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686B1 -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 Google Patents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686B1
KR102379686B1 KR1020210180751A KR20210180751A KR102379686B1 KR 102379686 B1 KR102379686 B1 KR 102379686B1 KR 1020210180751 A KR1020210180751 A KR 1020210180751A KR 20210180751 A KR20210180751 A KR 20210180751A KR 102379686 B1 KR102379686 B1 KR 102379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cup
sheet
couple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이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규 filed Critical 이상규
Priority to KR1020210180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686B1/ko
Priority to KR1020220035564A priority patent/KR20230092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686B1/ko
Priority to PCT/KR2022/020449 priority patent/WO202311349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with double walls; with walls incorporating air-chambers; with walls made of 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onical or frusto-co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8Other details of walls

Abstract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를 제공한다.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는 내측면부와 상기 내측면부의 하단에 결합된 내밑면부 내부 공간에 음료를 수용하는 내측컵, 상기 내측면부의 일단변에 연결된 연결면부, 및 상기 연결면부의 일단변에 연결되고, 상기 내측면부가 구성하는 면과 이격되어 상기 내측면부의 외부를 감싸는 외측면부와 상기 외측면부 하단에 결합된 외밑면부를 포함하는 외측컵으로 구성된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로서, 상기 전개시트는 외측면부, 상기 외측면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외밑면부, 상기 외측면부의 일단변에 연결된 연결면부, 상기 연결면부의 일단변에 연결된 내측면부, 및 상기 내측면부 하단에 결합된 내밑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면부의 높이는 이와 연결되는 외측면부의 높이보다 짧으며, 상기 내측면부의 높이는 상기 외측면부의 높이보다 짧고, 상기 내측면부의 하단은 상기 외측면부의 하단 보다 높으며, 상기 전개시트는 단일의 시트(Sheet)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CUP OF DUAL STRUCTURE AND PLANAR FIGURE SHEET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부에 음료를 따라 마시기 위한 컵에 관한 것으로 이중 구조를 가진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은 내부에 음료를 따라 수용하고 내부에 수용된 음료나 물 등을 이용자가 섭취하거나 마시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이중 음식이나 음료, 커피 등을 판매하는 매장에서는 보관, 관리 및 폐기의 용이성 때문에 일회용 종이컵을 많이 활용하고 있는데, 종이 재질의 특성상 음료를 컵에 따르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금방 눅눅해지거나, 종이가 젖어 장시간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음료가 직접 닿는 내측 부분에 특수한 처리를 하여 보다 오랜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음료로 용출되는 문제가 있거나, 별도의 처리과정을 거쳐야 하여 컵의 생산단가가 비싸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음료를 섭취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종이컵을 손으로 파지하여야 하는데, 시간이 지나 이미 젖어버리거나 눅눅해진 종이컵의 형상이 무너지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뜨거운 음료를 종이컵에 따르는 경우 내부 음료나 커피의 뜨거운 온도가 종이컵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손에 대부분이 그대로 전달되어 이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이컵을 이용하여 장시간 뜨거운 음료나 차가운 음료를 섭취하는 사람들의 경우 종이컵 내부의 음료의 열이 외부로 쉽게 빠져나와 뜨거운 음료가 금세 식어버리거나 차가운 음료 내부로 열이 쉽게 유입되어 차가운 음료가 금세 따뜻해지거나 미지근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음료를 컵에 따른 후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도 사용자가 컵을 쉽게 파지할 수 있고, 컵의 형상이 무너지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내부에 수용된 음료를 최대한으로 뜨겁거나 차갑게 보관하도록 할 수 있는 일회용 컵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8172호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료를 따라 마시기 위한 일회용 컵에 있어서, 음료를 컵에 따른 후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도 컵이 젖어 손으로 파지하기 힘든 것을 방지하면서 쉽게 컵을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내측에 배치된 컵이 젖더라도 컵을 파지할때에 컵의 형상이 무너지지 않도록 하는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뜨겁거나 차가운 음료를 장시간 보관하더라도 외부와의 열 이동을 최소화하여 쉽게 뜨거운 음료가 식지 않거나 쉽게 차가운 음료가 미지근해지지 않도록 하며, 손으로 전달되는 열량을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컵을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내측에 배치된 내측컵이 음료를 따른 후에도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한 일회용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함에 있어,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생산이 용이하도록 하는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는 내측면부와 상기 내측면부의 하단에 결합된 내밑면부 내부 공간에 음료를 수용하는 내측컵, 상기 내측면부의 일단변에 연결된 연결면부, 및 상기 연결면부의 일단변에 연결되고, 상기 내측면부가 구성하는 면과 이격되어 상기 내측면부의 외부를 감싸는 외측면부와 상기 외측면부 하단에 결합된 외밑면부를 포함하는 외측컵으로 구성된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로서, 상기 전개시트는 외측면부, 상기 외측면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외밑면부, 상기 외측면부의 일단변에 연결된 연결면부, 상기 연결면부의 일단변에 연결된 내측면부, 및 상기 내측면부 하단에 결합된 내밑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면부의 높이는 이와 연결되는 외측면부의 높이보다 짧으며, 상기 내측면부의 높이는 상기 외측면부의 높이보다 짧고, 상기 내측면부의 하단은 상기 외측면부의 하단 보다 높으며, 상기 전개시트는 단일의 시트(Sheet)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면부는 평면 형상이 사각형의 형상이고, 상기 외측면부는 평면 내에서 n개(n은 2이상의 자연수)의 복수개의 외측면부 접이선이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외밑면부는 평면 형상이 다각형 형상으로 n+1개의 변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면부는 평면 형상이 사각형의 형상이고, 상기 내측면부는 평면 내에서 n개(n은 2이상의 자연수)의 복수개의 내측면부 접이선이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상기 내밑면부는 평면 형상이 다각형 형상으로 n+1개의 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면부는 하단부의 변과 상단부 변이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곡선의 형상이며, 상단부 변의 길이가 하단부 변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내측면부는 하단부의 변과 상단부 변이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곡선의 형상이며, 상단부 변의 길이가 하단부 변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외밑면부 및 상기 내밑면부는 평면 형상이 원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면부는 평면 상에서 하나의 절개선으로 연장되어 구성되고, 외측 방향에서 중심부분을 향하여 형성되며, 절개선이 동일 선상을 지나도록 중첩되어 배치되되 동일한 위치를 지나지 않도록 형성된 외측면 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면 파지부는 상기 외측면부의 평면 상에서 적어도 2개 이상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면부는 평면 상에서 하나의 절개선이 연장되고 형성되며 시작점에서 제 1방향으로 향하고, 다시 상기 제 1방향에 수직한 제 2방향으로 절곡되고 연장되어 향하고, 다시 상기 제 2방향에 수직하되 상기 제 1방향에 평행하게 제 3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향하되 상기 시작점과 동일한 선상에서 마무리되는 외측면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면 보조지지부는 상기 외측면부의 평면 상에서 적어도 2개 이상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면부의 상단에 결합된 제 1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덮개부의 원주는 상기 외측면부 상단의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밑면부는 평면 상에서 하나의 절개선이 연장되고 형성되며 시작점에서 제 4방향으로 향하고, 다시 상기 제 4방향에 수직한 제 5방향으로 절곡되고 연장되어 향하고, 다시 상기 제 5방향에 수직하되 상기 제 4방향에 평행하게 제 6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향하되 상기 시작점과 동일한 선상에서 마무리되는 외밑면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면부의 일단변에 연결되는 빨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빨대부는 상단에서 상기 내측면부와 연결되는 내측면부의 일단변의 상단보다 상부로 돌출된 돌출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빨대부의 하단은, 상기 내측면부와 연결되는 내측면부의 일단변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거나, 상기 내측면부와 연결되는 내측면부의 일단변의 하단과 동일선상에 형성되되, 상부를 향하여 함몰되어 빈 공간으로 형성된 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면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관통된 영역인 관통부를 포함하는 보조커버부, 및 상기 보조커버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 2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커버부의 외측 테두리 둘레는 상기 외측면부의 상단변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관통부를 구획하는 내측 테두리는 상기 내측면부의 상단변의 길이와 동일하며, 상기 보조커버부와 상기 제 2덮개부 사이에 위치하는 접이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2덮개부가 접힐 경우 상기 제 2덮개부는 상기 보조커버부의 모든 영역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면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관통된 영역인 관통부를 포함하는 보조커버부, 및 상기 보조커버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 2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커버부의 외측 테두리 둘레는 상기 외측면부의 상단변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관통부를 구획하는 내측 테두리는 상기 내측면부의 상단변의 길이와 동일하며, 상기 보조커버부와 상기 제 2덮개부 사이에 위치하는 접이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2덮개부가 접힐 경우 상기 제 2덮개부는 상기 보조커버부의 모든 영역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커버부는 외측 테두리 둘레를 따라 돌출하여 형성된 외측 접합부, 및 내측 테두리 둘레를 따라 돌출하여 형성된 내측 접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 접합부 및 내측 접합부는 복수개의 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컵은 내측면부에 의해 둘러싸이고, 하단이 내밑면부에 의해 밀폐되어 내부에 음료를 수용하도록 빈 공간이 형성된 내측컵, 상기 내측컵의 상기 내측면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내측컵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면부, 및 상기 연결면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내측면부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는 외측면부와, 상기 외측면부의 하단을 밀폐하고, 상기 내밑면부의 하단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외밑면부를 포함하는 외측컵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면부의 높이는 이와 연결되는 외측면부의 높이보다 짧으며, 상기 내측면부의 높이는 상기 외측면부의 높이보다 짧고, 상기 내측면부의 하단은 상기 외측면부의 하단 보다 높으며, 단일의 시트(sheet)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면부는 면 상에서 하나의 절개선으로 연장되어 구성되고, 외측 방향에서 중심부분을 향하여 형성되며, 절개선이 동일 수평선상을 지나도록 중첩되어 배치되되 동일한 위치를 지나지 않도록 형성된 외측면 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면 파지부는 상기 외측면부의 면 상에서 적어도 2개 이상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외측면 파지부를 파지할 경우 상기 외측면 파지부는 상기 내측면부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면부의 면상에 하나의 절개선에 의해 형성되며, 시작점에서 제 1방향으로 향하고, 다시 상기 제 1방향에 수직한 제 2방향으로 절곡되고 연장되어 향하고, 다시 상기 제 2방향에 수직하되 상기 제 1방향에 평행하게 제 3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향하되 상기 시작점과 동일한 선상에서 마무리되는 외측면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면 보조지지부는 외측면부의 면 상에서 적어도 2개 이상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외측면 보조지지부는 상기 내측면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내측면부의 일부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밑면부는 면 상에서 하나의 절개선이 연장되고 형성되며 시작점에서 제 4방향으로 향하고, 다시 상기 제 4방향에 수직한 제 5방향으로 절곡되고 연장되어 향하고, 다시 상기 제 5방향에 수직하되 상기 제 4방향에 평행하게 제 6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향하되 상기 시작점과 동일한 선상에서 마무리되는 외밑면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밑면 보조지지부는 절곡되어 상기 내밑면부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면부의 일단변에 연결되어 상기 내측컵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측이 상기 내측컵 상단의 상부로 돌출하는 빨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빨대부의 하단은, 상기 내밑면부의 상부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거나, 상기 내밑면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함몰되어 빈 공간으로 형성된 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면부의 상단의 일부에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외측컵의 개방된 상단면을 모두 커버하는 제 1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덮개부는 상기 외측면부와 결합되는 부분의 경계에서 접힘으로써, 상기 외측컵의 개방된 상단면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면부의 상단과 상기 내측면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외측컵과 상기 내측컵 상단의 이격된 공간을 외부와 밀폐하는 보조커버부, 및 상기 보조커버부의 일단에 결합되되 상기 외측면부의 상단부분에서 결합되는 제 2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덮개부는 상기 보조커버부와 결합되는 부분의 결계에서 접힘으로써, 상기 보조커버부 및 상기 내측컵의 개방된 상단면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는 음료를 컵에 따른 후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도 컵이 젖어 손으로 파지하기 힘든 것을 방지하여 쉽게 컵을 파지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내측에 배치된 컵이 젖더라도 컵을 파지할때에 컵의 형상이 무너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내측에 배치된 내측컵이 음료를 따른 후에도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뜨겁거나 차가운 음료를 장시간 보관하더라도 외부와의 열 이동을 최소화하여 쉽게 뜨거운 음료가 식지 않거나 쉽게 차가운 음료가 미지근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컵을 잡은 사람의 손으로 전달되는 열량을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컵을 쉽게 파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일시트에 의해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생산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의 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의 컵을 아래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의 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의 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1 및 12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의 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의 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면"은 공간적으로 일 방향으로의 면을 의미하고, "타면"은 공간적으로 상기 "일면"과는 반대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들 또한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비록 제 1, 제 2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이하에서 설명할 전개시트의 도면들 중 점선으로 표기된 사항들은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접이선 또는 접기 용이하도록 다른 영역들에 비해 두께가 얇은(즉, 일부 함몰된) 선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 1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의 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1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의 컵을 아래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는 내측면부(300)와 상기 내측면부(300)의 하단에 결합된 내밑면부(350) 내부 공간에 음료를 수용하는 내측컵, 상기 내측면부(300)의 일단변에 연결된 연결면부(200), 및 상기 연결면부(200)의 일단변에 연결되고, 상기 내측면부(300)가 구성하는 면과 이격되어 상기 내측면부(300)의 외부를 감싸는 외측면부(100)와 상기 외측면부(100) 하단에 결합된 외밑면부(150)를 포함하는 외측컵으로 구성된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로서, 상기 전개시트는 외측면부(100), 상기 외측면부(100)의 하단에 결합되는 외밑면부(150), 상기 외측면부(100)의 일단변에 연결된 연결면부(200), 상기 연결면부(200)의 일단변에 연결된 내측면부(300), 및 상기 내측면부(300) 하단에 결합된 내밑면부(3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면부(200)의 높이는 이와 연결되는 외측면부(100)의 높이보다 짧으며, 상기 내측면부(300)의 높이는 상기 외측면부(100)의 높이보다 짧고, 상기 내측면부(300)의 하단은 상기 외측면부(100)의 하단 보다 높으며, 상기 전개시트는 단일의 시트(Sheet)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면부(300)는 일단과 타단이 말려 내측면부의 접합부(310)에 의해 결합(접합)됨으로써,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하단에 내밑면부(350)가 내밑면부의 접합부(320)에 의해 내측면부(300)의 하단 둘레를 따라 결합(접합)됨으로써, 하단부가 막히고 상단부가 개방된 형태의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된 내측컵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외측면부(100)는 상기 내측면부(300)와 동일한 방식으로 외측면우(100) 일단과 타단이 말려 외측면부의 접합부(110)에 의해 결합(접합)됨으로써,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하단에 외밑면부(150)가 외밑면부의 접합부(120)에 의해 내측면부(100)의 하단 둘레를 따라 결합(접합)됨으로써, 하단부가 막히고 상단부가 개방된 형태의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된 외측컵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내측면부(300)와 내밑면부(350) 및 기타 접합부의 구성들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컵은 상기 외측면부(100)와 외밑면부(150) 및 기타 접합부의 구성들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컵에 둘러싸인 형태로 배치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외측컵과 상기 내측컵은 일단에서 연결면부(20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내측면부(100)가 외측면부(20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결합됨으로써, 내측컵이 외측컵 보다 상단에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면부(100)의 폭을 동일 선상에서의 외측면부(300)의 폭보다 짧게 하여 조립되는 내측컵이 외측컵의 내측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동일선상에서 상기 외측면부(300)의 폭이 상기 내측면부(100) 및 연결면부(200)의 폭의 합과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되면, 내측면부(300)는 서로 일단변과 타단변이 결합되어 측면 부분을 외부와 차단하고, 하단에서는 내밑면부(350)가 결합되어 하단부분을 외부와 차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내측컵을 형성하게 되어 내부에 음료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단부는 음료를 쉽게 따르도록 개방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면부(100)는 서로 일단변과 타단변이 결합되어 측면 부분을 외부와 차단하게 되고, 하단에서는 외밑면부(150)가 결합되어 하단부분을 외부와 차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외측컵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내측컵을 형성하는 내측면부(300)와 외측컵을 형성하는 외측면부(100)는 각각의 일단변과 타단변이 이들 사이에 배치된 연결면부(200)의 각 타단변과 일단변에 결합되며, 연결면부(200)에 의해 외측면부(100)는 내측면부(300)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된다. 결국 외측면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컵은 내측면부(300)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컵과 연결면부(200)의 폭 정도만큼 이격된 상태로 내측컵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면부(200)의 높이가 이와 연결되는 외측면부(100)의 높이보다 짧고, 내측면부(300)의 높이가 상기 외측면부(100)의 높이보다 짧으면서, 내측면부(300)의 하단이 상기 외측면부(100)의 하단 보다 높아짐에 의해 외측컵 안쪽에 배치되는 내측컵의 하단부는 외측컵의 하단부에 비해 높게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즉, 내측컵 하단을 구성하는 내밑면부(350)는 외측컵의 하단을 구성하는 외밑면부(150) 보다 이격되어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마치 2개의 닮은꼴의 컵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2중으로 겹쳐진 형태의 이중컵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와 달리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연결면부(200)의 높이를 상기 외측면부(100)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되, 이와 연결되는 내측면부(300)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연결면부(200)의 하단이 외밑면부(350)와 접하여 지지되도록 하면서, 내측컵이 외밑면부(350)의 상단에 떠 있는 형태로 배치하도록 하여 보다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경우 종이컵에 음료를 따른 후 오랜 시간 방치하는 경우 종이가 눅눅해지거나 젖어서 손으로 컵을 들어 음료를 섭취하기 어렵거나 종이컵의 형상이 무너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뜨거운 음료를 종이컵에 따르거나 차가운 음료를 종이컵에 따르는 경우 사용자의 손에 내부 음료의 열량이나 온도가 실질적으로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연결면부(200)에 의해 내측컵과 외측컵이 연결된 형태로 이중으로 중첩된 구조를 가지는 이중 컵을 조립할 수 있어, 내측컵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에서 전달되는 온도나 열이 사용자의 손에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종이컵을 파지함으로써 전달되는 힘이 내측컵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내측컵이 눅눅해지거나 일부 젖더라도 내측컵의 형상이 무너지거나 음료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경우 상기와 같은 이중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가 단일의 시트(Sheet)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여 종이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어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고, 단일의 전개시트를 사용하여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면서도 공정을 매우 간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외측면부(100)는 평면 형상이 사각형의 형상이고, 상기 외측면부(100)는 평면 내에서 n개(n은 2이상의 자연수)의 복수개의 외측면부(100) 접이선이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외밑면부(150)는 평면 형상이 다각형 형상으로 n+1개의 변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면부(300)는 평면 형상이 사각형의 형상이고, 상기 내측면부(300)는 평면 내에서 n개(n은 2이상의 자연수)의 복수개의 내측면부(300) 접이선이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상기 내밑면부(350)는 평면 형상이 다각형 형상으로 n+1개의 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n=4인 경우 외측면부(100)의 평면 내에서 는 4개의 접이선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5개의 면으로 나뉘게 되며, 외밑면부는 4+1로 5개의 변으로 구성된 오각형의 형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면부는 오각형의 외밑면부의 각 변을 감싸면서 외측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측면부의 예시와 같이 내측면부도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형성된 내측컵과 외측컵은 서로 닮은 꼴의 형상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혹은 기호에 따라 내측컵과 외측컵의 형상을 서로 달리하면서 내측컵과 외측컵이 충분이 이격되도록 연결면부의 폭을 조절하면서 전개시트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상기 외측면부(100)는 하단부의 변과 상단부 변이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곡선의 형상이며, 상단부 변의 길이가 하단부 변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내측면부(300)는 하단부의 변과 상단부 변이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곡선의 형상이며, 상단부 변의 길이가 하단부 변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외밑면부(150) 및 상기 내밑면부(350)는 평면 형상이 원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면부(300)의 하단이 내밑면부(350)에 의해 밀폐되도록 둘러싸고, 외측면부(100)의 하단이 외밑면부(150)의 하단에 의해 밀폐되도록 둘러싸 단면 형상이 원형의 형상인 이중 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외측면부(100)는 하단부의 변과 상단부 변이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곡선의 형상이며, 상단부 변의 길이가 하단부 변의 길이보다 길게 하고, 상기 내측면부(300)는 하단부의 변과 상단부 변이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곡선의 형상이며, 상단부 변의 길이가 하단부 변의 길이보다 길게 함으로써,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이중 컵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면부(300)와 외측면부(10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형성하는 곡률을 조절함으로써, 전개시트를 조립한 후 하단부와 상단부가 평평한 형태의 이중 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4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의 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상기 외측면부(100)는 평면 상에서 하나의 절개선으로 연장되어 구성되고, 외측 방향에서 중심부분을 향하여 형성되며, 절개선이 동일 선상을 지나도록 중첩되어 배치되되 동일한 위치를 지나지 않도록 형성된 외측면 파지부(410, 4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면 파지부(410, 420)는 상기 외측면부(100)의 평면 상에서 적어도 2개 이상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외측면 파지부(410, 420)는 외곽에서 시작하여 중심부로 향하는 일종의 회오리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측면 파지부(410, 420)를 양 손가락으로 파지할 경우 외측면 파지부(410, 420)가 외측면부(100)에서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내측컵을 형성하는 내측면부(100)로 향하여 접함으로써, 음료가 수용된 내측컵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외측면 파지부(410, 420)에 의해 내측컵에 직접 사용자의 손가락이 닿지 않아 내측컵에서 전달되는 열을 직접적으로 전달받지 않을 수 있고, 젖은 내측컵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외측면 파지부(410, 420)는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될 경우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상기 외측면 파지부(410, 420)가 도 4 및 도 5와 같이 2개로 구성될 경우, 외측면 파지부(410, 420)간의 간격(P1)은 일 외측면 파지부(420)와 이와 인접하는 외측면부(100)의 일단의 간격(P3) 및 타 외측면 파지부(410)와 이와 인접하는 외측면부(100)의 타단의 간격(P2)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외측면 파지부는 복수개로 형성되면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파지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도 6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의 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상기 외측면부(100)는 평면 상에서 하나의 절개선이 연장되고 형성되며 시작점에서 제 1방향으로 향하고, 다시 상기 제 1방향에 수직한 제 2방향으로 절곡되고 연장되어 향하고, 다시 상기 제 2방향에 수직하되 상기 제 1방향에 평행하게 제 3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향하되 상기 시작점과 동일한 선상에서 마무리되는 외측면 보조지지부(510, 5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면 보조지지부(510, 520)는 상기 외측면부(100)의 평면 상에서 적어도 2개 이상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외측면 보조지지부(510, 520)는 외측면부(100)에서 일종의 ㄷ자 형태로 형성된 절개부일 수 있다. 상기 전개도가 조립된 후 이중 컵을 구성할 경우 내측컵에 수용된 음료에 의해 가해진 무게에 의해 내측컵이 움직일 수 있는데, 상기 외측면 보조지지부(510, 520)를 접어 안쪽의 내측컵에 접하도록 하여 내측컵을 지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내측컵이 이동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외측면 보조지지부(510, 520)는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될 경우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상기 외측면 보조지지부(510, 520)가 도 6 및 도 7과와 같이 2개로 구성될 경우, 외측면 보조지지부(510, 520)간의 간격(P4)은 일 외측면 보조지지부(520)와 이와 인접하는 외측면부(100)의 일단의 간격(P6) 및 타 외측면 보조지지부(510)와 이와 인접하는 외측면부(100)의 타단의 간격(P5)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외측면 보조지지부는 복수개로 형성되면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여러 방향에서 내측컵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외측면부(100)의 상단에 결합된 제 1덮개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덮개부(600)는 외측면부(100)와의 경계에서 접이선에 의해 구획될 수 있고, 접이선을 기준으로 접을 경우 내측컵의 상단에 개방된 부분 혹은 내측컵과 외측컵 상단의 개방된 부분 모두를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컵에 수용된 음료의 열이 빠르게 외부로 방출되는 것(뜨거운 음료)을 방지하고, 내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차가운 음료)을 방지하여 적정한 음료의 온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덮개부(600)는 외측컵의 상단에 개방된 부분을 모두 커버하기 위해 상기 제 1덮개부(600)의 원주는 상기 외측면부(100) 상단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1덮개부(600)는 내측컵의 상단에 개방된 부분만을 커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내측면부(300) 상단의 길이와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외밑면부(150)는 평면 상에서 하나의 절개선이 연장되고 형성되며 시작점에서 제 4방향으로 향하고, 다시 상기 제 4방향에 수직한 제 5방향으로 절곡되고 연장되어 향하고, 다시 상기 제 5방향에 수직하되 상기 제 4방향에 평행하게 제 6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향하되 상기 시작점과 동일한 선상에서 마무리되는 외밑면 보조지지부(15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외밑면 보조지지부(155)는 상기 외측면 보조지지부(510, 520)와 동일한 형태로 마치 ㄷ자 형태로 형성된 절개부일 수 있고, 외밑면 보조지지부(155)를 안쪽으로 접어 내측컵의 내밑면부(350)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내측컵의 음료에 의해 가해지는 무게를 외밑면 보조지지부(155)가 지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내측컵이 지지되고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외밑면 보조지지부(155)는 필요에 따라 서로 이격되어 2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전개시트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개시트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외측면부(100)는 α의 각도를 가지고 반지름이 R+K인 가상의 부채꼴 형상에서 α의 각도를 가지고 반지름이 R인 부채꼴이 제거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밑면부(150)의 반지름(r)은 R x α / 360의 수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면부(300)는 상기 외측면부(100)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α 각도를 가지는 부채꼴의 형상에서 특정 방향으로 평행이동한 형태에서 중심부에 일부 부채꼴 형상이 제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여러 수치들은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를 한 것이며, 사용자가 원하는 컵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각각의 수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는 도 11 및 12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의 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11 및 13을 참조하면, 상기 내측면부(300)의 일단변에 연결되는 빨대부(7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빨대부(700)는 상단에서 상기 내측면부(300)와 연결되는 내측면부(300)의 일단변의 상단보다 상부로 돌출된 돌출영역(7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빨대부(700)는 외측면부(100), 내측면부(300)와 동일한 방식으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상태로 말려져 내측컵에 존재하는 음료를 사용자가 입으로 빨아서 섭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빨대부(700)는 상단에서 상기 내측면부(300)와 연결되는 내측면부(300)의 일단변의 상단보다 상부로 돌출된 돌출영역(710)을 포함하며, 돌출 영역(710)에 의해 사용자가 입으로 음료를 흡입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빨대부(700)의 하단은, 상기 내측면부(300)와 연결되는 내측면부(300)의 일단변의 하단보다 일정 높이(K1)로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컵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빨대부(700)의 하단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빨대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상기 빨대부(701)의 하단은, 상기 내측면부(300)와 연결되는 내측면부(300)의 일단변의 하단과 동일선상에 형성되되, 상부를 향하여 함몰되어 빈 공간으로 형성된 흡입부(7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흡입부(721)를 통해 내측컵의 음료가 빨대부(701)로 유입되며, 돌출영역(711)을 통해 사용자가 음료를 흡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도 11 및 12의 상기 빨대부(700, 701)는 상기 내측면부(300)의 상단과 이를 넘어서는 돌출영역(710, 711) 간의 사이를 구분하는 접이선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개시트가 조립된 이후, 상기 빨대부(700, 701)를 상기 접이선을 기준으로 접은 뒤 사용할 때에만 펼쳐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외측면부(100)의 상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관통된 영역인 관통부를 포함하는 보조커버부(800), 및 상기 보조커버부(800)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 2덮개부(9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커버부(800)의 외측 테두리 둘레는 상기 외측면부(100)의 상단변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관통부를 구획하는 내측 테두리는 상기 내측면부(300)의 상단변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보조커버부(800)는 상기 외측면부(100)가 형성하는 외측컵의 상단의 개방된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고, 이에 더하여 내측면부(300)가 형성하는 내측컵의 상단에 개방된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어 외측컵과 내측컵 사이의 상단부 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면서 동시에 외측컵과 내측컵이 적절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커버부(800)의 관통부를 통해 내측컵에 수용된 음료를 사용자가 섭취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부가 형성하는 평면 단면은 상기 내측컵의 상단부에 형성된 개방된 영역의 단면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커버부(800)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 2덮개부(900)에 의해 내측컵의 상단에 개방된 부분을 외부와 차단하거나 개방하여 음료 섭취가 용이하면서도 외부로 열이 방출되거나(뜨거운 음료), 내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차가운 음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커버부(800)와 상기 제 2덮개부(900) 사이에 위치하는 접이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2덮개부(900)가 접힐 경우 상기 제 2덮개부(900)는 상기 보조커버부(800)의 모든 영역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6에는 도 15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의 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 및 16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커버부(800)는 외측 테두리 둘레를 따라 돌출하여 형성된 외측 접합부(820) 및 내측 테두리 둘레를 따라 돌출하여 형성된 내측 접합부(8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 접합부(820) 및 내측 접합부(810)는 복수개의 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접합부(810)는 상기 내측면부(300)에 결합되어 내측컵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외측 접합부(820)는 상기 외측면부(100)에 결합되어 외측컵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도 14 및 15의 상기 빨대부(700, 701)는 상기 내측면부(300)의 상단과 이를 넘어서는 돌출영역(710, 711) 간의 사이를 구분하는 접이선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개시트가 조립된 이후, 상기 빨대부(700, 701)를 상기 접이선을 기준으로 접은 뒤 제 2덮개부(900)를 덮어 이중컵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빨대부(700, 701)가 외부의 요인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하면서, 사용할 때에만 펼쳐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전개시트를 이용하여 제작된 이중 구조의 컵을 제공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전개시트에 더하여 제작된 이중 구조의 컵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이중 구조의 컵에 대한 설명은 상기에서 설명하였던 도면들의 일부를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중 구조의 컵에 대한 설명 중 상기 전개시트를 통해 설명하였던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일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보관용 팩은 내측면부(300)에 의해 둘러싸이고, 하단이 내밑면부(350)에 의해 밀폐되어 내부에 음료를 수용하도록 빈 공간이 형성된 내측컵, 상기 내측컵의 상기 내측면부(300)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내측컵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면부(200), 및 상기 연결면부(200)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내측면부(300)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는 외측면부(100)와, 상기 외측면부(100)의 하단을 밀폐하고, 상기 내밑면부(350)의 하단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외밑면부(150)를 포함하는 외측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면부(200)의 높이는 이와 연결되는 외측면부(100)의 높이보다 짧으며, 상기 내측면부(300)의 높이는 상기 외측면부(100)의 높이보다 짧고, 상기 내측면부(300)의 하단은 상기 외측면부(100)의 하단 보다 높으며, 단일의 시트(sheet)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전개시트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면부(200)의 높이는 외측면부(100)의 높이와 동일하되, 상기 내측면부(300)의 높이만을 조절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내측면부(300)가 외밑면부(15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내측컵에 음료가 투입되더라도 내측컵이 보다 안정적으로 원래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상기 외측면부(100)는 면 상에서 하나의 절개선으로 연장되어 구성되고, 외측 방향에서 중심부분을 향하여 형성되며, 절개선이 동일 수평선상을 지나도록 중첩되어 배치되되 동일한 위치를 지나지 않도록 형성된 외측면 파지부(410, 4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면 파지부(410, 420)는 상기 외측면부(100)의 면 상에서 적어도 2개 이상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외측면 파지부(410, 420)를 파지할 경우 상기 외측면 파지부(410, 420)는 상기 내측면부(300)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면 파지부(410, 420)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외측면 파지부(410, 420)를 파지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외측컵을 파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상기 외측면부(100)의 면상에 하나의 절개선에 의해 형성되며, 시작점에서 제 1방향으로 향하고, 다시 상기 제 1방향에 수직한 제 2방향으로 절곡되고 연장되어 향하고, 다시 상기 제 2방향에 수직하되 상기 제 1방향에 평행하게 제 3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향하되 상기 시작점과 동일한 선상에서 마무리되는 외측면 보조지지부(510, 5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면 보조지지부(510, 520)는 외측면부(100)의 면 상에서 적어도 2개 이상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외측면 보조지지부(510, 520)는 상기 내측면부(300)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내측면부(300)의 일부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면 보조지지부(510, 520)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외측면 보조지지부(510, 520)에 의해 내측컵이 안정적으로 힘을 분산하여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외측면부(100)의 상단의 일부에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외측컵의 개방된 상단면을 모두 커버하는 제 1덮개부(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덮개부(600)는 상기 외측면부(100)와 결합되는 부분의 경계에서 접힘으로써, 상기 외측컵의 개방된 상단면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외밑면부(150)는 면 상에서 하나의 절개선이 연장되고 형성되며 시작점에서 제 4방향으로 향하고, 다시 상기 제 4방향에 수직한 제 5방향으로 절곡되고 연장되어 향하고, 다시 상기 제 5방향에 수직하되 상기 제 4방향에 평행하게 제 6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향하되 상기 시작점과 동일한 선상에서 마무리되는 외밑면 보조지지부(15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밑면 보조지지부(155)는 절곡되어 상기 내밑면부(350)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면, 상기 내측면부(300)의 일단변에 연결되어 상기 내측컵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측이 상기 내측컵 상단의 상부로 돌출하는 빨대부(7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빨대부(700)의 하단은, 상기 내밑면부(350)의 상부면보다 일정 높이로(K1)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거나, 상기 내밑면부(350)에서 상부를 향하여 함몰되어 빈 공간으로 형성된 흡입부(7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빨대부(700, 701)는 상기 내측면부(300)의 상단과 이를 넘어서는 돌출영역(710, 711) 간의 사이를 구분하는 접이선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중컵에서 상기 빨대부(700, 701)를 상기 접이선을 기준으로 접은 뒤 사용할 때에만 펼쳐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14 내지 16을 참조하면, 상기 외측면부(100)의 상단과 상기 내측면부(3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외측컵과 상기 내측컵 상단의 이격된 공간을 외부와 밀폐하는 보조커버부(800), 및 상기 보조커버부(800)의 일단에 결합되되 상기 외측면부(100)의 상단부분에서 결합되는 제 2덮개부(9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덮개부(900)는 상기 보조커버부(800)와 결합되는 부분의 결계에서 접힘으로써, 상기 보조커버부(800) 및 상기 내측컵의 개방된 상단면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도 14 내지 16의 상기 빨대부(700, 701)는 상기 내측면부(300)의 상단과 이를 넘어서는 돌출영역(710, 711) 간의 사이를 구분하는 접이선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개시트가 조립된 이후, 상기 빨대부(700, 701)를 상기 접이선을 기준으로 접은 뒤 제 2덮개부(900)를 덮어 이중컵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빨대부(700, 701)가 외부의 요인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하면서, 사용할 때에만 펼쳐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빨대부(700, 701)의 돌출영역의 길이는 상기 외측컵의 상단의 테두리를 넘어서지 않도록 하여, 빨대부(700, 701)가 접힌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오염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외측면부
110: 외측면부의 접합부
120: 외밑면부의 접합부
150: 외밑면부
155: 외밑면 보조지지부
200: 연결면부
300: 내측면부
310: 내측면부의 접합부
320: 내밑면부의 접합부
350: 내밑면부
410, 420: 외측면 파지부
510, 520: 외측면 보조지지부
600: 제 1덮개부
610: 제 1덮개연결부
700, 701: 빨대부
710, 711: 빨대부의 돌출영역
721: 빨대부의 흡입부
800: 보조커버부
810: 보조커버부의 내측 접합부
820: 보조커버부의 외측 접합부
850: 보조커버부의 관통부
900: 제 2덮개부
950: 제 2덮개연결부

Claims (20)

  1. 내측면부와 상기 내측면부의 하단에 결합된 내밑면부 내부 공간에 음료를 수용하는 내측컵, 상기 내측면부의 일단변에 연결된 연결면부, 및 상기 연결면부의 일단변에 연결되고, 상기 내측면부가 구성하는 면과 이격되어 상기 내측면부의 외부를 감싸는 외측면부와 상기 외측면부 하단에 결합된 외밑면부를 포함하는 외측컵으로 구성된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로서,
    상기 전개시트는 외측면부; 상기 외측면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외밑면부; 상기 외측면부의 일단변에 연결된 연결면부; 상기 연결면부의 일단변에 연결된 내측면부; 및 상기 내측면부 하단에 결합된 내밑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면부의 높이는 이와 연결되는 외측면부의 높이보다 짧으며, 상기 내측면부의 높이는 상기 외측면부의 높이보다 짧고,
    상기 내측면부의 하단은 상기 외측면부의 하단 보다 높되,
    상기 외측면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관통된 영역인 관통부를 포함하는 보조커버부; 및 상기 보조커버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 2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커버부의 외측 테두리 둘레는 상기 외측면부의 상단변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관통부를 구획하는 내측 테두리는 상기 내측면부의 상단변의 길이와 동일하며,
    상기 보조커버부와 상기 제 2덮개부 사이에 위치하는 접이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2덮개부가 접힐 경우 상기 제 2덮개부는 상기 보조커버부의 모든 영역을 커버하고,
    상기 전개시트는 단일의 시트(Sheet)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부는 평면 형상이 사각형의 형상이고, 상기 외측면부는 평면 내에서 n개(n은 2이상의 자연수)의 복수개의 외측면부 접이선이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외밑면부는 평면 형상이 다각형 형상으로 n+1개의 변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면부는 평면 형상이 사각형의 형상이고, 상기 내측면부는 평면 내에서 n개(n은 2이상의 자연수)의 복수개의 내측면부 접이선이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상기 내밑면부는 평면 형상이 다각형 형상으로 n+1개의 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부는 하단부의 변과 상단부 변이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곡선의 형상이며, 상단부 변의 길이가 하단부 변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내측면부는 하단부의 변과 상단부 변이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곡선의 형상이며, 상단부 변의 길이가 하단부 변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외밑면부 및 상기 내밑면부는 평면 형상이 원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시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부는 외측면 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면 파지부는 상기 외측면부의 평면 상에서 하나의 절개선으로 연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외측면 파지부 자체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에서 중심부분을 향하여 형성되며, 절개선이 동일 선상을 지나도록 중첩되어 배치되되 동일한 위치를 지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측면 파지부는 상기 외측면부의 평면 상에서 적어도 2개 이상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시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부는 평면 상에서 하나의 절개선이 연장되고 형성되며 시작점에서 제 1방향으로 향하고, 다시 상기 제 1방향에 수직한 제 2방향으로 절곡되고 연장되어 향하고, 다시 상기 제 2방향에 수직하되 상기 제 1방향에 평행하게 제 3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향하되 상기 시작점과 동일한 선상에서 마무리되는 외측면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면 보조지지부는 상기 외측면부의 평면 상에서 적어도 2개 이상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시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부의 상단에 결합된 제 1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시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덮개부의 원주는 상기 외측면부 상단의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밑면부는 평면 상에서 하나의 절개선이 연장되고 형성되며 시작점에서 제 4방향으로 향하고, 다시 상기 제 4방향에 수직한 제 5방향으로 절곡되고 연장되어 향하고, 다시 상기 제 5방향에 수직하되 상기 제 4방향에 평행하게 제 6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향하되 상기 시작점과 동일한 선상에서 마무리되는 외밑면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시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부의 일단변에 연결되는 빨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빨대부는 상단에서 상기 내측면부와 연결되는 내측면부의 일단변의 상단보다 상부로 돌출된 돌출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시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부의 하단은,
    상기 내측면부와 연결되는 내측면부의 일단변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거나,
    상기 내측면부와 연결되는 내측면부의 일단변의 하단과 동일선상에 형성되되, 상부를 향하여 함몰되어 빈 공간으로 형성된 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시트.
  11. 내측면부와 상기 내측면부의 하단에 결합된 내밑면부 내부 공간에 음료를 수용하는 내측컵, 상기 내측면부의 일단변에 연결된 연결면부, 및 상기 연결면부의 일단변에 연결되고, 상기 내측면부가 구성하는 면과 이격되어 상기 내측면부의 외부를 감싸는 외측면부와 상기 외측면부 하단에 결합된 외밑면부를 포함하는 외측컵으로 구성된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로서,
    상기 전개시트는 외측면부; 상기 외측면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외밑면부; 상기 외측면부의 일단변에 연결된 연결면부; 상기 연결면부의 일단변에 연결된 내측면부; 및 상기 내측면부 하단에 결합된 내밑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면부의 높이는 이와 연결되는 외측면부의 높이보다 짧으며, 상기 내측면부의 높이는 상기 외측면부의 높이보다 짧고,
    상기 내측면부의 하단은 상기 외측면부의 하단 보다 높으며,
    상기 내측면부의 일단변에 연결되는 빨대부; 상기 외측면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관통된 영역인 관통부를 포함하는 보조커버부; 및 상기 보조커버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 2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빨대부는 상단에서 상기 내측면부와 연결되는 내측면부의 일단변의 상단보다 상부로 돌출된 돌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커버부의 외측 테두리 둘레는 상기 외측면부의 상단변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관통부를 구획하는 내측 테두리는 상기 내측면부의 상단변의 길이와 동일하며,
    상기 보조커버부와 상기 제 2덮개부 사이에 위치하는 접이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2덮개부가 접힐 경우 상기 제 2덮개부는 상기 보조커버부의 모든 영역을 커버하되,
    상기 전개시트는 단일의 시트(Sheet)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시트.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버부는 외측 테두리 둘레를 따라 돌출하여 형성된 외측 접합부; 및 내측 테두리 둘레를 따라 돌출하여 형성된 내측 접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 접합부 및 내측 접합부는 복수개의 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시트.
  14. 내측면부에 의해 둘러싸이고, 하단이 내밑면부에 의해 밀폐되어 내부에 음료를 수용하도록 빈 공간이 형성된 내측컵;
    상기 내측컵의 상기 내측면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내측컵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면부; 및
    상기 연결면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내측면부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는 외측면부와, 상기 외측면부의 하단을 밀폐하고, 상기 내밑면부의 하단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외밑면부를 포함하는 외측컵: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면부의 높이는 이와 연결되는 외측면부의 높이보다 짧으며, 상기 내측면부의 높이는 상기 외측면부의 높이보다 짧고, 상기 내측면부의 하단은 상기 외측면부의 하단 보다 높으며, 단일의 시트(sheet)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외측면부의 상단과 상기 내측면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외측컵과 상기 내측컵 상단의 이격된 공간을 외부와 밀폐하는 보조커버부; 및
    상기 보조커버부의 일단에 결합되되 상기 외측면부의 상단부분에서 결합되는 제 2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덮개부는 상기 보조커버부와 결합되는 부분의 결계에서 접힘으로써, 상기 보조커버부 및 상기 내측컵의 개방된 상단면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컵.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부는 외측면 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면 파지부는 상기 외측면부의 면 상에서 하나의 절개선으로 연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외측면 파지부 자체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에서 중심부분을 향하여 형성되며, 절개선이 동일 수평선상을 지나도록 중첩되어 배치되되 동일한 위치를 지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측면 파지부는 상기 외측면부의 면 상에서 적어도 2개 이상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외측면 파지부를 파지할 경우 상기 외측면 파지부는 상기 내측면부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컵.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부의 면상에 하나의 절개선에 의해 형성되며, 시작점에서 제 1방향으로 향하고, 다시 상기 제 1방향에 수직한 제 2방향으로 절곡되고 연장되어 향하고, 다시 상기 제 2방향에 수직하되 상기 제 1방향에 평행하게 제 3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향하되 상기 시작점과 동일한 선상에서 마무리되는 외측면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면 보조지지부는 외측면부의 면 상에서 적어도 2개 이상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외측면 보조지지부는 상기 내측면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내측면부의 일부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컵.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밑면부는 면 상에서 하나의 절개선이 연장되고 형성되며 시작점에서 제 4방향으로 향하고, 다시 상기 제 4방향에 수직한 제 5방향으로 절곡되고 연장되어 향하고, 다시 상기 제 5방향에 수직하되 상기 제 4방향에 평행하게 제 6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향하되 상기 시작점과 동일한 선상에서 마무리되는 외밑면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밑면 보조지지부는 절곡되어 상기 내밑면부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컵.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부의 일단변에 연결되어 상기 내측컵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측이 상기 내측컵 상단의 상부로 돌출하는 빨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빨대부의 하단은,
    상기 내밑면부의 상부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거나,
    상기 내밑면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함몰되어 빈 공간으로 형성된 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컵.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부의 상단의 일부에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외측컵의 개방된 상단면을 모두 커버하는 제 1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덮개부는 상기 외측면부와 결합되는 부분의 경계에서 접힘으로써, 상기 외측컵의 개방된 상단면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컵.
  20. 삭제
KR1020210180751A 2021-12-16 2021-12-16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KR102379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751A KR102379686B1 (ko) 2021-12-16 2021-12-16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KR1020220035564A KR20230092680A (ko) 2021-12-16 2022-03-22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PCT/KR2022/020449 WO2023113494A1 (ko) 2021-12-16 2022-12-15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751A KR102379686B1 (ko) 2021-12-16 2021-12-16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564A Division KR20230092680A (ko) 2021-12-16 2022-03-22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686B1 true KR102379686B1 (ko) 2022-03-28

Family

ID=809971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751A KR102379686B1 (ko) 2021-12-16 2021-12-16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KR1020220035564A KR20230092680A (ko) 2021-12-16 2022-03-22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564A KR20230092680A (ko) 2021-12-16 2022-03-22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379686B1 (ko)
WO (1) WO20231134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494A1 (ko) * 2021-12-16 2023-06-22 주식회사 에스에이치네트웍스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4205U (ja) * 1995-10-30 1996-05-17 株式会社光文書院 組立式ダストボックス
US5964400A (en) * 1995-08-18 1999-10-12 Sherwood Tool Inc Multi-layered insulated cup formed from folded sheet
JP2000264329A (ja) * 1999-03-18 2000-09-26 M E Tech:Kk 厚紙製部分折曲げ込み断熱カップ
US20020052286A1 (en) * 1999-06-07 2002-05-02 Sarson George E. Disposable cup with spill resistant lid
KR20060129682A (ko) * 2005-06-13 2006-12-18 안승대 스푼이 부착된 종이컵
JP2008162665A (ja) * 2006-12-28 2008-07-17 Yoshino Kogyosho Co Ltd ピンチグリップ式ボトル型容器
KR101828172B1 (ko) 2016-09-19 2018-02-09 (주)용호산업 결합식 복사열 배출 이중컵
JP2019108158A (ja) * 2017-12-20 2019-07-04 日清食品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二重容器
US20200305620A1 (en) * 2019-04-01 2020-10-01 Chi Cheng Co., Ltd. Environmentally-friendly cup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686B1 (ko) * 2021-12-16 2022-03-28 이상규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4400A (en) * 1995-08-18 1999-10-12 Sherwood Tool Inc Multi-layered insulated cup formed from folded sheet
JP3024205U (ja) * 1995-10-30 1996-05-17 株式会社光文書院 組立式ダストボックス
JP2000264329A (ja) * 1999-03-18 2000-09-26 M E Tech:Kk 厚紙製部分折曲げ込み断熱カップ
US20020052286A1 (en) * 1999-06-07 2002-05-02 Sarson George E. Disposable cup with spill resistant lid
KR20060129682A (ko) * 2005-06-13 2006-12-18 안승대 스푼이 부착된 종이컵
JP2008162665A (ja) * 2006-12-28 2008-07-17 Yoshino Kogyosho Co Ltd ピンチグリップ式ボトル型容器
KR101828172B1 (ko) 2016-09-19 2018-02-09 (주)용호산업 결합식 복사열 배출 이중컵
JP2019108158A (ja) * 2017-12-20 2019-07-04 日清食品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二重容器
US20200305620A1 (en) * 2019-04-01 2020-10-01 Chi Cheng Co., Ltd. Environmentally-friendly cup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494A1 (ko) * 2021-12-16 2023-06-22 주식회사 에스에이치네트웍스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13494A1 (ko) 2023-06-22
KR20230092680A (ko) 202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9245A (en) Insulating device for a beverage container
ES2206587T3 (es) Vaso aislante multicapa formado a partir de lamina plegada.
US5588552A (en) Disposable rolled rim cup and lid closure
KR102379686B1 (ko)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EP2378928A1 (en) Protective sleeve
JPH09240652A (ja) 改良された容器
JP2011518083A (ja) 折り畳み式密封容器
JP2016524573A (ja) トランスポートボックス
KR101010242B1 (ko) 용기
US20070284422A1 (en) Reconfigurable storage box and cutter
USD410196S (en) Carton with a folding closure
KR102379361B1 (ko) 스틱형 밀봉체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US11819150B2 (en) Handled holder for cups, containers, and the like
KR20140000391A (ko) 용기홀더
JPH09154697A (ja) 組立式紙製コップホルダー
US20050001126A1 (en) Holders for beverage containers
US20040262483A1 (en) Scald-preventive disposable cup holder
JP2003072736A (ja) 飲料冷却用紙容器とこれを用いた飲料瓶収納箱
JP2009113864A (ja) ホルダー
WO2019056787A1 (zh) 一种一体杯子
JP4508402B2 (ja) 紙カップ用簡易蓋
JP2004050613A (ja) カード及び筒状体形成シート部材
JPH09220153A (ja) タックエンドカートン型ハンドトレー
CN212557356U (zh) 包装盒
JP2000355365A (ja) 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