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968A - 패스너를 이용한 바인딩 방법과 펀처를 겸한 바인더 및 그 패스너 - Google Patents

패스너를 이용한 바인딩 방법과 펀처를 겸한 바인더 및 그 패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968A
KR19990030968A KR1019970051471A KR19970051471A KR19990030968A KR 19990030968 A KR19990030968 A KR 19990030968A KR 1019970051471 A KR1019970051471 A KR 1019970051471A KR 19970051471 A KR19970051471 A KR 19970051471A KR 19990030968 A KR19990030968 A KR 19990030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punching
fastener
document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1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2866B1 (ko
Inventor
김종명
Original Assignee
김종명
주식회사 에스피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명, 주식회사 에스피씨 filed Critical 김종명
Priority to KR1019970051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2866B1/ko
Priority to BR9804170-3A priority patent/BR9804170A/pt
Priority to JP10285684A priority patent/JP3072625B2/ja
Priority to CN98120926A priority patent/CN1079743C/zh
Priority to EP98118896A priority patent/EP0908327A3/en
Publication of KR19990030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5/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 B42B5/02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eye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4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combined or formed with other articles, e.g. punches,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낱장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서류나 문서등을 가지런히 정리, 보관시키기 위해 집철하는 바인딩, 즉 패스너를 이용한 바인딩 방법과 펀처를 겸한 바인더 및 그 패스너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러한 본 발명은 몸체가 중공의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상단부에 플랜지형의 두부 그리고, 하단부에는 수개의 절리홈에 의해 이루어지는 마감부를 구비한 패스너를 이용해 서류를 간단한 가압방식으로 견고히 집철할 수 있도록 하였고, 그리고 베이스상에서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지그테이블상에 집철할 서류를 클램프와 위치정렬수단에 의해 유동되지 않게 잡아줌과 동시에 홀 위치 중심을 잡아 클램핑한후, 그 서류를 지그테이블에 의해 기구 내, 외측으로 이동시키며 프레스바의 승강구동력에 의하여 구동하는 펀치로 집철할 홀을 성형시키고, 이렇게 성형된 홀을 통하여 상기 패스너를 끼워넣고 프레스바에 구비시킨 헤머로 패스너를 압착시키는 것으로, 서류를 집철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서류의 두께에 구애없이 간단하고도 견고히 집철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패스너를 이용한 바인딩 방법과 펀처를 겸한 바인더 및 그 패스너
본 발명은 낱장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서류나 문서등을 한데 묶어 가지런히 정리 또는 보관시키기 위해 집철하는 바인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집철할 서류의 펀칭작업이 안정되고 서류를 간단하고도 견고히 집철할 수 있도록한 패스너를 이용한 바인딩 방법과 펀처를 겸한 바인더 및 그 패스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서류나 문서등 특히 낱장으로 이루어지는 서류를 가지런히 정리 또는 보관하기 위해 집철하는 것을 보면 통상 철끈을 이용하거나, 아니면 암수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금속판재 또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 주벽에 잔주름이 주어진 리벳과 와셔를 이용한 지철구를 주로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집철방식은 낱장으로 이루어지는 서류를 가지런히 정렬시키고, 그 정렬된 서류를 별도의 펀처를 이용한 펀칭공정을 통해 한쌍의 홀을 성형시킨 후, 그 홀을 통해 철끈을 끼워 묶거나, 또는 한쌍의 암수 지철구를 이용해 서류를 중앙에 두고 상하측에서 서로 끼워맞춤결합하여 목적하는 집철을 이루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철끈 또는 한쌍의 암수 지철구를 이용한 집철방식에서는 서류를 장기 보관시 그 서류의 묶음부위인 홀 주위가 철끈 또는 지철구와의 접찰등으로 헤지는, 다시설명하면 서류에 성형되는 홀은 적당한 굵기를 가지는 펀치에 의해 소정 크기의 내경을 가지고 이루어지고, 이렇게 성형된 홀에 가늘은 철끈 또는 얇은 금속판재의 지철구가 헐겁게 끼워져 집철된 서류가 유동되고, 이러한 서류의 유동은 홀 내주연을 헤지게 하여 심한 경우에 낱장의 서류가 떨어져 나오거나, 또는 서류철에서 낱장의 서류들이 가지런히 정리되지 못하고 불규칙하게 튀쳐나오는등 서류의 집철상태 외관이 좋지 못한 것이었다.
또 리벳과 와셔를 이용한 지철구에서는 상기에서와 같은 서류의 유동은 다소 예방하였으나, 대량의 서류가 집철시 넘겨진 서류의 중량에 의해 지철구가 쉬웁게 해제되는, 즉 리벳의 단부 주름에 억지걸어춤식으로 결합된 와셔가 서류의 중량에 의해 그 결속력을 유지하지 못하고 리벳 단부의 결속부에서 튀쳐나와 서류의 집철 상태가 풀리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같은 집철을 위해 서류에 홀을 펀칭하는 것을 보면 통상 별도의 펀처를 이용하고 있다. 펀처는 여러 가지가 개발사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편처는 대략 평판체 형태로 이루어져 서류가 올려지는 베이스를 구비하고, 이의 베이스상 일측에 프레스바로 구동되는 펀칭부를 설치하여 목적하는 홀을 성형시키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펀처는 대략 펀칭할 서류의 두께가 두껍지 못하여 다량의 서류 집철에는 여러번의 펀칭공정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다공정에 의한 홀 성형은 그 공정마다의 홀 위치가 일정하지 못해 서류의 집철시 정리된 모습이 좋지 못하였다.
또 펀치가 서류를 관통하여 펀칭공정을 완료후 그 펀치가 원위치 즉, 펀칭전의 위치로 복원시 그 펀치를 따라 서류들이 따라 올라와 이를 작업자가 밀어내리어 주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고, 이러한 서류의 따라 오름은 낱장 각각에 성형된 홀의 위치를 유동시키게 되어 집철시 홀들을 다시 정렬시키어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펀처에는 서류의 가공위치 정렬을 위한 위치정렬대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들어 집철을 위한 홀이 서류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정확한 중심에 펀칭되게 하기 위해 별도의 위치정렬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위치정렬대는 대략 얇고 소폭의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져 펀처의 베이스상에서 펀치배열과 병행한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위치정렬대를 일측에서 내, 외측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일단을 지점으로 하여 펀칭할 서류의 중심이 잡아지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치정렬대는 눈금표시를 하고, 그 눈금표시를 기준하여 홀의 중심을 잡아주게 하고 있으나, 이러한 눈금표시는 다양한 크기로 제공되는 서류마다 그 눈금표시를 계측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고, 따라서 작업자가 시각적인 판단에 의해 펀칭작업을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시각에 의존시에는 펀칭할 서류의 양측에 성형되는 홀의 중심이 정확히 잡아지지 않고 일측으로 치우쳐 성형되어 서류철의 외관성을 떨어뜨리고 있는 것이다.
또 이러한 위치정렬대는 서류의 일측 중간부위 소정위치에서 그 서류의 일측변을 받치며 단순한 위치정렬만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펀칭공정시 서류의 후단부가 유동하고 있어 펀칭작업이 안정되지 못함은 물론, 이러한 서류의 유동으로 홀이 불규칙하게 성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펀처에서는 서류를 작업자가 직접 파지하여 펀처의 펀치부에 삽입시키고 있는데, 이러한 삽입과정에서 서류 두께가 얇은 경우 별 문제가 없었으나, 펀칭할 서류가 펀치부 높이에 거의 인접한 두꺼운 두께를 가질 경우 그 서류가 펀칭부에서 걸림이 발생하는 등 그 삽입작업이 용이하지 못하여 사무작업능률을 저하시키고 있으며, 또 이러한 서류의 집철에서는 펀칭작업과 바인딩작업을 별도 공구를 가지고 작업을 이루어 사무작업이 비효율적이었다.
더욱이 서류집철을 위한 지철구의 종류를 보면 70㎜와 80㎜ 2종류로 보급되고 있는데, 이러한 2종류의 지철구를 사용할 때에는 2종류의 펀처, 즉 펀처 간격을 달리가지고 있는 2종류의 펀처를 별도로 구입하여야 하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에서와 같은 지철구를 이용해 1차 파일링된 서류는 그 1차 파일링된 서류들과 2차 파일링이 불가한, 예를 들어 주간단위로 정리되는 서류들을 월간 단위로 집철하여 정리시키지 못하고 별도 분리 보관시키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중공의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패스너를 이용해 서류 두께에 구애없이 견고히 집철시켜 서류관리와 보존성이 우수하고, 특히 2차파일링이 가능한 패스너를 이용한 바인딩 방법과 그 패스너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철할 서류의 바인딩을 위한 펀칭공정과 그 바인딩 작업을 하나의 기구에서 일련의 연속공정으로 간편히 이루게 하며, 펀치의 위치를 가변시키며 2종류의 지철구 사용을 겸할 수 있게 하여 사무기구를 단일화시킨 펀처를 겸한 바인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추가적인 패스너플레이트에 의한 형합으로 바인딩 공정이 안정되고 집철이 견고하여 서류의 보관성 및 외관성을 향상시킨 패스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낱장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서류나 문서등을 가지런히 정리, 보관시키기 위해 집철하는 바인딩, 즉 패스너를 이용한 바인딩 방법과 펀처를 겸한 바인더 및 그 패스너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러한 본 발명은 몸체가 중공의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상단부에 플랜지형의 두부 그리고, 하단부에는 수개의 절리홈에 의해 이루어지는 마감부를 구비한 패스너를 이용해서 서류를 간단한 가압방식으로 견고히 집철할 수 있도록 하였고, 그리고 베이스상에서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지그테이블상에 집철할 서류를 클램프와 위치정렬수단에 의해 유동되지 않게 잡아줌과 동시에 홀 위치 중심을 잡아 클램핑한후, 그 서류를 지그테이블에 의해 기구 내, 외측으로 이동시키며 프레스바의 승강구동력에 의하여 구동하는 펀치로 집철할 홀을 성형시키고, 이렇게 성형된 홀을 통하여 패스너를 끼워넣고 프레스바에 구비시킨 헤머로 패스너를 압착시키는 것으로, 서류를 집철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서류의 두께에 구애없이 간단하고도 견고히 집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패스너를 이용한 바인딩을 수행하기 위한 바인더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패스너를 이용한 바인딩을 수행하기 위한 바인더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바인더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전체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바인더의 펀치부만을 발췌하여 하여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부분을 절단하여 보인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패스너의 압착과정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펀칭과정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위치정렬수단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패스너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바인더의 작업공정을 보인 작동도로서
(A)는 집철할 낱장의 서류뭉치를 바인더의 지그테이블상에 탑재시키는 모습을 보인 설명도
(B)는 집철할 서류뭉치가 펀칭되는 모습을 보인 설명도
(C)는 홀에 집철할 패스너를 삽입시킨 모습을 보인 설명도
(D)는 패스너가 가압부재에 의해 압착되어 서류뭉치를 바인딩시킨 모습을 보인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해 바인딩되어 정리된 서류철을 보인 사시도
도 12와 A와 B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바인딩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13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바인딩과정에서 사용되는 패스너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14은 도 12의 바인딩과정에서 바인딩되어 정리된 서류철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이스 110 : 슬롯
120 : 서포트 200 : 펀칭부
210 : 슬라이드바 220 : 램
230 : 쳄버 300 : 프레스바
400 : 지그테이블 410 : 클램프
420 : 위치정렬수단 500 : 헤머
600 : 암 700 : 스냅
800 : 패스너 810 : 두부
820 : 연장부 830 : 마감부
831 : 절리홈 20 : 패스너플레이트 본체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펀처를 겸한 바인더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특징적인 기술은 서류철을 위한 홀을 성형시키는 펀칭공정과, 집철을 하나의 기구에 연이어 이루게 하여 그 서류의 바인딩을 일련의 연속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한 펀처를 겸한 바인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면에서 100은 펀처를 겸한 바인더를 구성하는 기계요소들이 탑재되는 베이스이다. 이 베이스(100)는 대략 장방형의 평판체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상면 일측부에 펀칭부(200)가 탑재되어 있다.
또 상기 베이스(100) 저면의 사방모서리에 고무러그(101)가 설치되어 평면도 유지와 사용할 때 기구가 미끄러지는 것을 예방하게 하였다.
또한 상기 펀칭부(200)에는 한쌍의 막대가 병렬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프레스바(300)가 장치되는데, 이 프레스바(300)는 그 일단이 펀칭부(200)에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후에 설명할 펀칭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승강 구동을 이루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는 몸체의 단면이 채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그테이블(400)이 설치된다. 이러한 지그테이블(400)은 베이스(100) 상면 전체를 덮어 씌우며 그 베이스의 상면을 타고 몸체 길이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펀칭공정과 바인딩할 서류가 실어지는 면적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지그테이블(400)상에는 또한 적재되는 서류가 흐트러지지 않게 내려 누르며 고정 유지시키는 클램프(410)와 서류가 펀치에 대하여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중심에 위치하도록 정렬시키어주는 위치정렬수단(420)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프레스바(300)에는 그 프레스바(300)의 회전중심축으로부터 적당히 떨어진 위치에 서류 집철을 위한 패스너의 압착공정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한쌍의 헤머(500)가 설치된다. 이때 헤머(500)는 프레스바(300)가 압착공정을 위해 최대 하강위치에 이를 때 이후에 설명되는 스냅과 일치하는 위치를 가지게 된다.
제3도에는 본 발명 펀처를 겸한 바인더의 전체적인 내부 구조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베이스(100)상에 설치되는 지그테이블(400)는 그 베이스(100) 중앙부 적당한 위치에 소정의 스트로크를 가지고 형성되는 슬롯(110)을 통하여 그 베이스 저면으로 관출시킨 스톱퍼(401) 하단부에 나사결합식으로 설치되는 고정판재(402)에 의해 베이스(100)와 유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있으며, 이렇게 설치되는 지그테이블(400)은 상기에서와 같이 베이스(100)의 슬롯(110)에서 제공되는 스트로크내에서 구동하게 된다. 더 상세하게는 지그테이블(400)에 일체로 구비되는 스톱퍼(401)가 슬롯(110)의 일측(도면에서 보아 좌측)에 정지시 제1위치로서, 이 제1위치는 집첩할 서류에 홀 성형을 위한 펀칭공정을 이루게 하는 위치이며, 스톱퍼(401)가 슬롯(110)의 타측(도면에서 보아 우측)에 정지시는 제2위치로서, 이 제2위치는 서류에 성형된 홀에 패스너를 압착시키어 집철을 마무리하는 위치와 집철할 서류 적재 또는 집철이 완료된 서류를 꺼내는 위치이다.
또 베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펀칭부(200)는 그 주위를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지는 덮개(201)로 덮어 씌워 이물질이나 먼지등이 그 펀칭부의 기계요소 작동부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시키게 하고 있다. 이러한 펀칭부(200)는 베이스(100)에 수직방향으로 입설되는 한쌍의 가이드바(210)와, 이 가이드바(210)를 타고 상하측으로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램(220)으로 구성된다. 이때 가이드바(210)는 베이스(100)상으로부터 적당한 높이를 가지고 설치되어 펀칭공정을 위한 램(220)의 승강구동을 안내할 것이며, 램(220)은 블록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저면에 서류철을 위한 홀을 성형시키는 중공의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펀치(221)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펀치(221)의 펀칭시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스크랩은 그 펀치(221)내경을 타고 위로 배출되게 하고 있다.
또한 블록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웹(220)의 몸체 내부에는 펀치(221) 내경을 타고 올라온 스크랩을 일시적으로 모집시키기 위한 쳄버(23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쳄버(230)에는 하향으로 배출통로(231)를 연이어 구비시키고 그 쳄버(230)내에 모집된 스크랩을 상기 배출통로(231)을 통하여 펀칭부(200) 이면에 별도로 제작되어 서랍식으로 착탈되게 설치되는 수거통(240)에 의해 수거처리케 구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펀치(221)의 외주위에는 그 펀치와 함께 승강하며 펀칭공정 완료후 그 펀치에 의해 성형된 홀 주위가 펀치(221)를 따라 올라오지 못하도록 내려누르는 프레스부(222)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프레스부(222)는 탄성이 우수한 코일스프링등을 이용해 펀치(221)의 주위를 감싸며 그 펀치(221)의 길이 보다 다소 긴 길이를 가지고 설치되는데, 이때 프레스부(222)는 그 상단을 램(220) 저면에 일체로 고정시키고 하단은 자유단으로 설치되어 펀칭공정시에는 그 길이가 수축되었다 그 펀칭이 완료되어 펀치의 상승시에서는, 즉 펀치가 성형된 홀을 벗어남과 동시에 프레스부(222)가 그 복원력에 의해 신장되며 펀치의 상승과는 반대되는 하향으로 늘어나 피펀칭물(서류)을 내려눌러 그 피펀칭물이 펀치를 따라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피펀칭물에 프레스부(222)의 누름력 작용은 피펀칭물에 성형된 홀 위치를 흐트리지 않고 그대로 보존시키어 바인딩 공정을 위한 보조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지그테이블(400)상에 설치되는 클램프(410)는 그 일측이 지그테이블(400)의 일단에 구비되는 브래킷트(430)와 축핀(431)으로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은 자유단으로 구성되어 서류를 직접 내려누르는 가압부(411)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때 클램프(410)는 그 축착부에 설치시킨 토숀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가압부(411)는 항시 피펀칭물을 내려누르는 가압력이 작용케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가압부(411)는 대략 만곡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선단이 상향으로 들어올려져 파지가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 지그테이블(400)의 상면 중앙 부분에는 그 지그테이블(400)의 몸체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한쌍의 위치정렬수단(420)이 설치된다. 이러한 위치정렬수단(420)은 펀칭 및 바인딩공정시 가공물인 서류의 위치가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게 가공시킬 수 있도록한 위치잡이이다. 더 상세하게는 바인딩을 위해 서류에 성형시키는 홀의 위치가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정확한 중심에 펀칭되게 하는 위치잡이 이다.
이러한 위치정렬수단(420)은 도 2 도 4에서와 같이 소폭의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어 병행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슬라이더바(421)(422)를 지그테이블(400)에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이렇게 설치되는 슬라이더바(421)(422)의 상호 대향면에 랙형의 치차면(421A)(422A)을 구비하고, 이들 양 슬라이더바(421)(422)의 치차면(421A)(422A)사이에는 베이스(100)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423)을 개재하여 그 어느 일측의 슬라이더바에 구동력을 가하면 양 슬라이더바가 상반적이고 동시적으로 구동한다. 이때 양 슬라이더바(421)(422) 각각의 그 어느 일단에서 상반적으로 구비되는 핑거(421B)(422B)의 그 폭이 넓어졌다 좁아졌다 할 것이다. 이러한 핑거(421B)(422B)의 너비 조정은 가공할 서류의 크기에 관계 없이 어느 크기나 다 수용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그 서류의 가공위치 중심을 정확히 잡아줄 것이다.
도 5와 도 6 및 도 7에는 펀칭부(200)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펀칭부(200)는 현재 보급되고 있는 2종의 지철구, 즉 70㎜ 또는 80㎜ 2종의 지철구를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양 펀치(221) 사이의 너비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시 설명하면 피펀칭물에 홀을 성형시키는 펀치(221)를 램(220)의 몸체와 렌지볼트(24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시키며 그 간격이 조절되게 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펀치(221)는 그 상단부에 일체로 구비시킨 다각형상의 소켓(221A)을 이용해 램(220)의 저면에 끼워 맞춤식으로 설치시키고 렌지볼트(240)에 의해 결속되게 구성하고 있다. 이때 펀치(221)를 소켓(221A)의 그 어느 일측 편심측에 위치시키어 소켓(221A)를 돌려끼우는 것으로 양 펀치(221)의 너비가 조절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펀치(221)의 구조에서 소켓(221A)의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육각형이다. 이 육각형의 소켓(221A)은 펀치(221)의 조절위치를 정확히 잡아주게 될 것이다.
또 펀치(221)를 소켓(221A)에 렌지볼트에 의한 착탈식으로 교체가능하게 설치하여 펀치의 마모나 파손시 쉬웁게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펀칭부(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스바(300)의 회전중심잡이구조를 보면 베이스(100)상에 일체로 설치되는 서포트(120)에 하단을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시킨 암(600)을 구비시키고, 이 암(600)의 타단에 그 프레스바(300)의 일단을 제1축핀(601)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킴과 아울러, 이 제1축핀(601)으로부터 다소 간격을 유지한 위치에 제2축핀(602)을 이용해 램(220)과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제1및 제2축핀(601)(602) 2지점을 이용해 프레스바(30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며 램(220)의 승강운동을 이루게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헤머(500)는 한쌍의 막대가 병설되어 이루어지는 프레스바(300)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이 헤머(500)는 프레스바(300)내에 가로건너 설치되는 크로스바(310)상에서 상부로부터 하부로 관통되게 설치되어 자유로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헤머(500)는 상단부에 논슬립구조를 갖는 푸시노브(510)와, 하단에 가압부(52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렇게 구성되는 헤머(500)는 탄성이 우수한 복원부재(530)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푸시노브(510)에 가압되는 누름력이 해제되면 원위치로 복귀되게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헤머(500)의 원상복귀를 위해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였으나, 이 복원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수공적으로 헤머를 내려눌렀다 들어올리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본 발명에서 실시예로 보이고 있는 것은 양 헤머(500)는 별도의 가압력에 의해 각각 펀칭공정을 수행하게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이외 양 헤머(500)의 사이에 별도의 연동구조를 부가적으로 갖추어 양 헤머가 동시적으로 펀칭공정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베이스(100)의 상면 적당한 위치, 즉 프레스바(300)가 펀칭작업을 위해 최하강된 위치에서 헤머(500) 직하부의 양측에 집철을 위한 패스너(800)의 하단 마감부를 압착방식으로 마무리 성형시키는 한쌍의 스냅(700)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스냅(700)은 도 8에서와 같이 베이스(100)에 천공시킨 인서트홀을 통하여 끼워맞춤식으로 설치되는데, 이렇게 설치되는 스냅(700)은 대략 몸체가 상기 가압부(520) 외경의 절반 이하 크기의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상면에 도너츠형과 같은 요홈(710)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홈(710)은 헤머(500)의 누름력에 의해 압착되는 패스너(800) 마감부의 마무리 형상을 이루게할 것이다.
이렇게 설치되는 스냅(700)은 베이스(100)상면에 그 상면으로부터 다소 내려 앉으며 소폭으로, 즉 이후 설명할 패스너플레이트를 이용한 바인딩공정시 그 패스너플레이트의 위치 잡이와 정렬을 위해 긴밀히 삽입 압착되며, 상기 헤머(500)배열과 병행한 방향으로 배치되게 형성한 요입형의 안치홈(130)내 양측 각각에 구비시킨 적어도 하나이상의 인서트홀(131),(132)을 이용해 삽탈식으로 설치되게 하였다. 이때 양측 각각의 인서트홀(131),(132)은 상기 양측 헤머(500)의 가압부(520) 외경내에 위치된다. 이러한 인서트홀(131),(132)은 2종의 지철구 사용에 대처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현재 보급되고 있는 70㎜와 80㎜형의 지철구를 모두 수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패스너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패스너(800)는 대략 중공의 원통관체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상단에 플랜지형의 두부(810)와, 그 두부(810)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연장부(820), 그리고 연장부(820)의 하단부에 연이어져 구성되는 마감부(830)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패스너(800)의 연장부(820)는 집철할 서류의 두께 길이를 가지게 되는데, 이때 연장부(820)는 집철할 서류 두께 보다 다소 긴 길이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다종의 패스너(800)을 가지고 서류 두께에 구애 없이 간단히 집철을 이루게 된다.
또 이러한 패스너(800)의 마감부(830)는 그 연장부(820)의 주벽을 그 단부로 부터 내측으로 일정길이 찌져내 이루어지는 절리홈(831)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마감부(830)의 절리홈(831)은 헤머 압착공정의 누룸력에 의해 그 마감부(830)가 외향으로 쉬웁게 벌어지게 하여 집철할 서류에 성형시킨 홀의 주위를 에워쌓아 집철을 이루게 하였다. 이렇게 구성되는 패스너(800)의 연장부(320) 외경은 서류에 펀칭되는 홀(910)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너비를 가지고 긴밀히 삽입되는 굵기를 가진다. 이러한 패스너(800)의 긴밀한 삽입은 집철된 서류의 모습을 가지런히 정리시키고 서류의 보관성을 향상시킬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패스너(800)는 연질의 금속재를 이용하여 제조하는데, 바람직하기에는 알루미늄 또는 황동이다.
그리고 펀칭부(200)의 덮개(201) 이면에는 바인더의 기계적 요소, 예를 들어 상기 펀칭부(200)의 램(220)에 소켓(221A)를 이용해 설치되는 펀치(221)를 결속, 해체시키는 렌지볼트(240)을 분해, 조립시키기 위한 렌지(10)등의 공구를 보관시키는 수납홀(201A)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면 도 10를 참조하여 본 발명 바인더를 이용한 바인딩공정을 설명하겠다. 도 10의 (A)는 지그테이블(400)이 베이스(100)의 슬롯(110) 제2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이와같은 위치에서 지그테이블(400)상에 설치되어 있는 클램프(410)를 들어올린후 그 지그테이블(400)에 서류의 탑재과정을 이루게 된다. 이때 서류는 위치정렬수단(420)에 의해 정렬되며 지그테이블 중앙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지그테이블의 위치는 서류의 탑재는 물론, 이후에 설명할 패스너의 압착공정 및 바인딩이 완료된 서류를 꺼내는 위치이다.
도 10의 (B)는 집철할 서류의 홀 성형을 위한 펀칭공정을 이루는 위치로서, 이 위치는 상기 탑재공정의 위치에서 좌향으로 밀어넣어 그 지그테이블(400)가 슬롯(110)의 제1위치로 이동한 위치이다. 이 위치는 집철할 서류의 좌단부가 펀칭부(200) 밑으로 들어가 핀칭공정을 대기하는 위치로써, 이러한 위치에서 프레스바(300)를 내려누르면 펀칭부(200)의 램(220)에 구비되는 펀치(221)가 서류를 관통하며 펀칭공정을 이루게 된다. 이때 펀칭공정에서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스크랩은 펀치(221) 내경을 타고 밀려올라와 램(220)의 쳄버(230)에 일시적으로 채류되었다 그 쳄버(230) 하부에 연이어 구성되는 배출통로(231)를 따라 흘러내리어 수거통(240)에 모집된다. 이렇게 수거통(240)에 스크랩이 채워지면 그 수거통(240)을 펀칭부(200)로부터 빼내어 수처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도 10의 (C)는 상기 도 10의 (A)와 같은 위치로서, 지그테이블(400)이 펀칭부(200)으로부터 빠져나와서 펀칭된 서류(900)의 홀(910)이 펀칭부(200)로부터 벗어나고, 이와같은 상태에서 펀칭된 서류(900)의 홀(910)에 패스너(800)을 끼워넣는다. 이때 패스너(800)가 삽입된 서류(900)의 홀(910)은 베이스(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스냅(700) 위치와 일치할 것이다.
또한 도 10의 (D)는 패스너의 압착공정을 보이고 있다. 이 압착공정은 상기 스패너의 삽입공정 위치와 동일한 위치로서, 먼저 프레스바(300)를 상기의 펀칭공정에서와 같이 내려눌러 수평상태로 유지시키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헤머(500)에 누름력을 가하여 그 헤머(500)의 가압부(520)가 패스너(800)를 압착시킨다. 이때 헤머(500)의 가압력이 패스너(800)상에 가해지면 그 패스너(800)의 마감부(830)는 스냅(700)의 요입부(710)를 따라 내려가면서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그 요입부(710)의 경사면에 의해 절리홈(831)이 자연스럽게 찌어지며 외향으로 벌어지졌다 그 단부가 요입부(710)의 모양을 따라 말아지면서 홀(910) 주위를 감싸아 서류 집철을 완료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같이 서류의 집철을 완료후 헤머(500)와 프레스바(300)에 가압력이 해제되면 도 10의 (A)와 같은 위치로 복귀되어서 다음 바인딩 공정을 대기하게 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 바인딩 방법에 의해 집철된 서류를 보이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집철할 서류(900)에 펀처로 성형된 홀(910)을 통해 중공의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패스너(800)를 끼워넣고 그 패스너(800)의 하단부인 마감부(830)를 압착공정에 의해 마무리하여 간단하고도 견고한 집철을 이루게 된다.
그러므로서 본 발명은 집철을 위해 펀칭된 서류의 홀에 그 홀 내경에 긴밀히 삽입되는 관체형상의 패스너를 이용하여 집철시키게 하므로서, 서류의 정리 모습이 가지런하고 집철상태가 안정되고도 견고하여 관리 또는 보관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 서류철을 본 발명의 바인더를 이용하여 집철공정을 이루게 하므로써, 바인딩 작업이 간단 용이하고 사무효율을 높이는 이점도 있다.
또한 서류을 집철하는 패스너를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다종류로 공급시키어 서류 두께에 관계없이 얇은 두께부터 두꺼운 두께 모두를 수용할 수 있어 사무기로서의 효능이 우수한 이점이 있을 뿐 아니라, 본 발명 바인더기능중 헤머를 제외하여 펀처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써, 2종의 사무기기를 단일화 하여 사무비품수를 줄이고 구입비용도 절감시키어 경제적인 효과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또한 펀칭공정시 서류가 유동되지 않고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에서 펀칭을 이루게 하므로써, 종래 펀칭공정에 서류가 유동되어 홀의 위치가 뒤틀리는 문제점을 완전히 방지시키며, 서류의 위치정렬수단에 의해 집철할 서류의 홀 위치를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중심을 정확히 잡아 성형시킬 수 있어 집철된 서류 모습의 가지런하고 외관성이 매우 좋다.
더욱이 본 발명 중공의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패스너로 집철된 서류철은 그 패스너 몸체의 관통공을 통해 다른 서류철과 함께 2차파일링이 가능하여 서류정리가 우수하고, 서류을 훼손시키지 않고 원본 그대로 보존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2은 본 발명 바인딩 방법의 다른 실시예로써,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와 다르다는 것은 서류(900)와 패스너(800)의 사이에 본 발명의 패스너플레이트(20)를 추가적으로 개재시키어 집철시키는 예를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에서 패스너플레이트(20)를 양측에 사용할수 있고, 그 어느 일측에만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실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도 10의 (A)과정, 즉 지그테이블(400)상에 집철할 서류를 올려 놓기전에 먼저 베이스(100)상에 구비된 안치홈(130)내에 이후 설명할 패스너플레이트(20)을 넣는다. 이때 패스너플레이트(20)는 안치홈(130)의 내경과 상기 스냅(700)에 의해 바인딩할 자리를 잡게 된다. 이 패스너플레이트(20)는 집첩할 서류의 이면에 위치될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패스너플레이트(20)를 베이스(100)상에 장전시킨 상태에서 집철할 서류를 올려 놓고 상기 실시예와 같은 순서로 펀칭공정을 이룬다. 이렇게 펀칭공정을 이룬다음 서류(900)의 홀(910)에 패스너(800)를 삽입하기 전에 서류의 전면으로 위치되는 또 하나의 패스너플레이트(20)를 집철할 서류(900)상에 먼저 올려 놓고 그 패스너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패스너(800)을 홀(910)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와 같이 헤머(500)를 이용해 패스너(800)의 압착공정을 이루면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패스너(800)는 스냅(700)에 의해 마무리되어 목적하는 바인딩을 이루게 된다.
도 13에는 본 발명 패스너플레이트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패스너플레이트는 서류철의 전면과 이면, 또는 그 어느 일면에 선택하여 설치될 것이다. 본 발명은 대략 통상에서와 같이 적당한 길이를 가지는 소폭의 평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패스너플레이트 본체(20)를 가지고 있고, 이렇게 구성된 본체(20)의 양측에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여 성형시킨 한쌍의 바인딩홀(21)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특징적인 기술사상은 상기 바인딩홀(21)의 구조를 개조하여 서류의 집철상태를 더욱 견고히 이룸과 아울러, 이러한 패스너플레이트를 이용한 바인딩공정을 이루게 하고 있다. 그 일례로 서류철의 이면에 사용할 때 경우를 보면 상기 바인딩홀(21)의 주연을 프레스가공에 의해 패스너플레이트의 집철측인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며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원추형상의 가이드부(21A)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러한 패스너플레이트의 가이드부(21A)는 상기 압착공정시 패스너(800) 마감부(830)의 단부가 바인딩홀(21)에서 다소 어긋나게 삽입시에도 그 삽입경로를 바로 잡아 바인딩홀(21)내로 정확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역할을 이루게 된다.
또 이러한 패스너플레이트가 서류철의 전면에 사용되는 경우를 보면 본체(20)의 양측에 구비되는 바인딩홀(21)의 가이드부(21A)상단부와, 이 가이드부(21A) 외주위 뿌리 부분을 프레스 가공하여 성형시킨 요입부(21B)에 걸쳐 패스너(800)의 두부(810)가 덮어져 씌워진다.
이렇게 패스너(800)를 패스너플레이트(20)와 형합하여 바인딩을 이루어 더욱 안정되고 견고한 집철을 이루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펀처를 겸한 바인더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특징적인 기술은 서류철을 위한 홀을 성형시키는 펀칭공정과, 집철을 하나의 기구에 연이어 이루게 하여 그 서류의 바인딩을 일련의 연속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한 펀처를 겸한 바인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면에서 100은 펀처를 겸한 바인더를 구성하는 기계요소들이 탑재되는 베이스이다. 이 베이스(100)는 대략 장방형의 평판체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상면 일측부에 펀칭부(200)가 탑재되어 있다.
또 상기 베이스(100) 저면의 사방모서리에 고무러그(101)가 설치되어 평면도 유지와 사용할 때 기구가 미끄러지는 것을 예방하게 하였다.
또한 상기 펀칭부(200)에는 한쌍의 막대가 병렬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프레스바(300)가 장치되는데, 이 프레스바(300)는 그 일단이 펀칭부(200)에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후에 설명할 펀칭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승강 구동을 이루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는 몸체의 단면이 채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그테이블(400)이 설치된다. 이러한 지그테이블(400)은 베이스(100) 상면 전체를 덮어 씌우며 그 베이스의 상면을 타고 몸체 길이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펀칭공정과 바인딩할 서류가 실어지는 면적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지그테이블(400)상에는 또한 적재되는 서류가 흐트러지지 않게 내려 누르며 고정 유지시키는 클램프(410)와 서류가 펀치에 대하여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중심에 위치하도록 정렬시키어주는 위치정렬수단(420)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프레스바(300)에는 그 프레스바(300)의 회전중심축으로부터 적당히 떨어진 위치에 서류 집철을 위한 패스너의 압착공정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한쌍의 헤머(500)가 설치된다. 이때 헤머(500)는 프레스바(300)가 압착공정을 위해 최대 하강위치에 이를 때 이후에 설명되는 스냅과 일치하는 위치를 가지게 된다.
제3도에는 본 발명 펀처를 겸한 바인더의 전체적인 내부 구조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베이스(100)상에 설치되는 지그테이블(400)는 그 베이스(100) 중앙부 적당한 위치에 소정의 스톱퍼(401) 하단부에 나사결합식으로 설치되는 고정판재(402)에 의해 베이스(100)와 유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있으며, 이렇게 설치되는 지그테이블(400)은 상기에서와 같이 베이스(100)의 슬롯(110)에서 제공되는 스트로크내에서 구동하게 된다. 더 상세하게는 지그테이블(400)에 일체로 구비되는 스톱퍼(401)가 슬롯(110)의 일측(도면에서 보아 좌측)에 정지시 제1위치로서, 이 제1위치는 집첩할 서류에 홀 성형을 위한 펀칭공정을 이루게 하는 위치이며, 스톱퍼(401)가 슬롯(110)의 타측(도면에서 보아 우측)에 정지시는 제2위치로서, 이 제2위치는 서류에 성형된 홀에 패스너를 압착시키어 집철을 마무리하는 위치와 집철할 서류 적재 또는 집철이 완료된 서류를 꺼내는 위치이다.
또 베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펀칭부(200)는 그 주위를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지는 덮개(201)로 덮어 씌워 이물질이나 먼지등이 그 펀칭부의 기계요소 작동부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시키게 하고 있다. 이러한 펀칭부(200)는 베이스(100)에 수직방향으로 입설되는 한쌍의 가이드바(210)와, 이 가이드바(210)를 타고 상하측으로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램(220)으로 구성된다. 이때 가이드바(210)는 베이스(100)상으로부터 적당한 높이를 가지고 설치되어 펀칭공정을 위한 램(220)의 승강구동을 안내할 것이며, 램(220)은 블록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저면에 서류철을 위한 홀을 성형시키는 중공의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펀치(221)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펀치(221)의 펀칭시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스크랩은 그 펀치(221)내경을 타고 위로 배출되게 하고 있다.
또한 블록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웹(220)의 몸체 내부에는 펀치(221) 내경을 타고 올라온 스크랩을 일시적으로 모집시키기 위한 쳄버(23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쳄버(230)에는 하향으로 배출통로(231)를 연이어 구비시키고 그 쳄버(230)내에 모집된 스크랩을 상기 배출통로(231)을 통하여 펀칭부(200) 이면에 별도로 제작되어 서랍식으로 착탈되게 설치되는 수거통(240)에 의해 수거처리케 구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펀치(221)의 외주위에는 그 펀치와 함께 승강하며 펀칭공정 완료후 그 펀치에 의해 성형된 홀 주위가 펀치(221)를 따라 올라오지 못하도록 내려누르는 프레스부(222)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프레스부(222)는 탄성이 우수한 코일스프링등을 이용해 펀치(221)의 주위를 감싸으며 그 펀치(221)의 길이 보다 다소 긴 길이를 가지고 설치되는데, 이때 프레스부(222)는 그 상단을 램(220) 저면에 일체로 고정시키고 하단은 자유단으로 설치되어 펀칭공정시에는 그 길이가 수축되었다 그 펀칭이 완료되어 펀치의 상승사에서는, 즉 펀치가 상승과는 반대되는 하향으로 늘어나 피펀칭물(서류)을 내려눌러 그 피펀칭물이 펀치를 따라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피펀칭물에 프레스부(222)의 누름력 작용은 피펀칭물에 성형된 홀 위치를 흐트리지 않고 그대로 보존시키어 바인딩 공정을 위한 보조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지그테이블(400)상에 설치되는 클램프(410)는 그 일측이 지그테이블(400)의 일단에 구비되는 브래킷트(430)와 축핀(431)으로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은 자유단으로 구성되어 서류를 직접 내려누르는 가압부(411)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때 클램프(410)는 그 축착부에 설치시킨 토숀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가압부(411)는 항시 피펀칭물을 내려누르는 가압력이 작용케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가압부(411)는 대략 만곡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선단이 상향으로 들어올려져 파지가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 지그테이블(400)의 상면 중앙 부분에는 그 지그테이블(400)의 몸체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한쌍의 위치정렬수단(420)이 설치된다. 이러한 위치정렬수단(420)은 펀칭 및 바인딩공정시 가공물인 서류의 위치가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게 가공시킬 수 있도록한 위치잡이이다. 더 상세하게는 바인딩을 위해 서류에 성형시키는 홀의 위치가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정확한 중심에 펀칭되게 하는 위치잡이 이다.
이러한 위치정렬수단(420)은 도 2 도 4에서와 같이 소폭의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어 병행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슬라이더바(421)(422)를 지그테이블(400)에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이렇게 설치되는 슬라이더바(421)(422)의 상호 대향면에 랙형의 치차면(421A)(422A)을 구비하고, 이들 양 슬라이더바(421)(422)의 치차면(421A)(422A)사이에는 베이스(100)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423)을 개재하여 그 어느 일측의 슬라이더바에 구동력을 가하면 양 슬라이더바가 상반적이고 동시적으로 구동한다. 이때 양 슬라이더바(421)(422) 각각의 그 어느 일단에서 상반적으로 구비되는 핑거(421B)(422B)의 그 폭이 넓어졌다 좁아졌다 할 것이다. 이러한 핑거(421B)(422B)의 너비 조정은 가공할 서류의 크기에 관계 없이 어느 크기나 다 수용할 수 있게함과 동시에, 그 서류의 가공위치 중심을 정확히 잡아줄 것이다.
도 5와 도 6 및 도 7에는 펀칭부(200)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펀칭부(200)는 현재 보급되고 있는 2종의 지철구, 즉 70㎜ 또는 80㎜ 2종의 지철구를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양 펀치(221) 사이의 너비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시 설명하면 피펀칭물에 홀을 성형시키는 펀치(221)를 램(220)의 몸체와 렌지볼트(24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시키며 그 간격이 조절되게 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펀치(221)는 그 상단부에 일체로 구비시킨 다각형상의 소켓(221A)을 이용해 램(220)의 저면에 끼워 맞춤식으로 설치시키고 렌지볼트(240)에의해 결속되게 구성하고 있다. 이때 펀치(221)를 소켓(221A)의 그 어느 일측 편심측에 위치시키어 소켓(221A)를 돌려끼우는 것으로 양 펀치(221)의 너비가 조절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펀치(221)의 구조에서 소켓(221A)의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육각형이다. 이 육각형의 소켓(221A)은 펀치(221)의 조절위치를 정확히 잡아주게 될 것이다.
또 펀치(221)를 소켓(221A)에 렌지볼트에 의한 착탈식으로 교체가능하게 설치하여 펀치의 마모나 파손시 쉬웁게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펀칭부(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스바(300)의 회전중심잡이구조를 보면 베이스(100)상에 일체로 설치되는 서포트(120)에 하단을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시킨 암(600)을 구비시키고, 이 암(600)의 타단에 그 프레스바(300)의 일단을 제1축핀(601)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킴과 아울러, 이 제1축핀(601)으로부터 다소 간격을 유지한 위치에 제2축핀(602)을 이용해 램(220)과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제1및 제2축핀(601)(602) 2지점을 이용해 프레스바(30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며 램(220)의 승강운동을 이루게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헤머(500)는 한쌍의 막대가 병설되어 이루어지는 프레스바(300)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이 헤머(500)는 프레스바(300)내에 가로건너 설치되는 크로스바(310)상에서 상부로부터 하부로 관통되게 설치되어 자유로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헤머(500)는 상단부에 논슬립구조를 갖는 푸시노브(510)와, 하단에 가압부(52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렇게 구성되는 헤머(500)는 탄성이 우수한 복원부재(530)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푸시노브(510)에 가압되는 누름력이 해제되면 원위치로 복귀되게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헤머(500)의 원상복귀를 위해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였으나, 이 복원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수공적으로 헤머를 내려눌렀다 들어올리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본 발명에서 실시예로 보이고 있는 것은 양 헤머(500)는 별도의 가압력에 의해 각각 펀칭공정을 수행하게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이외 양 헤머(500)의 사이에 별도의 연동구조를 부가적으로 갖추어 양 헤머가 동시적으로 펀칭공정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베이스(100)의 상면 적당한 위치, 즉 프레스바(300)가 펀칭작업을 위해 최하강된 위치에서 헤머(500) 직하부의 양측에 집철을 위한 패스너(800)의 하단 마감부를 압착방식으로 마무리 성형시키는 한쌍의 스냅(700)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스냅(700)은 도 8에서와 같이 베이스(100)에 천공시킨 인서트홀을 통하여 끼워맞춤식으로 설치되는데, 이렇게 설치되는 스냅(700)은 대략 몸체가 상기 가압부(520) 외경의 절반 이하 크기의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상면에 도너츠형과 같은 요홈(710)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홈(710)은 헤머(500)의 누름력에 의해 압착되는 패스너(800) 마감부의 마무리 형상을 이루게할 것이다.
이렇게 설치되는 스냅(700)은 베이스(100)상면에 그 상면으로부터 다소 내려 앉으며 소폭으로, 즉 이후 설명할 패스너플레이트를 이용한 바인딩공정시 그 패스너플레이트의 위치 잡이와 정렬을 위해 긴밀히 삽입 압착되며, 상기 헤머(500)배열과 병행한 방향으로 배치되게 형성한 요입형의 안치홈(130)내 양측 각각에 구비시킨 적어도 하나이상의 인서트홀(131),(132)을 이용해 삽탈식으로 설치되게 하였다. 이때 양측 각각의 인서트홀(131),(132)은 상기 양측 헤머(500)의 가압부(520) 외경내에 위치된다. 이러한 인서트홀(131),(132)은 2종의 지철구 사용에 대처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현재 보급되고 있는 70㎜와 80㎜형의 지철구를 모두 수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패스너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패스너(800)는 대략 중공의 원통관체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상단에 플랜지형의 두부(810)와, 그 두부(810)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연장부(820), 그리고 연장부(820)의 하단부에 연이어져 구성되는 마감부(830)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패스너(800)의 연장부(820)는 집철할 서류의 두께 길이를 가지게 되는데, 이때 연장부(820)는 집철할 서류 두께 보다 다소 긴 길이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다종의 패스너(800)을 가지고 서류 두께에 구애 없이 간단히 집철을 이루게 된다.
또 이러한 패스너(800)의 마감부(830)는 그 연장부(820)의 주벽을 그 단부로 부터 내측으로 일정길이 찌져내 이루어지는 절리홈(831)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마감부(830)의 절리홈(831)은 헤머 압착공정의 누룸력에 의해 그 마감부(830)가 외향으로 쉬웁게 벌어지게 하여 집철할 서류에 성형시킨 홀의 주위를 에워쌓아 집철을 이루게 하였다. 이렇게 구성되는 패스너(800)의 연장부(320) 외경은 서류에 펀칭되는 홀(910)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너비를 가지고 긴밀히 삽입되는 굵기를 가진다. 이러한 패스너(800)의 긴밀한 삽입은 집철된 서류의 모습을 가지런히 정리시키고 서류의 보관성을 향상시킬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패스너(800)는 연질의 금속재를 이용하여 제조하는데, 바람직하기에는 알루미늄 또는 황동이다.
그리고 펀칭부(200)의 덮개(201) 이면에는 바인더의 기계적 요소, 예를 들어 상기 펀칭부(200)의 램(220)이 소켓(221A)를 이용해 설치되는 펀치(221)를 결속, 해체시키는 렌지볼트(240)을 분해, 조립시키기 위한 렌지(10)등의 공구를 보관시키는 수납홀(201A)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면 도 10를 참조하여 본 발명 바인더를 이용한 바인딩공정을 설명하겠다. 도 10의 (A)는 지그테이블(400)이 베이스(100)의 슬롯(110) 제2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이와같은 위치에서 지그테이블(400)상에 설치되어 있는 클램프(410)를 들어올린후 그 지그테이블(400)에 서류의 탑재과정을 이루게 된다. 이때 서류는 위치정렬수단(420)에 의해 정렬되며 지그테이블 중앙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지그테이블의 위치는 서류의 탑재는 물론, 이후에 설명할 패스너의 압착공정 및 바인딩이 완료된 서류를 꺼내는 위치이다.
도 10의 (B)는 집철할 서류의 홀 성형을 위한 펀칭공정을 이루는 위치로서, 이 위치는 상기 탑재공정의 위치에서 좌향으로 밀어넣어 그 지그테이블(400)가 슬롯(110)의 제1위치로 이동한 위치이다. 이 위치는 집철할 서류의 좌단부가 펀칭부(200) 밑으로 들어가 핀칭공정을 대기하는 위치로써, 이러한 위치에서 프레스바(300)를 내려누르면 펀칭부(200)의 램(220)에 구비되는 펀치(221)가 서류를 관통하며 펀칭공정을 이루게 된다. 이때 펀칭공정에서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스크랩은 펀치(221) 내경을 타고 밀려올라와 램(220)의 쳄버(230)에 일시적으로 채류되었다 그 쳄버(230) 하부에 연이어 구성되는 배출통로(231)를 따라 흘러내리어 수거통(240)에 모집된다. 이렇게 수거통(240)에 스크랩이 채워지면 그 수거통(240)을 펀칭부(200)로부터 빼내어 수처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도 10의 (C)는 상기 도 10의 (A)와 같은 위치로서, 지그테이블(400)이 펀칭부(200)으로부터 빠져나와서 펀칭된 서류(900)의 홀(910)이 펀칭부(200)로부터 벗어나고, 이와같은 상태에서 펀칭된 서류(900)의 홀(910)에 패스너(800)을 끼워넣는다. 이때 패스너(800)가 삽입된 서류(900)의 홀(910)은 베이스(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스냅(700) 위치와 일치할 것이다.
또한 도 10의 (D)는 패스너의 압착공정을 보이고 있다. 이 압착공정은 상기 스패너의 삽입공정 위치와 동일한 위치로서, 먼저 프레스바(300)를 상기의 펀칭공정에서와 같이 내려눌러 수평상태로 유지시키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헤머(500)에 누름력을 가하여 그 헤머(500)의 가압부(520)가 패스너(800)를 압착시킨다. 이때 헤머(500)의 가압력이 패스너(800)상에 가해지면 그 패스너(800)의 마감부(830)는 스냅(700)의 요입부(710)를 따라 내려가면서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그 요입부(710)의 경사면에 의해 절리홈(831)이 자연스럽게 찌어지며 외향으로 벌어지졌다 그 단부가 요입부(710)의 모양을 말아지면서 홀(910) 주위를 감싸아 서류 집철을 완료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같이 서류의 집철을 완료후 헤머(500)와 프레스바(300)에 가압력이 해제되면 도 10의 (A)와 같은 위치로 복귀되어서 다음 바인딩 공정을 대기하게 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 바인딩 방법에 의해 집철된 서류를 보이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집철할 서류(900)에 펀처로 성형된 홀(910)을 통해 중공의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패스너(800)를 끼워넣고 그 패스너(800)의 하단부인 마감부(830)를 압착공정에 의해 마무리하여 간단하고도 견고한 집철을 이루게 된다.

Claims (12)

  1. 낱장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서류나 문서를 한데 가지런히 정리하는 정렬단계, 상기 정리된 서류의 일측 가장자리를 선택하여 펀칭공정을 이루어 집철을 위한 홀을 성형시키는 펀칭단계;
    상기의 서류에 형성된 홀을 통해 일단에 머리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집철할 서류 두께의 길이를 가지며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패스너를 그 정리된 서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시키어 서류 일측으로 패스너 상단의 머리부를 위치시키는 패스너의 삽입단계; 및
    상기의 서류 타측으로는 그 패스너의 하단을 외향으로 접어내어 서류 타측부의 홀 주위를 덮어씌우는 것으로 서류를 집철하는 압착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를 이용한 바인딩방법.
  2. 장방형의 판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의 상면 적당한 위치에 요입형을 구비되는 패스너플레이트 위치잡이슬롯과, 그 패스너위치정렬홀내에 삽탈식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스냅을 구비시킨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몸체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바인딩할 서류가 탑재되어 그 바인딩할 서류의 펀칭 및 바인딩위치를 안내하는 지그테이블;
    상기 베이스의 일측부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한쌍의 가이드바를 따라 승강하며 탄성부재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바인딩을 위한 홀을 성형시키는 펀치를 구비한 램을 가지는 펀칭부;
    상기 펀칭부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펀칭부를 중심으로 하여 시이소식으로 구동하며 상기 램에 펀칭공정을 위한 가압력을 가하는 프레스바; 및
    상기 프레스바의 펀치 위치를 벗어난 소정 위치에 프레스바의 펀칭공정을 위한 최대 하강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구비시킨 한쌍의 스냅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한쌍의 헤머를 포함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램에 구비되는 펀치의 주위에 펀칭공정후 그 펀칭된 홀부분의 주위가 따라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는 프레스부를 갖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바인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헤머는 프레스바상에서 상하로 자유로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헤머에 누룸력이 해제되면 탄성부재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한 것을 포함하는 바인더.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테이블상에 펀칭 및 바인딩할 서류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 유지시키는 클램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테이블상에 양측이 연동적이고 동시적으로 벌어졌다 오라지며 펀칭 및 바인딩할 서류의 위치를 한쌍의 펀치 중심에 정렬 및 그 서류를 가지런히 모으며 유동을 방지하는 한쌍의 위치정렬수단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을 베이스상에 상기 헤머의 가압부 저면 너비 이내로 구비시킨 하나이상의 삽입홀을 이용해 그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한 것을 더 포함하는 바인더.
  8. 몸체가 장방형의 판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몸체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펀칭할 서류가 탑재되어 그 서류의 펀칭위치 및 펀칭위치를 벗어나게 안내하는 지그테이블;
    상기 지그테이블상에 그 지그테이블상으로 탑재되는 서류를 고정유지시키게 하는 클램프;
    상기 지그테이블상에 펀칭할 서류의 중심잡이 및 서류의 유동을 방지하는 위치정렬수단;
    상기 베이스의 일측부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한쌍의 가이드바를 따라 승강하며 탄성부재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홀을 성형시키는 펀치를 구비한 램을 가지는 펀칭부;
    상기 펀치의 외주위로 설치되어 펀칭공정 완료후 펀치의 상향시 홀주위를 내려누르어 홀주위가 펀치를 따라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는 프레스부; 및
    상기 펀칭부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펀칭부의 램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시이소식으로 구동하며 상기 램에 펀칭공정을 위한 가압력을 가하는 프레스바를 포함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부의 램에는 펀칭공정시에서 발생하는 서류의 펀칭잔유물인 스크랩을 수용하는 챔버를 갖춘 것을 더 포함하는 펀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를 다각형상의 소켓에 편심되게 설치하고, 이 펀치를 소켓을 이용해 램에 삽탈하게 설치하며 그 펀치의 펀칭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처.
  11. 중공의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지진 몸체의 상단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플랜지형의 두부;
    상기 두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바인딩할 서류의 홀을 관통하여 그 집철할 서류의 두께 보다 다소 긴 길이를 가지며, 홀의 내경에 긴밀히 삽입되는 외경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관의 하단부에 그 주벽 단부로부터 일정길이 내향으로 찌어지어 구성되는 수개의 절리홈에 의해 서류의 홀 주위를 덮어 씌위는 것으로 집철을 이루게 하는 마감부를 포함하여
    서류를 압착방식으로 간단히 바인딩함과 아울러, 패스너 몸체의 중공 관통부를 이용해 2차파일링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12.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소폭의 얇은 평판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측에 적당한 간격을 가지고 성형되는 바인딩홀;
    상기 바인딩홀 주위를 프레스 가공하여 집철측인 내향에서 외향으로 가며 점차 좁아지며 구성되는 원추형상의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위를 프레스 가공하여 그 가이드부 뿌리측 둘레로 이루어지는 요입부를 포함하여
    중공의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패스너를 이용해 낱장의 서류를 집철시 그 패스너와 집철할 서류의 사이에 부가적으로 개재시키어 패스너와 형합을 이루며 바인딩을 이루도록한 패스너 플레이트.
KR1019970051471A 1997-10-07 1997-10-07 패스너를 이용한 바인딩 방법과 펀처를 겸한 바인더 및 그 패스너 KR100242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471A KR100242866B1 (ko) 1997-10-07 1997-10-07 패스너를 이용한 바인딩 방법과 펀처를 겸한 바인더 및 그 패스너
BR9804170-3A BR9804170A (pt) 1997-10-07 1998-10-07 Encadernador de acionamento manual apresentando mecanismo de perfuração.
JP10285684A JP3072625B2 (ja) 1997-10-07 1998-10-07 パンチャーとパンチャーを兼ねたバインダー
CN98120926A CN1079743C (zh) 1997-10-07 1998-10-07 带穿孔机构的手动装订机
EP98118896A EP0908327A3 (en) 1997-10-07 1998-10-07 Hand-operator binder with punch mechanis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471A KR100242866B1 (ko) 1997-10-07 1997-10-07 패스너를 이용한 바인딩 방법과 펀처를 겸한 바인더 및 그 패스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968A true KR19990030968A (ko) 1999-05-06
KR100242866B1 KR100242866B1 (ko) 2000-02-01

Family

ID=19522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1471A KR100242866B1 (ko) 1997-10-07 1997-10-07 패스너를 이용한 바인딩 방법과 펀처를 겸한 바인더 및 그 패스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908327A3 (ko)
JP (1) JP3072625B2 (ko)
KR (1) KR100242866B1 (ko)
CN (1) CN1079743C (ko)
BR (1) BR98041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970B1 (ko) * 2014-03-28 2015-03-19 박진우 철침가압 프레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0838B2 (en) 2007-03-30 2009-11-03 Staples The Office Superstore, Llc Hole punch
JP2012525285A (ja) * 2009-04-27 2012-10-22 忠烈 李 文書穿孔構造を持つバインダー
CN102092214B (zh) * 2011-01-13 2013-11-27 汕头市东和机械有限公司 商业夹生产线扣合装置的自动装配总承
JP6250877B2 (ja) * 2013-04-22 2017-12-20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テープ接続用治具
KR200473735Y1 (ko) * 2013-05-31 2014-07-24 오기영 보호 필름의 펀칭 조각 제거용 지그장치
CN103434293B (zh) * 2013-08-06 2015-08-19 王金华 一种多功能装订机
CN104149515B (zh) * 2014-08-22 2017-05-03 浙江智源办公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旋转式定位钻孔热铆一体装置
CN106553470A (zh) * 2016-11-24 2017-04-05 王国希 装订机
CN108045124B (zh) * 2017-11-29 2019-07-26 辽宁科技学院 用于密封装订试卷的装置
CN107804086B (zh) * 2017-12-04 2019-05-17 蓝光元 一种纸质办公用品打孔装置
CN108422765A (zh) * 2018-03-14 2018-08-21 浙江协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打孔功能且便于装订的文件夹
CN108327417B (zh) * 2018-04-16 2023-09-29 国网山东省电力公司烟台供电公司 一种全自动档案装订机
CN108356907B (zh) * 2018-05-10 2019-08-27 芜湖金钥匙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办公用的自动对齐打孔机
CN110103605B (zh) * 2019-05-17 2021-02-26 中富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图像管理设备
CN110341342B (zh) * 2019-08-15 2020-08-28 浙江农林大学暨阳学院 一种会计用气缸式打孔装订装置
CN110682709B (zh) * 2019-09-27 2021-04-13 安徽浩杨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装订机的墙板
CN111284158B (zh) * 2020-02-14 2021-01-08 重庆航天职业技术学院 一种无针订书机
CN112123440A (zh) * 2020-09-11 2020-12-25 湖南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会计档案打孔器
CN112937152B (zh) * 2021-03-23 2022-08-02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沧州供电分公司 一种财务报表修整装置
CN113524941B (zh) * 2021-06-29 2022-07-12 浙江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财务票据的装订方法
CN115302967B (zh) * 2022-07-12 2024-03-29 国电电力宁夏新能源开发有限公司 一种财务报表装订装置及装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636A (en) * 1892-09-13 hillman
DE393404C (de) * 1923-04-18 1924-04-01 Guhl & Co Vorschubvorrichtung fuer das zur OEsenbildung dienende Metallband an Loch- und Heftaparaten
GB1522604A (en) * 1974-09-20 1978-08-23 Jesty V Binding apparatus
JP3407151B2 (ja) * 1994-04-28 2003-05-19 ぺんてる株式会社 紙束穿孔綴じ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970B1 (ko) * 2014-03-28 2015-03-19 박진우 철침가압 프레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08327A3 (en) 1999-05-19
CN1079743C (zh) 2002-02-27
EP0908327A2 (en) 1999-04-14
KR100242866B1 (ko) 2000-02-01
JP3072625B2 (ja) 2000-07-31
CN1213615A (zh) 1999-04-14
JPH11208143A (ja) 1999-08-03
BR9804170A (pt) 1999-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30968A (ko) 패스너를 이용한 바인딩 방법과 펀처를 겸한 바인더 및 그 패스너
DE60022617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Heften
WO1996009917A1 (de) Vorrichtung zum biegen drahtartiger materialien
WO2003015987A1 (de) Schleifblatträger und handschleifmaschine
CN208323575U (zh) 一种多功能会计专用工具
DE60012880T2 (de) Schiebergleitstück und Schiebereinheit, in der das Schiebergleitstück verwendet wird
ATE258832T1 (de)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zwei oder mehreren aufeinanderliegenden blechen
DE20100031U1 (de) Presszange
US7661918B2 (en) Binding machine and method
CN210190000U (zh) 一种财会文件打孔装置
CN219806635U (zh) 一种装订器
CN219132494U (zh) 一种财务票据整理打孔装置
DE2758200C2 (de) Heftwerkzeug
CN216507563U (zh) 一种财务凭证整理装订装置
CN113442204B (zh) 一种财务用凭证装订机
US6715656B1 (en) Stapling device
CN218966521U (zh) 一种票据装订机
CN220480022U (zh) 一种改进的折板器
CN212242714U (zh) 一种会计账页压缩立式盒体装订器
CN212949790U (zh) 一种会计文件装订机的压纸台锁紧机构
US1215160A (en) Bookbinding appliance.
CN212889544U (zh) 一种快速装订装置
CN220662080U (zh) 一种会计凭单装订机
CN214723926U (zh) 一种订书钉整理器
CN215620964U (zh) 一种便于装订的凭证储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