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2167U - 트렁크 리드의 링크 구조 - Google Patents
트렁크 리드의 링크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32167U KR19990032167U KR2019970044921U KR19970044921U KR19990032167U KR 19990032167 U KR19990032167 U KR 19990032167U KR 2019970044921 U KR2019970044921 U KR 2019970044921U KR 19970044921 U KR19970044921 U KR 19970044921U KR 19990032167 U KR19990032167 U KR 1999003216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unk lid
- link
- guide groove
- opened
- ro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Landscapes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링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체에 힌지 회동하도록 설치된 트렁크 리드의 링크에 가이드홈을 구비하며 그 길이를 연장한 로드부를 구비하고, 이의 끝단에 밸렌스 무게추를 설치하여 트렁크 리드의 오픈시 용이하게 열리면서 트렁크 리드가 흔들리지 않도록한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링크 구조에 관한 것인바, 본 고안은 링크의 길이를 연장 형성하되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끝단은 반원형의 절곡부를 구비한 로드부와, 상기 가이드 홈에는 로울러가 삽설되며 축봉이 축설되어 공회전 되도록 설치되며 이 축봉으로부터 그 하부로 수직되게 지지부재가 형성되어 끄단부에는 무게추가 구비된 밸렌스 무게추가 설치된 트렁크 리드의 링크 구조에 의하여 트렁크 리드를 개폐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운전석에 설치된 잠금장치 해지 스위치수단을 작동시켜 록킹을 해지하면 트렁크 리드가 최대로 열리도록하며 또한 트렁크 리드의 개폐시 흔들림이 없도록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링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체에 힌지 회동하도록 설치된 트렁크 리드의 링크에 가이드홈을 구비하며 그 길이를 연장한 로드부를 구비하고, 이의 끝단에 밸렌스 무게추를 설치하여 트렁크 리드의 오픈시 용이하게 열리면서 트렁크 리드가 흔들리지 않도록한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링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트렁크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는 운전자가 운행에 필요한 각종 정비도구들을 비롯하여 타이어 펑크에 대비한 보조 타이어 및 기타 운반을 요하는 물건들을 수납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트렁크를 여닫는 일은 자동차를 이용한 생활중의 일상적인 생활이라 할 수 있다. 자동차를 업무에 활용하는 사람에게는 말할 나위도 없거니와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단순한 교통수단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에게도 트렁크를 여닫는 일은 자주 행해야 하는 작업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 트렁크(100)는 첨부도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 리드(200)와 이 차체(700)의 소화물 수납공간(300)과 트렁크 리드(200)를 탄성력에 의하여 개폐시키는 토션바(400) 및 토션바(400)의 탄성력에 의하여 트렁크 리드(200)를 회동시키는 링크(500)와 트렁크 리드(200)는 중심부에는 범퍼상의 스트라이커와 작용하는 랫치로 이루어진 잠금장치(60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량물인 트렁크 리드(200)를 비교적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트렁크 리드(200)의 열림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탄성력을 가하는 수단으로는 제일 많이 적용되는 토션바 및 인장 스프링, 공기 스프링등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상기 토션바(300)는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고,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도, 설치 및 작동이 용이하기 때문에 제일 많이 적용되며, 이러한 토션바는 한쌍의 강봉을 교차시켜 일측의 단부는 차체에 타단부분 트렁크 리드에 연결결합하며, 토션바는 닫힌 상태에서 비틀려져 탄성에너지를 가지게 되어 트렁크 리드의 개방시 비축된 탄성에너지에 의해 비교적 용이하게 열리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 트렁크 리드(200)의 열림은 잠금장치(600)를 해지하면 리어 시트의 후방에 설치된 패키지 트레이 패널의 저면부에 수직방향으로 하향되어 설치되는 지지구에 단순히 걸쳐지는 구조로 결합되고, 타단부는 트렁크 리드(200)에 결합 설치된 토션바(400)의 탄성력에 의하여 열린다. (토션바의 설치구조는 공지로써 도시는 생략함)
한편 상기 토션바(400)가 지속적인 사용에 의한 탄성이 저하되어 트렁크 리드(200)의 열림량이 적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가 트렁크 리드(200)를 완전 개방된 상태까지 열어야 하는 문제점과 다른 문제점으로는 탄성력이 저하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트렁크 리드의 개폐시 토션바의 탄성력에 따라서 어느 위치까지 개폐되고 이때 트렁크 리드가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트렁크 리드를 개폐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운전석에 설치된 잠금장치 해지 스위치수단을 작동시켜 록킹을 해지하면 트렁크 리드가 최대로 열리도록하며 또한 트렁크 리드의 개폐시 흔들림이 없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잠금장치의 록킹을 해지하면 탄성력에 의하여 차체로부터 트렁크 리드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회전하도록하는 링크에 있어서,
링크의 길이를 연장 형성하되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끝단은 반원형의 절곡부를 구비한 로드부와, 상기 가이드 홈에는 로울러가 삽설되며 축봉이 축설되어 공회전 되도록 설치되며 이 축봉으로부터 그 하부로 수직되게 지지부재가 형성되어 끄단부에는 무게추가 구비된 밸렌스 무게추가 설치된 트렁크 리드의 링크 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a는 일반적인 자동차 트렁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b는 종래 트렁크 리드 링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트렁크 리드 링크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인 밸런스 웨이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트렁크 리드 링크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링크 3 : 밸렌스 무게추
20 : 회전부재 21 : 절곡부
22 :로드부 22a : 가이드 홈
30 : 로울러 31 : 지지부재
32 : 무게추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트렁크 리드 링크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써,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의 구조는 리어 시트의 후방에 설치된 패키지 트레이 패널의 저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구에 단순히 걸쳐지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트렁크 리드(200)에 결합 설치되는 토션바(400)가 잠금장치(600)의 록킹을 해지하면 탄성력에 의하여 차체(700)로부터 트렁크 리드(20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회전하도록하는 링크(2)에 있어서, 상기 링크(2)는 회전부재(20)의 일측 길이를 연장하여 로드부(22)를 형성하며, 이의 끝단에는 반원형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부(21)를 구비하되 로드부(22)의 끝단에는 밸렌스 무게추(3)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부(22)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이드 홈(22a)을 구비하며 이 가이드 홈(22a)에는 로울러(30)가 삽설된다. 한편 상기 로울러(30) 중앙으로는 공회전되도록 축봉(31a)이 관통되어 설치되되, 이 축봉(31a)은 하부로 수직되게 절곡되된 지지부재(31)로 형성되며, 이 지지부재(31)의 끝단은 소정의 무게를 갖는 무게추(32)이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 리드(200)가 잠금장치(600)에 의하여 록킹되어 있을 때 운전자 및 승차자가 운전석에 구비된 스위치수단을 이용하여 록킹을 해지하면 상기 트렁크 리드(200)는 토션바(400)의 탄성력에 의하여 힌지 회동된다. 이때 트렁크 리드(200)는 차체(7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하는 링크(2)에 의하여 회전되며, 상기 트렁크 리드(200)의 열림을 제한하는 잠금장치(600)의 록킹력이 해지되면 그 순간 토션바(400)의 탄성력과 로드(22) 끝단에 설치된 밸렌스 무게추(3)에 의하여 트렁크 리드(200)가 용이하게 최대한으로 열린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트렁크 리드(200)의 열림을 제한하는 잠금장치(600)의 록킹력이 해지되는 순간 무게추(32)의 무게에 의하여 하중이 작용하고 이 하중은 로드부(20) 즉, 힌지 고정된 회전부재(20)를 회전시켜 트렁크 리드(200)를 개방한다. 그러나 상기 트렁크 리드(200)가 개방됨과 동시에 회전부재(20)와 일체로 형성된 로드부(20)도 최초의 위치인 A선상에서 회전하여 B선상으로 위치가 α만큼 높이의 이동이 일어난다.
그러나 A에서 B로 위치가 이동될 때 밸렌스 무게추(3)의 로울러(30)가 축설된 축봉(31a)에 의하여 공회전하면서 로드부(22)의 가이드 홈(22a)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축봉(31a)과 연결된 지지부재(31)는 무게추(32)를 C선상에서 D선상으로 γ만큼 하중의 이동도 일어나도록하되 D부에서 C부로 복귀할 때에는 반원형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부(21)에 의하여 로울러(30) 및 무게추(32)의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열려있는 트렁크 리드(200)를 닫을 때에는 트렁크 리드(200)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닫혀지도록할 때 링크(2)에 의하여 로드부(22)가 초기의 상태로 이동한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작동하는 본 고안은 차체에 힌지에 의하여 회동가능토록 설치된 트렁크 리드의 회전바에 있어서, 가이드홈을 구비하며 그 길이를 연장한 연장부를 형성하고 이의 끝단에 밸렌스 무게추를 설치하여 트렁크 리드를 개폐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운전석에 설치된 잠금장치 해지 스위치수단을 작동시켜 록킹을 해지하면 트렁크 리드가 최대로 열리도록하며, 또한 트렁크 리드의 개폐시 흔들림이 없도록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잠금장치(600)의 록킹을 해지하면 탄성력에 의하여 차체(700)로부터 트렁크 리드(20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회전하도록하는 링크(2)에 있어서,링크(2)의 길이를 연장 형성하되 가이드 홈(22a)을 형성하고 끝단은 반원형의 절곡부(21)를 구비한 로드부(22)와,상기 가이드 홈(22a)에는 로울러(30)가 삽설되며, 축봉(31a)이 축설되어 공회전 되도록 설치되며 하부로 수직되게 절곡된 지지부재(32)가 형성되어 끝단부에는 무게추가 구비된 밸렌스 무게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트렁크 리드의 링크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44921U KR200214594Y1 (ko) | 1997-12-31 | 1997-12-31 | 트렁크 리드의 링크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44921U KR200214594Y1 (ko) | 1997-12-31 | 1997-12-31 | 트렁크 리드의 링크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2167U true KR19990032167U (ko) | 1999-07-26 |
KR200214594Y1 KR200214594Y1 (ko) | 2001-03-02 |
Family
ID=53897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44921U KR200214594Y1 (ko) | 1997-12-31 | 1997-12-31 | 트렁크 리드의 링크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14594Y1 (ko) |
-
1997
- 1997-12-31 KR KR2019970044921U patent/KR20021459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14594Y1 (ko) | 2001-03-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753762B2 (en) | Automotive double folding tailgate | |
KR200214594Y1 (ko) | 트렁크 리드의 링크 구조 | |
KR100461061B1 (ko) |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열림각 제한장치 | |
JPH0428852Y2 (ko) | ||
KR100369008B1 (ko) |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록킹 구조 | |
KR970003168Y1 (ko) |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과적재 시 트렁크 리드 고정장치 | |
KR100369005B1 (ko) |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록킹 구조 | |
KR100320876B1 (ko) |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힌지 구조 | |
JP3584184B2 (ja) | 収納ボックス | |
KR100428392B1 (ko) |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유동 방지구조 | |
KR200284816Y1 (ko) | 자동차의트렁크리드열림상태지지구조 | |
JP2539359Y2 (ja) | リアシート | |
KR200168761Y1 (ko) | 자동차용 힌지어셈블리 처짐방지용 락킹장치 | |
JPS6139640Y2 (ko) | ||
JPH0426609Y2 (ko) | ||
KR0151327B1 (ko) | 스키 슬리브 리드 개폐장치 | |
KR0113824Y1 (ko) | 스페어 휠 커버의 열림고정장치 | |
KR100380396B1 (ko) | 화물차량의 리어게이트 잠금장치 | |
KR0118849Y1 (ko) | 웨건 차량의 도어 체커 조립체 | |
KR200181744Y1 (ko) | 트렁크 룸 내의 화물 고정 장치 | |
KR0138850Y1 (ko) | 버스 플랩도어의 록킹장치 | |
KR200146226Y1 (ko) |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힌지구조 | |
KR0135385Y1 (ko) |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 | |
KR200255460Y1 (ko) |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의 토션바 구조 | |
KR0107723Y1 (ko) | 자동차 트렁크리드의 코일스프링 장력 조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