업에서 스코어(40)가 동시에 형성된다. 육지부분이 용기 내면이 되도록 쉬이트가 배향되지만 반대 배치도 가능하다.
스코어(40)에 의해 형성된 리브는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를 따라 가로로 방사상 연장되며 블랭크의 저부 에지 및 아치형 상부의 곡률 중심과 일치하는 단일한 복사 중심을 가진다.
본 발명은 비절연컵보다 훨씬 오랫동안 내용물 온도를 유지시키는 열절연컵 또는 용기의 여러 구체예를 제공한다. 용기가 뜨겁거나 차가운 음료를 담고 있을 때 외부 쉘은 주변온도 가까이 유지되어서 다루기가 편안하다. 또한, 차가운 음료를 담고있을 때 외부 쉘상에 응축물이 형성되는 것도 방지하므로 미끄러지지 않는다. 주름진 다층 구조는 지속된 취급을 견딜 만큼 충분히 강하다. 종이(또는 다른 적당한 쉬이트 재료) 구조 및 최소한의 접착제 사용은 용기를 환경적으로 우호적이게 한다. 컵의 디자인은 더 얇은 종이를 써서 컵이 제조될 수 있게 하며 효율적인 종이원료 사용을 하게 하므로 최소한의 자원을 소모한다. 3 또는 2층이 단지 포개고 단일 감기작업으로 단일한 종이 쉬이트를 감아서 제조되므로 기존의 기계를 써서 손쉽고 값싸게 제조된다. 종래의 주름진 판지와는 다르게 포개진 블랭크층이 서로 영구 고정되지 않으므로 밀봉에 앞서 원통형 모양으로 쉽게 감길 수 있다.
종이 대신에 생분해성 플라스틱, 기타 플라스틱, 금속, 뻣뻣한 섬유와 같은 적당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반사코팅은 제거될 수 있다.
도 1c 및 도 5c 에 도시되며 도 7a 에 대한 또다른 예로서 사용된 분리된 길쭉한 조각은 부착되는 것 대신에 주름이 잡힐 수 있다. 중앙의 주름진 부위(도 2b)의 단부는 부착되거나 주름이 잡힌다. 도 1 내지 도 6 에서 매끄러운 외부쉘로 사용되는 부위는 매끄러운 내부쉘로 사용된 부위보다 짧을 수 있다. 이 경우에 내부쉘의 상부 에지만이 외향으로 말려서 림을 형성하고 내부쉘의 저부 에지만이 내향으로 포개져서 저부를 밀봉할 필요가 있다. 도 5c 에서 주름진 절연 부위(34')는 매끄러운 지대(32)상에서 평행하게 부착되어서 좌측 단부 부위(12)가 주름진 지대위로 포개져서 3개의 지대가 평행하게 될 필요가 있다.
연속 쉬이트로부터 다층 컵을 형성하는 방법은 우유 상자, 아이스크림 상자, 오렌지 쥬스 또는 비스켓 캔과 같은 절연 용기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주름진 부위는 두 개의 매끈한 단부 부위를 연결시키는 하나이상의 얇고 평행하고 간격이 떨어진 스트립으로서 다이커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수직 주름 또는 홈대신에 중앙층은 내부쉘과 외부쉘사이에 공기 포켓 또는 공간을 생성하는 다양한 왜곡, 변형, 엠보싱 또는 간격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절연층은 딤플(둥근 또는 기다란), 수평 또는 대각선 리지 또는 리브, 또는 다공성 쉬이트 재료, 구멍난 재료나 발포재료를 포함한 기타 쉬이트 재료를 사용한다. 도 8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진 층이 외부상에 존재하지 않고 층이 역전되어서 주름진 층이 내부에 있고 매끈한 층이 외부에 있을 수 있다. 주름진 부위는 테이퍼형 대신에 직사각형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상부에서 주름을 더 넓게 확장시키거나 저부에서 주름을 더 깊게 하거나 상부에서 더 얕게 함으로써 테이퍼형 내부쉘(13S) 주위에 감겨져서 테이퍼형(원통형) 모양으로 전환될 수 있다.

Claims (55)

  1.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하부와 구멍을 가진 상부를 가지는 다층 쉘;
    상기 하부에 부착된 하부 폐쇄부를 포함하며;
    상기 쉘의 쉘의 내부층 및 외부층을 제공하는 제 1 부위 및 제 2 부위, 상기 쉘의 중앙층을 형성하고 반대면을 가지는 제 3 부위를 가지는 쉬이트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부위가 상기 제 3 부위의 상기 반대면 위로 포개져서 상기 쉘의 내부 및 외부층을 제공하고 상기 제 3 부위가 상기 제 1 층과 제 2 층 사이에 샌드위치되어서 상기 쉘의 중앙층을 제공하며;
    상기 제 3 부위가 상기 내부층과 외부층사이에 샌드위치되어서 상기 쉘의 내부층과 외부층사이에 공기공간을 제공할 때 상기 내부층 및 외부층과 함께 작용하기 위해서 상기 제 3 부위내에 복수의 변형부가 형성되는 열절연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위, 제 2 부위 및 제 3 부위 모두가 하나의 균질적인 쉬이트재료 조각으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위, 제 2 부위 및 제 3 부위 모두가 하나의 균질적인 쉬이트 재료 조각으로 제조되며 상기 변형부가 복수의 리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위, 제 2 부위 및 제 3 부위 모두가 하나의 균질적인 쉬이트 재료 조각으로 제조되며 상기 변형부가 복수의 주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부위가 별도의 쉬이트 재료 조각으로부터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이 상기 상부에서 더 큰 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하부에서 더 적은 단면적을 가진 테이퍼형 모양을 가지며 상기 쉘이 상기 상부를 따라 외향으로 말린 림을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용기의 외부층을 형성하는 외부쉘;
    상기 외부쉘내에 위치되며 상기 용기의 내부층을 형성하는 내부쉘;
    상기 외부쉘과 상기 내부쉘사이에 샌드위치되며 상기 외부쉘과 상기 내부쉘사이에 공기 공간을 제공하는 복수의 변형부를 가지는 중앙층;
    상기 내부쉘의 하부에 부착된 하부 폐쇄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쉘, 상기 중앙층 및 상기 내부쉘 모두가 제 1 및 제 2 부위, 그리고 반대면을 가지는 왜곡된 부위를 가지는 기다란 쉬이트로부터 제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부위가 상기 왜곡된 부위의 반대면 위로 포개져서 상기 기다란 쉬이트가 포개지며;
    상기 외부쉘, 상기 중앙층, 및 상기 내부쉘은 용기내에 배치된 물질의 열절연을 제공하기 위해 사이에 공기 공간을 형성하도록 함께 작용하는 열절연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쉬이트가 균질적이며 종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쉬이트가 균질적이며 종이이고 상기 왜곡된 부위가 상기 제 1 및 제 2 부위의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부위는 매끄러움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쉬이트가 균질적이며 종이이고 상기 왜곡된 부위가 상기 제 1 및 제 2 부위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부위가 매끄러움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위가 아치형이어서 테이퍼형 내부쉘 및 외부쉘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및 외부쉘이 원통형이며 상기 기다란 쉬이트가 균질적이며 상기 왜곡이 복수의 리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3. 하부 폐쇄부를 제공하고;
    용기의 내부층 및 외부층을 각각 형성하기 위한 예정된 크기의 제 1 및 제 2 부위, 반대면을 가지며 복수의 공기공간을 사이에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내부층 및 외부층과 함께 작용하기 위해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변형부를 가지는 제 3 부위를 갖는 쉬이트를 제공하고;
    상기 제 3 부위의 반대면 위로 상기 제 1 및 제 2 부위를 각각 포개서 다층 배치를 제공하며 상기 제 3 부위가 상기 제 1 및 제 2 부위 사이에 샌드위치되고 상기 배치는 반대 단부 부위를 가지며;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부 및 하부를 가지는 쉘을 형성하도록 상기 배치의 상기 반대 단부 부위를 연결하고;
    상기 하부에 상기 하부 폐쇄부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절연 용기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쉬이트가 종이로된 균질 조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쉬이트가 종이로된 균질조각이고 상기 변형부가 주름, 리지, 홈 또는 딤플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위가 매끈하고 테이퍼형 쉘을 형성하도록 아치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부위가 별도의 재료 쉬이트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위를 상기 제 3 부위의 반대면상에 포개는 상기 단계가 상기 제 1 및 제 2 부위를 상기 제 3 부위의 상기 반대면상에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접착제를 상기 제 1 부위와 제 2 부위 사이에 적용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상부 에지 및 하부 에지를 가지며 제 1 및 제 2 연속지대를 형성하는 기다란 용기측벽 블랭크를 내면 및 외면을 가지는 쉬이트재료로부터 절단하고;
    상기 제 2 지대의 외면에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지대의 내면에 상기 오목부와 동일한 갯수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제 2 지대의 내면상의 돌출부가 상기 제 1 지대의 내면과 대면하도록 공통 접는선 주위로 상기 제 1 및 제 2 부위를 포개서 상기 공통 접는선에 의해 형성된 한 단부부위와 상기 단부부위와 대향하는 또다른 단부 부위를 가지는 다층 용기 블랭크를 형성하고;
    상기 또다른 단부부위를 상기 한단부부위에 연결시켜서 연속하는 측벽 블랭크를 형성하고;
    용기 하부 폐쇄부를 부착하고;
    상기 측벽 블랭크의 하부를 상기 하부 폐쇄부에 밀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절연 용기제조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단계가 상기 외면을 스코링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단계가 엠보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단계가 주름잡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19 항에 있어서, 절단 및 형성단계가 동시에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용기의 외부층을 형성하는 외부셀;
    상기 외부쉘내에 위치되며 상기 용기의 내부층을 형성하는 매끈한 내부쉘;
    상기 외부쉘과 상기 내부쉘사이에 복수의 공기공간을 생성하는 왜곡부가 있는 상기 외부쉘;
    상기 내부쉘의 하부에 부착되는 하부 폐쇄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쉘과 상기 내부쉘은 하나의 기다란 쉬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기다란 쉬이트는 상기 용기의 내부쉘을 제공하는 매끈한 부위와 반대면을 가지며 상기 용기의 외부쉘을 제공하는 왜곡된 부위를 가지며;
    상기 매끈한 부위가 상기 왜곡부위에 인접하여 포개져서 상기 기다란 쉬이트가 포개지며;
    상기 외부쉘과 내부쉘은 상기 용기내의 물질을 열절연 시키기 위해 복수의 공기공간을 형성하며 제조가 용이하고 경제적인 열절연 용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쉘과 상기 하부 폐쇄부상에 배치된 방수코팅을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코팅이 왁스나 플라스틱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쉘에서 상기 왜곡이 복수의 간격이 떨어진 홈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8. 제 24 항에 있어서, 열을 열원으로 반사하기 위해서 상기 층중 하나위에 배치된 반사코팅을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9.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매끈한 부위와 상기 왜곡된 부위가 함께 부착되어서 기다란 쉬이트를 형성하는 두 개의 별도의 조각으로부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0.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쉬이트가 균질적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1. 하부벽과 상기 하부벽에 연결된 연속 측벽을 포함하며 구멍이 있는 상부 단부를 가지는 열절연 용기로서, 상기 측벽은 공통 접는선을 따라 연결되며 서로 대면하는 인접한 내부 및 외부층을 형성하는 단일한 기다란 쉬이트재료 스트립으로 형성되며, 상기층중 하나는 한 면에 상기 층중 다른 하나의 관련면과 함께 작용하는 오목부 형성수단을 가져서 상기 두층간에 복수의 공기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연속하는 측벽은 상기 접는선에 인접한 상기 층중 한층의 변부에 의해 형성된 측부 시임을 가지는 열절연 용기.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층이 상기 용기의 외면 부위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한층에 형성된 스코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복수의 주름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5. 기다란 쉬이트재료 조각을 연속하는 제 1 및 제 2 지대로 분할하는 접는선을 가지는 기다란 쉬이트재료 조각으로부터 형성된 쉘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지대는 상기 접는선 주위로 포개져서 상기 쉘의 제 1 및 제 2 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지대가 서로 대면하며;
    상기 제 2 층은 상기 쉘의 제 1 및 제 2 층 사이에 공기 공간을 제공하는 복수의 변형부를 가지는 열절연 용기측벽.
  36. 기다란 쉬이트재료 조각을 연속하는 제 1 및 제 2 지대로 분할하는 접는선을 가지는 기다란 쉬이트재료 조각을 제공하며;
    상기 제 2 지대상에 복수의 변형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지대를 상기 접는선 주위로 포개서 상기 제 2 지대를 상기 제 1 지대와 대면하게 하여 상기 접는선에 의해 형성된 제 1 단부부위와 상기 제 1 단부 부위와 대향하는 제 2 단부부위를 가지는 다층 쉬이트 배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부위를 서로 인접하게 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부위를 부착하여 측벽 쉘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절연 용기 측벽 제조방법.
  37.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하부 및 구멍이 있는 상부를 가지는 측벽 폐쇄부;
    상기 하부에 부착된 하부 폐쇄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 폐쇄부는 접는선을 따라 연결된 제 1 및 제 2 연속지대를 가지는 기다란 쉬이트재료 쉬이트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지대는 상기 측벽 폐쇄부의 내부 및 외부층을 형성하며;
    상기 측벽 폐쇄부는 예정된 크기를 가지는 쉬이트 재료 조각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쉬이트 재료조각은 상기 내부 및 외부층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측벽 폐쇄수의 내부 및 외부층사이에 공기 공간을 제공하는 열절연 용기.
  38. 하부 폐쇄부를 제공하며;
    제 1 쉬이트 재료 조각을 제공하며;
    연속하는 제 1 및 제 2 지대로 기다란 쉬이트재료 조각을 분할하는 접는선을 가지는 제 2 쉬이트재료 조각을 제공하며;
    상기 제 1 쉬이트재료 조각을 상기 제 2 쉬이트재료 조각의 제 2 지대에 부착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지대를 상기 접는선 주위로 포개서 상기 제 1 및 제 2 지대를 서로 대면시켜 다층 측벽 블랭크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쉬이트재료 조각이 상기 제 1 및 제 2 지대사이에 샌드위치되며 상기 다층 측벽 블랭크가 반대 단부 부위를 가지며;
    상기 반대 단부부위를 서로 연결시켜 내부공간을 한정하고 상부 및 하부를 가지는 측벽 폐쇄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폐쇄부를 상기 하부에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제조방법.
  39.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하부 및 구멍이 있는 상부를 가지는 측벽 폐쇄부;
    상기 하부에 부착된 하부 폐쇄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 폐쇄부는 접는선을 따라 연결된 제 1 및 제 2 지대를 가지는 기다란 쉬이트재료 쉬이트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제 1 지대가 상기 폐쇄부의 내부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지대가 상기 폐쇄부의 외부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기다란 쉬이트재료 조각이 포개지고;
    상기 측벽 폐쇄부는 예정된 크기를 가지는 쉬이트 재료조각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쉬이트 재료조각은 상기 내부 및 외부층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측벽 폐쇄부의 내부 및 외부층 사이에 공기 공간을 제공하는 중앙층을 형성하는 열절연 용기.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쉬이트재료 조각이 종이로 제조되며 상기 중앙층이 주름진 재료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쉬이트재료 조각이 종이로 제조되며 상기 중앙층이 다공성재료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2.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층이 플라스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3. 하부 폐쇄부를 제공하며;
    제 1 쉬이트재료 조각을 제공하며;
    제 1 및 제 2 지대로 기다란 쉬이트재료 조각을 분할하는 접는선을 가지는 제 2 쉬이트재료 조각을 제공하며;
    상기 제 1 쉬이트재료 조각을 상기 제 2 쉬이트재료 조각에 부착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지대를 상기 접는선 주위로 포개서 상기 제 1 및 제 2 지대를 서로 대면시켜 다층 측벽 블랭크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쉬이트재료 조각이 상기 제 1 및 제 2 지대 사이에 샌드위치되며 상기 제 1 쉬이트재료가 상기 제 1 및 제 2 지대 사이에 공기공간을 제공하는 중앙층을 형성하며 ;
    상기 다층측벽 블랭크가 반대 단부 부위를 가지며;
    상기 반대 단부 부위를 서로 연결시켜 내부공간을 한정하고 상부 및 하부를 가지는 측벽 폐쇄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폐쇄부를 상기 하부에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제조방법.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층이 주름진 재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층이 다공성 재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제 4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층이 플라스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용기의 외부층을 형성하는 외부쉘;
    상기 외부쉘내에 위치되며 상기 용기의 내부층을 형성하는 내부쉘;
    상기 내부쉘과 외부쉘 사이에 샌드위치된 중앙층;
    상기 내부쉘에 부착된 하부 폐쇄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쉘과 내부쉘이 기다란 쉬이트를 제 1 및 제 2 지대로 분할하는 접는선을 가지는 기다란 쉬이트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지대가 상기 접는선에 포개져서 상기 제 1 및 제 2 지대가 상기 용기의 내부층과 외부층을 형성하며;
    상기 용기의 내부층과 외부층사이에 절연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중앙층이 상기 내부층과 외부층 사이에 샌드위치되며 절연재료로 형성되는 열절연 용기.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쉬이트가 종이로 제조되며 상기 중앙층이 상기 용기의 내부층과 외부층사이에 공기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변형되는 쉬이트 재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9.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쉬이트가 종이이며 상기 중앙층이 상기 용기의 내부 및 외부층 사이에 공기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다공성 재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0. 제 4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층이 플라스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1. 종이로 구성된 기다란 쉬이트를 제공하고;
    서로 대면하도록 기다란 쉬이트를 제 1 및 제 2 지대로 포개고;
    상기 제 1 및 제 2 지대와 상기 중앙층 사이에 3층 배열을 형성하도록 제 1 및 제 2 지대사이에 중앙 절연재료층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지대가 사이에 중앙층을 가진 용기 측벽의 내부 및 외부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3층 배열을 원통형으로 만들고;
    하부 폐쇄부를 상기 측벽의 한 단부에 부착하여 용기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절연 용기 제조방법.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절연재료층이 상기 기다란 쉬이트의 제 3 지대이고 상기 제 3 지대가 상기 내부층과 외부층간에 상기 중앙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기다란 쉬이트가 포개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3.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층이 왜곡되는 쉬이트재료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층과 외부층간에 공기 공간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4.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층이 왜곡되는 다공성재료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층과 외부층간에 공기 공간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5. 제 5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층이 플라스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19980701175A 1995-08-18 1996-08-12 주름진쉬이트로형성된다층절연컵 KR1003323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1691395A 1995-08-18 1995-08-18
US8/516,913 1995-08-18
US08/516,913 1995-08-18
US08/641,213 US5660326A (en) 1995-08-18 1996-04-30 Multi-layered insulated cup formed from folded sheet
US08/641,213 1996-04-30
US8/641,213 1996-04-30
PCT/US1996/013141 WO1997007030A1 (en) 1995-08-18 1996-08-12 Multi-layered insulated cup formed from folded she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696A true KR19990037696A (ko) 1999-05-25
KR100332397B1 KR100332397B1 (ko) 2002-09-27

Family

ID=27058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175A KR100332397B1 (ko) 1995-08-18 1996-08-12 주름진쉬이트로형성된다층절연컵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3) US5660326A (ko)
EP (1) EP0885145B1 (ko)
JP (1) JP3320736B2 (ko)
KR (1) KR100332397B1 (ko)
CN (2) CN1085173C (ko)
AT (1) ATE253502T1 (ko)
AU (1) AU701229B2 (ko)
CA (1) CA2228749C (ko)
DE (1) DE69630617T2 (ko)
DK (1) DK0885145T3 (ko)
ES (1) ES2206587T3 (ko)
WO (1) WO19970070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656B1 (ko) * 2002-02-02 2004-09-04 김성일 회전식 컵 뚜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0326A (en) * 1995-08-18 1997-08-26 Sherwood Tool Incorporated Multi-layered insulated cup formed from folded sheet
US6224954B1 (en) * 1997-03-26 2001-05-01 Fort James Corporation Insulating stock material and containe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5873486A (en) * 1997-07-17 1999-02-23 Morgan; Charles Selectively mountable cup holder
CA2672552C (en) 1997-08-28 2012-01-31 Dai Nippon Printing Co., Ltd. Heat-insulating container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CN1122619C (zh) * 1998-05-20 2003-10-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隔热容器
US6116503A (en) * 1998-07-24 2000-09-12 Varano; Richard F. Disposable all-purpose container assembly
US6364201B1 (en) 1998-07-24 2002-04-02 Richard F. Varano Disposable all-purpose container assembly
US6179203B1 (en) * 1998-08-28 2001-01-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lectively reinforced multi-ply food container
DE19840841B4 (de) * 1998-09-07 2007-02-08 Michael Hörauf Maschinenfabrik GmbH & Co. KG Wärmeisolierender Becher
US6085970A (en) * 1998-11-30 2000-07-11 Insulair, Inc. Insulated cup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257485B1 (en) 1998-11-30 2001-07-10 Insulair, Inc. Insulated cup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139481A (en) * 1999-04-01 2000-10-31 Sweetheart Cup Company, Inc. Gas fired burner for sealing single and double sided polycoated paper cups
US6152363A (en) * 1999-05-03 2000-11-28 Westvaco Corporation Sleeve construction for improved paperboard cup insulation
JP4693075B2 (ja) * 1999-07-28 2011-06-01 日本紙パック株式会社 断熱カップ
US6364149B1 (en) 1999-10-05 2002-04-02 Gregory Scott Smith Fluid container with a thermally responsive insulating side wall
US6253995B1 (en) * 2000-05-16 2001-07-03 Burrows Paper Corporation Insulated containers and sidewalls having laterally extending flutes, and methods
US20040197900A1 (en) * 2003-04-04 2004-10-07 Arnon Rosenthal Foggy
ATE263709T1 (de) 2001-01-30 2004-04-15 Seda Spa Pappbehälter für getränke und verfahren hierfür
US6367652B1 (en) * 2001-01-31 2002-04-09 The Thermos Company Insulated cup holder
US8883237B2 (en) 2002-04-11 2014-11-11 The Ovenable Paper Pan Company LLc Ovenable corrugated paper container
US8304004B2 (en) * 2002-04-11 2012-11-06 The Ovenable Paper Pan Company, Llc Ovenable corrugated paper container
US8304003B1 (en) 2002-04-11 2012-11-06 The Ovenable Paper Pan Company, Llc Ovenable corrugated paper container
US20040096604A1 (en) * 2002-11-18 2004-05-20 Sonoco Development, Inc. Wound multi-layer tube having one or more embossed plies
US6926197B2 (en) * 2002-12-12 2005-08-09 Aharon Zeev Hed Disposable and biodegradable paper cup
US7537136B2 (en) 2003-06-11 2009-05-26 Laurent Hechmati Foldable air insulating sleeve
US7699216B2 (en) * 2003-11-26 2010-04-20 Solo Cup Operating Corporation Two-piece insulated cup
US20050236468A1 (en) * 2004-04-22 2005-10-27 Insulair, Inc. Insulating cup wrapper and insulated container formed with wrapper
BRPI0510164A (pt) * 2004-04-22 2007-10-02 Insulair Inc envoltório de copo isolante e recipiente isolado formado com o envoltório
WO2006033595A1 (fr) * 2004-09-16 2006-03-30 Obschestvo S Ogranichennoy Otvetstvennostyou 'king-Lion Foods' Recipient pour aliments recouverts par un liquide muni d'un couvercle en matiere souple
US7121991B2 (en) 2004-11-02 2006-10-17 Solo Cup Operating Corporation Bottom sealing assembly for cup forming machine
US7117066B2 (en) 2004-11-02 2006-10-03 Solo Cup Operating Corporation Computer controlled cup forming machine
US20060131317A1 (en) * 2004-12-17 2006-06-22 Lewis Bresler Paper-wrapped polymer beverage container
US20060131316A1 (en) * 2004-12-17 2006-06-22 Lewis Bresler Paper-wrapped polystyrene foam beverage container
US20060289610A1 (en) * 2005-01-26 2006-12-28 Kling Daniel H Insulated cup or container
US20060196923A1 (en) * 2005-03-01 2006-09-07 Tedford Richard A Jr Insulated container
US7281650B1 (en) 2005-03-24 2007-10-16 Michael Milan Beverage cup
BRPI0601188B1 (pt) 2005-04-15 2018-06-26 Seda S.P.A. Recipiente isolado; método de fabricar o mesmo e aparelho para a fabricação
US7694843B2 (en) 2005-05-27 2010-04-13 Prairie Packaging, Inc. Reinforced plastic foam cup,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US7814647B2 (en) 2005-05-27 2010-10-19 Prairie Packaging, Inc. Reinforced plastic foam cup,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US7818866B2 (en) 2005-05-27 2010-10-26 Prairie Packaging, Inc. Method of reinforcing a plastic foam cup
US7704347B2 (en) 2005-05-27 2010-04-27 Prairie Packaging, Inc. Reinforced plastic foam cup,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DE202005014177U1 (de) 2005-09-08 2005-11-17 Seda S.P.A., Arzano Doppelwandiger Becher
DE202005014738U1 (de) 2005-09-19 2007-02-08 Seda S.P.A., Arzano Behälter und Zuschnitt
PL1785370T5 (pl) 2005-11-11 2014-06-30 Seda Spa Izolowany kubek
EP1785265A1 (en) 2005-11-14 2007-05-16 SEDA S.p.A. Device for producing a stacking projection on a container wall and container with same
US9648969B2 (en) * 2006-04-03 2017-05-16 Lbp Manufacturing Llc Insulating packaging
US20130303351A1 (en) 2006-04-03 2013-11-14 Lbp Manufacturing, Inc. Microwave heating of heat-expandable materials for making packaging substrates and products
WO2007126783A1 (en) 2006-04-03 2007-11-08 Lbp Manufacturing, Inc. Thermally activatable insulating packaging
US9522772B2 (en) 2006-04-03 2016-12-20 Lbp Manufacturing Llc Insulating packaging
US7311243B1 (en) * 2006-07-27 2007-12-25 Paper Machinery Corporation Two piece paper cup and sidewall blank therefor
US20080041860A1 (en) * 2006-08-21 2008-02-21 Pactiv Corporation Three-layered containe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080047967A1 (en) * 2006-08-24 2008-02-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nsulation sleeve for beverage containers
US7717325B2 (en) * 2006-09-29 2010-05-18 International Paper Company Double wall container with internal spacer
US7767049B2 (en) * 2006-10-12 2010-08-03 Dixie Consumer Products Llc Multi-layered container having interrupted corrugated insulating liner
US7458504B2 (en) * 2006-10-12 2008-12-02 Huhtamaki Consumer Packaging, Inc. Multi walled container and method
US8708880B2 (en) 2006-11-15 2014-04-29 Pactiv LLC Three-layered containe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080128481A1 (en) * 2006-12-05 2008-06-05 Robertson Ronald D Stackable storage container with insulating sleeve
DE202006018406U1 (de) 2006-12-05 2008-04-10 Seda S.P.A. Verpackung
JP2008174287A (ja) * 2007-01-19 2008-07-31 Dainippon Printing Co Ltd 断熱容器
US20080271476A1 (en) * 2007-02-09 2008-11-06 Elias Langguth Endothermic beverage cooler
US20080280742A1 (en) * 2007-05-12 2008-11-13 M & N Plastics, Inc Thermally insulating paperboard article with heat-foamable coating
KR100841674B1 (ko) * 2007-06-27 2008-06-26 김용률 컵 홀더
DE102008014878A1 (de) 2008-03-12 2009-09-17 Ptm Packaging Tools Machinery Pte.Ltd. Doppelwandiger Becher
USD613554S1 (en) 2008-03-14 2010-04-13 Solo Cup Operating Corporation Cup
US20090242574A1 (en) * 2008-03-25 2009-10-01 Li Hsin-Chieh Heat-insulating cup
WO2009121016A2 (en) 2008-03-28 2009-10-01 Noble Environmental Technologies Corporation Engineered molded fiberboard panels, methods of making the panels, and products fabricated from the panels
US7726551B2 (en) * 2008-04-18 2010-06-01 Shamrock Cups, Llc Container with folding lid
US20090261156A1 (en) * 2008-04-18 2009-10-22 Abbott Phillip G Round top cup with folding closure
US20090261153A1 (en) * 2008-04-18 2009-10-22 Abbott Phillip G Insulating sleeve for containers
EP2279127A4 (en) * 2008-04-18 2012-03-14 Shamrock Cups Llc CONTAINER WITH FOLDING CLOSURE
US20110064926A1 (en) * 2008-05-15 2011-03-17 Meadwestvaco Corporation Combined boards without corrugated medium having enhanced surface properties
WO2010006272A1 (en) * 2008-07-11 2010-01-14 Dixie Consumer Products Llc Thermally insulated sidewall, a container made therewith and a method of making the container
US8056757B2 (en) * 2008-08-04 2011-11-15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Hot beverage cup sleeve
JP2012509819A (ja) 2008-11-24 2012-04-26 フッタマキ・オイ カップ
US7992709B2 (en) * 2008-12-16 2011-08-09 Ellery West Container with flattened cap
US20140263305A1 (en) * 2008-12-17 2014-09-18 Technology Container Corporation Multi-Part Product Shipping Box and Display Tray
US20100181328A1 (en) * 2009-01-16 2010-07-22 Cook Matthew R Protective sleeve
US8540114B2 (en) * 2009-03-18 2013-09-24 Cup Techniques Ltd. Container apparatus with a body, plate, and lid
US20110180552A1 (en) * 2009-03-18 2011-07-28 Sarson George E Container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100264154A1 (en) * 2009-04-20 2010-10-21 John Martins Collapsi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MX2011011355A (es) 2009-05-05 2012-01-12 Meadwestvaco Corp Recipiente para bebida de carton.
PL2451715T3 (pl) 2009-07-06 2014-05-30 Huhtamaeki Oyj Sposób wytwarzania kubka i wielu kubków
US9440410B2 (en) * 2009-07-06 2016-09-13 Huhtamaki Oyj Cardboard container
GB2487704B (en) * 2009-12-04 2013-10-09 Huhtamaki Oyj Container and its production process
EP2509876B1 (en) * 2009-12-09 2014-04-02 Emerson & Renwick Ltd Carton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8828170B2 (en) 2010-03-04 2014-09-09 Pactiv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inforced containers
KR20130103520A (ko) 2010-09-01 2013-09-23 엘비피 매뉴팩츄어링 인크. 패키징 기판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열-팽창성 접착제/코팅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공정
DE102010044005A1 (de) * 2010-11-16 2012-05-16 Ptm Packaging Tools Machinery Pte. Ltd. Doppelwandiger Isolierbecher aus Papiermateria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doppelwandigen Isolierbechers
TW201309241A (zh) * 2011-08-18 2013-03-01 Ting-Yu Yang 杯套的製作方法及其成品
US8557358B1 (en) * 2011-08-22 2013-10-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Rolling textile protective system for textile structural members
WO2013064880A1 (en) * 2011-09-07 2013-05-10 Lim Huy A food grade container
US8608018B2 (en) 2012-05-21 2013-12-17 Meadwestvaco Corporation Insulated container with comfort zone
US9382058B2 (en) 2012-08-02 2016-07-05 Barry Konkin Foldable container sleeve
KR102094969B1 (ko) * 2013-08-13 2020-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290312B2 (en) 2013-08-14 2016-03-22 Dart Container Corporation Double-walled container
US9585501B1 (en) * 2013-11-12 2017-03-07 L. Robert Hamelink Beverage cup insulating seal member and associated insulated beverage cup assembly
DE102014211275A1 (de) * 2014-06-12 2015-12-17 Ptm Packaging Tools Machinery Pte. Ltd. Bech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echers
USD753958S1 (en) 2014-08-01 2016-04-19 I Care Coffee, Llc Cup sleeve
WO2017079126A1 (en) * 2015-11-03 2017-05-11 Zung Thomas T K Insulated geodesic beverage container
DE102016003824A1 (de) * 2016-04-04 2017-10-05 Sig Technology Ag Packungsmantel, Verpack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packung
US10351308B1 (en) 2016-09-22 2019-07-16 Lidworks, Co. Disposable cup lid
US10940980B1 (en) 2016-09-22 2021-03-09 Lidworks, Co Disposable cup lid
US11472614B2 (en) 2016-09-22 2022-10-18 Lidworks, Co. Disposable cup lid
WO2018058192A1 (en) * 2016-09-28 2018-04-05 Tailored Packaging Pty Ltd Cup
TW201832940A (zh) * 2016-11-30 2018-09-16 美商Lbp製造有限公司 隔熱積層以及用於製造該隔熱積層的方法
FR3071190B1 (fr) * 2017-09-19 2021-02-19 C E E Cie Europeenne Des Emballages Robert Schisler Procede de fabrication de gobelets en carton recouvert de vernis biodegradable et gobelet fabrique selon le procede
US20190367250A1 (en) * 2017-12-29 2019-12-05 Jeff Slusarski Bimaterial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
US20190315555A1 (en) 2018-04-13 2019-10-17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Container With Insulating Features
US11945641B2 (en) 2018-04-13 2024-04-02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Container with insulating features
RU199327U1 (ru) * 2018-12-12 2020-08-28 Юлия Александровна Антаненко Термочехол для стакана
US11760529B2 (en) 2019-04-05 2023-09-19 Huhtamaki, Inc. Container and bottom end construction therefor
US11008130B1 (en) 2019-10-08 2021-05-18 Rosalio Nasianceno Multi-layer recyclable cup
EP4273319A3 (en) 2019-10-21 2023-12-27 Lavazza Professional UK Limited Paper cup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102379686B1 (ko) * 2021-12-16 2022-03-28 이상규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Family Cites Families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4498A (en) * 1874-08-25 Improvement in packing for bottles
US411096A (en) * 1889-09-17 Shipping-can for perishable articles
US1284728A (en) * 1911-02-20 1918-11-12 Individual Drinking Cup Company Cup.
US1091526A (en) * 1912-05-23 1914-03-31 Henry A Vreeland Grease-proof paper vessel.
US1158581A (en) * 1913-09-26 1915-11-02 George William Swift Jr Paper receptacle.
US1098178A (en) * 1914-01-12 1914-05-26 Blue Peter Cigarette Co Cigarette-container.
US1208483A (en) * 1916-06-28 1916-12-12 Fremont Bartlett Chesbrough Cup.
US1297152A (en) * 1916-08-14 1919-03-11 Fay S Hackney Insulated or non-conducting container.
US1334302A (en) * 1918-03-25 1920-03-23 Q Brien Hicks Iceless Containe Heat-insulating container
US1771765A (en) * 1925-01-24 1930-07-29 Kalix Cup Company Waterproof paper receptacle
US1665033A (en) * 1926-04-30 1928-04-03 Soren K Jensen Insulated container
US1850013A (en) * 1930-12-17 1932-03-15 Iowa Can Company Insulating package
US2051076A (en) * 1935-02-01 1936-08-18 Johns Manville Method of making thermal insulation
US2155487A (en) * 1936-11-07 1939-04-25 Fibre Can Dev Corp Paper can body
US2266828A (en) * 1939-01-05 1941-12-23 Milwaukee Lace Paper Company Paper cup
US2457198A (en) * 1945-10-22 1948-12-28 Morbell Products Corp Container and blank therefor
US2444861A (en) * 1945-11-09 1948-07-06 Hood & Sons Inc H P Frozen-food container
US2563352A (en) * 1946-04-05 1951-08-07 Malcolm W Morse Insulated cup
US2512602A (en) * 1947-02-19 1950-06-27 Morris Paper Mills Container
US2591578A (en) * 1947-12-20 1952-04-01 Raymond W Mcnealy Insulated container
GB649299A (en) * 1948-06-11 1951-01-24 Mono Container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ubular boxes and like contai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m
US2661889A (en) * 1948-07-20 1953-12-08 Delbert E Phinney Thermal coffee cup
US2830005A (en) * 1956-02-29 1958-04-08 Riegel Paper Corp Patterned laminated paper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917215A (en) * 1956-03-15 1959-12-15 Leon A Psaty Article of manufacture
US2828903A (en) * 1956-05-11 1958-04-01 Aubyn L Adkins Disposable heat insulated container for liquids or solids
US2954913A (en) * 1957-07-19 1960-10-04 Norton L Rossman Insulating container
US3001683A (en) * 1959-01-23 1961-09-26 American Seal Kap Corp Paper container
US3079027A (en) * 1959-12-10 1963-02-26 Illinois Tool Works Double walled nestable plastic container
US3194468A (en) * 1962-06-11 1965-07-13 Somerville Ind Ltd Plastic drinking cups
US3242829A (en) * 1963-11-07 1966-03-29 American Can Co Container
GB1167861A (en) * 1965-03-16 1969-10-22 Mono Containers Ltd Double-Walled Container.
US3410473A (en) * 1966-08-22 1968-11-12 Robert M. Petrie Corrugated bodies and method of forming same
GB1101889A (en) * 1966-12-16 1968-01-31 Martin Ferrey Ltd Containers made of corrugated fibrous sheet material
CH453874A (de) * 1967-02-28 1968-03-31 Impraegnieranstalt Ag Zofingen Mehrschichtiges konisches Papierbehältnis
US3456860A (en) * 1968-01-09 1969-07-22 Illinois Tool Works Double wall cup
US3443715A (en) * 1968-01-18 1969-05-13 Illinois Tool Works Double wall container
GB1366310A (en) * 1971-11-09 1974-09-11 Drg Packaging Ltd Heat insulating means for containers or holders
JPS4987479U (ko) * 1972-11-15 1974-07-29
US4398650A (en) * 1978-12-08 1983-08-16 International Paper Company Energy absorbing corrugated paper container
US4347934A (en) * 1978-12-28 1982-09-07 Consolidated Foods Corporation Corrugated container
US4261501A (en) * 1979-10-31 1981-04-14 Hallmark Cards Incorporated Laminated insulated hot drink cup
NL8204604A (nl) * 1982-11-26 1984-06-18 Wavin Bv Kunststofmateriaal.
SE453979B (sv) * 1986-07-04 1988-03-21 Tetra Pak Ab Forpackningslaminat av pappersskikt och plastskikt forsett med ett genom elektronbestralning herdbart fergskikt, laminatets anvendning till behallare samt av laminatet tillverkad behallare
US4836400A (en) * 1988-05-13 1989-06-06 Chaffey Wayne P Caulking method for forming a leak free cup
CH676352A5 (ko) * 1988-11-29 1991-01-15 Sandherr Packungen Ag
US4993580A (en) * 1990-04-16 1991-02-19 Smith Glen R Insulated beverage container
US5102036A (en) * 1990-06-19 1992-04-07 Orr Joseph A Formable reusable enclosure
US5092485A (en) * 1991-03-08 1992-03-03 King Car Food Industrial Co., Ltd. Thermos paper cup
US5226585A (en) * 1991-11-19 1993-07-13 Sherwood Tool, Inc. Disposable biodegradable insulated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US5145107A (en) * 1991-12-10 1992-09-08 International Paper Company Insulated paper cup
US5454484A (en) * 1992-02-28 1995-10-03 Sleevco Paper cup insulation
US5205473A (en) * 1992-03-19 1993-04-27 Design By Us Company Recyclable corrugated beverage container and holder
US5256131A (en) * 1992-08-17 1993-10-26 Practical Products, Inc. Beverage cooling wrap method of manufacture
US5259529A (en) * 1992-12-10 1993-11-09 Coalewrap Company Collapsible insulated receptacle for beverage containers
US5542559A (en) * 1993-02-16 1996-08-06 Tokyo Electron Kabushiki Kaisha Plasma treatment apparatus
US5415339A (en) * 1993-04-21 1995-05-16 Howard; Jeremy C. Drinking cup with open ribbed sidewall
US5326019A (en) * 1993-05-03 1994-07-05 Wolff Steven K Double walled paper cup
US5425497A (en) * 1993-11-09 1995-06-20 Sorensen; Jay Cup holder
US5363982A (en) * 1994-03-07 1994-11-15 Sadlier Claus E Multi-layered insulated cup formed of one continuous sheet
US5460323A (en) * 1995-01-10 1995-10-24 California Environmental Cup, Inc. Disposable insulated container
US5547124A (en) * 1995-07-18 1996-08-20 Michael Hoerauf Maschinenfabrik Gmbh & Co. Kg Heat insulating container
US5660326A (en) * 1995-08-18 1997-08-26 Sherwood Tool Incorporated Multi-layered insulated cup formed from folded sheet
US5766709A (en) * 1996-02-23 1998-06-16 James River Corporation Of Virginia Insulated stock material and containe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5857615A (en) * 1997-01-13 1999-01-12 New Dimensions Folding Carton, Inc. Container hol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656B1 (ko) * 2002-02-02 2004-09-04 김성일 회전식 컵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60326A (en) 1997-08-26
EP0885145A4 (en) 2000-12-06
EP0885145A1 (en) 1998-12-23
WO1997007030A1 (en) 1997-02-27
ATE253502T1 (de) 2003-11-15
CA2228749C (en) 2001-10-09
CN1314290A (zh) 2001-09-26
AU6694696A (en) 1997-03-12
KR100332397B1 (ko) 2002-09-27
DK0885145T3 (da) 2004-03-15
CN1085173C (zh) 2002-05-22
JP3320736B2 (ja) 2002-09-03
US5697550A (en) 1997-12-16
US5964400A (en) 1999-10-12
EP0885145B1 (en) 2003-11-05
AU701229B2 (en) 1999-01-21
CN1199373A (zh) 1998-11-18
DE69630617D1 (de) 2003-12-11
DE69630617T2 (de) 2004-09-23
JP2000505399A (ja) 2000-05-09
ES2206587T3 (es) 2004-05-16
CA2228749A1 (en) 199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2397B1 (ko) 주름진쉬이트로형성된다층절연컵
USRE35830E (en) Multi-layered insulated cup formed of one continuous sheet
CA2244689C (en) Container with corrugated wall
US6039682A (en) Containers formed of a composite paperboard web and methods of forming
US8960528B2 (en) Insulating cup wrapper and insulated container formed with wrapper
US6378766B2 (en) Insulated cup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729534B2 (en) Blank for a disposable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
US3908523A (en) Method of making liquid-tight cup
US8708880B2 (en) Three-layered containe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050236468A1 (en) Insulating cup wrapper and insulated container formed with wrapper
US20080041860A1 (en) Three-layered containe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A2739528C (en) Three-layered containe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0816458B1 (ko) 전자 레인지 대응 종이컵 및 그 제조 방법
JPS63500164A (ja) コップのリム及び成形方法
JP2003146348A (ja) 角形蓋材の製造法
JPS63218340A (ja) 複合缶用缶胴の製造方法
JPH11349065A (ja) 紙製断熱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