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253B1 -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 - Google Patents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253B1
KR101273253B1 KR1020120144098A KR20120144098A KR101273253B1 KR 101273253 B1 KR101273253 B1 KR 101273253B1 KR 1020120144098 A KR1020120144098 A KR 1020120144098A KR 20120144098 A KR20120144098 A KR 20120144098A KR 101273253 B1 KR101273253 B1 KR 101273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pulley
poles
hook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성
박승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144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2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는, 직경이 상이하며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N개의 폴대들, 상기 폴대들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폴대들을 고정시킬 수 있는 N개의 고정부들 및 외부와 결합이 가능한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N개의 폴대들은 직경이 큰 폴대의 내측에 직경이 작은 폴대가 단계적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들은 상기 폴대들이 연결되는 부위 및 상기 폴대와 상기 제1결합부가 연결되는 부위를 고정시키며, 상기 N 개의 폴대들 중 직경이 가장 작은 폴대는 상기 제1결합부와 연결되는 폴대부; 구부러진 형상의 갈고리 날, 상기 갈고리 날의 끝단에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끝단에 형성되며, 외부와 결합이 가능한 제2결합부 및 상기 몸체의 중앙 일면에 위치하며 외부와 연결이 가능한 고리 형상을 가지는 안전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걸이부; 및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도르래, 제3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도르래,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안전고리와 연결되고, 상기 2연결부는 상기 로프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로프의 타단은 상기 제2도르래의 회전축을 지나, 상기 제1도르래의 회전축을 지나 지면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2도드래의 제3연결부는 운반물체와 연결되며, 상기 로프의 타단을 당기면, 상기 제2도르래와 함께 상기 운반물체가 상기 제1도드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르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A CLIMBING DEVICE FOR PENETRATION AND LIFE SAVING}
실시 예는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첩탑, 선박 등과 같이 높은 위치의 장소에 등반할 수 있는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층화재 시 인명구조 또는 침투 작전 수행을 위해 건물에 진입하려는 경우, 정상적인 건물 내부의 진입 경로를 통해 진입하기보단 건물 외부에서 건물 내부로 직접 진입해야 하는 경우가 더 많이 발생한다. 하지만, 정상적인 진입 경로가 아닌 건물 외부에서 직접 건물 내부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이 존재하며, 건물 내부로 신속하게 진입하기도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건물의 위치나, 구조 등에 따라서 건물 내부로 진입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한다. 또한, 침투 작전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건물 내부에 위치한 사람들이 인지하지 못하도록 은밀하게 침투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건물의 위치, 구조 등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건물 내부로 신속하면서도 은밀하게 침투가 가능한 등반 장치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실시 예는 건물, 첩탑 및 선박과 같은 높은 위치의 장소에, 신속, 은밀하게 진입할 수 있는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는, 직경이 상이하며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N개의 폴대들, 상기 폴대들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폴대들을 고정시킬 수 있는 N개의 고정부들 및 외부와 결합이 가능한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N개의 폴대들은 직경이 큰 폴대의 내측에 직경이 작은 폴대가 단계적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들은 상기 폴대들이 연결되는 부위 및 상기 폴대와 상기 제1결합부가 연결되는 부위를 고정시키며, 상기 N 개의 폴대들 중 직경이 가장 작은 폴대는 상기 제1결합부와 연결되는 폴대부; 구부러진 형상의 갈고리 날, 상기 갈고리 날의 끝단에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끝단에 형성되며, 외부와 결합이 가능한 제2결합부 및 상기 몸체의 중앙 일면에 위치하며 외부와 연결이 가능한 고리 형상을 가지는 안전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걸이부; 및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도르래, 제3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도르래,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안전고리와 연결되고, 상기 2연결부는 상기 로프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로프의 타단은 상기 제2도르래의 회전축을 지나, 상기 제1도르래의 회전축을 지나 지면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2도드래의 제3연결부는 운반물체와 연결되며, 상기 로프의 타단을 당기면, 상기 제2도르래와 함께 상기 운반물체가 상기 제1도드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르래부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는, 직경이 상이하며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N개의 폴대들, 상기 폴대들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폴대들을 고정시킬 수 있는 N개의 고정부들 및 외부와 결합이 가능한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N개의 폴대들은 직경이 큰 폴대의 내측에 직경이 작은 폴대가 단계적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들은 상기 폴대들이 연결되는 부위 및 상기 폴대와 상기 제1결합부가 연결되는 부위를 고정시키며, 상기 N 개의 폴대들 중 직경이 가장 작은 폴대는 상기 제1결합부와 연결되는 폴대부; 구부러진 형상의 갈고리 날, 상기 갈고리 날의 끝단에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끝단에 형성되며, 외부와 결합이 가능한 제2결합부 및 상기 몸체의 중앙 일면에 위치하며 외부와 연결이 가능한 고리 형상을 가지는 안전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걸이부; 및 사다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안전고리와 연결되는 사다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는, 직경이 상이하며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N개의 폴대들, 상기 폴대들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폴대들을 고정시킬 수 있는 N개의 고정부들 및 외부와 결합이 가능한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N개의 폴대들은 직경이 큰 폴대의 내측에 직경이 작은 폴대가 단계적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들은 상기 폴대들이 연결되는 부위 및 상기 폴대와 상기 제1결합부가 연결되는 부위를 고정시키며, 상기 N 개의 폴대들 중 직경이 가장 작은 폴대는 상기 제1결합부와 연결되는 폴대부; 구부러진 형상의 갈고리 날, 상기 갈고리 날의 끝단에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끝단에 형성되며, 외부와 결합이 가능한 제2결합부, 상기 몸체의 중앙 일면에 위치하며 외부와 연결이 가능한 고리 형상을 가지는 제1안전고리 및 상기 몸체의 중앙 타면에 위치하며 외부와 연결이 가능한 고리 형상을 가지는 제2안전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걸이부;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도르래, 제3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도르래,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1안전고리와 연결되고, 상기 2연결부는 상기 로프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로프의 타단은 상기 제2도르래의 회전축을 지나, 상기 제1도르래의 회전축을 지나 지면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2도드래의 제3연결부는 운반물체와 연결되며, 상기 로프의 타단을 당기면, 상기 제2도르래와 함께 상기 운반물체가 상기 제1도드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르래부; 및 사다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안전고리와 연결되는 사다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걸이부(200)는 갈고리 날(210)이 긴 형상, 갈고리 날(210)이 큰 각도로 구부러진 형상 및 세 개의 갈고리 날(210)이 120도 각도로 형성된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걸이부(200)의 재질은 티타늄 합금(Titanium alloys)일 수 있다.
여기서, 폴대부(100)의 재질은 카본(Carbon)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르래부는 상기 로프에 위치하며, 상기 로프가 상기 도르래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그(RI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를 사용하면, 건물, 첩탑 및 선박 등과 같은 높은 위치의 장소에 진입하는 경우, 어느 상황에서나 신속하면서도 은밀하게 진입할 수 있다.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의 폴대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에서 길이가 연장된 폴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의 걸이부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의 도르래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의 걸이부와 폴대부의 결합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에 도 5a의 걸이부가 사용된 경우, 걸이부가 건물에 고정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에 도 5b의 걸이부가 사용된 경우, 걸이부가 건물에 고정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가 실제로 사용되는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2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제2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가 실제로 사용되는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제3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를 설명한다.
<제1실시 예>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의 구조를 상세히 살펴본다.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10)는 폴대부(100), 걸이부(200) 및 도르래부(300)를 포함한다. 도 3은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의 폴대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에서 길이가 연장된 폴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4를 참조하여, 폴대부(100)의 구조를 상세히 살펴본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부(100)는 제1 내지 제8폴대(111,…. 118), 제1 내지 제8고정부(131….138) 및 제1결합부(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에서는 8개의 폴대들 및 고정부들을 나타내었으나, 폴대와 고정부의 개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정하고자 하는 폴대부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8폴대(111,…. 118)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직경이 상이한 원통형 구조일 수 있다. 또한, 폴대부(100)는 직경이 작은 폴대는 직경이 큰 폴대의 내측에 단계적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직경의 크기에 따라 폴대들은 단계적으로 직경이 작은 막대가 직경이 큰 막대의 내측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모든 폴대들은 연결된다. 도 3을 살펴보면, 제1폴대(111)의 직경이 가장 크며, 제8폴대(118)의 직경이 가장 작다. 따라서, 제1폴대(111)의 내측에 제2폴대(112)가 삽입되고, 제2폴대(112)의 내측에 제3폴대(113)가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런 구조를 통해 제1폴대 부터 제8폴대까지(111,…. 118) 단계적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가진다. 제1 내지 제8고정부(131…. 138)는 폴대의 외측에 위치하며, 폴대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8고정부(131…. 138)는 폴대의 끝단의 외측에 위치하며, 폴대끼리 연결되는 부위 및 폴대와 제1결합부(120)와 연결되는 부위를 고정시킨다.
제1결합부(120)는 내부에 홈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이며, 외주에는 ‘U’자형 홈이 형성되고, ‘U’자형 홈의 대칭 방향으로 크기와 형상이 동일한 ‘U’자형 홈이 형성된다.
고정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고정부는 폴대의 외부에 위치하며, 폴대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폴대의 외부에서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폴대를 조일 수 있고,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조여진 폴대를 풀 수도 있다. 폴대를 조이게 되면, 폴대들 간의 연결을 고정시킬 수 있고, 조임을 풀게 되면 작은 폴대가 큰 폴대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의 폴대부(100)의 고정부는 폴대의 둘레를 조여서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폴대들을 고정시켰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핀을 구비하여 폴대의 외측에서 폴대의 내부로 핀을 삽입하여 폴대들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대부의 일면과 직접 접촉하여 마찰력으로 폴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부는 제1 내지 제8폴대(111,…. 118)의 각 길이만큼 연장되며, 고정부는 폴대들이 연결되는 부위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폴대부(100)는 각 제1 내지 제8폴대(111,…. 118)의 길이를 합산한 길이를 최대 길이로 연장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각 폴대를 모두 연장시켜 길이를 연장시킬 필요는 없으며,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건물의 높이에 따라 폴대부(100)의 길이는 조절할 수 있다.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에서 폴대부(100)의 재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내지 제8폴대(111,…. 118)의 재질은 카본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단한 강도를 가지면서도 가벼운 재질의 물질이라면 어떠한 물질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제1폴대(111)의 지름은 53.66mm이며, 제1결합부(120)의 지름은 21.38mm이다. 또한, 각 폴대의 길이는 2m의 길이를 가지며, 폴대부(100)의 최대 길이는 5층의 난간까지 도달할 수 있는 길이인 15m일 수 있다. 폴대부(100)의 질량은 4.9kg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재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가 사용되는 상황 및 제조 상황에 따라 폴대부(100)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8폴대(111,…. 118), 제1결합부, 질량은 달라질 수 있다.
도 5a 내지 5c는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의 걸이부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의 걸이부(200)의 구조를 상세히 살펴본다.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의 걸이부(200)의 종류로 도 5a 내지 도 5c를 나타내었으나, 걸이부(200)의 종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보다 더 많은 종류의 걸이부(200)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의 걸이부(200a)는 갈고리 날(210a), 몸체(220a), 안전고리(230a), 제2결합부(240a), 지지대(250a) 및 지지대 받침부(260a)를 포함한다.
갈고리 날(210a)은 길이가 짧은 제1부분, 제1부분의 끝단에 연결되며, 제1부분과 수직하며 제1부분보다 길이가 긴 제2부분, 제2부분의 다른 끝단에 연결되며, 제2부분과 수직하나, 제1부분과는 평행하지 않는 제3부분을 가진다. 이러한 갈고리 날은 2개 존재하며, 각 갈고리 날의 제3부분은 Y자 형태로 몸체와 연결되며, 각 갈고리 날은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서로 평행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형태를 가지는 갈고리 날은 난간이나 창문과 같이 건물의 외측에 걸리기 쉽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 날의 개수는 2개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건물의 외측에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면, 갈고리 날의 개수는 문제되지 않는다.
몸체(220a)는 갈고리 날(210)의 타끝에 형성된 직선형상을 가진다.
안전고리(230a)는 몸체(220)의 하단부분에 위치하며, 고리 형상을 가지며, 다른 물체와 결합될 수 있다.
제2결합부(240a)는 몸체의 끝단에 형성되며, 원통형과 원통형을 관통하는 돌출부로 구성된 ‘十’자 형상을 가진다.
지지대(250a)는 몸체의 일면의 중간에 위치하며, 일정한 면적을 가지며 세로로 긴 구조의 얇은 판 형상일 수 있다. 지지대(250a)는 높은 탄성력을 가지며, 평상시에는 몸체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나, 갈고리 날(210a)이 건물의 외측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몸체부분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지지대(250a)는 갈고리 날이 난간이나 창문의 일면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경우, 몸체(220a)쪽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몸체(220a)의 외부 방향으로 복원되려는 탄성력으로 난간이나 창문의 일면을 지지하여 걸이부(200a)가 난간이나 창문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걸이부(200b)는 도 5a에 도시된 걸이부와 같이, 갈고리 날(210b), 몸체(220b), 안전고리(230b), 제2결합부(240b) 및 지지대(250b)를 포함하며, 도 5a에 도시된 걸이부(200a)의 갈고리 날(210a)과 걸이부(200b)의 갈고리 날(200b)의 형상이 상이하다. 도 5b에 도시된 걸이부(200b)는 ‘U’자 모양의 갈고리 형태의 갈고리 날을 2개를 포함하며, 이러한 2개의 갈고리 날은 몸체(220b)와 간격이 좁은 ‘Y’자 형태로 연결된다.
도 5c에 도시된 걸이부(200c)는 갈고리날(210c), 몸체(220c) 및 안전고리(230c) 제2결합부(240c)를 포함한다. 도 5c에 도시된 걸이부(200c)는 일 부분이 구부러진 형태의 갈고리 날을 3개를 포함하며, 이러한 3개의 갈고리 날의 구부러지지 않은 부분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몸체(220c)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6은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의 도르래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의 도르래부(300)는 제1도르래(310), 제2도르래(320), 로프(330) 및 연결부재(50)를 포함한다.
제1도르래(310)는 로프(330)를 걸칠 수 있게 중앙의 지름이 더 작은 회전축, 회전축의 중심축을 관통하는 원통형의 돌출부, 회전축과 이격되고 돌출부의 양 끝단과 연결되는 양쪽 측판, 양쪽 측판의 상부를 연결하는 체결부, 체결부 상부에 형성되고, 고리형상의 제1연결부(311) 및 회전축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양쪽 측판의 하부를 관통하는 원통형상의 제2연결부(312)를 가진다. 또한, 제2도르래(320)는 제1도르래(310)와 같이, 회전축, 돌출부, 양쪽 측판을 가지고, 제1도르래(310)와 상이한 양쪽 측판의 하부를 연결하는 체결부, 체결부 하부에 형성되고, 고리형상의 제3연결부(321)를 가진다. 또한, 로프(330)는 사람이나 화기 등과 같은 소정중량 이상에 끊어지지 않을 수 있는 밧줄 등일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50)는 고리형상으로 사용자의 일면을 돌리거나 일면을 당기는 방법과 같은 외력을 가하는 방법으로 일면을 개방할 수 있고, 개방된 일면으로 링(ring)과 같은 고리형상을 연결부재(50)와 연결한 후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다시 고리형상으로 만들 수 있는 부재로, 샤클, 체인, 비너, 퀵링크 및 크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르래(310)의 제1연결부(311)는 연결부재(50)와 연결되고, 제1도르래(310)의 제2연결부(312)는 소정길이를 갖는 로프(330)의 일단과 연결된다. 또한, 일단이 제1도르래(310)의 제2연결부(312)와 연결된 로프(330)의 타단은 제2도르래(320)의 회전축을 지나 제1도르래(310)의 회전축을 지나 지면 방향으로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로프(330)의 일단이 제1도르래(310)의 제2연결부(312)와 연결되고, 로프(330)의 타단이 제2도르래(310)의 회전축의 중앙에 걸리어 로프(330)가 움직일 때 회전축이 회동하게 된다. 계속적으로, 제2도르래(320)의 회전축에 걸린 로프(330)의 타단이 제2도르래(320)의 상부에 있는 제1도르래(320)의 회전축의 중앙에 걸리고 지면 방향으로 위치한다. 이때, 지면 방향으로 위치한 로프(330)의 타단을 지면 방향으로 당기면, 제1도르래(310)가 고정도르래로 사용되고, 제2도르래(320)가 움직도르래로 사용되어, 제2도르래(320)가 제1도르래(310)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2도르래(320)의 제3연결부(321)에는 사람 또는 물건과 같은 운반물체가 연결되어 제2도르래(320)가 이동할 때 운반물체는 제2도르래(320)를 따라 제1도르래(310)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연결부(311, 312, 321)는 연결부재(50)와 같은 종류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르래부(300)의 타단에는 리그(RIG, 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리그는 로프(330)가 제1 및 제2도르래(310, 32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로프(330)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리그는 로프(330)에 마찰력과 같은 방법으로 로프(330)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반대 방향으로 로프(330)가 이동하는 것은 방지하기 때문에 운반물체가 지면방향으로 갑자기 떨어지는 사고와 같은 상황에서 운반물체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7은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의 걸이부와 폴대부의 결합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부의 제1결합부(120)와 걸이부의 제2결합부(240)가 도시 되었다.
제1결합부(120)는 내부에 홈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이며, 외주에는 ‘U’자형 홈이 형성되고, ‘U’자형 홈의 대칭 방향으로 크기와 형상이 동일한 ‘U’자형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결합부(240)는 제1결합부(120)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아 제2결합부(240)의 끝단은 원통형으로 제1결합부(120)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240)의 원통형을 관통하는 돌출부는 제1결합부(120)의 ‘U’자형 홈보다 작기 때문에 제2결합부(240)의 돌출부는 제1결합부(120)의 ‘U’자형 홈의 끝에 걸치게 되고, 제2결합부(240)의 끝단은 제1결합부(120)의 내측으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2결합부(240)의 돌출부는 제1결합부(120)의 ‘U’자형 홈에 걸치게 되어 상측 방향으로 밖에 움직일 수 없게 되고, 제2결합부(240)는 제1결합부(120)와 서로 회전하지 못한다.
도 8은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에 도 5a의 걸이부가 사용된 경우, 걸이부가 건물에 고정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에 도 5b의 걸이부가 사용된 경우, 걸이부가 건물에 고정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의 걸이부가 건물에 고정되는 구조를 상세히 살펴본다.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의 걸이부가 고정되는 건물과 같은 구조물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보다 더 많은 종류의 구조물에 사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 날의 제1부분이 구조물의 내측면에 걸리고, 갈고리 날의 제2부분이 구조물의 상측면에 걸리고, 갈고리 날의 지지대가 구조물의 외측면을 몸체의 외부 방향으로 복원되려는 탄성력으로 지지하여 걸이부가 구조물과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 받침부가 몸체쪽에서 지지대를 받쳐주어 지지대가 더욱 단단히 구조물의 외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물의 상측면의 넓이가 상이한 경우, 갈고리 날의 제2부분이 더 길거나 갈고리 날의 제2부분이 더 짧은 걸이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지지대 받침부 및 지지대가 없는 걸이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과 달린 둥글거나 상측면이 더 좁은 구조물은 도 5b에 도시된 걸이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U’자와 유사한 갈고리 날이 구조물의 외측면과 구조물의 상측면을 감싸고, 지지대가 구조물의 외측면을 몸체의 외부 방향으로 복원되려는 탄성력으로 지지하여 걸이부가 구조물과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가 실제로 사용되는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가 실제로 사용되는 예들을 상세히 살펴본다.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를 사용한 건물은 도 10a 및 도 10b를 나타내었으나,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를 사용한 건물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첩탑 및 선박 등과 같은 높은 구조물일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는 침투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높이를 파악하고, 사용자는 폴대부의 길이를 신장 및 축소시키어 올라가고자 하는 구조물에 걸이부를 걸 수 있다. 이때, 침투인원은 로프 및 제2도르래가 걸이부와 함께 올라가지 않도록 로프 및 제2도르래를 붙잡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폴대부는 전동식 등강기나 로프발사기와 달리 소음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은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걸이부가 침투하고자 하는 구조물에 걸리면, 사용자는 폴대부에 걸이부와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외력으로 당기어 걸이부와 폴대부를 분리한다. 이때, 침투인원은 제2도르래를 벨트나 X-반도와 같은 고정할 수 있는 부분과 연결하여 침투준비를 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폴대부를 분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걸이부는 걸려고 하는 옥상난간의 상태나 상황을 고려하여 도 6a, 도 6b, 도 6c와 같은 걸이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투인원이 제2도르래와 제대로 연결이 되면, 사용자는 침투인원이 침투하고자 하는 구조물에 올라갈 수 있도록, 지면 방향으로 위치한 로프를 소정이상의 외력으로 당길 수 있다. 사용자가 소정이상의 외력으로 로프를 당기면 침투인원은 제1도르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A위치에는 리그(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리그는 로프가 제1 및 제2도르래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침투인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운반물체(미도시)를 침투인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화기, 침투장비 등과 같은 물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를 이용하면, 침투인원은 침투하고자 하는 구조물로 이동하는 동안 사주경계 또는 사격준비와 같은 행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침투인원은 구조물에 오르는 동안 힘을 쓰지 않기 때문에 체력소비도 줄일 수 있다.
<제2실시 예>
도 11은 제2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2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중,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1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폴대부(100) 및 걸이부(200)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20)는 폴대부(100), 걸이부(200) 및 사다리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의 사다리부(400)는 줄사다리와 같이 나타내었으나, 사다리부(400)의 종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하고자 하는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부(400)의 일끝은 소정크기 이상의 고리형상 또는 소정크기 이상의 갈고리 형상이고, 하측에는 사람이 오를 수 있는 사다리 형상이다. 사다리부(400)는 사람의 체중에 쉽게 끊어지지 않을 내구성이 있어야 하고, 사다리부(400)의 크기 또한 사람이 오르기 충분한 크기를 가져야 바람직하다. 또한, 폴대부(100)가 최대로 늘어났을 때, 폴대부(100)의 길이만큼의 사다리부(400)의 길이도 길어야 바람직하다. 사다리부(400)는 걸이부의 안전고리와 직접 또는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후 쉽게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제2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가 실제로 사용되는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제2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가 실제로 사용되는 예들을 상세히 살펴본다. 제2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를 사용한 건물은 도 12a 및 도 12b를 나타내었으나, 제2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를 사용한 건물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첩탑 및 선박 등과 같은 높은 구조물일 수 있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2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는 15층 이상의 고층 아파트나 건물 등의 화재에서 짧은 폴대 길이를 사용하여 아래층에서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아래층 창문에서 폴대부를 신장 및 축소하여 오르고자 하는 층에 걸이부를 걸고, 걸이부가 침투하고자 하는 창문에 걸리면, 사용자는 폴대부에 걸이부와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외력으로 당기어 걸이부와 폴대부를 분리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폴대부를 분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걸이부는 걸려고 하는 창문난간의 상태나 상황을 고려하여 도 6a, 도 6b, 도 6c와 같은 걸이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다리부를 이용하여 오르고자 하는 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사용자 모두 순서대로 오르고자 하는 층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서는 위층에 있는 구조자가 사다리를 통해 아래로 내려 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아래 층에서 신속하고 빠르게 오르고자 하는 위층에 걸이부를 연결할 수 있으며, 사다리부를 통해 다수의 사람이 오르거나 내려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3실시 예>
도 13은 제3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3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중, 도 1 내지 도 2 및 도 11에 도시된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10, 2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폴대부(100), 걸이부(200) 및 도르래부(300)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2에 설명한 것과 같고, 사다리부(400)는 도 11에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30)는 폴대부(100), 걸이부(200), 도르래부(300) 및 사다리부(40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실시 예와 달리, 걸이부(200)는 몸체의 중간 왼쪽에 형성된 고리형상의 제1안전고리(230a)와 몸체(220)의 중간 오른쪽에 형성된 고리형상의 제2안전고리(230b)를 포함한다.
걸이부(200)의 제1안전고리(230a)에는 도르래부(300)가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되고, 걸이부(200)의 제2안전고리(230b)에는 사다리부(400)가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된다. 여기서, 제1안전고리(230a)와 제2안전고리(230b)의 연결은 위와 같이 나타내었으나, 제1안전고리(230a)와 제2안전고리(230b)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하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 제1안전고리(230a)에 사다리부(400)가 결합되고, 제2안전고리(230b)에 도르래부(3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 예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30)는 도르래부(300)와 사다리부(400)가 동시에 연결되기 때문에 한번에 두 명의 침투인원을 오르게 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두 가지 방법으로 오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의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10, 20, 30)는 폴대부를 수동으로 신장시키기 때문에 전동식 등강기 및 로프발사기 등과 같이 소리를 발생하지 않고, 은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르래부를 이용하면 침투하는 동안에 침투인원은 두 손을 자유롭기 때문에 다른 행동을 할 수 있고, 직접 오르는 방법과 달리 체력을 소비하지 않고 침투하기 때문에 원활한 작전수행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폴대부
200: 걸이부
300: 도르래부
400: 사다리부
50: 연결부재

Claims (7)

  1. 직경이 상이하며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N개의 폴대들, 상기 폴대들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폴대들을 고정시킬 수 있는 N개의 고정부들 및 외부와 결합이 가능한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N개의 폴대들은 직경이 큰 폴대의 내측에 직경이 작은 폴대가 단계적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들은 상기 폴대들이 연결되는 부위 및 상기 폴대와 상기 제1결합부가 연결되는 부위를 고정시키며, 상기 N 개의 폴대들 중 직경이 가장 작은 폴대는 상기 제1결합부와 연결되는 폴대부;
    구부러진 형상의 갈고리 날, 상기 갈고리 날의 끝단에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끝단에 형성되며, 외부와 결합이 가능한 제2결합부 및 상기 몸체의 중앙 일면에 위치하며 외부와 연결이 가능한 고리 형상을 가지는 안전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걸이부; 및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도르래, 제3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도르래,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안전고리와 연결되고, 상기 2연결부는 상기 로프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로프의 타단은 상기 제2도르래의 회전축을 지나, 상기 제1도르래의 회전축을 지나 지면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2도드래의 제3연결부는 운반물체와 연결되며, 상기 로프의 타단을 당기면, 상기 제2도르래와 함께 상기 운반물체가 상기 제1도드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르래부를 포함하는,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
  2. 직경이 상이하며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N개의 폴대들, 상기 폴대들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폴대들을 고정시킬 수 있는 N개의 고정부들 및 외부와 결합이 가능한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N개의 폴대들은 직경이 큰 폴대의 내측에 직경이 작은 폴대가 단계적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들은 상기 폴대들이 연결되는 부위 및 상기 폴대와 상기 제1결합부가 연결되는 부위를 고정시키며, 상기 N 개의 폴대들 중 직경이 가장 작은 폴대는 상기 제1결합부와 연결되는 폴대부;
    구부러진 형상의 갈고리 날, 상기 갈고리 날의 끝단에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끝단에 형성되며, 외부와 결합이 가능한 제2결합부 및 상기 몸체의 중앙 일면에 위치하며 외부와 연결이 가능한 고리 형상을 가지는 안전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걸이부; 및
    사다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안전고리와 연결되는 사다리부를 포함하는,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
  3. 직경이 상이하며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N개의 폴대들, 상기 폴대들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폴대들을 고정시킬 수 있는 N개의 고정부들 및 외부와 결합이 가능한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N개의 폴대들은 직경이 큰 폴대의 내측에 직경이 작은 폴대가 단계적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들은 상기 폴대들이 연결되는 부위 및 상기 폴대와 상기 제1결합부가 연결되는 부위를 고정시키며, 상기 N 개의 폴대들 중 직경이 가장 작은 폴대는 상기 제1결합부와 연결되는 폴대부;
    구부러진 형상의 갈고리 날, 상기 갈고리 날의 끝단에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끝단에 형성되며, 외부와 결합이 가능한 제2결합부, 상기 몸체의 중앙 일면에 위치하며 외부와 연결이 가능한 고리 형상을 가지는 제1안전고리 및 상기 몸체의 중앙 타면에 위치하며 외부와 연결이 가능한 고리 형상을 가지는 제2안전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걸이부;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도르래, 제3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도르래,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1안전고리와 연결되고, 상기 2연결부는 상기 로프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로프의 타단은 상기 제2도르래의 회전축을 지나, 상기 제1도르래의 회전축을 지나 지면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2도드래의 제3연결부는 운반물체와 연결되며, 상기 로프의 타단을 당기면, 상기 제2도르래와 함께 상기 운반물체가 상기 제1도드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르래부; 및
    사다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안전고리와 연결되는 사다리부를 포함하는,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 날은, 길이가 짧은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의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부분과 수직하며 제1부분보다 길이가 긴 제2부분, 상기 제2부분의 다른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부분과 수직하나, 상기 제1부분과는 평행하지 않는 제3부분을 가지는 형상,
    ‘U’자 모양의 형상 및
    일 부분이 구부러진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의 재질은 티타늄 합금(Titanium alloys)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부의 재질은 카본(Carbon)인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부는 상기 로프에 위치하며, 상기 로프가 상기 도르래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그(RIG)를 더 포함하는,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
KR1020120144098A 2012-12-12 2012-12-12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 KR101273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098A KR101273253B1 (ko) 2012-12-12 2012-12-12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098A KR101273253B1 (ko) 2012-12-12 2012-12-12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3253B1 true KR101273253B1 (ko) 2013-06-12

Family

ID=48866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098A KR101273253B1 (ko) 2012-12-12 2012-12-12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2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455B1 (ko) * 2017-08-21 2018-07-24 서울특별시 비상 탈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6511A (ja) * 1997-12-26 1999-07-21 Takao Kubota 引き寄せ具
KR200166629Y1 (ko) 1998-01-13 2000-01-15 박현무 차량 착탈식 유압 사다리
KR100403961B1 (ko) 2000-09-08 2003-11-01 이상조 조립식 로프장대
KR20110043155A (ko) * 2009-10-21 2011-04-27 박성래 수상 인명구조용 신장식 갈고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6511A (ja) * 1997-12-26 1999-07-21 Takao Kubota 引き寄せ具
KR200166629Y1 (ko) 1998-01-13 2000-01-15 박현무 차량 착탈식 유압 사다리
KR100403961B1 (ko) 2000-09-08 2003-11-01 이상조 조립식 로프장대
KR20110043155A (ko) * 2009-10-21 2011-04-27 박성래 수상 인명구조용 신장식 갈고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455B1 (ko) * 2017-08-21 2018-07-24 서울특별시 비상 탈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3445B2 (en) Portable power driven system comprising a rope grab arrangement
US8276714B2 (en) Emergency evacuation rappel line anchor mount apparatus
US8167090B2 (en) Apparatus for safely lowering user from structure
US3294196A (en) Emergency escape ladder and amusement device
US20050039981A1 (en) Evacuation device with releasing handles
US9809430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carrying and deploying subjects into intended spaces
CN104027895A (zh) 一种适用于高层逃生的速降支架
US10046775B2 (en) Universal continuous belay system
US20210196995A1 (en) Suspension cable wall anchoring device
KR101273253B1 (ko) 고층 침투 및 인명구조용 등반장치
KR102075935B1 (ko) 건물용 비상탈출기구
CN110339497B (zh) 自动减速速降装置及高层火灾避烟速降逃生系统
KR100613879B1 (ko) 난간 대피장치
US6286625B1 (en) Rope climbing device
US20070039778A1 (en) Escape system for a building
CN204910533U (zh) 高楼逃生系统
US6474441B1 (en) Foldable rappelling hook
CN214912784U (zh) 一种往复式高楼逃生缓降装置
EP3831450A1 (en) Remote clipping device
KR100828134B1 (ko) 로프와 발판의 연결장치
CN213087897U (zh) 一种高楼消防应急绳梯装置
US20120000727A1 (en) Safe Ascend Bosun&#39;s Chair
CN100376302C (zh) 用于悬挂和锁定攀登用绳索的装置
KR20110070935A (ko) 화재대피난간
US9677333B1 (en) Unfurlable rescue lad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