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885U - 버스의 비상도어스위치 - Google Patents

버스의 비상도어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885U
KR19990029885U KR2019970042553U KR19970042553U KR19990029885U KR 19990029885 U KR19990029885 U KR 19990029885U KR 2019970042553 U KR2019970042553 U KR 2019970042553U KR 19970042553 U KR19970042553 U KR 19970042553U KR 19990029885 U KR19990029885 U KR 199900298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us
door switch
switch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25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25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9885U/ko
Publication of KR199900298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885U/ko

Link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의 비상도어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외측에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스위치를 구성하여 차량 사고시 신속한 인명구조를 도모하는 버스의 비상도어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버스의 비상도어스위치는 도어(1)의 외측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조작을 받아 내측으로 눌려져 출력단을 통해 온신호를 발생하는 푸시버튼(10)과, 상기 푸시버튼(10)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으며, 차속센서(30)로부터 차속을 검출하여 도어개방 여부를 판단하고 도어개폐를 단속하는 도어스위치(40)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전자제어유닛(2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버스의 비상도어스위치는 차량사고로 인해 버스에 탑승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객이 상해를 입어 도어를 개방시키지 못하게 될 경우, 구조요원등이 버스의 외측에 설치된 비상도어스위치를 작동시켜 도어의 개방을 이룰 수 있으므로 신속한 구조활동을 펼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버스의 비상도어스위치
본 고안은 버스의 비상도어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외측에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스위치를 구성하여 차량 사고시 신속한 인명구조를 도모하는 버스의 비상도어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는 많은 승객을 목적지까지 수송하기 위한 대형차량으로서, 차실에는 승객이 앉을 수 있는 좌석이 다수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버스는 많은 승객이 탑승하므로 그에 따른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하지만 차량의 기하급수적인 증가와 고속주행이 가능한 고속화도로의 건설로 사고발생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특히 상기의 버스는 운전자가 도어스위치를 조작하여 도어를 개폐시키기 때문에 사고로 운전자가 상해를 입었을 경우에는 신속한 인명 구조활동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버스의 도어는 차실에 제공된 도어스위치에 의해서만 개폐를 이루므로 차실측에 탑승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객이 상해를 입었을 경우에는 도어의 개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부득히 도어를 강제로 개방시키거나 또는 파손시켜야 하므로 신속한 구조활동을 이루지 못하여 인명손실의 피해정도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의 외측에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스위치를 구성하여 차량 사고시 신속한 인명구조를 도모하는 버스의 비상도어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버스의 비상도어스위치는 도어의 외측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조작을 받아 내측으로 눌려져 출력단을 통해 온신호를 발생하는 푸시버튼과, 상기 푸시버튼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으며, 차속센서로부터 차속을 검출하여 도어개방 여부를 판단하고 도어개폐를 단속하는 도어스위치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전자제어유닛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적용된 버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버스
2 : 도어
10 : 푸시버튼
20 : 전자제어유닛
30 : 차속센서
40 : 도어스위치
50 : 버튼커버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적용된 버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의 외측에 설치되어 차량 사고시에 조작자의 조작력에 의해 도어(2)를 개방시키는 비상도어스위치(40)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도어스위치(40)는 차량 사고시에 차실에 탑승한 운전자 및 탑승자가 상해를 입어 도어(2)를 개방시키지 못할 경우에 차량 외부에서 도어(2)를 열 수 있도록하여 신속한 구조활동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비상도어스위치(40)는 도어(2)의 외측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조작자로부터 소정의 조작력을 받아 내측으로 눌려져 출력단을 통해 온신호를 발생하는 푸시버튼(10)과, 상기 푸시버튼(10)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으며, 차속센서(30)로부터 차속을 검출하여 도어(2)개방여부를 판단하는 전자제어유닛(20)과, 상기 전자제어유닛(2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소정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도어(2)를 개방시키는 도어스위치(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버튼(10)은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재질로 성형된 버튼커버체(50)에 의해 보호된다.
즉, 상기의 버튼커버체(50)는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재로서 푸시버튼(10)을 감싸듯 성형되며 상기 푸시버튼(1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여 오동작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의 비상도어스위치는 프론트도어 및 리어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버스의 비상도어스위치(40)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버스(1)가 충돌 또는 기타 요인으로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우선 도어(2)의 외측 소정위치에 설치된 푸시버튼(10)을 눌러서 온상태로 한다.
여기서 상기 푸시버튼(10)은 버튼커버체(50)에 의해 차폐되어 있으므로 소정의 강성을 갖는 물체로 파손시키고 푸시버튼(10)을 눌러야 한다.
이어서, 상기 푸시버튼(10)은 전자제어유닛(20)의 입력단으로 소정의 신호를 인가하고, 이 전자제어유닛(20)은 차속센서(30)로부터 차량의 속도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버스(1)가 저속주행이거나 또는 정지했을 경우에는 전자제어유닛(20)이 출력단에 연결된 도어스위치(40)에 소정의 신호를 인가하고, 이 도어스위치(40)는 도어(2)를 개방시켜 신속한 구조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버스(1)가 일정속도 이상으로 주행할 경우에는 안전을 위해 도어(2)의 개방을 단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버스의 비상도어스위치는 차량사고로 인해 버스에 탑승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객이 상해를 입어 도어를 개방시키지 못하게 될 경우, 구조요원등이 버스의 외측에 설치된 비상도어스위치를 작동시켜 도어의 개방을 이룰 수 있으므로 신속한 구조활동을 펼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도어(2)의 외측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조작을 받아 내측으로 눌려져 출력단을 통해 온신호를 발생하는 푸시버튼(10)과;
    상기 푸시버튼(10)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으며, 차속센서(30)로부터 차속을 검출하여 도어개방 여부를 판단하고 도어개폐를 단속하는 도어스위치(40)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전자제어유닛(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비상도어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10)은 외측으로 감싸듯 부착되며 일정한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재질로 성형된 버튼커버체(50)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비상도어스위치,
KR2019970042553U 1997-12-29 1997-12-29 버스의 비상도어스위치 KR199900298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553U KR19990029885U (ko) 1997-12-29 1997-12-29 버스의 비상도어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553U KR19990029885U (ko) 1997-12-29 1997-12-29 버스의 비상도어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885U true KR19990029885U (ko) 1999-07-26

Family

ID=69696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2553U KR19990029885U (ko) 1997-12-29 1997-12-29 버스의 비상도어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988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860B1 (ko) * 2001-05-22 2003-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 도어 시스템의 비상밸브 조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860B1 (ko) * 2001-05-22 2003-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 도어 시스템의 비상밸브 조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4131A (ko) 팽창되는 보호백을 갖춘 안전배열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010000416U (ko) 자동차의 도어구조
IT1261833B (it) Dispositivo di protezione anticollisione per gli occupanti di autoveicoli.
JPH07269208A (ja) 車両のドアロック制御装置
KR19990029885U (ko) 버스의 비상도어스위치
US6590301B2 (en) Device for securing a motor vehicle
JP3951426B2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2007500293A (ja) 車両の少なくとも1つの電動ロック装置を操作する安全システム
JPH10140899A (ja) チャイルドロックシステム
KR19980054134U (ko) 자동차 충돌사고발생시 선루프의 열림장치
KR100270884B1 (ko) 차량 충돌시 엔진및 도어 제어시스템
KR20010087451A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구조
KR100196183B1 (ko) 조수석 승객 보호용 에어백 장치
KR20030009002A (ko) 차량문 안전경보시스템
KR0184983B1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 장치
KR19980027097A (ko) 자동차 유아보호용 도어 잠금장치
KR100188715B1 (ko) 도어 글라스 자동 개방장치
KR0135214Y1 (ko) 에어 백 작동시 창문 개방 장치
KR970069641A (ko) 초전형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에어백 작동 제어 장치
KR19990004093A (ko) 차량 도어록 해제장치
KR19980062568A (ko) 비상용 도어 록 해제 장치
KR19980050262U (ko) 차량의 전복사고시 화재방지 장치
KR19980044443U (ko) 자동차 주행중 테일게이트의 열림방지구조
KR19980016545U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 로킹 장치
KR19980024525U (ko) 차량 충돌 감지 수단을 갖는 도어 락 풀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