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883A - 혼합 살진균제 - Google Patents

혼합 살진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883A
KR19990028883A KR1019980700185A KR19980700185A KR19990028883A KR 19990028883 A KR19990028883 A KR 19990028883A KR 1019980700185 A KR1019980700185 A KR 1019980700185A KR 19980700185 A KR19980700185 A KR 19980700185A KR 19990028883 A KR19990028883 A KR 19990028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ormula
plant
effective amount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7928B1 (ko
Inventor
레이 엠. 게든스
마르샤 제이. 마틴
Original Assignee
미리암 디. 메코너헤이
이. 아이. 듀퐁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169431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2888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리암 디. 메코너헤이, 이. 아이. 듀퐁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미리암 디. 메코너헤이
Publication of KR19990028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9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7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3
    • A01N43/761,3-Oxazoles; Hydrogenated 1,3-ox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4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containing the groups, e.g. biuret; Thio analogues thereof; Urea-aldehyde condensation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I을 포함하는 옥사졸리디논 및 시목사닐 (또는 그들의 농학적으로 적당한 염)의 유용한 조합물 및 식물의 진균성 병해를 방제하는 그들의 용도를 제공한다.
〈화학식 I〉

Description

혼합 살진균제
본 발명은 특정 살진균성 옥사졸리디논 화합물과 다른 살진균제와의 유용한 조합물을 포함하는 적당한 농업용 조성물 및 특정 식물의 진균성 병해를 방제하기 위한 그들 조성물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재배자는 효과적으로 식물 병해를 방제하는 살진균제를 지속적으로 요구한다. 식물 병해는 상당히 파괴적이며, 방제하기 어렵고, 또한 빠르게 시판 살진균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다. 흔히 농약 조합물을 이용하여 병해 방제를 촉진하고, 방제 범위를 넓히며, 내성 발생을 지연시킨다. 특정 농약 조합물의 잇점이, 처리하고자 하는 특정 식물 및 식물 병해 및 처리 조건에 따라 종종 변할 수 있음이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국제 특허 제90/12791호에서는 5-메틸-5-(4-페녹시페닐)-3-페닐아미노-2,4-옥사졸리디논 (즉, 본 명세서에 정의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비롯하여 특정 옥사졸리디논 화합물을 살진균제로서 기재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3,954,992호에서는 살진균제로서 시목사닐을 기재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4,507,310호에서는 시목사닐 및 옥사디실과 같은 옥사졸리데닐아세트아미드류의 상승적인 조합물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문헌에서는 옥사졸리디논 및 시목사닐로 이루어지는 상승적인 조성물을 기재하거나 제안하지 않았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시목사닐 (및(또는) 그의 농학적으로 적당한 염) 및 화학식 I의 옥사졸리디논의 유용한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화학식 I의 옥사졸리디논 및 그의 농학적으로 적당한 염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및 (b) 시목사닐 및 그의 농학적으로 적당한 염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및 (c) 임의로 계면 활성제, 고형 희석제 또는 액상 희석제 중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살진균적으로 유효량 포함하며, 이 때 성분 (a) 대 성분 (b)의 중량비가 약 17:1 내지 1:100인 살진균성 활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5-메틸-5-(4-페녹시페닐)-3-페닐아미노-2,3-옥사졸리디논으로 공지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하고자 하는 식물이나 그의 일부분 또는 식물 종자나 묘목에 하기의 조성물 중 하나를 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진균성 식물 병원균으로 인한 식물 병해를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1) (a) 상기 정의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농학적으로 적당한 염, (b) 시목사닐, 또는 그의 농학적으로 적당한 염, 및 (c) 계면 활성제, 고형 희석제 또는 액상 희석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효량의 살진균성 조성물,
2) (a) 상기 정의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농학적으로 적당한 염, 및 (c1) 계면 활성제, 고형 또는 액상 희석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효량의 제1 조성물 (i), 및 (b) 시목사닐, 또는 그의 농학적으로 적당한 염, 및 (c2) 계면 활성제, 고형 희석제 또는 액상 희석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효량의 제2 조성물 (ii) (상기 제1 및 제2 조성물을 임의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가함), 또는
3) 유효량의 상기 2에서 정의한 제1 및 제2 조성물의 물리적 혼합물.
사용되는 화합물 (a) 대 화합물 (b)의 중량비는 일반적으로 약 17:1 내지 약 1:100이며, 또한 일반적으로 화합물 (a) 및 화합물 (b)은 각각의 화합물이 제공하는 진균성 병해의 누가 방제율보다 높은 진균성 병해 방제율을 제공하는 유효량으로 사용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시목사닐의 조합물이 상기 성분들에 의해 예상되는 단순한 누가 방제율을 능가하는 실질적으로 상당히 향상된 특정 식물의 병해 방제율을 제공하는 것을 밝혀내었다.
시목사닐 (커제이트 Curzate; 상품명)은 후기 마름병 및 백분병, 특히 감자의 후기 마름병 및 포도의 백분병의 전체 치료 방제용으로 시판되는 잎 살진균제이며, 2-시아노-N-[(에틸아미노)카르보닐]-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드로서도 공지되어 있는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거울상 이성질체로 존재할 수 있다. 당 업계의 숙련자는 한 거울상 이성질체가 더욱 활성적이거나(이고), 이를 다른 거울상 이성질체에 비해 증량시키거나 또는 다른 이성질체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에 유용한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또한, 숙련자들은 상기 거울상 이성질체를 분리, 농축하는 방법, 및(또는) 선택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옥사졸리디논의 각각의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광학 활성 혼합물 뿐만아니라 그의 농학적으로 적당한 염과, 시목사닐 또는 그의 농업적으로 적당한 염의 조성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I〉
시목사닐은 미국 특허 제3,954,992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시목사닐 및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 제법을 본 명세서에서 하기에 논할 것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반응식 1 및 국제 특허 제94/11359호에 기재된 바대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에서, R6은 C1-C4알킬이며,
Y는 1-이미다졸일 또는 1,2,4-트리다졸일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기에 적당한 반응 조건은 하기와 같다. 화학식 II의 에스테르를 화학식 IV의 화합물로 전환시키기에 적당한 용매에는 불활성 유기 용매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용매에는 염화 메틸렌, 클로로포름, 사염화 탄소, 헥산류, 테트라히드로푸란, tert-부틸 메틸 에테르, 디옥산류, 클로로벤젠, o-디클로로벤젠 (ODCB), 톨루엔, 크실렌류, 및 그의 적당한 조합물들이 있다. 가장 바람직한 용매에는 클로로벤젠, ODCB, 톨루엔, 및 크실렌류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된다. 반응 온도는 약 10 내지 약 75 ℃의 온도 범위가 가능하다. 바람직한 온도는 약 40 내지 약 60 ℃이다. 적당한 반응 압력은 약 1.0 × 105내지 약 5.1 × 105파스칼이다. 바람직한 압력은 1 × 105파스칼이다. 반응 시간은 통상 1 내지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시간이다. 화학식 III 대 화학식 II의 적당한 비율은 약 1:1 내지 2:1이다. 바람직한 비율은 약 1.1:1 내지 1.8:1이다. 이 반응에 적당한 염기에는 트리알킬아민류, 이미다졸, 피리미딘, 피콜린류 또는 다른 치환 피리딘 유도체류가 포함된다.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화학식 I의 2,4-옥사졸리딘디온에 전환시키기에 적당한 용매에는 화학식 II 및 III의 축합에 대해 상기 기재한 것과 같다. 바람직한 용매는 상기 바람직한 것으로 기재된 것이다. 반응 온도는 약 0 내지 약 75 ℃이다. 바람직한 온도는 약 10 내지 약 50 ℃이다. 반응 압력은 약 1.0 ×105내지 약 5.1 ×105파스칼이다. 바람직한 압력은 1 ×105파스칼이다. 반응 시간은 통상 1 내지 24 시간이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시간이다. 반응을 촉매하기에 적당한 산은 알킬 및 아릴 카르복실산, 트리알킬암모늄 할로겐화물 및 그의 조합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한 산은 아세트산 및 염화 트리에틸암모늄이다. 가장 바람직한 산은 염화 트리에틸암모늄이다. 화학식 IV에 대한 페닐히드라진의 적당한 비율은 약 2:1 내지 1:1이다. 바람직한 비율은 약 1.6:1 내지 1.1:1이다.
화학식 III의 카르보닐화제는 순수한 화합물, 예를 들면 불활성 용매 중의 순수한 화합물 용액으로서 첨가될 수 있거나, 또는 화학식 II의 에스테르 존재하의 반응계 내에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방법은 반응계 내에서 카르보닐화제를 제조하는 것이 포함된다.
포스겐 또는 포스겐 동등물, 예를 들면 디포스겐 (트리클로로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 또는 트리포스겐 [비스(트리클로로메틸)카르보네이트)] 및 이미다졸 또는 트리아졸로부터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반응계 내에서의 제법을 포함하여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문헌 [Org. Syntheses. Coll. Vol. 5, 201, (1973)]을 참조). HCl이 유리되는 반응은 산을 중화하기 위한 염기가 필요하다. 적당한 염기는 트리알킬아민 또는 이미다졸, 또는 그들의 조합물이다. 바람직한 염기는 트리에틸아민이다. 또한, 트리아졸의 알칼리 금속염 (바람직하게는 칼륨염)을 포스겐 (또는 포스겐 동등물)로 용매 중에서 처리함으로써 1,1'-카르보닐디트리아졸 (화학식 III, 여기에서 Y는 1,2,4-트리아졸일)을 제조할 수 있다. 트리아졸 염이 용매 중에서 낮은 용해도를 갖는 반응에는, 상 전이 촉매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크실렌류 또는 톨루엔이 사용된 경우, 상 전이 촉매가 바람직하다. 당 업계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어떠한 상 전이 촉매제라도 적당하다. 테트라알킬암모늄 할로겐화물이 바람직하다. 트리아졸 염은 적당한 염 (예를 들면, 수산화 나트륨 또는 나트륨 에톡시드)으로 트리아졸을 처리함으로써 제조된다. 알킬리 금속 염기 대 트리아졸 대 포스겐의 바람직한 비율은 0.5:1.0:0.6이다.
또한, 염기는 화학식 II 및 III의 축합을 촉매하는데도 필요하다. 상기 언급한 것과 같이, 적당한 염기 촉매에는 트리알킬아민류, 이미다졸, 피리미딘, 피콜린류 또는 다른 치환 피리미딘류가 있다.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을 사용한 경우 (화학식 III, 여기에서 Y는 1-이미다졸일), 화학식 III과의 반응에서 유리된 이미다졸이 촉매로 작용한다. 1,1'-카르보닐디트리아졸을 사용한 경우, 바람직한 염기는 피리미딘, 피콜린, 또는 피콜린 이성질체의 혼합물이다.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거나, 또는 반응계 내에서 페닐히드라진과 산을 처리하여 화학식 I의 2,4-옥사졸리딘디온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방법은 반응계 내에서 페닐히드라진로써 화학식 IV의 처리를 포함한다. 화학식 IV의 카르바메이트 형성이 완료된 후에, 물 첨가에 의해 과량의 카르보닐화제를 제거할 수 있다.
화학식 II의 2-히드록시카르복실산 에스테르는 문헌에 공지된 많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1) 문헌에 널리 공지된 것처럼, 대응하는 2-히드록시카르복실산으로부터 에스테르화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2-히드록시카르복실산은 또한 공지된 방법으로서 메틸 케톤으로부터 시아노히드린을 형성한 후 가수분해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헌 [Org. Syntheses. Coll. Vol. 4, 58 (1968)]에서는 아세토페논으로부터 아트로락트산의 제조를 교시하고 있다.
(2) 또한, 케톤 시아노히드린류로부터 HCl 존재하에서 알콜로 처리하여 이미노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얻은 뒤 가수 분해함으로써 에스테르류를 합성할 수 있다.
(3) 공지된 제3의 2-히드록시카르복실산 및 에스테르 제조 방법은 그리나드 (Grignard) 시약 및 알킬- 및 아릴-리튬 시약과 같은 친핵성-유기 금속성 시약으로 2-케토-산 또는 2-케토-에스테르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살로몬의 문헌 [R. G. Salomom et al.,J. Org. Chem. (1982), 47, 4692]에서는 피루브산 에스테르에의 아릴-그리나드 시약 첨가에 의한 화학식 II의 몇몇 에스테르 제조를 교시하고 있다. 또한, 몇몇 2-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은 피루브산의 금속염 (예를 들면, 나트륨 염)에 아릴 유기 금속성 시약의 위치 선택성 친핵 첨가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4) 몇몇 2-아릴-2-히드록시에스테르류 및 산류를 제조하기 위해 문헌에 기재된 다른 방법에는 양성자성 또는 루이스 산 존재하에서 활성화된 카르보닐 화합물로 방향성 고리 화합물의 아실화에 의한 것이다. 이런 유형의 반응을 수행할 수 있는 방향성 기체는 벤젠, 디페닐 에테르이며, 또한 프리델-크래프트 (Friedel-Craft) 유형의 반응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재활성이 있는 것으로 공지된 다른 방향족 화합물이다. 단일-치환 벤젠 유도체류의 경우에는, 아실화가 치환체 결합 위치에 대해 파라 위치에서 우선적으로 발생하지만, 배타적으로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 예를 들면, 문헌 [Org. Syntheses, Coll. Vol. 3, 326, (1955)], 살로몬의 문헌 [Salomon et al.,J. Org. Chem., (1982), 47, 4692] 및 미국 특허 제4,922,010호를 참조.
상기 반응을 수행하는데 공지된 카르보닐 화합물에는 피루브산 에스테르 및 산, 글리옥실산 에스테르 및 산, 및 옥소말론산의 디에스테르가 포함된다. 아실화 반응에 사용된 산류는 본래 양성자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아세트산 및 황산의 혼합액), 또는 염화 알루미늄, 사염화 주석, 사염화 티타늄과 같은 루이스 산 또는 프리델-크래프트-유형의 반응을 수행하는 것으로 공지된 다른 루이스 산일 수 있다. 산은 촉매량으로 또는 과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는, 산이 카르보닐 기체와 파괴적으로 반응할 수 있어 과량의 카르보닐 화합물을 사용해야 한다.
재배자는 지속적으로 식물 진균류, 특히 피토프토라 종 (Phytophthoraspp.) 및 플라스모파라 종 (Plasmoparaspp.)과 같은 난자균류 (Oomycetes)를 효과적으로 방제하는 살진균제를 요구하고 있다. 병해 방제를 촉진하고 내성 발생을 지연시키는데 흔히 살진균제의 조합물을 사용한다. 살진균제 혼합물은 각 성분의 활성을 기준으로 예측할 수 있는 것보다 상당히 우수한 병해 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상승작용을 "총 효능이 각각에서 얻어진 2개 (또는 2개 이상)의 효능의 합보다 크게 연장되는 것 정도의 혼합물 중의 두 성분 간의 공동작용 "이라고 기재하고 있다 (테임스의 문헌 [Tames, P. M. L.,Neth. J. Plant Pathology, (1964), 70, 73-80]을 참조).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시목사닐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상승 효과를 나타냄을 밝혀내게 되었다.
2개의 활성 성분 간의 상승효과 존재여부는 콜비 (Colby) 식으로 구한다 (콜비의 문헌 [Colby, S. R. InCalculating Synergistic and Antagonistic Responses of Herbicide Combinations, Weeds, (1967), 15, 20-22] 참조).
콜비의 방법을 이용하여, 두 활성 성분 간의 상승 작용 존재 여부는 두 개 성분을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의 활성도를 기준으로 혼합물의 예상 활성도 (p)를 우선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만일, p가 실측 효과보다 작다면, 상승효과가 발생한 것이다. 상기 식 중에서, A는 x 비율로 단독 사용한 제1 성분의 살진균성 활성도인 방제율%이다. 용어 B는 y 비율로 단독 사용한 제2 성분의 살진균성 활성도인 방제율%이다. y 비율의 B와 x 비율의 A 혼합물의 효과가 엄밀히 누가치이고, 상호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상기 식은 이 혼합물의 살진균 활성도 p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시목사닐 단독의 조성물들이 제공하는 살진균성 활성을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시목사닐의 조성물의 활성과 비교할 것이다. 콜비에 의해 개재된 상승작용에 대한 설명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상승적으로 유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a) 5-메틸-5-(4-페녹시페닐)-3-페닐아미노-2,4-옥사졸리디논 및 그의 농학적으로 적당한 염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b) 2-시아노-N-[(에틸아미노)카르보닐]-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드 및 그의 농학적으로 적당한 염으로부터 1종 이상의 화합물, 및 (c) 계면 활성제, 고형 희석제 또는 액상 희석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성분 (a) 대 성분 (b)의 중량비가 17:1 내지 1:100인 조성물이 상승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더욱이, 성분 (a) 및 성분 (b)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통상 보호하고자 하는 작물에 가하기 전에 임의의 희석제와 혼합할 수 있다. 성분 (a) 대 성분 (b)의 중량비는 약 8:1 내지 약 1:2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1 내지 약 약 1:10이다. 성분 (a) 대 성분 (b)의 중량비가 약 3:2 내지 1:3인 조성물이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물 (특히, 감자류, 포도류 및 토마토류)에서 진균류, 특히 피토프토라 종 (Phytophthoraspp.) 및 플라스모파라 종 (Plasmoparaspp.)과 같은 난자균류 (Oomycetes)를 방제하는 향상된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시목사닐 화합물은 두 가지 방법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1.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시목사닐의 화합물을 각각 제조하여, 따로 사용하거나, 또는 적당한 중량 비율로 동시에, 예를 들면 탱크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시목사닐을 본 명세서에서 정의한 것과 같은 중량비로 함께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진균성 조성물은 활성 성분으로서 상기 정의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시목사닐의 혼합물 유효량과 계면 활성제, 고형 희석제 또는 액상 희석제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통상,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액상 또는 고형 희석제 및(또한)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농학적으로 적당한 담체와 함께 제제하여 사용되며, 이때 활성 성분의 물성, 사용 방식 및 환경 요인 (예를 들면, 토양 유형, 습도 및 온도)에 부합하도록 제조된다. 유용한 제제에는 용액제 (유제 포함), 현탁액, 에멀젼 (마이크로에멀젼 및(또는) 서스포에멀젼을 포함)과 같은 액체가 포함되며, 이 제제들은 임의로 겔로 증점시킬 수 있다. 또한, 유용한 제제에는 미분제, 분말제, 입제, 펠렛, 정제, 필름등과 같은 고체가 포함되며, 이 제제들은 수분산성 ("수화성") 수용성일 수 있다. 활성 성분을 (미세)캡슐화 한 후 현탁액 또는 고형 제제로 제제화 하거나, 별법으로 활성 성분의 전체 제제를 캡슐화 (또는 "오버코팅")할 수 있다. 캡슐화는 활성 성분의 방출을 조절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 분무형 제제는 적당한 매질 중에서 팽창될 수 있으며, 헥타르당 1 내지 수백 리터의 분무 부피로 사용된다. 추가의 제제화를 위한 중간체로서 고농도 조성물을 주로 사용한다.
통상, 제제는 하기의 대략 범위 내의 100 중량% 이하로 첨가되는 유효량의 활성 성분, 희석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것이다.
중량%
활성 성분 희석제 계면 활성제
수분산성 및 수용성입제, 정제 및 분말제 5-90 0-94 1-15
현탁액, 에멀젼, 용액제(유제 포함) 5-50 40-95 0-15
미분제 1-25 70-99 0-5
입제 및 펠렛 0.01-99 5-99.99 0-15
고농도 조성물 90-99 0-10 0-2
통상의 고형 희석제는 와트킨스의 문헌 [Watkins, et al.,Handbook of Insecticide Dust Diluents and Carriers, 2nd Ed., Dorland Books, Caldwell, New Jersy]에 기재되어 있다. 통상의 액상 희석제는 마르스덴의 문헌 [Marsden,Solvents Guide, 2nd Ed., Interscience, New York, 1950]에 기재되어 있다. 멕커쳔의 문헌 [McCucheon'sDetergents and Emulsifiers Annual, Allured Publ. Corp., Ridgewood, New Jersy] 뿐만 아니라 시슬리 및 우드의 문헌 [Sisely and Wood,Encyclopedia of Surface Active Agents, Chemical Publ. Co., Inc., New York, 1964]에는 계면 활성제 목록과 권장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모든 제제는 거품, 덩어리 형성, 부식, 미생물 성장 등을 억제하기 위한 소량의 첨가제 또는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는, 예를 들면 폴리에톡시화 알콜류, 폴리에톡시화 일킬페놀류, 폴리에톡시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디알킬 술포숙시네이트류, 알킬 술페이트류, 알킬벤젠 술포네이트류, 유기 실리콘류,N,N-디알킬타우레이트류, 리그닌 술포네이트류, 나프탈렌 술포네이트 포름알데히드 축합체류, 폴리카르복실레이트류,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고형 희석제에는, 예를 들면 벤토나이트, 몬트모릴로나이트, 아타풀가이트 및 카올린과 같은 점토, 전분, 당, 실리카, 활석, 규조토, 요소, 탄산 칼슘, 탄산 나트륨, 중탄산 나트륨, 및 황산 나트륨들이 포함된다. 액상 희석제에는, 예를 들면 물,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 술폭시드,N-알킬피롤리돈, 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파라핀류, 알킬벤젠류, 알킬나프탈렌류, 및 올리브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동유, 참기름유, 옥수수유, 땅콩유, 면 종유, 대두유, 평지 종유 및 코코넛유, 지방산 에스테르, 및 케톤류 (예를 들면, 시클로헥사논, 2-헵타논, 이소포론 및 4-히드록시-4-메틸-2-펜타논) 및 알콜류 (예를 들면, 메탄올, 시클로헥산올, 데칸올 및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알콜)이 포함된다.
유제를 비롯한 용액제는 성분들을 간단히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미분제 및 분말제를 혼합하고 대개 햄머 제분기 또는 유력 제분기로 분쇄하여 제조할 수 있다. 현탁제는 대개 습식-제분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3,060,084호를 참조). 입제 및 펠렛은 활성 성분을 미리 제조된 입제 담체에 분무하거나, 응집 기술로 제조할 수 있다. 브라우닝의 문헌 [Browning, "Agglomeration",Chemical Engineering, December 4, 1967, pp 147-48], 페리의 문헌 [Perry'sChemical Engineer's Handbook, 4th Ed., McGraw-Hill, New York, 1963, pp 8-57] 및 국제 특허 제91/13546호를 참조. 펠렛은 미국 특허 제4,172,714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수분산성 및 수용성 입제는 미국 특허 제4,144,050호 및 동 제3,920,442호 및 독일 특허 3,246,493호에 교시한 대로 제조할 수 있다. 정제는 미국 특허 제5,180,587호, 동 제5,232,701호 및 동 제5,208,030호에 교시한 대로 제조할 수 있다. 필름제는 영국 특허 제2,095,558호 및 미국 특허 제3,299,566호에 교시한 대로 제조할 수 있다.
제제화 방법에 관한 추가 정보를 위해서는, 미국 특허 제3,235,361호 (컬럼 6, 16줄에서 컬럼 7, 19줄 및 실시예 10-14), 동 제3,309,192호 (컬럼 5, 43 줄에서 컬럼 7, 62줄 및 실시예 8, 12, 15, 39, 41, 52, 53, 58, 132, 138-140, 162-164, 166, 167 및 169-182), 동 제2,891,855 (컬럼 3, 66줄에서 컬럼 5, 17줄 및 실시예 1-4, 클링맨의 문헌 [Klingman,Weed Control as a Science,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1961, pp 81-96] 및 한스의 문헌 [Hance et al.,Weed Control Handbook, 8th Ed.,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d, 1989]를 참조하라.
하기의 실시예에서, 모든 %는 중량%이며, 모든 제제는 공지된 방법으로 처리된다.
〈실시예 A〉
수화제
5-메틸-5-(4-페녹시페닐)-3-페닐아미노-2,4-옥사졸리디논 27.9%
시목사닐 37.1%
도데실페놀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2.0%
나트륨 리그닌술포네이트 4.0%
나트륨 실리코알루미네이트 6.0%
몬트모릴로나이트 (하소됨) 23.0%
〈실시예 B〉
입제
5-메틸-5-(4-페녹시페닐)-3-페닐아미노-2,4-옥사졸리디논 5.0%
시목사닐 5.0%
아타풀가이트 입제 90.0%
(저 휘발성 물질, 0.71/0.30 mm; U.S.S. No. 25-50 시이브)
〈실시예 C〉
압출 성형 펠렛
5-메틸-5-(4-페녹시페닐)-3-페닐아미노-2,4-옥사졸리디논 10.7%
시목사닐 14.3%
무수 황산 나트륨염 10.0%
조 칼슘 리그닌술포네이트 5.0%
나트륨 알킬나프탈렌술포네이트 1.0%
칼슘/마그네슘 벤토나이트 59.0%
〈실시예 D〉
유제
5-메틸-5-(4-페녹시페닐)-3-페닐아미노-2,4-옥사졸리디논 10.0%
시목사닐 10.0%
유용성 술포네이트류 및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류 혼합물 10.0%
이소포론 70.0%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물 병해 방제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시목사닐의 살진균성 조성물을 보호하고자 하는 식물이나 그의 일부분에 또는 식물 종자나 묘목에 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식물 병원성 진균류로 인한 식물 병해를 방제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시목사닐의 조성물 중 한 가지만을 함유한 살진균성 조성물을 가한 후에 나머지 조성물을 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화학식 I 화합물의 조성물 및 시목사닐 조성물은 사용 전에 물리적인 혼합물, 예를 들면, 탱크 혼합물로 합할 수 있고,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서든,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시목사닐을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시목사닐이 단독으로 제공하는 진균류 병해의 누가 방제율 보다 큰 방제율을 제공하는 유효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담자균류, 조상균류, 불완전 균류 및, 특히 난자균류 중에서 다양한 식물 병원성 진균류로 인한 병해 방제를 제공한다. 이들은 다양한 식물 병해, 구체적으로는 관상 식물류, 채소류, 밭 작물, 곡물류, 및 과실 작물의 잎 병원균을 방제하는데 효과적하다. 상기의 병원성 균에는 플라스모파라 비티콜라 (Plasmopara viticola; 노균병),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Phytophthora infestans; 역병), 페로노스포라 타바시나 (Peronospora tabacina), 슈도페로노스포라 쿠벤시스 (Pseudoperonospora cubensis; 노균병), 피티움 아파니더마툼 (Pythium aphanidermatum), 알터나리아 브라시카에 (Alternaria brassicae; 검은 무늬병) 셉토리아 노도럼 (Septoria nodorum; 껍질 마름병), 셉토리아 트리티시 (Septoria tritici; 잎마름병), 설코스포리듐 펄소나툼 (Cercosporidium personatum; 역병), 셀코스포라 아라키디콜라 (Cercospora arachidicola; 갈색 무늬병), 슈도셀코스포렐라 헐포트리코이데스 (Pseudocercosporella herportrichoides), 셀코스포라 베티콜라 (Cercospora beticola; 갈색 무늬병), 보트리티스 시너레아 (Botrytis cinerea; 회색 곰팡이병), 모닐리니아 프럭티콜라 (Monilinia fructicola), 피리쿨라리아 오리자에 (Pyricularia oryzae; 도열병), 포도스파에라 로이코트리카 (Podosphaera leucotricha; 흰가루병), 벤투리아 이나에쿠알리스 (Venturia inaequalis; 검은별 무늬병), 에리시페 그라미니스 (Erysiphe graminis; 흰가루병), 운시눌라 네카터 (Uncinula necatur; 흰가루병), 푸치니아 레콘디타 (Puccinia recondita; 녹병), 푸치니아 그라미니스 (Puccinia graminis; 검은 녹병), 헤밀레이아 바스타트릭스 (Hemileia vastatrix), 푸치니아 스트리이포미스 (Puccinia striiformis; 줄녹병), 푸치니아 아라키디스 (Puccina arachidis; 녹병), 라이조토니아 솔라니 (Rhizoctonia solani; 모잘록병), 스파에로테카 풀리기네아 (Sphaerotheca fuliginea; 흰가루병), 푸사리움 옥시스포럼 (Fusarium oxysporum; 시들음병), 버티실리움 다일리에 (Verticillium dahliae), 피티움 아파니더마툼 (Pythium aphanidermatum), 피토프토라 메가스퍼마 (Phytophthora megasperma),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럼 (Sclerotinia sclerotiorum; 균핵병), 스클레로티움 롤프시 (Sclerotium rolfsii), 에리스페 폴리고니 (Erysiphe polygoni) ; 흰가루병), 피레노포라 테레스 (Pyrenophora teres; 그물 무늬병), 가우만노마이세스 그라미니스 (Gaeumannomyces graminis), 린코스포리움 세칼리스 (Rynchosporium secalis), 푸사리움 로제움 (Fusarium roseum), 브레미아 락투카에 (Bremia lactucae; 노균병) 및 이들 병원성균과 밀접하게 관련된 다른 속 및 종들이 포함된다. 다양한 진균성 병해 (예를 들면, 감자의 후기 마름병 및 토마토의 후기 마름병)를 포함하는 병원균인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를 방제하는데 있어 그들의 용도가 주목된다. 또한, 포도의 백분병과 같은 진균성 병해에 관여하는 병원성균인 플라스모파라 비티콜라를 방제하는데 있어 그들의 용도가 주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개 이상의 다른 살충제, 살진균제, 선충 박멸제, 살세균제, 살구충제, 반화학제, 방충제, 곤충 유인제, 페로몬, 주입 자극제 또는 다른 생물학적인 활성 화합물을 혼합하여 농학적으로 더욱 넓은 범위의 보호를 제공하는 다성분 농약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과 함께 제제화할 수 있는 농학적인 보호제에는 살충제 (예를 들면, 아바메틴, 아세페이트, 아진포스-메틸, 비펜트린, 부프로페진, 카르보푸란, 클로로피리포스, 클로로피리포스-메틸, 시플루트린, 베타-시플루트린, 델타메트린, 디아펜튜론, 디아지논, 디플루벤쥬론, 디메토에이트, 에스펜발레레이트, 펜프로파트린, 펜발레레이트, 피프로닐, 플루시트리네이트, 타우-플루발리네이트, 포노포스, 이미다클로프리드, 이소펜포스, 말라티온, 메트알데히드, 메타아미도포스, 메티다티온, 메토밀, 메토프렌, 메톡시클로르, 모노크로토포스, 옥사밀, 파라티온, 파라티온-메틸, 퍼메트린, 포레이트, 포살론, 포스메트, 포스파미돈, 피리미카르브, 프로페노포스, 로테논, 술프로포스, 테부페노지드, 테플루트린, 테브포스, 테트라클로로빈포스, 티오디카르브, 트랄로메트린, 트리클로로폰 및 트리플루뮤론), 살진균제 (예를 들면, 아족시스트로빈 (ICLA5504), 베노밀, 블라스티시딘-S, Bordeaux 혼합물 (3염기성 황산 구리), 브로무코나졸, 캡타폴, 캡탄, 카르벤다짐, 클로로네브, 클로로탈로닐, 구리 옥시클로라이드, 구리염류, 시프로코나졸, 시프로디닐 (CGA219417), 디클로메진, 디클로란, 디페노코나졸, 디메토모르프, 디니코나졸, 디니코나졸-M, 도딘, 에디펜포스, 에폭시코나졸 (BAS480F), 페나리몰, 펜부코나졸, 펜피클로니닐, 펜프로피딘, 펜프로피모르프, 플루퀸코나졸, 플루시라졸, 플루토라닐, 플루트리폴, 폴페트, 포세틸-알미늄, 푸라락실, 헥사코나졸, 이프코나졸, 이프로벤포스, 이프로디온, 이소프로티오란, 카수가마이신, 크레속심-메틸 (BAS 490F), 만코제브, 만네브, 메프로닐, 메타락실, 메트코나졸, 미클로부타닐, 네오-아조진 (페릭 메탄알소네이트), 옥사디실, 펜코나졸, 펜시큐론, 프로베나졸, 프로클로라즈, 프로피코나졸, 피리페녹스, 피로퀴론, 황, 테부코나졸, 테트라코나졸, 티아벤다졸, 티오판네이트-메틸, 티람, 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메놀, 트리시클라졸, 트리티코나졸, 유니코나졸, 발리다마이신 및 빈클로졸린), 선충 박멸제 (예를 들면, 알독시카르브 및 페나미포스), 살세균제 (예를 들면, 스트렙토마이신), 살구충제 (예를 들면, 아미트라즈, 키노메티오네트, 클로로벤질에이트, 시헥사틴, 디코폴, 디에노클로로, 페나자퀸, 펜부타틴 옥시드, 펜프로파트린, 펜피록시메이트, 헥시티아족, 프로파자이트, 피리다벤 및 테부펜피라드) 및, 생물학적 제제 (예를 들면, 바실러스 투린기엔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바실러스 투린기엔시스의 델타 엔도 독소, 바쿠로비루스, 및 엔토모병원성 세균, 비루스 및 곰팡이가 있다.
어떤 경우에는, 작용 양식은 다르나 유사한 방제 범위를 갖는 다른 살진균류와의 조합물이 내성 관리에 특히 유용할 것이다.
진균류성 식물 병원균으로 인한 식물 병해를 보다 우수하게 방제하거나 (예를 들면, 낮은 비율 또는 광범위한 식물 병원균의 방제) 또는 내성 관리를 위해서는 아족시스트로빈 (ICA5504), 구리염 (Bordeaux 혼합물 및 구리 옥시클로라이드를 포함함), 포세틸-알루미늄, 크레속심-메틸 (BAS490F), 메타락실, 옥사디실 및 만코제브, 가장 유용하게는 포세틸-일루미늄 및 구리염으로부터 선택된 살진균제와 본 발명의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추가의 살진균제와 본 발명의 두 가지 살진균제 (화합물 I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의미함)의 특히 바람직한 혼합물은 아족시스트로빈 (ICLA5504)과 시목사닐 및 화합물 I의 혼합물, 구리염과 시목사닐 및 화합물 I의 혼합물, 포세틸-알루미늄과 시목사닐 및 화합물 I의 혼합물, 크레속심-메틸 (BAS490F)와 시목사닐 및 화합물 I의 혼합물, 메타락실과 시목사닐 및 화합물 I의 혼합물, 옥사디실과 시목사닐 및 화합물 I의 혼합물, 만코제브와 시목사닐 및 화합물 I의 혼합물에서 부터 선택된다.
식물 병해 방제는 통상 감염 전 또는 후에 보호하고자 하는 식물의 부위, 예를 들면 뿌리, 줄기, 잎, 열매, 종자, 괴경 또는 구근에 또는 보호하고자 하는 식물이 성장하는 매질 (토양 또는 모래)에 유효량의 본 발명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조성물은 종자 및 묘목을 보호하기 위해 종자에 사용될 수도 있다.
조성물의 비율은 많은 환경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실제적인 사용 조건하에서 측정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활성 성분 응집물을 헥타르당 1g 내지 5,000 g 미만의 비율로 처리하여 잎을 보호할 수 있다. 활성 성분 응집물은 활성 성분의 총 중량으로 정의한다. 종자 및 묘목은 통상 종자 1 ㎏당 활성 성분 응집물을 0.1 g 내지 10g의 비율로 처리하는 경우에 보호될 수 있다. 잎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활성 성분으로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헥타르당 1 내지 400g 및 시목사닐을 헥타르당 4 내지 240 g을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하기 실시예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을 기재하였고,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로 인한 감자와 토마토의 후기 마름병 및 플라스모파라 비티콜라로 인한 포도의 백분병을 방제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시목사닐 간의 상승 효과를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그러나, 상기 조성물들이 제공하는 병원균 방제가 상기 미생물 종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서 나타나는 상승효과가 모든 조건 (예를 들면, 폭우 또는 홍수) 또는 모든 식물 병해에서 동일하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5-메틸-5-(4-페녹시페닐)-3-페닐아미노-2,4-옥사졸리딘디온 (화합물 I)의 제조
에틸 2-(4-페녹시페닐)락테이트 14.3 g (에틸 2-(4-페녹시페닐)락테이트 14.3 g 및 디페닐 에테르 19.7 g 을 함유하는 혼합물 34 g),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9.7 g 및 염화 메틸렌 100 mL의 혼합물을 25 ℃에서 1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0.3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5분간 교반하였다. 아세트산 5 mL 및 페닐히드라진 7.4 g을 첨가하였다. 25 ℃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뒤, 물 100 mL를 첨가하였다. 염산으로 pH 를 2로 낮추고, 수성층을 제거하였다. 염화 메틸렌 층을 물 50 mL로 세척한 후에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였다. 유성 잔류물을 헥산 15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 15 mL와 혼합하고, 65 ℃로 가열하고, 20 ℃로 냉각한 뒤, 여과하였다. 고형분을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및 헥산 80 mL의 혼합액 10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융점이 137 내지 139 ℃인 표제 산물 (15.2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5-메틸-5-(4-페녹시페닐)-3-페닐아미노-2,4-옥사졸리딘디온 (화합물 I) 및 시목사닐의 상승적인 조합물
시험 조성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화합물 I (활성 성분 36.5 ㎎)을 함유하는 20 % 마이크로에멀젼 182.5 ㎎에 증류수 32 mL를 첨가하여 화합물 I의 원액을 제조하였다. 화합물 I의 20 중량% 마이크로에멀젼은 화합물 I 20 중량%,N-메틸피롤리디논 40 중량% 및 마이크로스텝 H303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마이크로스텝 H303은 스테판사 (Stepan Co., Northfield, IL 60093)에서 시판하는 유화제이다. 시목사닐은 시판 중인 커제이트 (Curzate ; 상품명)의 50 % 수화제 (WP)를 사용한다. 원액은 수화제 (활성 성분 36.5 ㎎) 73 ㎎에 증류수 32mL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원액을 증류수로 희석하고 분무하였다. 하기의 희석액을 제조하여 하기의 비율을 얻었다.
비율 (g ai/헥타르)(1)원액 (mL) 증류수 (mL)
8 0.5 59.5
35 2 58
70 4 56
140 8 52
280 16 44
(1) 헥타르당 활성 성분의 g
단일 활성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 총 분무 용적은 원액 부피와 소정의 비율을 얻기 위해 첨가되는 증류수의 부피를 더한 것과 같다. 화합물 I 및 시목사닐의 동시 사용인 경우, 화합물 I 또는 시목사닐을 함유하는 적당한 희석 원액을 합하여 분무한다.
조직 배양으로 성장된 감자 (솔라늄 투버로섬Solanum tuberosum'수퍼리올')를 4 인치 (10.16 ㎝) 컵에 이식하고 온실에서 유지시켰다. 이식 5 내지 6 주 후에, 6-8 인치 (15.24-20.32 ㎝) 크기의 균일한 식물을 선택하였다. 식물에 시목사닐을 단독으로 비율 8, 35 및 140 g ai/헥타르로 분무하거나 또는 화합물 I을 단독으로 8, 35 및 140 g ai/헥타르로 분무하거나 또는 화합물 I 및 시목사닐의 조합물을 같은 비율로 분무하였다. 분무후에, 식물을 온실에서 6일 동안 유지시켰다. 그 후, 식물에 탈이온수 중의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포자 (2 × 104포자/mL)의 에어로졸 현탁액을 접종하였다. 식물을 즉시 가습 챔버 (상대 습도 98%초과)로 옮겨 24 시간동안 감염 후에 필요한 환경 조건을 제공하였고, 이어서 24 시간의 전이 기간동안 채광 성장 챔버에서 배양하고, 식물을 다시 온실로 옮겼다. 접종 6 주 후에 완전히 자란 4개 잎을 기준으로 하여 전형적인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의 국소 손상을 입은 잎 표면의 %를 조사하여 병해를 평가하였다. 각 시험에서 처리를 3회씩 반복하였다. 평균 병해 방제율 %는 표 1에 요약하였다. 방제 수준이 단순한 누가치보다 큰 시험은 별표로 표시되어 있다.
감자의 후기 마름병에 대한 화합물 I/ 시목사닐 조합물의 상승효과
병해 방제율%
화합물 비율g ai/ha(1) 실측치(2) 예상치(3)
시험 1 시험 2 평균 시험 1 시험 2 평균 3
시모자닐 8 0 20 10 - - -
시모자닐 35 0 25 12.5 - - -
시모자닐 140 41 51 46 - - -
화합물 I 8 69 77 73 - - -
화합물 I 35 87 98 92.5 - - -
화합물 I 140 90 98 94 - - -
시모자닐 + I 8+8 *77 *95 *86 69 82 76
시모자닐 + I 8+35 *98 98 *98 87 98 93
시모자닐 + I 8+140 *95 *99 *97 90 98 95
시모자닐 + I 35+8 *75 74 74.5 69 83 76
시모자닐 + I 35+35 *91 98 *94.5 87 99 93
시모자닐 + I 35+140 *98 *100 *99 90 99 95
시모자닐 + I 140+8 *95 86 *90.5 82 89 85
시모자닐 + I 140+35 *98 *100 *99 92 99 96
시모자닐 + I 140+140 *98 98 *98 94 99 97
(1) 헥타르당 활성 성분 g
(2) 관찰된 실측 방제율
(3) 콜비의 식에 의해 계산된 예상 방제율
<실시예 3〉
5-메틸-5-(4-페녹시페닐)-3-페닐아미노-2,4-옥사졸리딘디온 (화합물 I) 및 시목사닐의 상승적인 조합물
시험 조성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화합물 I의 원액을 실시예 2에서 기재한 것과 같이 화합물 I (활성 성분 36.5 ㎎)을 함유하는 2%의 유제 (EC) 1825 ㎎으로부터 제조하였다. 화합물 I의 2% EC는 화합물 I 25.51 g을 아트록스 3453 (Atlox; 상품명) 37.5 g, 아트록스 3404 (상품명) 37.5 g, n-부탄올 62.5 g, 및 아세토페논 1112.5 g을 포함하는 혼합 용매에 녹여서 제조하였다. 아트록스 3453 (상품명) 및 아트록스 3494 (상품명)는 ICI Americas, Inc. (New Murphy Road and Concord Pike, Wilmington, Delaware 19807)에서 시판한다. 시목사닐의 원액을 실시예 2에 기재한 동일한 방식으로 커제이트 (상품명)의 50 %WP 제제로부터 제조하였다. 원액을 실시예 2에서 기재한 것과 같이 증류수로 희석하여 70 g ai/헥타르, 140 g ai/헥타르, 및 280 g ai/헥타르의 비율을 얻었다. 그 뒤, 상기 희석액을 실시예 2에서 기재한 것과 같이 시험 식물에 분무하였다.
상기 제조된 조성물은 하기와 같이 시험되었다. 시험 조건은 (i) 시목사닐의 시험 비율이 70 내지 140 g ai/헥타르 (ii) 화합물 I의 시험 비율이 140 내지 280 g ai/헥타르이고, (iii) 분무후에 2일 동안 식물을 온실에서 유지시키고, 그 후 접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서 기재한 것과 동일하다. 평균 병해 방제율%은 표 2에 요약하였다. 방제 수준이 단순한 누가치보다 큰 시험은 별표로 표시되어 있다.
감자의 후기 마름병에 대한 화합물 I/시목사닐 조합물의 상승 효과
화합물 비율g ai/ha(1) 병해 방제율 %
실측치(2) 예상치(3)
시모자닐 70 14 -
시모자닐 140 56 -
화합물 I 140 62 -
화합물 I 280 71 -
시모자닐 + I 70+140 *81 67
시모자닐 + I 70+280 *89 83
시모자닐 + I 140+140 *77 75
시모자닐 + I 140+280 *91 87
(1) 헥타르당 활성 성분 g
(2) 관찰된 실측 방제율
(3) 콜비 식에 의해 계산된 예상 방제율
〈실시예 4〉
5-메틸-5-(4-페녹시페닐)-3-페닐아미노-2,4-옥사졸리딘디온 (화합물 I) 및 시목사닐의 상승적인 조합물
화합물 I의 2 % EC는 실시예 3 에 기재한 것과 같이 제조하였다. 화합물 I 및 시목사닐의 원액 및 희석액을 실시예 3에 기재한 것과 같이 제조하였다. 상기 희석액을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시험 식물에 분무하였다.
조직 배양으로 성장된 감자 (솔라눔 튜버로섬 '수퍼리올')를 4 인치 (10.16 ㎝) 컵에 이식하고 온실에서 유지시켰다. 이식 5 내지 6 주 후에, 6-8 인치 (15.24-20.32 ㎝) 크기의 균일한 식물을 선택하였다. 식물에 시목사닐을 단독으로 비율 70 및 140 g ai/헥타르로 분무하거나 또는 화합물 I을 단독으로 140 및 280 g ai/헥타르로 분무하거나 또는 화합물 I 및 시목사닐의 조합물을 같은 비율로 분무하였다. 분무후에, 식물을 온실에서 6일 동안 유지시켰다. 그 후, 식물에 탈이온수 중의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포자 (2 × 104포자/mL)의 에어로졸 현탁액을 접종하였다. 식물을 즉시 가습 챔버 (상대 습도 98%초과)로 옮겨 24 시간동안 감염 후에 필요한 환경 조건을 제공하였다. 가습 기간 후에, 식물을 초기 분무와 같은 처리법으로 2번째로 분무하였다. 건조 후에, 식물을 채광 성장 챔버에서 24 시간의 전이 기간을 주고, 다시 온실로 옮겼다. 접종 6 일 후에, 완전히 자란 4개 잎을 기준으로 하여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의 국소 손상을 입은 잎 표면의 %를 조사하여 병해를 평가하였다. 각 처리를 3회씩 반복하였다. 평균 병해 방제율 %은 표 3에 요약하였다. 방제 수준이 단순한 누가치보다 큰 시험은 별표로 표시되어 있다.
감자의 후기 마름병에 대한 화합물I/시목사닐 조합물의 상승효과
화합물 비율g ai/ha(1) 병해 방제율 %
실측치(2) 예상치(3)
시모자닐 70 65 -
시모자닐 140 91 -
화합물 I 140 62 -
화합물 I 280 80 -
시모자닐 + I 70+140 *92 86
시모자닐 + I 70+280 *99 93
시모자닐 + I 140+140 *99 96
시모자닐 + I 140+280 *100 98
(1) 헥타르당 활성 성분 g
(2) 관찰된 실측 방제율
(3) 콜비 식에 의해 계산된 예상 방제율
〈실시예 5〉
5-메틸-5-(4-페녹시페닐)-3-페닐아미노-2,4-옥사졸리딘디온 (화합물 I) 및 시목사닐의 상승적인 조합물
본 시험은 화합물 I 및 시목사닐을 각각 아세톤 중에 용해시키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물로 각 용액을 희석하여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0.02 부피% 함유하는 1:1의 아세톤 : 물 중의 활성 성분으로 구성되는 최종 원액을 얻음으로써 제조한 화학식 I 및 시목사닐의 조성물들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희석액은 실시예 2에서 기재한 것과 같이 제조하였다. 상기 희석액들을 실시예 2에 기재한 방법에 따라 식물에 분무하였다.
분무후에, 식물을 온실로 다시 옮겼다. 분무 1일 후에, 식물을 가습 챔버 (상대 습도가 98 %초과)로 옮겨 8시간 두고, 채광 성장 챔버 (20 ℃)에서 16시간 동안 두었다. 이 싸이클을 분무 후 2일 반복하였다. 분무 3일 후에, 식물을 다시 온실로 옮겨 접종 전까지 3 일 동안 유지시켰다.
그 후, 식물에 탈이온수 중의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포자 (2 × 104포자/mL)의 에어로졸 현탁액을 접종하였다. 식물을 즉시 가습 챔버 (상대 습도 98%초과)로 옮겨 24 시간동안 감염 후에 필요한 환경 조건을 제공하고, 뒤이어 채광 성장 챔버에서 24 시간의 전이 기간을 제공하고, 식물을 다시 온실로 옮겼다. 접종 6 일 후에, 완전히 자란 4개 잎을 기준으로 하여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의 국소 손상을 입은 잎 표면의 %를 조사하여 병해를 평가하였다. 각 시험에서 처리를 5회씩 반복하였다. 시험을 두 번 반복하였고, 평균 병해 방제율 %은 표 4에 요약하였다. 방제 수준이 단순한 누가치보다 큰 시험은 별표로 표시되어 있다.
감자의 후기 마름병에 대한 화합물 I/ 시목사닐 조합물의 상승 효과
화합물 비율g ai/ha(1) 병해 방제율 %
실측치(2) 예상치(3)
시모자닐 100 38 -
시모자닐 250 47 -
시모자닐 625 41 -
화합물 I 15 59 -
화합물 I 30 66 -
화합물 I 60 91 -
화합물 I 120 94 -
시모자닐 + I 100+15 48 75
시모자닐 + I 100+30 *80 79
시모자닐 + I 100+60 *98 94
시모자닐 + I 100+120 96 96
시모자닐 + I 250+15 45 78
시모자닐 + I 250+30 *84 82
시모자닐 + I 250+60 97 95
시모자닐 + I 250+120 95 97
시모자닐 + I 625+15 68 76
시모자닐 + I 625+30 *96 80
시모자닐 + I 625+60 *100 95
시모자닐 + I 625+120 *99 96
(1) 헥타르당 활성 성분 g
(2) 관찰된 실측 방제율
(3) 콜비 식에 의해 계산된 예상 방제율
〈실시예 6〉
5-메틸-5-(4-페녹시페닐)-3-페닐아미노-2,4-옥사졸리딘디온 (화합물 I) 및 시목사닐의 상승적인 조합물
본 시험은 화합물 및 시목사닐을 각각 아세톤 중에 용해시키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물로 각 용액을 희석하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0.02 부피% 함유하는 1:1의 아세톤:물 중의 활성 성분으로 구성되는 최종 원액을 얻음으로써 제조한 화학식 I 및 시목사닐 조성물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희석액은 실시예 2에서 기재한 것과 같이 제조하였다. 상기 희석액들을 실시예 2에 기재한 방법에 따라 시험용 식물에 분무하였다.
포도 묘목 식물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카르돈네이')를 2인치 (5 ㎝) 정사각형 플라스틱 컵에서 성장시키고, 27 ℃ 채광 성장 챔버에서 16 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식물이 약 2 내지 4 인치 (5 내지 10 ㎝) 크기로 자랐을 때, 균일한 식물을 시험용으로 선택하였다. 식물에 시목사닐을 단독으로 비율 7.8, 31.3, 125 및 500 g ai/헥타르로 분무하거나 또는 화합물 I을 단독으로 0.31, 1.25, 5 및 20 g ai/헥타르로 분무하거나 또는 화합물 I 및 시목사닐의 조합물을 같은 비율로 분무하였다. 분무후에, 식물을 성장 챔버로 옮겼다. 분무 1일 후에, 식물을 16 시간 동안 가습 챔버 (상대 습도가 98 %초과)로 옮기고, 성장 챔버에 8시간 동안 두었다. 이 싸이클을 분무 후 2, 4 및 5일에 걸쳐 반복하였다. 분무 6일 후에, 식물을 다시 성장 챔버로 옮기고 접종때까지 1 일 동안 유지시켰다. 그 후, 식물에 탈이온수 중의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포자 (2 × 104포자/mL)의 에어로졸 현탁액을 접종하였다. 배양된 식물을 즉시 가습 챔버 (상대 습도 98%이상)로 옮겨 24 시간동안 감염 후에 필요한 환경 조건을 제공하였다. 뒤이어 식물을 성장 챔버에서 6일 동안 배양하고, 다시 가습 챔버에 옮겨 24 시간 동안 배양하여 포자 발아를 유도하였다. 각 식물의 완전히 자란 3개 잎을 기준으로 하여 피토프토라 인펜탄스의 국소 손상을 입은 잎 표면의 %를 조사하여 병해를 평가하였다. 각 처리를 각 시험마다 5회씩 반복하였다. 평균 병해 방제율 [((대조물 병해율%)-(처리군 병해율%))/(대조물 병해율%)×100]은 표 5에 요약하였다. 방제 수준이 단순한 누가치보다 큰 시험은 별표로 표시되어 있다.
포도의 백분병에 대한 화합물 I/시목사닐 조합물의 상승 효과
화합물 비율g ai/ha(1) 병해 방제율 %
실측치(2) 예상치(3)
시모자닐 7.8 2 -
시모자닐 31.3 3 -
시모자닐 125 28 -
시모자닐 500 99 -
화합물 I 0.31 20 -
화합물 I 1.25 18 -
화합물 I 5 71 -
화합물 I 20 99 -
시모자닐 + I 7.8+0.31 4 22
시모자닐 + I 7.8+1.25 15 20
시모자닐 + I 7.8+5 *77 72
시모자닐 + I 7.8+20 99 99
시모자닐 + I 31.3+0.31 2 22
시모자닐 + I 31.3+1.25 16 20
시모자닐 + I 31.3+5 64 72
시모자닐 + I 31.3+20 98 99
시모자닐 + I 125+0.31 34 47
시모자닐 + I 125+1.25 *87 41
시모자닐 + I 125+5 *96 79
시모자닐 + I 125+20 99 99
시모자닐 + I 500+0.31 *100 99
시모자닐 + I 500+1.25 100 100
시모자닐 + I 500+5 100 100
시모자닐 + I 500+20 99 100
(1) 헥타르당 활성 성분 g
(2) 관찰된 실측 방제율
(3) 콜비 식에 의해 계산된 예상 방제율
〈실시예 7〉
5-메틸-5-(4-페녹시페닐)-3-페닐아미노-2,4-옥사졸리딘디온 (화합물 I) 및 시목사닐의 상승적인 조합물
시험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화합물 I을 함유하는 현탁 농축제 (20 % SC) 200 g/L 분량을 증류수 2000 부로 희석하여 화합물 I의 100 ppm 시험 용액을 제조하였다. 화합물 I의 현탁 농축제 200 g/L 분을 화합물 I (204.08 g, 98%), 수퍼몬탈린 SLT 70 (4.00 g), 모노프로필렌 글리콜 (50.00 g), 로도실 454 (2.00 g), 아세트산 (33.67 g, 80%), 아세트산 나트륨 삼수화물 (62.00 g), 브로노폴 (1.00g), 아타겔 50 (10.00 g), 물 (509.25 g), 엠콜 (Emcol; 상품명) 4100 (50.00 g), 쿨미날 MHPC50 (1.00 g) 및 아트플러스 469 (200.00 g)로부터 제조하는데, 이는 화합물 I, 수퍼몬탈린 SLT 70 , 모노프로필렌 글리콜, 절반의 로도실 454, 아세트산, 아세트산 나트륨 삼수화물, 브로노폴, 아타겔 50, 대부분의 물, 엠콜 (상품명) 4100, 쿨미날 MHPC50 및 아트플러스 469 (물 소정 부의와 함께 제조된 5%의 수용액)를 혼합하에서 조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고, 그 슬러리를 다이노밀 (Dynomill)로 습식 제분하기 전에 한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때, 제분 챔버는 0.5 내지 0.75 mm의 직경을 갖는 유리 조각으로 85 내지 87 부피%가 채워져있으며, 제분기 디스크의 주변 속도는 14 m/s로 조정되어 있다), 슬러리를 제분기에 1분당 40 mL 속도로 주입하고, 2회의 통과 단계를 거쳐 소정의 입자 크기 (평균 입자 크기 1 ㎛ 이하)를 얻고난 후, 나머지 반의 로도실 454, 아트플러스 469 및 나머지 부의 물을 연속적으로 교반하에서 첨가하고, 현탁액을 1시간 30 분 동안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시목사닐은 시판되는 커제이트 (Curzate ; 상품명)의 50% 수화제 (WP)를 사용하였다. 50% 시목사닐 수화제 소정 분량을 증류수 5000 부로 희석하여 100 ppm의 시목사닐 시험 용액을 얻었다. 화합물 I 및 시목사닐을 함유하는 100 g/L + 100 g/의 현탁 농축제의 소정 분량 (10% + 10% SC)을 증류수 1000 부 및 2000 부로 희석하여 화합물 I 및 시목사닐 각각의 100 + 100 ppm 및 50 + 50 ppm 시험 용액를 얻었다. 화합물 I 및 시목사닐의 100 g/L + 100 g/의 농축 현탁제 (10% + 10% SC)은 화합물 I (102.04 g, 98%), 시목사닐 (104.17 g, 96%), 수퍼몬탈린 SLT 70 (2.00 g), 모노프로필렌 글리콜 (50.00 g), 로도실 454 (2.00 g), 아세트산 (26.73 g, 80%), 아세트산 나트륨 삼수화물 (16.37 g), 브로노폴 (1.00g), 아타겔 50 (2.50 g), 레악스 85 (25.00 g), 몰웨트 D425 (12.5 g), 에어로질 200 (2.50 g), 켈잔 S (상품명; 0.10 g), 브리 78 (200.00 g) 및 물 (552.66 g)로부터 제조하는데, 이는 화합물 I의 대부분을 60 ℃로 가열하면서 첨가하고, 브리 78, 아세트산 및 아세트산 나트륨 삼수화물을 브리 78이 완전히 용해 될 때까지 혼합하면서 가하고, 수퍼몬탈린 SLT 70, 모노프로필렌 글리콜, 로도실 454 절반, 브로노폴, 아타겔 50, 레악스 85, 몰웨트 D425, 에어로질 200, 나머지 부의 화합물 I 및 시목사닐을 슬러리가 상온까지 냉각되는 동안 첨가하고, 슬러리를 다이노밀로 습식 제분하기 전에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때 제분 챔버는 0.5 내지 0.7 mm의 직경을 가지는 유리 조각으로 85 내지 87 %가 채워져있으며, 제분기 디스크의 주변 속도는 14 m/s로 조정하였다), 슬러리를 40 mL/분 속도로 제분기에 주입시키며, 소정의 입자 크기 (평균 입자 크기 1 ㎛이하)를 얻기 위해서는 2회 통과가 필수적이고, 로도실 454 나머지 및 켈잔 (Kelzan; 상품명) S (나머지 부의 물로 제조되는 2% 수용액으로서)을 교반하에 제분된 슬러리에 첨가하고, 현탁액을 1 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토마토 (바. 호우류; Houryu)를 온실에서 배양하였다. 시험은 5 반복하였다 (컵당 1개 식물에서 각각 반복함). 시험 용액을 컵당 100 mL씩 사용하였다 (헥타르당 300 L와 동량; 시험 용액 100 ppm 및 50 ppm은 각각 300 g/헥타르 및 150 g/헥타르와 동일한 비율을 제공한다). 다음날, 식물에 토마토의 마름병의 원인인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포자 현탁액을 분무하였다. 이 접종은 각 식물의 8개 잎에 접종원이 퇴적하도록 소형 분무기를 이용하였다. 접종후에, 컵들을 온도 23 ℃ 및 상대 습도 100 %의 채광 배양기에 2일 동안 유지시켰다. 다음날,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손상을 입은 잎 표면 %를 기록함으로써 식물당 8개의 접종된 모든 잎들을 검사하였다. 평균 병해 방제율%은 표 6에 요약하였다.
방제 수준이 단순한 누가치보다 큰 시험은 별표로 표시되어 있다.
토마토 후기 마름병에 대한 화합물 I/시목사닐 조합물의 상승효과
화합물 비율g ai/ha(1) 병해 방제율 %
실측치(2) 예상치(3)
시모자닐 (50% WP) 300 93 -
화합물 I (20% SC) 300 74 -
시모자닐 + I (10% + 10% SC) 300+300 *100 98
시모자닐 + I (10% + 10% SC) 150+150 *100(4) 93
(1) 헥타르당 활성 성분 g
(2) 관찰된 실측 방제율
(3) 콜비 식에 의해 계산된 예상 방제율
(4) 1:1 조성물의 총 300 g ai/ha이 각 화합물 단독의 300 g ai/ha보다 높은 방제율을 제공한다

Claims (10)

  1. (a) 5-메틸-5-(4-페녹시페닐)-3-페닐아미노-2,4-옥사졸리디논 및 그의 농학적으로 적당한 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및 (b) 시목사닐 및 그의 농학적으로 적당한 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의 혼합물을 살진균적으로 유효량 포함하며, 이 때 성분 (a) 대 성분 (b)의 중량비가 약 17:1 내지 1:100인 살진균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계면 활성제, 고형 희석제 또는 액상 희석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살진균성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성분 (a) 대 성분 (b)의 중량비가 8:1 내지 1:25인 살진균성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성분 (a) 대 성분 (b)의 중량비가 4:1 내지 1:10인 살진균성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성분 (a) 대 성분 (b)의 중량비가 3:2 내지 1:3인 살진균성 조성물.
  6. (a)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농학적으로 적당한 염, (b) 시목사닐, 또는 그의 농학적으로 적당한 염, 및 (c) 계면 활성제, 고형 희석제 또는 액상 희석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효량의 살진균성 조성물을 보호하고자 하는 식물이나 그의 일부분에 또는 식물 종자나 묘목에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며, (a)의 화합물 대 (b)의 화합물의 중량비가 약 17:1 내지 1:100이고, (a)의 화합물 및 (b)의 화합물이 각각의 화합물이 제공하는 진균성 병해의 누가 방제율보다 높은 진균성 병해 방제율을 제공하는 유효량으로 사용되는, 진균성 식물 병원균으로 인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화학식 I〉
  7. 제6항에 있어서, 진균성 식물 병원균이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Phytophthora infestans)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진균성 식물 병원균이 플라스모파라 비티콜라 (Plasmopara viticola)인 방법.
  9. (a)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농학적으로 적당한 염, 및 (c1) 계면 활성제, 고형 또는 액상 희석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효량의 제1 조성물 (i), 및 (b) 시목사닐, 또는 그의 농학적으로 적당한 염, 및 (c2) 계면 활성제, 고형 희석제 또는 액상 희석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효량의 제2 조성물 (ii)을 보호하고자 하는 식물이나 그의 일부분에 또는 식물 종자나 묘목에 임의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며, (a)의 화합물 대 (b)의 화합물의 중량비가 17:1 내지 1:100이고, (a)의 화합물 및 (b)의 화합물이 각각의 화합물이 제공하는 진균성 병해 의 누가 방제율보다 높은 진균성 병해 방제율을 제공하는 유효량으로 사용되는, 진균성 식물 병원균으로 인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화학식 I〉
  10. 유효량의, (a)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농학적으로 적당한 염, 및 (c1) 계면 활성제, 고형 또는 액상 희석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 (i), 및 (b) 시목사닐, 또는 그의 농학적으로 적당한 염, 및 (c2) 계면 활성제, 고형 희석제 또는 액상 희석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 (ii)의 물리적 혼합물을 보호하고자 하는 식물이나 그의 일부분에 또는 식물 종자나 묘목에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며, 사용되는 (a)의 화합물 대 (b)의 화합물의 중량비가 17:1 내지 1:100이고, (a)의 화합물 및 (b)의 화합물이 각각의 화합물이 제공하는 진균성 병해의 누가 방제율보다 높은 진균성 병해 방제율을 제공하는 유효량으로 사용되는, 진균성 식물 병원균으로 인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화학식 I〉
KR10-1998-0700185A 1995-07-12 1996-07-03 혼합살진균제 KR100427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895P 1995-07-12 1995-07-12
US60/001,088 1995-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883A true KR19990028883A (ko) 1999-04-15
KR100427928B1 KR100427928B1 (ko) 2004-08-09

Family

ID=21694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185A KR100427928B1 (ko) 1995-07-12 1996-07-03 혼합살진균제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5948805A (ko)
EP (1) EP0841851B1 (ko)
JP (1) JPH11508915A (ko)
KR (1) KR100427928B1 (ko)
CN (1) CN1094311C (ko)
AT (1) ATE207295T1 (ko)
AU (1) AU6453596A (ko)
BR (1) BR9609565A (ko)
CO (1) CO4750763A1 (ko)
CZ (1) CZ296513B6 (ko)
DE (2) DE69616340T2 (ko)
DK (1) DK0841851T3 (ko)
ES (1) ES2164902T3 (ko)
HU (1) HU229710B1 (ko)
IL (1) IL122894A (ko)
NZ (1) NZ312566A (ko)
PE (1) PE56798A1 (ko)
PL (1) PL186260B1 (ko)
PT (1) PT841851E (ko)
RU (1) RU2176450C2 (ko)
TW (1) TW352329B (ko)
UA (1) UA42072C2 (ko)
WO (1) WO1997002745A1 (ko)
ZA (1) ZA9658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34699B2 (en) * 1997-03-05 2001-06-21 Syngenta Participations Ag Fungicidal compositions based on metalaxyl
JP4522504B2 (ja) * 1997-12-01 2010-08-11 石原産業株式会社 有害生物防除用組成物および有害生物の防除方法
UA65600C2 (uk) * 1997-12-18 2004-04-15 Басф Акцієнгезелльшафт Фунгіцидна суміш на основі амідних сполук і похідних піридину
US6875727B2 (en) * 1997-12-23 2005-04-05 Syngenta Crop Protection, Inc. Use of macrolides in pest control
US6090806A (en) * 1998-08-31 2000-07-18 American Cyanamid Company Fungicidal mixtures
GB0021786D0 (en) * 2000-09-05 2000-10-18 Zeneca Ltd Fungicidal formulations
TW200306155A (en) * 2002-03-19 2003-11-16 Du Pont Benzamides and advantageous compositions thereof for use as fungicides
JP2007529435A (ja) * 2004-03-16 2007-10-25 シンジェンタ パーティシペーションズ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種子処理のための殺虫組成物及び殺虫方法
WO2006100227A1 (en) * 2005-03-21 2006-09-28 Basf Aktiengesellschaft Insecticidal mixtures
MX2011010392A (es) * 2009-04-01 2011-10-24 Dow Agrosciences Llc Composiciones y metodos para controlar patogenos de hongos.
US8932654B2 (en) * 2009-05-15 2015-01-13 Ecoflora Agro S.A.S. Swinglea glutinosa leaves derived material in combination with avermectins for control of acari
US20100291241A1 (en) * 2009-05-15 2010-11-18 Jaime Toro Restrepo METHOD OF PRODUCTION OF EXTRACT DERIVED FROM Swinglea Glutinosa LEAVES
US8993011B2 (en) 2009-05-15 2015-03-31 Ecoflora Agro Sas Swinglea glutinosa leaves derived material in combination with pyrethroids for control of acari
RU2460293C1 (ru) * 2011-03-30 2012-09-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Фирма "Август" Фунгицидная смесь, фунгицидное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фитопатогенными грибами на их основе
RU2460292C1 (ru) * 2011-03-30 2012-09-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Фирма "Август" Фунгицидная смесь, фунгицидное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фитопатогенными грибами на их основе
CN103461329B (zh) * 2013-09-30 2015-06-03 浙江海正化工股份有限公司 农药复合分散剂及其在制备农药悬浮剂中的用途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4992A (en) * 1973-07-02 1976-05-0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2-Cyano-2-hydroxyiminoacetamides as plant disease control agents
CH654979A5 (de) * 1982-01-26 1986-03-27 Sandoz Ag Fungizide und ihre verwendung.
HU214551B (hu) * 1989-04-21 1998-08-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 Mezőgazdaságban alkalmazható, hatóanyagként oxazolidindion-származékot tartalmazó gombaölő készítmény és eljárás a készitmény alkalmazására, valamint oxazolidindion-származékok előállítására
US4957933A (en) * 1989-04-21 1990-09-1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ungicidal oxazolidinones
WO1991005480A1 (en) * 1989-10-23 1991-05-02 Unilever Plc Dry solid compositions containing lipid
WO1991015480A1 (en) * 1990-04-10 1991-10-17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ungicidal oxazolidinones
HU215699B (hu) * 1992-11-13 1999-02-0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 Eljárás 2,4-oxazolidin-dionok és intermedierjeik előállításá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453596A (en) 1997-02-10
DE122008000052I2 (de) 2011-01-27
HUP9901686A3 (en) 2000-08-28
WO1997002745A1 (en) 1997-01-30
RU2176450C2 (ru) 2001-12-10
PL324625A1 (en) 1998-06-08
KR100427928B1 (ko) 2004-08-09
CO4750763A1 (es) 1999-03-31
EP0841851B1 (en) 2001-10-24
DK0841851T3 (da) 2001-12-17
JPH11508915A (ja) 1999-08-03
CN1195267A (zh) 1998-10-07
DE69616340D1 (de) 2001-11-29
PL186260B1 (pl) 2003-12-31
CN1094311C (zh) 2002-11-20
ES2164902T3 (es) 2002-03-01
NZ312566A (en) 1998-08-26
PT841851E (pt) 2002-02-28
BR9609565A (pt) 1999-03-02
IL122894A0 (en) 1996-08-16
HU229710B1 (en) 2014-05-28
UA42072C2 (uk) 2001-10-15
TW352329B (en) 1999-02-11
IL122894A (en) 2000-11-21
ATE207295T1 (de) 2001-11-15
CZ8698A3 (cs) 1998-05-13
CZ296513B6 (cs) 2006-03-15
DE69616340T2 (de) 2002-07-04
EP0841851A1 (en) 1998-05-20
ZA965856B (en) 1998-01-12
PE56798A1 (es) 1998-09-28
MX9800306A (es) 1998-03-31
US5948805A (en) 1999-09-07
HUP9901686A2 (hu) 1999-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5522B2 (en) Ternary fungicidal mixtures
JP5139342B2 (ja) 殺線虫性組成物
KR100242358B1 (ko) 벤즈아미드 옥심 유도체, 그의 제법 및 농원예용 살균제
RU2139862C1 (ru) Замещенные 4(3н)-хиназолиноны, обладающие фунгицидными свойствами, композиции на их основе и способы борьбы с мучнистой росой
KR19990028883A (ko) 혼합 살진균제
JPH07502985A (ja) 殺菌剤
JP2000500767A (ja) オキシメトキシ―3―アリール―ピロン誘導体
KR20090130124A (ko) 테트라조일옥심 유도체 및 식물 병해 방제제
WO2010058830A1 (ja) 農園芸用植物の病害防除方法
JPH0649039A (ja) ピリミジン誘導体、除草剤および農園芸用殺菌剤
JP2001172270A (ja) 5−カルボキサニリド−2,4−ビス−トリフルオロメチル−チアゾール
JPH08217754A (ja) イミダゾール化合物、殺虫・殺ダニ剤及び農園芸用殺菌剤
JPH1067730A (ja) 新規なベンズアミドオキシム誘導体、その製法及び農園芸用殺菌剤
JPH11335364A (ja) 新規な酸アニリド誘導体および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植物病害防除剤
JP2990541B2 (ja) 複合殺菌殺虫剤
MXPA98000306A (es) Mezclas fungicidas
JP2000026471A (ja) 11−ホルミル−インドロ[1,2−b][1,2]ベンズイソチアゾールおよび農園芸用殺菌剤
JP2005225828A (ja) ピロン類および殺虫・殺ダニ剤、農園芸用殺菌剤
JPH0892204A (ja) ジチオカルボンイミド誘導体およびその用途
JPH07187917A (ja) 殺菌剤組成物
JPH0873424A (ja) ジチオカルボンイミド誘導体およびその用途
JP2003277204A (ja) 農園芸用植物病害防除剤
JPH06329507A (ja) 農業用殺虫殺菌組成物
JPH10316676A (ja) ピリジルイミダゾール化合物及び農園芸用殺菌剤
JPH03218357A (ja) ピリジルカーバメート系化合物、それらの製造方法及びそれらを含有する有害生物防除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