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4036U - 차량 착탈식 유압 사다리 - Google Patents

차량 착탈식 유압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4036U
KR19990034036U KR2019980000243U KR19980000243U KR19990034036U KR 19990034036 U KR19990034036 U KR 19990034036U KR 2019980000243 U KR2019980000243 U KR 2019980000243U KR 19980000243 U KR19980000243 U KR 19980000243U KR 19990034036 U KR19990034036 U KR 199900340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vehicle
fixed
pulley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02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6629Y1 (ko
Inventor
박현무
Original Assignee
박현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무 filed Critical 박현무
Priority to KR20199800002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629Y1/ko
Publication of KR199900340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0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6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6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5/0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capable of being elevated or extended ; Fastening means during transport, e.g. mechanical, hydraulic
    • E06C5/1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capable of being elevated or extended ; Fastening means during transport, e.g. mechanical, hydraulic using mechanical transmission only, with or without fluid or other non-mechanical couplings or clu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5/0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capable of being elevated or extended ; Fastening means during transport, e.g. mechanical, hydraulic
    • E06C5/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capable of being elevated or extended ; Fastening means during transport, e.g. mechanical, hydraulic by piston and cylinder, or equivalent means, operated by a pressure medium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32Accessories, e.g. brakes on ladders
    • E06C5/42Devices for altering inclination; Latching devices therefor ; Balanc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자가 높은 위치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차량에 부착 및 탈거와 사용이 용이한 차량 착탈식 유압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사각틀 구조로 양측면에 복수의 걸고리(11)가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10)과, 이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서포트 실린더(2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에 접하여 회전되도록 고정된 링(31) 및 이 링 위에 대향되게 위치한 한쌍의 삼각 구조를 갖는 지지프레임(32)이 고정된 회전부와, 상기 지지프레임(32)의 상단에 회전되게 연결된 사다리부(40)와, 이 사다리부가 회전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수단(50)과, 상기 사다리부(40)의 길이를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과, 사다리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과, 상기 서포트 실린더(20)와 길이조절 수단 및 각도조절 수단에 유압라인으로 연결되어 동작되도록 하는 유압유닛(100)과, 상기 서포트 실린더(20)와 회전수단(50)과 길이조절수단 및 각도조절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어, 사용할 때에만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차량의 다른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며, 가격대를 낮출 수 있어 사용이 잦은 사업자의 경우 구매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적을 뿐만 아니라 랜트시에도 저렴한 비용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착탈식 유압사다리
본 고안은 유압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에 부착 및 탈거가 용이하고 간편한 차량 착탈식 유압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압사다리는 차량에 작착되어 차량의 이동기능과 유압사다리의 물류를 올리거나 내리는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고가사다리차로 특수차량에 속해 있었다.
또한 유압사다리가 차량에서 손쉽게 분리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차량도 한정된 용도 외에는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차량의 가격도 워낙 비싸 별도의 요금을 계산하여 받는 이삿짐의 운반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영세한 이삿짐센타의 경우 고가사다리차의 구입에 따른 비용 부담이 크고 활용시간보다 상대적으로 활용하지 않은 시간이 커 필요할 때에만 랜트에 의존하게 되고, 고가 사다리차를 이용하면 작업이 훨씬 수월한 다른업종에서도 비싼 렌트비용 때문에 활용에 어려움이 따랐다.
본 고안은 유압사다리를 차량에 장착 및 탈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활용도를 높이고 유압사다리의 가격을 낮추어 구입 또는 랜트에 따른 사용사의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착탈식 유압사다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유압사다리의 배면에서 본 길이조절수단의 상세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의 차량 장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유압 사다리의 차량 탈거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프레임20 : 서포트 실린더
31 : 링32 : 지지프레임
41, 42, 43 : 제1,2,3 사다리42a, 43a : 슬라이드 홈
41b, 41c, 42b, 42c, 43b : 연결바
51 : 모터52 : 구동기어
61 : 길이조절 실린더62 : 슬라이더
62a, 62b, 64, 68 : 도르레
63, 65, 66, 68 : 제1, 제2, 제3, 제4 와이어
71 : 전동윈치73 : 이송대
74 : 바스켓80 : 각도조절 실린더
90 : 받침대100 : 유압유닛
110 : 컨트롤 박스120 : 리모트 컨트롤러
본 고안의 특징으로는 차량에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며 유압실린더와 와이어 및 움직도르레의 작용으로 사다리를 신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착탈식 유압사다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유압사다리는 사각틀 구조로 양측면에 복수의 걸고리(11)가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10)과, 이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서포트 실린더(2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에 접하여 회전되도록 고정된 링(31) 및 이 링 위에 대향되게 위치한 한쌍의 삼각 구조를 갖는 지지프레임(32)이 고정된 회전부와, 상기 지지프레임(32)의 상단에 회전되게 연결된 사다리부(40)와, 이 사다리부가 회전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수단(50)과, 상기 사다리부(40)의 길이를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과, 사다리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과, 상기 서포트 실린더(20)와 길이조절 수단 및 각도조절 수단에 유압라인으로 연결되어 동작되도록 하는 유압유닛(100)과, 상기 서포트 실린더(20)와 회전수단(50)과 길이조절수단 및 각도조절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다리부(40) 하단에는 전동윈치(71)를 고정하고 제3 사다리(43)의 상단에 고정된 도르레를 통해 이 윈치에 와이어(72)로 연결되어 제1, 제2, 제3 사다리(41),(42),(43)에 걸려 상하로 이동되는 이송대(73)와 이 이송대에 얹혀져 작업에 필요한 소품 또는 연장들을 담을 수 있는 바스켓(74)을 구비한 이송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사다리부(40)는 회전부의 지지프레임(32) 상단에 회전되게 연결되는 제1 사다리(41)와, 이 제1 사다리의 내측 슬라이드 홈(41a)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연결된 제2 사다리(42)와, 이 제2 사다리의 내측 슬라이드 홈(41a)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연결된 제3 사다리(43)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수단(50)은 상기 링(31)의 외경에 기어(31a)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이 기어에 치합되는 모터(51)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52)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고안 길이조절 수단의 상세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제1, 제2 사다리(41),(42)와 상하부와 제3 사다리의 하부에 각각 연결바(41b),(41c),(42b),(42c),(43c)를 형성하고, 제1 사다리(41)의 일측에 끼워져 유동 되도록 연결되고 전방으로 2개의 도르레(62a).(62b)를 구비한 슬라이더(62)와,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사다리(41)의 연결바(41b)와 슬라이더(62)에 고정되는 길이조절 실린더(61)와, 이 길이조절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사다리를 신장 또는 축소 시키는 연결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사다리의 연결바(41b)와 제 2사다리의 연결바(42b)를 슬라이더의 일측 도르레(62a)를 통해 연결하는 제1 와이어(63)와, 제2 사다리의 상부 연결바(42c)에 도르레(64)를 연결하고 이 도르레를 통해 슬라이더(62)의 일측과 제3 사다리의 연결바(43b)를 연결하는 제2 와이어(65)와, 상기 슬라이더(62)의 타측 도르레(62b)를 통해 제1 사다리의 상부 연결바(41c)와 제2 사다리의 상부 연결바(42c)를 연결하는 제3 와이어(66)와, 상기 제2 사다리의 하부 연결바(42b)에 도르레(66)를 연결하고 이 도르레를 통해 슬라이더(62)의 일측과 제3 사다리의 하부 연결바(43b)를 연결하는 제3 와이어(68)로 구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 와이어(63),(65)는 각각 길이조절 실린더(61)의 이완동작에 이해 제2 및 제3 사다리(42),(43)가 신장되도록 작용하고, 이와 반대로 제3 및 제4 와이어(660,(68)는 각각 길이조절 실린더(61)의 수축동작에 의해 신장된 제2 및 제3 사다리(42),(43)가 수축되도록 작용한다.
상기 각도절수단은 상기 양측 지지프레임(32)의 하단과 제1 사다리(41)의 양측 중심부에 각각 링크(81a),(81b)로 연결된 각도조절 실린더(8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실린더들(20),(61),(80)과 전동윈치(71) 및 모터(51)를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10)와, 상기 길이조절 실린더(61)와 각도조절 실릴더(80) 및 전동윈치(71) 만을 근거리에서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와 유선 연결된 리모트 컨트롤러(120)로 구성된다.
도 3는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차량 장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 유압사다리의 장착방법은 차량(200)의 적재함(210) 위에 베이스 프레임(10)이 얹혀진 상태에서 이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걸고리(11)와 차체에 형성된 걸고리(211)를 로프 또는 와이어(300)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사다리부(40)는 적재함(210) 전면부에 위치한 프레임(220)에 얹혀질 수 있도록 각도 조절실린더(80)를 동작시켜 전체적인 유압사다리의 하중이 차체에 분산되도록 한다.
도 4은 도 3와 같이 본 고안 유압사다리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작업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압사다리가 설치된 차량을 작업하고자 하는 적당한 위치에 주차시킨다. 이 상태에서 유압유닛(100)을 동작시키고 컨트롤 박스(110)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서포트 실린더(20)가 지면에 접하여 유압사다리의 하중이 지지되도록 한다.
그 다음 컨트롤 박스(110)의 조작스위치를 통하여 사다리부(40)가 원하는 방향과 각도에 위치하도록 모터(51)와 각도조절 실린더(80)를 동작시킨다. 이때 각도조절 실린더(80)는 사다리부(40)를 밀어올려 지지프레임(32)에 고정된 링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모터(51)는 구동기어(31)을 회전시켜 회전부의 링(31) 외경에 형성된 피동기어(31a)에 치합되어 회전부와 사다리부(40)가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다시 컨트롤 박스(110)의 조작스위치를 통해 제3 사다리(43)의 일단이 원하는 작업위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 실린더(61)를 이완되도록 동작시켜 슬라이더(62)가 제1 사다리(41)를 따라 밀려 올라가도록 한다.
이때 슬라이더(62)의 도르레(62a)는 제1 사다리(41)의 연결바(42)에 일측이 고정된 제1 와이어(63)를 밀어 타측에 연결된 제2 사다리를(42)를 끌어 올린다. 이때 도르레(62)는 움직 도르레 역할을 하게 되므로 제2 사다리의 이동거리는 길이조절 실린더의 이동거리의 2배가 된다.
또한 제2 사다리(42)의 이동으로 이 사다리의 상부 연결바(64)에 고정된 도르레(64)는 슬라이더(62)의 도르레(62a)와 마찬가지로 제3 사다리(43)을 와이어(65)로 끌어 올려 줌으로써 사다리의 전체적인 길이가 신장된다.
상술한 동작으로 사다리가 원하는 작업위치에 까지 도달하면 작업자가 사다리에 올라서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작업중 필요한 공구 또는 소품들은 바스켓(74)에 담아 전동윈치(71)의 구동으로 와이어(72)로 연결된 이송대(73)에 의해 작업자가 있는 위치까지 끌어 올려 사다리를 오르 내리는 수고를 덜수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작업자가 직접 바스켓내에 올라서서 작업위치까지 이동하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그리고, 리모트 컨트롤러(120)은 사다리에 작업자의 올라선 작업 위치에서 사다리의 각도와 길이 및 윈치모터(71)를 통한 바스켓의 이송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통하여 회전수단인 모터(51)는 제어되지 않도록 한다.
작업을 마친 후에는 다시 사다리부(40)의 전체 길이를 축소시키고 각도와 위치를 원래의 상태가 되도록 길이조절 실린더(61)와 각도조절 실린더(80)과 모터(51)를 작동시킨다.
이때 사다리의 축소 동작은 길이조절 실린더(61)에 의해 슬라이더(62)가 당겨지고 다시 도르레(62b)와 도르레(67)에 의해 제3, 제4와이어(66),(68)이 당겨지면서 제2 및 제3 사다리(42),(43)가 아래로 끌려 내려와 사다리 전체적인 길이가 축소된다.
마지막으로 서포트 실린더(20)가 지면에서 떨어지도록 컨트롤 박스(110)의 스위치를 조작한다.
도 5는 본 고안 유압 사다리의 탈거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그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컨트롤 박스(110)의 스위치 조작으로 유압사다리의 하중이 서포트 실린더(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작동시킨 후 모터(51)를 동작시켜 사다리부(40) 및 회전부가 차체의 후미에 위치할 수 있도록 회전시킨다.
그리고 받침대(90)가 지면에 닿도록 펼쳐 서포트 실린더(20)와 함께 유압 사다리 전체 하중이 지지되도록 한 다음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차체를 연결하는 와이어 또는 로프(220)를 푼다.
이 상태에서 차량(200)을 전진시키면 적재함(210)으로 부터 유압사다리가 서로 분리 탈거되다.
유압사다리의 차량 장착 순서는 분리방법의 역순과 같다.
본 고안은 상술한 동작으로 길이 유압사다리를 사용하여 간판작업, 가로수 정비, 가로등 교체 등 원하는 작업위치에서 신속하고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작용으로 본 고안은 유압사다리의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할 때에만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차량의 다른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유압사다리의 가격을 낮출 수 있어 사용이 잦은 사업자의 경우 구매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적을 뿐만 아니라 랜트시에도 저렴한 비용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사각틀 구조로 양측면에 복수의 걸고리(11)가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10)과;
    이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서포트 실린더(2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에 접하여 회전되도록 고정된 링(31) 및 이 링 위에 대향되게 위치한 한쌍의 삼각 구조를 갖는 지지프레임(32)이 고정된 회전부와;
    이 회전부의 지지프레임(32) 상단에 회전되게 연결되는 제1 사다리(41)와, 이 제1 사다리의 내측 슬라이드 홈(41a)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연결된 제2 사다리(42)와 이 제2 사다리의 내측 슬라이드 홈(41a)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연결된 제3 사다리(43)로 구비한 사다리부(40)와;
    상기 링(31)의 외경에 기어(31a)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이 기어의 치합되는 모터(51)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52)로 구비한 회전수단(50)과;
    상기 사다리부의 전체적인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되도록 조절하는 길이조절 수단과;
    상기 사다리부(40) 하단에는 전동윈치(71)를 고정하고 제3 사다리(43)의 상단에 고정된 도르레를 통해 이 윈치에 와이어(72)로 연결되어 제1, 제2, 제3 사다리(41),(42),(43)에 걸려 상하로 이동되는 이송대(73)와 이 이송대에 얹혀져 작업에 필요한 소품 또는 연장들을 담을 수 있는 바스켓(74)을 구비한 이송수단과;
    상기 양측 지지프레임(32)의 하단과 제1 사다리(41)의 양측 중심부에 각각 링크(81a),(81b)로 연결된 각도조절 실린더(80)와;
    상기 제3 사다리의 링크(81b)에 연결된 소정길이를 갖는 받침대(90)와;
    상기 서포트 실린더(20)와 길이조절 실린더(61) 및 각도조절 실린더(80)가 유압라인으로 연결되어 동작시되도록 하는 유압유닛(100)과;
    상기 실린더들(20),(61),(80)과 전동윈치(71) 및 모터(51)를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110)와;
    이 컨트롤 박스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모터(510를 제외한 실린더들고 전동윈치(71)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120)로 구성된 차량 착탈식 유압사다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제1, 제2 사다리(41),(42)와 상하부와 제3 사다리의 하부에 각각 연결바(41b),(41c),(42b),(42c),(43c)를 형성하고, 제1 사다리(41)의 일측에 끼워져 유동 되도록 연결되고 전방으로 2개의 도르레(62a).(62b)를 구비한 슬라이더(62)와,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사다리(41)의 연결바(41b)와 슬라이더(62)에 고정되는 길이조절 실린더(61)와, 상기 제1 사다리의 연결바(41b)와 제 2사다리의 연결바(42b)를 슬라이더의 일측 도르레(62a)를 통해 연결하는 제1 와이어(63)와, 제2 사다리의 상부 연결바(42c)에 도르레(64)를 연결하고 이 도르레를 통해 슬라이더(62)의 일측과 제3 사다리의 연결바(43b)를 연결하는 제2 와이어(65)와, 상기 슬라이더(62)의 타측 도르레(62b)를 통해 제1 사다리의 상부 연결바(41c)와 제2 사다리의 상부 연결바(42c)를 연결하는 제3 와이어(66)와, 상기 제2 사다리의 하부 연결바(42b)에 도르레(66)를 연결하고 이 도르레를 통해 슬라이더(62)의 일측과 제3 사다리의 하부 연결바(43b)를 연결하는 제3 와이어(68)로 구성된 차량 착탈식 유압 사다리.
KR2019980000243U 1998-01-13 1998-01-13 차량 착탈식 유압 사다리 KR2001666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243U KR200166629Y1 (ko) 1998-01-13 1998-01-13 차량 착탈식 유압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243U KR200166629Y1 (ko) 1998-01-13 1998-01-13 차량 착탈식 유압 사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036U true KR19990034036U (ko) 1999-08-16
KR200166629Y1 KR200166629Y1 (ko) 2000-01-15

Family

ID=19531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0243U KR200166629Y1 (ko) 1998-01-13 1998-01-13 차량 착탈식 유압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62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652B1 (ko) * 2001-04-23 2004-03-10 김대봉 고가 사다리차의 자동이송제어 시스템
KR100914560B1 (ko) * 2002-09-27 2009-09-02 주식회사 케이티 추진관 측량기의 위치 보정장치
KR101010521B1 (ko) * 2009-02-06 2011-01-24 김국문 인명구조용 차량 탑재형 사다리 구조체
KR101142756B1 (ko) * 2009-10-06 2012-05-08 이광로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지지 및 승하강장치
KR101374540B1 (ko) * 2012-11-08 2014-03-19 양건이 고가 사다리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871B1 (ko) 2007-08-03 2009-08-19 변철섭 이동식 고가 사다리
KR101020959B1 (ko) * 2010-11-05 2011-03-09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고가사다리차의 적재물 중량측정장치
KR101244222B1 (ko) 2011-06-23 2013-03-18 임대우 이동식 고가 사다리
KR101230656B1 (ko) 2011-07-04 2013-02-12 양건이 고가 사다리차
KR101250920B1 (ko) 2011-07-04 2013-04-09 양건이 고가 사다리차
KR101417407B1 (ko) * 2012-11-15 2014-08-06 경기도 건물 저층의 인명구조용 사다리 차량
KR101273253B1 (ko) 2012-12-12 2013-06-12 대한민국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
KR101446690B1 (ko) * 2013-04-29 2014-10-07 주식회사 호룡 고가 사다리차의 사다리 인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652B1 (ko) * 2001-04-23 2004-03-10 김대봉 고가 사다리차의 자동이송제어 시스템
KR100914560B1 (ko) * 2002-09-27 2009-09-02 주식회사 케이티 추진관 측량기의 위치 보정장치
KR101010521B1 (ko) * 2009-02-06 2011-01-24 김국문 인명구조용 차량 탑재형 사다리 구조체
KR101142756B1 (ko) * 2009-10-06 2012-05-08 이광로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지지 및 승하강장치
KR101374540B1 (ko) * 2012-11-08 2014-03-19 양건이 고가 사다리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629Y1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6629Y1 (ko) 차량 착탈식 유압 사다리
CN101759105B (zh) 移动式起重机以及拆卸、运输和架立移动式起重机的方法
JP2577694Y2 (ja) 回転式揚重フック装置
US3072215A (en) Folding personnel lift
CN103452502A (zh) 斜直井钻机钻具自动移送装置
US5439343A (en) Mini boom bumper
CN218620225U (zh) 一种辅助杆上作业的电动旋转升降绝缘平台
US4530648A (en) Wall climbing form hoist
US20060045710A1 (en) Hoist
US5727656A (en) Vehicle lift apparatus
JP2001040663A (ja) 杭打機のリーダの立設方法及びその装置
CN114538343A (zh) 一种便携式龙门架
CN111606204A (zh) 一种滑触线吊运工装
JP4263301B2 (ja) クローラクレーンの組立方法
CN110255453A (zh) 一种食用乙醇生产工艺及加工设备
CN217843280U (zh) 安全监测设备安装支架
CN213865270U (zh) 一种可调式的机电安装设备
CN214359976U (zh) 一种快速吊装管道工具
JP2000272868A (ja) タイヤマウント式クレーンの給電ケーブルガイド移動装置
KR200167292Y1 (ko) 접철식 농구대
JP3318043B2 (ja) 高所作業車の作業ステ−ジ連絡装置
CN2158415Y (zh) 打桩机无挂钩行走、转向装置
US3307279A (en) Multi-purpose work vehicles
JP2743867B2 (ja) アンテナ駆動機構
JP2991422B2 (ja) 斜面作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