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647U - 스트러트 어셈블리 인슐레이터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스트러트 어셈블리 인슐레이터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647U
KR19990031647U KR2019970044392U KR19970044392U KR19990031647U KR 19990031647 U KR19990031647 U KR 19990031647U KR 2019970044392 U KR2019970044392 U KR 2019970044392U KR 19970044392 U KR19970044392 U KR 19970044392U KR 19990031647 U KR19990031647 U KR 199900316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mounting structure
strut assembly
body panel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형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4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1647U/ko
Publication of KR199900316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647U/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맥퍼슨 스트러트 형식의 프론트 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정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외력에 의한 진동의 절연에도 기여할 수 있는 인슐레이터의 장착구조를 개선하기 위하여 차체 패널에 차량의 전방측으로 인슐레이터 장착을 가변하는 조정 체결부의 조정수단과,
상기 조정수단의 후방측으로 인슐레이터를 좌,우에서 진동을 감쇄하면서 체결할 수 있게 차체 패널에 설치한 부시 마운트의 장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트러트 어셈블리 인슐레이터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스트러트 어셈블리 인슐레이터의 장착구조
본 고안은 스트러트 어셈블리 인슐레이터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맥퍼슨 스트러트 형식의 프론트 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정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외력에 의한 진동의 절연에도 기여할 수 있는 인슐레이터의 장착구조를 개선한 스트러트 어셈블리 인슐레이터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4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트러트 어셈블리의 장착을 도시한 도면으로, 스트러트 어셈블리(2)는 엔진룸의 차체 패널(4)에 3점의 포인트에서 인슐레이터(6)를 볼트(8)로 체결하여 차체를 지지하고 있다.
볼트(8)의 체결은 엔진룸측으로 1점의 체결 포인트(a)를 형성하고, 전,후측으로 각각 제2,3(b)(c)포인트를 형성하여 체결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스트러트 어셈블리의 인슐레이터를 볼트로 한번 체결한 후 캐스터각이 설계와 다르게 나타날 경우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스트러트 어셈블리를 통해 노면으로부터 전달된 외력이 인슐레이터를 차체에 체결하고 있는 볼트를 거쳐 전달되어 승차감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맥퍼슨 스트러트 형식의 프론트 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정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외력에 의한 진동의 절연에도 기여할 수 있는 인슐레이터의 장착구조를 개선한 스트러트 어셈블리 인슐레이터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인 스트러트 어셈블리 인슐레이터 장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A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3은 도1의 A-A를 도시한 도면.
도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트러트 어셈블리의 장착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차체 패널 22:인슐레이터 24:조정 체결부
26:부시 마운트 30:외측 플레이트 32:인슐레이터 체결부
34:차체 체결부 36:조정 스크류 38:차체 체결부
40:홀더 브라켓트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스트러트 어셈블리 인슐레이터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차체 패널에 차량의 전방측으로 인슐레이터 장착을 가변하는 조정 체결부의 조정수단과,
상기 조정수단의 후방측으로 인슐레이터를 좌,우에서 진동을 감쇄하면서 체결할 수 있게 차체 패널에 설치한 부시 마운트의 장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트러트 어셈블리 인슐레이터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은 스트러트 어셈블리의 장착후 설계와 다르게 캐스터각이 나타나면 조정수단의 조정 체결부를 회전시켜 인슐레이터의 중심 포인트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타측의 좌,우에서 인슐레이터를 체결하고 있는 부시 마운트인 장착수단은 고무부시를 개재하고 있어 조정 체결부의 조정에 의한 변위를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스트러트 어셈블리의 설치 자세에 따른 캐스터각을 쉽게 설계대로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인 스트러트 어셈블리 인슐레이터 장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A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3은 도1의 A-A를 도시한 도면이다.
차체 패널(20)에 차량의 전방측으로 인슐레이터(22) 장착을 가변시키는 조정수단인 조정 체결부(24)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정 체결부(24)의 후방측으로 인슐레이터(22)를 좌,우에서 진동을 감쇄하면서 체결하게 차체 패널(20)에 장착수단인 부시 마운트(26)를 설치한 스트러트 어셈블리 인슐레이터 장착구조(28)를 구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조정 체결부(24)는 인슐레이터(22)의 외측 플레이트(30)의 저면에 부착한 인슐레이터 체결부(32)와, 차체 패널(20)의 차체 체결부(34)와, 이 양자간을 나사결합으로 연결하는 조정 스크류(36)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인슐레이터 체결부(32)와 차체 체결부(34)는 너트(38)를 부착 고정하면서 저면에 부착하는 홀더브라켓트(40)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부시 마운트(26)는 차체 패널(20)에 부착된 외측 파이프(42)와, 볼트(44)가 관통하는 내측 파이프(46)와, 이 내외측 파이프(46)(42)사이에 진동을 절연하는 고무부시(48)를 개재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부시 마운트(26)는 인슐레이터(22)와 차체 패널(20)과의 체결력을 높히기 위하여 볼트(44) 체결시 스프링 와셔(50)를 개재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은 스트러트 어셈블리(52)의 인슐레이터(22)를 차체 패널(20)에 장착후 설계와 다르게 캐스터각(θ)이 나타나면 조정 체결부(24)의 조정 스크류(24)를 회전 방향에 따라 인슐레이터(22)의 중심 포인트(C.P)를 이동할 수 있어 캐스터각을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타측의 좌,우에서 인슐레이터(22)를 체결하고 있는 부시 마운트(26)는 고무부시(48)를 개재하고 있어 조정 체결부(24)의 조정에 의한 변위를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부시 마운트(26)는 차륜을 통해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을 고무부시(48)에 의해 절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트러트 어셈블리(52)의 설치 자세에 따른 캐스터각(θ)을 쉽게 설계대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스트러트 어셈블리에 의한 캐스터각을 완성차에서도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어서, 차량의 직진 안정성을 쉽게 확보할 수 있으며, 진동절연에도 효과가 있어 소음, 진동, 내구성을 증대시키는데 유리한 고안이다.

Claims (5)

  1. 스트러트 어셈블리 인슐레이터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차체 패널(20)에 차량의 전방측으로 인슐레이터(22) 장착을 가변하는 조정 체결부(24)의 조정수단과,
    상기 조정수단의 후방측으로 인슐레이터(22)를 좌,우에서 진동을 감쇄하면서 체결할 수 있게 차체 패널(20)에 설치한 부시 마운트(26)의 장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러트 어셈블리 인슐레이터의 장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조정 체결부(24)는 인슐레이터(22)의 외측 플레이트(30)의 저면에 부착한 인슐레이터 체결부(32)와, 차체 패널(20)의 차체 체결부(34)와, 이 양자간을 나사결합으로 연결하는 조정 스크류(36)로 이루어지는 스트러트 어셈블리 인슐레이터 장착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인슐레이터 체결부(32)와 차체 체결부(34)는 너트(38)를 부착 고정하면서 인슐레이터(22)와 차체 패널(20)의 저면에 홀더브라켓트(40)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스트러트 어셈블리 인슐레이터 장착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부시 마운트(26)는 차체 패널(20)에 부착된 외측 파이프(42)와, 볼트(44)가 관통하는 내측 파이프(46)와, 이 내외측 파이프(46)(42)사이에 진동을 절연하는 고무부시(48)를 개재하여 이루어지는 스트러트 어셈블리 인슐레이터 장착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부시 마운트(26)는 인슐레이터(22)와 차체 패널(20)과의 체결력을 높히기 위하여 볼트(44) 체결시 스프링 와셔(50)를 개재하여 이루어지는 스트러트 어셈블리 인슐레이터 장착구조.
KR2019970044392U 1997-12-31 1997-12-31 스트러트 어셈블리 인슐레이터의 장착구조 KR199900316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392U KR19990031647U (ko) 1997-12-31 1997-12-31 스트러트 어셈블리 인슐레이터의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392U KR19990031647U (ko) 1997-12-31 1997-12-31 스트러트 어셈블리 인슐레이터의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647U true KR19990031647U (ko) 1999-07-26

Family

ID=69696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392U KR19990031647U (ko) 1997-12-31 1997-12-31 스트러트 어셈블리 인슐레이터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164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5359B1 (ko)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JP3503405B2 (ja) 防振装置
KR100395980B1 (ko) 진동흡수체 및 이것을 사용한 주행차체용 진동흡수 지지장치
JP2000274485A (ja) 自動車のパワープラントマウント
JPS59202937A (ja) 車両用ラジエ−タ及びコンデンサの取付構造
KR19990031647U (ko) 스트러트 어셈블리 인슐레이터의 장착구조
JP3613928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装置
JPH0339345Y2 (ko)
JPS6340330Y2 (ko)
JPH09263143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の取付構造
JPS6142996Y2 (ko)
JPH09254623A (ja) リアサスペンション構造
JP2522445Y2 (ja) 自動二輪車のシートグリップバンドの取付装置
JPS634709Y2 (ko)
JPS591849Y2 (ja) エンジンリヤマウントの防振支持装置
JPH031290Y2 (ko)
KR100192283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
JPH0410435Y2 (ko)
KR0126055Y1 (ko) 소음 및 진동저감을 위한 엔진장착 브라켓트
JP2646494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装置
KR970004663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상부스프링시트
JPH0597066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4154141B2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の取付構造
JPS6132816Y2 (ko)
JPH051728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