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970B1 - 철침가압 프레스 - Google Patents

철침가압 프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970B1
KR101502970B1 KR20140036426A KR20140036426A KR101502970B1 KR 101502970 B1 KR101502970 B1 KR 101502970B1 KR 20140036426 A KR20140036426 A KR 20140036426A KR 20140036426 A KR20140036426 A KR 20140036426A KR 101502970 B1 KR101502970 B1 KR 101502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ch
iron
document
cylinde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36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우
Original Assignee
박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우 filed Critical 박진우
Priority to KR20140036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9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02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0Driving means
    • B25C5/11Driving means operated by manual or foot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7/00Accessories for nailing or stapling tools, e.g.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침가압 프레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면이 개방된 통체와, 상기 통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철침을 가압하여 누르는 누름부를 갖는 누름부재와, 상기 통체에 대해 상기 누름부재가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누름부의 하면에는 상기 철침의 상측을 수용하는 철침수용홈이 가로질러 형성되고, 상기 통체의 하단부 일측에는 상기 철침수용홈의 길이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제1노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문서나 서류 등에 박힌 철침을 철침수용홈에 대응하도록 정확하고,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문서나 서류 등에 박힌 철침의 양측 끝 부분을 가압하여 문서나 서류 등에 평평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철침가압 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철침가압 프레스{Press for staple pressurization}
본 발명은 철침가압 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문서나 서류 등에 박힌 철침의 상부 양측을 가압하여 문서나 서류 등에 평평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철침가압 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서나 서류 등을 철하기 위해서 스테이플러가 사용된다.
스테이플러는 'ㄷ'자 모양으로 절곡 형성된 철침을 사용하여 문서나 서류 따위를 철하는 도구로써 일상생활에 흔히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스테이플러로 적층된 문서나 서류 등을 철하게 되면 철침의 절곡된 양측 끝 부분이 제대로 구부러지지 않아 적층된 문서나 서류에 밀착되지 않고 외측으로 튀어나오게 된다. 이에 따라 철침의 튀어나온 부분에 손이 걸리거나 찔려 상처를 입게 될 뿐만 아니라 철침으로 고정된 문서나 서류 등이 쉽게 빠져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1830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1830호에서는 상면부가 만곡형으로 라운드진 철침누름홈(24) 형성되어 있어서 서류 등에 박혀 외측으로 튀어나온 철침(4)의 양측 끝 부분을 투명하면서 높은 강도를 지닌 합성수지재질의 누름부재(23)가 가압하면 철침누름홈(24)에 의해 철침(4)의 양측 끝 부분이 만곡형으로 구부러지면서 서류 등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철침가압 프레스는 철침누름홈(24)의 위치를 육안으로 파악하여 철침(4)의 상부 양측을 철침누름홈(24)에 삽입해야하기 때문에 철침(4)의 양측 끝 부분을 정확하게 철침누름홈(24)에 삽입하는 것이 매우 힘들고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철침가압 프레스는 철침(4)의 상부 양측을 만곡형으로 구부러지게 하여 문서나 서류 등에 밀착되게 하므로 다수의 문서나 서류 등의 적층 시에 철침(4)이 박힌 부분이 매우 두꺼워져 적층 된 문서나 서류 등이 저절로 흘러내리거나 쓰러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철침가압 프레스는 다양한 호수의 철침(4)을 가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351830 B1
본 발명은 문서나 서류 등에 박힌 철침을 철침수용홈에 대응하도록 정확하고,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문서나 서류 등에 박힌 철침의 상부 양측을 가압하여 문서나 서류 등에 평평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철침가압 프레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침가압 프레스는, 하면이 개방된 통체와, 상기 통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철침을 가압하여 누르는 누름부를 갖는 누름부재와, 상기 통체에 대해 상기 누름부재가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누름부의 하면에는 상기 철침의 상측을 수용하는 철침수용홈이 가로질러 형성되고, 상기 통체의 하단부 일측에는 상기 철침수용홈의 길이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제1노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침수용홈은 그 중심이 가장자리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침수용홈의 중심과 가장자리의 높이 차이는 상기 철침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노치와 대향 되도록 상기 통체의 하단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2노치와, 상기 통체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치수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치수조절부재에는 하나 이상의 제3노치와 하나 이상의 치수조절홈이 서로 대향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노치는 상기 제1노치 또는 상기 제2노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3노치와 대향 되도록 형성된 상기 치수조절홈은 상기 제1노치 또는 상기 제2노치 중 나머지 하나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는 문서나 서류 등에 박힌 철침을 철침수용홈에 대응하도록 정확하고,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는 문서나 서류 등에 박힌 철침의 상부 양측을 손쉽게 가압하여 문서나 서류 등에 평평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는 누름부재로 문서나 서류 등에 박힌 철침을 가압할 경우, 누름부재의 하면에 형성된 철침수용홈이 철침의 폭 방향 양측을 잡아주어 철침이 제대로 가압 될 수 있게 해준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는 누름부재로 문서나 서류 등에 박힌 철침을 가압할 경우, 누름부의 하면에 형성된 좌우 측 경사면이 철침의 상부 양측을 철침의 중심 측으로 가이드 하는 동시에 밀어주므로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철침의 상부 양측을 평평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는 치수조절부재를 사용하여 다양한 호수의 철침을 가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는 문서나 서류 등에 박힌 철침을 문서나 서류 등에 평평하게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문서나 서류를 적층 하여 정리하여도 적층 된 문서나 서류 등이 저절로 흘러내리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는 문서나 서류 등에 박힌 철침을 문서나 서류 등에 평평하게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철침에 손이 걸리거나 찔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철침가압 프레스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에 철침이 수용되는 과정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로 철침을 가압하는 과정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일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를 도시한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에 철침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를 도시한 저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에 철침이 수용되는 과정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로 철침을 가압하는 과정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는, 하면이 개방된 통체(100)와, 통체(10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철침(10)을 가압하여 누르는 누름부(230)를 갖는 누름부재(200)와, 통체(100)에 대해 누름부재(200)가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300)을 포함하되, 누름부(230)의 하면에는 철침(10)의 상측을 수용하는 철침수용홈(231)이 가로질러 형성되고, 통체(100)의 하단부 일측에는 철침수용홈(231)의 길이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제1노치(130)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통체(100)는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통체(100)의 상면 중앙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원형 링 형상의 제1돌출부(110)가 형성된다.
제1돌출부(110)의 내주면 사이 중앙에는 통체(100)의 상면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120)이 형성된다.
관통공(120)은 후술할 누름부재(200)의 바(220)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관통공(120)은 바(220)를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통체(100)의 하면은 개방되어 문서나 서류(1, 이하에서는 문서라고 합니다.) 등에 박힌 철침(10)의 상부 양측을 수용한다.
통체(100)의 내주면 직경은 문서(1)에 박힌 철침(10)의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통체(100)는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통체(100)에는 누름부재(200)가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누름부재(200)는 바(220)와 조작부(210)와 누름부(230)로 구성된다.
바(220)는 원형의 긴 막대 형상으로 관통공(120)에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바(220)의 상단부에는 조작부(210)가 설치된다.
조작부(210)는 바(220)와 후술할 누름부재(200)를 하강시키는 조작을 하기 위한 부분이다.
바(220)와 후술할 누름부재(200)는 조작부(210)를 손으로 누름에 따라 하강하게 된다.
조작부(210)는 손으로 감싸 누르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면이 상측으로 볼록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조작부(210)의 하면 중앙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원형 링 형상의 제2돌출부(211)가 형성된다.
제2돌출부(211)는 통체(100)에 형성된 제1돌출부(11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제1돌출부(110)에 대향 되도록 형성된다.
조작부(210)의 하면과 통체(100)의 상면() 사이에는 스프링(300)이 설치된다.
스프링(300)은 바(220)의 통체(100)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끼워져 있다.
스프링(300)의 하부는 제1돌출부(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스프링(300)의 상부는 제2돌출부(211)의 내부에 위치하여 횡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게 고정된다.
스프링(300)은 통체(100)에 대해 누름부재(200)가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해 준다.
즉, 조작부(210)를 손으로 눌러 누름부재(200)를 하방으로 이동시킨 후, 조작부(210)를 누른 손을 떼게 되면 누름부재(200)가 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바(220)의 하단부에는 누름부(230)가 설치된다.
누름부(230)는 원판 형상으로 바(220)의 승강에 따라 함께 움직인다.
누름부(230)는 통체(100)의 내주면에 의해 가이드 된다.
누름부(230)는 문서(1)에 박힌 철침(10)의 상부 양측을 직접적으로 가압하여 누르는 부분이다.
누름부(230)의 하면에는 문서(1)에 박힌 철침(10)의 상부 양측을 수용하는 철침수용홈(231)이 형성된다.
철침수용홈(231)은 누름부(230)의 하면 직경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철침수용홈(231)의 종단면 형상은 이등변삼각형 형상이다.
철침수용홈(231)의 전후 폭(w1)은 누름부재(200)를 하방으로 눌러 철침(10)을 가압할 때, 철침(10)이 전후방으로 눕지 않을 정도로 하여 철침(10)의 전후 폭(w2)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철침수용홈(231)은 중심에서 좌우 측 가장자리로 갈수록 얕게 파여 져 있다.
철침수용홈(231)은 그 중심이 가장자리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형성되고, 이로 인해 철침수용홈(231) 내부에는 제1경사면(233)과 제2경사면(235)이 형성된다.
이때, 철침수용홈(231)의 중심과 가장자리의 높이 차이(h)는 철침(10)의 상하 두께(d)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이는 철침수용홈(231)의 중심과 가장자리의 높이 차이(h)가 철침(10)의 두께(d)보다 클 경우 철침(10)이 문서(1)의 상면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경사면(233)은 철침수용홈(231)의 상단 중심에서 우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면이다.
제2경사면(235)은 철침수용홈(231)의 상단 중심에서 좌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면이다.
제1경사면(233)의 좌측 단부와 제2경사면(235)의 우측 단부는 철침수용홈(231)의 상단 중심에서 서로 만나도록 형성된다.
제1경사면(233)은 누름부재(200)를 하방으로 누를 시, 문서(1)에 박힌 철침(10)의 상부 우측 단부 측에 우측 하방으로 경사진 제1절곡부(101)의 좌측 단부를 철침(10)의 중심 측으로 밀어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경사면(233)은 제1절곡부(101)가 철침(10)의 중심 측으로 밀려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제2경사면(235)은 누름부재(200)를 하방으로 누를 시, 문서(1)에 박힌 철침(10)의 상부 좌측 단부 측에 우측 하방으로 경사진 제2절곡부(103)의 우측 단부를 철침(10)의 중심 측으로 밀어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2경사면(235)은 제2절곡부(103)가 철침(10)의 중심 측으로 밀려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도 한다.
이로 인해 문서(1)에 박힌 철침(10)의 상부 양측은 철침(10)의 중심 측으로 밀려 이동하게 되고, 문서의 상면에 평평하게 밀착되게 된다.
통체(100)의 하단부 일측에는 철침수용홈(231)의 길이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제1노치(130)가 형성된다.
제1노치(130)는 통체(100)의 외주면 일측 맨 하단부에 형성되어 철침(10)이 통체(100)에 수용되기 위한 입구의 역할을 한다.
제1노치(130)는 통체(100)의 내부에 설치된 누름부(230)의 철침수용홈(231)의 길이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형성된다.
이는 제1노치(130)를 통해 통체(100)로 수용된 철침(10)이 철침수용홈(23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노치(130)는 통체(100)를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문서(1)에 박힌 철침(10)의 상부 양측을 통체(100)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제1노치(130)를 통해 철침(10)을 수용한 통체(100)는 철침(10)의 일부분이 통체(100)의 내주면에 걸려 더 이상 횡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때 철침(10)은 통체(100)의 내주면 직경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므로 통체(100)의 내주면 사이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문서(1) 박힌 철침(10)은 누름부(230)의 철침수용홈(23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배치되어 가압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문서(1)에 박힌 철침(10)의 돌출된 부분을 상방으로 향하게 하여 문서(1)를 놓는다.
통체(100)의 제1노치(130)를 철침(10)의 길이방향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통체(100)를 문서(1) 위에 두고, 통체(100)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던 통체(100)가 철침(10)에 걸려 움직이지 않게 되면 누름부재(200)의 조작부(210)를 손으로 누른다.
손으로 조작부(210)를 누름에 따라 조작부(210)의 하단부에 설치된 바(220)와, 바(220)의 하단부()에 설치된 누름부(230)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누름부(230)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누름부(230)의 하면에 형성된 제1경사부()와 제2경사부()는 통체(100) 내부로 수용된 철침(10)의 상부 양측을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문서(1)에 박혀 상부로 돌출되어 있던 철침(10)은 문서(1)의 상면에 평평하게 밀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에 철침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침가압 프레스는, 제1노치(130)와 대향 되도록 통체(100)의 하단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2노치(140)와, 통체(10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치수조절부재(400)를 더 포함하되, 치수조절부재(400)에는 하나 이상의 제3노치(410)와 하나 이상의 치수조절홈(420)이 서로 대향 되도록 형성된다.
통체(100)의 하단부 타측에는 철침수용홈(231)의 길이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제2노치(140)가 형성된다.
제2노치(140)는 통체(100)의 외주면 타측 맨 하단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타측이라 함은 통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제1노치(130)와 대향 되는 위치를 뜻한다.
제2노치(140)는 제1노치(13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노치(140)는 통체(100)의 직경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철침(10)을 가압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통체(100)의 외주면에는 치수조절부재(400)가 끼워진다.
치수조절부재(400)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치수조절부재(400)는 제2노치(140)와 마찬가지로 통체(100)의 직경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철침(10)을 가압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치수조절부재(400)에는 하나 이상의 제3노치(410)와 하나 이상의 치수조절홈(420)이 서로 대향 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3노치(410)와 치수조절홈(420)이 각각 세 개씩 형성된 치수조절부재(400)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제3노치(410)와 치수조절홈(420)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세 개의 제3노치(410)는 치수조절부재(40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치수조절부재(400)의 원주를 따라 각각 이격 되어 형성된다.
각각의 제3노치(410)에 대향 되는 치수조절부재(400)의 내주면에는 치수조절홈(420)이 각각 형성된다.
각각의 치수조절홈(420)은 서로 이웃하는 두 제3노치(410) 사이에 형성된다.
각각의 치수조절홈(420)은 치수조절부재(400)의 내주면에서 외주면 측, 즉 치수조절부재(400)의 내주면에서 횡방향으로 일부분이 파여 져 있다.
각각의 치수조절홈(420)의 횡방향 측 깊이는 철침(10)의 호수에 따라 각각 다르게 형성된다.
제3노치(410)는 제1노치(130) 또는 제2노치(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통되게 형성되는데 도 9 및 도 10에서는 제1노치(130)에 연통되어 있다.
이때, 제3노치(410)에 대향되는 치수조절홈(420)은 제2노치(140)에 연통되게 위치한다.
이로써 철침(10)은 동일 선상에 위치한 제3노치(410)에서 제1노치(130), 제2노치(140), 치수조절홈(420)에 걸쳐 통체(100) 및 치수조절부재(400)에 수용될 수 있다.
제3노치(410)의 단부와 대향 되는 치수조절홈(420)의 단부 사이 거리는 통체(1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치수조절부재(400)를 사용하지 않을 때 가압할 수 있는 철침(10)의 호수에 비해 더 큰 호수의 철침(10)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세 개의 치수조절홈(420)는 홈의 깊이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므로 원하는 치수조절홈(420)을 제1노치(130) 또는 제2노치(140)와 연통되게 하여 호수가 다른 여러 종류의 철침(10)을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깊이라 함은 치수조절부재(400)의 내주면에서 외주면 측으로의 깊이를 말한다.
통체(100)의 외주면 중, 제1노치(130)의 상부와 제2노치(140)의 상부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부(150)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치수조절부재(400)의 내주면 중, 각각의 제3노치(410)와 각각의 치수조절홈(420)의 상부에는 가이드부(150)의 형상에 대응하는 가이드홈(430)이 형성된다.
통체(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부(150)는 치수조절부재(400)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430)에 종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어 통체(100)가 치수조절부재(400)에 고정되게 한다.
가이드부(150)와 가이드홈(430)은 원하는 치수조절홈(420)을 제1노치(130) 또는 제2노치(140)에 연통시키는 것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해준다.
다른 호수의 철침(10)을 가압할 경우에는 치수조절부재(400)에 삽입되어 있는 통체(100)를 상방으로 뺀 다음, 통체(100)를 회전시켜 원하는 치수조절홈(420)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에(430) 가이드부(150)를 삽입시키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 문서 10 : 철침
100 : 통체 101 : 제1절곡부
103 : 제2절곡부 110 : 제1돌출부
120 : 관통공 130 : 제1노치
140 : 제2노치 150 : 가이드부
200 : 누름부재 210 : 조작부
211 : 제2돌출부 220 : 바
230 : 누름부 231 : 철침수용홈
233 : 제1경사면 235 : 제2경사면
300 : 스프링 400 : 치수조절부재
410 : 제3노치 420 : 치수조절홈
430 : 가이드홈
h : 철침수용홈의 중심과 가장자리의 높이 차이
d : 철침의 상하 두께
w1 : 철침수용홈의 전후 폭
w2 : 철침의 전후 폭

Claims (5)

  1. 하면이 개방된 통체;
    상기 통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철침을 가압하여 누르는 누름부를 갖는 누름부재;
    상기 통체에 대해 상기 누름부재가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누름부의 하면에는 상기 철침의 상측을 수용하는 철침수용홈이 가로질러 형성되고,
    상기 통체의 하단부 일측에는 상기 철침수용홈의 길이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제1노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침가압 프레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침수용홈은 그 중심이 가장자리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침가압 프레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침수용홈의 중심과 가장자리의 높이 차이는 상기 철침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철침가압 프레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노치와 대향 되도록 상기 통체의 하단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2노치;
    상기 통체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치수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치수조절부재에는 하나 이상의 제3노치와 하나 이상의 치수조절홈이 서로 대향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침가압 프레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노치는 상기 제1노치 또는 상기 제2노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3노치와 대향 되도록 형성된 상기 치수조절홈은 상기 제1노치 또는 상기 제2노치 중 나머지 하나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침가압 프레스.
KR20140036426A 2014-03-28 2014-03-28 철침가압 프레스 KR101502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6426A KR101502970B1 (ko) 2014-03-28 2014-03-28 철침가압 프레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6426A KR101502970B1 (ko) 2014-03-28 2014-03-28 철침가압 프레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2970B1 true KR101502970B1 (ko) 2015-03-19

Family

ID=53027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6426A KR101502970B1 (ko) 2014-03-28 2014-03-28 철침가압 프레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9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829B1 (ko) 2016-10-27 2017-08-03 김영제 스테이플러용 침 변형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968A (ko) * 1997-10-07 1999-05-06 김종명 패스너를 이용한 바인딩 방법과 펀처를 겸한 바인더 및 그 패스너
KR200334004Y1 (ko) 2003-04-18 2003-11-19 이정길 철심 밀착용 회전 롤러가 부착된 스테이플러
KR20100128373A (ko) * 2009-05-28 2010-12-08 양현석 철심이 편평하게 접히는 스테이플러
KR101351830B1 (ko) 2012-11-29 2014-01-20 오병준 제침 및 철침누름기능이 부가된 스테플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968A (ko) * 1997-10-07 1999-05-06 김종명 패스너를 이용한 바인딩 방법과 펀처를 겸한 바인더 및 그 패스너
KR200334004Y1 (ko) 2003-04-18 2003-11-19 이정길 철심 밀착용 회전 롤러가 부착된 스테이플러
KR20100128373A (ko) * 2009-05-28 2010-12-08 양현석 철심이 편평하게 접히는 스테이플러
KR101351830B1 (ko) 2012-11-29 2014-01-20 오병준 제침 및 철침누름기능이 부가된 스테플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829B1 (ko) 2016-10-27 2017-08-03 김영제 스테이플러용 침 변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8971B1 (ko) 스테이플러의 클린처장치
KR101502970B1 (ko) 철침가압 프레스
CN103434293B (zh) 一种多功能装订机
CN107498509A (zh) 一种省力订书机
JP4655944B2 (ja) 紙製ステープルの打ち込み機
TWI483816B (zh) Stapler and its complex oblique groove structure
KR102179059B1 (ko) 브레이크 패드용 백플레이트의 후크돌기 성형장치
CN109647979B (zh) 单边折弯产品加工用连续级进模及其加工工艺
KR200381777Y1 (ko) 제본기능을 갖는 천공기
KR101414794B1 (ko) 문서 고정대를 포함하는 스테이플러
CN215202335U (zh) 一种多功能打孔机
KR20190066368A (ko) 슬라이딩 방식의 컴팩션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CN216095904U (zh) 可同时对空气炸锅锅体进行多道工序加工的模具结构
CN209954804U (zh) 一种内部打孔式重型纸张打孔机
KR101422774B1 (ko) 스테이플러
CN107327455A (zh) 订书钉及使用该订书钉的订书机
JP5645536B2 (ja) 環状円板成形用素材並びに環状円板成形方法及び金型
KR101210243B1 (ko) 펀칭 가공 장치
CN210730714U (zh) 一种连切带翻边的冲压模具结构
KR101422773B1 (ko) 스테이플러
CN106734688B (zh) 一种连续级进模的拉料结构
CN206373571U (zh) 一种别针加工设备的装配装置
KR200367738Y1 (ko) 스테플러를 이용한 제본기
JP3163280U (ja) 折り曲げ用罫線刻設ブレード
CN104438861A (zh) 一种起压紧作用的冲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