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339B1 - 컵뚜껑 조립체 - Google Patents

컵뚜껑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339B1
KR100914339B1 KR1020090006062A KR20090006062A KR100914339B1 KR 100914339 B1 KR100914339 B1 KR 100914339B1 KR 1020090006062 A KR1020090006062 A KR 1020090006062A KR 20090006062 A KR20090006062 A KR 20090006062A KR 100914339 B1 KR100914339 B1 KR 100914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lid
outlet hole
cup
beverage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승민
Original Assignee
송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승민 filed Critical 송승민
Priority to KR1020090006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음료 유출공을 재밀폐 가능하게 하고, 유출공을 재밀폐시키는 탭(tab)으로 인한 음용시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며, 음료의 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개선된 컵뚜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 컵뚜껑 조립체는; 컵뚜껑(110)은 유출공(111)과 동일 원주상 임의 지점에 제1고정홈(113)이 형성되고, 유출공(111)과 제1고정홈(113)으로부터 등간격 위치에 중심홈(112)이 형성되며,
탭(120)은 그 일단부 저면에 중심홈(1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중심돌부(122)가 형성되고, 타단부 저면에 유출공(111)과 제1고정홈(113)에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돌부(12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조립체는 탭(120)의 마개돌부(121)로 컵뚜껑의 음료 유출공(111)을 재밀폐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관중 또는 이동중 음료의 냉각속도를 줄이고 먼지의 유입을 방지시키며 이동중 또는 넘어짐에 따른 음료의 누출을 방지시킨다.
컵뚜껑, 탭, 마개돌부, 유출공, 종심돌부

Description

컵뚜껑 조립체{A lid assembly for cup}
본 발명은 컵뚜껑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음료 유출공을 재밀폐 가능하게 하고, 유출공을 재밀폐시키는 탭(tab)으로 인한 음용시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며, 음료의 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개선된 컵뚜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스트푸드점이나 테이크아웃점 등에서 사용되는 음료용컵에는 음료의 냉각을 방지하고 먼지등의 이물질이 음료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시키며 이용중 음료의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음료용컵에는 음료의 냉각방지, 먼지유입방지 및 음료의 넘침방지를 위해 컵뚜껑이 결합되지만, 음료를 음용시마다 컵뚜껑 전체를 개폐시켜야 하는 불편함 및 개폐시 마다 음료의 넘침으로 주변오염 및 음료손실이 발생되곤 한다.
이를 위해서 음료용컵 뚜껑에는 빨대의 결합이나, 소비자가 입을 대고 음료를 직접 음용할 수 있도록 음료가 유출될 수 있는 유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컵뚜껑에 유출공이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음료용컵이 넘어지거나 이동중 흔들림에 의해서 음료가 누출될 수 있으며, 또한 유출공을 통하여 먼지가 유입되거나 음료가 냉각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음료컵용 컵뚜껑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09095호에 개시되고 그 일예의 도면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컵뚜껑(A)의 빨대공(10)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빨대공(10)의 뚜껑 기능을 하는 뚜껑편(20)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뚜껑편(20)의 중앙부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돌출부(22)가 형성되어 있고, 뚜껑편(20)의 가장자리 일부분과 이에 대응되는 빨대공(10)의 일부분은 분리 가능하게 연결편(40)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빨대공(10)과 뚜껑편(20)의 나머지 일부분은 절곡선(21)을 통해 상기 컵뚜껑(A)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컵뚜껑(A)은 돌출부(22)에 힘을 가하여 밀게 되면 연결편(40)이 절단되면서 뚜껑편(20)이 분리되어 고정홈(30)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빨대공(10)을 통하여 빨대를 꽂아 음용하거나 빨대공(10)을 통하여 직접 음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컵뚜껑(A)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기와 같은 컵뚜껑(A)은 열결편(40)이 절단되면서 뚜껑편(20)이 분리된 후에는 빨대공(10)을 재밀폐시키기 어렵다. 즉, 이동중 음료의 유동에 의해서 빨대공(10)을 통하여 음료가 누출될 수 있고 또한 음료의 보온상태 유지 및 먼지의 유입을 방지시키는데는 한계가 있다.
둘째, 도 3에서와 같이 빨대공(10)에 입(50)을 대고 직접 음용을 하게 되는 경우 컵 자체가 아래방향을 향하게 되는 바, 이 경우 뚜껑편(20)이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게 되어 음용자의 코부위등 신체부분을 접촉하게 되므로 편안한 음용을 방해 한다.
더욱이 컵뚜껑(A)은 합성수지재로 제조되게 되므로 수지의 탄성복원에 의해서 뚜껑편(20)의 아래방향으로의 이동은 더욱 원할해진다.
세째, 돌출부(22)에 힘을 가하여 연결편(40)을 절단시키면서 뚜껑편(20)을 컵뚜껑(A)으로부터 일부분 분리시킬때, 제조불량에 의해 연결편(40)이 과도하게 두껍게 제조되는 경우 분리가 힘들고 심지어 과도한 힘이 가해지면서 뚜껑편을 분리시키는 경우 음료의 누출로 음료손실 및 주변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컵뚜껑의 음료 유출공을 재밀폐 가능하게 하고 유출공을 재밀폐시키는 탭(tab)으로 인한 음용시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된 컵뚜껑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출공을 재밀폐시키는 탭(tab)을 컵뚜껑에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컵뚜껑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탭(tab)을 위생적으로 안정할 수 있도록 개선된 컵뚜껑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음료가 수용되는 컵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음료가 유출되는 유출공이 형성된 컵뚜껑과, 상기 유출공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구비된 컵뚜껑 조립체에 있어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컵뚜껑은 그 중심부 상면에 중심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홈으로부터 상기 유출공보다 가까운 위치에 제2고정홈이 형성되며,
일단부 저면에 상기 중심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중심돌부가 형성되고, 타단부 저면에 상기 유출공에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돌부와 상기 제2고정홈에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돌부가 형성된 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조립체는 상기 탭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서 미끄럼방지돌기를 구비한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탭은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마개돌부의 돌출부분 반대측에는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탭(120)의 마개돌부(121)로 컵뚜껑의 음료 유출공(111)을 재밀폐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관중 또는 이동중 음료의 냉각속도를 줄이고 먼지의 유입을 방지시키며 이동중 또는 넘어짐에 따른 음료의 누출을 방지시킨다.
둘째, 음용시 유출공(111)을 재밀폐시키는 탭(tab)이 고정홈(113)(113a)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뚜껑편(20; 도 2참조)으로 인한 신체 안면부와의 접촉으 로 인한 음용시의 불편함을 해소한다.
세째, 마개돌부(121)가 유출공(111)에 탄력적으로 결합 및 분리됨으로써, 유출공(111)의 개폐를 간편하게 한다.
네째, 유출공(111)과 제2고정홈(113a)에 각각 전용적으로 마개돌부(121)와 고정돌부(124)가 결합 및 분리되게 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어서 먼지등으로 쉽게 오염될 수 있는 제2고정홈(113a)의 오염이 유출공(111)측으로 전염되는 것을 차단시켜 위생적으로 안전하다.
본 발명 실시예의 컵뚜껑 조립체는 패스트푸드점이나 테이크아웃점 등에서 사용되는 음료용컵에 결합되어서, 음료의 냉각을 방지하고 먼지등의 이물질이 음료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시키며 이용중 음료의 넘침을 방지시킨다.
특히, 본 발명 실시예의 컵뚜껑 조립체는 음료가 유출되는 유출공을 재밀폐 가능하게 하고, 채용되는 탭(tab)으로 인한 음용상의 불편을 해소하고 위생적으로 보다 안정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진다.
제 1 실시예의 컵뚜껑 조립체를 나타낸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는 음료가 수용되는 컵몸체(100)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음료가 유출되는 유출공(111)이 형성된 컵뚜껑(110)과, 상기 유출공(111)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개폐수단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상기 컵뚜껑(110)은 상기 유출공(111)과 동일 원주상 임의 지점에 제1고정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유출공(111)과 제1고정홈(113)으로부터 등간격 위치 에 중심홈(112)이 형성되며, 상기 유출공(111)을 개폐시키는 탭(tab;120)을 구비한다.
상기 유출공(111)과 인접하는 컵뚜껑(110) 상면에는 오목홈(114)을 형성하여서, 유출공(111)을 음용자의 입으로 감쌀때 신체 안면부의 돌출부가 진입될 수 있도록 하여 음용하기 편리하도록 하였다.
상기 탭(120)의 일단부 저면에는 상기 중심홈(1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중심돌부(122)가 형성되고, 타단부 저면에는 상기 유출공(111)과 제1고정홈(113)에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돌부(12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탭(120)의 단부에는 미끄럼방지돌기(123a)를 구비한 손잡이(123)가 연장형성되어 있다.
도 5에서 참조번호 115는 컵몸체(100)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둘레홈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뚜껑조립체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컵몸체(100)에 수용된 음료를 바로 마시지 않을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돌부(121)를 유출공(111)에 결합시킨다. 이 경우 컵몸체(100)가 넘어지거나 과도하게 흔들리는 경우에도 유출공(111)을 통하여 음료가 넘치지 않게 된다.
또한, 음료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123)를 파지하여 상부로 들어올리면서 유출공(111)으로부터 마개돌부(121)를 분리시키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돌부(122)를 중심으로 탭(120)을 180도 회전시켜서 마개돌부(121)를 제1고정홈(113)에 결합 고정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120)을 제1고정홈(113)에 결합고정시킨 상태에 서, 컵몸체(100)를 기울여 음용을 하게 되면 얼굴 안면부가 탭(120)과의 간섭없이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 컵뚜껑 조립체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실시예에서 제1고정홈(113)은 외부에 노출되어서 먼지등의 이물질로 쉽게 오염이 되게 되는데, 도 6에서와 같이 음용을 하기 위하여 마개돌부(121)를 제1고정홈(113)에 결합시키게 되는 경우 마개돌부(121)에 오염이 전염되게 되며, 오염된 마개돌부(121)를 다시 유출공(111)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내용물인 음료가 오염되어 위생적으로 안전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컵뚜껑(110)에는 그 중심부 상면에 중심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홈(112)으로부터 상기 유출공(111)보다 가까운 위치에 제2고정홈(113a)이 형성된다.
상기 탭(120)에는 일단부 저면에 상기 중심홈(1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중심돌부(122)가 형성되고, 타단부 저면에 상기 유출공(111)에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돌부(121)와 상기 제2고정홈(113a)에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돌부(124)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2실시예는 유출공(111)에는 전용적으로 마개돌부(121)가 결합 및 분리되게 되며, 제2고정홈(113a)에는 상기 고정돌부(124)가 전용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하여서, 제2고정홈(113a) 부분의 오염이 유출공(111)측으로 전염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컵뚜껑(110) 및 탭(120)은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유출공(111)에 마개돌부(121)가 탄성변형되면서 결합되어 재밀폐를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마개돌부(121)는 오목부(121a)를 겸비함으로써 탄성변형이 쉽게 이루어지며, 이 경우 유출공(111)보다 마개돌부(121)를 실질적으로 크게 형성하여서 밀폐성을 높였다.
마찬가지로 중심돌부(122)에도 오목홈이 형성되어서 탄성변형이 수월하도록 하여서 중심홈(112)에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컵뚜껑조립체는 탭(120)의 마개돌부(121)로 컵뚜껑의 음료 유출공(111)을 재밀폐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관중 또는 이동중 음료의 냉각속도를 줄이고 먼지의 유입을 방지시키며 이동중 또는 넘어짐에 따른 음료의 누출을 방지시킨다.
또한, 음용시 유출공(111)을 재밀폐시키는 탭(tab)이 고정홈(113)(113a)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뚜껑편(20; 도 2참조)으로 인한 신체 안면부와의 접촉으로 인한 음용시의 불편함을 해소한다.
또한, 유출공을 재밀폐시키는 탭(tab)을 컵뚜껑에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컵뚜껑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유출공(111)과 제2고정홈(113a)에 각각 전용적으로 마개돌부(121)와 고정돌부(124)가 결합 및 분리되게 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어서 먼지등으로 쉽게 오염될 수 있는 제2고정홈(113a)의 오염이 유출공(111)측으로 전염되는 것을 차단 시켜 위생적으로 안전하다.
도 1은 종래 컵뚜껑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컵뚜껑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컵뚜껑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컵뚜껑 조립체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컵뚜껑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Claims (4)

  1. 삭제
  2. 음료가 수용되는 컵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음료가 유출되는 유출공이 형성된 컵뚜껑과, 상기 유출공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구비된 컵뚜껑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컵뚜껑(110)은 그 중심부 상면에 중심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홈(112)으로부터 상기 유출공(111)보다 가까운 위치에 제2고정홈(113a)이 형성 되며,
    일단부 저면에 상기 중심홈(1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중심돌부(122)가 형성되고, 타단부 저면에 상기 유출공(111)에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돌부(121)와 상기 제2고정홈(113a)에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돌부(124)가 형성된 탭(12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뚜껑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탭(120)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서 미끄럼방지돌기(123a)를 구비한 손잡이(1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뚜껑 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탭(120)은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마개돌부(121)의 돌출부분 반대측에는 오목부(12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뚜껑 조립체.
KR1020090006062A 2009-01-23 2009-01-23 컵뚜껑 조립체 KR100914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062A KR100914339B1 (ko) 2009-01-23 2009-01-23 컵뚜껑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062A KR100914339B1 (ko) 2009-01-23 2009-01-23 컵뚜껑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339B1 true KR100914339B1 (ko) 2009-08-28

Family

ID=41210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062A KR100914339B1 (ko) 2009-01-23 2009-01-23 컵뚜껑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3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233B1 (ko) * 2020-02-26 2021-01-15 황창연 음료용 컵 뚜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9739A (en) 1969-11-19 1972-05-02 Crown Cork & Seal Co Easy-open pull-tab construction for a container
US4629088A (en) 1985-03-11 1986-12-16 Handi-Kup Company Container lid with drink-through opening
KR20070030984A (ko) * 2005-09-14 2007-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봉입형 마운트
US7275653B2 (en) 2005-03-10 2007-10-02 International Paper Company Reclosable container li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9739A (en) 1969-11-19 1972-05-02 Crown Cork & Seal Co Easy-open pull-tab construction for a container
US4629088A (en) 1985-03-11 1986-12-16 Handi-Kup Company Container lid with drink-through opening
US7275653B2 (en) 2005-03-10 2007-10-02 International Paper Company Reclosable container lid
KR20070030984A (ko) * 2005-09-14 2007-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봉입형 마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233B1 (ko) * 2020-02-26 2021-01-15 황창연 음료용 컵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9368B2 (en) Multifunctional mug cap with a sipper and straw
US6752287B1 (en) Splash-proof beverage lid slide closure
JP4809910B2 (ja) 飲料用容器
US20110068113A1 (en) Sanitary Cup Lids
JP2003212258A (ja) 飲料用容器の中栓
US20120217245A1 (en) Cup lid with plug
US7497349B2 (en) Travel mug
KR20100086700A (ko) 음료컵용 컵뚜껑 조립체
KR100914339B1 (ko) 컵뚜껑 조립체
CN207658343U (zh) 杯盖
JP2008062952A (ja) 飲料用カップ蓋
JP6291383B2 (ja) 飲料缶の飲み口キャップ
KR101025484B1 (ko) 일체형 탭을 가지는 컵뚜껑 구조체
KR200271323Y1 (ko)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US20190175453A1 (en) A lid for a drinking bottle
CN210055516U (zh) 杯盖和杯子
KR101622732B1 (ko) 음료 용기용 뚜껑
KR20210014424A (ko) 페트병처럼 개폐할 수 있는 일회용 플라스틱 컵의 뚜껑
CA3116376A1 (en) Tamper-proof cup cover and drink cup having the same
CA2692059A1 (en) Cap for a container
TWM567593U (zh) Paper cup cover
CN210708650U (zh) 饮料杯用杯盖
JP3124841U (ja) 蓋付き飲用容器
US11358757B2 (en) Lid for a cup
KR20120000314A (ko) 원터치 개봉수단이 구비된 병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