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415A - 접합용 접착제로서 폴리아크릴레이트 수분산액의 용도 - Google Patents

접합용 접착제로서 폴리아크릴레이트 수분산액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415A
KR19990029415A KR1019980035865A KR19980035865A KR19990029415A KR 19990029415 A KR19990029415 A KR 19990029415A KR 1019980035865 A KR1019980035865 A KR 1019980035865A KR 19980035865 A KR19980035865 A KR 19980035865A KR 19990029415 A KR19990029415 A KR 19990029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lkyl
adhesive
monomers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5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2633B1 (ko
Inventor
부르크하르트 다메스
칼-하인쯔 슈마허
한스-요악심 프리케
Original Assignee
스타르크, 카르크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르크, 카르크,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스타르크, 카르크
Publication of KR19990029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6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cur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4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anhydride, COOH or COOM groups, with M being metal or onium-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8Presence of paper
    • C09J2400/283Presence of paper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큰 면적의 기재들 (substrates)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적층재 (laminate)를 제조하는 방법은,
C4-알킬 아크릴레이트 5 내지 95 중량%,
C1- 또는 C2-알킬 아크릴레이트 5 내지 95 중량%,
주단량체로, C1-C2-알킬 메타크릴레이트, C4-알킬 메타크릴레이트, C3-알킬 및 C5-C16-알킬 아크릴레이트, C3-알킬 및 C5-C16-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비닐방향족 화합물 및 2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단량체 0 내지 50 중량%,
부단량체로, 에틸렌계 불포화산, 무수물 및 에틸렌계 불포화 니트릴로 구성되는 군, 또는 아미드 및 히드록실기를 갖는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단량체 0 내지 20 중량%, 및
그 밖의 단량체 0 내지 20 중량%
를 포함하는 중합체의 수분산액을 접착제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접합용 접착제로서 폴리아크릴레이트 수분산액의 용도
본 발명은 큰 면적의 기재들 (substrates)을 결합시킴으로써 적층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결합 과정에서, 본 명세서에서 접합용 접착제로 칭한 접착제로서 중합체가 사용된다. 또한, 투명 중합체 필름과 종이 또는 카드의 결합을 고광택 필름 접합이라고 부른다.
유럽 특허 공개 제148386호는 중합체 수분산액 및 추가의 중합체용 가교제를 포함하는 고광택 필름 접합용 접착제를 기재하고 있다. 이 접착제는 사용 중에 서로 반응해야 하는 두가지의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를 2-액형 (2C)계라고 부른다. 대조적으로, 제2 액형과의 이런 형태의 반응을 필요로하지 않는 1-액형 (1C)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유럽 특허 공개 제622434호 및 국제 특허 공개 제92/12213호는 고광택 필름 접합용 접착제로 1-액형계를 기재하고 있다. 이 접착제는 술폰산기 또는 술포네이트기를 갖는 단량체를 포함해야만 한다.
또한, 본 출원의 우선일에 미공개된 독일 특허 출원 (O.Z. 0050/47521) 제P.19649383.8호도 접합용 접착제를 기재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술폰산 또는 술포네이트기를 갖는 단량체 없이도 우수한 접착성을 갖고, 결합된 물질에 우수한 광택을 주는 대안적인 고광택 필름 접합용 1C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런 목적이
C4-알킬 아크릴레이트 5 내지 95 중량%,
C1- 또는 C2-알킬 아크릴레이트 5 내지 95 중량%,
주단량체로, C1-C2-알킬 메타크릴레이트, C4-알킬 메타크릴레이트, C3-알킬 및 C5-C16-알킬 아크릴레이트, C3-알킬 및 C5-C16-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비닐방향족 화합물 및 2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단량체 0 내지 50 중량%,
부단량체로, 에틸렌계 불포화산, 무수물 및 에틸렌계 불포화 니트릴로 구성되는 군, 또는 아미드 및 히드록실기를 갖는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단량체 0 내지 20 중량%, 및
그 밖의 단량체 0 내지 20 중량%
를 포함하는 중합체의 수분산액을 접착제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큰 면적의 기재들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적층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접합용 접착제, 특히 고광택 필름 접합용 접착제로서의 상기 중합체 수분산액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방법에서 사용된 중합체는 C4-알킬 아크릴레이트, C1- 또는 C2-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필요하다면, 주단량체인 단량체, 부단량체인 단량체 및 그 밖의 단량체로 이루어진다.
C4-알킬 아크릴레이트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C1- 또는 C2-알킬 아크릴레이트는 메틸 또는 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특히 메틸 아크릴레이트이다.
주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C4-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이고, 특히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비닐 프로피오네이트이다.
부단량체의 예로는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말레산), 에틸렌계 불포화 무수물 (예를 들면, 무수 말렌산) 또는 모노에스테르 (예를 들면, 말레산 또는 푸마르산 모노에스테르)가 있다. 술폰산기 또는 술포네이트기를 갖는 단량체가 사용될 수 있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부단량체는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아미드 또는 C1-C10-히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단량체의 예로는 비닐 할라이드 (예를 들면, 염화 비닐 및 염화 비닐리덴), 및 지방족 탄화수소 (예를 들면, 에텐, 프로펜, 이소프렌 및 부타디엔)이 있다.
일반적으로, 그 밖의 단량체는 혼합물에 포함되지 않는다. C4- 및 C1- 또는 C2-알킬 아크릴레이트의 총 분율은 60 중량%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70 또는 80 중량% 초과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C4-알킬 아크릴레이트 15 내지 85 중량%,
C1- 또는 C2-알킬 아크릴레이트 15 내지 85 중량%,
주단량체 0 내지 30 중량%,
부단량체 0 내지 10 중량%, 및
그 밖의 단량체 0 내지 10 중량%
를 포함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C4-알킬 아크릴레이트 20 내지 80 중량%,
C1- 또는 C2-알킬 아크릴레이트 20 내지 80 중량%,
주단량체 0 내지 10 중량%,
부단량체 0 내지 5 중량% 및
그 밖의 단량체 0 내지 5 중량%
를 포함하고,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C4-알킬 아크릴레이트 50 내지 80 중량%,
C1- 또는 C2-알킬 아크릴레이트 20 내지 50 중량%,
주단량체 0 내지 5 중량%,
부단량체 0 내지 4 중량% 및
그 밖의 단량체 0 내지 4 중량%
를 포함한다.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는 예를 들어, 시차 열 분석법 또는 시차 주사 열량계와 같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STM 3418/82, 중점치 온도 참조]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60 ℃ 미만, 특히 -50 내지 +60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이고,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0 ℃이다.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되고, 따라서 유화 중합체이다.
그러나, 용액 중합 후, 예를 들어, 물 중에 분산시킴으로써 제조를 할 수도 있다.
유화 중합에서, 표면 활성 화합물로 이온성 및(또는) 비이온성 유화제 및(또는) 보호성 콜로이드 또는 안정화제를 사용한다.
적당한 보호성 콜로이드는 문헌 [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Vol. XIV/1, Makromolekulare Stoffe, Georg-Thieme-Verlag, Stuttgart, 1961, p.411-420]에서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유화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그 밖의 비이온성 유화제가 가능하다. 첨가하는 표면 활성 물질은 보호성 콜로이드와는 다르게 분자량이 보통 2000 g/몰 미만인 유화제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활성 물질의 혼합물이 사용된다면, 물론 각 성분은 서로 상용성이어야 하고, 의심이 되는 경우에는 몇 가지 예비 실험으로 시험할 수 있다. 표면 활성 물질은 음이온성 및 비이온성 유화제가 바람직하다. 종종 사용되는 첨가 유화제의 예로는 에톡실화 지방 알콜 (EO 단위체: 3 내지 50, 알킬기: C8내지 C36), 에톡실화 모노-, 디- 및 트리알킬페놀 (EO 단위체: 3 내지 50, 알킬기: C4내지 C9), 술포숙신산의 디알킬 에스테르의 알칼리 금속염, 및 또한 황산 알킬 (알킬기: C8내지 C12), 에톡실화 알칸올 (EO 단위체: 4 내지 30, 알킬기: C12내지 C18), 에톡실화 알킬페놀 (EO 단위체: 3 내지 50, 알킬기: C4내지 C9), 알킬술폰산 (알킬기: C12내지 C18) 및 알킬아릴술폰산 (알킬기: C9내지 C18)의 알칼리 금속 및 암모늄염이 있다.
그 밖의 적당한 유화제로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있다.
식 중, R5및 R6은 수소 또는 C4-C14-알킬이지만, 동시에 수소는 아니고, X 및 Y는 알칼리 금속 이온 및(또는) 암모늄 이온일 수 있다. R5및 R6은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수소이고, 특히 6, 12 또는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이고, R5및 R6이 동시에 수소는 아니다. X 및 Y는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칼륨 또는 암모늄 이온이고, 나트륨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이로운 화학식 1의 화합물은 X 및 Y가 나트륨이고, R5는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분지쇄 알킬이고, R6은 수소 또는 R5인 화합물이다. 모노알킬화 생성물의 비율이 50 내지 90 중량%인 공업용 혼합물이 종종 사용되며, 예를 들어, 다우팍스 (Dowfax) (등록상표) 2A1 (다우 케미칼 캄파니 (Dow Chemical Company)사의 상표명)가 있다.
또한, 적당한 유화제는 문헌 [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Vol. 14/1, Makromolekulare Stoffe, Georg-Thieme-Verlag, Stuttgart, 1961, p.192-208]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유화제 상표명의 예로는 다우팍스 (등록상표) 2 A1, 에물란 (Emulan) (등록상표) NP 50, 덱스트롤 (Dextrol) (등록상표) OC 50, 에물가토르 (Emulgator) (등록상표) 825, 에물가토르 825 S, 에물란 (등록상표) OG, 텍사폰 (Texapon) (등록상표) NSO, 네카닐 (Nekanil) (등록상표) 904 S, 루미텐 (Lumiten) (등록상표) I-RA, 루미텐 E 3065, 디스포닐 (Disponil) FES 77, 루텐졸 (Lutensol) AT 18, 스타이나폴 (Steinapol) VSL 및 에물포르 (Emulphor) NPS 25가 있다.
보통, 표면 활성 물질은 중합될 단량체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유화 중합을 위한 수용성 개시제의 예로는 퍼옥시이황산의 암모늄 및 알칼리 금속염 (예를 들면, 퍼옥시이황산 나트륨), 및 과산화 수소 및 유기 과산화물 (예를 들면, 히드로퍼옥시 tert-부틸)이 있다.
산화-환원 (redox) 개시제계가 특히 적당하다.
산화 환원 개시제계는 1종 이상의 통상적인 무기 환원제, 및 무기 또는 유기 산화제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산화 성분은 유화 중합에 대해 상기 언급된 개시제 중의 하나 이다.
환원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아황산의 알칼리 금속염 (예를 들면, 아황산 나트륨 및 아황산 수소 나트륨), 이아황산의 알칼리 금속염 (예를 들면, 이아황산 나트륨), 지방족 알데히드 및 케톤의 아황산수소염 부가 화합물 (예를 들면, 아황산수소 아세톤), 또는 환원제 (예를 들면, 히드록시메탄술핀산 및 그의 염), 또는 아스코르브산이 있다. 산화 환원 개시제계는 1 이상의 원자가 상태에서 일어날 수 있는 금속성 성분을 갖는 가용성 금속 화합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인 산화 환원 개시제계의 예로는 아스코르브산/황산 제1철(II)/퍼옥시이아황산 나트륨, 히드로퍼옥시 tert-부틸/이아황산 나트륨 및 히드로퍼옥시 tert-부틸/히드록시메탄술핀산 나트륨이 있다. 환원성 성분과 같은 각 성분은 혼합물, 예를 들어, 히드록시메탄술핀산의 나트륨염 및 이아황산 나트륨의 혼합물일 수 있다.
언급된 화합물은 보통 수용액의 형태로 사용되고, 분산액 중에서 수용 가능한 물의 양으로 하부 농도를, 특정 화합물의 물 중에서의 용해도에 의해 상부 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농도는 일반적으로 용액을 기준으로 0.1 내지 3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 중량%이다.
개시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중합될 단량체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이다. 유화 중합에 있어 1종 이상의 상이한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절제는 예를 들어, 중합될 단량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 내지 0.8 중량부의 양으로 중합에 사용될 수 있고, 이는 분자량을 감소시킨다. 적당한 화합물의 예로는 티올기를 갖는 화합물 (예를 들면, tert-부틸 메르캅탄, 에틸헥실 티오글리콜레이트, 메르캅토에탄올, 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tert-도데실 메르캅탄)이 있다. 복합 필름 접합용 접착제로의 사용에 있어 이런 조절제의 비율은 중합될 단량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특히 0.05 내지 0.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 중량부이다. 고광택 필름 접합용 접착제로 사용하는데 있어서는, 조절제를 포함하는 것은 덜 바람직하다. 조절제는 중합 가능한 어떠한 에틸렌계 불포화기도 함유하지 않는다. 조절제는 중합 쇄를 종결시켜서, 중합체쇄의 끝에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유화 중합은 30 내지 13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 ℃에서 일어난다. 중합 매질은 단지 물만, 또는 물 및 이와 함께 혼화 가능한 액체 (예를 들면, 메탄올)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화 중합은 뱃치법 또는 공급법으로 수행될 수 있고, 이는 단계식 방법 또는 구배 (gradient) 방법을 포함한다. 중합 혼합물의 일부로 초기 충전물을 형성하고, 이를 중합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중합을 시작하고, 이어서 나머지 중합 혼합물은 하나 이상의 스트림이 순수한 형태 또는 유화 형태로 1종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하나이상의 공간적으로 별도의 공급 스트림을 통해 중합이 유지되는 중에 연속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또는 농도 구배하에서 중합 영역에 공급하는 공급법이 바람직하다. 더 우수한 입도 조절을 위해 핵 (seed) 중합체를 초기 충전물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개시제가 유리기 수성 유화 중합 중에 중합 기구에 첨가되는 방법이 당업계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개시제는 중합 기구로의 초기 충전물에 모두 포함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연속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유리기 수성 유화 중합 중에 소비되는 속도로 첨가될 수 있다. 상세하게, 이는 그 자체가 당업계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대로, 개시제계의 화학적 성질 및 중합 온도에 달려 있다. 일부가 초기 충전물에 포함되고, 나머지는 개시제가 소비되는 속도로 중합 영역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잔류 단량체를 제거하기 위해, 실제적인 유화 중합이 완결된 후, 즉, 95 % 이상의 단량체 전환 후에도 개시제를 첨가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공급법에서, 각 성분을 반응조의 측면을 통해 상부로부터, 또는 바닥을 통해 하부로부터 반응조에 첨가할 수 있다.
유화 중합은 일반적으로 15 내지 75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5 중량%의 고체 함량을 갖는 중합체의 수분산액을 제공한다.
반응조로부터의 높은 공간-시간 수율을 위해, 매우 높은 고체 함량을 갖는 분산액이 바람직하다. 60 중량% 초과의 고체 함량을 달성할 수 있도록, 2정 또는 다정 분포의 입도를 얻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점도가 너무 높게 되고, 분산액을 더 이상 다룰 수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핵의 첨가에 의해 (유럽 특허 제81083호), 과량의 유화제 첨가에 의해, 또는 최소유제의 첨가에 의해 새로운 입자를 생성시킬 수 있다. 높은 고체 함량에서의 저점도와 관련된 또 다른 잇점은 높은 고체 함량에서 코팅 거동이 향상된다는 점이다. 하나 이상의 새로운 입자 생성은 원하는 특정 시간에, 저점도에 필요한 입도 분포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중합체는 수분산액의 형태로 사용된다.
이 분산액은 큰 면적의 기재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즉, 적층재 제조를 위한 접합용 접착제로 적당하다.
접합용 접착제로의 사용을 위해, 분산액은 다른 통상적인 첨가제, 예를 들어, 습윤제, 증점제, 보호성 콜로이드, 빛의 영향에 대한 보호용 안정화제, 및 살생물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또는 분산액을 접착제로 사용할 때, 원하는 성질을 얻기 위한 점착 수지 (점착제), 가소화제 또는 가교제, 또는 그 밖의 반응성 성분 또는 혼합 성분의 첨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액을 접합용 접착제로 사용할 때,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g/m2의 두께,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 g/m2로, 예를 들어, 나이프-코팅, 브러싱 등에 의해 큰 면적의 기재에 도포한다.
짧은 분산액의 물 증발시간 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0 초 후), 이어서 상기 코팅된 기재를 예를 들어, 20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의 온도, 및 예를 들어, 1 내지 30 N/m2,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N/m2의 압력에서 제2 기재와 접합시킬 수 있다.
적당한 기재의 예로는, 특히 폴리에틸렌, 연신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또는 셀로판으로 제조된 중합체 필름, 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금속화된) 중합체 필름 (약칭: 금속화 필름), 또는 그 밖의 종이, 카드 또는 특히 알루미늄으로부터 제조된 금속 호일 (foil)이 있다. 또한, 언급된 필름 및 호일은 예를 들어, 인쇄용 잉크로 인쇄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중합체 또는 분산액은 고광택 필름 접합용 접착제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고광택 필름 접합에서는, 종이 또는 카드를 투명한 중합체 필름과 결합시킨다.
수분산액은 특히 고광택 필름 접합에 있어 우수한 접착성을 갖는다. 고광택 필름 접합에 있어, 특히 중요한 특성은 투명한 중합체 필름의 종이 또는 카드로의 우수한 접착력이다. 또한, 중합체 필름은 홈이 있는 (grooves) 부분에서 잘 접착되어야하고, 종이 또는 카드로부터 떨어져서는 안된다. 또한, 물론 고광택도 특히 요구된다. 모든 이런 요구 조건이 본 발명의 신규한 방법 및(또는) 신규한 용도로 달성된다.
실시예
A) 중합체 분산액의 제조
제법은 하기의 일반적인 설명을 따른다.
초기 충전물 (물 250 g 및 평균 입경 30 nm의 스티렌 핵 3 g (33 %))을, 내부 온도를 85 ℃까지 가열하고, 공급 스트림 2 중 5 %를 초기 충전물에 넣었다. 대기 시간 10 분 후, 공급 스트림 1 및 공급 스트림 2를 공급하기 시작하였다.
공급 스트림 2는 물 39.9 g 중에 용해된 퍼옥시이황산 나트륨 3.0 g으로 이루어진다. 공급 스트림 1의 배합량은 표 1 내지 3에 제시되어 있다.
공급 스트림 1 및 2를 3 시간 내에 칭량 투입하고, 중합을 0.5 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시험 견본을 성능 시험 전에 중화시켰다.
공급 스트림 1 (본 발명에 따른 분산액)
번호 H2O[g] BA[g] MA[g] AA[g] Dow(45 %) [g] IRA(50 %) [g]
1 537.8 780 200 20 8.9 12
2 537.8 730 250 20 8.9 12
3 537.8 680 300 20 8.9 12
4 537.8 630 350 20 8.9 12
5 537.8 580 400 20 8.9 12
6 537.8 530 450 20 8.9 12
7 537.8 480 500 20 8.9 12
8 537.8 430 550 20 8.9 12
9 537.8 380 600 20 8.9 12
공급 스트림 1 (비교)
번호 H2O[g] BA[g] MMA[g] AMPS[g] NaVS[g] AA[g] DAAM[g] Dow(45 %)[g] IRA (50 %)[g]
10 537.8 777 200 3 20 - 8.9 12
11 537.8 760 200 20 20 - 8.9 12
12 537.8 777 200 3 20 - 8.9 12
13 537.8 980 20 - 8.9 12
14 537.8 780 200 20 - 8.9 12
15 537.8 760 200 20 20 8.9 12
실험 15에서, 중합이 종결된 후 ADDH (10 g)을 첨가하였다.
약어:
Dow:
IRA:
BA: n-부틸 아크릴레이트
MA: 메틸 아크릴레이트
MMA: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AS: 아크릴산
DAAM: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NaVS: 비닐술폰산 나트륨
AMPS: 아크릴아미도프로판술폰산
ADDH: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 (카보닐기와 가교하는 가교제)
B) 고광택 필름 접합
카드 (크로모듀플렉스 카드)와 (코로나-예비 처리된) 폴리프로필렌, 및 카드와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필름의 고광택 필름 접합
폴리프로필렌 필름 (PP)의 예비 처리된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였다. 차가운 공기로 건조시킨 후, 카드를 위에 놓고, 실험실용 접합 롤러로 압연했다. 접합된 물질을 모양을 갖추도록 자르고, 롤링 압축기로 압축하였다.
약 180 도의 각도에서 카드로부터 필름을 박리시킴으로써 접착력을 시험하였다.
평가 1 = 종이 또는 잉크의 모든 표면이 벗겨짐
2 = 종이 또는 잉크가 일부 벗겨짐
3 = 카드 또는 필름 (AC, AF)에 부족한 접착력을 갖지만 양호한 접착력
4 = AC 또는 AF와의 약한 접착력
5 = 카드 또는 필름에 접착력 없음
홈을 낸 (grooving) 후의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제조한 뒤 24 시간 후 접합된 견본에 홈을 만들었다.
홈에 대한 평가:
1 = 홈이 완전히 만족스럽다.
2 = 홈이 단지 분리된 지점에서만 약간 벌어졌다.
3 = 홈이 몇몇 지점에서 두드러지게 벌어졌다.
4 = 홈이 완전히 벌어졌다.
동일한 실험을 폴리아세테이트 필름으로 수행하였다.
이 결과를 표 3 및 4 (본 발명에 따름), 및 5 및 6 (비교)에 열거하였다.
PP 필름을 크로모듀플렉스 카드에 코팅해서 접합시켰다.
접착1 일 후 1 주일 후 홈 형성1 일 후 1 주일 후
1 2 2 1 2
2 1 1 1 1
3 2 2 1 1
4 2 2 1 1
5 2 2 1 2
6 2 2 1 1
7 2 2 1 1
8 2-3AC 2-3AC 1 1
9 4 AC 2 1 2
아세테이트 필름을 크로모듀플렉스 카드에 코팅해서 접합시켰다.
접착1 일 후 1 주일 후 홈 형성1 일 후 1 주일 후
1 2 2 2 2
2 2 2 1 1
3 2 2 1 2
4 2 2 1 1
5 2 2 2 2
6 2 2 1 1
7 2-3AC 2-3AC 1 1
8 2-3AC 2-3AC 1 1
9 4 AC 2-3 2 2
PP 필름을 크로모듀플렉스 카드에 코팅해서 접합시켰다.
접착1 일 후 1 주일 후 홈 형성1 일 후 1 주일 후
10 2 1 1 2
11 2-3 1 1 1
12 1 3
13 2 2 1 2
14 1 3
15 2 1 1 1
아세테이트 필름을 크로모듀플렉스 카드에 코팅해서 접합시켰다.
접착1 일 후 1 주일 후 홈 형성1 일 후 1 주일 후
10 2 1 1 2
11 2 1 2 4
12 2 4
13 2 4
14 2 4
15 2 1 1 4
본 발명의 1액형계 접합용 접착제는 종래 2액형계 접착제의 단점이 없으며, 특히 고광택 필름 접합에 있어 우수한 접착성을 갖는다.

Claims (7)

  1. C4-알킬 아크릴레이트 5 내지 95 중량%,
    C1- 또는 C2-알킬 아크릴레이트 5 내지 95 중량%,
    주단량체로, C1-C2-알킬 메타크릴레이트, C4-알킬 메타크릴레이트, C3-알킬 및 C5-C16-알킬 아크릴레이트, C3-알킬 및 C5-C16-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비닐방향족 화합물 및 2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단량체 0 내지 50 중량%,
    부단량체로, 에틸렌계 불포화산, 무수물 및 에틸렌계 불포화 니트릴로 구성되는 군, 또는 아미드 및 히드록실기를 갖는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단량체 0 내지 20 중량%, 및
    그 밖의 단량체 0 내지 20 중량%
    를 포함하는 중합체의 수분산액을 접착제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큰 면적의 기재들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적층재를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C4-알킬 아크릴레이트 15 내지 85 중량%,
    C1- 또는 C2-알킬 아크릴레이트 15 내지 85 중량%,
    주단량체 0 내지 30 중량%,
    부단량체 0 내지 10 중량%, 및
    다른 단량체 0 내지 10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중합체용 가교제를 필요로하지 않는 1액형계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이 또는 카드를 투명 중합체 필름과 결합시키는 방법.
  5. 제1항의 수분산액의, 접합용 접착제로서의 용도.
  6. 제1항의 수분산액의, 고광택 필름 접합용 접착제로서의 용도.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수득 가능한 적층재.
KR1019980035865A 1997-09-02 1998-09-01 접합용접착제로서폴리아크릴레이트수분산액의용도 KR100582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38185.5 1997-09-02
DE19738185A DE19738185A1 (de) 1997-09-02 1997-09-02 Verwendung wäßriger Polyacrylatdispersionen als Kaschierklebstoff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415A true KR19990029415A (ko) 1999-04-26
KR100582633B1 KR100582633B1 (ko) 2006-08-30

Family

ID=7840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5865A KR100582633B1 (ko) 1997-09-02 1998-09-01 접합용접착제로서폴리아크릴레이트수분산액의용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900651B1 (ko)
JP (1) JPH11140409A (ko)
KR (1) KR100582633B1 (ko)
DE (2) DE197381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16742A1 (de) * 1998-04-15 1999-10-21 Basf Ag Verwendung wäßriger Zubereitungen aus Kaschierklebstoffe
DE19908183A1 (de) * 1999-02-25 2000-08-31 Basf Ag Wässrige Polymerdispersionen
KR100351705B1 (ko) * 2000-06-27 2002-09-11 한솔제지주식회사 다이싱테이프용 감광성 점착 조성물
DE10164182A1 (de) * 2001-12-27 2003-07-17 Basf Ag Bodenbelagsklebstoffe auf Basis von Emulsionspolymerisaten
DE10253332A1 (de) * 2002-11-14 2004-05-27 Basf Ag UV-vernetzbare Kaschierklebstoffe
KR100923451B1 (ko) * 2008-12-30 2009-10-27 김대웅 열 전사 인쇄용 친환경 수성 드라이라미네이션 접착제 조성물
WO2011009800A1 (en) * 2009-07-21 2011-01-27 Basf Se Film-to-film laminate, made by using an aqueous polymer dispersion as adhesive agent
DE202011109020U1 (de) 2011-12-14 2012-01-19 Henkel Ag & Co. Kgaa Verklebtes Verbundsubstrat aus Karton und einem wässrigen Schaumklebstoff
EP2719532B1 (de) 2012-10-12 2015-07-01 Basf Se Verwendung einer Klebstoffdispersion für die Folienkaschierung
ES2693976T3 (es) 2016-02-08 2018-12-17 Basf Se Uso de una dispersión de adhesivo para la laminación de películas brillantes
ES2931335T3 (es) 2018-04-20 2022-12-28 Basf Se Composición adhesiva con contenido de gel a base de reticulación mediante grupos ceto o aldehíd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96005A (ko) * 1972-12-07 1974-09-11
JPS6023123B2 (ja) * 1979-12-07 1985-06-06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自動車内装材料の製造方法
US4316830A (en) * 1980-02-19 1982-02-23 Union Carbide Corporation Surfactant free process for production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texes
JPS58136671A (ja) * 1982-02-07 1983-08-13 Nitto Electric Ind Co Ltd 感圧性接着テ−プの製造方法
JPS6060171A (ja) * 1983-09-13 1985-04-06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高周波誘電加熱接着用組成物
JPH0359082A (ja) * 1988-04-07 1991-03-14 Union Oil Co Calif 感圧接着剤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形成した物品
JPH0270777A (ja) * 1988-09-07 1990-03-09 Nitto Denko Corp 制振用接着シート
JPH0352981A (ja) * 1989-07-19 1991-03-07 Saiden Kagaku Kk 接着剤組成物
AU630795B2 (en) * 1990-04-24 1992-11-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ilm composite having repositionable adhesive by which it can become permanently bonded to a plasticized substrate
CA2037987A1 (en) * 1990-04-24 1991-10-25 Susan Z. Paquette Adhesive-backed film composite which can become permanently bonded to a plasticized substrate
JPH04323289A (ja) * 1991-04-23 1992-11-12 Mitsui Toatsu Chem Inc 水性分散型粘着剤組成物
JPH0543855A (ja) * 1991-08-13 1993-02-23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剥離性粘着剤組成物
JP2874440B2 (ja) * 1992-03-06 1999-03-24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粘着付与樹脂水性分散体組成物
JPH06100849A (ja) * 1992-09-21 1994-04-12 Dainippon Ink & Chem Inc 感圧性接着剤
JPH07102235A (ja) * 1993-10-06 1995-04-18 Dainippon Ink & Chem Inc プリントラミネート用水性接着剤組成物およびプリントラミネート方法
JPH10110149A (ja) * 1996-10-04 1998-04-28 Saiden Kagaku Kk 水再分散性粘着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00651A1 (de) 1999-03-10
EP0900651B1 (de) 2003-04-23
JPH11140409A (ja) 1999-05-25
DE19738185A1 (de) 1999-03-04
DE59808023D1 (de) 2003-05-28
KR100582633B1 (ko) 200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8183B1 (ko) 적층용 접착제
JP4603781B2 (ja) ポリマー、該ポリマーの水性分散液、これを含有する接着剤および圧感接着剤、圧感接着剤の使用および粘着製品
US20090252959A1 (en) Cross-link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detachable soft pvc supports
MXPA05005903A (es) Composiciones polimericas.
CN109415600B (zh) 压敏粘合剂和可移除制品
EP1078938B1 (en) Improved polymeric compositions
KR100582633B1 (ko) 접합용접착제로서폴리아크릴레이트수분산액의용도
US9404023B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PVC foils
CN106604974B (zh) 将基材粘结至湿冷表面的方法
US7220337B2 (en) UV-cross-linked laminating adhesive
US6559221B2 (en) Silane-containing polymer dispersions for tile cements
US6734240B2 (en) Use of phosphate group-containing polymer dispersions as adhesives
US20070187033A1 (en) Contact adhesive for pvc films
EP3286274B1 (en) Aqueous cold seal adhesive
CA2544819C (en) Polymer-containing sulfosuccinate dispersions
US6870001B2 (en) Emulsifier mixture for emulsion polymerization
US20050192394A1 (en) UV-crosslinkable laminating adhesives
US6524427B2 (en) Metal salt crosslinked adhesives
WO2022051884A1 (en) Aqueous curable adhesive composition and laminated article thereof
US20110226416A1 (en) Polymer film with multiphase film morphology
DE10345799A1 (de) Melaminharz enthaltende Haftklebstoff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