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793A - 데이터 기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기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793A
KR19990036793A KR1019980041512A KR19980041512A KR19990036793A KR 19990036793 A KR19990036793 A KR 19990036793A KR 1019980041512 A KR1019980041512 A KR 1019980041512A KR 19980041512 A KR19980041512 A KR 19980041512A KR 19990036793 A KR19990036793 A KR 19990036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torage means
recording
command
write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1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8288B1 (ko
Inventor
마코토 세리자와
다카네 추마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치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치,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치
Publication of KR19990036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2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40Combinations of multiple record carriers
    • G11B2220/41Flat as opposed to hierarchical combination, e.g. library of tapes or discs, CD changer, or groups of record carriers that together store one tit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록 상태 감시부(4)는 기억장치(1)로의 기록 명령의 실행상태를 감시하고, 기록 관리부(3)는 기록 상태 감시부(4)의 감시 결과가 소정 조건을 만족할지 여부를 판정하여 그 판정결과가 긍정인 경우에는 기억장치(1)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하고, 부정인 경우에는 보조 기억장치(2)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한다. 이와같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데이터를 기억장치(1)측과 보조 기억장치(2)측에서 분담하여 기록하기 때문에 외관상의 기록 속도가 기억장치(1)의 기록 속도와 보조 기억장치(2)의 기록 속도의 합과 같아져 더욱 고속인 기록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이터 기록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데이터 기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컴퓨터·시스템이나 컴퓨터 대응 기기에 설치되어 영상이나 음성 등의 연속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PC(Personal Computer)나 가정용 AV(Audio Visual)기기에 있어서,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이나 DVD(Digital Versatile Disk)-ROM 등의 패키지·미디어나 또는 인터넷, 디지털 위성방송 등의 통신 미디어를 통해 디지털화된 AV 데이터의 이용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편, 대용량의 하드디스크 장치나 또는 광자기디스크, 상변화형 광디스크 등의 카트리지에 수납되어 착탈 가능한 재기록형 광디스크 장치(이하, 광디스크 장치)의 보급, 또 DVD-RAM(Random Access Memory)의 등장에 따라 PC나 가정용 AV기기로 디지털 AV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으로의 요청도 높아지고 있다.
현재, 디지털 AV 데이터로는 화질이나 압축율이 우수한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방식의 동화 압축 기술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비디오 디스크의 주류가 되고 있는 DVD용 AV 데이터로는 방송품질때문에 부득이하게 MPEG-2가 이용되고 있다. MPEG-2의 데이터 속도는 3∼11Mbps이지만 DVD-ROM용 AV 데이터를 작성하는 오사링장치 등에서는 이 3∼11Mbps의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11Mbps를 대폭으로 초과하는 고속인 디스크 장치나 RAID(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등의 고가인 기억장치를 채용하고 있다. 이것은 디지털 AV 데이터가 장시간에 걸친 연속 데이터이기 때문에 데이터를 도중에 중단하지 않고 실시간적으로 기록하는데 오사링 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처리 성능이나 기록 장치 자신의 기록성능의 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PC로 디지털 AV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광디스크 장치는 기록속도가 너무 늦다. 또한, 표준적인 하드디스크 장치에서는 급속속도는 광디스크장치 보다 빠르지만 충분하지 않고 또 용량이 부족하다. PC용의 비교적 저비용의 하드디스크장치도 매년 대용량화와 함께 고속화되고 있지만 MPEG-2 정도의 속도의 디지털 AV 데이터를 장시간에 걸쳐 기록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또한, PC 베이스의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AV 데이터를 기록할 때는,
(1) 비교적 작은 애로케이션·사이즈에 의존한 파일시스템 ·억세스의 오버헤드,
(2) 관리 데이터 영역으로의 억세스나 데이터 영역의 불연속성에 의한 시크의 발생, 시크·에러에 의한 디스크장치의 재기동, 온도 보상 동작, 입력 재시도 동작, 불량 섹터 교대 처리 등, 기록 장치에 특유의 동작,
(3) CPU상의 소프트웨어의 순차 처리에 의한 처리 동작의 시간적인 요동 등 때문에 데이터의 연속적인 기록이 저해되는 경우가 있다. 그때문에 시스템이 취급할 수 있는 디지털 AV 데이터의 속도는 상기와 같은 저해 요인을 고려하여 구해지는 기록 성능의 최악값으로부터 또 적당한 마진을 공제한 값 이하로 제한된다.
그리고, PC로 디지털 AV 데이터를 기록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일 뿐만 아니라 기록 장치의 (CPU장치로 본) 외관상의 기록 속도를 고속화하는 것이 종래부터 실시되었다. 그 한 예로, 기억장치에 버퍼·메모리를 설치하는 수법이 있다. 최근의 하드디스크나 광디스크에는 128K바이트에서 2M바이트의 버퍼·메모리를 탑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CPU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와 기억장치상의 기록 처리를 분리하여 가능하면 CPU로부터이 복수의 기록 요구를 한개의 기록 요구로 정리하여 처리하는 것에 의해 상기 (1)에서 설명한 오버헤드의 횟수를 삭감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그러나, 상기 정도의 비교적 소용량의 버퍼 메모리는 디지털AV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자주 버퍼 오버플로가 발생한다. 일단 버퍼 메모리가 데이터에 가득 차면 외관상의 기록 속도를 고속화하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PC로 디지털 AV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종래에는 기록장치의 전단에 입력의 타겟이 되는 기억장치(이하, 목표 기억장치) 보다 고속인 보조 기억장치를 설치하고, 그것을 버퍼장치 또는 캐시장치로서 이용하는 것이 실시되었다. 전형적으로는 PC로 광디스크에 디지털 AV 데이터를 기록할 때, 하드디스크상에 버퍼로서의 중간 파일을 작성하여 CPU 장치로부터의 기록 데이터를 일단 하드디스크에 저장하도록 하고, 축적한 데이터를 백그랜드 처리로 하드디스크로부터 광디스크로 카피하는 수법이다.
이와같이, 기억 용량이 큰 목표 기억장치에 고속인 보조 기억장치를 조합하고, 후자를 버퍼장치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대용량이고 고속인 기록장치가 실현된다. 그러나, 그 외관상의 기록 속도는 보조 기억장치의 기록 속도 그것이기 때문에 기록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속도 보다 충분히 고속인 기억장치가 필요하다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상기 전형예로 말하자면 PC로 광디스크에 디지털 AV데이터를 기록하고자 한 경우, 그 데이터의 속도 보다 충분히 고속인 하드디스크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데이터를 기록할 때, 보조 기억 장치로의 데이터 전송, 다음에 보조 기록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판독, 또 목표 기억장치로의 데이터 입력과 직접 목표 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에 비해 CPU장치의 처리량이 약 3배가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데이터를 그 데이터의 속도 이상으로 고속인 기억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기록할 수 있고, 또 기록시에 CPU에 걸리는 부하가 작은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 기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장치에 있어서, 기록 요구 속도가 실효 기록 속도를 상회하는 국면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장치에 있어서, 기록 요구 속도가 실효 기록 속도를 하회하는 국면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의 장치와 도 1의 장치와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종래의 장치와 도 1의 장치와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
도 6은 종래의 장치와 도 1의 장치와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도면,
도 7은 종래의 장치와 도 1의 장치와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가령 도 8의 장치가 버퍼 데이터량 계측부(6), 버퍼 메모리(7) 및 보조 기억 장치(2)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 상위 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가 기억장치(1)로의 실효 기록 동작을 상회했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가령 도 8의 장치가 버퍼 데어터량 계측부(6), 버퍼 메모리(7) 및 보조 기억장치(2)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 기억장치(1)에 있어서 시크가 발생하여 실효 기록 동작의 동작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았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9에 나타낸 문제점을 도 8의 장치가 어떻게 해결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10에 나타낸 문제점을 도 8의 장치가 어떻게 해결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도 8의 장치(제 2 실시형태)의 기록 관리부(3)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4는 도 8의 장치에 있어서, 보조 기억장치(2)측으로 퇴피(退避)되는 차분 데이터가 작게 구분되지 않도록 보조 기억장치(2)측으로의 기록 동작이 소정 기간 계속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도 8의 장치(제 3 실시형태)의 기록 관리부(3)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도 8의 장치(제 4 실시형태)의 기록 관리부(3)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7은 도 8의 장치(제 5 실시형태)의 기록 관리부(3)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8은 도 8의 장치(제 6 실시형태)의 버퍼 메모리(5, 7)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도 8의 장치(제 7 실시형태)의 버퍼 메모리(5)의 포지션부 및 데이터·사이즈부의 내용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도 18의 (a)와 대응),
도 20은 도 8의 장치(제 7 실시형태)의 버퍼 메모리(5)의 포지션부 및 데이터·크리부의 내용의 다른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도 18의 (a)와 대응),
도 21은 도 8의 장치(제 8 실시형태)의 버퍼 메모리(5, 7)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22는 도 8의 장치(도 9의 실시형태)의 버퍼 메모리(5)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억장치 2 : 보조 기억장치
3 : 기록 관리부 4 : 기록상태 감시부
5, 7 : 버퍼 메모리 6 : 버퍼 데이터량 계측부
10 : 데이터 기록장치 20 : 상위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하와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국면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 1 기억수단;
제 1 기억수단과 병렬 관계에 있고, 데이터의 일부를 기록하기 위한 제 2 기억수단;
데이터의 공급의 진행에 따라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 및 제 2 기억 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서로 전환하여 발행하는 기록 관리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국면에서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데이터를 제 1 기억수단측과 제 2 기억수단측으로 분담하여 기록하기 때문에 외관상의 기록 속도가 제 1 기억수단측의 기록 속도와 제 2 기억수단측의 기록 속도의 합에 같아지고, 그 결과, 보다 고속인 기록을 실시할 수 있다. 바꿔말하면 종래의 장치와 달리 요구되는 기록 속도로 기록을 실시하는데 반드시 그 속도 이상으로 고속인 기억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제 2 국면은 제 1 국면에 있어서,
기록 관리 수단이 발행한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의 실행 상태를 감시하는 기록 상태 감시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기록 관리 수단은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 및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서로 전환하여 발행할 때, 기록 상태 감시수단의 감시 결과에 기초하여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 및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중 어느 것을 발행할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 국면에서는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의 실행상태에 따라서 제 1 기억수단측과 제 2 기억수단측과 기록 처리를 분담시키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제 1 기억수단측이 기록할 수 없는 분의 데이터만을 제 2 기억수단측에 퇴피시키도록 하고, 그것에 의해 퇴피된 데이터를 제 1 기억수단측으로 전송할 때 CPU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할 수도 있다.
제 3 국면은 제 2 국면에 있어서, 기록 관리 수단은 또한 기록 상태 감시수단의 감시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기억수단측에 기록된 데이터를 제 1 기억수단을 향해 전송시키는 전송 명령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 3 국면에서는 제 2 기억수단측에 기록된 데이터를 제 1 기억수단을 향해서 전송하도록 한 것에 의해 제 1 기억수단측과 제 2 기억수단측으로 분할하여 기록된 데이터가 하나로 정리되어 그 결과 데이터를 이용할 때의 편리성이 높아진다.
제 4 국면은 제 2 국면에 있어서,
기록 상태 감시수단은,
제 1 기억수단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하기 위한 버퍼메모리; 및
버퍼메모리에 축적된 데이터의 양을 계측하는 버퍼 데이터량 계측 수단을 포함하고,
기록 관리 수단은 버퍼 데이터량 계측 수단의 계측 결과가 제 1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그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에는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하고, 부정인 경우에는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 4 국면에서는 제 1 기억수단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되도록 하고, 축적된 데이터의 양에 기초하여 제 1 기억수단측에 기록할지 제 2 기억수단측에 기록할지를 판정하고 있기 때문에 판정을 용이하게 또 정밀도 좋게 실시할 수 있다.
제 5 국면은 제 4 국면에 있어서,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한 경우, 기록 관리 수단은 버퍼 데이터량 계측 수단의 계측 결과가 제 2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또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가 긍정이 되기까지는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계속해서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 5 국면에서는 일단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이 개시된 경우, 그것이 소정 기간 계속되기 때문에 기록된 데이터의 연속이 높아진다. 그 결과, 제 1 기억수단에서 제 2 기억수단으로의 데이터 전송의 일괄화가 용이해져 외관상의 기록 속도도 빨라진다.
제 6 국면은 제 4 국면에 있어서 버퍼 메모리는 데이터에 더해 당해 데이터의 사이즈 및 파일내에서의 포지션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6 국면에서는 데이터의 사이즈 및 파일내에서의 포지션을 기억했기 때문에 파일내의 어떤 포지션의 데이터를 제 2 기억수단측으로 퇴피시켜도 그 데이터의 전송후, 제 1 기억수단측에서 완전한 파일을 복원할 수 있다.
제 7 국면은 제 6 국면에 있어서, 버퍼메모리는 파일의 식별자를 또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7 국면에서는 데이터가 속하는 파일의 식별자를 기억했기 때문에 복수의 파일에 속하는 데이터를 파일마다 개별적으로 축적할 필요가 없어진다.
제 8 국면은 제 6 국면에 있어서, 버퍼메모리는 제 2 기억수단측에 기억된 데이터가 전송되어 올때 그것을 기록하기 위한 제 1 기억수단측의 영역의 위치 정보를 또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8 국면에서는 제 2 기억수단측에서 전송되어오는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 1 기억수단측의 영역의 위치 정보(애로케이션)를 또한 기억했기 때문에 전송되어오는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위치 정보를 제 1 기억수단측에서 검색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예를 들면 검색에 따른 오버헤드의 횟수가 삭감되어 그만큼 외관상의 기록 속도가 빨라진다.
제 9 국면은 제 6 국면에 있어서, 버퍼 메모리는 데이터의 사이즈를 기억할 때, 실제로 취할 수 있는 이외의 사이즈를 기억하고, 그것에 의해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이 실시된 것을 제 1 기억수단측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9 국면에서는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이 실시된 것을 제 1 기억수단측이 알 수 있기 때문에 제 2 기억수단측에서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제 1 기억수단측에서 미리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의 사이즈를 이용하여 통지를 실시했기 때문에 통지를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 10 국면은 제 3 국면에 있어서, 제 1 기억수단은 제 2 기억수단에 데이터가 기록된 것을 검출하면 당해 데이터가 전송되어 올 때 그것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확보하고, 또 당해 데이터에 관련된 테이블을 생성하여 확보한 영역의 위치 정보를 당해 테이블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0 국면에서는 제 2 기억수단으로의 데이터의 기록이 실시된 시점에서 장래 전송되어 오는 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제 1 기억수단측에 확보함과 동시에 그 영역의 위치 정보(애로케이션)를 테이블에 저장해둔다. 이것에 의해 그 데이터가 제 1 기억수단측에 전송되어올 때, 그 전후의 데이터와의 연속성을 확보한 상태로 기록을 실시할 수 있다.
제 11 국면은 제 3 국면에 있어서, 기록 관리 수단은 새로운 기록 요구가 없고, 또 기록 상태 감시수단의 감시 결과가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전송 명령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1 국면에서는 새로운 기록 요구가 없고, 또 제 1 기록 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의 실행 상태가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전송 명령을 발행하도록 했기 때문에 현재의 기록 요구의 실행을 방해하지 않고, 제 2 기억수단측으로 퇴피된 데이터를 제 1 기억수단을 향해서 전송할 수 있다.
제 12 국면은 제 3 국면에 있어서, 기록 관리 수단은 소정의 시간내에 제 2 기억수단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제 2 기억수단으로 입력된 데이터의 양이 제 3 기준축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그 판정 결과가 긍정이고, 또 기록 상태 감시수단의 감시 결과가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전송 명령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2 국면에서는 소정의 시간내에 직접 제 1 기억수단으로 입력된 데이터의 양이 제 3 기준값 이하이고, 또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의 실행상태가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전송 명령을 방해하도록 했기 때문에 현재의 기록 요구의 실행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제 2 기억수단측으로 퇴피된 데이터를 제 1 기억수단을 향해서 전송할 수 있다.
제 13 국면은 제 1 및 제 2 기억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기록장치에서 실행되고,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의 공급의 진행에 따라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 및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교대로 전환하여 발행하고,
제 1 기억수단에 기록되야 하는 데이터의 일부를 제 2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3 국면에서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데이터를 제 1 기억수단측과 제 2 기억수단측에서 분담하여 기록하기 때문에 외관상의 기록 속도가 제 1 기억수단측의 기록 속도와 제 2 기억수단측의 기록 속도와의 합과 같아지고, 그 결과 더욱 고속인 기록을 실시할 수 있다. 바꿔말하면 종래의 장치와 달리 요구되는 기록 속도로 기록을 실시하는데, 반드시 그 속도 이상으로 고속인 기억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제 14 국면은 제 13 국면에 있어서,
또한,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의 실행상태를 감시하고,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 및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서로 전환하여 발행할 때, 감시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 및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중 어느 것을 발행할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4 국면에서는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의 실행상태에 따라서 제 1 기억수단측과 제 2 기억수단측에 기록 처리를 분담시키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제 1 기억수단측을 기록할 수 없는 분의 데이터만큼을 제 2 기억수단측에 퇴피시키도록 하고, 그것에 의해 퇴피된 데이터를 제 1 기억수단측으로 전송할 때 CPU에 드는 부하를 경감할 수도 있다.
제 15 국면은 제 14 국면에 있어서, 또 감시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기억수단측에 기록된 데이터를 제 1 기억수단을 향해서 전송시키는 전송 명령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5 국면에서는 제 2 기억수단측에 기록된 데이터를 제 1 기억수단을 향해서 전송하도록 한 것에 의해 제 1 기억수단측과 제 2 기억수단측으로 분할하여 기록된 데이터가 하나로 정리되어 그 결과 데이터를 이용할 때의 편리성이 높아진다.
제 16 국면은 제 14 국면에 있어서,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의 실행 상태를 감시할 때,
제 1 기억수단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하고,
축적된 데이터의 양을 계측하여,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 및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중 어느 것을 발행할지를 결정할 때,
계측된 결과가 제 1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된 결과가 긍정인 경우에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하고, 부정인 경우에는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6 국면에서는 제 1 기억수단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하도록 하고, 축적된 데이터의 양에 기초하여 제 1 기억수단측에 기록할지 제 2 기억수단측에 기록할지를 판정하고 있기 때문에 판정을 용이하고 또 정밀도 좋게 실시할 수 있다.
제 17 국면은 제 16 국면에 있어서,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한 경우,
계측한 결과가 제 2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또 판정하고,
또 판정된 결과가 긍정이 되기 까지는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계속해서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7 국면에서는 일단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이 개시된 경우, 그것이 소정 기간 계속되기 때문에 기록된 데이터의 연속성이 높아진다. 그 결과, 제 1 기억수단에서 제 2 기억수단으로의 데이터 전송의 일괄화가 용이해져 외관상의 기록 속도도 빨라진다.
제 18 국면은 제 16 국면에 있어서, 제 1 기억수단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할 때, 당해 데이터에 더해 당해 데이터의 크기 및 파일내에서의 포지션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8 국면에서는 데이터의 크기 및 파일내에서의 포지션을 기억했기 때문에 파일내의 어떤 포지션의 데이터를 제 2 기억수단측으로 퇴피시켜도 그 데이터의 전송 후 제 1 기억수단측에서 완전한 파일을 복원할 수 있다.
제 19 국면은 제 18 국면에 있어서, 제 1 기억수단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할 때, 당해 파일의 식별자를 또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9 국면에서는 데이터가 속하는 파일의 식별자를 기억했기 때문에 복수의 파일에 속하는 데이터를 파일마다 개별적으로 축적할 필요가 없어진다.
제 20 국면은 제 18 국면에 있어서, 제 1 기억수단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할 때, 제 2 기억수단측에 기록된 데이터가 전송되어올 때 그것을 기록하기 위한 제 1 기억수단측의 영역의 위치 정보를 또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0 국면에서는 제 2 기억수단측에서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 1 기억수단측의 영역의 위치 정보(애로케이션)를 또 기억했기 때문에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위치 정보를 제 1 기억수단측에서 검색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예를 들면 검색에 따른 오버헤드의 횟수가 삭감되고, 그만큼 외관상의 기록 속도가 빨라진다.
제 21 국면은 제 18 국면에 있어서, 제 1 기억수단에 입력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기억할 때 실제로 취급할 수 있는 이외의 사이즈를 기억하고, 그것에 의해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이 실시된 것을 제 1 기억수단측으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1 국면에서는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이 실시된 것을 제 1 기억수단측이 알 수 있기 때문에 제 2 기억수단측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제 1 기억수단측에서 미리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의 크기를 이용하여 통지를 실시했기 때문에 통지를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 22 국면은 제 15 국면에 있어서, 제 2 기억수단에 데이터가 기록된 것을 검출하면 당해 데이터가 제 1 기억수단으로 전송되어 올 때 그것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확보하고, 또 당해 데이터에 관련된 테이블을 생성하여 확보한 영역의 위치 정보를 당해 테이블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2 국면에서는 제 2 기억수단으로의 데이터의 기록이 실시된 시점에서 장래 전송되어 오는 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제 1 기억수단측에 확보함과 동시에 그 영역의 위치 정보(애로케이션)를 테이블에 저장해둔다. 이것에 의해 그 데이터가 제 1 기억수단측으로 전송되어 왔을 때, 그 전후의 데이터와의 연속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기록을 실시할 수 있다.
제 23 국면은 제 15 국면에 있어서 새로운 기록 요구가 없고 또 감시 결과가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전송 명령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3 국면에서는 새로운 기록 요구가 없고, 또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의 실행 상태가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전송 명령을 발행하도록 했기 때문에 현재의 기록 요구의 실행을 방해하지 않고 제 2 기억수단측으로 퇴피된 데이터를 제 1 기억수단을 향해서 전송할 수 있다.
제 24 국면은 제 15 국면에 있어서, 소정의 기일내에 제 2 기억수단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제 1 기억수단으로 입력된 데이터의 양이 제 3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가 긍정이고 또 감시 결과가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전송 명령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4 국면에서는 소정 시간내에 직접 제 1 기억수단으로 입력된 데이터의 양이 제 3 기준값 이하이고, 또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의 실행상태가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전송 명령을 발행하도록 했기 때문에 현재의 기록 요구의 실행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고, 더욱 효율적으로 제 2 기억수단측으로 퇴피된 데이터를 제 1 기억수단을 향해서 전송할 수 있다.
제 25 국면은 제 1 및 제 2 기억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기록 장치에서 실행되고,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이며,
데이터의 공급의 진행에 따라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 및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서로 전환하여 발행하고,
제 1 기억수단에 기록되야 하는 데이터의 일부를 제 2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환경을 데이터 기록 장치상에서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다.
제 26 국면은 제 25 국면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또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의 실행 상태를 감시하고,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 및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서로 전환하여 발행할 때, 감시 결과에 기초하여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 및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중 어떤 것을 발행할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환경을 데이터 기록 장치상에서 실현한다.
제 27 국면은 제 26 국면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또 감시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기억수단측에 기록된 데이터를 제 1 기억수단을 향해서 전송시키는 전송 명령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환경을 데이터 기록 장치상에서 실현한다.
제 28 국면은 제 26 국면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의 실행상태를 감시할 때,
제 1 기억수단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하고,
축적된 데이터의 양을 계측하며,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 및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중 어느 것을 발행할지를 결정할 때,
계측 결과가 제 1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에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하고, 부정인 경우에는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환경을 데이터 기록 장치상에서 실현한다.
제 29 국면은 제 28 국면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한 경우,
계측 결과가 제 2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또 판정하고,
또 판정된 결과가 긍정이 되기까지는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계속해서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환경을 데이터 기록 장치상에서 실현한다.
제 30 국면은 제 28 국면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제 1 기억수단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할 때, 당해 데이터에 더해 당해 데이터의 사이즈 및 파일내에서의 포지션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환경을 데이터 기록장치상에서 실현한다.
제 31 국면은 제 30 국면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제 1 기억수단에 기록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할 때, 당해 파일의 식별자를 또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환경을 데이터 기록 장치상에서 실현한다.
제 32 국면은 제 30 국면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제 1 기억수단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할 때, 제 2 기억수단측에 기록된 데이터가 전송되어 올 때 그것을 기록하기 위한 제 1 기억수단측의 영역의 위치 정보를 또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환경을 데이터 기록장치상에서 실현한다.
제 33 국면은 제 30 국면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제 1 기억수단에 입력되는 데이터의 사이즈를 기억할 때, 실제로 취급할 수 있는 이외의 크기를 기억하는 것에 의해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이 실시된 것을 제 1 기억수단측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환경을 데이터 기록 장치상에서 실현한다.
제 34 국면은 제 27 국면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제 2 기억수단에 데이터가 기록된 것을 검출하면 당해 데이터가 제 1 기억수단으로 전송되어 올 때 그것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확보하고, 또 당해 데이터에 관련된 테이블을 생성하여 확보한 영역의 위치 정보를 당해 테이블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환경을 데이터 기록장치상에서 실현한다.
제 35 국면은 제 27 국면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새로운 기록 요구가 없고, 또 감시 결과가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전송 명령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환경을 데이터 기록장치상에서 실현한다.
제 36 국면은 제 27 국면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소정 시간내에 제 2 기억수단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제 1 기억수단으로 입력된 데이터의 양이 제 2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가 긍정이고, 또 감시 결과가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전송 명령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환경을 데이터 기록 장치상에서 실현한다.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하기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 기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에는 도 1의 장치가 도시하지 않은 상위 장치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의 장치는 종래 기술의 항목으로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보조적인 기억장치를 이용하여 상위 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를 효율적으로 실행하는 것이지만 보조 기억장치의 기록 속도가 반드시 상위장치가 요구하는 기록 속도 이상이 아니어도 좋은 점이 종래의 장치와 다르다.
도 1에 있어서, 기억장치(1)는 파일로의 입력 데이터(이하,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한 「데이터」는 「파일로의 입력 데이터」를 말함)를 기억한다. 보조 기억장치(2)는 데이터의 일부(이하, 차분 데이터;후술)를 기록한다. 기록 상태 감시부(4)는 기억장치(1)에 대한 기록 명령의 실행 상태를 감시한다. 기억장치(1)에 대한 기록 명령의 실행 상태는 예를 들면 상위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의 속도와 기억장치(1)의 기록 속도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알 수 있다.
기록 관리부(3)는 상위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를 수취하면 기록 상태 감시부(4)의 감시 결과에 기초하여 기록 장치(1)가 그 기록 요구를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 결과에 따라서 기억장치(1)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하거나 또는 보조 기억장치(2)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한다.
여기서, 기록 요구라는 것은 예를 들면 파일에 대한 입력 함수의 호출 및 그에 관련된 처리를 단위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상위 장치)이 명령하는 실행 요구이며, 기록 명령이라는 것은 기록 동작을 실시하기 위해 기억장치에 전달되는 정보이다. 즉, 기록 명령은 기억장치로의 기록 동작의 실행 순서 등을 제어하기 위한 하위의 기록 요구이다.
따라서, 상위 장치로부터의 일련의 기록 요구는 기억장치(1)로의 기록 명령과 보조 기억장치(2)로의 기록 명령으로 분할되게 된다. 그 결과, 기억장치(1)에는 보조 기억장치(2)측으로 퇴피된 분의 데이터(차분 데이터)가 빠진 불완전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 경우, 기억장치(1)가 광디스크와 같은 착탈 가능한 미디어를 포함하는 장치라고 하면 다른 기기로 미디어를 운반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록 관리부(3)는 또한 기록 상태 감시부(4)의 감시 결과에 기초하여 보조 기억장치(2)측의 차분 데이터를 기억장치(1)로 전송 가능한지 여부, 즉 차분 데이터가 전송되었을 때 기억장치(1)가 그것을 기록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판정결과가 긍정인 경우에 보조 기억장치(2)측으로 퇴피된 데이터를 기억장치(1)를 향해서 전송시키는 명령(이하, 전송 명령)을 발행한다. 또는 단순히 상위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가 종료된 시점에서 전송 명령을 발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최종적으로는 모든 데이터가 기억장치(1)측에 기록되게 된다.
또한, 보조 기억장치(2)에 차분 데이터를 기록시키는 방법은 크게 나눠 2개 있다. 제 1 방법은 특정한 파일을 생성하여 파일 시스템을 통해 보조 기억장치(2)에 읽고 쓰는 방법이다. 제 2 방법은 특정 영역을 미리 확보하여 파일 시스템을 통하지 않고 직접 보조 기억장치(2)에 읽고 쓰는 방법이다. 미리 기록 영역을 확보하는데는 예를 들면 전용 파티션을 작성하거나 파일영역의 일부를 파일 시스템이 변경을 하지 않은 특수 파일 또는 그것에 준한 것으로서 확보하는 방법이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도 1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공통하여 상위장치(20)가 데이터 기록장치(10)(도 1과 동일한 장치;단 기록상태 감시부(4)를 생략하고, 기억장치(1)를 목표 기억장치(1)라고 함)에 요구하는 기록 속도(단위시간당 데이터 기록량)를 기록 요구 속도라고 한다. 또한, 기록 관리부(3)가 기억장치(1)에 명령하는 기록 속도를 실효 기록 속도, 보조 기억장치(2)에 명령하는 기록 속도를 퇴피 기록 속도라고 한다. 또는 기록 관리부(3)가 보조 기억장치(2)에 명령하는 전송 속도(보조 기억장치(2)에서 기억장치(1)로 단위시간당 데이터 전송량)를 퇴피 전송 속도라고 한다.
도 2는 도 1의 장치에 있어서, 기록 요구 속도가 실효 기록 속도를 상회하는 국면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면 기록 요구 속도를 600kB/초, 실효 기록 속도를 500kB/초로 하면 100kB/초의 퇴피 기록 속도를 가진 보조 기억장치(2)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상위장치(20)로부터의 기록 요구를 실시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장치에 있어서 기록 요구 속도가 실효 기록 속도를 하회하는 국면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면 기록 요구 속도를 400kB/초, 실효 기록 속도를 500kB/초로 하면 상위장치(20)로부터의 현재 기록 요구에 더해 최대 100kB/초의 퇴피 전송 속도로 도 2와 같이 하여 축적된 차분 데이터를 보조 기억장치(2)측으로부터 기억장치(1)를 향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의 예에서는 도 2와 도3에서 실효 기록 속도가 일정하고, 기록 요구 속도가 변화하고 있다. 이것은 DVD용 MPEG-2방식 등, 가변 기록 속도를 채용한 영상 압축 기술을 이용한 시스템에서 보이는 경우이다.
또한, 예를 들면 도 2에 있어서 기록 요구 속도를 500kB/초, 실효 기록 속도를 400kB/초로 하고, 도 3에 있어서 기록 요구 속도를 500kB/초, 실효 기록 속도를 600kB/초로 해도 좋다. 이것은 일반적인 MPEG방식과 같은 고정 기록 속도를 채용한 영상 압축 기술을 이용한 시스템에서 보이는 경우이다. 실효 기록 속도가 변화하는 기억장치로서 예를 들면 Z-CAV(Zone Constant Angular Velocity)방식을 채용한 디스크장치가 있다.
이상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의 장치에서는 상위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를 분할하여 기억장치(1)와 보조 기억장치(2)로 할당하는 것에 의해 외관상의 기록 속도가 기억장치(1)의 기록 속도와 보조 기억장치(2)의 기록속도와의 합과 같아지고, 그 결과, 보다 고속인 기록 요구를 처리할 수 있다. 바꿔말하면 종래의 장치와 달리 상위장치가 요구하는 기록속도를 처리하는데 반드시 그 속도 이상으로 고속인 기억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보조 기억장치(2)측으로 퇴피된 데이터를 기억장치(1)를 향해서 전송하도록 한 것에 의해 기억장치(1)와 보조 기억장치(2)로 분할하여 기록된 데이터가 하나로 정리되고 그 결과 데이터를 이용할 때의 편리성이 높아진다.
또는 데이터를 기억장치(1)와 보조 기억장치(2)로 분할하여 기록할 때, 상위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 속도와 기억장치(1)의 기록 속도를 비교하여 기록 요구 속도가 기록 속도를 상회한 경우에 그것들의 차분과 같은 속도로 보조 기억장치(2)에 기록시키도록 하고, 그것에 의해 보조 기억장치(2)측으로 퇴피된 차분 데이터의 양을 가능한한 적게 한다. 그 결과, 차분 데이터의 퇴피/전송 처리가 가벼워져 그 만큼 상위 장치(CPU)에 드는 부하가 작아진다. 이에 덧붙여 보조 기억장치(2)로의 입력/판독에 따른 오버헤드의 횟수도 삭감할 수 있다.
여기서, 종래의 장치와 도 1의 장치와의 차이가 더욱 명확해지도록 구체적인 예를 들어 양자의 기록 속도 및 CPU의 부하율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비교한다.
도 4∼도 7은 종래의 장치와 도 1의 장치와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도 7에 공통하여 (a)는 종래의 장치에 대응하는 하드디스크·버퍼, (b)는 도 1의 장치에 대응하는 하드디스크·차분 버퍼이다. 하드디스크장치의 입출력 성능을 20Mbps, 광디스크장치의 입출력 성능을 4Mbps로 한다.
도 4에 있어서, (a)의 하드디스크·버퍼에서 상위장치로부터의 데이터는 하드디스크·버퍼 관리부를 통하여 모두 일단 하드디스크 장치측에 기록된다. 동시에 광디스크 장치측에 기록하고자 하는 만큼의 데이터가 하드디스크장치에서 판독된다. 한편, (b)의 하드디스크·차분 버퍼에서는 상위장치로부터의 데이터는 그 대부분이 하드디스크·차분 버퍼 관리부를 통하여 직접 광디스크장치측에 기록되고, 광디스크장치를 기록할 수 없는 (차분 데이터) 만큼이 하드디스크 장치측에 기록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이용하여 기록 속도를 평가하여 비교한다. 도 5에 있어서, (a)의 하드디스크·버퍼에서 기록 속도의 최대값은 하드디스크 장치의 성능으로 결정된다. 단, 기록에 평행하여 4Mbps의 판독이 실행되기 때문에 기록 속도의 최대값은 20Mbps-4Mbps=16Mbps이다. 한편, (b)의 하드디스크·차분 버퍼에서는 광디스크장치와 하드디스크 장치에 동시에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기록 속도의 최대값은 20Mbps+4Mbps=24Mbps가 된다. 즉, 동일 성능의 기억장치에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b)의 하드디스크·차분 버퍼는 (a)의 하드디스크·버퍼 보다 고속으로 기록을 실시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6Mbps의 기록을 10분간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 CPU에 드는 부하의 크기를 평가하여 비교한다. 여기서는 부하의 크기를 나타내는 평가값으로서 기억장치로의 입출력 속도를 그 장치의 입출력 성능으로 나눠 얻어지는 값을 채용한다. 도 6에 있어서, (a)의 하드디스크·버퍼, (b)의 하드디스크·차분 버퍼 모두 상위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속도(6Mbps)와 광디스크장치의 기록 속도(4Mbps)와의 차에 해당하는 2Mbps의 속도로 하드디스크 장치에 데이터가 축적되어 간다.
이때, (a)의 하드디스크·버퍼에서 부하의 크기는
(HD로의 입출력)/(HD의 성능)+(OD로의 입출력)/(OD의 성능)
=(6Mbps+4Mbps)/20Mbps+4Mbps/4Mbps=1.5
가 된다(단, HD는 하드디스크장치, OD는 광디스크 장치;이하 동일).
한편, (b)의 하드디스크·차분 버퍼에서 부하의 크기는
(HD로의 입출력)/(HD의 성능)+(OD로의 입출력)/(OD의 성능)
=2Mbps/20Mbps+4Mbps/4Mbps
=1.1
이 된다.
즉, 동일 속도로 동일 시간만큼 동일 성능의 기억장치에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b)의 하드디스크·차분버퍼 쪽이 (a)의 하드디스크·버퍼 보다 CPU에 드는 부하가 작다.
다음으로, 도 7을 이용하여 도 6과 같이 하여 하드디스크 장치에 축적된 데이터를 광디스크장치로 전송할 때 CPU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를 평가하여 비교한다. 도 7에 있어서, (a)의 하드디스크·버퍼, (b)의 하드디스크·차분 버퍼 모두 전송 개시시, 2Mbps·10분간의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다. 이것들의 데이터는 모두 4Mbps의 속도로 광디스크장치로 전송되기 때문에 전송시에 CPU에 드는 부하는 (a)의 하드디스크·버퍼, (b)의 하드디스크·차분 버퍼에서 차는 없다.
이상에서는 20Mbps의 하드디스크 장치와 4Mbps의 광디스크 장치와 조합했지만 필요에 따라서 여러가지 기록 속도의 장치를 조합할 수 있다. 그 때 고속인 쪽의 장치를 반드시 보조 기억장치(2)로서 이용할 필요가 없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복수대의 하드디스크 장치를 조합하거나 복수대의 광디스크 장치를 조합하거나 또는 그것들을 혼합하여 조합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PC에 있어서, 650MB의 MO 드라이브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230MB의 오래된 MO 드라이브를 보조 기억장치(2)로서 이용하거나 또는 종래예의 항목으로 설명한 오사링 장치에 있어서, 복수대의 하드디스크 장치중 1대를 보조 기억장치(2)로 이용하는 것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 있어서, 버퍼메모리(5)는 기억장치(1)로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버퍼 데이터량 계측부(6)는 버퍼메모리(5)에 축적되어 있는 데이터의 양을 계측한다. 버퍼메모리(7)는 기억장치(1)로의 차분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또한, 도 1의 장치와 동일한 구송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의 장치에서는 버퍼메모리(5) 및 버퍼 데이터량 계측부(6)에 의해 도 1의 기록 상태 감시부(4)의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즉, 상위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의 속도가 기억장치(1)의 기록 속도를 상회하고 있는 경우, 데이터가 축적되어 버퍼메모리(5)가 가득 차게 되는 한편, 하회하고 있는 경우에는 축적된 데이터가 판독되어 버퍼메모리(5)가 비게 되기 때문에 버퍼 메모리(5)의 데이터량을 계측하는 것에 의해 기억장치(1)로의 기록 명령의 실행상태를 알 수 있다.
버퍼 메모리(5)는 상위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로의 응답을 좋게 하고, 또 오버헤드의 횟수를 삭감하는 역할도 한다. 바꿔말하면, 응답도 좋게 하고, 오버헤드의 횟수를 삭감하기 위해 미리 설치한 버퍼메모리(5)를 도 1의 기록 상태 감시부(4)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유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조 기억장치(2)의 속도가 충분히 빠르면 반드시 버퍼 메모리(7)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이하에는 도 8의 장치의 동작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8의 장치에서는 상위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 속도와 기억장치(1)의 실효 기록 속도와의 차(도 2를 참조)는 버퍼 메모리(5)에 축적되는 데이터의 양, 즉 미처리의 기록 명령의 양에 의해 검출된다. 기억 관리부(3)는 이 버퍼 데이터량 계측부(6)가 계측한 데이터량과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면 버퍼메모리(5)의 용량에 해당하는 값)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상위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를 기억장치(1)측이 처리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서 기억장치(1)로의 기록 명령 또는 보조 기억장치(2)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한다. 그 결과, 기억장치(1)의 기록 성능을 상회하는 차분 데이터가 보조 기억장치(2)측에 기록된다.
기록 관리부(3)는 또한 버퍼 데이터량 계측부(6)의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보조 기억장치(2) 측의 차분 데이터를 기억장치(1)를 향하여 전송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판정결과가 긍정인 경우에 보조 기억장치(2)측에 퇴피된 차분 데이터를 기억장치(1)를 향해서 전송시키는 명령을 발행한다. 또는 상위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의 상태에 기초하여 전송 가능한지 여부의 판정을 실시해도 좋다.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상위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의 상태는 기록 요구의 빈도, 보조 기억장치(2)측을 경유하지 않고 기억장치(1)에 직접 기록된 데이터의 양, 기록중의 파일에 대한 클로즈(기록 종료) 요구 등, 기록 요구의 계시적 상태를 말한다.
여기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가령 도 8의 장치가 버퍼 데이터량 계측부(6), 버퍼메모리(7) 및 보조 기억장치(2)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버퍼 메모리(5)의 데이터의 양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버퍼 데이터량 계측부(6), 버퍼 메모리(7) 및 보조 기억장치(2)를 제외한 경우, 도 8의 장치의 구성은 기억장치에 버퍼 메모리를 설치한 종래의 기억 장치(종래기술의 항목을 참조)와 동일하게 된다.
도 9는 가령 도 8의 장치가 버퍼 데이터량 계측부96), 버퍼 메모리(7) 및 보조 기억장치(2)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 상위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가 기억장치(1)로의 실효 기록 동작을 상회했을 때 생기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있어서, 상위장치로부터의 1회의 기록 요구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사이즈와 기억장치(1)의 1회의 실효 기록 동작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사이즈를 동일하게 한다. 또한, 버퍼메모리(5)는 4회분의 기록 명령에 대응하는 양의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위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가 80미리초 간격으로 발생되고 기억장치(1)의 실효 기록 동작은 120미리초 간격으로 실시되는 것으로 한다. 도 9에서는 3회의 기록 요구에 대해 2회의 실효 기록 동작밖에 실시되지 않기 때문에 버퍼 메모리(5)내의 데이터량이 서서히 증가해간다. 그리고, 도면중에 A로 나타내는 13회째의 기록 요구는 버퍼메모리(5)의 오버플로를 위해 처리되지 않고, 따라서 그 요구에 대응하는 데이터(도면중, 버퍼메모리(5)내의 데이터량이 가득 찬 것을 나타내는 파선의 위치에서 위로 향하는 짧은 실선;실선의 길이가 기록 요구의 데이터의 사이즈를 나타냄)는 버퍼메모리(5)에 저장되지 않는다. 이와같은 경우, 현실의 기록장치이면 상위장치를 기다리거나 또는 기록 요구가 손실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도 10은 가령 도 8의 장치가 버퍼 데이터량 계측부(6), 버퍼메모리(7) 및 보조 기억장치(2)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 기억장치(1)에 있어서 시크가 발생했기 때문에 실효 기록 동작의 동작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았을 때 생기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서도 도 9와 마찬가지로 상위장치로부터의 1회의 기록 요구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사이즈와 기억장치(1)의 1회의 실효 기록 동작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사이즈를 동일하게 한다. 또한, 상위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의 간격 및 기억장치(1)의 실효 기록 동작의 간격을 모두 100미리초로 한다.
도 10에 있어서, 시크의 발생전, 버퍼 메모리(5)내의 데이터량이 거의 가득 찼지만 실효 기록 동작은 일정한 간격으로 바르게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3회째의 실효 기록 동작 후, 시크가 발생했기 때문에 2회분의 실효 기록 동작이 실시되지 않았다. 그때문에 도면중 B 및 C로 나타내는 2회의 기록 요구는 버퍼 메모리(5)가 오버플로하여 실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9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위장치를 기다리거나 또는 기록 요구가 손실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하에는 이들 문제를 도 8의 장치가 어떻게 해결하였는지를 도 11 및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문제점을 도 8의 장치가 어떻게 해결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상위장치로부터의 1회의 기록요구(도면중 검게 칠한「▽」)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사이즈와 기억장치(1)의 1회의 실효 기록 동작(도면중 검게 칠하지 않은 「▽」)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사이즈를 동일하게 한다. 또한, 상위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의 간격을 80미리초, 기억장치(1)로의 실효 기록 동작의 간격을 120미리초로 한다. 이때, 3회의 기록 요구에 대해 2회의 실효 기록 동작밖에 실시되지 않기 때문에 버퍼 메모리(5)내의 데이터의 양이 서서히 증가해간다. 또한, 도 9 및 도 10과 마찬가지로 버퍼메모리(5)의 용량은 기록 요구 4회분에 대응하는 양이다.
도 11에 있어서, 일련의 기록요구중 제 4 회째의 기록 요구 및 그 이후 2회마다의 기록 요구(도면중 「□」으로 나타냄)는 버퍼메모리(5)내의 데이터의 양이 가득 찬 것을 나타내는 값일 때 보내져 온 것이다. 이것들의 기록 요구에 대해 기록 관리부(3)는 기록 장치(1)를 대신해 보조 기억장치(2)에 처리시키는 것을 결정함과 동시에 요구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버퍼메모리(7)에 저장한다.
도 12에 있어서, 실선의 「□」으로 나타낸 기록 요구는 도 11의 「□」와 마찬가지로 버퍼메모리(5)내의 데이터량이 가득 찬 것을 나타내는 값일 때 보내져 온 것이다. 한편, 점선의 「□」으로 나타내는 3회의 기록 요구는 기억장치(1)에 있어서 제 3 회째의 실효 기록 동작후 시크가 발생하고, 그때문에 2회분의 실효 기록 동작이 바르게 실행되지 않아 버퍼 메모리(5)가 가득 찼을 때 보내져 온 것이다. 점선의 「□」로 나타내는 3회의 기록 요구에 대해서도 기록 관리부(3)는 기억 장치(1)를 대신해 보조 기억장치(2)에 처리시키는 것을 결정함과 동시에 요구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7)에 저장한다.
이와같이, 도 8의 장치에서는 버퍼메모리(5)가 가득 찬 경우에는 보내져 온 기록 요구를 기억장치(1)를 대신해 보조 기억장치(2)에 처리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위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 속도가 기억장치(1)의 실효 기록 속도를 상회하거나 기억장치(1)에서 시크가 발생해도 상위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를 접수할 수 있고, 따라서 상위장치를 기다리거나 기록 요구가 사라지는 일이 없어진다.
다음으로, 도 8의 장치의 기록 관리부(3)의 처리의 흐름을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즉, 도 13은 도 8의 장치의 기록 관리부(3)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은 도 8의 기억장치(1)는 목표 기억장치로 표기되어 있다. 또한, 보조 기억장치(2)측으로 퇴피된 차분 데이터를 상위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가 종료된 시점에서 기억장치(1)로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도 13에 있어서, 파일이 오픈되어 기록이 개시되면 기록 관리부(3)는 보조 기억장치(2)측에 차분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관리 정보 및 기억장치(1)에 불완전한 파일을 취급하기 위한 관리 정보의 초기화를 실시한다(단계(S1301).
다음으로, 기록 관리부(3)는 상위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에 대해 버퍼 메모리(5)에 축적되어 있는 데이터의 양(즉, 버퍼 데이터량 계측부(6)의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상위장치로부터의 현재의 기록 요구를 기억장치(1)측에 처리시킬지 또는 보조 기억장치(2)측에 처리시킬지(즉, 차분데이터를 생성할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S1302). 단계(S1302)에서 차분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 기록 관리부(3)는 기억장치(1)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하고(단계(S1303), 차분 데이터를 생성한다고 결정한 경우에는 보조 기억장치(2)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한다(단계(S1304).
다음으로, 기록관리부(3)는 현재 생성중인 파일에 대한 상위장치로부터의 일련의 기록 요구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1305)). 단계(S1305)의 판정 결과, 기록 요구가 아직 종료되지 않은 경우, 단계(S1302)로 되돌아가 상기 처리를 반복하고, 종료된 경우에는 단계(S1306)로 진행한다.
단계(S1302)의 차분 데이터를 생성할지 여부의 판단은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면 버퍼 메모리(5)의 용량에 해당하는 값)을 설치하여 그 값과 버퍼메모리(5)의 데이터량을 비교하여 실시한다. 도 11에 나타낸 예로 말하자면 버퍼 메모리(5)의 용량이 기록 요구 4회분에 대응하는 값이기 때문에 상기 기준값을 4로 설정하고, 버퍼메모리(5)의 데이터의 양이 4가 된 경우에 차분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단계(S1305)의 기록 요구가 종료되었는지 여부의 판정은 예를 들면 파일의 클로즈 요구가 있었는지 여부 등에 기초하여 실시한다.
다음으로, 기록 관리부(3)는 보조 기억장치(2)측을 검사하여 차분 데이터의 유무를 조사한다(단계(S1306). 검사결과, 차분데이터가 있으면 보조 기억장치(2)에 명령하여 그중의 적당한 양의 데이터를 기억장치(1)를 향해서 전송시키고(단계(S1307), 그 후 단계(S1306)로 되돌아간다. 차분 데이터가 없으면 기록 동작이 종료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으로는 상위장치로부터의 1회의 기록 요구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사이즈와 기억장치의 1회의 실효 기록 동작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사이즈가 동일하지만 달라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 3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의 구성은 제 2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도 도 8을 원용한다(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데이터 기록 장치를 도 8의 장치라고 함). 본 실시형태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조 기억장치(2)측으로 퇴피되는 차분 데이터가 작게 구분되지 않도록 일단 기록 관리부(3)가 보조 기억장치(2)로의 기록 명령의 발행을 개시한 경우, 그것을 소정 기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또한, 기록관리부(3)이외의 구성 요소의 동작은 제 2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함). 이것에 의해 보조 기억장치(2)측에 퇴피되는 차분 데이터의 연속성이 확보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차분 데이터를 보조 기억장치(2)에서 기억장치(1)로 일괄되게 전송할 수 있고, 그 결과 데이터 기록 장치의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이하에는 도 14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는 도 8의 장치에 있어서, 보조 기억장치(2)측에 퇴피되는 차분 데이터가 작게 구분되지 않도록 보조 기억장치(2)측으로의 기록 동작이 소정 기간 계속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있어서, 상위장치로부터의 1회의 기록 요구(도면중 검게 칠한 「▽」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사이즈와, 기억장치(1)의 1회의 실효 기록 동작(도면중의 검게 칠하지 않은 「▽」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사이즈를 같게 한다. 또, 상위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의 간격을 80미리초, 기억장치(1)로의 실효 기록 동작의 간격을 120미리초로 한다. 이 때, 3회의 기록 요구에 대해 2회의 실효 기록 동작밖에 실시되지 않기 때문에 버퍼 메모리(5)내의 데이터량이 서서히 증가해간다. 또, 버퍼 메모리(5)의 용량은 기록 요구 4회분에 대응하는 양이다.
도 14에 있어서, 제 4 회째의 기록 요구는 버퍼 메모리(5)내의 데이터량이 가득 찬 것을 나타내는 값일 때 보내져 온 것이다. 따라서, 이 제 4 회째의 기록 요구에 대해 기록 관리부(3)는 기억장치(1)를 대신하여 보조 기억장치(2)측에 처리시키는 것을 결정함과 동시에 요구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버퍼메모리(7)에 저장한다. 이후, 버퍼메모리(5)가 빌 때까지 보내져 오는 기록 요구를 차례로 보조 기억장치(2)측에 처리시킨다(도면중 「□」로 나타낸 합계 5회의 기록 요구가 보조 기억 장치(2)에 의해 처리되게 된다). 또, 적당한 기준값을 미리 결정해두고, 버퍼메모리(5)의 데이터의 양이 그 값 이하가 된 시점에서 기록 요구를 보조 기억장치(2)측에 처리시키도록 해도 좋다.
버퍼메모리(7)로의 입력에 평행하게 버퍼메모리(5)로부터의 판독이 실시되고, 기억장치(1)로의 제 6 회째의 실효 기록 동작에 의해 버퍼 메모리(5)가 비게 된다. 버퍼메모리(5)가 비게 되면 그 이후의 기록 요구에 대해 기록 관리부(3)는 기록장치(1)측에 처리시키는 것을 결정함과 동시에 요구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5)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도 8의 장치의 기록 관리부(3)의 처리의 흐름을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즉, 도 15는 도 8의 장치의 기록 관리부(3)의 처리의 흐름으르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5의 처리는 도 13의 처리에 있어서, 차분 데이터의 생성을 계속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S1501)와, 상위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02)를 또한 포함하고 있다.
도 15에 있어서, 파일이 오픈되어 기록이 개시되면 기록 관리부(3)는 보조 기억장치(2)측에 차분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관리 정보 및 기억장치(1)에 불완전한 파일을 취급하기 위한 관리 정보의 초기화를 실시한다(단계(S1301).
다음으로, 기록 관리부(3)는 상위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에 대해 버퍼메모리(5)에 축적되어 있는 데이터의 양(즉, 버퍼 데이터량 계측부(6)의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상위장치로부터의 현재의 기록 요구를 기억장치(1)측에 처리시킬지 또는 보조 기억장치(2)측에 처리시킬지(즉, 차분 데이터를 생성할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S1302). 단계(S1302)에서 차분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는다고 결정한 경우, 기록 관리부(3)는 기억장치(1)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하고(단계(S1303), 차분 데이터를 생성한다고 결정한 경우에는 보조 기억장치(2)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한다(단계(S1304).
다음으로 기록 관리부(3)는 현재 생성중인 파일에 대한 상위장치로부터의 일련의 기록 요구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1305). 단계(S1305)의 판정 결과, 기록 요구가 아직 종료되지 않은 경우, 단계(S1302)로 되돌아가 상기의 처리를 반복하고, 종료된 경우에는 단계(S1306)로 진행한다. 이상의 처리는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단, 다음과 같은 점이 제 2 실시형태와 다르다. 즉, 단계(S1302)에서 차분 데이터를 생성한다고 결정한 경우, 기록관리부(3)는 단계(S1304)의 처리에 계속해서 상위장치로부터의 현재의 기록 요구를, 계속해서 보조 기억장치(2)에 처리시킬지 또는 기억장치(1)에 처리시킬지(즉, 차분 데이터의 생성을 계속할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S1501)). 구체적으로는 버퍼 메모리(5)에 데이터가 존재하면 차분 데이터의 생성을 계속하고, 버퍼메모리(5)가 비어 있으면 차분 데이터의 생성을 중지한다. 다음으로, 현재 생성중인 파일에 대한 상위장치로부터의 일련의 기록 요구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1502)). 그리고, 그 판정결과가 긍정인 경우, 단계(S1306)로 진행하고, 또 부정인 경우에는 단계(S1304)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기록 관리부(3)는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보조 기억장치(2)측을 검사하여 차분 데이터의 유무를 조사한다(단계(S1306)). 검사 결과, 차분 데이터가 있으면 보조 기억장치(2)에 명령하여 그중의 적당한 양의 데이터를 기억장치(1)를 향해서 전송시키고(단계(S1307)), 그 후 단계(S1306)로 되돌아간다. 차분 데이터가 없으면 기록 동작이 종료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으로는 상위장치로부터의 1회의 기록 요구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사이즈와 기억장치(1)의 1회의 실효 기록 동작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사이즈를 동일하게 했지만 달라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도 15의 단계(S1501)에 있어서, 기록 관리부(3)는 버퍼메모리(5)가 빈 것을 검지하여 차분 데이터의 생성을 중지하는 것을 결정하고 있지만 실제 장치에서는 연속적으로 기록 요구가 보내져 오기 때문에 버퍼메모리(5)가 비게 된 것을 검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적당한 기준값을 설정하여 버퍼 메모리(5)의 데이터의 양이 이 기준값을 하회한 것을 검지해도 좋다.
(제 4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의 구성은 제 2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도 도 8를 원용한다(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데이터 기록 장치를 도 8의 장치라고 함). 제 2 실시형태에서 기록 관리부(3)는 보조 기억장치(2)측에 퇴피된 차분 데이터의 전송 명령을 상위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가 종료되는 것을 기다려 발행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 기록관리부(3)는 기억장치(1)로의 기록 명령의 실행상태(제 1 실시형태 참조)를 평가하여 차분 데이터를 전송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여 그 판정결과가 긍정이고, 또 단위시간내에(보조 기억장치(2)측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기억장치(1)로 입력된 데이터의 양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 퇴피된 차분데이터의 전송 명령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또한, 기록관리부(3) 이외의 구성요소의 동작은 제 2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함). 이것에 의해 상위장치로부터의 현재 기록요구의 실행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더욱 효율적으로 보조 기억장치(2)측으로 퇴피된 데이터를 기억장치(1)를 향해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는 도 16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은 도 8의 장치의 기록관리부(3)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의 처리는 도 13의 처리에 있어서 파선의 직사각형으로 나타내는 각 단계(S1601∼S1604)를 또 포함하고 있다. 단계(S1601∼S1604) 이외의 단계는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S1303)에서 보조 기억장치(2)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한 후, 기록 관리부(3)는 단위시간에 보조 기억장치(2)측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기억장치(1)로 입력된 데이터의 양(이하, 직접 입력 속도)을 평가하고(단계(S1601)), 계속해서 버퍼메모리(5)의 데이터양을 평가한다(단계(S1602)). 그리고, 단계(S1601, 1602)에서의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보조 기억장치(2)측에 퇴피된 차분데이터를 기억장치(1)로 전송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고(단계(S1603)), 판정결과가 긍정인 경우, 보조 기억장치(2)측의 차분 데이터를 기억장치(1)로 전송하는 명령을 발행한다(단계(S1604)). 판정결과가 부정인 경우에는 단계(S1305)로 진행한다.
단계(S1603)의 판정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된다. 즉, 단위시간에 직접 기억장치(1)로 입력된 데이터의 양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값(여기서는 2Mbps)과 버퍼메모리(5)의 데이터의 양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값(여기서는 128K바이트)을 미리 설정하여 단계(S1601, S1602)에서 평가하여 얻어진 각 값을 이것들의 기준값과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 결과, 단계(S1601)에서 평가하여 얻어진 직접 입력 속도가 2Mbps이하이고, 또 버퍼메모리(5)의 데이터양이 128K바이트 이하인 경우에 차분 데이터를 전송 가능하게 판정하여 단계(S1604))를 실행하고, 직접 입력 속도가 2Mbps를 초과하거나 또는 버퍼메모리(5)의 데이터양이 128K바이트를 초과할 경우에는 실행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2개의 기준값은 기억장치(1)의 기록 성능과 상위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 속도에 따라서 적절한 값으로 설정된다.
(제 5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의 구성은 제 3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도 도 8을 원용한다(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데이터 기록 장치를 도 8의 장치라고 함). 제 3 실시형태에서 기록관리부(3)는 보조 기억장치(2)측에 퇴피된 차분 데이터의 전송 명령을 상위장치로부터의 기록 요구가 종료되는 것을 기다려 발행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 기록관리부(3)는 기억장치(1)로의 기록 명령의 실행상태(제 1 실시형태 참조)를 평가하여 차분 데이터를 전송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가 긍정이고, 또 단위시간내에 (보조 기억장치(2)측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기억장치(1)로 입력된 데이터의 양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 퇴피된 차분 데이터의 전송 명령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또한, 기록관리부(3)이외의 구성요소의 동작은 제 3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 이것에 의해 상위장치로부터의 현재의 기록요구의 실행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보조 기억장치(2)측에 퇴피된 데이터를 기억장치(1)를 향해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는 도 17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7은 도 8의 장치의 기록관리부(3)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7의 처리에는 도 15의 처리에 있어서, 파선의 직사각형으로 나타내는 각 단계(S1601∼S1604)가 또 포함되어 있다. 단계(S1601∼S1604)이외의 단계는 제 3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들은 생략한다. 또한, 단계(S1601∼S1604)는 제 4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6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 기록장치의 구성은 제 2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도 도 8을 원용한다(이하에는 본 실시형태의 데이터 기록 장치를 도 8의 장치라고 함). 본 실시형태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버퍼메모리(5, 7)가 데이터(또는 그 포인터라도 좋음)를 저장하는 데이터·버퍼부에 더해 데이터의 파일내의 포지션(어드레스)을 저장하는 포지션부와, 데이터의 사이즈를 저장하는 데이터·사이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파일내의 임의의 포지션의 데이터를 보조 기억장치(2)측(여기서는 버퍼메모리(7))으로 퇴피할 수 있다(즉, 퇴피된 데이터의 전송후, 기억장치(1)측에서 완전한 파일을 생성할 수 있음). 이하에는 도 18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8은 도 8의 장치의 버퍼메모리(5, 7)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의 (a)는 버퍼메모리(5)를, (b)는 버퍼메모리(7)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8에 있어서, 버퍼메모리(5, 7)의 각 엔트리(엔트리 0∼N, 엔트리 0∼M+1)는 각각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버퍼부와 데이터의 파일내에서의 포지션을 저장하는 포지션부와 데이터의 사이즈를 저장하는 데이터·사이즈부를 포함하고 있다.
도 8의 장치의 동작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동일(도 13 참조)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하고, 퇴피된 데이터의 전송에 관한 부분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8의 (a) 및 (b)에 공통하여 데이터·버퍼부는 미리 결정된 용량(여기서는 16384바이트)을 가지고 있다.
버퍼메모리(5)는 기록 개시시 포지션부 및 데이터·크기부가 모두 0으로 초기화된다. 기록이 개시되면 각 엔트리의 데이터·버퍼부에 엔트리 0에서 차례로 데이터가 저장되어 가고, 이와 함께 포지션부 및 데이터·사이즈부의 값이 갱신된다. 도 18의 (a)에서는 예를 들면 엔트리 0의 데이터·버퍼부에는 그 선두의 포지션이 0, 데이터 사이즈가 16384 바이트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동시에 엔트리(1)의 데이터·버퍼부에는 그 선두의 포지션이 16384, 크기가 16384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엔트리(2)의 데이터·버퍼부에는 그 선두의 포지션이 65536, 크기가 16384바이트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엔트리(N)에서는 포지션 및 데이터·크기가 모두 초기상태와 같이 0이기 때문에 그 엔트리의 데이터·버퍼부에는 유효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엔트리(1)의 포지션이 16384, 데이터·사이즈가 16384이기 때문에 다음 엔트리 2의 포지션은 32768이 된다. 그러나, 그것이 65536이기 때문에 포지션(32768)을 선두로 하는 32768바이트의 데이터는 보조 기억장치(2)측에 저장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엔트리(K-1)에는 포지션(1048576)을 선두로 하는 6400바이트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각 엔트리의 데이터·사이즈는 16384바이트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데이터·사이즈가 16384바이트 보다 작아지는 것은 파일의 말미의 데이터를 저장한 엔트리에 제한된다. 따라서, 엔트리(K-1)의 데이터는 파일의 말미 부분의 데이터인 것을 알 수 있다.
그에 계속되는 엔트리(K)에는 포지션(32768)을 선두로 하는 16384 바이트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이것은 보조 기억장치(2)측에서 전송되어 온 데이터이다.
한편, 버퍼메모리(7)에서는 기록 개시시, 포지션부 및 데이터·사이즈부가 모두 0으로 초기화된다. 기록이 개시되면 각 엔트리의 데이터·버퍼부에 엔트리 0으로부터 차례로 데이턱 저장되어 가고, 이와함께 포지션부 및 데이터·사이즈부의 값이 갱신된다. 도 18의 (b)에서는 예를 들면 엔트리(0)의 데이터·버퍼부에는 그 선두의 포지션이 32768, 데이터·사이즈가 16384바이트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엔트리(1)의 데이터·버퍼부에는 그 선두의 포지션이 49152, 사이즈가 16384바이트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엔트리 M+1에서는 포지션 및 데이터·크기가 모두 0이기 때문에 그 엔트리의 데이터·버퍼부에는 유효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효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최후의 엔트리는 엔트리M이다. 그리고, 그곳에는 포지션 1032192를 선두로 하는 16384바이트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보조 기억장치(2)에서 기억장치(1)로의 데이터 전송시, 엔트리를 단위로 하여 데이터 본체, 포지션 및 데이터·사이즈가 보조 기억장치(2)측에서 버퍼 메모리(5)로 카피된다. 또한, 보조 기억장치(2)측에서는 데이터 본체, 포지션 및 데이터·사이즈가 버퍼메모리(7)를 거쳐 모두 보조 기억장치(2)에 기록되는 경우와 데이터 본체만이 버퍼메모리(7)를 거쳐 보조 기억장치(2)에 기록되고, 포지션 및 데이터·사이즈는 버퍼메모리(7)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전자의 경우 데이터 본체 포지션 및 데이터·사이즈가 보조 기억장치(2)에서 버퍼 메모리(5)로 카피되고, 후자의 경우에는 포지션 및 데이터·사이즈가 버퍼메모리(7)에서 데이터 본체는 보조 기억장치(2)에서 각각 판독되어 버퍼메모리(5)로 카피되게 된다. 모두 기억장치(1)측에서는 버퍼메모리(5)에 입력된 포지션 및 데이터·사이즈를 이용하여 데이터 본체의 기록을 실시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버퍼메모리(5)를 최후의 엔트리(N)가 미사용인 1차원 버퍼와 같이 기술했지만 예를 들면 FIFO메모리 또는 링버퍼라도 좋다.
(제 7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의 구성은 제 6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도 도 8을 원용한다(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데이터 기록 장치를 도 8의 장치라고 함). 본 실시형태의 버퍼메모리(5, 7)의 구성도 제 6 실시형태(도 18 참조)와 동일하지만 버퍼메모리(5)에 보조 기억장치(2)측으로 퇴피된 데이터의 포지션이 저장되어 있는 점이 제 6 실시형태와 다르다. 이하에는 도 19 및 도 20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9는 도 8의 장치의 버퍼메모리(5)의 포지션부 및 데이터·사이즈부의 내용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도 18의 (a)와 대응)이다. 도 19에 있어서, 엔트리(2, 3)에는 보조 기억 장치(2)측으로 퇴피되어 있는 데이터의 포지션(32768, 49152)과 데이터·사이즈(모두 0)가 저장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사이즈 0을 버퍼메모리(5)의 데이터·사이즈부에 저장한 것에 의해 기억장치(1)는 포지션(32768)을 선두로 하는 32768바이트의 데이터가 보조 기억장치(2)측으로 퇴피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각 엔트리의 데이터·버퍼부에는 통상 1∼16384바이트의 데이터가 저장되기 때문에 데이터·사이즈가 0인 것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단, 도 18의 (a)의 엔트리(N)와 같이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은 엔트리라도 데이터·사이즈가 0이 되기 때문에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은 엔트리와 데이터가 퇴피된 것을 나타내는 엔트리(도 19의 엔트리(2, 3))가 혼동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은 엔트리에서는 포지션도 반드시 0인 한편, 데이터가 퇴피된 것을 나타내는 엔트리에서는 포지션이 0이 되는 일이 없다. 왜냐하면 파일의 선두의 데이터를 보조 기억장치(2)측에 퇴피시키는 것은 원리상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은 엔트리와 데이터가 퇴피된 것을 나타내는 엔트리는 명확하게 구별된다.
그러나, 도 19의 방법은 포지션(32768)을 선두로 하는 32768 바이트의 데이터가 보조 기억장치(2)측으로 퇴피된 것을 기억장치(1)측에 통지하기 위해 연속된 2개의 엔트리(엔트리(2, 3))가 이용되고, 버퍼로서의 효율이 나쁜 결점을 가지고 있다. 도 20의 통지방법은 1개의 엔트리에 의해 도 19와 동일한 통지를 실시할 수 있다.
도 20은 도 8의 장치의 버퍼메모리(5)의 포지션부 및 데이터·사이즈부의 내용의 다른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도 18의 (a)와 대응)이다. 도 20에 있어서 엔트리(2)에는 보조 기억장치(2)측으로 퇴피되어 있는 데이터의 포지션(32768)과 데이터·사이즈(32768)가 저장되어 있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사이즈(32768)를 버퍼메모리(5)의 데이터·사이즈부를 저장한 것에 의해 기억장치(1)는 포지션(32768)을 선두로 하는 32768바이트의 데이터가 보조 기억장치(2)측으로 퇴피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각 엔트리의 데이터·버퍼부에는 통상 1∼16384바이트의 데이터가 저장되기 때문에 데이터∼사이즈가 32768인 것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파일을 생성할 때, 파일내의 데이터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은 파일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의미로서 큰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보조 기억장치(2)측으로 퇴피된 차분 데이터를 기억장치(1)로 전송할 때, 상기와 같이 보조 기억장치(2)로의 데이터의 기록이 발생한 시점에서 그 데이터의 포지션을 기억장치(1)에 통지하는 것에 의해 기억장치(1)는 그 데이터의 저장 위치를 미리 확보할 수 있고, 그 결과 전후의 데이터와의 연속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제 6 실시형태에서는 보조 기억장치(2)측으로 퇴피된 차분 데이터를 기억장치(1)로 전송할 때, 그 데이터의 선두의 포지션과 데이터량을 얻기 위해 전후의 엔트리를 참조할 필요가 있고 그 처리가 큰 부담이 되고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버퍼메모리(5)를 최후의 엔트리(N)가 미사용인 1차원 버퍼와 같이 기술했지만 예를 들면 FIFO메모리 또는 링버퍼라도 좋다.
(제 8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의 구성은 제 6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도 도 8을 원용한다(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데이터 기록장치를 도 8의 장치라고 함). 본 실시형태는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 버퍼메모리(5, 7)가 또 보조 기억장치(2)측으로 퇴피된 차분 데이터의 기억장치(1)의 애로케이션을 저장하는 애로케이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파일의 데이터의 일부를 보조 기억장치(2)측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장치(및 방법)에서는 보조 기억장치(2)측에 기록된 차분 데이터의 기억장치(1)위에서의 저장위치의 할당을 실시하는 타이밍은, (1) 보조 기억장치(2)로의 기록이 실시된 것이 기록관리부(3)에서 기억장치(1)로 버퍼메모리(5)를 통해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전달되었을 때, 또는 (2) 차분데이터가 보조 기억장치(2)측에서 기억장치(1)로 전송되어올 때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그러나, 제 7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억장치(1)의 파일내의 데이터의 연속성을 고려하여 차분 데이터의 저장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1)의 타이밍으로 할당을 실행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1)의 타이밍으로 할당을 실행한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이 실제로 실시되는 (2)의 타이밍으로 한번 더 기억장치(1)의 위치 정보(이하, 애로케이션)를 주사하여 저장 영역의 위치를 확인하여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를 기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특히 대상으로 하고 있는 디지털 AV 데이터는 매우 거대하기 때문에 애로케이션을 스캔할 때의 오버헤드를 무시할 수 없다. 본 실시형태는 이 문제를 해결한다.
도 21은 도 8의 장치의 버퍼메모리(5, 7)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의 (a)는 버퍼메모리(5)를, (b)는 버퍼메모리(7)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21에 있어서 버퍼메모리(5, 7)의 각 엔트리(엔트리 0∼N, 엔트리 0∼M+1)는 각각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버퍼부와 데이터의 파일내의 포지션을 저장하는 데이터·버퍼부와 데이터의 파일내의 포지션을 저장하는 포지션부와, 데이터의 사이즈를 저장하는 데이터·사이즈부와, 보조 기억장치(2)측으로 퇴피된 차분 데이터의 기억장치(1)에서의 애로케이션을 저장하는 애로케이션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기억장치(1)로 직접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애로케이션부에 0을 저장한다. 데이터·버퍼부는 미리 결정된 용량(여기서는 16384바이트)을 가지고 있다.
도 8의 장치의 동작은 제 6 실시형태와 동일(도 13 참조)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하고, 퇴피된 데이터의 전송에 관한 부분에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1의 (a) 및 (b)에 공통하여 데이터·버퍼부는 미리 정해진 용량(여기서는 16384바이트)을 가지고 있다.
버퍼메모리(5)는 기록 개시시, 포지션부 및 데이터·사이즈부가 모두 0으로 초기화된다. 기록이 개시되면 각 엔트리의 데이터·버퍼부에 엔트리 0으로부터 차례로 데이터가 저장되어가고, 이와 함께 포지션부 및 데이터·크기부의 값이 갱신된다. 도 21의 (a)는 예를 들면 엔트리 0의 데이터·버퍼부에는 그 선두의 포지션이 0, 데이터·크기가 16384바이트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엔트리(1)의 데이터·버퍼부에는 그 선두의 포지션이 16384, 사이즈가 16384바이트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엔트리(2)의 데이터·버퍼부에는 그 선두의 포지션이 65536, 사이즈가 16384바이트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엔트리(1)의 포지션이 16384, 데이터·사이즈가 16384이기 때문에 다음 엔트리(2)의 포지션은 32768이 된다. 그러나, 엔트리(2)의 포지션은 65536이기 때문에 포지션(32768)을 선두로 하는 32768바이트의 데이터는 보조 기억장치(2)측에 저장된 것을 알 수 있다.
기억장치(1)는 포지션(32768)을 선두로 하는 32768바이트의 데이터가 보조 기억장치(2)측으로 퇴피된 것을 상기와 같이 하여 검지하고, 그 시점에서 퇴피된 데이터의 기억장치(1)상에서의 애로케이션을 확보하고, 그 값을 버퍼메모리(7)(도 21의 (b))의 애로케이션부에 저장한다. 또한, 버퍼메모리(7)의 애로케이션부로는 애로케이션을 저장하는 테이블의 베이스어드레스와 퇴피엔트리가 파일의 선두부터 몇개째의 엔트리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유지하고 있으면 기억장치(1)측으로 용이하게 억세스할 수 있다.
또한, 엔트리(K-1)에는 포지션(1048576)을 선두로 하는 6400바이트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각 엔트리의 데이터·사이즈는 16384바이트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데이터 사이즈가 16384바이트 보다 작아지는 것은 파일의 말미의 데이터를 저장한 엔트리에 제한된다. 따라서, 엔트리(K-1)의 데이터는 파일의 말미 부분의 것인 것을 알 수 있다. 여기까지의 엔트리의 애로케이션부로는 0이 저장된다.
그에 계속되는 엔트리(K)에는 포지션(32768)을 선두로 하는 16384바이트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이것은 보조 기억장치(2)측에서 전송되어온 데이터이다. 엔트리(K)의 애로케이션부로는 버퍼메모리(7)(도 21의 (b))의 대응하는 애로케이션부의 값을 카피하여 저장한다.
엔트리(N-1)에는 포지션(1032192)을 선두로 하는 16384바이트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이 데이터도 보조 기억장치(2)측에서 전송되어 온 데이터이다. 엔트리(N-1)의 애로케이션부로는 버퍼메모리(7)(도 21의 (b))의 대응하는 애로케이션부의 값을 카피하여 저장한다.
한편, 버퍼메모리(7)로는 기록 개시시, 포지션부 및 데이터·사이즈부가 모두 0으로 초기화된다. 기록이 개시되면 각 엔트리의 데이터·버퍼부에 엔트리 0에서 차례로 데이터가 저장되고, 이와함께 포지션부 및 데이터·사이즈부의 값이 갱신된다. 도 21의 (b)에서는 예를 들면 엔트리 0의 데이터·버퍼부에는 그 선두의 포지션(32768), 데이터·사이즈가 16384바이트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유효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최후의 엔트리는 엔트리M이고, 그곳에는 포지션(1032192)을 선두로 하는 16384바이트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0∼M의 각 엔트리의 애로케이션부로는 차분 데이터가 보조 기억장치(2)측으로 퇴피된 것을 검지했을 때 기억장치(1)가 확보한 기억장치(1)상에서의 애로케이션이 입력된다.
보조 기억장치(2)로부터 기억장치(1)로의 데이터 전송시, 엔트리를 단위로 하여 데이터 본체, 포지션, 데이터·사이즈 및 애로케이션이 버퍼메모리(7)에서 버퍼메모리(5)로 카피된다. 기억장치(1)측에서는 버퍼메모리(5)에 입력된 포지션, 데이터·사이즈 및 애로케이션을 이용하여 데이터 본체의 기록을 실시한다.
(제 9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의 구성은 제 6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도 도 8을 원용한다(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데이터 기록 장치를 도 8의 장치라고 함). 본 실시형태는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 버퍼메모리(5, 7)가 파일의 식별자를 저장하는 파일ID부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도 8의 장치는 파일마다의 버퍼메모리(5)를 설치하지 않고 동시에 복수의 파일을 취급할 수 있다. 이하에는 도 22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2는 도 8의 장치의 버퍼메모리(5)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에 있어서, 버퍼메모리(5)의 각 엔트리는 각각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버퍼부와 데이터의 파일내의 포지션을 저장하는 포지션부와 데이터의 사이즈를 저장하는 데이터·사이즈부와 파일의 식별자를 저장하는 파일ID부를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버퍼부는 미리 정해진 용량(여기서는 16384바이트)을 가지고 있다.
파일 ID부를 포함한 것에 의해 버퍼메모리(5)는 복수의 다른 파일(도 22에서는 식별자가 0 및 1의 2개의 파일)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는 버퍼메모리(5)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순서를 파일ID=0 및 1의 2개의 파일마다 설명한다.
우선, 파일ID=0의 파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2에 있어서, 엔트리(0)에는 포지션0을 선두로 하는 16384바이트의 데이터가, 엔트리 1에는 포지션(16384)을 선두로 하는 16384바이트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리고, 엔트리(S)에는 포지션(2080768)을 선두로 하는 16384바이트의 데이터가, 엔트리(S+2)에는 포지션(2097152)을 선두로 하는 16384바이트의 데이터가, 엔트리(S+3)에는 포지션(2113536)을 선두로 하는 16384바이트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리고, 엔트리(T+1)에는 포지션(3145728)을 선두로 하는 10240바이트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 데이터는 사이즈가 16384 보다 작기 때문에 ID=0의 파일의 말미부분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엔트리(T+2)에는 포지션(32768)을 선두로 하는 16384바이트의 데이터가, 엔트리(T+4)에는 포지션(49152)을 선두로 하는 16384바이트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들 엔트리는 차분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엔트리이다.
다음으로, ID=1의 파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2에 있어서, 엔트리(S+1)에는 포지션0을 선두로 하는 16384바이트의 데이터가 엔트리(S+4)에는 포지션(16384)을 선두로 하는 16384바이트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와같이 ID=1의 파일의 데이터는 ID=0의 파일의 데이터가 저장된 엔트리 사이에 있는 엔트리에 차례로 저장되어 간다. 즉, 엔트리(T)에는 포지션(1310720)을 선두로 하는 16384바이트의 데이터가, 엔트리(T+3)에는 포지션(1441792)을 선두로 하는 16384바이트의 데이터가 저장되고, 그 이후의 엔트리에도 동일하게 하여 데이터가 저장되어 간다.
한편, 파일마다의 버퍼메모리(5)를 설치한 경우, 파일의 수가 많아지면 그에 비례하여 다수의 버퍼메모리(5)가 필요해지고 또 각 버퍼메모리(5)마다 데이터량을 계측하여 그것들을 총합적으로 평가하지 않으면 안되어 처리가 복잡하고 또 데이터 기록장치의 규모가 커진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는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컴퓨터 장치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해도 좋다. 후자의 경우, 프로그램은 플로피디스크나 CD-ROM 등의 휴대형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되거나 또는 통신회선을 통하여 공급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세히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그것은 단지 도해 및 한 예로써 이용된 것이고, 한정이라고 해석되는 것이 아닌 것은 명백하며,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문언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데이터를 그 속도 이상으로 고속인 기억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기록할 수 있고, 또 기록시에 CPU에 걸리는 부하가 작은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6)

  1.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 1 기억수단;
    상기 제 1 기억수단과 병렬관계에 있고,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기억하기 위한 제 2 기억수단; 및
    상기 데이터의 공급의 진행에 따라 상기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 및 상기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서로 전환하여 발행하는 기록 관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관리수단이 발행한 상기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의 실행 상태를 감시하는 기록 상태 감시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기록 관리수단은 상기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 및 상기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서로 전환하여 발행할 때, 상기 기록 상태 감시수단의 감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 및 상기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중 어느 것을 발행할 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관리수단은 또한 상기 기록 상태 감시수단의 감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기억수단측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제 1 기억수단을 향해서 전송시키는 전송 명령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상태 감시수단은,
    상기 제 1 기억수단에 입력되는 상기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하기 위한 버퍼메모리;
    상기 버퍼메모리에 축적된 데이터의 양을 계측하는 버퍼 데이터량 계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록 관리 수단은 상기 버퍼 데이터량 계측 수단의 계측 결과가 제 1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그 판정결과가 긍정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하고, 부정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한 경우, 상기 기록 관리 수단은 상기 버퍼 데이터량 계측수단의 계측 결과가 제 2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또 판정하여 그 판정결과가 긍정이 되기까지는 상기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계속해서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메모리는 상기 데이터에 더해 당해 데이터의 사이즈 및 파일내에서의 포지션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메모리는 상기 파일의 식별자를 또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메모리는 상기 제 2 기억수단측에 기록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어 올 때 그것을 기록하기 위한 상기 제 1 기억수단측 영역의 위치 정보를 또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메모리는 상기 데이터의 사이즈를 기억할 때, 실제로 취급할 수 있는 것 이외의 크기를 기억하고, 그것에 의해 상기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이 실시된 것을 상기 제 1 기억수단측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억수단은 상기 제 2 기억수단에 상기 데이터가 기록된 것을 검출하면 당해 데이터가 전송되어 올 때 그것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확보하고, 또 당해 데이터에 관련된 테이블을 생성하여 확보한 상기 영역의 위치 정보를 당해 테이블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관리 수단은 새로운 기록 요구가 없고, 또 상기 기록 상태 감시수단의 감시결과가 상기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전송명령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관리 수단은 소정 시간내에 상기 제 2 기억수단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상기 제 1 기억수단으로 입력된 데이터의 양이 제 3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가 긍정이고, 또 상기 기록 상태 감시수단의 감시결과가 상기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전송 명령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3. 제 1 및 제 2 기억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기록 장치에서 실행되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공급의 진행에 따라 상기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 및 상기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서로 전환하여 발행하고,
    상기 제 1 기억수단에 기록되는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상기 제 2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의 실행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 및 상기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서로 전환하여 발행할 때, 감시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 및 상기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중 어느 것을 발행할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감시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기억수단측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제 1 기억수단을 향해서 전송시키는 전송 명령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의 실행상태를 감시할 때, 상기 제 1 기억수단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하고, 축적된 데이터의 양을 계측하여 상기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 및 상기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중 어느 것을 발행할지를 결정할 때,
    계측한 결과가 제 1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한 결과가 긍정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하고, 부정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한 경우, 계측한 결과가 제 2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또한 판정하고,
    또, 판정한 결과가 긍정이 되기까지는 상기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계속해서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억수단에 입력되는 상기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할 때, 당해 데이터에 더해 당해 데이터의 사이즈 및 파일내에서의 포지션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억수단에 입력되는 상기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할 때, 당해 파일의 식별자를 또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억수단에 입력되는 상기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할 때, 상기 제 2 기억수단측에 기록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어 올 때 그것을 기록하기 위한 상기 제 1 기억수단측 영역의 위치 정보를 또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억수단에 입력되는 상기 데이터의 사이즈를 기억할 때, 실제로 취급할 수 있는 것 이외의 사이즈를 기억하고, 그것에 의해 상기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이 실시된 것을 상기 제 1 기억수단측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억수단에 상기 데이터가 기록된 것을 검출하면 당해 데이터가 상기 제 1 기억수단으로 전송되어 올 때 그것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확보하고, 또 당해 데이터에 관련된 테이블을 생성하여 확보한 상기 영역의 위치 정보를 당해 테이블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새로운 기록 요구가 없고, 또 감시 결과가 상기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전송 명령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24. 제 15 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내에 상기 제 2 기억수단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상기 제 1 기억수단으로 입력된 데이터의 양이 제 3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결과가 긍정이고, 또 감시 결과가 상기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전송 명령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25. 제 1 및 제 2 기억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공급의 진행에 따라 상기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 및 상기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서로 전환하여 발행하고,
    상기 제 1 기억수단에 기록되는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상기 제 2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환경을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상에서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의 실행 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 및 상기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서로 전환하여 발행할 때, 감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 및 상기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중 어느 것을 발행할 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환경을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상에서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7. 재 2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또한 감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기억수단측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제 1 기억수단을 향해서 전송시키는 전송 명령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환경을 상기 데이터 기록장치상에서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의 실행상태를 감시할 때,
    상기 제 1 기억수단에 입력되는 상기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하고,
    축적된 데이터의 양을 계측하고,
    상기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 및 상기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중 어느 것을 발행할지를 결정할 때,
    계측 결과가 제 1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에 상기 제 1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하고, 부정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환경을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상에서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발행한 경우,
    계측 결과가 제 2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또한 판정하고,
    또한 판정한 결과가 긍정이 되기까지는 상기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 명령을 계속해서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환경을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상에서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 1 기억수단에 입력되는 상기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할 때, 당해 데이터에 더해 당해 데이터의 사이즈 및 파일내의 포지션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환경을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상에서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 1 기억수단에 입력되는 상기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할 때, 당해 파일의 식별자를 또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환경을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상에서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 1 기억수단에 입력되는 상기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할 때, 상기 제 2 기억수단측에 기록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어 올 때 그것을 기록하기 위한 상기 제 1 기억수단측 영역의 위치 정보를 또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환경을 상기 데이터 기억 장치상에서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 1 기억수단에 입력되는 상기 데이터의 사이즈를 기억할 때, 실제로 취할 수 있는 이외의 사이즈를 기억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기억수단으로의 기록이 실시된 것을 상기 제 1 기억수단측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환경을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상에서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34.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 2 기억수단에 상기 데이터가 기록된 것을 검출하면 당해 데이터가 상기 제 1 기억수단으로 전송되어 올 때 그것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확보하고, 또 당해 데이터에 관련된 테이블을 생성하여 확보한 상기 영역의 위치 정보를 당해 테이블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데이터 기록장치상에서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35.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새로운 기록 요구가 없고, 또 감시결과가 상기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전송 명령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환경을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상에서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36.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소정 시간내에 상기 제 2 기억수단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상기 제 1 기억수단으로 입력된 데이터의 양이 제 3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가 긍정이고, 또 감시결과가 상기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전송명령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환경을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상에서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KR10-1998-0041512A 1997-10-03 1998-10-02 데이터 기록장치 및 방법 KR1005082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71530A JPH11110140A (ja) 1997-10-03 1997-10-03 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方法
JP9-271530 1997-10-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793A true KR19990036793A (ko) 1999-05-25
KR100508288B1 KR100508288B1 (ko) 2005-10-26

Family

ID=17501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1512A KR100508288B1 (ko) 1997-10-03 1998-10-02 데이터 기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19321B1 (ko)
EP (1) EP0907181A3 (ko)
JP (1) JPH11110140A (ko)
KR (1) KR100508288B1 (ko)
CN (1) CN1167073C (ko)
TW (1) TW3979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7037A (ja) * 1998-08-05 2000-02-25 Sony Corp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並びに記録媒体
DE69940278D1 (de) * 1999-01-12 2009-02-26 Fujitsu Ltd Zugangssteuerungsgerät und verfahren um zugang zu aufzeichnungsmedium zu beaufsichtigen
JP3795738B2 (ja) * 2000-09-29 2006-07-12 富士通株式会社 記録媒体の回転制御方法及び記憶装置
US7206821B2 (en) * 2001-01-19 2007-04-17 Ricoh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a storage medium
TWI251207B (en) * 2001-10-05 2006-03-11 Liteon It Corp Method for reducing frequency of buffer under run
JP2003123388A (ja) * 2001-10-15 2003-04-25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再生装置
CN1614709A (zh) * 2003-11-06 2005-05-1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控制数据的记录和再现的装置和方法
US7583299B2 (en) * 2004-01-14 2009-09-01 Casio Computer Co., Ltd. Moving image recording apparatus with a stream recording function of a moving image
JP4634096B2 (ja) * 2004-08-30 2011-02-16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49766B2 (ja) * 2005-05-25 2011-08-17 京セラ株式会社 情報記憶装置及び情報記憶方法
US20070028026A1 (en) * 2005-07-27 2007-02-01 You-Min Yeh Digital multimedia transfer rate controlling
JP4933211B2 (ja) * 2006-10-10 2012-05-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トレージ装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20110103660A (ko) * 2010-03-15 2011-09-21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광디스크 드라이브 레이드 기록 장치 및 방법
JP5756658B2 (ja) * 2011-03-14 2015-07-29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車両用情報記録装置
DE202016103332U1 (de) 2016-06-23 2016-10-04 Ming-Te Huang Kabelbinder
DE102016111557A1 (de) 2016-06-23 2017-12-28 Ming-Te Huang Kabelbinder
CN112053707B (zh) * 2020-09-10 2021-12-17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多媒体设备的刻录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0957A (ja) * 1985-09-24 1987-04-01 Hitachi Ltd メモリ容量の自動判別方法
US5587978A (en) * 1992-04-16 1996-12-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ecord/reproduction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multi-channel signals in different areas of a recording medium
KR0123753B1 (ko) * 1993-09-24 1997-11-27 김광호 광디스크의 기록제어장치 및 방법
US5596564A (en) * 1993-10-08 1997-01-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EP0675488B1 (en) * 1994-03-30 2000-05-17 Mitsumi Electric Company Ltd. Optical disk recording device and optical disk drive
JP3796551B2 (ja) * 1994-04-25 2006-07-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憶処理装置
JPH0962454A (ja) * 1995-08-25 1997-03-07 Sony Corp バッファリング装置
JPH09156169A (ja) * 1995-12-11 1997-06-17 Ricoh Co Ltd プリンタ装置
TW318240B (ko) * 1996-01-22 1997-10-21 Sony Co Lt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97949B (en) 2000-07-11
EP0907181A3 (en) 2003-10-22
CN1167073C (zh) 2004-09-15
US6219321B1 (en) 2001-04-17
JPH11110140A (ja) 1999-04-23
EP0907181A2 (en) 1999-04-07
CN1224893A (zh) 1999-08-04
KR100508288B1 (ko) 200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36793A (ko) 데이터 기록장치 및 방법
US5872905A (en) Recording area management method, error recovery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apparatus
US6909838B2 (en) Recording/reproducing method suitable for recording/reproducing AV data on/from disc, recorder and reproducer for the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disc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5621909B2 (ja) 情報処理装置、ストレージシステムおよび書き込み制御方法
KR20010101771A (ko) Av 데이터의 기록/재생에 적합한 기록 방법 및 재생방법, 및 기록 드라이브와 재생 드라이브
JPH11273243A (ja) ディスク装置及び同装置に適用されるライトバッファ制御方法
US7065671B2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medium recording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060198602A1 (en) Stream data recorder
JP2002342132A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US7613867B2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KR100709026B1 (ko) 디스크 제어기, 디스크 제어 시스템, 디스크 제어 방법
US7346265B2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reproducing method, medium, and program
EP0927934A1 (en) File managing device, file manag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ed with file managing program
KR20050059261A (ko)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60066897A1 (en) Imaging and recording system
JP2003259307A (ja) 録音録画システム、録音録画方法、録音録画/再生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JP4137429B2 (ja)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0251446A (ja) データ記録装置及び方法
JPH10177764A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2002170322A (ja) 記録再生ディスク制御装置、記録再生ディスク制御方法および記録再生ディスク装置
JP2001290605A (ja) 光ディスク記録システム
JP2000165814A (ja) 映像音声データ記録再生装置および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
JP2005038591A (ja) 情報記録装置と情報記録方法とプログラム
JPH10275058A (ja) 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データ記録装置へのアクセス方法
JPH09213003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