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753B1 - 광디스크의 기록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디스크의 기록제어장치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753B1
KR0123753B1 KR1019930019683A KR930019683A KR0123753B1 KR 0123753 B1 KR0123753 B1 KR 0123753B1 KR 1019930019683 A KR1019930019683 A KR 1019930019683A KR 930019683 A KR930019683 A KR 930019683A KR 0123753 B1 KR0123753 B1 KR 0123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data
recording medium
temporary storage
storag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9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567A (ko
Inventor
이희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019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753B1/ko
Publication of KR950009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7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디스크 기록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송되는 소스데이타의 량이 기록매체 하나의 기록용량을 초과하여 기록매체를 교환동안에도 전송되는 데이타의 유실없이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의 개시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스데이타와 기록드라이브간을 직입 전송로로 연결함과 동시에 버퍼메모리를 중간에 개재하고 별도의 전송로로 연결하여 소스데이타량이 많아 하나의 기록매체로는 부족하여 새로운 기록매체의 교환시에는 기록준비가 완료되는 동안 전송되어오는 데이타를 버퍼메모리에 임시로 저장해두었다가 새로운 기록매체에 재기록하는데, 이를 위한 제어수단으로서 마이콤과 마이콤의 명령에 따라 소정의 제어신호를 기록드라이브와 버퍼메모리로 제공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특히 많은 량의 데이타가 전송되면서 그 데이타 전송에 관해 사용자가 제어할 수 없는 경우에도 데이타의 유실없이 기록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광디스크의 기록제어장치 및 방법
제 1 도는 광디스크의 기록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다른 광디스크의 기록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기록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데이타소스 22 : 기록드라이버
24 : 버퍼메모리 26 : 제어부
28 : 마이콤 30 : 기록제어수단
본 발명은 광디스크의 기록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영상이나 음성과 같은 소스 데이타의 량이 하나의 기록매체의 기록용량을 초과하여 기록매체를 교환하는 동안에도 데이타의 유실없이 안정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기록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각종의 음성정보나 영상정보의 저장에 광디스크 혹은 광자기 디스크(이하 광디스크 등)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영상정보나 음성정보 등을 광디스크 등에 기록할때 종래에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기록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기록을 제어하였다.
제 1 도에서 기록드라이브(12)는 데이타소스(10)로부터 읽어들인 데이타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데, 이때 기록과 관련한 제어신호는 마이콤(16)의 명령에 의해 제어부(14)에서 제공받는다.
그런데, 영상정보는 그 자체가 많은 량의 데이타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기록시간이 긴 경우에는 상당한 규모의 기록용량이 요구되어 종래의 소형 광디스크 하나만으로는 부족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만약 데이타소스(10)가 갖는 데이타량이 하나의 기록매체가 갖는 기록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제2, 제3…의 기록매체를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그런데, 제 1 도에 도시된 광디스크 기록제어장치는 하나의 광디스크 등이 갖는 기록용량을 초과하는 량의 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한 특별한 수단을 개시하지 못한다. 즉, 종래의 기술에 의할 경우 소형 광디스크 등은 매체가 기록할 수 있는 용량의 한계로 인하여 기록할 소스데이타의 량이 기록매체의 기록용량을 넘어서는 경우 방송신호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제어할 수 없는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신호의 기록시에는 기록매체의 교체시간 동안 데이타의 유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을 소용량의 광디스크 등을 이용하여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기록할때, 소스 데이타의 량이 많아 하나의 기록매체로는 부족한 제2, 제3의 다른 기록매체로 바꾸어 기록하는 경우에도 데이타의 유실없이 기록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데이타소스에 제1전송로로 연결되어 인가되는 소스데이타를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저장수단과, 데이타소스에 제2전송로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임시저장수단에도 제3전송로로 연결되어 인가되는 데이타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드라이브와, 상기 임시저장수단과 기록드라이브에 연결되어 현재 사용중인 기록매체의 잔량이 소정크기 이상이면 소스데이타가 상기 제2전송로를 통하여 기록드라이브에 곧바로 인가되도록 하고 소정크기와 같게되면 새로운 기록매체로 교환하는 동안 소스데이타가 상기 제1전송로를 통하여 임시저장수단으로 전송되도록 하며 그후 새로운 기록매체가 기록준비되면 다시 소스데이타가 상기 제2전송로를 통하여 기록드라이브로 인가되도록 하고 소스데이타의 마지막이 전송되면 상기 임시 저장수단에 저장된 소스데이타를 상기 제3전송로를 통하여 기록드라이브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기록제어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기록제어방법은 소스데이타를 인가받아 복수개의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광디스크 기록제어방법에 있어서, 소스데이타를 상기 제1기록매체에 곧바로 기록하는 동안 상기 제1기록매체의 기록잔량이 소정의 량과 같게 되면 데이타 기록처를 제1기록매체에서 임시정수단으로 전환하여 기록하는 제1과정과, 상기 임시저장수단에 기록하는 동안 새로운 제2기록매체의 기록준비가 완료되면 데이타기록처를 제2기록매체로 재전환하여 상기 임시저장수단에 기록된 데이타량 만큼의 영역을 비워두고 기록을 해나가는 제2과정과, 마지막 소스데이타가 인가되어 상기 제2기록매체에 기록이 완료되면 상기 임시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를 상기 제2기록매체의 빈영역에 기록하는 제3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기록제어장치의 구성에 관한 블럭도이다.
제 2 도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기록드라이브(22)와 소스데이타(20)는 직입전송로(32)로 결합되는 한편, 중간에 임시저장수단(24)이 개재된 별도의 전송로(34,36)에 의해서도 결합된다.
임시저장수단은, 버퍼메모리(24)를 사용하여 구현한다.
기록제어수단(30)의 출력단은 기록드라이브(22) 및 버퍼메모리(24)의 입력단에 각각 별도의 전송로로 연결된다. 기록제어수단(30)은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6)와 마이콤(28)으로 구성된다. 마이콤(28)의 출력단은 제어부(26)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제어부(26)의 출력단은 기록드라이브(22) 및 버퍼메모리(24)의 입력단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기록드라이브(22)는 전송로(32) 및 (36)를 통해 전송되는 소스데이타를 인가받아 기록매체(광디스크 등)에 기록한다.
버퍼메모리(24)는 전송로(34)를 통해 전송되는 소스데이타를 일시적으로 저장해 두었다가 출력지시에 따라 데이타를 전송하는 임시저장수단이다.
기록제어수단(26)은 기록드라이브(22) 또는 버퍼메모리(24)의 데이타 입출력을 제어한다. 제어부(26)는 마이콤(28)으로부터 소정의 명령을 제공받아 기록드라이브(22)와 버퍼메모리(24)의 제어에 적합한 형태의 제어신호를 제공하며, 마이콤(28)은 시스템 각 구성수단의 상태를 판독하여 필요한 동작에 관한 명령을 제어부(26)에 제공한다.
정상적인 상태 즉, 기록매체의 기록잔량이 아직 여유가 있어 소스데이타를 기록을 계속하더라도 데이타 유실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인가되는 소스데이타가 전송로(32)를 경유하여 기록드라이브(22)에 바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하지만, 기록매체의 기록잔량이 얼마남지 않아 새로운 기록매체로 교환하는 동안에는 전송되는 소스데이타가 전송로(34)를 통해 버퍼메모리(24)에 저당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기록제어수단(30)은 소스데이타가 전송되는 전송로를 (32)와 (34)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데이타를 전송케 한다.
아울러 새로운 기록매체로 교환이 완료되어 기록드라이브(22)가 기록가능상태가 되면 소스데이타의 전송로를 이전의 (34)에서 다시 (32)전송로로 교제하여 준다. 그후 인가되는 소스데이타의 기록이 완료되면 버퍼메모리(24)에 일시적으로 저장해두었던 소스데이타를 전송로(36)를 통하여 기록드라이브(22)로 인가되도록 한다. 이때, 이미 기록된 데이타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한 방도가 필요하다. 데이타충돌을 피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교환된 새기록매체에 소스데이타를 기록할때 기록영역의 맨처음부터 기록을 개시하지 않고 버퍼메모리(24)에 저장되는 데이타량 만큼의 빈공간을 비워둔채 비월하여 기록을 개시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이를 위해, 마이콤(28)은 버퍼메모리(24)에 저장되는 데이타량을 체크해 두었다가 기록드라이브(22)내의 픽업 또는 자기헤드가 상기 데이타량 만큼 이동하여 기록을 개시하도록 한다.
만약, 소스데이타의 량이 많아 두번째의 기록매체로도 부족한 경우에는 제3, 제4,…의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설한 동작을 반복하면 되는데, 이때 버퍼메로리도 추가되는 기록매체에 대응하여 제2, 제3의 버퍼메모리를 부가적으로 이용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기록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1과정은 소스데이타를 상기 제1기록매체에 곧바로 기록하는 동안 상기 제1기록매체의 기록잔량이 소정의 량과 같게 되면 데이타기록처를 제1기록매체에서 임시저장수단으로 전환하여 기록하는 과정으로서,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밟아 수행된다.
소스데이타가 발생하면(S10) 제1기록매체에 곧바로 기록을 해들어간다(S12). 기록중에는 항상 제1기록매체의 기록잔량을 체크하여(S14) 그 잔량시간을 소정시간(X초)과 비교하여 잔량시간이 소정시간(X초) 보다 큰 경우에는 제1기록매체에의 기록단계(S12)와 기록잔량의 체크단계(S14)를 계속 반복실행하는 루프를 수행한다. 이때 소정시간(X초)은 기록잔량의 판독에서 기록처의 전환이 완료되어 기록가능한 상태가 준비되기까지 필요한 시간보다는 커야한다. 만약 잔량시간이 소정시간(X초)과 같게 되면 기록처를 임시저장수단(24)으로 전환하여 기록을 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버퍼메모리(24)를 온시켜 기록가능상태로 준비한(S18)후, 버퍼메모리(24)에 데이타를 기록해나간다(S20). 버퍼메모리(24)에의 기록은 새로운 제2기록매체의 기록준비가 완료될때까지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2과정은 임시저장수단에 기록하는 동안 새로운 제2기록매체의 기록준비가 완료되면 데이타 기록처를 제2기록매체로 재전환하여 상기 임시저장수단에 기록된 데이타량 만큼의 영역을 비워두고 기록을 해나가는 과정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본 과정은 먼저, 제2기록매체를 로딩하여(S22) 기록가능한 상태로 대기해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24)를 하나의 루프로 수행한다. 기록준비가 완료되면 마이콤(S26)은 그때까지의 시간 즉, 버퍼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타량을 체크하고(S26), 그 시간 만큼 픽업 또는 자기헤드를 제2기록매체상에서 이동시키고(S28) 버프메모리(24)를 오프시킨다(S30).
그후 소스데이타(S34)를 제2기록매체의 이동된 지점부터 기록해나가고(S32), 이러한 기록은 소스데이타의 마지막까지 계속 수행한다(S34). 소스데이타의 기록이 일단 완료되면 픽업 또는 자기헤드를 일단 리셋 시켜둔다(S36).
마지막으로, 제3과정은 소스데이타가 인가되어 상기 제2기록매체에 기록이 완료되면 상기 임시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를 상기 제2기록매체의 빈영역에 기록하는 과정으로서,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먼저, 버퍼메모리(S38)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를 읽어서(S38) 제2기록매체에 기록하는데(S40) 이때 상기 제2과정에서 제2기록매체상의 비워둔 영역에 기록한다. 버퍼메모리(24)의 읽기를 완료하였는지 판별하여(S42) 제2기록매체에의 기록을 최종적으로 종료한다(S44).
만약 소스데이타량이 많을 경우에는 제3, 제4…기록매체를 부가적으로 이용하는데, 이때에는 상설한 제1과정에서 제3과정까지를 다시 반복 실행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해 광디스크 등을 기록하면 비록 소스데이타량이 기록매체의 용량에 비하여 훨씬 크더라도 데이타의 유실없이 기록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종래의 12[㎝]컴팩트 디스크는 데이타 압축등을 이용하여 최대 74분 짜리의 영상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지므로 만약 이러한 컴팩트 디스크를 이용하여 74분을 초과하는 소스데이타 예컨대, 영화나 스포트중계 등을 기록하는 경우에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컴팩트 디스크를 교체해 주어야 하는데, 이때 만약 소스데이타의 전송을 사용자측에서 직접 제어할 수 없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이용하면 데이타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6)

  1. 데이타소스에 제1전송로로 연결되어 인가되는 소스데이타를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저장수단과, 데이타소스에 제2전송로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임시저장수단에도 제3전송로로 연결되어 인가되는 데이타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드라이브와, 상기 임시저장수단과 기록드라이브에 연결되어 현재 사용중인 기록매체의 잔량이 소정크기 이상이면 소스데이타가 상기 제2전송로를 통하여 기록드라이브에 곧바로 인가되도록하고 소정크기와 같게 되면 새로운 기록매체로 교환하는 동안 소스데이타가 상기 제1전송로를 통하여 임시 저장수단으로 전송되도록 하며 그후 새로운 기록매체가 기록준비되면 다시 소스데이타가 상기 제2전송로를 통하여 기록드라이브로 인가되도록 하고 소스데이타의 마지막이 전송되면 상기 임시저장수단에 저장된 소스데이타를 상기 제3전송로를 통하여 기록드라이브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기록제어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광디스크 기록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저장수단은 버퍼메모리를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기록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시스템의 상태를 판독하고 동작에 관한 명령을 제공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의 명령에 따라 상기 기록드라이버 및 임시저장수단으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기록제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임시저장수단에 저장되는 데이타량을 산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므로써 상기 새로운 기록매체의 최초 기록시 상기 데이타량 만큼의 공간을 비워두고 비월하여 기록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기록제어장치.
  5. 소스데이타를 인가받아 복수개의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광디스크 기록제어방법에 있어서, 소스데이타를 상기 제1기록매체에 곧바로 기록하는 동안 상기 제1기록매체의 기록잔량이 소정량과 같게 되면 데이타 기록처를 제1기록매체에서 임시저장수단으로 전환하여 기록하는 제1과정과, 상기 임시저장수단에 기록하는 동안 새로운 제2기록매체의 기록준비가 완료되면 데이타 기록처를 제2기록매체로 재전환하여 상기 임시저장수단에 기록된 데이타량 만큼의 영역을 비워두고 기록을 해나가는 제2과정과, 마지막 소스데이타가 인가되어 상기 제2기록매체에 기록이 완료되면 상기 임시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를 상기 제2기록매체의 빈영역에 기록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기록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의 소정량은 적어도 기록잔량의 판독에서 기록치의 전환이 완료되어 기록가능한 상태가 준비되기까지 필요한 시간 동안 기록할 수 있는 데이타량 보다 많음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기록제어방법.
KR1019930019683A 1993-09-24 1993-09-24 광디스크의 기록제어장치 및 방법 KR0123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9683A KR0123753B1 (ko) 1993-09-24 1993-09-24 광디스크의 기록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9683A KR0123753B1 (ko) 1993-09-24 1993-09-24 광디스크의 기록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567A KR950009567A (ko) 1995-04-24
KR0123753B1 true KR0123753B1 (ko) 1997-11-27

Family

ID=1936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9683A KR0123753B1 (ko) 1993-09-24 1993-09-24 광디스크의 기록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7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288B1 (ko) * 1997-10-03 2005-10-2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데이터 기록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288B1 (ko) * 1997-10-03 2005-10-2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데이터 기록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567A (ko) 1995-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3764A (en) Magnetic tape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5590047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736055B1 (ko) 기록방법,기록장치,재생방법및재생장치
EP1103967A2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5450139A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video signals comprising a memory backup device
JPH03161826A (ja) ディスク型記録再生装置
KR0123753B1 (ko) 광디스크의 기록제어장치 및 방법
EP0573259A2 (en) Device for and method of recording information and reproducing the same with delay time
US6108289A (en)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for overwriting information on a previously recorded packet of an optical disc
EP0553730B1 (en)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6411774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producing audio/video signal from recording medium with reduced or eliminated initial delay
JP3172002B2 (ja) データの高速ダビング装置および高速ダビング方法
US200201720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region code of digital versatile disc drive
JP2641005B2 (ja) 再生装置
JP2949757B2 (ja) 情報再生装置
JPH03192565A (ja) オートチェンジャ
JP2910697B2 (ja) 映像記録再生装置
EP0992993A1 (en) Audiovisual data recording / reproducing system
JPH0955071A (ja) オートチェンジャー装置
JPH09106658A (ja) 記録方法および情報記録再生装置
JPH0660613A (ja) 光ビデオディスクレコーダー
JPH07192394A (ja) デジタルオーディオディスクプレーヤ
JPH1055592A (ja) オートチェンジャを用いた画像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H0831152A (ja) 情報再生装置
JP2000030413A (ja) 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