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9266B1 - 탄성사의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 Google Patents

탄성사의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9266B1
KR100319266B1 KR1019990001603A KR19990001603A KR100319266B1 KR 100319266 B1 KR100319266 B1 KR 100319266B1 KR 1019990001603 A KR1019990001603 A KR 1019990001603A KR 19990001603 A KR19990001603 A KR 19990001603A KR 100319266 B1 KR100319266 B1 KR 100319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yarn
bobbin
turret
gongb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1263A (ko
Inventor
최영호
Original Assignee
전영도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도,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영도
Priority to KR1019990001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9266B1/ko
Priority to TW088110628A priority patent/TW533181B/zh
Publication of KR20000051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2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or replacing by cores, formers, or empty receptacles a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B65H67/044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 B65H67/048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having winding heads arranged on rotary capstan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 B65H2701/319Elastic threads

Landscapes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탄성사의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보빈이 회전할 때 발생되는 기류를 이용하되, 공보빈과 터치롤러 사이를 일정간격 띄워줌으로써 회전체 의한 기류가 충돌 및 교란하지 않도록 하면서, 출사측의 탄성사를 공보빈에 휘감기 쉽도록 상방향으로 모아 줌으로써 트래버싱되고 있는 입사측의 탄성사와 출사측의 탄성사가 서로 얽혀 상기 공보빈에 정확하게 탄성사가 인도 및 권취될 수 있도록 트래버스에 의해 탄성사를 트래버싱하며 배출하는 탄성사배출부와; 보빈이 끼워질 수 있도록 적어도 두개의 보빈홀더가 설치된 회동가능한 터릿을 구비한 터릿부와; 상기 터릿에 장착된 보빈이 상기 탄성사배출부로부터 배출된 탄성사에 의해 만보빈이 되었을 경우 상기 터릿을 회전시켜 공보빈에 탄성사를 인도 및 권취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탄성사의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릿부의 일측에는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암과, 상기 암의 일단에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되 대략 반원형 형태를 하여 상기 공보빈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기류를 상방향으로 모아주어 상기 기류를 따라서 상기 공보빈을 거친 출사측 탄성사가 상기 공보빈에 감겨지도록 형성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탄성사인도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사의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Description

탄성사의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Winding apparatus of yarn and winding method}
본 발명은 탄성사의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공(空)보빈의 회전시 발생하는 기류를 이용하여 탄성사를 공보빈의 일정 위치로 정확히 인도 및 권취할 수 있는 탄성사의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실을 2개의 보빈홀더에 의해 번갈아 권취하면서 연속 작동하는 종래의 권취장치(1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 내에 상, 하로 승강이 가능한 실배출부(10)와, 회전 가능한 터릿부(20) 및 상기 터릿부(20)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배출부(10)는 상, 하로 이동이 가능한 승강박스(11)와, 상기 승강박스(11)에 설치되어 실(2)을 트래버싱하는 트래버스가이드(13) 및 트래버스(12)와, 상기 승강박스(11)에 설치되어 상기 트래버스(12)로부터의 실(2)을 일측으로 배출하는 터치롤러(1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터릿부(20)는 상기 실배출부(10) 하부에 설치된 유도모터(21)와, 상기 유도모터(2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터릿(23)과, 상기 터릿(23)의 양단에 설치된 보빈홀더(24)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유도모터(21)를 제어하여 터릿(23)을 약 180°회전시켜 터릿(23) 상단의 만보빈(26)은 하단으로, 터릿(23) 하단의 공보빈(25)은 상단으로 위치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만보빈(26)의 회전속도를 급격히 감속시켜 상기 공보빈(25)을 통해서 출사되는 실이 상기 공보빈(25)에 트래버싱되어 입사되는 실(2)과 얽히게 함으로써 상기 공보빈(25)에 실이 권취되도록 함과 동시에, 공보빈(25)과 만보빈(26) 사이의 실은 장력에 의해 서로 끊어지도록 프로그램화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권취장치(100')에서 만보빈(26)에 입사되어 권취되던 실(2)이 공보빈(25)으로 입사되어 권취되고, 또한 만보빈(26)으로의 실(2)이 끊어지는 과정 및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만보빈(26)으로부터 공보빈(25)으로의 실 교체 시기가 되면, 제어부(40)는 유도모터(21)를 이용하여 터릿(23)을 약 180°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터릿(23) 상단의 만보빈(26)은 하단으로 상기 터릿(23) 하단의 공보빈(25)은 상단으로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터치롤러(14)로부터의 입사된 실(2)은 공보빈(25)을 거쳐 만보빈(24)에 계속 권취되는 상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40')는 도시되지 않은 감속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만보빈(26)의 회전속도를 급감속시킨다. 그러면 상기 공보빈(25)을 거쳐 출사되는 실이 느슨해져 공보빈(25)에 대한 실의 접촉길이 또는 면적이 길어지면서 실이 보빈에 접착되어 그 출사측의 실이 공보빈(25)의 표면을 따라서 순간적으로 상부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공보빈(25)에 트래버싱되어 입사하는 실(2)과 상기 출사하는 실(2)이 서로 얽히면서 공보빈(25)에 실이 인도되어 권취되기 시작한다. 또한 동시에 상기와 같이 공보빈(25)에 실이 권취되기 시작한 상태에서는 상기 공보빈(25)과 만보빈(26) 사이의 실(2)에는 장력이 작용함으로써 결국 실(2)은 끊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실이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통상적인 탄성사일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공보빈(25)에 소정의 슬릿을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 슬릿에 탄성사가 끼워지며 권취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실이 폴리우레탄과 같은 탄성사인 경우에는 상기 탄성사가 쉽게 늘어남으로써 상기 슬릿과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사가 슬릿에 파들어간 후에 공보빈에 권취되려고 할 때 그 탄성사가 늘어져서 접촉 면적이 작게 되므로, 슬릿에서 쉽게 빠져 결국 탄성사인도 및 권취가 실패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그래서, 종래에는 통상 상기 탄성사를 권취하는 경우에는 공보빈의 표면에수지코팅을 더해서 표면에 탄성사가 쉽게 붙을 수 있도록 한 후 탄성사를 권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탄성사 권취방법도 그 탄성사가 굵은 경우 그 관성력에 의해 공보빈으로부터 떨어질려고 하는 힘이 더 큼으로써 상기 공보빈으로의 탄성사인도가 실패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또한 그 탄성사의 굵기가 큼으로써 상기 탄성사가 상기 공보빈의 슬릿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의 방법으로는 탄성사 인도에 실패한다.
더불어, 상기의 일반적인 실이나 탄성사를 불문하고, 공보빈으로의 실 인도시 상기했듯이 만보빈을 급감속시키기 위한 감속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장치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도 있다.
한편, 상기 공보빈의 회전시에는 소정의 기류가 자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 기류에 의해 공보빈을 통과하는 출사측의 실이 여러 방향으로 흩날리고, 따라서 상기 실의 인도 방향이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해짐으로써 트래버싱되는 입사측의 실과 정확하게 얽혀지지 않으며, 결국 상기 공보빈에 대한 실의 인도 및 권취가 실패하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공보빈이 회전할 때 발생되는 기류를 이용하여 출사측의 탄성사를 공보빈에 휘감기 쉽도록 상방향으로 모아주고, 공보빈과 터치롤러 사이를 일정간격 띄워주어 터치롤러와 공보빈 사이에서 충돌 교란되는 기류를 자연스럽게 빠져나가게 하여, 트래버싱되고 있는 입사측의 탄성사와 출사측의 탄성사가 서로 얽혀 상기 공보빈에 정확하게 인도 및 권취될 수 있는 탄성사의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 탄성사의 권취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사의 권취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권취장치에 장착된 탄성사인도부의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a 및 도4b는 도3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5a 내지 도5e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사의 권취장치에서 탄성사가 권취되는 보빈의 교체 방법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권취장치에서 탄성사인도부의 기구학적 운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권취장치에서 탄성사인도부의 또다른 기구학적 운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몸체2; 탄성사
10; 탄성사배출부11; 승강박스
12; 트래버스13; 트래버스가이드
14; 터치롤러20; 터릿부
21; 유도모터22; 회전축
23; 터릿24; 보빈홀더
25; 공보빈26; 만보빈
30; 탄성사인도부31a; 제1회전축
31b; 제2회전축32; 암
34; 플레이트35; 보조플레이트
37; 요홈40; 제어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탄성사의 권취장치는 트래버스에 의해 탄성사를 트래버싱하며 배출하는 탄성사배출부와; 보빈이 끼워질 수 있도록 적어도 두개의 보빈홀더가 설치된 회동가능한 터릿을 구비한 터릿부와; 상기 터릿에 장착된 보빈이 상기 탄성사배출부로부터 배출된 탄성사에 의해 만보빈이 되었을 경우 상기 터릿을 회전시키고 터치롤러가 부착된 승강박스를 상승시켜 공보빈과 터치롤러 사이를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공보빈에 탄성사를 인도 및 권취시키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탄성사의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릿부의 일측에는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암과, 상기 암의 일단에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되 대략 반원형 형태를 하여 상기 공보빈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기류를 상방향으로 모아주어 상기 기류를 따라서 상기 공보빈을 거친 출사측 탄성사가 상기 공보빈에 감겨지도록 형성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사인도부는 상기 암을 상기 공보빈쪽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공보빈의 외주연에 근접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를 일정각도 더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플레이트에 의해 공보빈을 통과하는 출사측 탄성사가 상기 공보빈의 일정한 위치에 모아져서 상기 공보빈으로 입사되는 탄성사와 얽히게 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내측표면에 요홈을 형성하되, 플레이트의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하여 공보빈으로부터 발생되는 기류에 의해 출사측 탄성사가 공보빈의 일정위치에 정확하게 모아지도록 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탄성사의 권취방법은 터릿의 양단에 끼워진 보빈중에서 일단의 보빈에 탄성사가 권취되어 만보빈이 되면 타단의 공보빈과 위치를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터릿을 약 180°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터치롤러와 공보빈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띄워주는 단계와; 대략 반원형인 플레이트를 상기 공보빈의 측면에 위치시켜, 상기 공보빈에 의한 기류를 상??향으로 모아줌으로써, 상기 공보빈에 감기기 쉽도록 출사측 탄성사를 모아주는 단계와; 상기 트래버싱되어 입사되는 입사측 탄성사와 플레이트에 의해 유도된 출사측 탄성사가 서로 얽히면서 공보빈에 탄성사가 권취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보빈으로 출사되는 탄성사를 일정한 위치로 모아주는 단계는, 상기 반원형의 플레이트를 공보빈의 외주연쪽으로 회전시켜 반원형의 플레이트가 공보빈의 외주연에 접촉하지 않으면서 감싸는 형태로 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내측표면에 상방향으로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된 요홈을 구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탄성사의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은 대략 반원형의 플레이트에 의해 공보빈의 출사측 탄성사가 공보빈에 접촉되는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공보빈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기류를 상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트래버싱되어 공보빈에 입사되는 탄성사와 상기 출사측 탄성사가 서로 얽혀지게 하여, 공보빈으로의 탄성사 인도 및 탄성사 권취가 확실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 표면에 요홈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권취가 더욱 확실히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사의 권취장치(100)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3a 및 도4a, 도4b는 본 발명의 권취장치(100)에 장착되는 탄성사인도부(30)의 플레이트(34)에 대한 주요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탄성사의 권취장치(100)는 종래와 같이 몸체(1), 탄성사배출부(10), 터릿부(20), 제어부(40) 외에도 탄성사인도부(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먼저 몸체(1)의 상부에는 탄성사배출부(1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탄성사배출부(10)는 상, 하로 이동이 가능한 승강박스(11)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박스(11) 일측에는 탄성사(2)을 트래버싱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트래버스가이드(13) 및 트래버스(1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트래버스(12)의 일측에는 상기 트래버스(12)로부터의 탄성사(2)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며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터치롤러(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사배출부(10)의 하부에는 터릿부(20)가 위치되어 있으며, 이는 중앙에 유도모터(2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도모터(21)에 의해 회동될 수 있는 터릿(2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터릿(23)의 양단에는 공보빈(25) 또는 만보빈(26)이 삽입될 수 있도록 보빈홀더(24)가 대략 180°의 각도차를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빈홀더(24)에 끼워져 탄성사(2)가 권취되는 위치의 공보빈(25)은 상기 승강박스(11)의 터치롤러(14)와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종래 기술과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터릿부(20)의 일측에 소정 거리 이격된 채로 탄성사인도부(30)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사인도부(30)는 상기 터릿(23)의 일측에 제1회전축(3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회전축(31a)에는 일정각도(α) 회전이 가능하며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암(3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암(32)의 단부에는 제2회전축(31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회전축(31b)에는 일정각도(β) 회전이 가능하며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되, 대략 반원형의 플레이트(34)가 설치되어 상기 탄성사인도부(30)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반원형의 플레이트(34)에는 상기 보빈홀더(24)에 끼워진 공보빈(25)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기류를 상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출사측 탄성사(2)이 상기 공보빈(25)의 주위로 감기게 한다. 상기 플레이트(34)의 내측표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서 다수개의 요홈(37)을 형성함으로써 요홈(37)이 공보빈(25)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기류에 대해 노즐로서 작용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기류를 상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34) 내측면에는 도3 및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면서 대략 사다리꼴 모양을 하는 보조플레이트(35)가 다수 덧붙여져, 상기 다수의 보조플레이트(35) 사이에 형성되는 요홈(37)의 폭은 플레이트(34)의 끝단으로 갈수록 즉, 탄성사(2)의 출사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진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34)의 요홈(37)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34)의 내측 표면에 직접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플레이트(34)의 끝단으로 갈수록 즉, 탄성사(2)의 출사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40)는 추가된 탄성사인도부(30)를 다음과 같이 제어한다.
즉, 터릿(23) 상단의 보빈이 만보빈(26)이 되면, 유도모터(21)를 작동시켜 상기 터릿(23)을 약 180°회전시킴으로써, 터릿(23) 상단의 만보빈(26)은 하단으로 이동시키고, 터릿(23) 하단의 공보빈(25)은 상단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승강박스(11)를 상승시킨다. 그런후, 상기 탄성사인도부(30)의 암(32) 및 플레이트(34)를 각각 제1회전축(31a) 및 제2회전축(31b)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α,β)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플레이트(34)가 상기 공보빈(25)의 외주연에 근접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34)에 의해 유도된 출사측의 탄성사(2)은 상기 공보빈(25)에 트래버싱되며 입사되는 탄성사(2)과 얽혀지게 됨으로써, 상기 공보빈(25)에 탄성사(2)이 인도 및 권취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공보빈(25)으로의 탄성사인도 및 권취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상기 공보빈(25)과 만보빈(26) 사이의 탄성사에는 장력이 크게 작용함으로써, 상기공보빈(25)과 만보빈(26) 사이의 탄성사는 끊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5a 내지 도5e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사의 권취방법을 도시한 상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요홈이 설치된 플레이트를 구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사의 권취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터릿(23) 일단의 보빈에 탄성사(2)이 권취되어 만보빈(26)이 되면 즉, 도5a에서와 같이 터치롤러(14)와 접촉하며 회전하는 터릿(23) 상단의 보빈이 만보빈(26)이 되면 제어부(40)가 유도모터(21)의 회전축(22)을 회전시켜 상기 터릿(23)을 약 180°회전시킨다. 그리고 승강박스(11)를 상승시킨다. 따라서 도5b 및 도5c에서와 같이 터릿(23) 상단의 만보빈(26)은 하단으로 이동되고, 터릿(23) 하단의 공보빈(25)은 상단으로 이동되고, 하단의 공보빈이 상단으로 이동하였을 때, 공보빈과 터치롤러는 일정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대략 반원형이며, 그 내측 표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한개 이상의 요홈(37)이 형성되어 있되, 탄성사(2)의 출사측 방향으로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된 플레이트(34)를 상기 공보빈(25)의 외주연을 감싸듯이 위치시킴으로써, 도5d에서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34)의 요홈(37)을 따라 출사되는 탄성사(2)가 상기 공보빈(25)의 일정한 위치에 정확하게 모아지도록 한다. 이는 상기 플레이트(34)에 형성된 요홈(37)이 상기 공보빈(25)으로부터의 기류를 일정한 방향으로 모아줌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플레이트(34)에 요홈(37)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도 플레이트(34)가 반원형의 형상을 가짐으로 공보빈(25)에 의해 발생되는 기류를 상방향으로 유도하나, 요홈(37)은 상방향 기류를 특정위치로 집중시킨다.
상기한 암(32) 및 플레이트(34)의 작동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1회전축(31a)을 중심으로 암(32)이 공보빈(25) 쪽을 향하여 일정각도(α) 회전된 후, 다시 제2회전축(31b)을 중심으로 플레이트(34)가 일정각도(β) 더 회전함으로써, 마치 상기 반원형의 플레이트(34)가 공보빈(25)의 외주연상에는 접촉하지 않으면서도 감싸는 형상이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34)에 형성된 요홈(37)에 의해 공보빈(25)으로부터의 기류가 일방향으로 모아져서 상기 공보빈(25)의 소정위치에 모아져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요홈(37)에 의해 유도되는 탄성사(2)는 공보빈(25)의 일정영역으로 모아져서 인도되며, 상기 기류에 의해 상기 출사측의 탄성사(2)는 공보빈(25)의 외주연을 대부분 감싸게 된다.
그러면, 트래버싱되어 공보빈(25)에 입사되는 탄성사(2)와 상기 공보빈(25)의 대부분을 감아서 출사되는 탄성사(2)가 서로 얽히면서 공보빈(25)에 탄성사(2)가 정확하게 인도 및 권취된다. 또한 동시에 상기 공보빈(25)과 만보빈(26) 사이의 탄성사(2)에는 장력이 작용됨으로써 상기 탄성사(2)는 끊어지게 된다.
더불어, 이때 상기 터릿(23) 상부의 공보빈(25)에는 탄성사배출부(10)의 승강기가 도5e에서와 같이 하부로 이동되어 터치롤러(14)가 상기 공보빈(25)에 접촉되고 공보빈(25)에 탄성사가 권취된다.
한편, 상기 탄성사인도부(30)는 도7에서와 같이 제1회전축(31a)이 공보빈(25)의 상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제1회전축(31a)의 하부로 연장되어 암(3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암(32)의 하단에 제2회전축(31b) 및 반원형의 플레이트(34)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의 작동은 도6에서와 유사한데, 먼저 암(32)이 상기 제1회전축(31a)을 중심으로 상기 공보빈(25)쪽을 향하여 일정각도(α) 회전하고, 이어서 상기 공보빈(25)을 감싸듯이 플레이트(34)가 제2회전축(31b)을 중심으로 일정각도(β) 더 회전함으로써, 공보빈(25)에 탄성사(2)를 인도 및 권취하도록 하며, 나머지의 탄성사 인도 및 권취 상태는 상기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바와 같다.
한편, 상기와 같은 탄성사인도부(30)의 장착 구조는 여러가지로 변경 가능하며 상기의 도5 및 도6의 설명으로서 상기 탄성사인도부(30)의 구조 및 작동 상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탄성사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여기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실도 상기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더불어 종래와 같이 공보빈의 표면에 수지코팅을 더해서 표면에 탄성사가 쉽게 붙을 수 있도록 한 후 본 발명의 권취 장치 및 권취 방법을 부가하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탄성사의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에 의하면, 대략 반원형의 플레이트에 의해 공보빈의 출사측 탄성사가 공보빈에 접촉되는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공보빈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기류를 상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트래버싱되어 공보빈에 입사되는 탄성사와 상기 출사측 탄성사가 서로 얽혀지게 하여, 공보빈으로의 탄성사 인도 및 탄성사 권취가 확실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승강박스를 상승시켜 공보빈과 터치롤러 사이를 띄워주어 터치롤러와 공보빈 사이에서의 기류의 충돌 교란을 제거하고, 플레이트의 내측 표면에 요홈을 형성시킴으로써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트래버스에 의해 탄성사를 트래버싱하며 배출하는 탄성사배출부와; 보빈이 끼워질 수 있도록 적어도 두개의 보빈홀더가 설치된 회동가능한 터릿을 구비한 터릿부와; 상기 터릿에 장착된 보빈이 상기 탄성사배출부로부터 배출된 탄성사에 의해 만보빈이 되었을 경우 상기 터릿을 회전시켜 공보빈에 탄성사를 인도 및 권취시키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탄성사의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릿부의 일측에는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암과, 상기 암의 일단에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되 대략 반원형 형태를 하여 상기 공보빈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기류를 상방향으로 모아주어 상기 기류를 따라서 상기 공보빈을 거친 출사측 탄성사가 상기 공보빈에 감겨지도록 형성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탄성사인도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사의 권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사인도부는 상기 암을 상기 공보빈쪽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공보빈의 외주연에 근접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를 일정각도 더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플레이트에 의해 공보빈을 통과하는 출사측 탄성사가 상기 공보빈의 일정한 위치에 모아져서 상기 공보빈으로 입사되는 탄성사와 얽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사의 권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내측표면에 요홈을 형성하되, 플레이트의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하여 공보빈으로부터 발생되는 기류에 의해 출사측 탄성사가 공보빈의 일정위치에 정확하게 모아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사의 권취장치.
  4. 터릿의 양단에 끼워진 보빈중에서 일단의 보빈에 탄성사가 권취되어 만보빈이 되면 타단의 공보빈과 위치를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터릿을 약 180°회전시키는 단계와;
    대략 반원형인 플레이트를 상기 공보빈의 측면에 위치시켜, 상기 공보빈에 의한 기류를 상방향으로 모아줌으로써, 상기 공보빈에 감기기 쉽도록 출사측 탄성사를 모아주는 단계와;
    상기 트래버싱되어 입사되는 입사측 탄성사와 플레이트에 의해 유도된 출사측 탄성사가 서로 얽히면서 공보빈에 탄성사가 권취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탄성사의 권취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보빈으로 출사되는 탄성사를 일정한 위치로 모아주는 단계는, 상기 반원형의 플레이트를 공보빈의 외주연쪽으로 회전시켜 반원형의 플레이트가 공보빈의 외주연에 접촉하지 않으면서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사의 권취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내측표면에 상방향으로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된 요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사의 권취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아진 기류가 충돌 교란없이 진행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빠져나가도록 승강박스를 상승 대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사의 권취방법.
KR1019990001603A 1999-01-20 1999-01-20 탄성사의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KR100319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603A KR100319266B1 (ko) 1999-01-20 1999-01-20 탄성사의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TW088110628A TW533181B (en) 1999-01-20 1999-06-24 Winding equipment and winding method for elastic yar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603A KR100319266B1 (ko) 1999-01-20 1999-01-20 탄성사의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263A KR20000051263A (ko) 2000-08-16
KR100319266B1 true KR100319266B1 (ko) 2002-01-05

Family

ID=19571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603A KR100319266B1 (ko) 1999-01-20 1999-01-20 탄성사의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19266B1 (ko)
TW (1) TW533181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654B1 (ko) * 2002-10-16 2005-03-28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탄성사의 권취 장치
KR100562378B1 (ko) * 1999-07-01 2006-03-20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방사권취기 및 그 번치권취방법
KR20200124409A (ko) * 2019-04-24 2020-11-03 전일프라스틱(주) 롤 교환장치와 이를 이용한 롤 교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175B1 (ko) * 2001-11-23 2004-09-24 주식회사 효성 탄성사의 방사 권취기 및 그 권취 방법과 이를 통해감겨진 탄성사 권사체
KR100472688B1 (ko) * 2002-03-27 2005-03-08 주식회사 효성 탄성사의 방사 권취기 및 그 권취 방법
KR100676616B1 (ko) * 2003-12-30 2007-01-30 주식회사 효성 탄성사의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EP3746387B1 (en) * 2019-01-07 2023-07-26 Lohia Corp Limited A method to position spindle precisely in turret type automatic wind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740A (ko) * 1994-06-27 1996-01-25 코오구치 노리유키 터릿형 권취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740A (ko) * 1994-06-27 1996-01-25 코오구치 노리유키 터릿형 권취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378B1 (ko) * 1999-07-01 2006-03-20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방사권취기 및 그 번치권취방법
KR100478654B1 (ko) * 2002-10-16 2005-03-28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탄성사의 권취 장치
KR20200124409A (ko) * 2019-04-24 2020-11-03 전일프라스틱(주) 롤 교환장치와 이를 이용한 롤 교환방법
KR102250813B1 (ko) * 2019-04-24 2021-05-11 전일프라스틱(주) 롤 교환장치와 이를 이용한 롤 교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263A (ko) 2000-08-16
TW533181B (en) 200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50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a continuously advancing yarn
KR100319266B1 (ko) 탄성사의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WO2004026746A1 (ja) 綾振り装置
JPH04263632A (ja) 収れんするふたつの傾斜面で回転する糸案内要素を有するあや振り装置
US20090134263A1 (en) Method for Avoiding Ribbon Windings
WO2004018340A1 (ja) レボルビング型糸条巻取機
CN1242106C (zh) 离心纺纱在纱断头后启动退纱倒筒过程的方法和装置
US4085900A (en) Bobbin-changing device with automatic means for severing the thread or strip
CN105775905B (zh) 纱线卷取机、卷装以及卷装的制造方法
CN104787616B (zh) 用于纺织机器的滚筒中间存储器装置
JPH0234866B2 (ko)
JP4074545B2 (ja) レボルビング型自動巻取機の糸条案内装置
EP0602554B1 (en) A yarn winding apparatus
US5090635A (en) Machine for producing cross-wound bobbins or cheeses
KR100240028B1 (ko) 탄성사의 방사권취방법 및 방사권취기(Elastic Yarn Take Up Winding Method and Apparatus)
US6149092A (en) Yarn supply apparatus for knitting machines
US4080772A (en) Apparatus for depositing materials in a container
EP0220328B1 (en) Coiler for spinning machines
EP0475484A1 (en) Device for making the tension of the thread uniform as it unwinds in a spooler
US3059868A (en) Yarn-winding apparatus with rotary yarn guide
EP0478023A1 (en) Device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thread as it unwinds in a spooler
JP2008290819A (ja) 糸条巻取機
KR100314139B1 (ko) 탄성사의 방사 권취방법 및 방사 권취기
KR100478654B1 (ko) 탄성사의 권취 장치
KR200303573Y1 (ko) 탄성사의 권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