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877U - 차량의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877U
KR19990031877U KR2019970044622U KR19970044622U KR19990031877U KR 19990031877 U KR19990031877 U KR 19990031877U KR 2019970044622 U KR2019970044622 U KR 2019970044622U KR 19970044622 U KR19970044622 U KR 19970044622U KR 19990031877 U KR19990031877 U KR 199900318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ngine oil
circumferential surface
protrusion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4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1877U/ko
Publication of KR199900318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877U/ko

Links

Landscapes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오일이 채워지는 오일팬의 하부에 항상 압입 고정되고 콕크마개가 코킹된 연결부재를 형성하여 오일교환시에만 일시 콕크마개만을 개폐한 후, 별도의 드레인 장치를 연결 형성하여 오일팬내의 오일을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engine oil drain system) 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차량의 엔진오일을 배출시키는 위한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에 있어서: 일측 둘레면에 오일이 유출되기 위한 오일통로A가 관통되고, 그 둘레면의 타측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그 내측으로 압축스프링과 연결된 피스톤을 갖는 고정부재; 상기 피스톤을 일방으로 밀기위한 누름돌출부가 내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하측면에 관통된 오일통로B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둘레면의 나사부에 체결되기 위한 나사부가 내측둘레면에 형성된 연결 플레이트A;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A의 누름돌출부의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한 또 다른 연결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하측면에 오일이 관통하는 오일통로C가 형성된 연결 플레이트 B;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B의 하측으로 연결되고,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를 제공하게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
본 고안은 차량의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엔진오일이 채워지는 오일팬의 하부에 항상 압입 고정되고 콕크마개가 코킹된 연결부재를 형성하여 오일교환시에만 일시 콕크마개만을 개폐한 후, 별도의 드레인 장치를 연결 형성하여 오일팬내의 오일을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engine oil drain system)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오일 교환시에 일시 엔진(102)을 웜업시킨 후 차량을 리프트 등에 의해 일정높이로 상승시키고 나서 작업자가 차량의 밑에서 오일 휠러캡(104)을 탈거한 후 드레인 플러그(106)를 풀어 오일을 배출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구조는 첨부도면 중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일을 배출시키는 오일플러그(106)를 개방함과 동시에 오일팬(108)의 오일유출구에서 바로 흘러나오게 된다. 이때 상기 유출시에 그 압력으로 오일이 순간 주위로 튀면서 분사된 후 일정시간 경과후에야 정상적으로 밑으로 흘러내리게 되는 데, 그로인한 주위에 오일이 마구 튀어 작업자도 곤란하였고 주위의 청결유지에도 여러문제가 있는 등 오일교환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드레인 장치가 갖고 있는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항상 오일팬의 오일 유출구에 삽입 고정되고 그 하부에 콕크마개를 갖는 고정부재를 형성하고 오일 교환시에만 일시적으로 콕크마개를 분리한 후, 별도의 드레인 장치를 연결하여 오일교환을 손쉽게 함은 물론, 오일유출에 따른 청결을 유지하도록 한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드레인 장치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드레인 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드레인 장치의 연결을 보인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드레인 장치에 콕크마개가 연결된 것을 보인 결합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오일팬 21 :오일 유출구
30 :고정부재 31 :나사부
33 :오일통로A 35 :삽입구
37 :피스톤 39 :압축스프링
40 :연결 플레이트A 41 :누름돌출부
43 :소공간부 45 :오일통로B
46 :공간부 47 :내측 나사부
50 :연결 플레이트B 51 :연결 돌출부
53 :오일통로C 60 :배출호스
70 :실링용 고무링 80 :콕크마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의 엔진오일을 배출시키는 위한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에 있어서: 일측 둘레면에 오일이 유출되기 위한 오일통로A가 관통되고, 그 둘레면의 타측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그 내측으로 압축스프링과 연결된 피스톤을 갖는 고정부재; 상기 피스톤을 일방으로 밀기위한 누름돌출부가 내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하측면에 관통된 오일통로B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둘레면의 나사부에 체결되기 위한 나사부가 내측둘레면에 형성된 연결 플레이트A;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A의 누름돌출부의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한 또 다른 연결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하측면에 오일이 관통하는 오일통로C가 형성된 연결 플레이트 B;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B의 하측으로 연결되고,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엔진 오일 드레인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드레인 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드레인 장치의 연결을 보인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드레인 장치에 콕크마개가 연결된 것을 보인 결합단면도로써, 본 고안의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는 오일팬(20)의 오일유출구(21)에 항상 삽입되어 지지되어 있는 고정부재(30)와, 상기 고정부재(30)의 외측으로 체결되어 연결되기 위한 플레이트A(40)와, 그 하측으로 연결되는 또 다른 연결 플레이트B(50)를 연결하고 그 하측으로 배출호스(60)와 연결되어 오일팬(20)에 내장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오일교환이 필요없는 평상시에는 별도의 플라스틱재질의 콕크마개(80)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재(30)의 하측에 코킹함으로써 오일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일팬(20)의 오일유출구(21)에 압입 형성되는 고정부재(30)는 탄성고무재로 형성되며, 그 일측 외둘레면에 나사부(31)와, 오일팬(20)에서 오일을 유출하기 위한 오일통로A(33)가 관통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압축스프링(39)과 연결된 피스톤(37)이 내설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일통로A(33)와 나사부(31)가 형성되는 사이에는 오일유출구(21)와 고정부재(30)의 연결면 사이에서 오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용 고무링(70)이 연결 형성되는 것이며 또한, 고정부재(30)의 하측에는 오일이 유출되고 상기 콕크마개(8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35)가 형성된다.
한편, 연결 플레이트A(40)는 내측으로 공간부(46)를 갖고 그 하측 중앙부에서 상부로 돌출되고 그 돌출되는 내부에 소공간부(43)를 갖는 누름돌출부(41)가 형성되며, 상기 누름돌출부(41)가 형성되는 하측면에는 오일이 통과되기 위한 오일통로B(45)가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 플레이트A(40)의 공간부(46)의 내츨 둘레면에는 상기 고정부재(30)의 나사부(31)에 체결되기 위한 내측 나사부(4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A(40)의 누름돌출부(41)의 소공간부(43)로 삽입되기 위한 또 다른 연결 돌출부(51)를 갖는 연결 플레이트B(50)가 형성되는 데, 상기 연결 플레이트B(50)의 하측면에도 오일을 통과시키기 위한 오일통로C(53)가 관통되어 형성된다.
한편, 연결 플레이트B(50)의 하측으로는 오일을 외부로 유출하기 위한 배출호스(60)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A(40)와 B(50)사이에도 오일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실링용 고무링(70)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엔진 오일 드레인 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로 오일팬(20)에 들어있는 오일을 교환할 시에는 항상 고정되는 고정부재(30)의 하측면 삽입구(35)에 코킹된 콕크마개(80)를 일시 탈거한 후, 그 삽입구(35)의 하측으로 배출호스(60)와 연결된 연결 플레이트A(40)와 B(50)를 밀면서 연결하게 되면, 상기 연결 플레이트A(40)에 돌출 형성된 누름돌출부(41)가 상기 고정부재(30)내의 피스톤(37)면을 밀게되고 고정부재(30)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부(31)와 연결 플레이트A(40)의 내측면에 형성된 내측 나사부(47)가 체결함과 동시에 점점더 상부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누름돌출부(41)가 피스톤(37)을 점점 더 밀고 들어가서 상기 오일통로A(33)가 형성된 경계면을 지나면 오일팬(20)에 있던 오일이 오일통로A(33)로 유출되어 상기 삽입구(35)와 오일통로B(45)와 C(53)를 통과하여 배출호스(60)를 거쳐 외부로 오일이 오일팬(20)에서 방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오일 교환 후, 고정부재(30)의 삽입구(35)에 다시 콕크마개(80)를 코킹함으로써 오일교환작업을 끝마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플라스틱 재질의 콕크마개(80)를 코킹하는 것은 차량 운행시에 바닥면에서 위로 튀어오르는 불순물들로부터 상기 피스톤(37)이 위로 상승하여 오일이 순간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하는 데 이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는 오일 교환시 주위의 청결을 유지하면서도 오일팬에서 오일을 용이하게 교환하도록 하는 것이며, 또한, 차량운행시에는 오일팬에서의 오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1. 차량의 엔진오일을 배출시키는 위한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에 있어서:
    일측 둘레면에 오일이 유출되기 위한 오일통로A가 관통되고, 그 둘레면의 타측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그 내측으로 압축스프링과 연결된 피스톤을 갖는 고정부재;
    상기 피스톤을 일방으로 밀기위한 누름돌출부가 내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하측면에 관통된 오일통로B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둘레면의 나사부에 체결되기 위한 나사부가 내측둘레면에 형성된 연결 플레이트A;
    상기 연결 플레이트A의 누름돌출부의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한 또 다른 연결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하측면에 오일이 관통하는 오일통로C가 형성된 연결 플레이트B;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B의 하측으로 연결되고,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를 제공하게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하측에 형성된 삽입구에 코킹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콕크마개가 압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돌출부의 내부에 소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소공간부로 연결 플레이트B에 형성된 또 다른 연결 돌출부가 삽입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팬의 오일 유출구의 둘레면과 연결되는 고정부재의 일측둘레면에 실링용 고무링이 연결되어 그 연결부위가 압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A와 B 사이의 연결부상에 또 다른 실링용 고무링이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
KR2019970044622U 1997-12-31 1997-12-31 차량의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 KR199900318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622U KR19990031877U (ko) 1997-12-31 1997-12-31 차량의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622U KR19990031877U (ko) 1997-12-31 1997-12-31 차량의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877U true KR19990031877U (ko) 1999-07-26

Family

ID=6968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622U KR19990031877U (ko) 1997-12-31 1997-12-31 차량의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187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272B1 (ko) 2008-05-20 2010-09-06 현대로템 주식회사 오일주입구 마개 및 이에 사용되는 오일주입 어댑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272B1 (ko) 2008-05-20 2010-09-06 현대로템 주식회사 오일주입구 마개 및 이에 사용되는 오일주입 어댑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0318B1 (en) Sealed container
US8119001B2 (en) Exchangeable oil filter with spring-operated pin for drainage
CA2168998A1 (en) Drain valve assembly
KR970032964A (ko)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
KR19990031877U (ko) 차량의 엔진오일 드레인 장치
KR20200042726A (ko) 차량용 오일필터 체결기구
JPS638528Y2 (ko)
JP2501557Y2 (ja) 点火プラグのシ―ル構造
US20030075496A1 (en) Reciprocating cone anti-drainback apparatus
KR101696546B1 (ko) 오일 드레인 플러그
JP2861830B2 (ja) ドレン構造
KR200237694Y1 (ko) 엔진오일배출장치
KR19990039486A (ko) 엔진 오일 팬의 오일 배출 장치
KR200275572Y1 (ko) 차량용 엔진 오일 여과기 드레인 밸브
JPH0660709U (ja) エンジンのオイル交換装置
KR100313024B1 (ko) 유체 디스펜서
JPH0960076A (ja) 水張り試験が可能な排水トラップ
JPH11278240A (ja) 作動液リザーバ
JPS638407Y2 (ko)
US7398857B2 (en) Holding tank drain plug
RU21805U1 (ru) Система смазки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H0243307Y2 (ko)
KR100655517B1 (ko) 액체주출용 뚜껑의 밀폐 구조
JPS6098Y2 (ja) 流体ろ過装置
JPH053696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