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172B1 - 결합식 복사열 배출 이중컵 - Google Patents

결합식 복사열 배출 이중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172B1
KR101828172B1 KR1020160119193A KR20160119193A KR101828172B1 KR 101828172 B1 KR101828172 B1 KR 101828172B1 KR 1020160119193 A KR1020160119193 A KR 1020160119193A KR 20160119193 A KR20160119193 A KR 20160119193A KR 101828172 B1 KR101828172 B1 KR 101828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radiant heat
space
internal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주
Original Assignee
(주)용호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용호산업 filed Critical (주)용호산업
Priority to KR1020160119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with double walls; with walls incorporating air-chambers; with walls made of 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Abstract

복사열 배출 이중컵에 있어 안쪽컵을 합성수지재 수지컵으로 구성시키고 산단을 겉쪽으로 돌출시켜 컵입구턱으로 구성시키며 안쪽컵 상부 몸체면에 겉쪽으로 돌출되는 돌출선을 세로로 다수 구성시키고 돌출선과 돌출선 사이에 홈면을 구성시키며 안쪽컵 밑면에는 돌출되는 기공이 구성된 돌출봉을 구성시켜 안쪽컵으로 구성시키며 겉쪽컵은 펄프재 종이컵으로 구성시키고 밑면에는 안쪽컵에 구성된 돌출봉 설치 공간으로 구성시켜 겉쪽컵으로 구성시키며 안쪽컵과 겉쪽컵을 결합시켜 안쪽컵면과 겉쪽컵면 사이에 공간을 구성시켜 복사열 집합공간으로 구성시키며 안쪽컵 상단 홈면을 복사열 배출구로 구성시키고 복사열 공간에 있는 복사열을 배출시키도록 하며 이중컵 밑면에 구성된 돌출봉의 기공으로 외부의 공기를 복사열 공간으로 유입시켜 복사열 배출을 촉진시켜 주도록 하며 이중컵을 사용한 후에는 안쪽컵과 겉쪽컵을 분리시켜 수지재와 펄프재로 분리시켜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결합식 복사열 배출 이중컵{omitted}
본 발명은 결합식 복사열 배출 이중컵에 관한 것으로 안쪽컵을 합성 수지재수지컵으로 구성시켜 음료수 누수를 방지하고 안쪽컵 상단을 겉쪽으로 돌출되는 "ㄱ"자 형상의 컵입구턱을 구성시키며 안쪽컵 몸체 상부면에는 겉쪽으로 돌출되는 세로 돌출선을 다수 구성시키고 돌출선과 돌출선 사이에 홈면을 구성시키며 안쪽컵 몸체 밑면에는 기공이 구성된 돌출봉을 구성시켜 안쪽컵으로 구성시키며 겉쪽컵은 펄프재 종이컵으로 구성시키고 밑면에는 안쪽컵에 구성된 돌출봉 설치공간을 구성시켜 겉쪽 컵으로 구성시킨 다음
안쪽컵과 겉쪽컵을 결합시켜 이중컵으로 구성시키고 안쪽컵면과 겉쪽컵면 사이에 공간을 구성시켜 음료수의 복사열 집합 공간으로 구성시키며 이중컵 상단에는 안쪽컵 상부에 구성된 홈면을 복사열 배출구로 구성시켜 복사열을 배출시키도록 하며 이중컵 밑면에 구성시킨 돌출봉에 구성시킨 기공으로 외부의 공기를 사열 집합 공간으로 유입시켜 복사열 배출을 촉진시켜 주도록 하여 안쪽컵에 내장된 음료수 열을 겉쪽컵면에서 감소시켜 주도록 하고 안쪽컵의 돌출봉을 겉쪽컵 밑면홈에 결합시켜 안쪽컵을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켜 결합식 복사열 배출 이중컵(이하 "이중컵"으로 칭함)으로 구성시키며 상기 이중컵을 사용한 후에는 안쪽 수지컵과 겉쪽 종이컵을 다시 분리시켜 수지재와 펄프재로 재활용하여 자원을 절약시키도록 구성시킨다.
종래에 뜨거운 음료수를 담아 먹는 컵에는 두개의 종이컵을 포개서 구성한 이중컵이 있느나 안쪽컵면과 겉쪽컵면 사이에 미미한 공간이 구성됨으로 단열 효과가 낮은 결점이 있으며 더우기 음료수의 복사열이 공간에 밀폐되어 있어 단열효과가 더욱 낮은 결점이 있으며 또한 종이컵 제조에서 불량품이 있을 경우는 음료수 누수현장이 있는 결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또다른 방법으로 두터운 종이로 컵을 만들고 홀더를 씨워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두터운 종이로 제조함으로서 컵제조 비용이 많이드는 결점이 있으며 또한 홀더를 사용하는 추가 비용이 소요되고 홀더가 없는 곳에서는 사용이 불편한 결점이 있고 단열 효과가도 높지못한 결점이 있으며 그뿐마아니라 종이컵 표면에 구성시킨 디자인이 가려지는 결점이 있음으로 본원 출원인이 이를 개선시키고자 개발한 이중컵 (10-2016-0073590)이 있으나 사용할때 안쪽 수지컵 아래쪽 몸체가 좌, 우로 흔들리는 결점이 있어 본 발명에서 상기의 결점들을 해결하고 단열효과를 높이고자 한다
참고자료 : 등록번호 - 200270133. 200339386. 200344484. 200318334.
상기의 결점을 개선시키고자 이중컵을 구성시킴에 있어 안쪽컵을 합성수지재 수지컵으로 구성시켜 음료수 누수를 방지시키도록 하며
겉쪽컵은 재생 펄프재 종이컵으로 구성시키고 안쪽컵과 겉쪽컵을 결합시켜 이중컵으로 구성시켜 안쪽컵면과 겉쪽컵면 사이에 음료수 복사열 집합 공간으로 구성시키며 이중컵 상부에는 안쪽컵과 겉쪽컵을 결합시키는 공정에서 안쪽컵에 구성시킨 홈을 복사열 배출구로 구성시켜 복사열을 배출시키도록 하며 이중컵 밑면에는 안쪽컵 밑면에 구성시킨 돌출봉을 겉쪽컵 밑면과 결합 고정시키고 기공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복사열 공간으로 유입시켜 음료수의 복사열 배출을 촉진시켜 주도록 하여 안쪽컵에 내장시킨 음료수 열이 겉쪽컵면으로 전이됨을 감소시켜 단열 효과를 높이도록 하며 이중컵을 사용한 후에는 안쪽컵과 겉쪽컵을 다시 분리시켜 수지재와 펄프재로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한다
결합식 복사열 배출 이중컵을 구성시킴에 있어 안쪽컵을 합성수지재 수지컵으로 구성시켜 음료수 누수를 방지시키며 안쪽컵 상단을 겉쪽으로 "ㄱ"자 형상으로 돌출시켜 컵입구턱으로 구성시키며 안쪽컵 몸통 상부 겉쪽면에 겉쪽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출선을 세로로 구성시키고 돌출선과 돌출선 사이에 홈면을 구성시키며 몸통밑면에 기공을 구성시킨 돌출봉을 구성시켜 안쪽컵으로 구성시키며 겉쪽컵은 펄프재 종이컵으로 구성시키고 밑면에는 안쪽컵 밑면에 구성시킨 돌출봉 설치 공간을 구성시켜 겉쪽컵으로 구성시킨다음 안쪽컵과 겉쪽컵을 결합시켜 이중컵으로 구성시키고 안쪽컵면과 겉쪽컵면 사이에 공간을 구성시켜 안쪽컵에 내장시킨 음료수의 복사열 집합 공간으로 구성시키고 이중컵 상부에는 안쪽컵 상부면에 구성된 홈면을 복사열 배출구로 구성시켜 복사열 집합 공간에 있는 복사열을 배출 시키도록 하며 이중컵 밑면에 구성시킨 돌출봉에 구성시킨 기공으로 외부의 공기를 복사열 집합공간으로 유입시켜 복사열 배출을 촉진시켜 음료수 열을 겉쪽컵면에 전이됨을 감소시켜주도록 하며 안쪽컵 밑면에 구성시킨 돌출봉을 겉쪽컵 밑면에 구성시킨 홈에 밀착 구성시켜 이중컵을 사용할때 안쪽 수지컵 몸체가 좌, 우로 흔들림을 방지시키도록 하며 상기 이중컵을 사용한 후에는 안쪽 수지컵과 겉쪽 종이컵을 다시 분리시켜 수지재와 펄프재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시킨다
결합식 복사열 배출 이중컵은 안쪽컵을 수지컵으로 구성시켜 음료수 누수가 없는 효과가 있으며 안쪽컵면과 겉쪽컵면 사이에 공간이 구성되고 음료수 복사열이 집합되고 집합된 복사열은 복사열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중컵 밑면에 구성된 기공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복사열 공간으로 유입되면서 복사열 배출을 촉진시켜주는 효과가 있어 안쪽컵에 내장시킨 음료수 열을 겉쪽컵면에서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어 홀더 없이도 사용이 편리하며 상기 이중컵을 사용한 후에는 안쪽 수지컵과 겉쪽 종이컵을 다시 분리시켜 수지재와 펄프재로 재활용할 수 있는 자원절약의 효과도 있게 된다
도1. 안쪽컵 구성도
도2. 안쪽컵 세로 단면도
도3. 안쪽컵 상부 가로 단면도
도4. 돌출봉 단면도
도5. 겉쪽컵 측면도
도6. 겉쪽컵 세로 단면도
도7. 안쪽컵과 겉쪽컵 결합 단면도
도8. 복사열 집합 공간도
도9. 복사열 배출구 구성도
도10. 복사열 배출구 가로 단면도
도11. 종이컵 밑면에 구성된 돌출봉 단면도
도12 복사열 배출경로도
도13. 이중컵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한 부호의 설명]
1. 안쪽컵
2. 컵 입구턱
3. 돌출선
4. 홈면
5. 복사열 배출구
6. 돌출봉
7. 기공
8. 겉쪽컵
9. 돌출봉 설치 공간
10. 겉쪽컵 밑면
11. 복사열 공간
12. 음료수
13. 복사열 배출 경로
14. 외부공기
15. 복사열 배출 이중컵
본 발명은 결합식 복사열 배출 이중컵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중컵을 구성시킴에 있어 안쪽컵(1)을 합성수지재 수지컵으로 도1, 도2와 같이 구성시켜 음료수 누수를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부에는 "ㄱ"자 형상으로 겉쪽으로 돌출되는 컵입구턱(2)을 도1, 도2와 같이 구성시키며 안쪽컵(1) 몸체 상부면에 겉쪽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출선(3)을 도3과 같이 구성시키고 돌춘선과 돌출선 사이에 홈면(4)을 구성시키며 안쪽컵 몸체 밑면에는 기공(7)을 도4와 같이 구성시킨 돌출봉(6)을 도1과 같이 구성시켜 안쪽 수지컵으로 구성시키며 겉쪽컵(8)을 재생 펄프재 종이컵으로 구성시키고 겉쪽컵 밑면(10)에 도6과 같이 안쪽컵(1)에 구성시킨 돌출봉(6) 설치공간(9)을 구성시켜 겉쪽 종이컵을 도5, 도6과 같이 구성시키고 안쪽컵과 겉쪽컵을 도7과 같이 결합시켜 안쪽컵면과 겉쪽컵면 사이에 복사열 공간(11)을 구성시키며 안쪽컵과 겉쪽컵을 결합시킬때 안쪽컵에 구성시킨 돌출선(3)에 겉쪽컵의 상단을 도9와 같이 아래쪽으로 간격을 띠우고 결합시켜 도9, 도10과 같이 복사열 배출구(5)로 구성시키며 상기 이중컵 밑면에는 안쪽컵 밑면에 돌출시켜 구성시킨 기공(7)이 구성된 돌출봉(6)을 겉쪽컵 밑면에 구성시킨 돌출봉 설치공간(9)에 도7, 도11과 같이 결합구성시켜 기공(7)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도12와 같이 복사열 공간으로 유입시켜 도12와 같이 복사열 배출을 촉진시켜 주도록하여 단열효과를 높이도록 하며 이와는 별도로 안쪽 수지컵을 제조원가 절감차원에서 얇게 구성시킴으로서 제조원가는 절감되는 반면 상기 이중컵을 사용중에 음료수 중량으로 안쪽 수지컵 아래 부위 몸체가 좌,우로 흔들림이 있어 사용상의 불안전감이 있어 이를 개선시키고자 안쪽컵의 돌출봉과 겉쪽컵의 밑면을 도7, 도11과 같이 결합 고정시켜 안쪽컵 몸체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중컵을 사용할대는 홀더를 사용하지 않아도 음료수 열을 겉쪽컵 면에서 감소시켜 주도록하여 사용하기 편리하고 컵의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중컵을 사용한 후에는 안쪽 수지컵과 겉쪽 종이컵을 다시 분리시켜 수지재와 펄프재로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식 복사열 배출 이중컵을 구성시킨다

Claims (1)

  1. 결합식 복사열 배출 이중컵에 있어
    안쪽컵을 수지컵으로 구성시키고 상단을 겉쪽으로 돌출시켜 "ㄱ"자형상으로 컵입구턱을 구성시키며 안쪽컵 상부면에 돌출선을 구성시키고 돌출선과 돌출선 사이를 홈으로 구성시키며 안쪽컵 밑면에는 기공을 구성시킨 돌출봉을 구성시켜 안쪽컵으로 구성시키며 겉쪽컵은 종이컵으로 구성시키고 종이컵 밑면에는 타공을 구성시켜 겉쪽컵으로 구성시킨다음 안쪽컵과 겉쪽컵을 결합시켜 이중컵으로 구성시켜 안쪽컵면과 겉쪽컵면 사이에 음료수 복사열 공간을 구성시키며 안쪽컵 상부에 구성된 홈면을 복사열 배출구로 구성시켜 복사열을 배출시키며 안쪽컵 밑면에 구성시킨 돌출봉을 겉쪽컵 밑면에 구성시킨 타공에 삽입 결합시켜 안쪽컵과 겉쪽컵을 고정시키며 기공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복사열 공간으로 유입시켜 복사열 배출을 촉진시켜 겉쪽컵면에 단열효과를 높이고 상기 이중컵을 사용한 후에는 안쪽컵과 겉쪽컵을 다시 분리시켜 수지재와 펄프재로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복사열 배출 이중컵.
KR1020160119193A 2016-09-19 2016-09-19 결합식 복사열 배출 이중컵 KR101828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193A KR101828172B1 (ko) 2016-09-19 2016-09-19 결합식 복사열 배출 이중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193A KR101828172B1 (ko) 2016-09-19 2016-09-19 결합식 복사열 배출 이중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172B1 true KR101828172B1 (ko) 2018-02-09

Family

ID=61199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193A KR101828172B1 (ko) 2016-09-19 2016-09-19 결합식 복사열 배출 이중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1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686B1 (ko) 2021-12-16 2022-03-28 이상규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673B1 (ko) 1998-05-20 2008-05-19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단열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673B1 (ko) 1998-05-20 2008-05-19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단열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686B1 (ko) 2021-12-16 2022-03-28 이상규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KR20230092680A (ko) 2021-12-16 2023-06-26 주식회사 에스에이치네트웍스 이중 구조의 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172B1 (ko) 결합식 복사열 배출 이중컵
CN107386014B (zh) 纸浆模塑负角度容器及其加工工艺
CN102287822B (zh) 燃气灶用火盖、带有该种火盖的燃烧器及燃气灶
CN104846916B (zh) 一种带水箱的茶盘
KR20180006678A (ko) 기공을 구성시킨 단열 이중 종이컵
CN103485125B (zh) 用于洗衣机的内筒、用于洗衣机的内筒制造方法及洗衣机
CN204127962U (zh) 一种用于燃气灶具的燃烧器火盖及应用有该火盖的燃烧器
CN204378729U (zh) 一种多功能茶杯
CN205947655U (zh) 咖啡保温冲泡器
KR20190006269A (ko) 결합식 복사열 배출 이중컵
KR20190023458A (ko) 다면 단열 이중 종이컵
CN105054720B (zh) 一种茶杯
TWM561479U (zh) 具有良好排氣效果的濾杯
CN107518100A (zh) 一种茶叶烘干机
CN203196390U (zh) 消泡容器
CN102247090A (zh) 茶盘接水盒
CN202760882U (zh) 双定位筷子筒
KR200429418Y1 (ko) 컵 뚜껑
CN207622408U (zh) 逐层套筒型干燥机
KR20110025002A (ko) 수저통
CN209965949U (zh) 一种带防软化功能的纸浆模塑热食及热饮容器
CN204133022U (zh) 一种竹杯结构
CN205094227U (zh) 保温餐具的餐盆
CN205197658U (zh) 一种陶瓷马克杯
CN105318709B (zh) 一种真空冷冻干燥机用隔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