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2091B1 - 터릿형 권취기 - Google Patents

터릿형 권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091B1
KR100242091B1 KR1019950017862A KR19950017862A KR100242091B1 KR 100242091 B1 KR100242091 B1 KR 100242091B1 KR 1019950017862 A KR1019950017862 A KR 1019950017862A KR 19950017862 A KR19950017862 A KR 19950017862A KR 100242091 B1 KR100242091 B1 KR 100242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tube
guide
winding
turr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7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740A (ko
Inventor
타카시 이와데
쥰 타카기
요시로오 미가키
Original Assignee
하라 다카시
토레이 엔지니어링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587863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4209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하라 다카시, 토레이 엔지니어링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하라 다카시
Publication of KR960000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0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or replacing by cores, formers, or empty receptacles a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B65H67/044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 B65H67/048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having winding heads arranged on rotary capstan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Abstract

방적사 전환시에 있어서의 권취장력의 변화량을 작게 하여 방적사 전환 성공율을 좋게 하기 위하여, 상부 방적사 전환기구(8)와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9)의 각 사도규제용 가이드에 의해 지지된 방적사(60)를 향하여 스핀들(4)에 삽입된 공튜브(50)가 터릿부재(2)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면, 공튜브(50)의 외주면이 방적사(60)에 접촉하도록 하여, 그 접촉각도가 터릿부재(2)의 회전에 수반하여 증가하도록 한 상기한 각 가이드를 각각 설치함과 함께, 터릿부재(2)의 회전에 연동하여 터릿부재(2)에 부착된 독(30)에 의해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9)의 방적사 탐지가이드(25)가 회전됨과 아울러, 방적사 앵커용 가이드판(31)이 이동되어, 방적사(60)를 튜브(50)의 축심선을 따르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터릿형 권취기
제1도는 본 발명의 터릿형 권취기의 구성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에서의 I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제4도는 제1도에서의 상부 방적사 전환기구의 구성을 표시하는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제5도는 제4도에서의 II-II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제6도는 제1도에서의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의 구성을 표시하는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제7도는 제4도에서의 III-III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제8도는 제4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9도, 제10도, 제11도, 제12도 제13도 및 제14도는 본 발명의 터릿형 권취기에 있어서의 방적사 전환작동을 표시하는 개략도이다.
제15도, 제16도, 제17도 및 제18도는 본 발명의 터릿형 권취기에 있어서의 방적사 전환작동시의 사도를 표시하는 개략도이다.
제19도는 본 발명의 터릿형 권취기에 있어서의 방적사 전환시의 증속율과 방적사 전환 성공율의 관계를 표시하는 개략선도이다.
제20도는 본 발명의 터릿형 권취기에 있어서의 방적사 전환작동시의 장력변화를 표시하는 개략선도이다.
제21도는 종래의 터릿형 권취기에 있어서의 방적사 전환작동시의 사도를 표시하는 개략도이다.
제22도는 종래의 터릿형 권취기에 있어서의 방적사 전환작동시의 장력변화를 표시하는 개략선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계 프레임 2 : 터릿부재
6 : 트래버스기구 7 : 접촉로울러
8 : 상부 방적사 전환기구 9 :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
10 : 방적사 앵커기구 11 : 분할기구
22 : 분할판 30 : 독
31 : 방적사 앵커용 가이드판 50 : 공튜브
51 : 만권튜브
본 발명은 방적사를 연속적으로 권취하는 터릿형 권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사기로부터 방출된 합섬섬유 방적사는 예컨대, 일본국 특개평 1-10457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터릿형 권취기에 의해 권취되고 있다.
상술한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터릿형 권취기는, 복수개의 스핀들을 회전자재하게 장착하고, 기계 프레임에 자유자재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터릿부재와, 스핀들의 위 쪽에 설치된 트래버스기구와, 스핀들에 삽입 고정된 튜브 또는 튜브 위에 권취된 방적사에 접촉하여 소정의 면압을 부여하는 접촉롤러와, 트래버스기구 또는 접촉롤러의 위 쪽에 설치된 상부 방적사 전환기구와, 방적사를 만권(滿券)튜브로부터 공(空)튜브로 전환할 때에 사도(絲道)를 규제하기 위하여 만권튜브와 공튜브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와, 권취 개시시에 방적사를 공튜브에 감을 때에 사도를 규제하기 위하여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의 아래 쪽에 설치된 실꿰기기구와, 방적사를 공튜브에 감기 위하여 공튜브와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 또는 공튜브와 실꿰기기구 사이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방적사 권취기구로 구성되며, 상부 방적사 전환기구와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의 사도 규제용 가이드에 의해 방적사를 안내한 상태에서 터릿부재를 회전시키므로써, 스핀들에 삽입되어 있는 공튜브를 접촉시켜서 만권튜브로부터 공튜브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터릿형 권취기에 있어서의 방적사 권취속도가 4000m/mm 이상인 경우에는, 흡인건의 방적사 흡인능력의 최대속도가 대략 3000m/mm이기 때문에, 권취속도가 대략 3000m/mm 이하의 상태에서 실꿰기 조작을 실시하여 방적사가 실포착부에 걸려서 포착되면, 번치권취(bunch winding)와 테일권취(tail winding)가 형성되며, 이어서, 방적사가 트래버스기구에 의해 가로질러서 공튜브에 권취된다.
이렇게 하면, 그 스핀들의 회전속도가 고뎃로울러(godet roller)와 동기되어 증속되며, 소정의 권취속도로 되도록 제어되고 있다.
상술한 조작에 있어서의 방적사가 공튜브에 권취되면 박권(薄券)튜브가 형성된다.
그러나, 그 박권튜브의 방적사는 실의 품질이 나쁘기 때문에, 불량사로 취급된다.
그래서, 상술한 스핀들의 회전속도가 소정의 권취속도로 되면, 터릿부재를 회전시켜서 그 박권튜브로부터 공튜브로의 방적사 전환조작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실꿰기조작을 실시한 경우에는, 박권튜브로부터 공튜브로의 방적사 전환작동과 만권튜브로부터 공튜브로의 방적사 전환작동의 2종류로 된다.
또, 방적사 전환조작시에 사도를 안정시키기 위해, 만권튜브의 스핀들과 공튜브의 스핀들의 회전속도를 상승시켜서 권취장력을 높게 한 상태에서 방적사의 전환을 실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터릿형 권취기에서는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의 제2사도규제가이드(70)가 제2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부 사도전환기구(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와 하부 사도전환기구의 각 사도규제가이드에 의해 지지된 방적사에 대한 공튜브(50)의 접촉각도가 터릿부재(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의 회전에 따라 증가하면, 방적사(60)가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의 제2사도규제가이드(70)가, 터릿부재의 회전축에 위치하는 만권튜브 쪽의 튜브 외주(E′)와 터릿부재의 회전측에 위치하는 공튜브의 외주(D)에 접하는 공통의 접선에 대해서 만권튜브 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2사도규제가이드(70)에 있어서의 접촉각도가 박권튜브로부터 공튜브로의 방적사 전환작동에 있어서 최소로 되며, 만권튜브로부터 공튜브로의 방적사 전환작동에 있어서 최대로 된다.
그 때문에, 제2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만권튜브로부터 공튜브로의 방적사 전환작동에 있어서의 방적사(60)가 제2사도규제가이드(70)에 접촉했을 때에 장력저하(δ)가 발생되어 실이 끼여지며, 고뎃로울러에 대한 방적사의 권취 등이 발생하여, 방적사 전환의 성공율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만권튜브로부터 공튜브로의 방적사 전환 조작시에 스핀들의 회전속도를 상승시켜서 권취장력을 높게 하는 것에 의해 만권튜브의 최외층부의 실의 질이 내층부의 실의 질과 다르기 때문에, 그 최외충부의 실을 대량으로 제거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방적사 전환 조작시에 있어서의 권취 장력의 변화량이 최소로 하여 방적사 전환의 성공율을 좋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터릿형 권취기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 구성으로 된 것이다. 즉, 튜브 삽입용의 복수의 스핀들이 회전자재하게 장착되며, 기계 프레임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된 터릿부재와, 상기한 스핀들의 상방 위치에 설치된 트래버스기구와, 상기한 프레임 또는 트래버스기구의 프레임부에 회전자재하게 장착된 접촉로울러와, 상기한 접촉로울러의 상류측에 설치된 상부 방적사 전환기구와, 만권튜브와 공튜브의 사이에 이동자재하게 설치된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로 구성되는 권취기에 있어서, 상기한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에 방적사 앵커(anchor)기구를 설치한 터릿형 권취기이다.
또, 본 발명에 의한 터릿형 권취기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튜브 삽입용의 복수개의 스핀들이 회전자재하게 장착되며, 기계 프레임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된 터릿부재와, 상기한 스핀들의 상방 위치에 설치된 트래버스기구와, 상기한 프레임 또는 트래버스기구의 프레임부에 회전자재하게 장착된 접촉로울러와, 권취조작위치의 스핀들의 상류측에 설치된 상부 방적사 전환기구와, 만권튜브와 공튜브의 사이에 이동자재하게 설치된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로 구성되는 권취기에 있어서,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를 튜브 상의 사층 외주부의 소정의 위치로 방적사를 주행시켜서 번치권취를 형성시키는 외부번치 형성용 가이드와, 상부 방적사 전환기구에 의해 위치가 규제되어 주행하는 방적사를 튜브의 실포착부로 안내하는 사탐(絲探)가이드에 의해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한 외부번치 형성용 가이드가, 상기한 터릿부재가 상기한 스핀들의 회전 방향과 역 방향으로 회전하여 공튜브가 권취위치 근방의 방적사 전환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만권튜브와 공튜브의 사이로 이동했을 때, 터릿부재의 회전측에 위치하는 공튜브의 외주에 접하는 공통의 접선에 대해서 공튜브 쪽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터릿형 권취기이다.
상술한 터릿형 권취기에 의하면, 외부번치 형성용 가이드가, 상기한 터릿부재가 상기한 스핀들의 회전 방향과 역 방향으로 회전하여 공튜브가 권취위치 근방의 방적사 전환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만권튜브와 공튜브의 사이로 이동했을 때, 터릿부재의 회전측에 위치하는 공튜브의 외주에 접하는 공통의 접선에 대해서 공튜브 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한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의 사탐가이드가 터릿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튜브의 축심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므로써, 방적사가 공튜브의 실포착부에 걸리게 된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터릿형 권취기에 대해서 구체적인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터릿형 방적사 권취기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개략적인 정면도, 제2도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방적사 권취기는, 기계 프레임(1)에 회전 자재하게 장착된 터릿부재(2)와, 그 터릿부재(2)에 회전자재하게 장착된 튜브지지용 스핀들(3,4)과, 그 스핀들(3,4)의 상방 위치에 있어서의 기계 프레임(1)에 형성된 안내기둥(1a)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는 프레임(5)에 부착된 트래버스기구(6)와, 그 프레임(5)에 회전자재하게 부착된 접촉로울러(7)와, 트래버스기구(6)의 상부에 위치하는 프레임(5) 및 접촉로울러(7)에 대향하여 소정의 간극이 있는 기계 프레임(1)에 설치된 상부 방적사 전환기구(8)와, 만권튜브(51)와 공튜브(50)의 사이로 이동하도록 기계 프레임(1)에 부착된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9)와, 접촉로울러(7)와 권취위치에 있는 공튜브(50)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A)로 이동하도록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9)에 부착된 방적사 앵커기구(10)와, 방적사 전환조작시에 공튜브(50)와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9)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기계 프레임(1)에 설치된 분할기구(11)와, 권취 개시시에 방적사를 공튜브에 권취하기 위하여 사도가 규제되도록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9)의 하방 위치의 기계 프레임(1)에 설치된 실꿰기기구(1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터릿부재(2)는 베어링(13)에 의해 기계 프레임(1)에 회전자재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권취조작위치에 있는 스핀들(3)에 삽입된 튜브가 만권되면, 그 스핀들(3)을 도핑(doffing)조작위치로, 도핑조작위치에 있는 공튜브(50)가 삽입된 스핀들(4)을 권취조작위치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구동장치(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에 의해 P 방향으로 180° 회전된다.
터릿부재(2)에는 제8도에 표시하듯이, 스핀들(3,4)의 근접위치에 경사안내면(30a)이 있는 독(dog)(30)이 설치되어 있으며, 장공(30b)에 의해 부착위치를 조절한다.
상술한 스핀들(3,4)은, 일본국 특공소 50-13858호 공보, 일본국 실공소 50-46034호 공보, 특개소 62-196267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의 것을 사용한다.
또, 상술한 트래버스기구(6)는, 요동 또는 경사 방향으로의 승강 등에 의해서도 소정의 권취조작위치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그 트래버스기구(6)는 스크롤캠 로울러에 의해서 방적사 안내용 가이드가 왕복운동하여 방적사를 가로지르도록 하는 구성의 것이나, 또는, 복수의 회전날개에 의해 방적사를 가로지르도록 하는 구성의 것을 사용한다.
상술한 접촉로울러(7)는 전동기에 의해 적극적으로 구동되는 것이나, 또는, 스핀들(3,4)에 장착된 튜브 상의 사층(絲層)과의 마찰력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술한 상부 방적사 전환기구(8)의 상세한 것은 제3도, 제4도,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으며, 트래버스기구(6)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프레임(5)에 회전자재하게 부착되며, 실린더(15)에 의해 방적사의 주행 방향 및 횡단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적사 벋김가이드(14)와, 주행 방적사를 잡아서 방적사 벋김가이드(14)와 대향하도록 기계 프레임(1)에 설치되며, 실린더(17)에 의해 공튜브(50)의 축심선을 따르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적사 밀기가이드(16)와 그 방적사 밀기가이드(16)가 공튜브(50)의 번치권취위치 및 테일권취 형성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방적사를 지지하도록 그 방적사 밀기가이드(16)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프레임(5)에 부착된 방적사 지지가이드(1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방적사 밀기가이드(16) 및 방적사 지지가이드(18)는 프레임(5)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방적사 지지가이드(18)는 방적사의 지지부(18a)와, 방적사를 번치권취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18b)가 있는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권취조작위치에 있는 튜브가 만권으로 되면, 실린더(15)에 의해 방적사 벋김가이드(14)가 돌출하여 트래버스기구(6)의 트래버스가이드(6a)로부터 방적사가 압출된다.
다음에, 실린더(17)에 의해 방적사 밀기가이드(16)가 만권튜브(51)의 단부(端部)를 향하여 이동하며 트래버스가이드(6a)로부터 벗어난 방적사가 공튜브(50)의 단부로 반송되고, 방적사 지지가이드(18)에 의해 방적사(60)가 공튜브에 형성된 포착용 홈, 스핀들에 지지된 공튜브의 단면이 서로 맞닿는 접합부 또는 튜브의 단면과 스핀들에 설치된 튜브 위치결정용 계단부 측면이 맞닿는 접합면 등의 실포착부(B)를 향하여 주행하도록 안내된다.
상술한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9)의 상세한 것은, 제6도, 제7도,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으며, 기계 프레임(1)에 회전자재하게 부착된 아암(19)과, 그 아암(19)을 회전시키기 위한 실린더(20)와, 그 아암(19)의 레버부(19a)에 일체로 부착된 스윙아암(21)과, 그 스윙아암(21)에 회전자재하게 부착된 분할판(22)과, 그 분할판(22)에 이동자재하게 장착된 방적사 탐지기구(2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분할판(22)의 측면부에는 캠종동자(24)가 설치되며, 기계 프레임(1)에 형성된 안내홈(1b)에 결합되어 있다.
또, 분할판(22)의 선단부에는 튜브 상의 사층 외주부의 소정의 위치에 외부 번치를 형성하기 위한 안내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20)에 의해 아암(19)이 회전되면, 분할판(22)이 기계 프레임(1)의 안내홈(1a)을 따라 이동하며, 외부번치 형성용 안내부(22a)가 만권튜브(51)와 공튜브(50)의 사이의 방적사 전환조작위치로 이동한다.
상술한 방적사 탐지기구(23)는 분할판(22)에 축(26)에 의해 회전자재하게 부착된 방적사 탐지가이드(25)와, 분할판(22)에 형성된 안내부(22b)에 삽입되며, 실린더(28)에 의해 튜브의 축심선을 따르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레버(27)와, 그 레버(27)의 단부에 회전자재하게 부착되며 터릿부재(2)에 설치된 독(30)에 맞닿는 로울러(29)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로울러(29)는 터릿부재(2)가 회전했을 때에 독(30)에 접촉하지 않도록 소정의 간극이 있으며, 방적사 전환작동시에 실린더(28)에 의해 그 로울러(29)가 독(30)에 소정의 면압으로 접촉되도록 레버(27)에 부착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방적사 탐지가이드(26)는, 그 방적사 탐지가이드(25)에 형성된 장공(25a)에, 레버(27)에 돌출하여 형성된 핀(27a)이 결합되어 있으며, 터릿부재(2)가 회전하여 공튜브(50)가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면, 실린더(28)에 의해 레버(27)의 로울러(29)가 독(30)에 맞닿게 된다.
그리고, 터릿부재(2)가 회전함에 따라 독(30)에 형성된 경사안내면(30a)에 의해 그 레버(27)가 이동되어 방적사 탐지가이드(25)가 축(26)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며, 방적사(60)가 공튜브(50)의 축심선을 따르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실포착부(B)에 결합된다.
상술한 방적사 앵커기구(10)는, 레버(27)에 형성된 지지부(27b)에 축(32)에 의해 회전자재하게 부착된 방적사 앵커용 가이드판(31)과, 그 방적사 앵커용 가이드판(31)을 권취위치와 대기위치로 회전시키는 실린더(33)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그 방적사 앵커용 가이드판(31)의 선단부에는 사도규제용 안내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방적사 전환조작시에 먼저, 실린더(20)에 의해 아암(19)이 회전되면, 분할판(22)이 기계 프레임(1)의 안내홈(1a)을 따라 이동하며, 외부번치 형성용 안내부(22a)가 만권튜브(51)와 공튜브(50) 사이의 방적사 전환조작위치로 이동하고, 이어서, 실린더(33)에 의해 방적사 앵커용 가이드판(31)이 회전되어 사도규제용 안내부(31a)가 방적사 권취조작위치로 이동하면, 실린더(28)에 의해 레버(27)의 로울러(29)가 독(30)에 접촉하며, 터릿부재(2)의 회전에 따라 레버(27)가 공튜브(50)의 축심선을 따르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 방적사 탐지가이드(25)가 축(26)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여 주행하는 방적사(60)가 실포착부(B)를 횡단하도록 이동된다.
상술한 방적사 탐지가이드(25)가 회전함과 동시에, 방적사 앵커용 가이드판(31)의 사도규제용 안내부(31a)가 공튜브(50)의 축심선을 따르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며, 방적사 탐지가이드(25)와 그 사도규제용 안내부(31a)에 의해 방적사(60)가 실포착부(B)의 수직선 상을 횡단하도록 안내된다.
상술한 분할기구(11)는 제3도에 표시하듯이, 기계 프레임(1)에 회전자재하게 부착된 분할판(34)과, 그 분할판(34)을 공튜브(50)와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9) 사이의 방적사 전환조작위치와 대기위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3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실꿰기기구(12)는,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9)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기계 프레임(1)에서 회전함과 함께, 축심선을 따르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부착된 지지레버(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와, 단부에 실꿰기가이드(36)가 있는 지지레버에 부착된 아암(37)과, 실꿰기가이드(36)를 실꿰기조작위치와 대기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지지레버를 회전시키는 실린더(3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방적사 권취 개시시에 방적사(60)가 실꿰기가이드(36)에 통과하면, 실린더(38)에 의해 지지레버(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와 함께 실꿰기가이드(36)가 실꿰기조작위치로 회전되어 방적사(60)가 실포착부(B) 상을 주행하도록 안내한다.
상술판 안내부(22a,31a)의 방적사 접촉부를 세라믹, 알루미나 자기 등의 가이드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각 실린더에는 전자밸브가 있는 압축공기 공급용 관(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이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전자밸브를 작동 시켜서 압축공기 공급관로를 전환하여 각 실린더의 피스톤로드를 진퇴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방적사 앵커기구(10)는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9)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기계 프레임(1)에 장착한다거나,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터릿형 권취기에 있어서의 만권튜브로부터 공튜브로의 방적사 전환 작동의 개략적인 것을 제9도 내지 제18도에 표시하며, 그 방적사 전환작동을 설명한다.
상술한 터릿형 권취기에 있어서의 미리 설정된 량의 방적사(60)가 튜브에 권취되어, 제9도에 표시한 만권상태로 되면, 공튜브(50)가 삽입된 스핀들(4)이 회전됨과 함께, 터릿부재(2)가 회전되어 권취조작위치에 있는 만권튜브(51)가 도핑조작위치로 향하며, 도핑조작위치에 있는 공튜브(50)가 권취조작위치를 향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공튜브(50)가 권취조작위치로부터 가까운 중간 정지위치까지 이동하여 터릿부재(2)가 정지하면, 상부 방적사 전환기구(8)의 실린더(15)가 작동하여 방적사 벋김가이드(14)가 회전되어 방적사가 트래버스가이드(6a)로부터 압출된다. 이 때의 사도는 제15도에 표시한 상태로 된다.
다음에,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9)의 실린더(20)가 작동하여 아암(19)이 회전되며, 분할판(22)의 안내부(22a)가 공튜브(50)와 만권튜브(51) 사이의 전환조작위치로 이동하면, 상부 방적사 전환기구(8)의 실린더(17)가 작동하여 방적사 밀기가이드(16)가 이동되며, 제5도에서의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방적사(60)가 방적사 지지가이드(18)의 지지부(18a)와 안내부(18b)위치로 반송된다.
상술한 작동에 의해 방적사 밀기가이드(16)와 방적사 지지가이드(18) 및 분할판(22)의 안내부(22b)에 의해 방적사(60)가 만권튜브(51)의 사층의 외주부의 외부번치 권취위치(51a)로 안내되어 권취된다. 이 때의 사도는 제16도에 표시한 상태로 된다.
이렇게 하면, 방적사 앵커기구(10)의 실린더(33)가 작동하여 방적사 앵커용 가이드판(31)이 방적사 권취조작위치로 회전되어, 그 방적사 앵커용 가이드판(31)의 안내부(31a)가 방적사 권취조작위치로 이동하면, 제1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부 방적사 전환기구(8)의 실린더(15)가 작동하여 방적사 벋김가이드(14)가 대기위치로 복귀된다.
이 때에, 방적사(60)는 공튜브(50)의 외주부(D)와 만권튜브(51)의 사층 외주부(E)에 접하는 접선 상을 주행하여 권취되고 있다.
이어서,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9)의 실린더(28)가 작동하여 레버(27)가 간극만큼 이동되어 로울러(29)가 독(30)에 접촉된다.
그 레버(27)의 이동작동에 의해 방적사 탐지가이드(25)가 제8도에서의 점선으로 표시하듯이, 축(26)을 지지점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실꿰기부(25b)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된다.
이렇게 하면, 제1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터릿부재(2)가 회전하여 공튜브(50)가 권취조작위치로, 만권튜브(51)가 도핑조작위치로 이동되면, 방적사(60)가 공튜브(50)의 원주면에 접촉한다.
그 터릿부재(2)의 회전에 따라 독(30)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독(30)의 경사 안내면(30a)을 따라 레버(27)가 스핀들 지지측으로 이동되면, 방적사 탐지가이드(25)가 축(26)을 지지점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실꿰기부(25b)가 제8도에서의 점선으로 표시하는 위치로 이동됨과 함께, 방적사 앵커용 가이드판(31)이 레버(27)와 일체로 이동된다. 이 때의 사도는 제17도와 같은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제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방적사 탐지가이드(25)의 실꿰기부(25b)와 방적사 앵커용 가이드판(31)의 안내부(31a)에 의해 외부번치위치를 향해 주행하고 있던 방적사(60)가 실포착부(B)를 가로질러 이동되어 그 방적사(60)가 실포착부(B)에 포착된다. 이 때의 사도는 제18도와 같은 상태로 된다.
그 실포착부(B)에 방적사(60)가 포착되면, 만권튜브(51)와의 사이의 방적사는 장력에 의해 절단된다.
그 방적사(60)가 실포착부(B)에 포착되면, 상부 방적사 전환기구(8)의 실린더(17)가 작동하여 방적사 밀기가이드(16)가 대기위치로 복귀된다.
그 방적사 밀기가이드(16)가 이동하면 방적사(60)가 방적사 지지가이드(18)의 지지부(18a) 상을 이동하여 공튜브(50) 상에 테일권취가 형성되며, 이어서, 방적사(60)가 그 지지부(18a)로부터 이탈하면 트래버스기구(6)의 트래버스가이드(6a)에 결합하여 가로질러서 공튜브(50) 상에 권취된다.
한편, 방적사(60)가 실포착부(B)에 포착되면, 방적사 앵커기구(10)의 실린더(33)가 작동하여 방적사 앵커용 가이드판(31)이 대기위치로 복귀된다.
이어서, 만권튜브(51)의 스핀들(3)의 회전이 정지하면, 분할기구(11)의 실린더(35)와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9)의 실린더(20)가 작동하여 각 분할판(22,34)이 대기위치로 복귀되어, 방적사 전환작동을 완료한다,
상술한 터릿형 방적사 권취기에 있어서의 권취 개시시의 공튜브에 대한 실꿰기작동은, 방사기(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로부터 방출된 방적사(60)를 흡인건(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에 의해 흡인하며, 상부 방적사 전환기구(8)의 방적사 벋김가이드(14)를 돌출시킨 상태에서 방적사(60)를 실꿰기기구(12)의 실꿰기가이드(36)에 통과시키고, 그 실꿰기가이드(36)를 방적사 앵커조작위치로 이동시키며, 이어서, 상술한 만권튜브(51)로부터 공튜브(50)로의 방적사 전환작동에서 터릿부재(2)가 중간 정지위치로 이동한 상태(제10도) 이하와 대략 동일한 작동에 의해 실시될 수 있으며, 그 방적사 전환작동과 다른 점은 방적사(60)가 만권튜브(51)에 권취되는 대신에, 흡인건(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으로 흡인되는 것이 있다.
그 실꿰기작동을 미리 설정된 권취속도보다 느린 실꿰기속도로 실시한 경우에는, 방적사(60)가 공튜브(50)에 권취되면 고뎃로울러(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와 동기되어 미리 설정된 권취속도로 증속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권취속도로 되면, 상술한 실꿰기조작, 증속조작시에 방적사가 권취된 박권튜브로부터 공튜브로의 방적사 전환작동이 실시된다.
그 박권튜브로부터 공튜브로의 방적사 전환작동은 만권튜브로부터 공튜브로의 방적사 전환작동과 완전히 동일한 방적사 전환작동이 실시된다.
하기의 조건에서, 만권튜브(51)로부터 공튜브(50)로의 방적사 전환조작을 실시한 바, 방적사 전환 성공율은 제19도에 표시한 바와 같았다.
[방적사 전환 조건]
실의 종류 : 폴리에스텔 필라멘트사(75데니어)
권취속도 : 4800 m/min
전환시의 증속율 : 0.5%, 1.0%, 2.0%, 2.5%
만권튜브의 사층 외경 치수 : 400 mm
공튜브의 직경 치수 : 126 mm
제19도로부터 본 발명의 권취기에 의하면, 종래의 터릿형 권취기와 비교하여, 방적사 전환 성공율이, 증속율이 1.0%로부터 2.5%의 범위에서 대략 100%의 상태로 되어, 방적사 전환 성공율이 안정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박권튜브로부터 공튜브(50)로의 방적사 전환시의 장력변화와, 만권튜브로부터 공튜브로의 방적사 전환시의 장력변화는 제20도에 표시한 바와 같다.
그 방적사 전환시의 증속율을 2.0%로 한 경우는, 박권튜브로부터 공튜브로의 방적사 전환에 있어서는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9)에 있어서의 방적사(60)의 접촉량이 거의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방적사 전환작동을 실시할 때까지의 장력 변화는 제22도에 표시하는 종래의 만권튜브로부터 공튜브로의 방적사 전환에 있어서의 장력변화와 거의 동일한데, 방적사 전환작동시에 있어서의 장력 저하량은 종래의 경우보다 작게 되고 있다.
한편, 만권튜브(51)로부터 공튜브(50)로의 방적사 전환에 있어서는,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9)에 있어서의 방적사(60)의 접촉량이 매우 작기 때문에, 증속에 따른 장력의 증가량이 작게 됨과 함께, 방적사가 외부번치 형성용 가이드에 접촉한 경우의 장력저하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또, 방적사 전환작동에 있어서의 장력저하는 박권튜브로부터 공튜브로의 방적사 전환작동시의 장력 저하량과 동일하다.
상술한 방적사 전환작동시에 있어서의 장력저하가 작으면 실이 떨리며, 고뎃로울러로의 권취가 발생하지 않아 방적사 전환 성공율을 높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제19도의 방적사 전환 성공율의 결과로부터도 명확하다.
상술한 증속율을 1.0%로 한 경우에는,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그 증속에 의한 장력의 증가량은 2.0%의 경우보다 작고, 또, 장력변화의 상태는 완만하다.
그러므로, 방적사 전환시의 증속시간을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사층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증속에 의해 발생되는 불량사의 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릿형 권취기는 청구의 범위 제1항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에 방적사 권취기구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면, 공튜브에 대한 방적사 권취시의 장력변화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청구의 범위 제2항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를 튜브 상의 사층 외주부의 소정의 위치에 방적사를 주행시켜서 번치권치를 형성하는 외부번치 형성용 가이드와, 상부 방적사 전환기구에 의해 위치가 규제되어 주행하는 방적사를 튜브의 실포착부로 안내하는 사탐가이드에 의해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한 외부번치 형성용 가이드가, 상기한 터릿부재가 상기한 스핀들의 회전 방향과 역 방향으로 회전하여 공튜브가 권취위치 근방의 방적사 전환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만권튜브와 공튜브 사이로 이동했을 때, 터릿부재의 회전측에 위치하는 만튜브의 사층 외주와 터릿부재의 회전측에 위치하는 공튜브의 외주에 접하는 공통의 접선에 대해서 공튜브 쪽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면,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에 있어서의 방적사 접촉각도가 최소로 되어, 방적사 전환시의 권취장력의 저하량을 작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방적사 전환시에 있어서의 스핀들 회전속도의 증속량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의 흔들림이나 고뎃로울러로의 방적사의 권취가 발생하지 않아, 방적사 전환 성공율을 높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사층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불량사의 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청구의 범위 제2항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사탐가이드를, 터릿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독에 의해 이동시키도록 하면, 실의 종류, 굵기, 권취속도 등에 대응하여 튜브에 대한 권취각도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음과 함께, 최적의 권취각도를 선택하므로써, 방적사 전환 성공율을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4)

  1. 튜브 삽입용의 복수의 스핀들이 회전자재하게 장착되며, 기계 프레임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된 터릿부재와, 상기한 스핀들의 상방 위치에 설치된 트래버스기구와, 상기한 프레임 또는 트래버스기구의 프레임부에 회전자재하게 장착된 접촉로울러와, 상기한 접촉로울러의 상류측에 설치된 상부 방적사 전환기구와, 만권튜브와 공튜브의 사이에 이동자재하게 설치된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로 구성되는 권취기에 있어서, 상기한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9)에 방적사 앵커기구(1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릿형 권취기.
  2. 튜브 삽입용의 복수개의 스핀들이 회전자재하게 장착되며, 기계 프레임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된 터릿부재와, 상기한 스핀들의 상방 위치에 설치된 트래버스기구와, 상기한 프레임 또는 트래버스기구의 프레임부에 회전자재하게 장착된 접촉로울러와, 권취조작위치의 스핀들의 상류측에 설치된 상부 방적사 전환기구와, 만권튜브와 공튜브의 사이에 이동자재하게 설치된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로 구성되는 권취기에 있어서, 하부 방적사 전환기구(9)를 튜브 상의 사층 외주부의 소정의 위치로 방적사를 주행시켜서 번치권취를 형성시키는 외부번치 형성용 가이드와, 상부 방적사 전환기구(8)에 의해 위치가 규제되어 주행하는 방적사를 튜브의 실포착부(B)로 안내하는 사탐가이드에 의해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한 외부번치 형성용 가이드가, 상기한 터릿부재(2)가 상기한 스핀들의 회전 방향과 역 방향으로 회전하여 공튜브(50)가 권취위치 근방의 방적사 전환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만권튜브(51)와 공튜브(50)의 사이로 이동했을 때, 터릿부재의 회전측에 위치하는 만권튜브(51)의 사층의 외주와 터릿부재(2)의 회전측에 위치하는 공튜브(50)의 외주에 접하는 공통의 접선에 대해서 공튜브(50) 쪽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릿형 권취기.
  3. 제2항에 있어서, 사탐가이드를, 터릿부재(2)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독(30)에 의해 이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릿형 권취기.
  4. 제1항에 있어서, 방적사 앵커기구(10)는, 실 안내부가 있는 분할판(22)과 그 분할판(22)에 회전자재하게 탑재된 사탐가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릿형 권취기.
KR1019950017862A 1994-06-27 1995-06-28 터릿형 권취기 KR100242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69008 1994-06-27
JP6169008A JP2843964B2 (ja) 1994-06-27 1994-06-27 ターレット型巻取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740A KR960000740A (ko) 1996-01-25
KR100242091B1 true KR100242091B1 (ko) 2000-03-02

Family

ID=15878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7862A KR100242091B1 (ko) 1994-06-27 1995-06-28 터릿형 권취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16016A (ko)
EP (1) EP0690018B1 (ko)
JP (1) JP2843964B2 (ko)
KR (1) KR100242091B1 (ko)
CN (1) CN1068296C (ko)
DE (1) DE69504917T2 (ko)
TW (1) TW3280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7947B2 (ja) * 1996-12-16 1999-07-12 村田機械株式会社 弾性糸用紡糸巻取機とその糸切換え方法
EP0886623B1 (de) * 1996-12-20 2000-03-29 B a r m a g AG Aufspulmaschine mit anlegevorrichtung
TW404993B (en) * 1997-04-04 2000-09-11 Zinser Textilmaschinen Gmbh Automatic spool changing method and the spool device having changing apparatus
CN1163395C (zh) * 1997-09-11 2004-08-25 苏拉有限及两合公司 卷绕机及丝线的切换方法
DE19743278C2 (de) * 1997-09-30 1999-10-21 Sahm Georg Fa Verfahren und Spulmaschine zum Aufwickeln eines kontinuierlich zulaufenden Fadens zu Spulen
JP2000095440A (ja) * 1998-09-25 2000-04-04 Teijin Seiki Co Ltd 糸条の切替方法および装置
KR100319266B1 (ko) * 1999-01-20 2002-01-05 전영도 탄성사의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JP3303850B2 (ja) * 1999-07-01 2002-07-22 村田機械株式会社 紡糸巻取機、及びそのバンチ巻方法
IL143255A (en) 2001-05-20 2015-09-24 Simbionix Ltd Endoscopic ultrasonography simulation
US7850456B2 (en) 2003-07-15 2010-12-14 Simbionix Ltd. Surgical simul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8543338B2 (en) 2007-01-16 2013-09-24 Simbionix Lt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puterized simulations for image-guided procedures using a patient specific model
US8500451B2 (en) * 2007-01-16 2013-08-06 Simbionix Ltd. Preoperative surgical simulation
CN101301971B (zh) * 2008-07-04 2012-05-09 武志生 一种用于塑料管材收卷的全自动收卷机
KR20160114224A (ko) 2015-03-23 2016-10-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로봇 암의 백 드라이빙을 위한 브레이크 해제장치
CN106498521B (zh) * 2016-12-02 2018-09-25 桐昆集团股份有限公司 Udy低速纺丝全自动切换卷绕机
CN114249175B (zh) * 2021-12-26 2022-11-04 宜昌佳润纺织有限公司 一种络纱机用纱线收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5977A (ja) * 1986-05-22 1987-11-30 Toray Eng Co Ltd タ−レツト型巻き取り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66544A (en) * 1970-08-28 1974-09-11 Barmag Barmer Maschf Mechanism for forming a yarn reserve
JPS5828811B2 (ja) * 1973-06-11 1983-06-18 三菱電機株式会社 位相比較継電装置
JPS5046034A (ko) * 1973-08-28 1975-04-24
CS187332B2 (en) * 1975-06-14 1979-01-31 Barmag Barmer Maschf Pirn winder for winding the single or plural threads
US4146186A (en) * 1975-06-14 1979-03-27 Barmag Barmer Maschinenfabrik Ag Spinning machine with thread applying device
JPS54114675A (en) * 1978-02-28 1979-09-06 Toray Ind Inc Turret type thread stripe winder
FR2425399A1 (fr) * 1978-05-12 1979-12-07 Saint Gobain Perfectionnement au transfert d'un materiau filiforme d'une broche d'enroulement a une autre
US4496109A (en) * 1981-04-28 1985-01-29 Celanese Corporation Apparatus for cutting, aspirating and rethreading a traveling filamentary yarn
DE3132853A1 (de) * 1981-08-20 1983-03-03 Neumünstersche Maschinen- und Apparatebau GmbH (Neumag), 2350 Neumünster Spulmaschine fuer automatische spulenwechsel
JPH0794307B2 (ja) * 1986-02-20 1995-10-11 東レ株式会社 ボビンホルダ
JPS62290686A (ja) * 1986-06-06 1987-12-17 Asahi Eng Kk 合成繊維用巻取機の糸付け装置
JPH01104576A (ja) * 1987-10-13 1989-04-21 Toray Eng Co Ltd 巻取機における糸条切替え方法
JPH0722962B2 (ja) * 1988-06-24 1995-03-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フィルム縦延伸機
JPH0669869B2 (ja) * 1989-01-05 1994-09-07 東レ株式会社 自動糸切替巻取機による糸切替方法およびその自動糸切替巻取機
EP0650914B1 (en) * 1993-05-13 1998-12-30 Toray Engineering Co., Ltd. Filament winding method and filament winding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5977A (ja) * 1986-05-22 1987-11-30 Toray Eng Co Ltd タ−レツト型巻き取り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04917D1 (de) 1998-10-29
TW328098B (en) 1998-03-11
KR960000740A (ko) 1996-01-25
CN1068296C (zh) 2001-07-11
JPH0812191A (ja) 1996-01-16
EP0690018A2 (en) 1996-01-03
CN1119620A (zh) 1996-04-03
DE69504917T2 (de) 1999-04-22
EP0690018A3 (en) 1996-12-11
JP2843964B2 (ja) 1999-01-06
EP0690018B1 (en) 1998-09-23
US5716016A (en) 1998-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2091B1 (ko) 터릿형 권취기
US3801030A (en) Yarn winding process and a machine adapted for carrying out same
US4324368A (en) Yarn winding apparatus
US3913852A (en) Winding apparatus and process
US4474337A (en) Yarn guide assembly for winding machine
JPS5924059B2 (ja) 巻糸機における糸条切断及び口付け装置
JPS5917709B2 (ja) イトソンシツナシニカドウスルイトマキキニオケル ジドウテキナボビンコウカンジニイトオガイドシセツダンスルソウチ
EP01281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yarn in turret-type winder
KR19990082426A (ko) 드레드업장치가 있는 권취기
US486738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ading an advancing yarn onto a winding bobbin tube
US4613090A (en) Yarn winding apparatus of automatic bobbin changing type
EP0927695A2 (en) Elastic yarn take-up winder and package
US4002305A (en) Device for forming a tail wind around a bobbin held by a take-up mechanism of a ringless spinning machine
US6158689A (en) Yarn winding apparatus and method
EP0905077A3 (de) Spulmaschine und Verfahren zum Aufwickeln eines kontinuierlich zulaufenden Fadens zu Spulen
US4339089A (en) Yarn winding apparatus and method
US5090635A (en) Machine for producing cross-wound bobbins or cheeses
JPH0717313B2 (ja) 巻き取り機
EP0985621B1 (en) Yarn threading methods for a take-up winder
EP0127334B1 (en) Yarn feeding device; winding initiation for yarn
EP0475483A1 (en) Device for adapting the tension of the thread as it unwinds in a spooler
JPH07300281A (ja) 連続した糸又はヤーンを巻き取る方法及び装置
JPH06321424A (ja) 糸条巻取方法、および糸条巻取機
JP2943698B2 (ja) 糸寄装置
JP3209165B2 (ja) 紡糸巻取機における糸掛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