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656B1 - 회전식 컵 뚜껑 - Google Patents

회전식 컵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656B1
KR100446656B1 KR10-2002-0006054A KR20020006054A KR100446656B1 KR 100446656 B1 KR100446656 B1 KR 100446656B1 KR 20020006054 A KR20020006054 A KR 20020006054A KR 100446656 B1 KR100446656 B1 KR 100446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ontents
discharge port
user
predetermined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5958A (ko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김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일 filed Critical 김성일
Priority to KR10-2002-0006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656B1/ko
Publication of KR20030065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6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65D47/123Threaded caps with intern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7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insulating sleeves or jackets for cans, bottles, barrels,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을 기울인 상태에서 축회전시키면서 배출량을 조절하고, 배출된 뜨거운 커피 등을 식혀 마실 수 있게 하는 컵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하면이 컵의 주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 내용물의 수면이 접촉되도록 컵을 소정 각도 기울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토출구의 위치가 수면의 상방 또는 하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를 소정 각도 수평 회전시켜서 내용물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중심부로부터 소정 각도선 상의 일측 상면 테두리부분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를 기울인 상태에서 소정 각도 수평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부근에서부터 상기 몸체의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 둘러싸는 형상의 넘침방지턱을 갖는 식힘접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컵을 회전시키면서 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의 배출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가 배출된 고온의 내용물을 입으로 불어 식힐 수 있게 함으로써 고온의 내용물로 인한 입술이나 혀, 입천장 등의 화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고, 파지 날개부를 형성하여 고온의 내용물로 인한 컵의 열전달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게 하고, 파지 날개부들을 서로 연결시켜서 더욱 견고한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회전식 컵 뚜껑{A rotation type cup cover}
본 발명은 회전식 컵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컵을 기울인 상태에서 축회전시키면서 배출량을 조절하고, 배출된 뜨거운 커피 등을 식혀 마실 수 있게 하는 컵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커피 전문점 등에서 뜨거운 커피를 종이컵 등에 담아 취식하는 경우가 많은 데, 이때 커피의 뜨거운 김에 의한 화상을 방지하고, 커피를 조금씩 취식할 수 있도록 컵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조립되는 합성수지류 재질의 컵 뚜껑이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컵 뚜껑은, 커피 등 고온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컵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컵의 주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상면에 적어도 토출구가 형성되는 몸체를 갖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컵 뚜껑은, 상기 몸체의 상면에 크거나 작은 구멍만 형성되는 매우 단순한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항상 상기 몸체의 구멍에 직접 입을 맞대고 취식하여야만 하는 구성이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컵을 기울여서 얼마나 뜨거울지도 모를 고온의 커피를 마시다가 소량이라도 고온의 커피에 민감한 신체 부위인 입술이나 혀 입천장 등이 화상을 입어서 건강을 크게 해치고, 커피를 원하는 온도로 취식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하지 못하여 이러한 화상이 더욱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온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종래의 종이컵 등의 컵은, 내용물로부터 전달된 고온의 열이 사용자에게 그대로 전달되어 사용자의 손에 화상을 입힐 수 있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컵 뚜껑은, 광고내용을 담을 수 있는 인쇄면이 부족하여 광고용도로 사용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컵을 회전시키면서 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의 배출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고, 식힘접시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배출된 고온의 내용물을 입으로 불어 식힐 수 있게 함으로써 고온의 내용물로 인한 입술이나 혀, 입천장 등의 화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내용물을 식혀서 취식할 수 있게 하는 회전식 컵 뚜껑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지 날개부를 형성하여 고온의 내용물로 인한 컵의 열전달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게 하고, 파지 날개부들을 서로 연결시켜서 더욱 견고한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식 컵 뚜껑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몸체 상면이나 파지날개부 등의 표면에 광고내용을 인쇄하여 홍보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내용물 재인입이 용이하며, 컵과의 착용성을 좋게 하는 회전식 컵 뚜껑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뚜껑을 나타내는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컵을 기울인 상태에서 도 1의 몸체의 사용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컵을 기울이면서 도 1의 몸체의 사용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뚜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뚜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전식 컵 뚜껑은, 커피 등 고온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컵의 상부를 덮는 컵 뚜껑을 구성함에 있어서, 하면이 컵의 주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 내용물의 수면이 접촉되도록 컵을 소정 각도 기울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토출구의 위치가 수면의 상방 또는 하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를 소정 각도 수평 회전시켜서 내용물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중심부로부터 소정 각도선 상의 일측 상면 테두리부분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의 온도를 사용자가 식힐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를 기울인 상태에서 소정 각도 수평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부근에서부터 상기 몸체의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 둘러싸는 형상의 넘침방지턱을 갖는 식힘접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면에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어 토출구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을 상기 식힘접시부로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은, 상기 몸체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그 단면이 "U"형상인 링형상의 오목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목홈의 형상은 이외에도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몸체는, 불투명한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고, 상기 몸체를 기울였을 때, 내용물의 수면이 닿는 접촉면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반투명 또는 투명재질이고, 상기 몸체와 컵의 주연부 사이에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밀봉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회전식 컵 뚜껑은, 고온의 내용물로 인한 컵의 열전달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도록 상기 컵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몸체에 다수개가 연장 형성되는 다수개의 파지날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수 있다.
또한, 절곡이 용이하도록 상기 몸체와 파지날개부 사이에 절곡상태의 유지를 위한 절곡선이 형성되고, 서로간의 고정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파지날개부와 파지날개부 사이에 맞물림부와 맞물림부가 서로 맞물림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회전식 컵 뚜껑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뚜껑은, 커피 등 고온의 내용물(1)을 수용하는 컵(2)의 상부를 덮는 것으로서, 크게 몸체(10) 및 식힘접시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상기 몸체(10)는, 하면이 컵(2)의 주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일부분에 내용물(1)의 수면(1a)이 접촉되도록 컵(2)을 소정 각도 기울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토출구(10a)의 위치가 수면의 상방 또는 하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10)를 소정 각도 수평 회전시켜서 내용물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중심부로부터 소정 각도선 상의 일측 상면 테두리부분에 토출구(10a)가 형성되는 얇은 합성수지류 재질이다.
여기서, 상기 토출구(10a)는 내용물(1)이 배출될 때, 컵(2) 내부의 빈공간을 채우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도시하지 않음)와 함께 형성되거나, 매우 작은 크기로 상기 몸체(10)의 여러 군데 형성될 수 있으나 내용물(1)의 배출량을 정밀 조절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기로는 한 군데 형성되고, 되도록 공기주입구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게 소정 정도 이상으로 충분히 큰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몸체(10)는 상기 컵(2)의 주연부와 억지 맞물림되어 상기 몸체(10)와 컵(2)의 주연부 사이에 내용물(1)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외에도 암나사부와 수나사부를 이용한 비틀림 나사결합방법이나 고무패킹 등 컵을 밀봉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밀봉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는 상면에 상기 토출구(10a)와 연통되어 토출구(10a)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을 상기 식힘접시부(20)로 안내하는 안내홈(10b)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홈(10b)은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만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몸체(10)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그 단면이 "U"형상인 링형상의 오목홈인 것이다.
이외에도 이러한 오목홈의 단면 형상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완전 불투명으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상기 몸체(10)와 접촉되는 내부 내용물(1)의 수면(1a)을 육안으로 확인하지 못하고, 토출구(10a)를 통해 내용물(1)이 배출되는 지에 대한 여부만으로 수면의 위치를 대충 짐작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기로, 상기 몸체(10)는, 상기 몸체(10)를 기울였을 때, 내용물(1)의 수면(1a)이 닿는 접촉면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반투명 또는 투명재질인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식힘접시부(20)는, 상기 몸체(10)의 토출구(10a)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1)의 온도를 사용자가 식힐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10)를 기울인 상태에서 소정 각도 수평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토출구(10a)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10a) 부근에서부터 상기 몸체(10)의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 둘러싸는 형상의 넘침방지턱(22)을 갖는다.
이러한 상기 식힘접시부(20)는 반구형, 박스형 등 매우 다양한 형상으로 상기 몸체(10)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넘침방지턱(22)은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입술이 닿았을 때의 감촉을 고려하여 라운딩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회전식 컵 뚜껑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커피 등 고온의 내용물(1)이 식지 않아서 아직 내용물(1)의 온도가 화상을 입을 정도로 고온일 때,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는 컵(2)을 소정 각도 기울이고, 상기 몸체(10)와 접촉되는 수면(1a) 위로 토출구(10a)가 위치하도록 상기 컵(2)을 회전한 상태에서 컵(2)을 약간 기울여서 수면이 상기 토출구(10a) 바로 밑에 위치하도록 준비한다.
이때, 상기 내용물(1)은 아직 수면(1a)이 토출구(10a) 아래 위치하기 때문에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사용자는 상기 수면(1a)이 상승하지 않도록 상기 컵(2)의 기울어진 각도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컵(2)의 기울어진 각도를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컵(2)을 축회전시켜서 정회전시키면, 상기 토출구(10a)가 수면 밑으로 내려가게 되고, 수면(1a)에 있는 내용물(1)들이 상기 토출구(10a)로부터 배출되어 조금씩 상기 식힘접시부(20)에 수용된다.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힘접시부(20)에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내용물(1)이 배출되면, 사용자는 상기 컵(2)을 축회전시키면서 역회전시켜 상기 토출구(10a)가 수면(1a) 위로 올라가게 하여 더 이상의 내용물(1)이 배출이 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배출된 내용물(1)이 상기 넘침방지턱(22)을 넘지 않도록 유의하는 한편, 상기 넘침방지턱(22)은 상기 컵(2)이 역회전하여 토출구(10a)가 수면(1a) 위로 상승하더라도 내용물(1)이 좌우측으로 쏟아지지 않게 몸체(10) 외주방향으로 충분히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토출구(10a)의 위치를 수면 위로 충분히 올리도록 상기 컵(2)을 역회전시킨 다음, 상기 내용물(1)을 입으로 불어 충분히 식히고, 상기 컵(2)을 살짝 기울여서 식힌 내용물(1)을 마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구(10a)의 위치는 상기 컵(2)을 살짝 기울여서 상승하게 되는 수면(1a) 위로 항상 위치되도록 상기 컵(2)을 충분히 역회전시켜서 상승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컵(2)을 바로 세워서 상기 식힘접시부(20)에 수용된 내용물(1)을 상기 토출구(10a)를 통해 상기 컵(2) 내부로 다시 재인입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내용물(1)을 취식하고 보관할 때, 내용물(1)이 외부 이물질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컵(2) 내부의 내용물(1) 온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토출구(10a)로 향하는 경사면(도시하지 않음)을 상기 몸체(10)의 상면에 형성하여 내용물(1)의 재인입을 도울 수 있게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회전식 컵 뚜껑을 사용하는 또 다른 사용방법은,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는 상기 토출구(10a)를 최저점으로 하고 컵(2)을 서서히 기울여서 상기 토출구(10a)를 통해 조금씩 내용물(1)이 배출되어 상기 식힘접시부(20)에 수용되도록 한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힘접시부(20)에 내용물(1)이 충분히 배출되면, 사용자는 컵(2)의 기울어진 각도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상기 컵(2)을 축회전시키면서 역회전시켜 상기 토출구(10a)가 수면 위로 올라가게 하여 더 이상의 내용물(1) 배출이 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배출된 내용물(1)이 상기 넘침방지턱(22)을 넘지 않도록 유의하는 한편, 상기 넘침방지턱(22)은 상기 컵(2)이 역회전하여 토출구(10a)가 수면(1a) 위로 상승하더라도 내용물(1)이 좌우측으로 쏟아지지 않게 몸체(10) 외주방향으로 충분히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내용물(1)을 입으로 불어 충분히 식히고, 상기 컵(2)을 살짝 기울여서 식힌 내용물(1)을 마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구(10a)의 위치는 상기 컵(2)을 살짝 기울여서 상승하게 되는 수면(1a) 위로 항상 위치되도록 상기 컵(2)을 충분히 역회전시켜서 상승시킨다.
이외에도 컵을 기울이고 축회전시키는 매우 다양한 방법을 본 발명의 회전식 컵 뚜껑을 사용하여 내용물을 식혀먹을 수 있으나, 중요한 것은 토출구(10a)의 회전각도에 따라 내용물(1)의 배출량을 단속 및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식 컵 뚜껑은, 고온의 내용물(1)로 인한 컵(2)의 열전달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도록 상기 컵(2)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몸체(10)에 다수개가 연장 형성되는 다수개의 파지날개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파지날개부(30)는 상기 몸체(10) 및 식힘접시부(20)를 사출할 때, 일체형으로 찍어 성형할 수 있고, 이런 경우, 상기 몸체(10)와 파지날개부(30) 사이에 절곡상태의 유지를 위한 절곡선(3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날개부(30)와 파지날개부(30) 사이에 맞물림부(30b)와 맞물림부(30b)가 서로 맞물림되어 이들을 연결함으로써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더욱 견고한 파지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맞물림부(30b)는 단순히 일부 절취된 두 개의 맞물림부(30b)(30b)를 끼워 맞물리는 것 이외에도 홈과 돌기를 형성하는 등 매우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파지날개부(30)(2개 또는 3개 등 다수개)를 손으로 파지하여 손에 화상을 입지 않고도 뜨거운 컵(2)을 안전하게 잡을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파지날개부(30)를 손으로 잡고 있는 동안, 상기 파지날개부(30)는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컵(2)을 떨어뜨리지 않고 견고하게 잡을 수 있는것이다.
특히, 상기 파지날개부(30)는, 상기 몸체(10)와 동질의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몸체(10) 제작시 일체로 사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컵(2)과의 접촉면적을 줄여서 열전달면적이 최소가 되도록 주름진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상기 몸체(10)나 파지날개부(30)에 각종 도안 및 문자를 인쇄하여 광고물이나 홍보물로 적극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컵 뚜껑의 파지날개부(50)는, 상기 몸체(10)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와, 서로 다른 파지날개부(50)의 수직부재들 간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부재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재(50b)로 이루어지고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파지날개부(50)와 파지날개부(5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는 상기 수직부재에 형성되는 다단계 끼움홈(50a) 및 상기 수평부재(50b)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50a)에 억지 끼워맞춤되는 끼움돌기(50c)가 적용되어 다양한 크기의 컵 형상에 맞추어 상기 끼움돌기(50c)를 상기 끼움홈(50a) 중 어느 하나에 끼워 고정을 더욱 견고하게 하고, 더욱 안정된 파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의 배출이나 재인입시 표면장력으로 인한 물방울 형성을 방지하도록 상기 토출구(10a) 주변에 상기 토출구(10a)와 연결되는 표면장력분산 요철홈(40)을 형성하여 내용물이 뭉쳐서 방울이 되어 한꺼번에 배출되거나 재인입시 토출구(10a)에 물방울 형태로 매달려 남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회전식 컵 뚜껑은 통상의 일회용 컵에 적용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뜨거운 커피 등을 불어 식히면서 마실 수 있는 보온 컵이나 각종 반영구적인 컵 등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온의 내용물이 수용된 컵의 뚜껑만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식힘접시부가 매우 차가운 내용물을 따뜻하게 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도 있고, 상기 파지 날개부의 형태 또한 매우 다양한 종류 및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식 컵 뚜껑에 의하면, 컵을 회전시키면서 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의 배출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고, 식힘접시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배출된 고온의 내용물을 입으로 불어 식힐 수 있게 함으로써 고온의 내용물로 인한 입술이나 혀, 입천장 등의 화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내용물을 식혀서 취식할 수 있게 하며, 파지 날개부를 형성하여 고온의 내용물로 인한 컵의 열전달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게 하고, 파지 날개부들을 서로 연결시켜서 더욱 견고한 고정을 가능하게 하며, 몸체 상면이나 파지 날개부 등의 표면에 광고내용을 인쇄하여 홍보 용도로도 사용할 수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9)

  1. 커피 등 고온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컵의 상부를 덮는 컵 뚜껑을 구성함에 있어서,
    하면이 컵의 주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 내용물의 수면이 접촉되도록 컵을 소정 각도 기울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토출구의 위치가 수면의 상방 또는 하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를 소정 각도 회전시켜서 내용물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중심부로부터 소정 각도선 상의 일측 상면 테두리부분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의 온도를 사용자가 식힐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를 기울인 상태에서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부근에서부터 상기 몸체의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 둘러싸는 형상의 넘침방지턱을 갖는 식힘접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컵 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면에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어 토출구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을 상기 식힘접시부로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컵 뚜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상기 몸체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그 단면이 전체적으로 오목한 형상인 링형상의 오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컵 뚜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를 기울였을 때, 내용물의 수면이 닿는 접촉면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반투명 또는 투명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컵 뚜껑.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컵의 주연부 사이에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밀봉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컵 뚜껑.
  6. 제 1항에 있어서,
    고온의 내용물로 인한 컵의 열전달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도록 상기 컵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몸체에 다수개가 연장 형성되는 다수개의 파지날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컵 뚜껑.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파지날개부 사이에 절곡상태의 유지를 위한 절곡선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날개부와 파지날개부 사이에 맞물림부와 맞물림부가 서로 맞물림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컵 뚜껑.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날개부는, 상기 몸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와, 서로 다른 파지날개부의 수직부재들 간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부재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수단으로는 상기 수직부재에 형성되는 다단계 끼움홈 및 상기 수평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억지 끼워맞춤되는 끼움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컵 뚜껑.
  9. 제 1항에 있어서,
    내용물의 배출이나 재인입시 표면장력으로 인한 물방울 형성을 방지하도록 상기 토출구 주변에 상기 토출구와 연결되는 표면장력분산 요철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컵 뚜껑.
KR10-2002-0006054A 2002-02-02 2002-02-02 회전식 컵 뚜껑 KR100446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054A KR100446656B1 (ko) 2002-02-02 2002-02-02 회전식 컵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054A KR100446656B1 (ko) 2002-02-02 2002-02-02 회전식 컵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958A KR20030065958A (ko) 2003-08-09
KR100446656B1 true KR100446656B1 (ko) 2004-09-04

Family

ID=32220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054A KR100446656B1 (ko) 2002-02-02 2002-02-02 회전식 컵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6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5307A1 (ko) 2014-01-13 2015-07-16 주식회사 케이앤랩 컵홀더
KR20190001722U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커피렉코리아 향배출부가 구성된 컵 뚜껑
CN111572940A (zh) * 2020-04-30 2020-08-25 安庆市千禧龙包装有限公司 一种防满溢纸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917B1 (ko) * 2006-07-24 2007-12-27 김정인 플로핑손잡이
US10815037B2 (en) 2012-08-08 2020-10-27 Harl-Bella Holdings, Llc Lid for container
US10433664B2 (en) 2012-08-08 2019-10-08 Harl-Bella Holdings, Llc Lid for container
CN203860941U (zh) * 2014-03-26 2014-10-08 卢彦合 杯盖组
CN110342447A (zh) * 2018-04-07 2019-10-18 邹洤 一种可单手实现开启闭合杯盖的杯子及启盖器
KR102204233B1 (ko) * 2020-02-26 2021-01-15 황창연 음료용 컵 뚜껑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6157A (en) * 1976-11-22 1979-03-27 Dixon Sr Lester A Anti-spill drinking cup
JPH10129706A (ja) * 1996-10-31 1998-05-19 Zojirushi Corp 飲料用容器
US5897019A (en) * 1996-05-13 1999-04-27 Dunkin' Donuts Incorporated Frustroconical beverage cup and fitted lid
KR19990037696A (ko) * 1995-08-18 1999-05-25 클라우스 이. 사들리에르 주름진 쉬이트로 형성된 다층 절연컵.
KR200228292Y1 (ko) * 2001-01-09 2001-06-15 장태순 용기 내용물 이외에 별도의 복용제제를 포장할 수 있는포장병용 뚜껑
KR20030020154A (ko) * 2001-09-03 2003-03-08 김성일 컵 뚜껑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6157A (en) * 1976-11-22 1979-03-27 Dixon Sr Lester A Anti-spill drinking cup
KR19990037696A (ko) * 1995-08-18 1999-05-25 클라우스 이. 사들리에르 주름진 쉬이트로 형성된 다층 절연컵.
US5897019A (en) * 1996-05-13 1999-04-27 Dunkin' Donuts Incorporated Frustroconical beverage cup and fitted lid
JPH10129706A (ja) * 1996-10-31 1998-05-19 Zojirushi Corp 飲料用容器
KR200228292Y1 (ko) * 2001-01-09 2001-06-15 장태순 용기 내용물 이외에 별도의 복용제제를 포장할 수 있는포장병용 뚜껑
KR20030020154A (ko) * 2001-09-03 2003-03-08 김성일 컵 뚜껑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5307A1 (ko) 2014-01-13 2015-07-16 주식회사 케이앤랩 컵홀더
US10076201B2 (en) 2014-01-13 2018-09-18 K&Lab Co., Ltd. Cup holder
KR20190001722U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커피렉코리아 향배출부가 구성된 컵 뚜껑
CN111572940A (zh) * 2020-04-30 2020-08-25 安庆市千禧龙包装有限公司 一种防满溢纸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958A (ko) 200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95281T3 (es) Tapa para recipiente desechable de bebidas.
ES2263266T3 (es) Recipiente para productos combinado con un sistema de presentacion.
US9510700B2 (en) No-spill drinking cup apparatus
US6612456B1 (en) Drink-through cup lid having selectively inwardly and outwardly rotatable hinged portion
US8827107B2 (en) No-spill drinking cup apparatus
ES2449145T3 (es) Tapa aislante resistente al salpicado y el derrame
KR100446656B1 (ko) 회전식 컵 뚜껑
US6644490B2 (en) Lid
CN101036559B (zh) 慢炖锅
US5624053A (en) Drink-thru cup lid
US6571973B1 (en) Cup lid with cooling spillover chamber
US20120312827A1 (en) Drinking Cup Lid Having a Sealing Plug Attached With Two Arms
US7726509B2 (en) Spill-proof container
JP4154722B2 (ja) 液体用容器の開口口部の構造
US20100224645A1 (en) Ball and socket closing lid
US20150014322A1 (en) Cup lid and portable protection case therefor
WO2015147968A1 (en) Airflow cooling lid
US5538156A (en) Temperature limiting cap No. 2 for disposable containers of liquid
US20180014671A1 (en) Lid assembly for drinking vessel and drinking vessel including the same
KR20030020154A (ko) 컵 뚜껑
JP2001039458A (ja) 飲料容器
JP4327052B2 (ja) 飲料容器
KR20140040117A (ko) 뜨거운 음료 용기 조립체, 인서트 및 방법
JP2021014286A (ja) 飲料容器用蓋
JPH02283309A (ja) ストロー付水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