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142A -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 - Google Patents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142A
KR19990037142A KR1019980043273A KR19980043273A KR19990037142A KR 19990037142 A KR19990037142 A KR 19990037142A KR 1019980043273 A KR1019980043273 A KR 1019980043273A KR 19980043273 A KR19980043273 A KR 19980043273A KR 19990037142 A KR19990037142 A KR 19990037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bullet
movable
movable membe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3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1259B1 (ko
Inventor
게이이치 구니모토
Original Assignee
게이이치 구니모토
웨스턴 아암스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이이치 구니모토, 웨스턴 아암스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게이이치 구니모토
Publication of KR19990037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2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50Magazines for compressed-gas guns; Arrangements for feeding or loading projectiles from magazines
    • F41B11/55Magazines for compressed-gas guns; Arrangements for feeding or loading projectiles from magazines the projectiles being stored in stacked order in a removable box magazine, rack or tubular magazine
    • F41B11/56Magazines for compressed-gas guns; Arrangements for feeding or loading projectiles from magazines the projectiles being stored in stacked order in a removable box magazine, rack or tubular magazine the magazine also housing a gas cartrid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70Details not provided for in F41B11/50 or F41B11/60
    • F41B11/72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41B11/721Valves; Arrangement of valves for controlling gas pressure for both firing the projectile and for loading or feeding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은 이곳으로 부터 가스 도입 통로(44)가 연장되는 압력 축적 챔버(43)와, 배럴 구조체(2)를 따라 이동가능한 슬라이더(60)와, 상기 배럴 구조체(2)의 후방에서 상기 슬라이더(60)에 고정된 압력 수용부(61A)와, 제 1 및 제 2 내부 공간(23;73, 24;74)을 구비하고 탄환 유지 챔버(4)의 후방에 정렬되는 가동부재(20;70)와,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를 상기 가동부재(20;70)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공간(23;73, 24;74)에 연결하기 위하여 가동부재(20;70)의 외측에 제공되는 통로 연결부(47;77) 및, 상기 통로 연결부(47'77)에 제공되는 가동 밸브(46;76)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가 가동부재(20;70)에서 제 1 및 제 2 내부 공간(23;73, 24;74)에 상기 통로 연결부(47;77)를 통하여 연결되는 주기 동안에, 상기 탄환 유지 챔버(4)에서 허위 탄환(sham bullet;BB)의 가동부재(20;70)의 제 1 내부 공간(23;73)을 통하여 작동하고,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로 부터 가동부재(20;70)에서 제 1 내부공간(23;73)를 통하여 탄환 유지부재(4)에 가스 흐름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로 부터 가스 도입 통로(44)를 통하여 가스가 유도되도록, 상기 가동 밸브(46;76)은 선택적으로 작동되며, 그래서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로 부터의 가스 도입통로(44)를 통하여 유도된 가스는 압력 수용부(61A)에서 가동부재(20;70)의 제 2 내부공간(24;74)을 통하여 작동함으로써, 상기 압력 수용부(61A)가 슬라이더(60)와 함께 뒤로 이동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스압력으로 쏘아지게 되는 허위 탄환(sham bullet)를 가진 배럴 구조체의 후방부에 제공되는 탄환 유지 부재를 자동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가스 압력을 사용하여 작동되는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에 관한 것이다.
종종, 에어 소프트 건(air soft gun)으로 불리우는 완구총은 실제총의 색깔뿐만 아니라 이것의 분명한 작동까지 실제총을 모방하도록 제조된다. 방아쇠를 당기는 작동에 따라서 배럴을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실제총을 모방하도록 제조되는 이들 완구총중의 하나로서, 예를 들면 공보번호 3-38593으로 심사전에 공보된 일본 실용신안 특허출원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위 탄환을 가진 배럴의 바로 후방에 있는 탄환 유지챔버를 제공하고, 상기 탄환 유지챔버에 넣어진 허위 탄환을 쏘기 위하여 가스 압력이 사용되는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렇게 제안된 장치에 따라서, 압축 공기가 포함되고 작동 밸브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도록 제어되는 공기 도입 통로를 가지는 압력 축적 밤(bomb)과, 허위 탄환(sham bullet)를 포함하기 위한 매거진과, 제 1 및 제 2 밸브와, 제 1 및 제 2 공기 통로 및, 탄환 공급 레버가 그립에 제공되고, 공기 실린더는 매거진 판을 가진 배럴의 후방단부에 대향되도록 배럴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게 제공되는 슬라이더에 위치되며,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매거진 판과 결합되는 회전 아암과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되는 스프링 안내 부재가 부가로 제공되며, 상기 매거진에 포함된 허위 탄환 각각은 배럴 내부로 공급되며, 그 다음 압축 공기로써 배럴을 통하여 상기 압력 축적 밤으로 부터 사격된다.
상술된 장치가 적용되는 완구총에서, 방아쇠가 당겨질 때, 상기 제 1 밸브는 작동 밸브에 의하여 개방되는 공기 도입 통로를 통하여 상기 압력 축적 밤으로 부터 방출되는 압축 공기가 제 1 공기 통로를 통하여 공기 실린더의 내부쪽으로 도입되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작동되며, 상기 공기 실린더에 제공되는 피스톤은 슬라이더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압축 공기의 압력으로 이동된다. 상기 공기 실린더는 상기 실린더가 미리정해진 위치인 후방으로 이동된 후에 공기 방출 상태로 이동된다. 상기 스프링 안내 부재는 또한 스프링 부재를 압축하기 위하여 슬라이더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회전 아암은 매거진 판을 하방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회전된다. 상기 매거진 판에 형성된 탄환 유지 구멍은 상기 매거진 판이 하향으로 이동될 때 허위 탄환이 허위 탄환을 포함하기 위한 매거진의 바깥으로 민다면 상기 허위 탄환에 대향되게 위치된다. 그 다음, 허위 탄환을 포함하기 위한 매거진의 바깥으로 밀려지게 되는 허위 탄환이 방아쇠와 함께 이동되는 탄환 공급 레버에 의하여 매거진 판의 탄환 유지 구멍에 놓이게 된다.
그 다음, 상기 공기가 공기 실린더로 부터 배출되는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가 초기 위치로 복귀될 때, 상기 스프링 부재는 초기 위치로 스프링 안내 부재를 복귀시키기 위하여 작동가능하며, 그럼으로써 상기 회전 캠은 매거진 판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회전됨으로써, 상기 허위 탄환이 놓여 있는 매거진 판의 탄환 유지 구멍은 배럴의 후방 단부에 대향되는 초기 위치로 이동된다. 매거진 판에 형성된 탄환 유지 구멍에 허위 탄환을 유지하는 매거진 판이 초기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제 2 밸브는 압력 축적 밤으로 부터 작동 가능한 밸브에 의하여 개방되는 공기 도입 통로를 통하여 방출되는 압축 공기가 제 2 공기 통로를 통하여 방아쇠의 운동과 함께 회전되는 햄머에 의하여 매거진 판에 형성된 탄환 유지 구멍으로 도입되되도록 하며, 상기 탄환 유지 구멍에 있는 허위 탄환은 탄환 유지 구멍내로 도입되는 압축 공기로써 배럴을 통하여 발사된다.
상기 배럴과 허위 탄환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슬라이더가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 공기를 가진 압축 챔버를 공급하고 압력 챔버로 부터의 압축 공기를 방출함으로써 매거진 판에 형성된 탄환 유지 구멍에 공급되는 압력 챔버를 형성하기 위하여 공기 실린더가 제공되는 이미 설명한 완구총에서, 자동 탄환 공급하에서 다수의 허위 탄환을 연속적으로 사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작동 밸브에 부가하여 압력 축적 밤에 대하여 제 1 및 제 2 밸브가 제공되는 상태에서, 공기 도입 통로를 개방하기 위한 위치에서 작동 밸브를 유지하도록 작동가능한 상호 연결부와, 상기 제 1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제어기구와, 제 2 밸브 등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햄머를 포함하는 공기 제어 구조체는 이것의 구성에서 큰 스케일로 너무 복잡하고, 그래서 상기 공기 구조체가 적절하게 정렬되는 완구총 공간에서 고착하는 것이 쉬운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공기 제어 구조체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밸브는 압력 축적 밤을 형성하는 공기 도입 통로에 공급되는 공기 압력을 기본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서로 인접되게 정렬되기 때문에, 매우 심한 제한이 제 1 및 제 2 밸브의 장치에 가해짐으로써, 제 1 및 제 2 밸브의 장치 디자인에서 자유도는 바람직하지 못하게 감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럴 구조체의 후방부에 제공되는 압력 축적 챔버로 부터 연장되는 가스 도입 통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가스 압력으로 허위 탄환이 사격되도록 제공되는 탄환 유지 챔버와, 탄환 유지 챔버의 허위 탄환이 사격된 이후에 다음의 허위 탄환으로 상기 탄환 유지 챔버를 공급하기 위한 준비를 하기 위하여 가스 도입 통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가스 압력으로 배럴 구조체를 따라 뒤로 이동되도록 슬라이더가 제공되는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러한 점은 종래기술에서 발생되는 상술된 단점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허위 탄환이 압력 축적 챔버로 부터 연장되는 가스 도입 통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가스 압력으로 사격되도록 제공되는 탄환 유지 챔버가 배럴 구조체의 후방부에 제공되며, 상기 탄환 유지 챔버에서의 허위 탄환이 사격된 이후에 다음의 허위 탄환으로 상기 탄환 유지 챔버를 공급하기 위한 준비를 하기 위하여 가스 도입 통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가스 압력으로 상기 배럴 구조체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슬라이더가 제공되며, 상기 가스 도입 통로와 함께 압력 축적 챔버에 대하여 형성된 가스 흐름 공간에 제공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도입 통로를 통하여 압력 축적 챔버로 부터 추출되는 가스를 제어하기 위하여 작동가능한 가스 제어 구조체가 이것의 구성에서 매우 작은 스케일로 심플하게 되는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허위 탄환이 압력 축적 챔버로 부터 연장되는 가스 도입 통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가스 압력으로 사격되도록 제공되는 탄환 유지 챔버가 배럴 구조체의 후방부에 제공되며, 상기 탄환 유지 챔버에서의 허위 탄환이 사격된 이후에 다음의 허위 탄환으로 상기 탄환 유지 챔버를 공급하기 위한 준비를 하기 위하여 가스 도입 통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가스 압력으로 상기 배럴 구조체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슬라이더가 제공되며, 상기 가스 도입 통로와 함께 압력 축적 챔버에 대하여 형성된 가스 흐름 공간에 제공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도입 통로를 통하여 압력 축적 챔버로 부터 추출되는 가스를 제어하기 위하여 작동가능한 가스 제어 구조체가 이것의 구성에서 매우 작은 스케일로 심플하게 되고, 가스 흐름 공간에 제공되는 밸브의 장치에 대한 제한이 효과적으로 감소되는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 도 10 및,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조와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조와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조와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조와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조와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의 제 6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조와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개략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배럴 구조체 4: 탄환 유지 챔버
43: 압력 축적 챔버 44: 가스 도입 통로
60: 슬라이더 61A: 압력 수용부
20,70: 가동부재 44,77: 통로 연결부
23,73: 제 1 내부공간 24,74: 제 2 내부공간
본 발명에 따라서, 가스 도입 통로가 연장되는 압력 축적 챔버와, 상기 가스 도입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제 1의 가동 밸브와, 배럴 구조체의 후방부에 제공되는 탄환 유지 챔버와, 상기 배럴 구조체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배럴 구조체의 후방에 위치되고 슬라이더와 이동가능하도록 슬라이더에 고정된 압력 수용부와, 상기 탄환 유지 챔버를 향하여 개방된 제 1 내부 공간과, 상기 압력 수용부를 향하여 개방된 제 2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탄환 유지 챔버의 후방에 정렬된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의 위치에 의존하면서 가동부재의 제 1 및 제 2 내부공간에 가스 도입통로를 연결하기 위하여 가동부재의 외측에 제공되는 통로 연결부 및, 상기 통로 연결부에 제공된 제 2의 가동 밸브를 포함하는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이 제공되는데, 여기에서 상기 가스 도입 통로가 통로 연결부를 통하여 가동부재에서 제 1 및 제 2 내부공간에 연결되고, 상기 가동 밸브가 가스 도입 통로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제어하는 주기 동안에, 상기 가스 도입 통로를 통하여 얍력 축적 챔버로 부터 추출되는 가스는 가동부재의 제 1 내부공간을 통하여 탄환 유지 챔버의 허위 탄환에 작용하도록 하는 것과, 상기 가동부재의 제 1 내부공간을 통하여 상기 가스 도입 통로로 부터 탄환 유지 챔버로 흐르는 가스를 차단하는 것을 상기 제 2 가동 밸브(46;76)가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압력 축적 챔버로 부터 가스 도입 통로를 통하여 추출되는 가스는 가동부재의 제 2 내부공간을 통하여 압력 수용부에 작용하게 되어, 제 1 압력 수용부가 슬라이더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며, 그 다음 매거진으로 부터 허위 탄환을 탄환 유지 챔버에 공급하기 위한 준비를 하기 위하여 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가동부재의 위치에 의존하면서 가동부재의 제 1 및 제 2 내부공간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단일 연결 공간 또는, 상기 가동부재의 위치에 의존하면서, 상기 가동부재의 제 1 및 제 2 내부공간에 연결되는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연결통로를 구비한다.
상기 통로 연결부 그룹은 제 2의 가동 밸브와, 제 1 가동 밸브와, 가스 도입 통로 및 가스 축적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동 밸브와, 가스 도입 통로 및 압력 축적 챔버의 그룹 또는, 상기 압력 축적 챔버는 배럴 구조체와, 탄환 유지 챔버, 슬라이더, 압력 수용부 및 가동부재를 포함하는 완구총의 몸체에 부착가능하게 유지되는 케이스에 포함되고, 상기 완구총의 몸체는 배럴 구조체와, 탄환 유지 챔버와, 슬라이더와, 압력 수용부와, 가동부재 및 상기 제 2의 가동 밸브를 포함하는 통로 연결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완구총의 몸체는 상기 배럴 구조체와, 탄환 유지 챔버와, 슬라이더와, 압력 수용부와, 가동부재와, 상기 제 2의 가동 밸브를 포함하는 통로 연결부와, 상기 제 1의 가동 밸브 및 가스 도입 통로를 포함한다.
그래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완구총에서, 상기 압력 축적 챔버로 부터 방출된 가스를 제어하기 위하여 작동가능한 가스 제어 장치는, 상기 압력 축적 챔버로 부터 연장되는 가스 도입 통로를 개방 및 폐쇄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 1의 가동 밸브와, 상기 가동 밸브의 위치에 의존하면서 상기 가동부재의 제 1 및 제 2의 내부공간에 가스 도입 통로를 연결하기 위하여 작동가능한 통로 연결부에 제공되는 제 2의 가동 밸브에 의해 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의 가동 밸브가 가스 도입 통로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주기 동안에, 상기 제 2의 가동 밸브는, 압력 축적 챔버로 부터 가스 도입 통로를 통하여 추출되는 가스가 상기 가동부재의 제 1의 내부공간을 통하여 탄환 유지 챔버의 허위 탄환에 작용하도록 하는 것과, 상기 가동부재의 제 1 내부공간을 통하여 가스 도입 통로로 부터 탄환 유지 챔버로 흐르는 가스를 차단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압력 축적 챔버로 부터 가스 도입 통로를 통하여 추출되는 가스는 가동부재의 제 2 내부공간을 통하여 압력 수용부에 작용하고, 그래서 상기 제 1 압력 수용부를 슬라이더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그 다음 또한 상기 가동부재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 1 및 제 2의 가동 밸브를 포함하는 가스 제어 장치는 이것의 구성에서 매우 작은 스케일로 간략하게 될 수 있도록 제공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가스 제어 장치가 적절하게 정렬되는 완구총 공간의 몸체에 고착하는 것이 쉽게 된다. 또한, 상기 가스 도입 통로를 통하여 압력 축적 챔버로 부터 추출되는 가스가 탄환 유지 챔버의 허위 탄환과 슬라이더와 이동가능한 압력 수용부 위에 선택적으로 작용하고, 상기 통로 연결부에 제공되는 단일 밸브로서 제 2의 가동 밸브에 의하여 제어되기 때문에, 상기 완구총의 제 2의 가동 밸브의 장치에 있는 제한은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또한, 상기 탄환 유지 챔버를 향하여 개방된 제 1의 내부공간과, 압력 수용부를 향하여 개방된 제 2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통로 연결부가 가동부재의 위치에 의존하면서 가동부재의 제 1 및 제 2 내부공간에 가스 도입 통로를 연결하기 위하여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가스 도입 통로를 통하여 압력 축적 챔버로 부터 추출되는 가스는 탄환 유지 챔버의 허위 탄환과, 통로 연결부에 제공되는 제 2의 가동 밸브에 의한 압력 수용부위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매우 간단한 구조로 확실하게 수행된다.
상기 가동부재의 위치에 의존하면서, 가동부재의 제 1 및 제 2 내부공간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연결통로를 구비하는 통로 연결부가 사용되는 케이스에서, 상기 탄환 유지 챔버의 허위 탄환과 통로 연결부에 제공되는 제 2의 가동 밸브에 의하여 압력 수용부에 선택적으로 작용하기 위하여 가스 도입 통로를 통하여 압력 축적 챔버로 부터 추출되는 가스의 제어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보다 확실하고 효과적으로 실행된다.
상기 가동부재의 위치에 의존하면서 가동부재의 제 1 및 제 2 내부 공간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단일 연결 공간을 가지는 통로 연결부가 사용되는 케이스에서, 상기 가스 도입 통로를 통하여 압력 축적 챔버로 부터 추출되는 가스의 제어가 탄환 유지 챔버의 허위 탄환과 통로 연결부에 제공되는 제 2의 가동 밸브에 의한 압력 수용부위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매우 간단하고 생산성이 있는 구조로 확실하게 실행된다.
또한, 상기 제 2의 가동 밸브와, 제 1의 가동 밸브와, 가스 도입 통로 및 가스 축적 챔버를 포함하는 통로의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의 가동 밸브와, 가스 도입 통로 및 압력 축적 챔버의 그룹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압력 축적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배럴 구조체, 탄환 유지 챔버와, 슬라이더와, 압력 수용부 및 가동부재를 포함하는 완구총의 몸체, 배럴 구조체와, 탄환 유지 챔버와, 슬라이더와, 압력 수용부와, 가동부재 및 상기 제 2의 가동 밸브를 포함하는 통로 연결부를 포함하는 완구총의 몸체 또는, 배럴 구조체와, 탄환 유지 챔버와, 슬라이더와, 압력 수용부와, 가동부재와, 상기 제 2의 가동부재를 포함하는 통로 연결부와, 제 1의 가동 밸브 및 가스 도입 통로를 포함하는 완구총의 몸체에 부착가능하게 유지되는 케이스가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제 2의 가동 밸브와, 상기 가스 제어 장치의 주요 구성요소인 제 1의 가동 밸브 및 가스 도입 통로를 포함하는 가스 연결부가 사용자가 취급하기에 매우 쉽고 또한 높은 생산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에서, 상기 제 1 실시예는 방아쇠(1), 외부 배럴(2U) 및 내부 배럴(2I)를 포함하는 배럴 구조체(2)와, 상기 배럴 구조체(2)의 후방부에 위치된 탄환 유지 챔버(4)와, 햄머 구조체를 구성하는 제 1 햄머(6) 및 제 2 햄머(7) 및, 그립(8)이 제공되는 몸체(10)와, 상기 그립(8)에 부착가능하게 유지되는 케이스(40) 및, 상기 배럴 구조체(2)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는 슬라이더(60)를 가진다. 상기 탄환 유지 챔버(4)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 마찰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내부 배럴(2I)의 후방 단부와 연결되는 관형 부재(4A)로 형성된다.
이동가능한 바아 부재(11)는 상기 그립(8)에 제공되고, 상기 방아쇠(1)는 배럴 구조체(2)를 따른 방향에서 이동가능하게 제공된다. 방아쇠를 당길 때, 상기 방아쇠(1)는 몸체(10)에 제공되는 접촉부(12)의 전방의 기준 위치로 부터 후방으로 이동되고, 또한 상기 이동가능한 바아 부재(11)는 방아쇠(1)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동가능한 접촉 부재(16)는 이동가능한 바아 부재(11)의 후방 단부와 접촉되도록 제공된다. 상기 이동가능한 접촉 부재(16)는 몸체(10)에 대하여 축(14)이 부착되는 회전 레버(15)와 선택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60)는 전방부(60A)와, 상기 배럴 구조체(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전방부(60A)와 합체되고 상기 배럴 구조체(2)가 제공되는 몸체(10)의 부분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도록 부착된 후방부(60B)를 가진다. 상기 방아쇠(1)가 기준 위치에 놓이게 될 때, 상기 슬라이더(60)는 상기 몸체(10)의 전방 단부에 근접하도록 위치된 전방부(60A)와, 상기 배럴 구조체(2)와 그립(8)사이의 몸체(10)의 중간부를 덮기 위하여 위치되는 후방부(60B)의 전방 단부와의 기준위치에 놓이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60)의 전방부(60A)는 또한 코일 스프링(17)와 결합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17)은 전방으로 밀기 위하여 슬라이더(60)의 전방부(60A)에 대하여 탄성력을 발생하도록 작동하기 위하여 상기 방아쇠(1)의 전방에서 상기 배럴 구조체(2)를 따라 연장되는 안내 부재(18)에 장착됨으로써, 전체로 있는 상기 슬라이더(60)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향으로 놓이게 되는 코일 스프링(17)에 의하여 가압된다.
상기 슬라이더(60)의 후방부(60B)에서, 컵형상의 부재(61)는 후방부(60B)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더(60)와 이동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컵형상의 부재(61)의 저부는 압력 수용부(61A)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60)의 후방부(60B)에서, 가동부재(20)가 제공된다. 상기 가동부재(20)는 상기 슬라이더(60)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탄환 유지 부재(4)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컵형상의 부재(61)의 관형부(61B)의 안쪽과 바깥쪽으로 선택적으로 놓이게 되는 후방부와, 상기 탄환 유지 부재(4)가 형성되는 관형 부재(4A)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전방부 및, 상기 후방 및 전방부사이의 중간부를 가진다. 탄성 재료로 제조되는 밀봉 링 부재(21)는 상기 가동부재(20)의 후방부에 장착된다. 상기 가동부재(20)의 후방부가 컵형상의 부재(61)의 관형부(61B)에 삽입될 때, 상기 밀봉 링부재(21)는 가동부재(20)의 후방부의 외면과, 관형부(61B)의 내면사이의 공간을 밀폐적으로 밀봉하기 위하여 상기 관형부(61B)의 내면과 접촉하게 된다.
코일 스프링(22)은 서로 분리되는 제 1 내부공간(23) 및 제 2 내부공간(24)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내부 공간(23)은, 상기 가동부재(20)의 전방부에서 탄환 유지 챔버(4)를 향하여 있는 일단부의 개구와, 가동부재(20)의 중간부에서 하향으로 있는 다른 단부의 개구를 가진 굽혀진 가스 통로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 2 내부 공간(24)은 가동부재(20)의 후방부에서 압력 수용부(61A)를 향하여 있는 일단부의 개구와, 상기 가동부재(20)의 중간부에서 하향으로 있는 다른 단부의 개구를 가진 굽혀진 가스 통로를 구성한다. 상기 슬라이더(60)가 기준 위치에 놓이게 될 때, 상기 제 1 내부공간(23)의 일단부는 탄환 유지 챔버(4)에 연결되고, 제 2 내부공간(24)의 일단부는 압력 수용부(61A)에 밀접하게 대면하도록 위치된다.
상기 제 2 햄머(7)와 함께 햄머 구조체를 구성하는 제 1 햄머(6)는 컵형상 부재(610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상부와, 다수의 결합 스텝을 가지고 상기 제 2 햄머(7)의 후방에서 몸체(10)의 후방 단부에 대하여 축(25)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후방부를 가진다. 제 1 햄머(6)의 저부에 대한 축(28)과 연결되는 다른 단부를 가지는 햄머 스트러트(hammer strut;27)의 일단부는 그립(8)의 저부에 제공되는 코일 스프링(26)을 가진 캡(26A)을 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 햄머(6)는 도 1에서 화살표a(a는 방향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방향에서 회전하기 위하여 코일 스프링(26)에 의하여 햄머 스트러트(27)와 캡(26A)을 통하여 가압된다. 상기 케이스(40)가 그립(8)내로 삽입되는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 1 햄머(6)는 각각의 결합부(7A)가 제 2 햄머(7)에 제공되고 회전 레버(15)의 상단부가 제 1 햄머(6)의 저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위치된다.
상기 제 2 햄머(7)는 이것의 상단부에서 결합부(7A)를 가지며, 이것의 저단부에서 몸체(10)에 대한 축(29)과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부착된다. 록킹 부재(31)와 코일 스프링(32)은 제 2 햄머(7)의 상부에 제공되고, 노치(7B)는 또한 회전 레버(15)를 통하여 연장되는 축(14)에 대면되는 제 2 햄머(7)의 부분에 제공된다. 그 다음, 제 2 햄머(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29)에 제공되는 토글 스프링(toggle spring; 30)에 의하여 가압된다.
상기 록킹 부재(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60)의 저부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향이 있도록 놓여있는 코일 스프링(32)에 의하여 가압된다. 상기 록킹 부재(31)의 상부는 제 2 햄머(7)로 부터 슬라이더(60)의 저부를 향하여 이동가능하도록 돌출되는 돌출부(31A)를 형성한다.
상기 록킹 부재(31)는 몸체(10)에 제공되는 결합부(34)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록킹 부재(31)가 이 부재와 결합하기 위하여 결합부(34)와 접촉할 때, 상기 제 2 햄머(7)의 위치는 록킹 부재(31)에 의하여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60)가 기준 위치에 놓이게 될 때, 상기 록킹 부재(31)의 상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돌출부(31A)는 슬라이더(60)의 저부로 부터 하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60C)의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돌출부(31A 및 60C)는 서로 대면되는 경사진 평면을 각각 가지도록 제공된다. 상기 슬라이더(60)는 록킹 부재(31)가 결합부(34)와 결합하는 상태에서 배럴 구조체(2)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돌출부(60C)는 제공되는 경사진 평면이 상기 돌출부(31A)에 제공된 경사진 평면과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돌출부(31A)의 위치를 통과하기 위하여 돌출부(31A)를 하향으로 밀기 위하여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돌출부(31A)는 제 2 햄머(7)를 향하여 이동되고, 상기 록킹 부재(31)는 결합부(34)와의 결합으로 부터 해제된다.
상기 제 2 햄머(7)는 결합부(7A)가 제 1 햄머(6)의 저부와 접촉하도록 하기 위하여 축(29)에 제공되는 토글 스프링(30)에 의하여 가압된다. 상기 케이스(40)가 그립(8)으로 삽입되는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 2 햄머(7)의 상부에 제공되는 록킹 부재(31)가 몸체(10)에 제공되는 결합부(34)와 결합하기 때문에, 상기 제 2 햄머(7)는 결합부(7A)가 제 1 햄머(6)의 저부와 결합하도록 위치된다.
회전 아암(36)은 제 2 햄머(7)에 대한 축(35)에 부착된다. 상기 회전 아암(3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35)에 제공된 토글 스프링(37)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하여 가압된다.
상기 몸체(10)에 대한 축(14)에 부착되는 회전 레버(1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햄머(6)의 저부와, 리프 스프링(38)의 결합부(38A)와 결합되는 저부(15A)와 결합되는 상단부를 가지는 굽혀진 형상을 가진다. 상기 회전 레버(15)는 상단부가 제 1 햄머(6)의 저부와 접촉하도록 하는 리프 스프링(38)의 결합부(38A)의하여 가압된다. 또한, 상기 리프 스프링(3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가능한 바아 부재(11)의 후방 단부와 접촉하는 이동가능한 접촉 부재(16)에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결합부(38B)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가능한 접촉 부재(16)는 리프 스프링(38)의 결합부(38B)가 결합하는 저부의 경사진 평면부(16A)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레버(15)의 저부(15A)주위의 공간을 통하여 이동가능한 바아 부재(11)의 후방 단부와 접촉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0)의 폭을 따르는 방향에서 저부의 경사진 평면부(16A)로 부터 연장되는 돌출부(16B)를 구비한다. 상기 축(14)이 통과하는 회전 레버(15)를 통하여 연장되는 개구(39)는 이동가능한 접촉 부재(16)의 중간부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이동가능한 접촉 부재(16)는 개구(39)에 대한 축(14)의 상대 운동에 따라서 제한된 설정으로 리프 스프링(38)의 결합부(38B)에 의하여 발생되는 탄성력에 대하여 하방 및 후방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39)를 통과하는 축(14)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슬라이더(60)가 기준 위치에 놓이게 될 때, 상기 이동가능한 접촉 부재(16)는 상단부(16C)가 슬라이더(60)의 저부에 제공되는 리세스(60D)와 접촉시키기 위하여 상부 위치에서 유지되는 리프 스프링(38)의 결합부(38B)에 의하여 가압된다.
상기 리프 스프링(38)은 회전 레버(15)에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결합부(38A)와, 몸체(10)와 접촉되는 이동가능한 접촉 부재(16)에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결합부(38B) 사이에 위치되는 결합부에 제공된다. 상기 결합부(38A 및 38B)의 저단부와, 상기 결합부(38A 및 38B)사이의 결합부의 저단부는 몸체(10)에 부착되도록 서로 연결된다.
상기 케이스(40)는 상기 그립(8)의 저단부에 제공되는 개구를 통하여 그립(8)내로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40)의 저부(40A)는 상기 케이스(4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8)에 유지될 수 있도록 그립(8)의 저단부와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40)는 허위 탄환(BB)을 내장하기 위한 매거진(41)을 구비하고, 여기에는 매거진(41)의 상단부(41A)를 향하여 허위 탄환(BB)을 밀기 위한 코일 스프링(42)과, 예를 들면 액화 천연가스로 충전되는 압력 축적 챔버(43)와,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으로 부터 연장되는 가스 도입 통로(44)와,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에 제공되는 가동 밸브(45) 및, 가동 밸브(46)가 제공되는 통로 연결부(47)가 제공된다.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와, 가동 밸브(45) 및, 가동 밸브(46)가 제공되는 통로 연결부(47)는 상기 케이스(40)에서 압력 축적 챔버(43)에 정렬된다.
상기 통로 연결부(47)에는, 이동 밸브(46)가 수용되는 밸브 수용 공간(48)과, 상기 밸브 수용공간(48)에 연결되는 일단부로 연장되는 제 1 연결 통로(49A) 및, 상기 밸브 수용공간(48)에 연결된 일단부를 가진 상기 제 1 연결 통로(49A)로 부터 분리되어 연장되는 제 2 연결통로(49B)가 형성된다.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으로 부터 연장되는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의 일단부는 상기 밸브 수용공간(48)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연결 통로(49A)의 다른 단부는 가동부재(20)의 제 1 내부 공간(23)에 연결되고, 상기 가동부재(20)가 제공되는 슬라이더(60)가 기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2 연결 통로(49B)의 다른 단부는 가동부재(20)에서 제 2 내부공간(24)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부재(20)가 제공되는 슬라이더(60)가 기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동부재(20)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통로 연결부(47)는 이동 가능한 부재(20)에서 제 1 및 제 2 내부공간(23 및 24)에 각각 제 1 및 제 2 연결통로(49A 및 49B)를 통하여 가스 도입 통로(44)를 연결위한 가동부재(20)의 외측에 제공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 제 1 연결 통로(49A)의 다른 단부는 가동부재(20)의 중간부에서 하향으로 개방된 제 1 내부 공간(23)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 제 2 연결통로(49B)의 다른 단부는 가동부재(20)의 중간에서 하향으로 개방된 제 2 내부공간(24)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가동부재(20)의 중간부와 접촉하는 통로 연결부(47)의 부분은 제 1 및 제 2 연결 통로(49A 및 49B) 각각의 주요부분이 형성되는 패킹 부재(47A)에 의하여 구성된다. 그래서 상기 패킹 부재(47A)가 제공됨에 따라서,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 제 1 연결 통로(49A)의 다른 단부와 상기 가동부재(20)의 중간부에서 하향으로 개방된 제 1 내부공간(23)의 다른 단부 사이의 연결부로 부터의 가스 누설과,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 제 2 연결 통로(49B)의 다른 단부와 상기 가동부재(20)의 중간부에서 하향으로 개방된 제 2 내부공간(24)의 다른 단부 사이의 연결부로 부터의 가스 누설은 확실하게 방지된다.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의 밸브 수용공간(48)에서 수용되는 상기 가동 밸브(46)는 링 밀봉부재(46A)가 부착되는 큰 직경부(46B)와, 상기 큰 직경부(46B)로 부터 연장되는 축부분(46C)을 가진다. 상기 축부분(46C)은 상기 통로 연결부(47)에 제공되는 안내 구멍(47B)내로 삽입되고, 상기 큰 직경부의 단부가 안내 구멍(47B)의 저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큰 직경부(46B)와 결합되는 코일 스프링(50)에 의하여 가압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 수용공간(48)에 수용되는 가동 밸브(46)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로 연결부(47)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연결통로(49A 및 49B)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위치된다.
이후에 설명되는 미리정해진 상태하에서, 상기 밸브 수용공간(48)에 수용된 가동 밸브(46)는 상기 코일 스프링(50)을 압축하기 위하여 코일 스프링(50)에 의하여 발생되는 탄성력에 대향하여 이동되고, 상기 통로 연결부(47)에 형성된 제 1 연결 통로(49A)가 폐쇄되도록 하기 위하여 위치된다. 상기 통로 연결부(47)에 형성된 제 2 연결 통로(49B)는 밸브 수용공간(48)에서 가동 밸브(46)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개방되도록 유지된다.
상기 가동 밸브(45)는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를 이것의 위치에 의존하면서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에 제공된다. 링 밀봉 부재(45A)는 가동 밸브(45)에 장착되고, 로드(51)는 상기 가동 밸브(45)와 합체된다. 상기 가동 밸브(4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가 폐쇄되도록 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위치되는 가스 도입 통로(44)로 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로드(51)의 후방부에 장착되는 코일 스프링(52)에 의하여 가압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와 통로 연결부(47)가 케이스(40)에서 압력 축적 챔버(43)위에 제공되는 장치가 그립(8)에 유지됨으로써, 상기 가동 밸브(45)는 가스 도입 통로(44)에 제공되고, 상기 가동 밸브(46)는 통로 연결부(47)의 밸브 수용공간(48)에 수용되고,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으로 부터 상기 가동부재(20)의 제 1 및 제 2 내부공간(23 및 24)에까지 연장되며, 또한 상기 슬라이더(60)가 기준위치에 놓이게 되는 상태하에서 필요한 제어를 하게되도록 구성된 가스 통로는 전체 길이로써 매우 짧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60)가 기준 위치에 놓이고, 상기 케이스(40)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방법으로 상기 그립(8)에서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매거진(41)의 상단부(41A)는 탄환 유지 부재(4)에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가동부재(20)의 중간부에 의하여 폐쇄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매거진(41)에 내장된 허위 탄환(BB)은 코일 스프링(42)에 의한 탄성력에 대향되게 가압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가동부재(20)에서 제 1 내부공간(23)의 일단부는 탄환 유지 부재(4)에 연결되고, 상기 가동부재(20)에서의 제 2 내부공간(24)의 일단부는 압력 수용부(61A)에 밀접하게 대면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압력 수용 챔버(43)로 부터 연장되는 가스 도입 통로(44)는 상기 밸브 수용공간(48)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의 제 1 및 제 2 연결 통로(49A 및 49B)는 가동부재(20)에서의 제 1 및 제 2 내부공간(23 및 24) 각각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2 햄머(7)에 제공되는 회전 아암(36)은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를 개방시키고 위치에 고정되도록 위치되는 상기 가동 밸브(45)로 부터 연장되는 로드(51)의 후방 단부와 접촉하기 위하여 토글 스프링(37; 도시않음)에 의하여 가압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40)가 그립(8)에 유지된 후에, 상기 슬라이더(60)는 일단 기준위치로 부터 수동적으로 후방으로 이동되고, 그 다음에 코일 스프링(17)에 의한 탄성력으로 상기 기준위치로 복귀하기 위하여 해제된다. 상기 슬라이더(60)의 이와 같은 운동동안에, 상기 매거진의 상단부(41A)를 폐쇄시키는 중간부를 가지는 가동부재(20)는 슬라이더(60)의 후방운동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매거진(41)의 상단부(41A)는 개방되고, 상기 매거진(41)의 상부에서의 허위 탄환(BB)중의 하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42)에 의해 그 곳에서 유지되는 매거진(41)의 상단부(41A)내로 가압된다.
상기 슬라이더(60)가 수동으로 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 1 햄머(6)는 a 방향에 대향되고 도 1의 화살표b(b방향)으로 지시된 방향에서 코일 스프링(26)에 의하여 탄성력에 대향하여 도 1에 도시된 위치로 부터 상기 슬라이더(60)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는 컵형상 부재(61)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가압됨으로써, 상기 회전 레버(15)는 리프 스프링(38)의 결합부(38A)에 의하여 탄성력에 따르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60)의 후방 운동으로써, 상기 제 2 햄머(7)에 제공되는 록킹 부재(31)는 결합부(34)와의 결합으로 부터 해제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제 1 햄머(6)는b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2 햄머(7)는 또한 토글 스프링(30; 도 2에 도시됨)에 의한 탄성력에 따른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 레버(15)의 상단부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제 1 햄머(6)의 저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 1 햄머(6)와 회전 레버(1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으로 고정된 위치에 있다. 상기b방향에서 제 1 햄머(6)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제 2 햄머(7)는 축(14)과 접촉하고 그 곳에서 제공되는 리세스와의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제 2 햄머(7)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2 햄머(7)에 부착된 회전 아암(36)은 토글 스프링(도 2에 도시됨)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가동 밸브(45)로 부터 연장되는 로드(51)의 후방 단부와 접촉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그 다음, 상기 슬라이더(60)가 수동으로 후방으로 이동된 후에 전방으로 이동할 때, 전방부가 매거진(41)의 상단부(41A)와 접촉하도록 하고, 탄환 유지 챔버(4)에 대하여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슬로프(10A)를 따라서 매거진(41)의 상단부(41A)의 허위 탄환(BB)을 이동하기 위하여 슬라이더(60)의 전방 운동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때에, 상기 가동부재(20)는 이것의 중간부가 매거진(41)의 상단부(41A)가 다시 폐쇄하고, 가동부재(40)가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관형 부재(4A)에 의하여 형성된 탄환 유지 부재(4)에 전방부가 다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부가로 작동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허위 탄환(BB)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환 유지 부재(4)에 공급된다.
상기 허위 탄환(BB)으로 탄환 유지 챔버(4)를 공급하기 위하여 슬라이더(60)의 전방 운동이후에 상기 슬라이더가 기준 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으로 부터 연장되는 가스 도입 통로(44)는 다시 밸브 축적 공간(48)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가동부재(20)의 제 1 내부 공간(23)의 일단부가 탄환 유지 챔버(4)와 연결되고 상기 가동부재(20)의 제 2 내부공간(4)의 일단부가 압력 수용부(61A)에 근접되게 대향하도록 위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의 제 1 및 제 2 연결 통로(49A 및 49B)는 상기 가동부재(20)에서의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공간(23 및 24)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허위 탄환(BB)가 탄환 유지 챔버(4)로 공급된 이후에, 상기 방아쇠(1)는 당겨지며, 이동가능한 바아 부재(11)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동가능한 바아 부재(11)의 후방 이동으로써, 상부 위치에 있는 이동가능한 바아 부재(11)의 후방 단부와 접촉하는 상기 이동가능한 접촉 부재(16)는 회전 레버(15)의 저부(15A)를 후방으로 밀기 위하여 이동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 스프링(15)의 결합부(38A)에 의하여 발생되는 탄성력에 대향하여 상기 회전 레버(15)를 회전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 레버(15)의 상단부는 제 1 햄머(6)의 저부와의 결합으로 부터 해제된다.
상기 회전 레버(15)에 의한 위치 제한으로 부터 해제되는 제 1 햄머(6)는 제 2 햄머(7)의 결합부(7A)가 접촉하는 저부의a방향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26)에 의하여 회전된다. 상기a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 햄머(6)는a방향으로 다시 제 2 햄머(7)를 회전시킨다. 그 다음, 상기 제 2 햄머(7)에 부착된 회전 아암(36)은 가동 밸브(45)로 부터 연장되는 로드(51)를 가압하기 위하여 작동가능하며, 방아쇠(1)가 접촉부(12)와 접촉하게 되는 타임 포인트와 동시에 상기 코일 스프링(52)을 가압한다.
상기 로드(51)가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회전 아암(36)에 의하여 가압될 때, 상기 가동 밸브(45)는 가스 도입 통로(44)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다른 위치로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를 폐쇄시키기 위한 위치로 부터 이동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는 개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햄머(7)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록킹 부재(31)는 몸체(10)에 제공되는 결합부(34)와 접촉하도록 위치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제 2 햄머(7)는 토글 스프링(30)에 의한 탄성력에 따른 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되고, 상기 가동 밸브(45)를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의 개방 위치로 유지하기 위하여 작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햄머(6)는 토글 스프링(30)에 의한 탄성력에 따른 방향에서 회전이 제한되는 제 2 햄머(7)에 의하여, 상기 회전 레버(15)에 의한 위치 제한 없이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으로 부터 가동 밸브(45)에 의하여 개방되는 가스 도입 통로(44)를 통한 추출되는 가스는 상기 통로 연결부(47)내로 즉시 흐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 밸브 수용 공간(48)에 수용되는 가동 밸브(46)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통로(49A 및 49B)를 개방하기 위한 위치에서 놓이게 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밸브 수용 공간(48)과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통로(49A 및 49B)는 상기 통로 연결부(47)내로 흐르는 가스로 충전된다. 그 다음, 상기 제 1 연결 통로(49A)를 통과하는 가스는 탄환 유지 챔버(4)에서 허위 탄환(BB)에 가동부재(20)의 제 1 내부 공간(23)을 통하여 도달하고, 또한 상기 가동부재(20)의 제 2 내부공간(24)를 통하여 압력 수용부(61A)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탄환 유지 챔버(4)로 부터 내부 배럴(2I)내로 전방으로 상기 허위 탄환(BB)를 밀기위하여 필요한 가스 압력은 상기 컵형상 부재(61)와 함께 압력 수용부(61A)를 움직위하여 필요한 가스 압력보다는 작게 정렬되고, 상기 슬라이더(60)를 배럴 구조체(2)로 부터 멀어지게 뒤로 움직이게 한다. 따라서, 압력 수용부(61A)가 컵형상 부재(61)와 슬라이더(60)과 함께 가스 압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도 7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탄환 유지 챔버(4)에 유지되는 허위 탄환(BB)은 탄환 유지 챔버(4)로 부터 내부 배럴(2I)내로 이동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가스 압력에 의하여 발생된다. 상기 내부 배럴(21)내로 이동되는 허위 탄환(BB)은 상기 가동부재(20)에서 제 1 내부 공간(23)으로 부터 내부 배럴(2I)내로 연속적으로 흐르는 가스에 의하여 상기 내부 배럴(2I)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가속되고, 그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배럴(2I)의 전방 단부로 부터 쏘아지게 된다.
상기 허위 탄환(BB)이 내부 배럴(2I)로 부터 쏘아지게 될 때, 상기 가동부재(20)의 제 1 내부 공간(23)으로 부터 내부 배럴(2I)내로 흐르는 상기 가스는 내부 배럴(2I)의 전방 단부로 부터 대기로 방출됨으로써, 상기 내부 배럴(2I) 각각의 가스 압력고, 상기 가동부재(20)에서의 제 1 내부 공간(23) 및, 상기 가동부재(20)에서의 제 1 내부공간(23)에 연결되는 상기 통로 연결부(47)의 제 1 연결 통로(49A)의 압력은 빠르게 감소된다. 상기 통로 연결부(47)의 제 1 연결통로(49A)에서의 가스 압력의 상기와 같은 빠른 감소는 상기 제 1 연결 통로(49A)를 향하여 상기 가동 밸브(46)를 추출하기 위한 음의 압력으로 상기 통로 연결부(47)의 밸브 수용 공간(48)에 수용되는 가동 밸브(46)에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가동 밸브(46)는 코일 스프링(50)에 의한 탄성력에 대향하여 상기 제 1 연결 통로(49A)를 향하여 이동되고, 상기 제 1 연결 통로(49A)를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 밸브(46)의 큰 직경부(46B)는 제 1 연결 통로(49)의 일단부를 형성하는 부분과 접촉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 밸브 수용공간(48)에 수용되는 가동 밸브(46)는 상기 가동 밸브(20)에서 제 1 내부 공간(23)과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의 제 1 연결 통로(49A)를 통하여 가스 도입 통로(44)로 부터 상기 탄환 유지 챔버(4)로의 가스 흐름을 차단하기 위하여 작동가능하다.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로 부터, 상기 가동부재(20)에서의 제 1 내부 공간(23)과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의 제 1 연결통로(49A)를 통한 상기 탄환 유지 챔버(4)로의 가스 흐름이,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의 밸브 수용공간(48)에 수용된 가동 밸브(46)에 의하여 차단될 때,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로 부터 가스 도입 통로(44)를 통하여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 밸브 수용공간(48)내로 흐르는 가스는,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 제 1 연결 통로(49A)내로 흐르지 않고, 상기 압력 수용부(61A)를 향하여 상기 가동부재(20)의 제 2 내부공간(24)과 상기 통로 연결부(47)의 제 2 연결통로(49B)를 통하여 부가로 흐르게 되고, 상기 압력 수용부(61A)에 작용하는 가스 압력은 빠르게 증가된다. 그래서 상기 가스 압력이 빠르게 증가됨에 따라서, 상기 압력 수용부(61A)는 상기 컵형상 부재(61)에서의 가동부재(20)의 후방부 뒤쪽에 형성된 압력 챔버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후방으로 빠르게 이동되고, 또한 상기 슬라이더(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7)에 의한 탄성력에 대향하여 상기 압력 수용부(61A)와 함께 빠르게 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슬라이더(60)가 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 1 햄머(6)는 코일 스프링(26)에 의한 탄성력에 대향하여 b방향의 후방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60)에 의하여 회전된다.
그 다음, 상기 압력 수용부(61A)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로 연결부(47)의 제 2 내부통로(49B)와 가동부재(20)의 제 2 내부공간(24)를 통하여 상기 컵형상 부재(61)의 가동부재(20)의 후방부의 뒤쪽에 형성된 압력 챔버내로 흐르는 가스 압력에 의하여 슬라이더(60)와 함께 후방으로 부가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더(60)의 후방 이동으로써, 상기 슬라이더(60)의 저부와 접촉하는 가동부재(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60)의 저부와 접촉하는 이동가능한 접촉 부재(16)는 슬라이더(60)의 저부에 제공되는 리세스(60D)에 의한 위치 제한으로 부터 해제되고, 상기 리프 스프링(38)의 결합부(38D)에 의한 탄성력에 대향하여 저부 위치로 놓이게 되로고 아래로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 레버(15)의 저부(15A)는 이동가능한 접촉 부재(16)와 결합으로 부터 해제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회전 레버(15)는 리프 스프링(38)의 결합부(38A)에 의한 탄성력에 따르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60)의 후방 운동으로써, 상기 제 2 햄머(7)에 제공되는 록킹 부재(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에 제공되는 결합부(34)와 결합으로 부터 해제되도록 상기 슬라이더(60)의 저부에 제공되는 돌출부(60C)에 의한 코일 스프링(32)의 탄성력에 대향하여 아래로 가압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제 2 햄머(7)는 위치 제한으로 부터 해제되고, 토글 스프링(30)에 의한 탄성력에 따르는 방향으로 회전된다(도 2에 도시됨).
상기 리프 스프링(38)의 결합부(38A)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가압되는 회전 레버(15)는 제 1 햄머(6)의 저부와 결합하게 됨으로써, 상기 회전 레버(15)와 제 1 햄머(6)은 수동으로 고정된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토글 스프링(30)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가압되는 제 2 햄머(7)는 축이 접촉하는 그 곳에 제공되는 노치(7B)로써 위치 고정된다.
상기 제 2 햄머(7)가 토글 스프링(30)에 의하여 회전되면, 상기 가동 밸브(45)는 가동 밸브(45)로 부터 연장되는 로드(51)의 후방 단부와 접촉되는 회전 아암(36)에 의한 위치 제한으로 부터 해제된다. 상기 회전 아암(36)에 의한 위치 제한으로 부터 해제되는 가동 밸브(45)는 그 곳에 작용하는 가스 압력에 의하여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를 폐쇄하기 위한 위치에 놓이게 되고, 상기 탄성력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52)에 의해 발생된다.
따라서, 상술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으로 부터 연장되는 가스 도입 통로(44)가 밸브 수용 공간(48)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통로 연결부(47)의 제 1 및 제 2 연결 통로(49A 및 49B)가 이동 가능한 부재(20)에서의 제 1 및 제 2 내부 공간(23 및 24)에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더(60)가 슬라이더(60)의 기준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게 되는 상태에서 상기 가동 밸브(45)가 가스 도입 통로(44)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하는 주기 동안에, 탄환 유지 챔버(4)에서 허위 탄환(BB)의 가동부재(20)에서 제 1 내부 공간(23)과,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 제 1 연결통로(49A)를 통하여 작동하기 위하여,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으로 부터 가스 도입 통로(44)로 부터 가스가 추출되도록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의 제 1 연결 통로(49A)가 개방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하며, 또한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의 제 1 연결 통로(49A)와, 가동부재(20)에서의 제 1 내부공간(23) 및,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의 제 1 연결 통로(49)를 통하여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로 부터 상기 탄환 유지 챔버(4)로 흐르는 가스를 차단할 수 있돌고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의 제 1 연결 통로(49A)를 폐쇄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압력 수용부(61A)가 슬라이더(6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으로 부터의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를 통하여 추출되는 가스는 통로 연결부(47)에서의 제 2 연결 통로(49B)와, 가동부재(20)에서의 제 2 내부 공간(24)을 통하여 작동한다.
이러한 가동 밸브(46)의 작동으로써, 상기 슬라이더(60)는 허위 탄환(BB)이 내부 배럴(2I)로 부터 쏘아진 후에 갑자기 증가되는 상기 압력 수용부(61A)에 작용하는 가스 압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되고, 그 다음 상기 슬라이더(60)의 운동은 허위 탄환(BB)의 사격에서 배럴 구조체(2)에 어떠한 악영향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내부 배럴(2I)로 부터 발사된 허위 탄환(BB)의 방향은 바람직하지 못하게 변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된다.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밸브(45)에 의해 폐쇄될 때,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으로 부터 가스 도입 통로(44)를 통하여 통로 연결부(47)에서 밸브 수용공간(48)으로 흐르는 가스와, 상기 가동부재(20)에서의 제 2 내부공간(24)과,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 밸브 수용 공간948)로 부터의 통로 연결부에서의 제 2 연결 통로(49B)로 흐르는 가스는 없으지게 된다. 그 다음,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의 밸브 수용공간(48)의 가스 압력은 감소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밸브 수용공간(48)에 수용된 가동 밸브(46)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 밸브(46)의 큰 직경부(46B)가 제 1 연결 통로(49A)의 일단부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부터 이격되는 위치로 복귀하기 위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50)에 의하여 이동되고, 상기 제 1 연결 통로(49A)는 개방된다.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는 가동 밸브(45)에 의하여 폐쇄된 직후에, 상기 슬라이더(60)는 관성력에 의해 부가로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 다음, 상기 슬라이더(60)이 가장 후방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가동부재(20)의 후방부는 컵형상 부재(61)의 관형부(61B)의 바깥쪽에 놓이게 됨으로써, 상기 컵형상 부재(61)의 관형부(61B)에서의 가스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부재(20)에 대면된 개구로 부터 방출되고, 상기 컵형상의 부재(61)의 관형부(61B)의 가스 압력은 대기압으로 빠르게 감소된다. 그 다음, 상기 가동부재(20)는 코일 스프링(22)에 의해 상기 컵형상의 부재(61)를 향하여 빠르게 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가동부재(20)의 도입부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컵형상의 부재(61)의 관형부(61B)에 다시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매거진(41)의 상단부(41A)는 개방되고, 상기 매거진(41)의 상부에서 상기 허위 탄환(BB)중의 하나는 매거진(41)에서 유지되는 매거진의 상단부(41A)내로 가압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60)가 가장 후방의 위치에 도달한 바로 직후에, 상기 슬라이더(60)는 기준위치를 향하여 코일 스프링(17)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되고, 또한 상기 가동부재(20)는 슬라이더(60)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가동부재(20)의 전방 이동으로써, 상기 가동부재(20)의 전방부는 탄환 유지부재(4)를 향하여 상기 매거진(41)의 상단부(41A)에서 유지되는 허위 탄환(BB)을 운반한다. 상기 슬라이더(60)가 다시 기준 위치에 놓이게 될 때, 상기 허위 탄환(BB)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환 유지챔버(4)내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상기 슬라이더(60)가 가장후방의 위치에 도달할 때, 방아쇠(1)는 완전 작동으로 부터 해제된다. 그 다음, 상기 이동가능한 바아 부재(11)와 방아쇠(1)는 저부 위치에서 상기 이동가능한 접촉부재(16)에 작용하는 리프 스프링(38)의 결합부(38B; 도 3에 도시됨)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방아쇠(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저부 위치에서의 이동가능한 접촉 부재(16)는 상부에서의 슬라이더(60)의 저부에 제공되는 리세스(60D; 도 3에 도시됨)와 결합하기 위하여 리프 스프링(38)의 결합부(38B)에 의하여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가동부재(20)의 제 1 내부 공간(23)의 일단부가 탄환 유지 챔버(4)와 연결되고, 상기 가동부재(20)에서의 제 2 내부 공간(24)의 일단부가 압력 수용부(61A)에 근접되게 대면 위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60)가 가장 후방의 위치로 부터 기준위치에 도달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로 부터 연장되는 가스 도입 통로(44)는 밸브 수용공간(48)과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 제 1 및 제 2 연결통로(49A 및 49B)를 통하여, 상기 제 1 내부 공간(23)의 다른 단부와, 가동부재(20)의 제 2 내부 공간(24)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다. 그 다음, 상기 방아쇠(1)가 다시 당겨질 때, 상기 탄환 유지 챔버(4)에 유지되는 허위 탄환(BB)의 사격과, 상기 탄환 유지 챔버(4)로의 새로운 허위 탄환(BB)의 공급은 상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행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동부재(70)와 통로 연결부(77)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가동부재(20)와 통로 연결부(47)의 위치에 있게 되고, 상기 가동부재(70)와 통로 연결부(77)와는 다른 다양한 부품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성된다. 도 12에서, 도 1의 것에 대응되는 부분과 부재는 동일한 번호로 표시되고, 이것의 부가 설명은 생략된다.
도 12에서, 상기 가동부재(70)는 슬라이더(60)의 후방부(60B)에 제공된다. 상기 가동부재(70)는 슬라이더(60)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탄환 유지 챔버(4)의 후방에 위치되고, 컵형상 부재(61)의 관형부(61B)의 내부 및 외부로 선택적으로 놓여 있는 후방부와, 상기 탄환 유지 챔버(4)가 형성된 관형 부재(4A)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전방부와, 전방 및 후방부 사이의 중간부를 가진다. 탄성재료로 제조된 밀봉 링부재(71)는 가동부재(70)의 후방부에 장착된다. 상기 가동부재(70)의 후방부가 컵형상 부재(61)의 관형부(61B)에 삽입될 때, 상기 밀봉 링부재(71)는 상기 가동부재(70)의 후방부의 외부면과, 관형부(61B)의 내부면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기 위하여 상기 관형부(61B)의 내부면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22)은 상기 컵형상 부재(61)의 관형부(61B)에 부착되는 일단부와, 상기 컵형상 부재(61)의 저부 형태로 제공되는 압력 수용부(61A)를 향하여 움직이는 경향으로 놓여 있기 위하여 상기 가동부재(70)에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가동부재(70)에 부착되는 다른 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더(60)가 기준 위치에 놓여 있을 때, 상기 가동부재(70)는 이것의 전방부가 상기 탄환 유지 챔버(4)가 형성된 관형 부재(4A)와 연결되며, 후방부가 상기 컵형상 부재(61)의 관형부(61B)에 삽입되도록 하는 위치에 놓여 있게된다.
상기 가동부재(70)는 서로로 부터 분리되는 제 1 내부공간(73)과 제 2 내부공간(74)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내부공간(73)은 가동부재(7)의 전방부에서 탄환 유지 챔버(4)를 향하여 개방된 일단부와, 상기 가동부재(70)의 중간부에서 하향으로 개방된 다른 단부를 가진 굽혀진 가스 통로를 구성한다. 상기 가동부재(70)의 중간부에서 하향으로 개방된 제 1 내부 공간(73)의 다른 단부에서, 상기 밸브 수용부(73A)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내부공간(74)은 가동부재(70)의 후방부에서 압력 수용부(61A)를 향하여 개방된 일단부와, 상기 가동부재(70)의 중간부에서 하향으로 개방된 다른 단부를 구성한다. 상기 슬라이더(60)가 기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내부공간(73)의 일단부는 탄환 유지 챔버(4)와 연결되고, 제 2 내부공간(74)의 일단부는 상기 압력 수용부(61A)에 근접하게 대면하도록 위치된다.
케이스(40)의 위치에 고정되는 그립(8)내로 삽입되는 케이스(40)는 압력 수용챔버(43)로 부터 연장되는 가스 도입 통로(44)와,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에 제공되는 가동 밸브(45) 및, 가동 밸브(76)가 제공되는 통로 연결부(77)를 구비한다.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와, 가동 밸브(45) 및 상기 가동 밸브(76)이 제공되는 통로 연결부(77)가 있다.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와, 가동 밸브(45) 및, 상기 가동 밸브(76)가 제공되는 통로 연결부(77)는 케이스(40)의 압력 축적 챔버(43)위에 정렬된다.
상기 통로 연결부(77)에서, 상기 이동 밸브(76)가 수용되는 밸브 수용공간(78)이 있다. 상기 압력 수용 챔버(43)로 부터 연장되는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의 일단부는 상기 밸브 수용공간(78)에 연결된다.
상기 케이스(4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8)의 저단부에 제공되는 개구를 통하여 그립(8)내로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40)의 저부(40A)는 그립(8)의 저단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케이스(40)는 그립(8)에 유지된다. 상기 케이스(40)의 밸브 수용 공간(78)은 상기 슬라이더(60)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위치에 있게 될 때, 상기 슬라이더(60)의 후방부(60B)에 제공되는 가동부재(70)의 제 1 및 제 2 내부공간(73 및 74) 양쪽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부재(70)가 제공되는 슬라이더(60)가 기준 위치에 놓이게 되면, 상기 가동부재(70)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통로 연결부(77)는 밸브 수용공간(78)를 통하여 상기 가동부재(70)에서 제 1 및 제 2 내부공간(73 및 74)으로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부재(70)의 외측에 제공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통로 연결부(77)에서의 밸브 수용공간(78)은 가동부재(70)의 중간에서 하향으로 개방되는 제 1 내부 공간(73)의 다른 단부와, 상기 가동부재(70)의 중간부에서 하향으로 개방된 제 2 내부공간(74)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가동부재(70)의 중간부와 접촉하게 되는 통로 연결부(77)의 통로부는 상기 가동부재(70)에서 제 1 및 제 2 내부공간(73 및 74)에 연결된 밸브 수용공간(78)의 부분이 형성되는 패킹 부재(77A)에 의하여 구성된다. 그래서 제공된 패킹 부재(77A)에 따라서, 상기 밸브 수용공간(78)과, 상기 가동 밸브(70)의 중간부에서 하향으로 개방된 제 1 내부공간(73)의 다른 단부 사이의 연결부의 가스 누설과, 상기 밸브 수용공간(78)과, 상기 가동부재(40)의 중간부에서 하향으로 개방된 제 2 내부공간(74)의 다른 단부 사이의 연결부의 가스 누설은 확실하게 방지된다.
상기 통로 연결부(77)에서 밸브 수용공간(78)에 수용된 가동 밸브(76)는 큰 직경부(76A)와, 상기 큰 직경부(76A)로 부터 연장되는 축부분(76B)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수용공간(78)내로 돌출하기 위한 통로 연결부(77)에 제공되는 지지부(77B)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래서 상기 밸브 수용공간(78)에 제공되는 가동 밸브(76)는, 상기 슬라이더(60)가 기준위치에 있을 때, 상기 큰 직경부(76A)가 슬라이더(60)의 기준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는 가동부재(70)의 중간부에서 하향으로 개방된 제 1 내부공간(73)의 다른 단부에 대면할 수 있도록 위치된다.
상기 슬라이더(60)가 기준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더(60)의 대응되는 기준위치에 있는 가동부재(70)의 중간에서 하향으로 개방되는 제 1 내부 공간(73)의 다른 단부로 부터 상기 큰 직경부(76A)를 이격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동부재(76)는 축부분(76B)에 제공되는 코일 스프링(80)에 의하여 가압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밸브 수용공간(78)에서의 가동 밸브(76)은 도 12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60)의 기준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동부재(70)의 제 1 내부공간(73)이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위치된다.
이후에 설명되는 미리 정해진 상태하에서, 상기 밸브 수용공간(78)에 수용되는 가동 밸브(76)는 코일 스프링(80)을 압축하기 위하여 코일 스프링(80)에 의하여 발생되는 탄성력에 대향하여 이동됨으로써, 슬라이더(60)의 기준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놓여 있는 상기 가동부재(70)의 중간부에서 하향으로 개방된 제 1 내부공간(73)의 다른 쪽 단부에 형성된 밸브 수용부(73A)와 큰 직경부(76A)가 접촉하게 되고, 상기 가동부재(70)의 제 1 내부공간(73)이 큰 직경부(76A)로 폐쇄되도록 작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가동부재(70)의 제 2 내부공간(73)은 밸브 수용공간(78)에서 가동 밸브(76)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개방되도록 유지된다.
그래서 구성된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더(60)가 기준 위치로 부터 수동으로 후방쪽으로 일단 이동하게 되어서 그 다음 기준 위치로 복귀하기 위하여 해제될 때, 허위 탄환(BB)은 탄환 유지 챔버(4)에 제공되고 상기 통로 연결부(77)는 상기 밸브 수용공간(78)을 통하여 가동부재(70)의 제 1 및 제 2 내부공간(73 및 74)에 연결되도록 위치된다.
상기 허위 탄환(BB)이 탄환 유지 챔버(4)로 공급되고, 상기 통로 연결부(77)가 밸브 수용공간(78)을 통하여 가동부재(70)에서 제 1 및 제 2 내부공간(73 및 74)에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를 연결하도록 위치된 후에, 방아쇠(1)가 당겨질 때, 상기 제 2 햄머(7)에 부착된 회전 아암(36)은 가동 밸브(45)로 부터 연장되는 로드(51)를 밀어서 코일 스프링(52)을 압축하기 위하여 작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로드(51)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가동 밸브(45)는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이 통로를 다른 위치로 폐쇄시키기 위한 위치로 부터 이동되고, 그 다음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는 개방된다. 그래서, 상기 제 2 햄머(7)는 가스 도입 통로(44)를 개방시키기 위한 위치로 상기 이동 밸브(45)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작동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로 부터 가스 도입 통로(44)를 통하여 추출되는 가스는 상기 통로 연결부(77)내로 즉시 흐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통로 연결부(77)에서 밸브 수용공간(78)에 수용되는 가동 밸브(76)는 가동부재(70)에서의 제 1 내부공간(73)를 개방시키기 위한 위치에 놓이기 때문에, 상기 가동부재(70)의 제 1 및 제 2 내부공간(73 및 74)은 개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통로 연결부(77)에서의 밸브 수용공간(78)은 통로 연결부(77)내로 흐르는 가스로 충전되고, 그 다음 상기 가스는 탄환 유지 챔버(4)에서 허위 탄환(BB)에 상기 가동부재(70)의 제 1 내부 공간(73)를 통하여 도달하게 되고, 또한 상기 압력 수용부(61A)에 상기 가동부재(70)의 제 2 내부공간(74)을 통하여 도달하게 된다.
상기 탄환 유지 챔버(4)로 부터 내부 배럴(21)내로 상기 허위 탄환(BB)을 전방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필요한 가스 압력은 컵형상 부재(61)와 함께 상기 압력 수용부(61A)를 움직이기 위하여 필요한 가스 압력보다 작도록 정렬되고, 상기 슬라이더(60)는 배럴 구조체(2)로 부터 이격되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압력 수용부(61A)가 컵형상 부재(61)와 슬라이더(60)와 함께 가스 압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탄환 유지 챔버(4)에 유지되는 허위 탄환(BB)은 상기 탄환 유지 부재(4)로 부터 내부 배럴(2I)내로 이동하기 위하여 그곳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발생된다. 상기 내부 배럴(2I)내로 이동되는 허위 탄환(BB)은 가동부재(70)에서 제 1 내부 공간(73)으로 부터 내부 배럴(2I)내로 연속적으로 흐르는 가스에 의하여 내부 배럴(2I)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가속되고, 그 다음 상기 내부 배럴(2I)의 전방 단부로 부터 쏘아지게 된다.
상기 허위 탄환(BB)이 내부 배럴(2I)로 부터 쏘아지게 될 때, 상기 가동부재(70)의 제 1 내부 공간(73)으로 부터 내부 배럴(2I)로 흐르는 가스는 상기 내부 배럴(2I)의 전방 단부로 부터 대기로 방출되고, 그 다음 상기 가동부재(70)에서 내부 배럴(2I)과 제 1 내부 공간(73)의 각각에서의 가스 압력은 급속히 감소된다. 상기 가동부재(70)의 제 1 내부공간(73)에서의 가스 압력의 급속한 감소는 상기 가동부재(70)에서 제 1 내부공간(73)을 향하여 가동 밸브(76)를 추출하기 위한 음의 압력으로서 상기 통로 연결부(77)의 밸브 수용 공간(78)에 수용되는 가동 밸브(76)에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가동부재(70)는 코일 스프링(80)에 의한 탄성력에 대향하여 상기 가동부재(70)의 제 1 내부 공간(73)을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가동 밸브(76)의 큰 직경부(76A)는 가동부재(70)의 제 1 내부공간(73)이 폐쇄되도록 하기 위하여 가동부재(70)의 중간부에서 하향으로 개방된 제 1 내부공간(73)의 다른 단부에 형성된 밸브 수용부(73A)와 접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통로 연결부(77)에서의 밸브 수용공간(78)에 수용되는 가동 밸브(76)는 가스 도입 통로(44)로 부터 가동 밸브의 제 1 내부공간(73)을 통하여 탄환 유지 챔버(4)로의 가스 흐름을 차단하기 위하여 작동된다.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로 부터 가동부재(70)의 제 1 내부공간(73)을 통한 탄환 유지 챔버(4)로 흐르는 가스가 통로 연결부(77)에서 밸브 수용공간(78)에 수용되는 가동 밸브(76)에 의하여 차단될 때,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로 부터 가스 도입 통로(44)를 통하여 상기 통로 연결부(77)의 밸브 수용공간(78)로 흐르는 가스는 가동부재(70)의 제 1 내부공간(73)내로 흐르지 않고, 상기 압력 수용부(61A)를 향하여 가동부재(70)의 제 2 내부공간을 통하여 부가로 흐르게 되며, 상기 압력 수용부(61A)에 작용하는 가스 압력은 빠르게 증가된다. 그래서 상기 가스 압력이 빠르게 증가됨에 따라서, 상기 압력 수용부(61A)는 컵형상 부재(61)의 가동부재(70)의 후방의 뒤쪽에 형성된 압력 챔버의 용량을 증가시키도록 빠르게 후방으로 이동되고, 또한 상기 슬라이더(60)는 코일 스프링(17)에 의한 탄성력에 대향하여 상기 압력 수용부(61A)와 함께 빠르게 뒤로 이동하게 된다.
그 다음에, 상기 슬라이더(60)는 가동부재(70)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가장 후방의 위치인 뒤로 이동하게 되고, 그 다음 상기 슬라이더(60)는 가동부재(70)와 함께 기준 위치로 복귀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이동되며, 새로운 허위 탄환(BB)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작동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탄환 유지 챔버(4)로 공급된다.
상술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으로 부터 연장되는 가스 도입 통로(44)가 통로 연결부(77)의 밸브 수용공간(78)을 통하여 가동부재(70)의 제 1 및 제 2 내부 공간(73 및 74)에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더(60)가 기준 위치에 있게 되고 상기 가동부재(70)가 슬라이더(60)의 기준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 밸브(45)가 제어하는 주기 동안에, 상기 통로 연결부(77)의 밸브 수용공간(78)에 수용되는 가동 밸브(76)는, 상기 압력축적 챔버(43)으로 부터 가스 도입 통로(44)를 통하여 추출되는 가스가 상기 통로 연결부(77)의 밸브 수용공간(78)과 이동부재(70)의 제 1 내부공간(73)을 통하여 탄환 유지 챔버(4)에서 허위 탄환(BB)에 작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가동부재(70)의 제 1 내부공간(73)이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과, 상기 가동부재(70)의 제 1 내부공간(73)과 상기 통로 연결부(77)의 밸브 수용공간(78)을 통하여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로 부터 탄환 유지 챔버(4)로 흐르는 가스를 차단하기 위하여 가동부재(70)의 제 1 내부공간(73)을 제어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하도록 작동됨으로써,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으로 부터 가스 도입 통로(44)를 통하여 추출되는 가스는 통로 연결부(77)의 밸브 수용공간(78)과 가동부재(70)의 제 2 내부공간(74)을 통하여 압력 수용부(61A)가 슬라이더(6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압력 수용부(61A) 위에 작용한다.
가동 밸브(76)의 이러한 작동으로써, 상기 슬라이더(60)는 허위 탄환(BB)이 내부 배럴(2I)로 부터 발사된 후에 빠르게 증가되는 압력 수용부(61A)에 작용하는 가스 압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슬라이더(60)의 운동은 허위 탄환(BB)의 발사시에 배럴 구조체(2)에 어떠한 악영향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상기 내부배럴(2I)로 부터 발사되는 허위 탄환(BB)의 방향은 바람직하지 않게 변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적인 탄환 공급 기구를 가진 완구총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실시에에서, 통로 연결부(47)와 가동 밸브(46)가 제공되는 몸체(100)와, 케이스(101)이 상기 몸체(10)의 위치에 있고, 이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40)는 도 1에 도시되며, 상기 몸체(100)와 케이스(101)과 다른 다양한 부품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 14 및 도 15에서, 도 1의 것에 대응되는 부분과 부재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시되며, 이것의 부가의 설명은 생략된다.
도 14 및 도 15에서, 예를 들면 액화 천연가스로 충전되는 압력 축적 챔버(43)이 제공되는 케이스(101)는 몸체(100)의 그립(8)에 부착가능하게 유지된다. 상기 케이스(101)는 허위 탄환(BB)을 저장하기 위한 매거진(41)으로 압력 축적 챔버(43)에 부가하여 제공되며, 여기에서 코일 스프링(42)은 매거진(41)의 상단부(41A)를 향하여 허위 탄환(BB)을 밀기 위하여 제공되고, 가스 도입 통로(44)는 압력 축적 챔버(43)으로 부터 연장되며, 가동 밸브(45)는 가스 도입 통로(44)에 제공된다.
가동 밸브(46)를 수용하기 위한 밸브 수용공간(48)과, 제 1 연결통로(49A) 및 제 2 연결통로(49B)가 형성된 통로 연결부(47)는 몸체(100)에서 가동부재(20)의 외측에 제공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60)가 기준 위치에 있을 때, 가동 밸브(46)가 제공되는 몸체(100)에서, 상기 가동부재(20)에서의 제 1 내부 공간(23)의 일단부가 탄환 유지 챔버(4)와 연결되고, 상기 가동부재(20)에서 제 2 내부 공간(24)의 일단부가 압력 수용부(61A)를 밀접하게 대향시키기 위하여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가동부재(20)가 위치되고,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 제 1 및 제 2 연결 통로(49A 및 49B)는 상기 가동부재(20)의 제 1 내부 통로(23)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내부 공간(24)의 다른 단부는 가동부재(20)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케이스(101)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8)의 저단부에 제공되는 개구를 통하여 그립(8)내로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101)의 저부(101A)는 케이스(101)가 그립(8)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그립(8)의 저단부와 결합된다.
방아쇠(1)와 슬라이더(60)가 각각의 기준 위치에 놓여 있고 가동부재(20)가 슬라이더(60)의 기준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놓여 있는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01)가 그립(8)의 위치에 고정되게 유지될 때, 상기 케이스(101)의 가스 도입 통로(44)와 몸체(100)에서의 통로 연결부(47)위에 분리되게 제공되는 결합부(102)의 쌍은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는 결합부(102)를 통하여 통로 연결부(47)에 연결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와, 가동 밸브(45) 및, 상기 가동 밸브(46)가 제공되는 통로 연결부(47)는 압력 축적 챔버(43)에 위치되며, 상기 케이스(101)에서의 매거진(41)의 상단부(41A)는 가동부재(20)의 중간부에 의하여 탄환 유지 챔버(4)에 근접되게 위치되며 폐쇄됨으로써, 상기 매거진(41)에 포함된 허위 탄환(BB)은 코일 스프링(42)에 의한 탄성력에 대향하여 가압된다.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로 부터 연장되는 가스 도입 통로(44)는 밸브 수용공간(48)과,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 제 1 및 제 2 연결 통로(49A 및 49B)를 통하여, 상기 가동부재(20)에서의 제 1 내부공간(23)의 다른 단부와 가동부재(20)의 제 2 내부공간(24)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다. 또한, 제 2 햄머(7)에 부착된 회전 아암(36)은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를 위치에 고정되도록 폐쇄하기 위한 위치에 놓여진 가동 밸브(45)로 부터 연장되는 로드(51)의 후방 단부에 접촉하게 된다.
그래서 구성된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방아쇠(1)와 슬라이더(60)가 각각의 기준 위치에 놓이게 되고 가동부재(20)가 슬라이더(600의 기준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게 되는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01)가 그립(8)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유지된 후에 얻어진 몸체(100) 및 케이스(101)의 장치와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몸체(10) 및 케이스(40)의 장치의 형상과 거의 동일하고, 그렇지만 상기 결합부(102)가 부가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기준 위치로 부터 수동으로 뒤쪽으로 일단 슬라이더(60)가 이동되고, 상기 제 1 허위 탄환(BB)을 탄환 유지 챔버(4)로 공급하기 위한 기준 위치로 뒤쪽으로 복귀된 후에, 허위 탄환(BB)를 사격하고 그 다음에 탄환 유지 챔버(4)로 새로운 허위 탄환(BB)를 공급하는 일련의 동작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행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통로 연결부(77)와 가동 밸브(76)가 제공되는 몸체(103)과 케이스(104)는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의 케이스(40)와 몸체(10)의 평면에 제공되고, 상기 몸체(103)와 케이스(104)와 다른 다양한 부분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성된다. 도 16 및 도 17에서, 도 12의 것에 대응되는 부분과 부재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시되고, 부가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6 및 도 17에서, 예를 들면 액화 천연가스로 충전되는 압력 축적 챔버(43)가 제공되는 케이스(104)는 몸체(103)의 그립(8)에 부착가능하게 유지된다.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에 부가하여, 허위 탄환(BB)을 저장하기 위한 매거진(41)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104)가 제공되고, 여기에서 코일 스프링(42)은 매거진(41)의 상단부(41A)를 향하여 상기 허위 탄환(BB)을 가압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가스 도입 통로(44)는 압력 축적 챔버(43)로 부터 연장되고, 가동 밸브(45)는 가스 도입 통로(44)에 제공된다.
상기 가동 밸브(76)를 수용하기 위한 밸브 수용공간(78)이 형성된 통로 연결부(77)는 몸체(103)에서 가동부재(70)의 외측에 제공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60)가 기준 위치에 놓이게 될 때 상기 가동 밸브(76)가 제공되는 몸체(103)에서, 가동부재(70)에서 제 1 내부공간(73)의 일단부가 탄환 유지 챔버(4)에 연결되고, 상기 가동부재(70)에서의 제 2 내부공간(74)의 일단부가 압력 수용부(61A)에 근접되게 대향되도록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가동부재(70)가 위치되고, 상기 통로 연결부(77)에 제공되는 밸브 수용 공간(78)은 가동부재(70)의 제 1 내부공간(73)의 다른 단부와, 가동부재(70)의 제 2 내부공간(74)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4)는 그립(8)의 저단부에 제공되는 개구를 통하여 그립(8)내로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104)의 저부(104A)는 케이스(104)가 그립(8)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그립(8)의 저단부와 결합된다.
방아쇠(1)와 슬라이더(60)가 각각의 기준위치에 있고 이동 가능한 부재(70)가 슬라이더(60)의 기준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04)가 그립(8)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유지될 때, 케이스(104)에서 가스 도입 통로(44)와 몸체(103)에서 통로 연결부(77)에서 분리되게 제공되는 결합부(105)의 쌍은,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가 결합부(105)를 통하여 통로 연결부(77)에 연결될 수 있도록 서로 결합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와, 가동 밸브(45) 및, 가동 밸브(76)가 제공되는 통로 연결부(77)가 압력 축적 챔버(43)에 위치되고, 상기 매거진(41)에 포함된 허위 탄환(BB)가 코일(42)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4)에서 매거진(41)의 상단부(41A)는 가동부재(70)의 중간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탄환 유지 챔버(4)에 근접되게 위치된다.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로 부터 연장되는 가스 도입 통로(44)는 통로 연결부(77)의 수용공간(78)을 통하여, 가동부재(70)에서 제 1 내부공간(73)의 다른 단부와 가동부재(70)의 제 2 내부공간(74)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다. 또한, 제 2 햄머(7)에 부착된 회전 아암(36)은 가스 도입 통로(44)가 위치에 고정되도록 근접되게 하기 위한 위치에 놓여진 가동 밸브(45)로 부터 연장되는 로드(51)의 후방 단부와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방아쇠(1)와 슬라이더(60)가 각각의 기준 위치에 있고 가동부재(70)가 슬라이더(60)의 기준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04)가 그립(8)에 위치에 고정되도록 유지된 후에 얻어지는 상기 몸체(103)와 케이스(104)의 장치와 형상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몸체(10)와 케이스(40)의 장치와 형상과 거의 동일하고, 하지만 결합부(105)가 부가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허위 탄환(BB)을 사격하고 그 다음 상기 슬라이더(60)가 일단 기준 위치로 부터 수동으로 일단 후방으로 이동한 후에 새로운 허위 탄환(BB)가 탄환 유지 챔버(4)로 공급되며, 제 1 허위 탄환(BB)을 탄환 유지 챔버(4)로 공급하기 위한 기준 위치로 복귀하기 위하여 해제되는 일련의 동작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것과 거의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적인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통로 연결부(47)와, 가동 밸브(46)와, 가스 도입 통로(44) 및 가동 밸브(45)가 제공되는 몸체(110)와, 케이스(111)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몸체(10)와 케이스(40)의 평면에 제공되고, 상기 몸체(110)와 케이스(111)와 다른 다양한 부분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성된다. 도 18 및 도19에서, 도 1에 도시된 것에 대응되는 부분과 부재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시되고, 부가의 설명은 생략된다.
도 18 및 도 19에서, 예를 들면 액화 천연가스로 충전된 압력 축적 챔버(43)가 제공되는 케이스(111)는 몸체(110)의 그립(8)에 부착가능하게 유지된다.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에 부가하여, 압력 축적 챔버(43)으로 부터 방출되는 가스를 제어하기 위한 가스 방출 제어부(43A)와, 코일 스프링(112)와 결합되고 상기 가스 충전 제어부(43A)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제어 밸브(113)를 가진 케이스(111)는 그 곳에 제공되고, 여기에서 코일 스프링(42)은 매거진(41)의 상단부(41A)를 향하여 허위 탄환(BB)을 가압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가동 밸브(46)를 수용하기 위한 밸브 수용공간(46)과, 제 1 연결 통로(49A) 및 제 2 연결통로(49B)이 있는 통로 연결부(47)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 수용공간(48)으로 부터 이격되게 연장되는 긴 부분(44A)를 가진 가스 도입통로(44)는 몸체(110)에서 가동부재(20)의 외측에 제공된다.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에서, 상기 가동 밸브(45)가 제공된다. 상기 몸체(110)는 가스 도입 통로(44)의 긴 부분(44A)을 형성하는 돌출부(110A)를 가진다.
그래서 상기 가동 밸브(45 및 46)가 제공되는 몸체(110)에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60)가 기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동부재(20)는 가동부재(20)의 제 1 공간(23)의 일단부가 탄환 유지 챔버(4)와 연결되고, 가동부재(20)의 제 2 내부공간(24)의 일단부가 압력 수용부(61A)를 근접하게 대면하기 위하여 위치될 수 있도록 위치되며,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 제 1 및 제 2 연결통로(49A 및 49B)는 가동부재(20)의 제 1 내부공간(23)의 다른 단부와, 가동부재(20)의 제 2 내부공간(24)의 다른 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밸브(113)가 가스 방출 제어부(43A)를 폐쇄하기 위한 위치에 있기 위하여 코일 스프링(112)에 의하여 가압되는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11)는 그립(8)의 저단부에 제공되는 개구를 통하여 그립(8)내로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111)의 저부(111A)는 케이스(111)가 그립(8)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그립(3)의 저단부와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111)에서 몸체(110)와 제어 밸브(113)의 돌출부(110A)는 서로 결합하기 위하여 몸체(110)의 가스 도입 통로(44)와 가스 방출 제어부(43A)위에 분리되게 제공되는 결합부(15)를 구성한다. 상기 케이스(111)가 그립(8)내로 삽입될 때, 상기 제어 밸브(113)는 결합부(115)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코일 스프링(112)에 의한 탄성력에 대향하여 몸체(110)의 돌출부(110A)에 의해 가압된다.
그래서 상기 결합부(115)가 서로 결합됨에 따라서, 상기 가스 방출 제어부(43A)는 가스 도입 통로(44)의 긴 부분(44A)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 밸브(113)는 가스 방출 제어부(43A)를 개방시키기 위한 위치내로 이동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으로 부터 방출된 가스는 가스 도입 통로(44)에 제공된 가동 밸브(45)의 가스 방출 제어부(43A)를 통하여 작용한다.
상기 방아쇠(1)와 슬라이더(60)가 슬라이더(60)가 각각의 기준위치에 있고, 상기 가동부재(20)가 슬라이더(60)의 기준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11)가 그립(8)에서 위치로 고정되도록 유지될 때, 상기 가동 밸브(45)와, 가동 밸브(46)가 제공되는 연결부(47)는 케이스(111)의 압력 축적 챔버(43)에 위치되고, 상기 매거진(41)의 상단부(41A)는 탄환 유지 부재(4)에 근접되게 위치되며, 매거진(41)에 포함된 허위 탄환(BB)이 코일 스프링(42)에 의한 탄성력에 대향하여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가동부재(20)의 중간부에 의하여 폐쇄된다. 상기 가스 방출 제어부(43A)는 가스 도입 통로(44)의 긴 부분(44A)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 밸브(113)는 가스 방출 제어부(43A)를 개방시키기 위한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로 부터 방출된 가스는 가스 도입 통로(44)내에 제공된 가동 밸브(45)위의 가스 방출 제어부(43A)를 통하여 작용한다. 그러나, 상기 가동 밸브(45)는 가스 도입 통로(44)를 폐쇄하기 위한 위치에서 연속적으로 있기 위하여 코일 스프링(52)에 의하여 가압된다.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는 밸브 수용공간(48)과 밸브 연결부(47)에서 제 1 및 제 2 연결 통로(49A 및 49B)를 통하여, 가동부재(20)의 제 1 내부공간(23)의 다른 단부와, 가동부재(20)의 제 2 내부공간(24)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다. 또한, 제 2 햄머(7)에 부착된 회전 아암(36)은 가스 도입 통로(44)가 제 위치에 고정되도록 폐쇄하기 위한 위치에 놓여 있는 가동 밸브(45)로 부터 연장되는 로드(51)의 후방 단부에 접촉한다.
이렇게 구성된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방아쇠(1)와 슬라이더(60)가 각각의 기준 위치에 있고 가동부재(70)가 슬라이더(60)의 기준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11)가 그립(8)에 위치에 고정되도록 유지된 후에 얻어지는 상기 몸체(110)와 케이스(111)의 장치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몸체(10)와 케이스(40)의 장치의 형상과 거의 동일하고, 하지만 상기 가스 방출 제어부(43A) 및 결합부(115)가 부가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허위 탄환(BB)을 사격하고 그 다음 상기 슬라이더(60)가 일단 기준 위치로 부터 수동으로 일단 후방으로 이동한 후에 새로운 허위 탄환(BB)이 탄환 유지 챔버(4)로 공급되며, 제 1 허위 탄환(BB)을 탄환 유지 챔버(4)로 공급하기 위한 기준 위치로 복귀하기 위하여 해제되는 일련의 동작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것과 거의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적인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의 제 6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통로 연결부(77)와, 가동 밸브(76)와, 가스 도입 통로(44) 및 가동 밸브(45)가 제공되는 몸체(116)와, 케이스(117)는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몸체(10)와 케이스(40)의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몸체(116)와 케이스(117)와 다른 다양한 부분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성된다. 도 20 및 도 21에서, 도 12에 도시된 것에 대응되는 부분과 부재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시되고, 부가의 설명은 생략된다.
도 20 및 도 21에서, 예를 들면 액화 천연가스로 충전된 압력 축적 챔버(43)가 제공되는 케이스(117)는 몸체(116)의 그립(8)에 부착가능하게 유지된다.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에 부가하여, 압력 축적 챔버(43)으로 부터 방출되는 가스를 제어하기 위한 가스 방출 제어부(43A)와, 코일 스프링(112)와 결합되고 상기 가스 충전 제어부(43A)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제어 밸브(113)를 가진 케이스(111)와, 허위 탄환(BB)을 저장하기 위한 매거진(41)이 그 곳에 제공되고, 여기에서 코일 스프링(42)은 매거진(41)의 상단부(41A)를 향하여 허위 탄환(BB)을 가압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가동 밸브(76)를 수용하기 위한 밸브 수용공간(76)과, 상기 밸브 수용공간(78)으로 부터 이격되게 연장되는 긴 부분(44A)를 가진 가스 도입통로(44)는 몸체(116)에서 가동부재(70)의 외측에 제공된다.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에서, 상기 가동 밸브(45)가 제공된다. 상기 몸체(116)는 가스 도입 통로(44)의 긴 부분(44A)을 형성하는 돌출부(116A)를 가진다.
그래서 상기 가동 밸브(45 및 46)가 제공되는 몸체(116)에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60)가 기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동부재(70)는 가동부재(70)의 제 1 공간(73)의 일단부가 탄환 유지 챔버(4)와 연결되고, 가동부재(70)의 제 2 내부공간(74)의 일단부가 압력 수용부(61A)를 근접하게 대면하기 위하여 위치될 수 있도록 위치되며, 상기 통로 연결부(77)에서 밸브 수용공간(78)은 가동부재(70)의 제 1 내부공간(73)의 다른 단부와, 가동부재(70)의 제 2 내부공간(74)의 다른 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밸브(113)가 가스 방출 제어부(43A)를 폐쇄하기 위한 위치에 있기 위하여 코일 스프링(112)에 의하여 가압되는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17)는 그립(8)의 저단부에 제공되는 개구를 통하여 그립(8)내로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117)의 저부(117A)는 케이스(117)가 그립(8)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그립(3)의 저단부와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117)에서 몸체(116)와 제어 밸브(113)의 돌출부(116A)는 서로 결합하기 위하여 몸체(116)의 가스 도입 통로(44)와 가스 방출 제어부(43A)위에 분리되게 제공되는 결합부(15)를 구성한다. 상기 케이스(117)가 그립(8)내로 삽입될 때, 상기 제어 밸브(113)는 결합부(115)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코일 스프링(112)에 의한 탄성력에 대향하여 몸체(116)의 돌출부(116A)에 의해 가압된다.
그래서 상기 결합부(115)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가스 방출 제어부(43A)는 가스 도입 통로(44)의 긴 부분(44A)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 밸브(113)는 가스 방출 제어부(43A)를 개방시키기 위한 위치내로 이동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로 부터 방출된 가스는 가스 도입 통로(44)에 제공된 가동 밸브(45)의 가스 방출 제어부(43A)를 통하여 작용한다.
상기 방아쇠(1)와 슬라이더(60)가 각각의 기준위치에 있고, 상기 가동부재(70)가 슬라이더(60)의 기준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17)가 그립(8)에서 위치로 고정되도록 유지될 때, 상기 가스 도입 통로(4)와, 상기 가동 밸브(45)와, 가동 밸브(46)가 제공되는 연결부(77)는 케이스(117)의 압력 축적 챔버(43)에 위치되고, 상기 매거진(41)의 상단부(41A)는 탄환 유지 부재(4)에 근접되게 위치되며, 매거진(41)에 포함된 허위 탄환(BB)이 코일 스프링(42)에 의한 탄성력에 대향하여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가동부재(70)의 중간부에 의하여 폐쇄된다. 상기 가스 방출 제어부(43A)는 가스 도입 통로(44)의 긴 부분(44A)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 밸브(113)는 가스 방출 제어부(43A)를 개방시키기 위한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로 부터 방출된 가스는 가스 도입 통로(44)내에 제공된 가동 밸브(45)위의 가스 방출 제어부(43A)를 통하여 작용한다. 그러나, 상기 가동 밸브(45)는 가스 도입 통로(44)를 폐쇄하기 위한 위치에서 연속적으로 있기 위하여 코일 스프링(52)에 의하여 가압된다.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는 통로 연결부(77)에서의 밸브 수용공간(78)을 통하여, 가동부재(70)의 제 1 내부공간(73)의 다른 단부와, 가동부재(70)의 제 2 내부공간(74)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다. 또한, 제 2 햄머(7)에 부착된 회전 아암(36)은 가스 도입 통로(44)가 제위치에 고정되도록 폐쇄하기 위한 위치에 놓여 있는 가동 밸브(45)로 부터 연장되는 로드(51)의 후방 단부에 접촉한다.
이렇게 구성된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방아쇠(1)와 슬라이더(60)가 각각의 기준 위치에 있고 가동부재(70)가 슬라이더(60)의 기준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17)가 그립(8)에 위치에 고정되도록 유지된 후에 얻어지는 상기 몸체(116)와 케이스(117)의 장치와 형상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몸체(10)와 케이스(40)의 장치와 형상과 거의 동일하고, 하지만 상기 가스 방출 제어부(43A) 및 결합부(115)가 부가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허위 탄환(BB)을 사격하고 그 다음 상기 슬라이더(60)가 일단 기준 위치로 부터 수동으로 일단 후방으로 이동한 후에 새로운 허위 탄환(BB)이 탄환 유지 챔버(4)로 공급되며, 제 1 허위 탄환(BB)을 탄환 유지 챔버(4)로 공급하기 위한 기준 위치로 복귀하기 위하여 해제되는 일련의 동작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것과 거의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도 1, 도 12, 도 14, 도 16, 도 18 또는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가동부재(20 또는 70)와, 통로 연결부(47 또는 77) 등을 포함하는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의 기본적인 부분의 예일뿐이고, 기본적인 부분을 제어하는 것을 아니다.
액화 천연가스가 포함되는 압력 축적 챔버(43)를 가진 케이스(40,101,111 또는, 117)이 도 1, 도 12, 도 14, 도 16, 도 18 및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 각각에서 그립(8)에 유지될지라도, 액화 천연가스의 장소에 압축 공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많은 양의 액화 천연가스 또는 압축 가스가 포함될 수 있는 밤(bomb)과 연결되어 압력 축적 챔버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40,101,104,111 또는 117)를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발명에서는, 상기 제 2의 가동 밸브와, 제 1의 가동 밸브와, 가스 도입 통로 및 가스 축적 챔버를 포함하는 통로의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의 가동 밸브와, 가스 도입 통로 및 압력 축적 챔버의 그룹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압력 축적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배럴 구조체, 탄환 유지 챔버와, 슬라이더와, 압력 수용부 및 가동부재를 포함하는 완구총의 몸체, 배럴 구조체와, 탄환 유지 챔버와, 슬라이더와, 압력 수용부와, 가동부재 및 상기 제 2의 가동 밸브를 포함하는 통로 연결부를 포함하는 완구총의 몸체 또는, 배럴 구조체와, 탄환 유지 챔버와, 슬라이더와, 압력 수용부와, 가동부재와, 상기 제 2의 가동부재를 포함하는 통로 연결부와, 제 1의 가동 밸브 및 가스 도입 통로를 포함하는 완구총의 몸체에 부착가능하게 유지되는 케이스가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제 2의 가동 밸브와, 상기 가스 제어 장치의 주요 구성요소인 제 1의 가동 밸브 및 가스 도입 통로를 포함하는 가스 연결부가 사용자가 취급하기에 매우 쉽고 또한 높은 생산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제공된다.

Claims (17)

  1. 가스 도입 통로(44)가 연장되는 압력 축적 챔버(43)와, 상기 가스 도입통로(44)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제 1의 가동 밸브(45)와, 배럴 구조체(2)의 후방부에 제공되는 탄환 유지 챔버(4)와, 상기 배럴 구조체(2)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슬라이더(60)와, 상기 배럴 구조체(2)의 후방에 위치되고 슬라이더(60)와 이동가능하도록 슬라이더(60)에 고정된 압력 수용부(61A)와, 상기 탄환 유지 챔버(4)를 향하여 개방된 제 1 내부 공간(23;73)과, 상기 압력 수용부(61A)를 향하여 개방된 제 2 내부 공간(24;74)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슬라이더(60)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탄환 유지 챔버(4)의 후방에 정렬된 가동부재(20;70)와, 상기 가동부재(20;70)의 위치에 의존하면서 가동부재(20;70)의 제 1 및 제 2 내부공간(23;73,24;74)에 가스 도입통로(44)를 연결하기 위하여 가동부재(20;70)의 외측에 제공되는 통로 연결부(47;77) 및, 상기 통로 연결부(47;77)에 제공된 제 2의 가동 밸브(46;76)를 포함하는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에 있어서,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가 통로 연결부(47;77)를 통하여 가동부재(20;70)에서 제 1 및 제 2 내부공간(23;73,24;74)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의 가동 밸브(45)가 가스 도입 통로(44)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제어하는 주기 동안에,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를 통하여 압력 축적 챔버(43)으로 부터 추출되는 가스가 가동부재(20;70)의 제 1 내부공간(23;73)을 통하여 탄환 유지 챔버(4)의 허위 탄환(BB)에 작용하도록 하는 것과, 상기 가동부재(20;70)의 제 1 내부공간(23;73)을 통하여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로 부터 탄환 유지 챔버(4)로 흐르는 가스를 차단하는 것을 상기 제 2 가동 밸브(46;76)가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로 부터 가스 도입 통로(44)를 통하여 추출되는 가스는 가동부재(20;70)의 제 2 내부공간(24;74)을 통하여 압력 수용부(61A)에 작용하게 되어, 제 1 압력 수용부(61A)가 슬라이더(60)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며, 그 다음 매거진(41)으로 부터 허위 탄환(BB)을 탄환 유지 챔버(4)에 공급하기 위한 준비를 하기 위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연결부(47)는 가동부재(20)의 위치에 의존하면서, 가동부재(20)의 제 1 및 제 2 내부공간(23,24)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연결통로(49A,49B)를 구비하는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가 통로 연결부(47)를 통하여 가동부재(20)에서 제 1 및 제 2 내부공간(23,24)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의 가동 밸브(45)가 가스 도입 통로(44)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제어하는 주기 동안에,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를 통하여 압력 축적 챔버(43)으로 부터 추출되는 가스가 상기 통로 연결부(47)의 제 1 연결통로(49A)와 가동부재(20)의 제 1 내부공간(23)을 통하여 탄환 유지 챔버(4)의 허위 탄환에 작용하는 것과, 상기 가동부재(20)의 제 1 내부공간(23)과 상기 통로 연결부(47)의 제 1 연결통로(49A)를 통하여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로 부터 탄환 유지 챔버(4)로 흐르는 가스를 차단하는 것을 상기 제 2의 가동 밸브(46)가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로 부터 가스 도입 통로(44)를 통하여 추출되는 가스는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의 제 2 연결통로(49B)와 가동부재(20)의 제 2 내부공간(24)을 통하여 압력 수용부(61A)에 작용하게 되어, 제 1 압력 수용부(61A)가 슬라이더(6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며, 그 다음 매거진(41)으로 부터 허위 탄환(BB)을 탄환 유지 챔버(4)에 공급하기 위한 준비를 하기 위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는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가 통로 연결부(47)를 통하여 가동부재(20)에서 제 1 및 제 2 내부공간(23,24)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의 가동 밸브(45)가 가스 도입 통로(44)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제어하는 주기 동안에,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를 통하여 압력 축적 챔버(43)로 부터 추출되는 가스가 상기 통로 연결부(47)의 제 1 연결통로(49A)와 가동부재(20)의 제 1 내부공간(23)을 통하여 탄환 유지 챔버(4)의 허위 탄환(BB)에 작용하기 위하여 상기 통로 연결부(47)의 제 1 연결 통로(49A)를 개방하는 것과, 상기 가동부재(20)의 제 1 내부공간(23)과 상기 통로 연결부(47)의 제 1 연결통로(49A)를 통하여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로 부터 탄환 유지 챔버(4)로 흐르는 가스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통로 연결부(47)의 제 1 연결 통로(49A)를 폐쇄하는 것을 상기 제 2의 가동 밸브(46)가 선택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동 밸브(46)는 통로 연결부(47)의 제 2 연결 통로(49B)가 항상 개방되도록 작동하는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연결부(47)에서 제 1 연결 통로(49A)를 통하여 제 2 가동 밸브(46)에 작용하는 압력 감소에 반응하여, 제 2 가동 밸브(46)는 통로 연결부(47)의 제 1 연결 통로(49A)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스프링 수단(50)에 의하여 가압되고, 상기 통로 연결부(47)의 제 1 연결 통로(49A)를 폐쇄하기 위하여 스프링 수단(50)에 의한 힘에 대항하여 이동되는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연결부(77)는 가동부재(70)의 위치에 의존하면서 가동부재(70)의 제 1 및 제 2 내부공간(73,74)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연결 공간(78)을 구비하는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가 통로 연결부(77)를 통하여 가동부재(70)에서 제 1 및 제 2 내부공간(73,74)에 연결되고, 상기 가동 밸브(45)가 가스 도입 통로(44)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제어하는 주기 동안에,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를 통하여 압력 축적 챔버(43)로 부터 추출되는 가스가 상기 통로 연결부(77)의 연결공간(78)과 가동부재(70)의 제 1 내부공간(73)을 통하여 탄환 유지 챔버(4)의 허위 탄환(BB)에 작용하는 것과, 상기 가동부재(70)의 제 1 내부공간(73)과 상기 통로 연결부(77)의 연결공간(78)을 통하여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로 부터 탄환 유지 챔버(4)로 흐르는 가스를 차단하는 것을 상기 제 2의 가동 밸브(76)가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로 부터 가스 도입 통로(44)를 통하여 추출되는 가스는 상기 통로 연결부(77)에서의 연결공간(78)과 가동부재(70)의 제 2 내부공간(74)을 통하여 압력 수용부(61A)에 작용하게 되어, 먼저 압력 수용부(61A)가 슬라이더(60)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며, 그 다음 매거진(41)으로 부터 허위 탄환(BB)을 탄환 유지 챔버(4)에 공급하기 위한 준비를 하기 위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는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가 통로 연결부(77)를 통하여 가동부재(70)에서 제 1 및 제 2 내부공간(73,74)에 연결되고, 상기 가동 밸브(45)가 가스 도입 통로(44)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제어하는 주기 동안에,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를 통하여 압력 축적 챔버(43)로 부터 추출되는 가스가 상기 통로 연결부(77)의 연결공간(78)과 가동부재(70)의 제 1 내부공간(73)을 통하여 탄환 유지 챔버(4)의 허위 탄환(BB)에 작용하기 위하여 가동부재(70)의 제 1 내부공간(73)을 개방하는 것과, 상기 가동부재(70)의 제 1 내부공간(73)과 상기 통로 연결부(77)의 연결공간(78)을 통하여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로 부터 탄환 유지 챔버(4)로 흐르는 가스를 차단하기 위하여 가동부재(70)의 제 1 내부공간(73)을 폐쇄하는 것을 상기 제 2의 가동 밸브(46)가 선택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가동 밸브(76)는 가동부재(70)의 제 2 내부공간(74)이 항상 개방되도록 작동하는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의 가동 밸브(76)는 가동부재(70)의 제 1 내부공간(73)을 통하여 제 2의 가동 밸브(76)에 작용하는 압력 감소에 따라서, 이동부재(70)의 제 1 내부공간(73)을 개방하도록 하기 위하여 스프링 수단(80)에 의해 가압되고, 가동부재(70)의 제 1 내부공간(73)을 폐쇄하도록 하기 위하여 스프링 수단(80)에 의한 힘에 대항하여 이동하는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연결부(47;77)는 가동 밸브(46,76)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가동 밸브(45),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 및, 상기 압력 수용 챔버(43)는 케이스(40)에 포함되며, 상기 케이스(40)는 배럴 구조체(2)와, 탄환 유지 챔버(4)와, 슬라이더(60)와, 상기 압력 수용부(61A) 및 가동부재(20;70)를 포함하는 몸체(10)에 부착가능하게 유지되는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 밸브(45)와,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 및,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는 케이스(101;104)에 포함되고, 상기 케이스(101;104)는 상기 배럴 구조체(2)와, 상기 탄환 유지 챔버(4)와, 슬라이더(60)와, 압력 수용부(61A)와, 가동부재(20;70) 및, 상기 제 2의 가동 밸브(46;76)를 포함하는 통로 연결부(47;77)를 포함하는 몸체(100;103)에 부착가능하게 유지되는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
  14. 제 13 항에 있어서, 결합부(102;105)는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1;104)의 가스 도입 통로(44)와, 몸체(100;103)에 제공된 통로 연결부(47;77)에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축적 챔버(43)는 케이스(111;117)에 포함되고, 상기 케이스(111;117)는 상기 배럴 구조체(2)와, 탄환 유지 챔버(4)와, 상기 슬라이더(60)와, 압력 수용부(61A)와, 가동부재(20;70)와, 상기 제 2의 가동 밸브(46;76)를 포함하는 통로 연결부(47;77)와, 제 1의 가동 밸브(45) 및, 상기 가스 도입 통로(44)를 포함하는 몸체(110;116)에 부착가능하게 유지되는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1;117)는 압력 축적 챔버(43)로 부터 방출된 가스를 제어하기 위한 가스 방출 제어부(43A)를 구비하는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
  17. 제 16 항에 있어서, 결합부(115)는 서로 결합 할 수 있도록 케이스(111;117)의 가스 방출 제어부(43A)와, 몸체(110;116)에 제공된 가스 도입 통로(44)에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
KR1019980043273A 1997-10-16 1998-10-16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 KR100281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9283567 1997-10-16
JP97-283567 1997-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142A true KR19990037142A (ko) 1999-05-25
KR100281259B1 KR100281259B1 (ko) 2001-02-01

Family

ID=1766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3273A KR100281259B1 (ko) 1997-10-16 1998-10-16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073620A (ko)
EP (1) EP0909935B1 (ko)
KR (1) KR100281259B1 (ko)
AT (1) ATE257579T1 (ko)
AU (1) AU717907B2 (ko)
CA (1) CA2249829C (ko)
DE (1) DE69820953T2 (ko)
DK (1) DK0909935T3 (ko)
ES (1) ES2214672T3 (ko)
HK (1) HK1018503A1 (ko)
TW (1) TW41097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9162B2 (ja) * 1997-12-10 1999-12-13 株式会社ウエスタン・アームス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JP2871657B1 (ja) * 1998-01-08 1999-03-17 株式会社ウエスタン・アームス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JP3054413B1 (ja) * 1999-06-07 2000-06-19 有限会社マルゼン オ―トマチック式エアスポ―ツガン
WO2001067023A1 (en) * 2000-03-09 2001-09-13 Alexei Lvovich Petrosyan Multi-charge gas-cylinder pistol
US6470872B1 (en) * 2000-04-03 2002-10-29 Benjamin T. Tiberius Semi-automatic firing compressed-gas gun
JP3711282B2 (ja) * 2003-06-25 2005-11-02 株式会社ウエスタン・アームス ガス式玩具銃のガス供給機構
JP3708936B2 (ja) * 2003-07-29 2005-10-19 株式会社ウエスタン・アームス ガス圧を利用する玩具銃
US8489728B2 (en) * 2005-04-15 2013-07-16 Microsoft Corporation Model-based system monitoring
TWI261105B (en) * 2005-12-26 2006-09-01 Yih Kai Entpr Co Ltd Improved structure of machine set for toy gas gun
US20070181116A1 (en) * 2006-02-06 2007-08-09 Wilson Wei Air gun
US7540280B2 (en) * 2007-05-24 2009-06-02 Jhih-Wun Liao Bullet cartridge for toy air gun
US20090320817A1 (en) * 2008-06-27 2009-12-31 Hai-Lung Huang Bullet-Loading Assembly for a Toy Gun
TWM389247U (en) * 2009-10-30 2010-09-21 Yih Kai Enterprise Co Ltd Air-intake control device of toy gun
TWM440430U (en) * 2012-06-27 2012-11-01 Vega Force Internat Corp Single-shot/repeating air gun and percussion switching mechanism thereof
US9057578B2 (en) * 2013-09-10 2015-06-16 Guay Guay Trading Co., Ltd. Simulation bullet includable BB bullet magazine
US9420778B1 (en) 2013-09-30 2016-08-23 Tiberius Technology, Llc Noise-making apparatus and method
US10801804B2 (en) 2016-08-29 2020-10-13 Unit Solutions, Inc. Non-lethal gas operated gun
US11920887B2 (en) 2016-08-29 2024-03-05 Unit Solutions, Inc. Non-lethal gas operated gun
EP3504502B1 (en) 2016-08-29 2023-07-12 Unit Solutions, Inc. Non-lethal gas operated gu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66181A (en) * 1944-12-28 1951-08-28 Bendixwestinghouse Automotive Fluid pressure operated gun
US2881752A (en) * 1954-10-11 1959-04-14 Carl E Blahnik Gas actuated guns
JPH01285798A (ja) * 1988-05-13 1989-11-16 Kenji Mimura ガス銃の弾丸発射装置
JPH0338593U (ko) 1989-08-22 1991-04-15
JPH0743238B2 (ja) * 1990-01-25 1995-05-15 株式会社東京マルイ オートマチック式エアガン
JPH03236598A (ja) * 1990-02-13 1991-10-22 J A C Planning:Kk 玩具銃におけるブローバック方法およびその装置
EP0467089B1 (en) * 1990-06-21 1995-10-04 Thomas G. Kotsiopoulos Semi-automatic firing compressed gas gun
US5063905A (en) * 1990-09-06 1991-11-12 Farrell Kenneth R Pneumatic gun
JP2567758B2 (ja) * 1991-06-29 1996-12-2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樹脂ホース
JP2561421B2 (ja) * 1993-05-17 1996-12-11 株式会社ウエスタン・アームス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JP2561429B2 (ja) * 1993-10-08 1996-12-11 株式会社ウエスタン・アームス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US5509399A (en) * 1995-01-12 1996-04-23 Poor; Keith A. Semi-automatic fluid powered gun
JP2597829B2 (ja) * 1995-04-05 1997-04-09 株式会社ウエスタン・アームス ガス蓄圧供給装置
JP2710918B2 (ja) * 1995-08-03 1998-02-10 株式会社ウエスタン・アームス 弾道調整機能を有した玩具銃
EP0772022A1 (en) * 1995-11-03 1997-05-07 Ching-Yao Liang Air pressure operated toy gun
US5613483A (en) * 1995-11-09 1997-03-25 Lukas; Michael A. Gas powered gun
JP2866337B2 (ja) * 1995-12-18 1999-03-08 有限会社マルゼン オートマチック式エアスポーツガンの発射機構及び発射機構を用いたオートマチック式エアスポーツガ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09935A2 (en) 1999-04-21
DE69820953D1 (de) 2004-02-12
DK0909935T3 (da) 2004-03-29
TW410973U (en) 2000-11-01
US6073620A (en) 2000-06-13
DE69820953T2 (de) 2004-12-16
EP0909935B1 (en) 2004-01-07
ES2214672T3 (es) 2004-09-16
CA2249829A1 (en) 1999-04-16
CA2249829C (en) 2001-12-11
EP0909935A3 (en) 2000-09-06
HK1018503A1 (en) 1999-12-24
KR100281259B1 (ko) 2001-02-01
AU8791098A (en) 1999-05-06
AU717907B2 (en) 2000-04-06
ATE257579T1 (de) 200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1259B1 (ko) 자동 탄환 공급기구를 가진 완구총
EP0928945B1 (en) Compressed air gun with bullet supplying mechanism
US5476087A (en) Model gun with automatic bullet supplying mechanism
EP0625689B1 (en) Semi-automatic air gun
US6832605B2 (en) Pneumatic gun
US6158424A (en) Model gun with automatic bullet supplying mechanism
US6739324B2 (en) Compressed air distributor
JP2871582B2 (ja) 玩具ガス銃
JPH0477240B2 (ko)
JP2871583B2 (ja) ガス圧力式玩具銃
JP3511367B2 (ja)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JP2561444B2 (ja) ガス蓄圧供給装置
KR890004816B1 (ko) 축기식 공기총의 밸브개방 및 연발제어장치
JPH07151494A (ja) エア式、ガス圧力式遊戯銃における弾丸の発射および自動給弾機構
EP2607836B1 (en) Pre-compressed gas or air weapon
JP3502780B2 (ja)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JPH11183087A (ja)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JP2002267397A (ja)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