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233B1 - 음료용 컵 뚜껑 - Google Patents

음료용 컵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233B1
KR102204233B1 KR1020200023376A KR20200023376A KR102204233B1 KR 102204233 B1 KR102204233 B1 KR 102204233B1 KR 1020200023376 A KR1020200023376 A KR 1020200023376A KR 20200023376 A KR20200023376 A KR 20200023376A KR 102204233 B1 KR102204233 B1 KR 102204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up
lid
cup li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창연
Original Assignee
황창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창연 filed Critical 황창연
Priority to KR1020200023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25Flexible bung-typ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뜨거운 음료를 덜어서 식혀 마실 수 있는 음료용 컵 뚜껑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컵 형태이며, 컵 용기의 상측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와, 컵 용기에 담긴 음료가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몸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유입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용 컵 뚜껑{Beverage cup lid}
본 발명은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뜨거운 음료를 덜어서 식혀 마실 수 있는 음료용 컵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커피 전문점 등에서 뜨거운 커피를 종이컵 등에 담아 마시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커피의 뜨거운 김에 의한 화상을 방지하고, 커피를 조금씩 마실 수 있도록, 컵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조립되는 합성수지류 재질의 컵 뚜껑이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컵 뚜껑은, 커피 등 고온의 음료를 수용하는 컵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컵의 상단 테두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는 몸체를 갖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컵 뚜껑은, 몸체의 상면에 크거나 작은 구멍만 형성되는 매우 단순한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항상 몸체의 구멍에 직접 입을 맞대고 취식하여야만 하는 구성이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컵을 기울여서 뜨거운 커피를 마시다가 입술이나 혀, 입 천장 등이 화상을 입어서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뜨거운 음료를 식혀서 마실 수 있는 음료용 컵 뚜껑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컵 용기의 음료를 직접 마실 수 있는 음료용 컵 뚜껑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컵 용기로부터 분리하여 별도의 컵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음료용 컵 뚜껑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컵 형태이며, 컵 용기의 상측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 및 상기 컵 용기에 담긴 음료가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는 음료용 컵 뚜껑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하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컵 용기의 상단 테두리 외측에 결합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일측 상단에서 상기 몸체의 일측 상부를 덮도록 상향 만곡지게 형성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공간부로 유입된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타측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타측 상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토출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토출홈은 상기 몸체의 내측 테두리부터 상기 몸체의 외측 테두리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토출홈의 바닥면에 U자 형태로 절취선이 형성되는 꺾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취선을 따라 상기 꺾임부가 꺾여서 상기 컵 용기와 연통하는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토출홈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되는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유입구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는 역류방지 단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바닥면 하부에 형성되는 단열 공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컵 뚜껑에 의하면, 컵 용기에 담긴 뜨거운 음료를 뚜껑의 공간부로 유입시킨 후, 식혀서 마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컵 뚜껑에 의하면, 컵 용기로부터 분리하여 별도의 컵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 뚜껑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의 형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 뚜껑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 뚜껑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 뚜껑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 뚜껑(이하, '뚜껑')(100)은, 내부에 공간부(110)가 형성된 컵 형태의 외관을 가지며, 컵 용기(10, 도 4 참조)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100)은 컵 형태의 몸체(120)를 가지며, 몸체(120)의 일측에는 유입구(121)가 관통 형성된다.
몸체(120)는 예컨대, 일반적으로 커피나 탄산음료 등 1회용 컵 용기의 뚜껑에 사용되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 공간부(110)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컵 형태의 외관을 갖는다.
뚜껑(100)은 컵 용기(1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위해 몸체(12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걸림부(130)가 하향 돌출 형성된다. 이 걸림부(130)는 컵 용기(10) 상측에 뚜껑(100) 결합시 컵 용기(10)의 상단 테두리 외측에 탄성적으로 결합 지지된다.
또한, 몸체(120)의 일측에는 유입구(121)가 관통 형성되며, 이 유입구(121)를 통해 컵 용기(10)의 내부 공간부(11)와 뚜껑(100) 몸체(120)의 내부 공간부(110)가 상호 연통하게 된다. 즉, 컵 용기(10)에 담긴 음료가 유입구(121)를 통해 뚜껑(100) 몸체의 내부 공간부(110)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몸체(12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121)가 소정의 폭과 길이로 절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20)의 일측 상단에는 몸체(120)의 일측 상부를 덮도록 덮개부(140)가 형성된다. 예컨대, 덮개부(1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20) 상부의 거의 1/2에 해당하는 면적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덮개부(140)의 형성 면적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40)는 몸체(120)의 일측 상단에서 상향 만곡지게 형성되며, 덮개부(140)의 외측면과 내측면은 몸체(120)의 상부를 향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덮개부(140)는, 유입구(121)를 통해 뚜껑(100) 몸체(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음료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한편, 뚜껑(100) 몸체(120)의 내부로 충분한 양의 음료가 유입되도록 유입 공간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는바, 이에 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100)은, 컵 용기(10)로부터 분리되어 별도의 컵 용기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는 뚜껑(100)으로부터 덮개부(140)를 완전히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덮개부(140)는 하단 테두리를 따라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절취부(141)가 형성되며, 사용자는 필요시 이 절취부(141)를 따라 몸체(120)로부터 덮개부(140)를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절취부(141)는 홈, 또는 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연속되는 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입구(121)로 절취부(141)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덮개부(140)가 몸체(120)의 일측 상부를 덮도록 형성됨에 따라, 몸체(120)의 타측 상부는 개방되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몸체(120) 내부의 공간부(110)에 담긴 음료를 마실 수 있다.
이때, 몸체(120)의 타측 상단에는 몸체(120)의 공간부(110) 둘레를 따라 소정의 폭으로 플랜지부(150)가 형성되며, 이 플랜지부(150)의 상측면에는 공간부(110)와 연통하도록 오목하게 토출홈(151)이 형성된다. 토출홈(151)은 플랜지부(150)의 내측 테두리로부터 외측 테두리까지 연장 형성되며, 컵 용기(10)를 기울였을 때 뚜껑(100)의 공간부(110)에 담긴 음료가 토출홈(151)을 따라 흐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토출홈(151)에 입을 대고 컵 용기(10)를 기울임으로써, 뚜껑(100)에 담긴 음료를 마실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의 형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홈(151)의 바닥면에는 U자 형태의 절취선(161)으로 구획되는 꺾임부(160)가 형성되며, 사용자는 이 꺾임부(160)를 가압하여 절취선(161)을 따라 아래쪽으로 꺾을 수 있다. 이때, 아래쪽으로 꺾인 꺾임부(160)에 의해, 컵 용기(10)와 토출홈(151)을 연통하도록 토출구(152)가 형성되며, 사용자는 이 토출구(152)를 통해 컵 용기(10)에 담긴 음료를 직접 마실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절취선(161)은 홈, 또는 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연속되는 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토출홈(151)의 바닥면에 토출구(152)가 관통 형성되고, 이 토출구(152)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마개로서 시트지(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시트지를 부착한 상태로 토출홈(151)을 통해 뚜껑(100)의 공간부(110)에 담긴 음료를 마시거나, 시트지를 제거하고 토출구(152)를 통해 컵 용기(10)에 담긴 음료를 직접 마실 수 있다. 이때, 또 다른 예로서, 시트지를 대신하여 토출구(152)에 끼움 결합되는 마개(미도시)가 토출구(152)의 일측에 별도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 뚜껑의 사용 상태도이다.
컵 용기(10)의 상단에 뚜껑(100)을 결합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00)의 일측을 아래쪽으로 기울이면, 컵 용기(10)에 담긴 음료가 유입구(121)를 통해 뚜껑(100)의 공간부(110)로 유입된다. 이때, 덮개부(140)는 컵 용기(10)를 기울였을 때 유입구(121)를 통해 뚜껑(100) 내부로 유입된 음료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덮개부(140)가 뚜껑(100)의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됨에 따라, 평평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는 경우보다 더 많은 양의 음료를 담을 수 있게끔 공간부(110)가 확장된다.
유입구(121)를 통해 뚜껑(100)의 공간부(110)로 유입된 음료는 뚜껑(100)의 공간부(110)에 저장되며, 이때 덮개부(140)의 반대편이 개방되어 있음에 따라, 뜨거운 음료가 외기와 접촉하면서 식게 된다. 즉, 사용자는 컵 용기(10)를 기울여 컵 용기(10)의 뜨거운 음료를 뚜껑(100)의 공간부(110)에 일정량만큼 덜어서 식힐 수 있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00)의 타측(덮개부(140) 반대편)을 아래쪽으로 기울이면, 뚜껑(100)의 공간부(110)에 저장된 음료가 토출홈(151)을 통해 흐르게 되며, 사용자는 토출홈(151)에 입을 갖다대어 음료를 마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100)에 의하며, 컵 용기(10)의 뜨거운 음료를 조금씩 덜어서 식혀 마실 수 있다. 또한, 유입구(121)를 통해 뚜껑(100)의 공간부로 유입되는 양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마실 때 한 번에 많은 양의 음료가 얼굴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한 모금씩 마시기에 적절한 양만큼을 마실 수 있게 된다.
한편, 컵 용기(10)에 남은 음료가 충분히 식은 경우, 또는 컵 용기(10)에 남은 음료의 양이 적은 경우 등 필요한 때에는, 꺾임부(160)를 꺾어서 토출구(152)를 형성한 후, 토출구(152)를 통해 컵 용기(10)에 남은 음료를 직접 마실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좁은 토출구(152)를 통해 음료가 흘러나옴에 따라, 음료의 과흡입과 이에 따른 화상이나 목 걸림 등의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컵 뚜껑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뚜껑(100')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20')의 바닥면에 격벽(171)으로 구획된 별도의 단열 공간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단열 공간부(170)는 컵 용기(10)에 담긴 뜨거운 음료로부터 몸체(120')에 담긴 음료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냉각이 이루어지게끔 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컵 용기(10)로부터 뚜껑(100')을 분리하여 차가운 바닥에 올려놓았을 때, 바닥면을 통해 외부의 차가운 온도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몸체(120')에 담긴 음료를 따뜻하게 보온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단열 공간부(17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구(121')의 상측에 역류방지 단턱(18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역류방지 단턱(18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용기(10)를 기울여 뚜껑(100') 내부로 음료가 유입되게 한 후 다시 똑바로 세울 때, 뚜껑(100') 내부로 유입된 음료가 유입구(121')를 통해 다시 컵 용기(1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21')의 상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꺾이는 형태로 역류방지 단턱(18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음료의 뚜껑(100') 내부 유입은 유입구(121')와 역류방지 단턱(18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이루어지며, 유입된 음료는 역류방지 단턱(180)에 걸려서 역류가 방지된다. 이러한 역류방지 단턱(180)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100' : 뚜껑
110 : 공간부
120,120' : 몸체
121,121' : 유입구
130 : 걸림부
140 : 덮개부
150 : 플랜지부
151 : 토출홈
151 : 토출구
160 : 꺾임부
170 : 단열 공간부
180 : 역류방지 단턱

Claims (9)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컵 형태이며, 컵 용기의 상측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
    상기 컵 용기에 담긴 음료가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유입구;
    상기 몸체의 일측 상단에서 상기 몸체의 일측 상부를 덮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를 향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덮개부; 및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덮개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부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절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컵 뚜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하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컵 용기의 상단 테두리 외측에 결합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컵 뚜껑.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공간부로 유입된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타측 상부가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컵 뚜껑.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타측 상단에 상기 몸체의 공간부 둘레를 따라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상측면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토출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토출홈은 상기 플랜지부의 내측 테두리부터 외측 테두리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컵 뚜껑.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토출홈의 바닥면에 U자 형태로 절취선이 형성되는 꺾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취선을 따라 상기 꺾임부가 꺾여서 상기 컵 용기와 연통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컵 뚜껑.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토출홈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되는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컵 뚜껑.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는 역류방지 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컵 뚜껑.
  9.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컵 형태이며, 컵 용기의 상측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
    상기 컵 용기에 담긴 음료가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유입구;
    상기 몸체의 일측 상단에서 상기 몸체의 일측 상부를 덮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를 향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덮개부; 및
    상기 몸체의 바닥면 하부에 형성되는 단열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컵 뚜껑.
KR1020200023376A 2020-02-26 2020-02-26 음료용 컵 뚜껑 KR102204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376A KR102204233B1 (ko) 2020-02-26 2020-02-26 음료용 컵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376A KR102204233B1 (ko) 2020-02-26 2020-02-26 음료용 컵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233B1 true KR102204233B1 (ko) 2021-01-15

Family

ID=74127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376A KR102204233B1 (ko) 2020-02-26 2020-02-26 음료용 컵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2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340U (ja) * 1992-10-01 1994-04-26 株式会社富近工業 飲用カップの蓋
KR20030065958A (ko) * 2002-02-02 2003-08-09 김성일 회전식 컵 뚜껑
KR100914339B1 (ko) * 2009-01-23 2009-08-28 송승민 컵뚜껑 조립체
KR20130003062U (ko) * 2011-11-15 2013-05-24 김영진 다기능 돔유닛을 갖는 핫 음료용 컵 뚜껑
WO2017044687A1 (en) * 2015-09-11 2017-03-16 Pavel Savenok Container lid assemblies for directing liquid flow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340U (ja) * 1992-10-01 1994-04-26 株式会社富近工業 飲用カップの蓋
KR20030065958A (ko) * 2002-02-02 2003-08-09 김성일 회전식 컵 뚜껑
KR100914339B1 (ko) * 2009-01-23 2009-08-28 송승민 컵뚜껑 조립체
KR20130003062U (ko) * 2011-11-15 2013-05-24 김영진 다기능 돔유닛을 갖는 핫 음료용 컵 뚜껑
WO2017044687A1 (en) * 2015-09-11 2017-03-16 Pavel Savenok Container lid assemblies for directing liquid flo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7076A (en) Spill and scald resistant beverage apparatus
US7992741B2 (en) Cup lid having a perimeter portion adapted to cause liquid to drain toward a central portion of the lid
US8113379B2 (en) Hot cup lid
US6176390B1 (en) Container lid with cooling reservoir
US6488173B2 (en) Beverage container lid having baffle arrangement for liquid cooling
US5699927A (en) Beverage cup lid having perpheral locking means for drinking opening closure member
US6758363B2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US7784641B2 (en) Beverage cup lid with a pull back type sipping hole closure
US10653256B2 (en) Lid
US20070012709A1 (en) Cup Lid Having a Bung-Like Stopper
WO2016153795A1 (en) Lid assemblies for drinking vessels and drinking vessels including the same
US9975674B2 (en) Airflow cooling lid
US20170224139A1 (en) Sip-Hole Improvement Insert Device
KR102204233B1 (ko) 음료용 컵 뚜껑
KR20090000477U (ko) 컵 뚜껑
JP2020507520A (ja) 飲料容器のための使い捨て蓋
JP2006507194A (ja) 液体の放熱用バッフル配列を有する飲料容器蓋
KR20200012549A (ko) 컵 뚜껑
EP3224153B1 (en) Beverage container lid
US6983861B2 (en) Dispensing apparatus
CN210708650U (zh) 饮料杯用杯盖
KR200349805Y1 (ko) 머그컵의 이중캡
JP2002104470A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H0720058Y2 (ja) 携帯用保温容器
JP2001206396A (ja) 保冷温容器用の栓体及び保冷温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