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546B1 - 오일 드레인 플러그 - Google Patents

오일 드레인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546B1
KR101696546B1 KR1020150087863A KR20150087863A KR101696546B1 KR 101696546 B1 KR101696546 B1 KR 101696546B1 KR 1020150087863 A KR1020150087863 A KR 1020150087863A KR 20150087863 A KR20150087863 A KR 20150087863A KR 101696546 B1 KR101696546 B1 KR 101696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hole
oil
circumferential surfac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9947A (ko
Inventor
이종천
여태은
이종식
Original Assignee
이종천
여태은
이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천, 여태은, 이종식 filed Critical 이종천
Priority to KR1020150087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546B1/ko
Publication of KR20160149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08Sump drainage devices, e.g. valves,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8Lubric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08Exchange, draining or filling of transmission lubri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08Sump drainage devices, e.g. valves, plugs
    • F01M2011/0416Plugs
    • F01M2011/0425Plugs with a device facilitating the change of 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 드레인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하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홀을 구비하고, 외주면이 오일 저장유닛의 배출공과 볼트결합되는 가이드 볼트; 내주면 단차를 갖고 내부 관통되는 오일 배출홀을 구비하고, 볼트머리 상부의 외주면 하측에서 관통홀의 하부 내주면과 볼트체결되며 관통홀을 관통하여 오일 저장유닛의 내부로 삽입되고, 관통홀과의 볼트체결 해제 후 관통홀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드레인 볼트; 오일 배출홀에 삽입되며 오일 배출홀의 내주면 단차에 따라 드레인 볼트의 볼트체결 시 오일 배출홀을 차단하고 드레인 볼트의 슬라이딩 하향 이동 시 오일 배출홀을 오픈시키는 개폐 샤프트; 및 일단이 가이드 볼트의 상부 측과 결합되고 타단이 개폐 샤프트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개폐 샤프트를 지지하는 샤프트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가 제안된다.

Description

오일 드레인 플러그{OIL DRAIN PLUG}
본 발명은 오일 드레인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오일 팬 등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서도 오일 팬 등에 남은 오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오일 드레인 플러그는 트랜스미션, 엔진, 압축기 등의 언더커버나 오일 팬의 가장 아랫부분에 뚫린 배출공(드레인 홀)을 막는 플러그이다. 오일 교환 시나 수리 시 플러그를 해제시켜 오일을 배출시킨다.
예컨대, 오일 팬은 엔진, 압축기 등에 사용되는 윤활유를 저장하는 저장소의 역할을 하며, 이러한 오일팬에 저장된 오일은 그 수명이 영구적이지 못하므로 주기적으로 교환을 해야 한다. 이때, 오일 교환의 일반적인 방법은 엔진의 최하부에 위치한 오일 드레인 플러그를 배출공으로부터 빼내어 기존 오일을 모두 배출시킨 후 상부에서 새 오일을 주입한다.
즉, 종래에는 오일 팬 등의 오일 저장유닛의 바닥면의 배출공에 설치된 오일 드레인 플러그를 분리/탈거하여 오일 팬 등의 배출공으로부터 오일을 배출시켜 오일을 교환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3547호(2007. 12. 07. 공고)
하지만, 종래의 경우, 오일 드레인 플러그를 오일 팬 등으로부터 분리/탈거하는 순간 내부의 오일이 쏟아져 배출되므로 작업자의 손 등에 오일이 묻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일 팬 등의 오일 저장유닛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서도 오일 팬 등의 오일 저장유닛에 남은 오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하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홀을 구비하고, 외주면이 오일 저장유닛의 배출공과 볼트결합되는 가이드 볼트; 내주면 단차를 갖고 내부 관통되는 오일 배출홀을 구비하고, 볼트머리 상부의 외주면 하측에서 관통홀의 하부 내주면과 볼트체결되며 관통홀을 관통하여 오일 저장유닛의 내부로 삽입되고, 관통홀과의 볼트체결 해제 후 관통홀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드레인 볼트; 오일 배출홀에 삽입되며 오일 배출홀의 내주면 단차에 따라 드레인 볼트의 볼트체결 시 오일 배출홀을 차단하고 드레인 볼트의 슬라이딩 하향 이동 시 오일 배출홀을 오픈시키는 개폐 샤프트; 및 일단이 가이드 볼트의 상부 측과 결합되고 타단이 개폐 샤프트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개폐 샤프트를 지지하는 샤프트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가 제안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드레인 볼트는, 외주면 상단부에 형성되며 슬라이딩 하향 이동의 범위를 제한하는 스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스톱부재는 드레인 볼트의 외주면 상단부 둘레에 형성된 제3 링홈에 끼워진 스냅링이고, 스냅링은 슬라이딩 하향 이동의 범위 내 최대 하향 이동 시 관통홀의 상단 또는 내주면 단차에 의한 내부 단턱에 걸린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드레인 볼트는 볼트머리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호스 연결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가이드 볼트의 상단 높이는 배출공과의 최대 볼트결합 시 오일 저장유닛의 바닥면과 일치하거나 바닥면보다 낮게 형성되고, 드레인 볼트의 상단 높이는 관통홀을 따라 최대 슬라이딩 하향 이동 시 가이드 볼트의 상단 높이와 일치하거나 낮게 형성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샤프트 지지대는, 가이드 볼트의 관통홀의 상부 내주면 또는 가이드 볼트의 상부 외주면과 나사결합되는 원통링형 체결부, 개폐 샤프트의 상단부 둘레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홈 끼움부 및 원통링형 체결부와 고정홈 끼움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지지대를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관통홀의 내주면에 제1 링홈이 형성되고, 제1 링홈에 끼워진 제1 오링에 의해 관통홀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드레인 볼트의 외주면과 관통홀의 내주면 사이가 밀폐되고, 개폐 샤프트는 중간부 직경보다 큰 직경의 하단부 둘레에 형성된 제2 링홈을 구비하고, 관통홀의 하부 내주면과의 볼트체결 구간에서의 드레인 볼트의 상하 이동 동안 제2 링홈에 끼워진 제2 오링에 의해 오일 배출홀의 내주면 단차에 의한 작은 직경의 하부 내주면과 개폐 샤프트의 하단부 사이가 밀폐되고, 볼트체결 구간에서의 드레인 볼트의 최대 하향 이동 후 드레인 볼트의 슬라이딩 하향 당겨짐에 따라 개폐 샤프트의 하단부가 오일 배출홀의 내주면 단차에 의한 큰 직경의 상부 구간에 배치되며 제2 오링에 의한 밀폐가 해제된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가이드 볼트의 외주면 하부에서 수평 돌출된 볼트머리와 배출공의 주변 사이에 제1 가스켓이 설치되고, 드레인 볼트의 볼트머리의 둘레 상면과 가이드 볼트의 볼트머리의 하면 사이에 제2 가스켓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오일 팬 등의 오일 저장유닛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서도 오일 팬 등의 오일 저장유닛에 남은 오일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오일 빼기 동작 시 오일 드레인 플러그를 전부 분리/탈거시키지 않고, 가이드 볼트로부터 드레인 볼트의 볼트결합을 해제시킨 후 드레인 볼트를 슬라이딩으로 당겨 오일 배출홀을 통해 오일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오일 배출 시 오일이 손에 묻는 것을 방지 내지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드레인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오일 드레인 플러그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도 1에 따른 오일 드레인 플러그에 의한 오일 저장유닛의 배출공 막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1에 따른 오일 드레인 플러그의 드레인 볼트가 가이드 볼트와의 볼트체결이 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1에 따른 오일 드레인 플러그의 드레인 볼트가 가이드 볼트의 관통홀을 따라 최대 범위로 슬라이딩 하향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드레인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오일 드레인 플러그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배치 관계에서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에', '위에', '하부에', '아래에' 등의 '접촉'의 의미를 내포할 수 있는 용어들이 포함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들은 기준이 되는 요소가 뒤집어지거나 그의 방향이 바뀌는 경우 그에 따른 대응되는 상대적인 방향 개념을 내포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비록 단수적 표현이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발명의 개념에 반하거나 명백히 다르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의 기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써, 모양, 크기, 두께 등은 기술적 특징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게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모습에 따른 오일 드레인 플러그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참조되는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에서의 도면부호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드레인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오일 드레인 플러그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a는 도 1에 따른 오일 드레인 플러그에 의한 오일 저장유닛의 배출공 막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1에 따른 오일 드레인 플러그의 드레인 볼트가 가이드 볼트와의 볼트체결이 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c는 도 1에 따른 오일 드레인 플러그의 드레인 볼트가 가이드 볼트의 관통홀을 따라 최대 범위로 슬라이딩 하향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드레인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절단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오일 드레인 플러그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오일 드레인 플러그는 가이드 볼트(10), 드레인 볼트(30), 개폐 샤프트(50) 및 샤프트 지지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오일 드레인 플러그는 오일 팬 등의 오일 저장유닛(1)의 배출공에 체결되고, 오일 팬 등의 오일 저장유닛(1)으로부터 오일을 배출해내는 통로가 된다. 예컨대, 오일 드레인 플러그는 각종 트랜스미션, 엔진이나 압축기 등 다양한 제품분야에서 오일 저장유닛(1)으로부터 오일을 배출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오일 저장유닛(1)은 엔진의 오일 팬, 자동 변속기의 오일 팬, 변속기 및 종감속 기어 장치 등 오일을 저장하는 부분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예에 따른 오일 드레인 플러그는 종래와 달리 오일 팬 등의 오일 저장유닛(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오일을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 및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에 따른 오일 드레인 플러그는 도면에 개시된 분리 상태에서, 드레인 볼트(30)를 가이드 볼트(10)의 관통홀(11)과 볼트결합(나사결합)시켜 체결시키고 드레인 볼트(30)의 오일 배출홀(31) 내부로 개폐 샤프트(50)가 삽입되도록 개폐 샤프트(50)와 샤프트 지지대(70) 조립체를 조립/결합시켜 오일 드레인 플러그를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오일 드레인 플러그가 오일 팬 등의 오일 저장유닛(1)의 바닥면과 수직하게 체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오일 드레인 플레그가 오일 팬 등의 오일 저장유닛(1)의 바닥 측면에 형성되어 바닥면과 수평 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체결될 수도 있고, 오일 팬 등의 오일 저장유닛(1)의 바닥면과도 수평방향으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예에 따른 오일 드레인 플러그의 각 구성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가이드 볼트(10)를 살펴본다. 가이드 볼트(10)는 오일 팬 등의 오일 저장유닛(1)의 배출공에 직접 체결되는 부분이다. 가이드 볼트(10)는 외주면이 오일 팬 등의 오일 저장유닛(1)의 배출공과 볼트결합된다. 즉, 가이드 볼트(10)의 외주면에는 외주면 나사산(12)이 형성되어 오일 저장유닛(1)의 배출공과 볼트결합(나사결합)된다. 이때, 오일 팬 등의 오일 저장유닛(1)의 배출공으로부터 가이드 볼트(10)를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다음에 설명되는 드레인 볼트(30)를 하향 이동시켜 오일 저장유닛(1) 내부의 오일을 배출시킬 수 있다.
가이드 볼트(10)는 관통홀(11)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관통홀(11)의 하부 내주면에 나사산(11c)이 형성된다. 하부 내주면 나사산(11c)에는 드레인 볼트(30)의 하부 외주면 나사산(32)이 볼트결합(나사결합)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가이드 볼트(10)의 상단 높이는 오일 팬 등의 오일 저장유닛(1)의 배출공과의 최대 볼트결합 시 오일 저장유닛(1)의 바닥면과 일치하거나 바닥면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오일 팬 등의 오일 저장유닛(1)의 바닥에 남은 오일들을 배출시키는데 있어서, 가이드 볼트(10)가 장애가 되지 않는다.
하나의 예에서, 가이드 볼트(10)의 관통홀(11)은 상부 내주면과 하부 내주면의 단차에 의해 형성된 내주면 단턱(11b)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11)의 내주면 단턱(11b)은 관통홀(11)에 삽입된 드레인 볼트(30)의 슬라이딩 하향 이동의 최대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예컨대, 드레인 볼트(30)의 슬라이딩 하향 이동 시, 드레인 볼트(30)의 스톱부재, 예컨대 스냅링(37)이 관통홀(11)의 내주면 단턱(11b)에 걸리며 슬라이딩 하향 이동의 최대범위가 제한된다. 다른 예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관통홀(11)에 내주면 단턱(11b)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드레인 볼트(30)의 스톱부재, 예컨대 스냅링(37)은 관통홀(11)의 상단에 걸리며 슬라이딩 하향 이동의 최대범위가 제한될 수도 있다.
예컨대, 관통홀(11)에 내주면 단턱(11b)이 형성된 경우, 큰 직경을 갖는 관통홀(11) 상부 내주면에 나사산(11d)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샤프트 지지대(70)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관통홀(11)의 상부 내주면에 샤프트 지지대(70)가 나사결합(볼트결합)되는 경우 샤프트 지지대(70)의 내측 직경보다 관통홀(11)의 하부 내주면 직경이 작도록 한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관통홀(11)의 상부 내주면 나사산(11d) 대신에 가이드 볼트(10)의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가이드 볼트(10)의 상부 외주면 나사산(도시되지 않음)에 샤프트 지지대(70)의 내측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 지지대(70)가 가이드 볼트(10)의 상부 외주면 나사산(도시되지 않음)에 나사결합되는 경우 가이드 볼트(10)의 외주면은 단차가 형성되고 샤프트 지지대(70)의 외경이 가이드 볼트(10)의 하부 외주면과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볼트(10)의 상부 외주면 나사산(도시되지 않음) 부위에 대응하는 샤프트 지지대(70)의 외주면에 나사산(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가이드 볼트(10)의 하부 외주면 나사산(12)과 함께 오일 팬 등의 오일 저장유닛(1)의 배출공에 볼트결합(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가이드 볼트(10)의 관통홀(11)의 내주면에 제1 링홈(11a)이 형성된다. 이때, 제1 링홈(11a)에 끼워진 제1 오링(21)에 의해 관통홀(11)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드레인 볼트(30)의 외주면과 관통홀(11)의 내주면 사이가 밀폐될 수 있다.
계속하여, 하나의 예에서, 가이드 볼트(10)는 외주면 하부에서 수평 돌출된 볼트머리(13)를 구비한다. 예컨대, 이때, 가이드 볼트(10)의 볼트머리(13)의 돌출부분 둘레 상면과 오일 저장유닛(1)의 배출공의 주변의 하면 사이에 제1 가스켓(14)이 설치되며, 가이드 볼트(10)와 오일 저장유닛(1)의 배출공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드레인 볼트(30)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드레인 볼트(30)는 가이드 볼트(10)의 관통홀(11)에 삽입된다. 이때, 드레인 볼트(30)는 관통홀(11)의 하부 내주면과 볼트체결되며 관통홀(11)을 관통하여 오일 팬 등의 오일 저장유닛(1)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관통홀(11) 하부 내주면은 드레인 볼트(30)의 하부 외주면과 볼트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관통홀(11) 하부 내주면과의 볼트체결 부위인 드레인 볼트(30)의 하부 외주면은 드레인 볼트(30)의 볼트머리(34)의 상측에 위치된다. 한편, 드레인 볼트(30)는 관통홀(11)과의 볼트체결 해제 후 관통홀(11)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관통홀(11)과의 볼트체결 해제 후, 드레인 볼트(30)의 외주면이 관통홀(11)의 내주면 단차에 의한 하부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드레인 볼트(30)의 하부 외주면과 관통홀(11)의 하부 내주면 사이의 볼트결합 부위의 직경이 하부 내주면의 슬라이딩 부위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원활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관통홀(11)의 하부 내주면의 슬라이딩 부위는 관통홀(11)의 하부 내주면의 볼트결합부위 보다 상측에 형성되고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원활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드레인 볼트(30)를 살펴보면, 드레인 볼트(30)는 오일 배출홀(31)을 구비한다. 오일 배출홀(31)은 내주면 단차를 갖고 내부 관통된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드레인 볼트(30)의 상단 높이는 관통홀(11)을 따라 최대 슬라이딩 하향 이동 시 가이드 볼트(10)의 상단 높이와 일치하거나 낮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오일 팬 등의 오일 저장유닛(1)의 내부의 오일이 드레인 볼트(30)의 오일 배출홀(31)을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컨대, 관통홀(11)에 내주면 단턱(11b)이 형성된 경우, 드레인 볼트(30)의 상단 둘레는 주위보다 낮은 높이의 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되, 드레인 볼트(30)의 최대 슬라이딩 하향 이동 시의 드레인 볼트(30)의 상단 둘레의 홈(도시되지 않음)의 높이가 관통홀(11)의 내주면 단턱(11b) 높이보다 낮거나 적어도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일 팬 등의 오일 저장유닛(1)의 내부에서 가이드 볼트(10)의 관통홀(11)로 유입되는 오일이 내주면 단턱(11b)보다 낮거나 적어도 동일한 높이의 드레인 볼트(30)의 상단 둘레의 홈(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오일 배출홀(31)로 배출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드레인 볼트(30)는 스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톱부재는 드레인 볼트(30)의 외주면 상단부에 형성되며, 드레인 볼트(30)의 슬라이딩 하향 이동의 범위를 제한한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스톱부재는 드레인 볼트(30)의 외주면 상단부 둘레에 형성된 제3 링홈(33a)에 끼워진 스냅링(37)일 수 있다. 이때, 스냅링(37)은 슬라이딩 하향 이동의 범위 내 최대 하향 이동 시 관통홀(11)의 상단 또는 내주면 단차에 의한 내부 단턱(11b)에 걸린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톱부재는 드레인 볼트(30)의 외주면 상단부 둘레에서 수평으로 돌출형성된 돌기일 수 있다.
또한, 도 4 및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드레인 볼트(30)는 볼트머리(34)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호스 연결구(3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호스 연결구(36)는 오일 팬으로부터 오일 배출 시 오일이 작업자의 손 등에 묻지 않도록, 가이드 볼트(10)의 관통홀(11)에 볼트체결(나사결합)된 드레인 볼트(30)를 풀고 나서 호스 연결구(36)에 호스를 연결하고 드레인 볼트(30)의 볼트머리(34)를 하향으로 당겨 빼면 오일 배출홀(31)이 개방되며 오일 팬 내의 오일이 배출된다.
또 하나의 예에서, 드레인 볼트(30)의 볼트머리(34)의 둘레 상면과 가이드 볼트(10)의 볼트머리(13)의 하면 사이에 제2 가스켓(35)이 설치되며, 이에 따라 예컨대 관통홀(11)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제1 오링(21)과 별도로 추가적으로 가이드 볼트(10)와 드레인 볼트(30) 사이를 더 밀폐시킬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개폐 샤프트(50)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개폐 샤프트(50)는 드레인 볼트(30)의 오일 배출홀(31)에 삽입된다. 개폐 샤프트(50)는 오일 배출홀(31)의 내주면 단차에 따라 드레인 볼트(30)의 관통홀(11)과의 볼트체결 시 오일 배출홀(31)을 차단하고, 관통홀(11)에서의 드레인 볼트(30)의 슬라이딩 하향 이동 시 오일 배출홀(31)을 오픈시킨다. 즉, 드레인 볼트(30)의 오일 배출홀(31)은 내주면 단차에 의해 하부 배출홀(31a)의 직경이 연통된 상부 배출홀(31b)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작은 직경의 하부 배출홀(31a)에서는 하부 배출홀(31a)을 밀폐시키고 직경이 큰 상부 배출홀(31b)에서는 밀폐가 해제됨으로써 오일 배출홀(31)을 따라 오일 팬 등 오일 저장유닛(1) 내의 오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개폐 샤프트(50)의 하단부(51) 둘레에 밀폐링, 즉 제2 오링(23)이 구비되어, 작은 직경의 하부 배출홀(31a)에서 하부 배출홀(31a)을 밀폐시킬 수 있다. 이때, 개폐 샤프트(50)의 중간부 직경은 하단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개폐 샤프트(50)의 중간부 직경보다 큰 직경의 하단부(51) 둘레에 형성된 제2 링홈(51a)을 구비하고, 제2 링홈(51a)에 끼워진 제2 오링(23)에 의해 오일 배출홀(31)의 내주면 단차에 의한 작은 직경의 하부 배출홀(31a)의 내주면과 개폐 샤프트(50)의 하단부(51) 사이가 밀폐될 수 있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개폐 샤프트(50)의 하단부(51)와 오일 배출홀(31)의 내주면 단차에 의한 작은 직경의 하부 내주면 사이의 밀폐는 드레인 볼트(30)와 관통홀(11)의 하부 내주면과의 볼트체결 구간에서의 드레인 볼트(30)의 상하 이동 구간에서 이루어진다. 예컨대, 도 3c를 참조하면, 드레인 볼트(30)와 관통홀(11)의 하부 내주면과의 볼트체결 구간에서의 드레인 볼트(30)의 최대 하향 이동 후, 드레인 볼트(30)를 하향으로 당기는 경우, 즉 드레인 볼트(30)의 슬라이딩 하향 당겨짐에 따라, 개폐 샤프트(50)의 하단부(51)가 오일 배출홀(31)의 내주면 단차에 의한 큰 직경의 상부 구간에 배치되며 제2 오링(23)에 의한 밀폐가 해제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샤프트 지지대(70)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샤프트 지지대(70)는 일단이 가이드 볼트(10)의 상부 측과 결합되고 타단이 개폐 샤프트(50)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개폐 샤프트(50)를 지지한다. 샤프트 지지대(70)는 개폐 샤프트(50)를 지지하여 고정시켜, 드레인 볼트(30)의 관통홀(11)에서의 슬라이딩 하강 시 고정된 개폐 샤프트(50)의 하단부(51)가 오일 배출홀(31)의 하부 배출홀(31a)에서 빠지도록 한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샤프트 지지대(70)는 원통링형 체결부(71), 고정홈 끼움부(75) 및 다수의 연결 지지대(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원통링형 체결부(71)는 가이드 볼트(10)의 관통홀(11)의 상부 내주면 또는 가이드 볼트(10)의 상부 외주면과 나사결합된다. 예컨대, 원통링형 체결부(71)의 외주면에 나사산(71a)이 형성되어 가이드 볼트(10)의 관통홀(11)의 상부 내주면 나사산(11d)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고정홈 끼움부(75)는 개폐 샤프트(50)의 상단부 둘레에 형성된 고정홈(53a)에 끼워진다. 다수의 연결지지대(73)는 원통링형 체결부(71)와 고정홈 끼움부(75)를 연결한다. 이때, 다수의 연결지지대(73) 사이 공간으로 통해 오일 팬 등 오일 저장유닛(1) 내의 오일이 오일 배출홀(3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성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이 앞선 구체적인 설명들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1: 오일 저장유닛 10: 가이드 볼트
11: 관통홀 11a, 33a, 51a: 링홈
11b: 내주면 단턱 11c: 하부 내주면 나사산
11d: 상부 내주면 나사산 12: 외주면 나사산
13, 34: 볼트머리 14, 35: 가스켓
21, 23: 오링 30: 드레인 볼트
31: 오일 배출홀 32: 하부 외주면 나사산
36: 호스 연결구 37: 스냅링
50: 개폐 샤프트 51: 하단부
53a: 고정홈 70: 샤프트 지지대
71: 원통링형 체결부 73: 연결 지지대
75: 고정홈 끼움부

Claims (8)

  1. 하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홀을 구비하고, 외주면이 오일 저장유닛의 배출공과 볼트결합되는 가이드 볼트;
    내주면 단차를 갖고 내부 관통되는 오일 배출홀을 구비하고, 볼트머리 상부의 외주면 하측에서 상기 관통홀의 하부 내주면과 볼트체결되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오일 저장유닛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관통홀과의 볼트체결 해제 후 상기 관통홀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드레인 볼트;
    상기 오일 배출홀에 삽입되며 상기 오일 배출홀의 내주면 단차에 따라 상기 드레인 볼트의 볼트체결 시 상기 오일 배출홀을 차단하고 상기 드레인 볼트의 슬라이딩 하향 이동 시 상기 오일 배출홀을 오픈시키는 개폐 샤프트; 및
    일단이 상기 가이드 볼트의 상부 측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개폐 샤프트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개폐 샤프트를 지지하는 샤프트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
  2. 청구항 1에서,
    상기 드레인 볼트는, 외주면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하향 이동의 범위를 제한하는 스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
  3. 청구항 2에서,
    상기 스톱부재는 상기 드레인 볼트의 외주면 상단부 둘레에 형성된 제3 링홈에 끼워진 스냅링이고,
    상기 스냅링은 상기 슬라이딩 하향 이동의 범위 내 최대 하향 이동 시 상기 관통홀의 상단 또는 내주면 단차에 의한 내부 단턱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
  4. 청구항 1에서,
    상기 드레인 볼트는 상기 볼트머리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호스 연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
  5.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가이드 볼트의 상단 높이는 상기 배출공과의 최대 볼트결합 시 상기 오일 저장유닛의 바닥면과 일치하거나 상기 바닥면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볼트의 상단 높이는 상기 관통홀을 따라 최대 슬라이딩 하향 이동 시 상기 가이드 볼트의 상단 높이와 일치하거나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
  6. 청구항 5에서,
    상기 샤프트 지지대는, 상기 가이드 볼트의 상기 관통홀의 상부 내주면 또는 상기 가이드 볼트의 상부 외주면과 나사결합되는 원통링형 체결부, 상기 개폐 샤프트의 상단부 둘레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홈 끼움부 및 상기 원통링형 체결부와 상기 고정홈 끼움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
  7. 청구항 5에서,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 제1 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링홈에 끼워진 제1 오링에 의해 상기 관통홀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상기 드레인 볼트의 외주면과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 사이가 밀폐되고,
    상기 개폐 샤프트는 중간부 직경보다 큰 직경의 하단부 둘레에 형성된 제2 링홈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홀의 하부 내주면과의 볼트체결 구간에서의 상기 드레인 볼트의 상하 이동 동안 상기 제2 링홈에 끼워진 제2 오링에 의해 상기 오일 배출홀의 내주면 단차에 의한 작은 직경의 하부 내주면과 상기 개폐 샤프트의 하단부 사이가 밀폐되고,
    상기 볼트체결 구간에서의 상기 드레인 볼트의 최대 하향 이동 후 상기 드레인 볼트의 슬라이딩 하향 당겨짐에 따라 상기 개폐 샤프트의 하단부가 상기 오일 배출홀의 내주면 단차에 의한 큰 직경의 상부 구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오링에 의한 밀폐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
  8. 청구항 7에서,
    상기 가이드 볼트의 외주면 하부에서 수평 돌출된 볼트머리와 상기 배출공의 주변 사이에 제1 가스켓이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 볼트의 볼트머리의 둘레 상면과 상기 가이드 볼트의 볼트머리의 하면 사이에 제2 가스켓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
KR1020150087863A 2015-06-19 2015-06-19 오일 드레인 플러그 KR101696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863A KR101696546B1 (ko) 2015-06-19 2015-06-19 오일 드레인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863A KR101696546B1 (ko) 2015-06-19 2015-06-19 오일 드레인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947A KR20160149947A (ko) 2016-12-28
KR101696546B1 true KR101696546B1 (ko) 2017-01-16

Family

ID=57724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863A KR101696546B1 (ko) 2015-06-19 2015-06-19 오일 드레인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5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52521B (zh) * 2017-07-20 2019-04-05 浙江海洋大学 一种汽车变速箱接油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590B1 (ko) 2007-03-12 2008-03-13 주식회사 동우 오일필터용 드레인밸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8386A (en) * 1993-03-19 1995-11-21 Ing. Walter Hengst Gmbh & Co. Kg Filter assembly and preassembled drain valve unit therefor
KR100783547B1 (ko) 2006-12-14 2007-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일팬용 드레인 플러그
KR101251483B1 (ko) * 2007-07-18 2013-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일 필터의 드레인 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590B1 (ko) 2007-03-12 2008-03-13 주식회사 동우 오일필터용 드레인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947A (ko)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3085B2 (en) Oil sump having oil filter
US11167227B2 (en) Filtering assembly comprising a filter cartridge
JP4726957B2 (ja) オイルフィルタシステム
US20130270162A1 (en) Liquid filter having a filter bypass valve and filter insert therefor
US20180161703A1 (en) Filter element
US20090078629A1 (en) Exchangeable Oil Filter With Spring-Operated Pin For Drainage
KR101696546B1 (ko) 오일 드레인 플러그
US8940165B2 (en) Oil-filter device
CN206655727U (zh) 放油阀
KR102399775B1 (ko) 유체 필터용 배출 장치
JP2007218385A (ja) オイル量調整装置
JP4351747B2 (ja) エンジンのオイル抜き用プラグ
JP2007291939A (ja) オイルフィルタ
JP2003510174A (ja) ドレン流出口を備えたフィルターアセンブリ
US20140008282A1 (en) Oil filter and filter element
US9579594B2 (en) External filter seal
US11986753B2 (en) Sealing systems and methods for a filtration system
JP5270471B2 (ja) オイルパン
KR20200042726A (ko) 차량용 오일필터 체결기구
EP2796179B1 (en) Cartridge for filtering liquids
KR102244868B1 (ko) 차량용 엔진오일 필터 조립체
CN103591339A (zh) 止回阀
US8246825B2 (en) Horizontal filter stage with simultaneous venting and draining
JP2017537271A (ja) 排液コネクタ
KR200427621Y1 (ko) 세면대 배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