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308A - 보빈형성을 위하여 연속공급된 실의 권취기와 권취방법 - Google Patents

보빈형성을 위하여 연속공급된 실의 권취기와 권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308A
KR19990030308A KR1019980040929A KR19980040929A KR19990030308A KR 19990030308 A KR19990030308 A KR 19990030308A KR 1019980040929 A KR1019980040929 A KR 1019980040929A KR 19980040929 A KR19980040929 A KR 19980040929A KR 19990030308 A KR19990030308 A KR 19990030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thread
slope
bobbin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르스텐 괴르케
노르베르트 힌더러
디르크 뮬러
Original Assignee
베르너 리베르크네흐트
게오르그 샴 게젤샤프트 미트 베슈랭크터 하프퉁 운트 콤파니 코만디트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르너 리베르크네흐트, 게오르그 샴 게젤샤프트 미트 베슈랭크터 하프퉁 운트 콤파니 코만디트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베르너 리베르크네흐트
Publication of KR19990030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30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5/00Securing material to cores or for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or replacing by cores, formers, or empty receptacles a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B65H67/044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 B65H67/048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having winding heads arranged on rotary capstan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착영역(11)이 구비된 각각의 튜우브(8, 9) 상에 교대로 보빈(10)을 형성하기 위하여 연속공급되는 실(1)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기로서, 회전부재(2) 상에 착설된 두개의 피구동형 권취스핀들(4, 5), 고정적인 상부사도(19), 횡단장치(16), 접촉 로울러(14), 권취스핀들 방향(12)으로 이동가능하고 실(1)을 공 튜우브(8)의 포착영역(11)에 대하여 배치시키는 제 1 사도(23)와, 만권취 보빈(10)으로 보내어지는 실(1)의 단부를 안내하기 위한 제 2 사도(24)를 가지고, 이 제 2 사도는 회전암(20)에 착설되어 보빈(10)과 공 튜우브(8) 사이의 갭(25) 측으로 고정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착설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 1 사도(23)가 제 2 사도(24)의 회전암(20)에 배치되고, 횡단장치(16), 접촉 로울러(14), 권취스핀들(4) 및 두개의 사도(23, 24)가 사도(23, 24)를 재가하는 회전암(20)이 갭(25) 측으로 회전운동 후 상대위치에서 실(1)이 공 튜우브(8)의 표면으로부터 자유롭게 안내되고 횡단장치(16)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한편, 회전암(20)의 복귀 회전운동 중 상부사도(19)와 제 1 사도(23)를 이용하여 실(1)이 권취각도가 증가하면서 공 튜우브(8)의 포착영역(11)으로 안내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빈형성을 위하여 연속공급된 실의 권취기와 권취방법
본 발명은 포착영역이 구비된 각각의 튜우브 상에 교대로 보빈을 형성하기 위하여 연속 공급되는 실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부재 상에 착설된 두개의 피구동형 권취 스핀들, 고정적인 상부사도, 횡단장치, 접촉 로울러, 권취 스핀들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실을 비어 있는 공 튜우브의 포착영역에 대하여 배치시키는 제 1 사도와, 만권취 보빈으로 보내어지는 실의 단부를 안내하기 위한 제 2 사도를 가지고, 이 제 2 사도는 회전암에 착설되어 보빈과 공 튜우브 사이의 갭 측으로 고정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착설되는 형태의 보빈형성을 위하여 연속공급된 실의 권취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특히 포착영역이 구비된 각 튜우브에 교대로 보빈을 형성하기 위하여 연속 공급되는 실을 권취하는 권취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이 교대로 권취되는 튜우브 상에서 적어도 두개의 각 피구동형 권취 스핀들을 갖는 연속 작동형의 권취기를 포함한다. 실은 전환위치에서 단절되고 이와 같이 하여 단절된 실의 단부는 계속하여 만권취 보빈 또는 패캐지의 주연에 권취되는 반면에 새로이 시작되는 실의 선단부분은 공 튜우브의 포착영역에 의하여 결합되어 이에 고정되고 새로운 튜우브에 실이 권취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실이 단절되는 과정은 예를 들어 실에 장력을 증가시켜 실이 끊어지도록 하거나 컷팅장치를 이용하여 단절하는 등 어떠한 요구된 방법에 의하여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튜우브 상에 형성된 포착영역의 구성특성에 관계가 없다. 포착영역은 예를 들어 튜우브의 주연에 일정하게 배열된 하나 이상의 절결부 또는 슬로트의 형태일 수 있으며 또한 후크형 밴드 스트립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문의 서두에 언급된 종류의 권취기와 방법은 특허문헌 ED 195 08 032 A1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회전부재가 권취 스핀들과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구동된다. 실의 일측부에 횡단장치와 권취 스핀들이 제공되어 있는 반면에 실의 타측부에는 90°의 포장각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접촉 로울러가 착설된다. 횡단장치의 영역에는 권취 스핀들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가능하고 전한위치에서 한편으로는 횡단장치로부터 실을 인상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를 공 튜우브의 포착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사도가 제공된다. 회전암에는 공 튜우브와 보빈 또는 패키지 사이의 간극 측으로 회전될 수 있는 제 2 사도가 배치된다. 제 2 사도는 권취 스핀들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변부와, 실이 포착되는 포착슬로트 또는 절결부를 가지며, 이러한 포착슬로트 또는 절결부에 의하여 실이 이를 떠날 때 만권취 보빈 또는 패키지의 표면에 홀부분 또는 상승부분의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공지의 권취기는 별도 유니트의 형태로 구동되고 상이한 위치에 제공되는 단 두개의 사도를 이용하는 것이 잇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두개의 사도와 이들을 위하여 요구된 구동수단을 위한 구조에 소요되는 경비가 증가되는 결점이 있다. 아울러, 두개의 사도는 전환위치에서 실이 통상적인 배치 삼각형으로부터 현저하게 벗어나고 매우 심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상대위치에 배열된다. 제 2 사도의 구조와 작동모우드는 공 튜우브의 포착영역에서 실의 권취각도가 증가되는 한 유리한 것으로 받아들여 진다. 그러나, 이로써 실의 장력이 부가적으로 증가되는 결점이 있다. 여러 이용상황에서 실이 횡단장치로부터 인상된 후 제 2 사도가 그 내향 회전운동을 수행하기 전에 제 1 사도가 실을 제 1 롤부분에서 만권취 보빈 상에 배치하고 실이 제 2 사도에 의하여 포착되어 만권취 보빈 상에 배치될 때 제 2 롤부분이 부가적으로 형성되는 결점이 있음이 입증되었다. 또한 권취 스핀들의 전환위치에서 실은 권취 스핀들 방향으로 일어나는 제 1 사도의 운동에 의하여 공 튜우브의 표면을 따라 안내되어 실이 이에 따른 마찰의 효과에 영향을 받는 결점이 있다. 실은 제 1 및 제 2 사도 사이의 상대운동에 의하여 공 튜우브의 포착영역 측으로 공 튜우브의 표면에 대하여 마찰접촉 하면서 배치된다. 공 튜우브의 포착영역은 횡방향 스크로크 운동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권취 스핀들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두 사도 사이의 공간이 특별히 넓지 않으므로 제 1 사도는 포착영역에 대하여 실의 요구된 급경사 위치를 얻기 위하여 횡방향 스트로크 운동의 외측으로 비교적 긴 스트로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에 손상을 주는 이러한 길이를 통한 마찰은 제 2 사도가 실이 공 튜우브의 표면에 접촉하게 되는 포장각도를 증가시킨다는 사실에 의하여 더욱 증가된다. 만약 튜우브의 표면에 이물질이나 손상물질이 있다면 고속으로 이동하는 실은 이러한 표면에서 무단히 단절되어 작업이 중단될 수 밖에 없다.
3개의 사도를 갖는 많은 권취기가 있으나 이는 이들 3개의 사도의 구조와 구동장치에 소요되는 경비가 증가될 뿐이다. 이러한 권취기가 예를 들어 특허문헌 DE 29 07 848 C2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사도가 횡단장치의 영역에 배치되고 실을 횡단장치로부터 인상시키며 실을 공 튜우브의 포착영역에 대하여 배치시킨다. 제 2 및 제 3 사도는 동일한 형태로 두 권취 스핀들 사이의 각 영역에서 회전부재 상에 착설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 2 사도는 권취가 끝나는 실의 단부를 만권취 보빈 상에 배치시키도록 하는 한편, 제 3 사도는 제 1 사도와 협동하여 실이 권취 스핀들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그리고 공 튜우브의 포착영역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들 두 사도 사이에 배치되게 한다. 포착영역은 공 튜우브 주연에 슬로트 또는 절결부의 형태로 형성되고 권취 스핀들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된다. 권취 스핀들은 회전부재에 대하여 대향되게 구동된다. 한 쌍의 제 2 및 제 3 사도는 회전부재의 회전운동과 함께 회전하므로서 실이 크게 벗어나고 이로써 실의 장력이 증가한다. 전환위치에서 실은 제 1 및 제 3 사도 사이로 연장되고 실이 슬로트 또는 절결부에 이르러 이에 포착될 때까지 공 튜우브의 표면을 따라 이에 작용하는 마찰이 일어나면서 안내된다. 권취 스핀들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실의 방향은 실을 포착영역에 고정시키는 점에서는 유리하다. 다른 한편으로 포착영역은 권취 스핀들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된 슬로트 또는 절결부에 의하여 형성되어야 한다. 포착영역을 다른 방식으로 형성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 두개의 사도가 사용되고 실이 마찰력 없이 유지될 수 있는 상기 언급된 종류의 권취기와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본문의 서두에 언급된 종류의 권취기에서, 제 1 사도가 제 2 사도의 회전암에 배치되고, 횡단장치, 접촉 로울러, 권취 스핀들 및 두개의 사도가 사도를 재가하는 회전암이 갭측으로 회전운동 후 상대위치에서 실이 공 튜우브의 표면으로부터 자유롭게 안내되고 횡단장치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한편 회전암의 복귀 회전운동 중 상부사도와 제 1 사도를 이용하여 실이 권취각도가 증가하면서 공 튜우브의 포착영역으로 안내된다.
본 발명의 기본개념은 단 두개의 사도만을 이용하고 구조적으로나 작동적으로 간단하도록 이들 두 사도를 조합하는 것에 있다. 부분적으로 기능은 상이하게 분배되고 사도는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들 두 사도는 회전암에 배치되며 그 구동은 이들 두 사도가 제자리에 놓이도록 하는데 이용된다. 제 2 사도는 실을 횡단장치로부터 인상하고 이로써 지금까지 제 1 사도가 수행하였던 기능을 수행한다. 회전암의 회전운동은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이용된다. 제 1 사도는 그 운동에 의하여 어떤 경우에 있어서, 고정적인 상부사도와 함께 실의 장력 증가가 감소되는 기다란 삼각형의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연결구성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권취기의 주요요소들이 실의 공통측부에 배열되어, 이로부터 두개의 사도를 갖는 회전암이 튜우브와 보빈 사이의 갭 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회전운동은 실이 제 2 사도와 접촉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상부사도를 통과하는 실에 장력을 가하여 실이 횡단장치로부터 자유롭게 한다. 이와 같이 실을 자유롭게 하는 회전운동은 공 튜우브가 전환위치로 회전하게 되는 회전운동 시에도 실이 이러한 튜우브의 표면과 접촉하지 않게 될 때까지 계속된다. 또한 접촉 로울러가 전환위치에서 실과 접촉하지 않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접촉은 실이 포착영역에 결합될 때에만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 1 사도는 실이 상대 가동면에 대하여 마찰됨이 없이 권취 스핀들 방향으로 이 제 1 사도와 상부사도 사이에서 자유롭게 안내되는 실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실은 공 튜우브의 포착영역의 전방에서 이에 대하여 간격을 둔 준비위치로 이동되고, 이 경우에 실은 상부사도와 제 1 사도 사이의 거리가 유리하게 증가되므로서 종래기술에 비하여 적게 경사진 경사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제 1 사도는 경사지게 배치된 실이 공 튜우브의 포착영역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은 두개의 사도가 재가된 회전암의 복귀 회전운동 시에 이루어진다. 이러한 운동중에 제 2 사도는 만권취 보빈 또는 패키지에 대하여 그 상대위치가 변경되지 아니한다. 이와 같은 회전운동에 의하여 실은 포장각도의 형성으로, 특히 실을 단절하는데 요구된 장력의 증가에만 관련이 있는 권취 스핀들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이루어지는 운동에 의하여 포착영역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새로운 권취기에 의하여 보빈 교환작동중 공 튜우브와 접촉 로울러의 표면에 대한 마찰력이 실에 작용하지 않는 한 실을 주의 깊게 처리하는 동안에 보빈 교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최종 순간에 실은 포착영역에서의 포착작동에 의한 부하만이 가하여 진다. 포착영역은 권취기가 모든 종류의 튜우브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요구된 구조일 수 있다. 회전암에 조합된 사도의 구성과 배열은 특별히 간단한 구조의 구성요소를 보인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회전부재에 배열되지 아니하고 고정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 하므로 두 사도는 간단한 단일 구성으로 배열되고 구동되는 잇점을 제공한다. 권취기의 주요 구성요소가 실의 일측에 배열되는 것에 불구하고 실과 이 실을 포착하기 위한 튜우브의 표면은 반대로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회전부재와 권취 스핀들도 역시 반대로 구동되는 것이 좋으나 이들은 동일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제 2 사도는 권취 스핀들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안내변부와, 안내변부에 근접하고 내향 회전운동의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갖는다. 배치 스트로크 운동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안내변부는 실이 회전암의 내향 회전운동으로 횡단운동 내의 갭측으로 신뢰가능하게 보내어지고 공 튜우브의 주연으로부터 회전되게 하거나, 또는 직선 안내변부가 내측으로 회전하는 공 튜우브의 표면에 실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또한 비교적 큰 직경의 보빈이 권취되고 권취 스핀들이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구동될 때에 이루어진다. 다른 한편으로 제 2 사도의 직선 안내변부는 배치장치의 작업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실이 횡단장치의 횡방향 이동 사도 내에 있는 한 그때까지 배치작동이 만권취 보빈상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내향 회전운동의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는 배치 스트로크 운동의 영역내에 그리고 변부에 대하여 배열되도록 한다. 이는 변부영역에 놓이는 상승부분 또는 롤부분의 형태로 실의 단부가 만권취 보빈 또는 패키지에 권취될 수 있도록 한다.
제 1 사도는 제 2 사도의 영역에서 권취 스핀들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회전암에 착설될 수 있으며 복귀 회전운동의 방향으로 만곡된 후크를 가질 수 있다. 제 1 사도는 이 사도가 그 상류측의 실에 작용하고 실을 내향 회전운동의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에 대하여 가압할 수 있도록 제 2 사도에 대하여 배열된다. 그러나, 단부위치에서 제 1 사도는 다른 마찰에 의하여 좋지 않는 영향을 받지 아니하고 이 제 1 사도와 고정적인 상부사도 사이에 실이 자연스럽게 당겨져 유지되는 위치에 이르게 된다. 상부사도와 제 1 사도 사이의 공간은 비교적 넓기 때문에 실은 공 튜우브의 포착영역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약간 경사지게 된다. 회전암의 복귀 회전운동에서 제 1 사도의 제 2 운동에서, 제 1 사도는 실을 후측으로 끌고가서 먼저 공 튜우브의 포착영역에 접촉되게 한다. 실의 장력은 포착영역에서 포장각도의 형성으로 증가된다. 이로써 비교적 가는 실을 다룰 때의 단절작업이나 비교적 굵은 실을 다룰 때의 절단작업시 실을 단절 또는 절단하는데 이용된다.
권취 스핀들은 이들의 표면이 실의 이동방향에 반대가 되게 구동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실은 반대운동으로 포착된다. 즉, 실은 실과 포착영역 사이의 비교적 빠른 상대속도가 연관된 반대운동으로 포착된다.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반대운동 관계는 종래기술의 경우와 같이 실이 공 튜우브의 표면을 따라 접촉상태로 밀리게 되는 경우 실에 매우 높은 마찰부하를 보이도록 할 것이다.
상부사도, 횡단장치와 접촉 로울러는 회전부재의 회전축선 상에서 3의 수직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로써 상부사도와 두 사도 사이에서 안내되는 실은 횡단장치, 접촉 로울러와 공 튜우브의 표면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있다. 이 점에 관하여, 접촉 로울러에 대한 포장각도는 정상적인 권취과정에서 현저히 크다.
아울러 실 홀더가 실의 타측부에서 횡단장치의 영역에 이동가능 하게 착설될 수 있으며, 고정위치에서 이 실 홀더는 횡단장치에 의하여 안내된 실을 고정하고 정지위치에서 실을 놓아 준다. 이러한 실 홀더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횡단장치로부터 실이 해제되는 것이 두 사도를 갖는 회전암의 회전운동에 대하여 지연되거나 시간에 대하여 정확히 설정되어야 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이는 실을 감소된 횡단 스트로크 운동으로 권취보빈에 대하여 권취하는 것이 두 사도가 갭측으로 회전된 후 일정시간 동안 계속되는 경우에 바람직한 것이다. 실은 이러한 감소된 횡단운동중에 공 튜우브의 표면에 대하여 접촉하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 1 사도는 횡방향 스트로크 운동을 벗어나 튜우브의 포착영역으로부터 원격한 위치에 놓인 정지위치와, 역시 횡방향 스트로크 운동을 벗어나 튜우브의 포착영역을 향한 위치에 놓이는 준비위치 사이로 이동가능한 회전암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사도의 운동은 횡방향 운동 보다 약간 클 뿐이다. 또한 제 1 사도와 고정형의 상부사도 사이의 간격이 비교적 넓게 선택되어 있으므로 준비위치는 보빈단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지는 아니하며 신장된 실은 이에 따라 준비위치에서 포착영역에 대하여 약간의 경사진 상태로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이 약간만 경사진 위치는 포착영역이 튜우브 주연의 하나의 요구 또는 절결부 또는 이들의 다수의 형태일 때에 유리하다. 만약 포착영역이 예를 들어 루우프-후크 파스너의 후크스트립의 형태인 경우에 준비위치와 권취 스핀들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실의 운동은 실이 후크스트립의 중간영역으로 이동되고 후크스트립의 변부영역 측으로 편향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문의 서두에 언급된 종류의 방법은 전환위치에서, 실은 권취 스핀들 방향의 운동에 의하여 공 튜우브에 대하여 접촉되지 아니하고 제 1 사도에 의하여 공 튜우브의 포착영역 전방의 준비위치로 이동하고 권취 스핀들 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운동에 의하여 공 튜우브의 포착영역에 접촉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실은 이동하는 실이 상부사도와 두 사도에 대하여서만 이동하면서 공 튜우브의 표면과 접촉 로울러 그리고 횡단장치의 횡단사도에 의한 마찰력에 영향을 받지 아니한 최적한 상태로 처리된다.
준비위치와 권취위치에서 실이 약간 경사진 상태는 예를 들어 후크스트립과 관련하여 포착영역의 전 주면이 다중 튜우브를 사용할 때 실을 포착하도록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요구 또는 절결부의 영역에서 단절된 실이 겹치는 것이 방지되고 공 튜우브는 장기간 동안 다수 회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공 튜우브의 포착영역에 실을 이동시키는 운동중에 실은 상부사도와 제 1 사도에 의하여 형성되는 배치 삼각형 내에서 안내된다. 어떠한 경우에 제공된 상부사도는 실을 포착영역으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되고 관련된 구조적인 수단의 레벨이 증가됨이 없이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특별히 큰 배치 삼각형이 형성되며, 이는 배치운동중에 측부영역에서만 사용되고, 배치운동이 준비위치로부터 포착위치로 이행되는 기하학적인 구성과 방법은 실의 장력을 약간만 증가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이 방법은 장력에 민감한 권취재료에 특히 적합하다.
특히 실이 공 튜우브의 포착영역에 반대운동 관계로 포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반대운동 관계에서, 포착위치가 특히 신속히 도달하므로 실의 단절 또는 절단작업이 예상된 방식으로 신속히 수행되고 포착영역은 공 튜우브의 권취 스핀들 회전방향에 따라 실이 실릴 수 있도록 하고 실이 접촉 로울러 측으로 이동되어 그 둘레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점에 관하여 충분히 길어지도록 풀린 실의 여유부분은 상부사도에서 안내되는 실에 의하여 실이 공 튜우브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 위치로 복귀 이동하고 연속 구동하는 횡단장치의 영역으로 느리게 통과하므로 포착영역과 공 튜우브의 전개 스트로크 운동의 종료부분 사이에 형성된다. 여기에서 실이 포착되어 계획된 횡단 스트로크 운동으로 정상적인 권취과정이 수행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권취기의 주요요소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만권취 보빈 또는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실의 권취작동중에 있는 권취기의 주요요소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전환위치에 있는 도 2의 요소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실이 횡단장치로부터 자유롭게 된 후의 다른 중간위치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회전암의 복귀 회전운동중에 있는 요소의 다른 위치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도 1과 유사하나 제 1 사도의 작용이 관련되어 있는 것을 보인 정면도.
도 7은 제 1 및 제 2 사도로부터의 부분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실 4 … 권취스핀들
8 … 공 튜우브 11 … 포착영역
14 … 접촉 로울러 16 … 횡단장치
19 … 상부사도 20 … 회전암
23 … 제 1 사도 24 … 제 2 사도
25 … 갭
도 1에서는 예를 들어 방적설비에서 연속 생산되고 권취기에 공급되는 실(1)을 일점 쇄선으로 보이고 있다. 실(1)은 손실 없이 풀리고 단절되어 튜우브에 권취되므로서 보빈 또는 패키지를 형성하여야 한다. 권취기는 예를 들어 수직배향형 디스크의 형태인 회전부재(2)가 회전축선(3)을 중심으로 하여 단계적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이 정지될 수 있는 프레임(도시하지 않았음)을 갖는다. 회전부재(2)에는 회전축선(3)에 대하여 동일한 방사상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개의 권취 스핀들(4)(5)이 배치된다. 권취 스핀들(4)은 그 축선(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게 구동되며 이를 위하여 그 자신의 구동장치(도시하지 않았음)를 갖는다. 권취 스핀들(5)은 그 축선(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게 구동되며 역시 이를 위하여 그 자신의 구동장치(도시하지 않았음)를 갖는다. 공 튜우브(8)가 권취 스핀들(4) 상에 실린다. 또한 하나의(본래의) 공 튜우브(9)가 권취 스핀들(5)에도 실리나, 이에 실(1)이 만권취 보빈(10)을 형성토록 권취되어 있다. 권취 스핀들(4)(5)은 이들이 3의 수직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전환위치에 있음을 보이고 있다. 각 튜우브(11)는 각 튜우브(8)(9)의 주연일부에 연장되는 요구 또는 절결부의 형태인 포착영역(11)을 갖는다. 스핀들(4)(5)은 이들의 튜우브(8)(9)와 함께 각각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러한 방향이 축선(3)(6)(7)과 평행하게 양방향 화살표(12)로 보인 권취 스핀들 방향(12)을 형성한다. 권취 스핀들 방향(12)은 회전부재(2)의 전면에 대하여 수직이다.
접촉 로울러(14)가 회전부재(2)의 상부에서 프레임(13)에 회전축선(15)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착설된다. 접촉 로울러(14)의 표면은 각 권취 스핀들(4)(5)에 형성되고 보빈(10)의 가변 주면속도에서 마찰에 의하여 구동되는 보빈(10)의 표면에 접촉한다. 접촉 로울러(14) 상에는 실(1)이 보빈(10)을 형성토록 튜우브에 권취되도록 수직 중앙평면(18)에 대하여 대칭인 배치 스트로크 운동에 따라 왕복 구동하는 횡단사도(17)를 갖는 횡단장치(16)가 제공된다. 상부사도(19)(도 6)는 횡단장치(16)의 상부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중앙평면(18) 내에 고정적으로 배치된다. 회전암(20)이 고정축선(2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게 프레임(13)에 착설된다. 회전암(20)은 제 1 사도(23)와 제 2 사도(24)가 구비되어 있는 외팔보 형태의 암부분(22)을 갖는다. 회전암(20)은 외팔보형 암부분(22) 및 두 사도(23)(24)와 함께 공 튜우브(8)의 표면과 도 1에서 보인 전환위치에서 권취작업이 거의 완료된 보빈(10)의 표면 사이에 형성된 갭(25) 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회전암(20)은 그 외팔보형 암부분(22) 및 두 사도(23)(24)와 함께 도 2에서 보인 정지 또는 휴지위치로 복귀 회전될 수 있다. 제 1 사도(23)는 도 1에서 튜우브(8)의 포착영역(11)으로부터 원격한 위치인 배치 스트로크 운동의 외측에서 정지위치에 놓여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 1 사도(23)는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실(1)의 배치 스트로크 운동상에서 권취 스핀들 방향과 그 후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 1 사도(23)는 권취 스핀들 방향으로 작동하는 적당한 구동장치(도시하지 않았음)를 갖는다. 제 2 사도(24)는 회전암(20)의 외팔보형 암부분(22)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실제로는 배치 스트로크 운동방향으로 연장된다.
실 홀더(26)가 횡단장치(16) 상에서 축선(2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프레임(13) 상에 배치된다. 실 홀더(26)의 휴지위치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실 홀더(26)의 고정위치를 보이고 있다. 실 홀더(26)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나 유용한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구성요소이므로 여기에서는 요약하여 표현하였으나 이 실 홀더(26)는 전체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 더욱이 실 홀더(26)는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필요는 없다. 이는 또한 권취 스핀들 방향(12)에 대하여 직선 또는 경사지게 안내되도록 배치되고 구동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한가지 중요한 것은 실 홀더(26)의 고정위치가 실(1)이 횡단장치(16)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이는 이 위치에서 실(1)을 고정하나 반대로 시작위치에서는 실(1)을 놓아준다.
도 1, 도 2 및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실(1)은 상부사도(19)(도 6)를 통하여 횡단사도(17)(도 1) 측으로 보내어지고 이에 의하여 권취 스핀들(5)의 튜우브(9)에 권취되어 보빈(10) 또는 패키지를 형성한다(도 2). 권취 스핀들(5)은 화살표(28)의 방향으로 구동된다. 실(1)은 권취각도를 통하여 접촉 로울러(14)의 둘레로 보내어 진다. 접촉 로울러(14)는 고정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되어 있으므로 회전부재(2)는 보빈(10)의 직경이 증가하도록 화살표(29)로 보인 바와 같이 더욱 회전된다(도 2). 공 튜우브(8)가 권취스핀들(4)에 삽입된다. 보빈(10)의 직경이 계획된 직경에 이르렀을 때 회전부재가 도 2에서 보인 정상권취 위치로부터 도 4에서 보인 전환위치로 회전되며, 화살표(29)로 보인 바와 같은 운동으로 권취 스핀들(4)은 화살표(30)의 방향으로 동기화 되어 회전된다. 두 권취 스핀들(4)(5)의 회전방향은 동일하다. 권취 스핀들(4)이 회전부재(2)의 상부영역에 놓이고 튜우브(8)의 표면과 만권취 보빈(10)의 표면 사이의 갭(25)이 회전암(20)의 내향 회전운동을 위하여 접근가능할 때 회전암(20)과 그 외팔보형 암부분(22)이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축선(21)을 중심으로 하여 갭(22) 측으로 회전된다. 이 때에 실(1)은 제 2 사도(24)에 의하여 공 튜우브(8)의 표면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고 실은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접촉 로울러(14)의 표면으로부터 그리고 횡단장치(16)의 횡단사도(17)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이와 같이 실(1)은 다른 요소에 접촉함이 없이 상부사도(19)와 제 2 사도(24) 사이의 영역에서 팽팽한 상태로 안내 되면서 만권취 보빈(10)으로 권취된다. 실(1)이 횡단장치(16)로부터 자유롭게 될 때에 만권취 보빈(10)에 실이 배치되는 것이 중단되고 실은 중앙평면을 향하여 복귀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제 1 사도(23)는 권취 스핀들 방향으로 도 1에서 보인 휴지위치로부터의 운동에 맞추어지고 실(1)과 접촉하여 도 6에서 여러 위치로 보인 바와 같이 실이 사도(24)를 따라 이동토록 한다. 끝으로, 도 6에서 실선으로 보인 제 1 사도(23)의 스트로크 운동의 종료시에 실(1)은 공 튜우브의 포착영역(11)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그 전면의 준비위치에 놓이게 된다. 상부사도(19)가 제 1 사도(23)로부터 비교적 큰 거리를 두고 배치되므로 실(1)은 튜우브(8)의 주연에서 포착영역(11)에 대하여 비교적 작은 경사위치에 놓이게 된다. 여기에서, 포착영역(11)은 튜우브(8)의 주연에 형성된 루우프-후크 패스너의 후크스트립 일부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두 사도(23)(24)를 갖는 외팔보형 암부분(22)은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은 구성과 상대배열을 보인다. 제 2 사도(24)는 권취 스핀들 방향(12)으로 연장된 직선 안내변부(31)와 돌출부(32)를 포함한다. 안내변부(31)는 권취 스핀들 방향(12)의 배치 스트로크 운동의 종료점, 즉 프레임(13) 또는 회전부재(2)를 향하는 부분으로부터 배치 스트로크 운동의 주요부분 상에서 회전암(20)의 측부를 향하여 연장된 반면에, 돌출부(32)는 회전(20)을 향하는 배치 스트로크 운동의 종료지점에 대하여 배치된다. 돌출부(32)는 최대부분으로 배치되고 배치 스트로크 운동의 변부영역에서 반발면(33)을 갖는다. 제 2 사도는 안내변부(31)와 반발면(33) 사이에 절결부(34)를 갖는다. 돌출부(32)는 회전암(20) 또는 외팔보형 암부분(22)의 내향 회전운동의 방향으로 갭(25) 측으로 연장된다. 제 1 사도(23)는 상부사도와 제 2 사도(24)의 안내변부(31) 사이에서 실(1)의 진로에 의하여 요구되는 바와 같이 회전운동의 방향으로 제 2 사도의 안내변부(31)의 영역에서 이 안내변부(31) 후측의 갭(25) 측으로 안내된다. 제 1 사도(23)는 후측으로 만곡된 후크(35)를 갖는다. 즉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외팔보형 암부분(22) 또는 회전암(20)의 복귀 회전운동 방향으로 만곡된 후크를 갖는다. 외팔보형 암부분(22)이 갭(25) 측으로 회전할 때,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실(1)은 안내변부(31)에 직접 접촉하거나 예외적으로 반발면(33)과 접촉하여 이에 의하여 실이 안내변부(31) 측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제 1 사도(23)는 권취 스핀들 방향(12)으로, 즉 돌출부(32)를 향하는 방향으로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은 그 휴지위치로부터 운동하여 특히 상부사도(19)와 안내변부(31) 사이에서 실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에, 제 1 사도(23)는 제 1 사도(23)가 제 2 사도(24)의 절결부(34)를 통과할 때까지 실을 만권취 보빈(10)에 전개시킨다. 제 2 사도(24)를 지나 만권취 보빈(10) 측으로 보내어지는 실(1)은 절결부(34)에 의하여 변부 가까이에서 롤부분 또는 상승부분의 형태로 보빈(10) 상에 배치 또는 권취된다. 다른 한편으로, 제 1 사도(23)의 계속되는 운동으로, 실은 포착영역(11)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그 전방에서 도 6에서 보인 준비위치로 보내어 진다.
그리고 외팔보형 암부분(22)을 갖는 회전암(20)의 복귀 회전운동이 시작되며, 이러한 운동의 중간위치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실은 제 1 사도(23)의 만곡형 후크(35)와 제 2 사도(24)의 절결부(34) 사이에서 고정되고 복귀 회전운동중에 실이 공 튜우브(8)의 포착영역(11)으로 이동되며, 실(1)은 권취 스핀들 방향(12)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한다. 실(1)이 포착영역(11)과 접촉할 때 실은 여기에서 포착되어 고정되고 이러한 운동중에 공 튜우브(8) 둘레의 포장각도가 증가된다. 포착영역(11)이 실(1)을 포착하자마자 실은 포착영역(11)과 화살표(30)(도 5)의 방향으로 구동되는 권취 스핀들(4)에 의하여 이끌리게 되고 갑자기 증가된 텐션을 받아 실(1)이 사도(23)(24)의 영역에서 단절되거나 절결부(34)의 영역에 배치된 절단 칼에 의하여 절단되거나 또는 이 영역에 배치된 절단장치에 의하여 신중하게 절단된다. 실이 공 튜우브(8)의 포착영역(11)에 의하여 이끌리므로서 이 실은 또한 접촉 로울러(14)에 접촉하여 계획된 권취각도를 이루게 된다. 이때에 실은 계속 구동되는 횡단장치(16)로부터 자유롭게 되어 있으므로 실은 공 튜우브(8)의 포착영역(11)과 상부사도(19) 사이에서 실의 장력에 의하여 중앙평면(18)을 향하는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하며, 공 튜우브(8)의 배치 스트로크 운동의 외측에 실의 여유부분이 형성된다. 이제 실은 중앙평면(18)으로 향하는 연속 복귀운동으로 횡단장치(16)의 횡단사도(17)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결합되므로서 실은 통상적인 배치 스트로크 운동에 따라 횡단장치(16)에 의하여 권취되게 배치되기 시작하여 보빈 또는 패키지가 튜우브(8)에서 형성된다. 권취 스핀들(5)이 정지되고 만권취 보빈(10)이 분리되며 다시 공 튜우브가 권취 스핀들에 결합되어 보빈 형성과정과 보빈 교환작업이 반복된다.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외팔보형 암부분(22)과 회전압(20)이 시작위치로 복귀 회전운동한 후에, 제 1 사도가 시작위치로 복귀 이동된다.
횡단사도(17)을 갖는 횡단장치(16), 접촉 로울러(14), 두 사도(23)(24)를 갖는 외팔보형 암부분(22)과 각 공 튜우브(8)가 결합된 권취 스핀들이 도 2와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실(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어 갭측으로 제 2 사도(24)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실(1)은 실이 접촉되는 것을 종료하고 이러한 접촉으로부터 중지될 수 있도록 이들 요소로부터 벗어난 상태에서 유지된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이는 특히 공 튜우브(8)의 표면에 대하여 중요한 것으로 실은 공 튜우브(8)의 표면과 마찰접촉하지 아니하고 보빈 교환중에 실이 이에 대하여 손상받지 아니한다. 또한 포착영역(11)에 대한 실의 이동이 중요하다. 이러한 실의 이동은 서로 직각을 이루는 두 운동으로 나누어지며, 제 1 단계에서 실은 포착영역(11)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그 전방의 준비위치에 이르르며 제 2 단계의 운동으로 실이 포착영역(11)과 접촉한다.
만약 접촉 로울러(14)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는 실(1)의 상태와 공 튜우브(8)의 표면으로부터 자유롭게 유지되는 실(1)의 상태가 각각의 시간에 대하여 횡단장치로부터 실이 자유롭게 되도록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축선(2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착설되고 도 1-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은 실 홀더(26)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실 홀더가 휴지위치에 있는 것을 보이고 있는 바, 이때에 이는 실(1)과 접촉하지 아니한다. 도 3은 제 2 사도(24)가 갭측으로 회전운동 함에도 불구하고 횡단장치가 적당한 제어장치에 의하여 자유롭게 선택될 때 외측으로 회전될 때까지(도 4) 실 홀더(26)가 실이 횡단장치(16)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1)이 만권취 보빈(10)의 표면에서 제한된 배치 스트로크 운동으로 계속하여 전개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도 2-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작동과정이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권취기의 작동방법은 이상으로 설명된 바와 같다. 도 3은 갭(25) 측으로 회전되고 실이 접촉 로울러의 표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며 공 튜우브(8)의 표면과 접촉되지 않게 실을 유지하는 반면에 실이 도 4에서 보인 위치에 이를 때까지 제한된 시간 동안 횡단장치(16)에 의하여 안내되는 제 2 사도(24)의 위치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두개의 사도를 이용하여 실이 마찰 없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보빈으로 권취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0)

  1. 포착영역(11)이 구비된 각각의 튜우브(8, 9) 상에 교대로 보빈(10)을 형성하기 위하여 연속공급되는 실(1)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기로서, 회전부재(2) 상에 착설된 두개의 피구동형 권취 스핀들(4, 5), 고정적인 상부사도(19), 횡단장치(16), 접촉 로울러(14), 권취 스핀들 방향(12)으로 이동가능하고 실(1)을 공 튜우브(8)의 포착영역(11)에 대하여 배치시키는 제 1 사도(23)와, 만권취 보빈(10)으로 보내어지는 실(1)의 단부를 안내하기 위한 제 2 사도(24)를 가지고, 이 제 2 사도는 회전암(20)에 착설되어 보빈(10)과 공 튜우브(8) 사이의 갭(25) 측으로 고정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착설된 것에 있어서, 제 1 사도(23)가 제 2 사도(24)의 회전암(20)에 배치되고, 횡단장치(16), 접촉 로울러(14), 권취 스핀들(4) 및 두개의 사도(23, 24)가 사도(23, 24)를 재가하는 회전암(20)이 갭(25) 측으로 회전운동 후 상대위치에서 실(1)이 공 튜우브(8)의 표면으로부터 자유롭게 안내되고 횡단장치(16)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한편, 회전암(20)의 복귀 회전운동 중 상부사도(19)와 제 1 사도(23)를 이용하여 실(1)이 권취각도가 증가하면서 공 튜우브(8)의 포착영역(11)으로 안내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형성을 위하여 연속공급된 실의 권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사도(24)가 권취 스핀들 방향(12)으로 연장된 직선 안내변부(31)와 상기 진석 안내변부에 인접하여 내향 회전운동의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34)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사도(23)가 제 2 사도(24)의 영역에서 권취 스핀들 방향(12)으로 이동가능하게 회전암(20)에 착설되고 복귀 회전운동의 방향으로 만곡된 후크(35)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권취 스핀들(4, 5)이 실(1)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반대로 이들의 표면에 의하여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사도(19), 횡단장치(16)와 접촉 로울러(14)가 회전부재(2)의 회전축선(3) 상에 수직으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6. 제 1 항-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 홀더(26)가 실(1)의 타측부에서 횡단장치(16)의 영역에 이동가능하게 착설되고, 고정위치에서 횡단장치(16)에 의하여 안내된 실(1)을 고정하고 정지위치에서 실(1)을 놓아줌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사도(23)가 횡단 스트로크 운동의 외측에서 튜우브(8)의 포착영역(11)으로부터 원격한 정지위치와 횡단 스트로크 운동의 외측에서 튜우브(8)의 포착영역(11)을 향하는 위치에 제공된 준비위치 사이로 이동가능하게 회전암(20)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8. 포착영역(11)이 구비된 각각의 튜우브(8, 9) 상에 교대로 보빈(10)을 형성하기 위하여 연속공급되는 실(1)을 권취하는 방법으로서, 실(1)이 고정된 상부사도(19), 횡단장치(16)와 접촉 로울러(14)에 의하여 보빈(10) 상에 전개 배치되고, 두개의 권취 스핀들(4, 5)이 구동가능하게 착설된 회전부재(2)가 전환위치로 회전되며, 실(1)이 공 튜우브(8)의 포착영역(23)에 대하여 권취 스핀들 방향(12)으로 이동가능한 제 1 사도(23)와 회전암(20)에 착설되고, 고정축선(21)을 중심으로 하여 보빈(10)과 공 튜우브(8) 사이의 갭(25) 측으로 회전가능한 제 2 사도(24)에 의하여 배치되고 실이 단절되기 전에 만권취 보빈(10)으로 보내어지는 것에 있어서, 전환위치에서 실(1)이 권취 스핀들 방향(12)의 운동에 의하여 공 튜우브(8)에 대하여 접촉되지 아니하고 제 1 사도(23)에 의하여 공 튜우브(8)의 포착영역(11) 전방의 준비위치로 이동하고 권취 스핀들 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운동에 의하여 공 튜우브(8)의 포착영역(11)에 접촉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형성을 위하여 연속공급된 실의 권취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실을 공 튜우브(8)의 포착영역(11)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중에 실(1)이 상부사도(19)와 제 1 사도(23)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배치 삼각형 내에서 안내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실(1)이 공 튜우브(8)의 포착영역(11)과의 반대운동으로 포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40929A 1997-09-30 1998-09-30 보빈형성을 위하여 연속공급된 실의 권취기와 권취방법 KR199900303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43278A DE19743278C2 (de) 1997-09-30 1997-09-30 Verfahren und Spulmaschine zum Aufwickeln eines kontinuierlich zulaufenden Fadens zu Spulen
DE19743278.6 1997-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308A true KR19990030308A (ko) 1999-04-26

Family

ID=7844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929A KR19990030308A (ko) 1997-09-30 1998-09-30 보빈형성을 위하여 연속공급된 실의 권취기와 권취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42044A (ko)
EP (1) EP0905077B1 (ko)
JP (1) JPH11189372A (ko)
KR (1) KR19990030308A (ko)
AT (1) ATE244672T1 (ko)
DE (2) DE19743278C2 (ko)
TW (1) TW3947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8689A (en) * 1997-07-10 2000-12-12 Barmag-Spinnzwirn Gmbh Yarn winding apparatus and method
US6419283B1 (en) * 2000-10-24 2002-07-16 Belmont Textile Machinery Company Automatic knot-tying machine
DE10223484B4 (de) * 2002-05-27 2008-04-30 Georg Sahm Gmbh & Co. Kg Verfahren und Spulmaschine zum Aufwickeln eines kontinuierlich zulaufenden Fadens auf eine Hülse zu einer Spule
DE10235209C1 (de) * 2002-08-01 2003-12-18 Sahm Georg Fa Vorrichtung zum Fangen eines Fadens am Anfang einer Spulreise
DE102005029150B3 (de) * 2005-06-23 2006-11-09 Georg Sahm Gmbh & Co. Kg Verfahren und Spulmaschine zum Aufwickeln eines kontinuierlich zulaufenden Fadens auf eine Hülse zu einer Spule
CN101989525A (zh) * 2009-08-05 2011-03-23 中微半导体设备(上海)有限公司 具备可切换偏置频率的等离子体处理腔及可切换匹配网络
EP2665668B1 (de) 2011-01-20 2015-03-04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aufwickeln eines fadens
WO2013010279A1 (en) * 2011-07-15 2013-01-24 Maschinenfabrik Rieter Ag Roving winder and method of winding rovings on to bobbin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4675A (en) * 1978-02-28 1979-09-06 Toray Ind Inc Turret type thread stripe winder
US4300728A (en) * 1980-05-29 1981-11-17 Owens-Corning Fiberglas Corporation Apparatus for packaging strand
DE3132853A1 (de) * 1981-08-20 1983-03-03 Neumünstersche Maschinen- und Apparatebau GmbH (Neumag), 2350 Neumünster Spulmaschine fuer automatische spulenwechsel
US4641793A (en) * 1985-04-16 1987-02-10 Rieter Machine Works Limited Thread winding machine and method of performing automatic changeover of winding of a thread
DE3805347A1 (de) * 1988-02-20 1989-08-31 Barmag Barmer Maschf Aufspulmaschine
DE58907348D1 (de) * 1988-12-22 1994-05-05 Barmag Barmer Maschf Aufspulmaschine.
EP0571318A1 (de) * 1992-05-18 1993-11-24 Maschinenfabrik Rieter Ag Spulmaschine
DE19508032A1 (de) * 1994-03-09 1995-09-14 Barmag Barmer Maschf Verfahren zum Anlegen eines Fadens an eine Aufspulmaschine
JP2843964B2 (ja) * 1994-06-27 1999-01-06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ターレット型巻取機
DE59601859D1 (de) * 1995-02-24 1999-06-17 Barmag Barmer Masch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echseln von vollspulen gegen leerhülsen an einer aufwickelmaschine für einen kontinuierlich zulaufenden faden
DE19538480C2 (de) * 1995-10-16 2001-10-25 Sahm Georg Fa Spulmaschine und Verfahren zum Aufwickeln eines kontinuierlich zulaufenden Fadens auf eine Sp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808958D1 (de) 2003-08-14
US6042044A (en) 2000-03-28
EP0905077B1 (de) 2003-07-09
JPH11189372A (ja) 1999-07-13
EP0905077A3 (de) 2000-09-13
DE19743278C2 (de) 1999-10-21
EP0905077A2 (de) 1999-03-31
TW394748B (en) 2000-06-21
DE19743278A1 (de) 1999-04-01
ATE244672T1 (de) 2003-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0909B1 (ko) 권취기 및 이를 이용한 도핑방법
US4120140A (en) Method and device for joining a thread
US4474337A (en) Yarn guide assembly for winding machine
KR19990030308A (ko) 보빈형성을 위하여 연속공급된 실의 권취기와 권취방법
KR100242091B1 (ko) 터릿형 권취기
US4101086A (en) Yarn tie-up and transfer tail method, and yarn package tube and apparatus for the method
JP2917947B2 (ja) 弾性糸用紡糸巻取機とその糸切換え方法
US5588194A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accumulation of a yarn overlength between a bobbin creel and the beam on a beaming machine
US5566904A (en) Method for sequentially winding elastic yarn on a plurality of bobbin holders
US6629660B1 (en) Take-up method and device for synthetic fiber and method of using thread package
US4099679A (en) Dual yarn tie-up and transfer tail apparatus
JP4395828B2 (ja) 張力検出器を備える糸条巻取機
KR940001580B1 (ko) 탄성사의 자동 절체방법
JPH07112869A (ja) 弾性糸の紡糸巻取方法及び紡糸巻取機
JPH07125920A (ja) 糸の巻取り方法
JP2808398B2 (ja) 糸条巻取機
JPS59212366A (ja) レボルビング型自動ワインダにおける糸掛け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US4817896A (en) Thread-catching device for winding machines
JPH0122195B2 (ko)
JP2807123B2 (ja) ターレット式自動巻取機の糸条切替方法
JP3963539B2 (ja) 糸条自動巻取り装置
JP4099733B2 (ja) ガラス繊維巻取方法
JP3750401B2 (ja) 自動ワインダーの玉揚げ装置
JP2718236B2 (ja) 自動糸継ぎ機による巻取装置のクレードルアーム制御方法
JP3743311B2 (ja) 自動ワイン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