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170U - 에어백 구조물 - Google Patents

에어백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170U
KR19990029170U KR2019970041825U KR19970041825U KR19990029170U KR 19990029170 U KR19990029170 U KR 19990029170U KR 2019970041825 U KR2019970041825 U KR 2019970041825U KR 19970041825 U KR19970041825 U KR 19970041825U KR 19990029170 U KR19990029170 U KR 199900291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space
occupant
contact
ch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1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협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1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9170U/ko
Publication of KR199900291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170U/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충돌시, 에어백으로 주입되는 초기의 높은 공기 압력으로는 에어백의 하측 공간만을 팽창시켜 탑승자의 흉부에만 먼저 보호한 다음, 초기의 높은 공기 압력이 해제된 후에 에어백의 상측 공간을 팽창하여 탑승자의 두부를 보호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개된 에어백에 의하여 탑승자가 찰과상이나 목부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백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두부 접촉부를 위한 상측 공간(50a)과 흉부 접촉부를 위한 하측 공간(50b)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내부에 2 개 이상의 공간 분리천(51)(52)이 밀착된 상태로 재봉되되, 상기 각각의 공간 분리천(51)(52)에는 상호 다른 위치를 갖는 다수의 관통홀(51a)(5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백 구조물
본 고안은 차량용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충돌시 전개된 에어백에 의하여 탑승자가 찰과상이나 목부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에어백 구조물(Air Bag Structure)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장착되는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충돌시 인플레이터로부터 주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에어백을 전개시킴으로써, 탑승자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에어백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10) 내부에는 에어백(10)을 2 개의 공간으로 분리시키는 공간 분리천(tether)(15)이 재봉되어 있으며, 이 공간 분리천(15)에는 다수의 홀(15a)이 천공된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백(10) 내의 공기 주입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탑승자의 흉부 접촉부(Y)인 하측 공간부에 공기가 주입된 다음, 상기 홀(15a)을 통하여 탑승자의 두부 접촉부(X)인 상부 공간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에어백(10)에 주입되는 공기가 하부 공간부를 통과한 다음, 상부 공간부에 채워지도록 구성된 것은 에어백(10)이 엉뚱한 방향으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백은 공기 주입시, 공간 분리천(15)의 개방된 홀(15a)에 의하여 흉부 접촉부에 공기가 주입됨과 동시에 두부 접촉부에도 공기가 채워지게 됨으로써, 두부 접촉부와 흉부 접촉부가 거의 동시에 팽창 전개되며, 이에 따라, 너무 빠르게 팽창 전개된 에어백의 두부 접촉부와 충돌된 탑승자의 두부에 필요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게 됨으로써, 탑승자가 찰과상을 입게 되며, 심한 경우 목뼈에 손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 충돌시, 에어백으로 주입되는 초기의 높은 공기 압력으로는 에어백의 하측 공간만을 팽창시켜 탑승자의 흉부에만 먼저 보호한 다음, 초기의 높은 공기 압력이 해제된 후에 에어백의 상측 공간을 팽창하여 탑승자의 두부를 보호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개된 에어백에 의하여 탑승자가 찰과상이나 목부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백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에어백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구조물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에어백, 50a:상측 공간, 50a:하측 공간, 51:제 1 공간 분리천, 52:제 2 공간 분리천, 51a,52b:관통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두부 접촉부를 위한 상측 공간과 흉부 접촉부를 위한 하측 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내부에 2 개 이상의 공간 분리천이 밀착된 상태로 재봉되되, 상기 각각의 공간 분리천에는 상호 다른 위치를 갖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구조물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제 1 공간 분리천(51)과 제 2 공간 분리천(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공간 분리천(51)과 제 2 공간 분리천(52)은 상호 밀착된 상태로 에어백(50) 내에 재봉되어 에어백(50) 내부를 상측 공간(50a)과 하측 공간(50b)으로 분리시키는데, 에어백(50)의 전개시 상측 공간(50a)은 탑승자의 두부와 접촉되는 부분이 되고, 하측 공간(50b)은 탑승자의 흉부와 접촉되는 부분이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측 공간(50b)의 일측에 인플레이터로부터 주입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주입구(45)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공간 분리천(51)에는 다수의 관통홀(51a)이 형성되고, 사기 제 2 공간 분리천(52)에도 다수의 관통홀(52b)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홀(51a)과 상기 관통홀(52b)은 상호 다른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 1 공간 분리천(51)과 제 2 공간 분리천(52)이 밀착된 상태에서는 외견상 어떠한 홀도 보이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차량의 충돌시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기 주입구(45)를 통하여 에어백(50)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공간(50b)에 공기가 채워지게 되는데, 상기 상측 공간(50a)은 밀착된 제 1 공간 분리천(51)과 제 2 공간 분리천(52)에 의하여 하측 공간(50b)과 차단된 상태이므로, 에어백(50)의 전개시 초기의 강한 압력으로 에어백(50) 내로 주입되는 공기는 상측 공간(50a)으로 전달되지 않고, 하측 공간(50b)만을 먼저 팽창시키게 된다.
그리고, 에어백(50)의 하측 공간(50b)이 충분히 채워지는 순간, 탑승자의 흉부가 에어백(50)의 흉부 접촉부(Y)에 닿게 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의 흉부와 닿은 에어백(50) 부위에 압력(F)이 가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에어백(50)이 찌그러지게 되면서 제 1 공간 분리천(51)과 제 2 공간 분리천(52)의 밀착면이 상호 이격됨과 동시에, 하측 공간(50b)에 채워져 있던 공기가 제 2 공간 분리천(52)의 관통홀(52b)과 제 1 공간 분리천(51)의 관통홀(51a)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측 공간(50a)에 주입되며, 이에 따라, 상측 공간(50a)이 팽창됨으로써, 에어백(50)의 두부 접촉부(X)가 탑승자의 두부에 접촉되어 탑승자의 두부를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에어백 구조물에 의하여, 차량 충돌시, 에어백으로 주입되는 초기의 높은 공기 압력으로는 에어백의 하측 공간만을 팽창시켜 탑승자의 흉부에만 먼저 접촉하여 탑승자의 흉부를 보호한 다음, 초기의 높은 공기 압력이 해제된 후에 에어백의 상측 공간을 팽창하여 탑승자의 두부를 보호하게 됨으로써, 전개된 에어백에 의하여 탑승자가 찰과상이나 목부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구조물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로 그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두부 접촉부를 위한 상측 공간과 흉부 접촉부를 위한 하측 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내부에 2 개 이상의 공간 분리천이 밀착된 상태로 재봉되되, 상기 각각의 공간 분리천에는 상호 다른 위치를 갖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조물.
KR2019970041825U 1997-12-29 1997-12-29 에어백 구조물 KR199900291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825U KR19990029170U (ko) 1997-12-29 1997-12-29 에어백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825U KR19990029170U (ko) 1997-12-29 1997-12-29 에어백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170U true KR19990029170U (ko) 1999-07-15

Family

ID=69679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1825U KR19990029170U (ko) 1997-12-29 1997-12-29 에어백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917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438B1 (ko) * 2006-05-08 2008-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분리형 에어백 장치
KR100980931B1 (ko) * 2007-12-15 2010-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인너벤트홀을 구비한 에어백쿠션 구조
KR101014124B1 (ko) * 2007-12-14 2011-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쿠션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438B1 (ko) * 2006-05-08 2008-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분리형 에어백 장치
KR101014124B1 (ko) * 2007-12-14 2011-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쿠션 구조
KR100980931B1 (ko) * 2007-12-15 2010-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인너벤트홀을 구비한 에어백쿠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6751B1 (ko) 차량용 탑승자 무릎 보호시스템 및 팽창 및 전개 방법
JP3520836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3082474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20050134024A1 (en) Kneebag and occupant leg protection system
JP4379410B2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3431307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9101758A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9101757A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4034766A (ja) 乗員拘束装置
KR19990029170U (ko) 에어백 구조물
US20100171295A1 (en) Driver&#39;s air bag
JP2021049878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8602447B2 (en) Airbag device
JP6754347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794995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構造
WO2020044793A1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1867061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KR100655209B1 (ko) 가슴 에어백의 쿠션
JPH10287195A (ja) 側突用エアバッグ
JP2007137150A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H01314646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101594772B1 (ko) 에어백장치
JP2006015827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N115702096A (zh) 步行者用安全气囊装置
KR200144273Y1 (ko) 조수석 에어백장치의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