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804A - 비수전해액 2차 전지 - Google Patents

비수전해액 2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804A
KR19990028804A KR1019980700104A KR19980700104A KR19990028804A KR 19990028804 A KR19990028804 A KR 19990028804A KR 1019980700104 A KR1019980700104 A KR 1019980700104A KR 19980700104 A KR19980700104 A KR 19980700104A KR 19990028804 A KR19990028804 A KR 19990028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secondary
separator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1209B1 (ko
Inventor
타카후미 오우라
마사끼 기타카와
하지메 니시노
히주루 코시나
Original Assignee
모리시따요오이 찌
마쓰시따덴끼상교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따요오이 찌, 마쓰시따덴끼상교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따요오이 찌
Publication of KR19990028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2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8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u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9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28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28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H01M2300/0037Mixture of solvents
    • H01M2300/004Three solv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6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 H01M6/10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수전해액 2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셀이 고온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셀내부압력의 상승으로 인한 전해액누출사태를 셀의 용량 희생없이 방지하는 것이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70도 내지 150℃의 온도범위내에서 용해열에 의한 단위면적당 흡열칼로리가 큰 폴리올레핀계 세퍼레이터를 사용하고, 음극용 흑연분말 및 비수전해액내의 유기용매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셀활성물질과 유기용매사이의 반응을 억제하여, 이에 의해 셀내부압력의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전해액누출상태를 성공적으로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비수전해액 2차전지
최근, 노트북형의 퍼스널컴퓨터, PDA, 이동전화, 캠코더, 그리고 기타 전자 제품의 소형경량화 및 작동시간의 연장을 위해, 조립형 전원으로서 고에너지밀도를 가진 2차전지의 개발 및 개선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전지방식의 일환으로서, LiCo2, LiNiO2및 LiMn2O4와 같이 산화천이금속이 함유된 리튬을 양극으로 사용하고, 흑연 등의 탄소재료를 음극으로 사용하고, 리튬염의 유기용매용액으로 이루어진 유기전해액을 비수전해액으로서 사용한 4V급의 비수전해액 2차전지에 높은 기대가 걸려 있다. 이 전지방식은 일반적으로 리튬이온 2차전지로서 알려져 있으며, 이 리튬이온 2차전지에서는 충전에 의해 리튬이온이 양극으로 부터 디인터컬레이트되어 전해액을 통해 음극으로 인터컬레이트된다. 또한, 방전에 의해 리튬아온이 음극으로부터 디인터컬레이트되어 전해액을 통해 양극으로 인터컬레이트된다.
그러한 충·방전에 의해 리튬이온의 인터컬레이트 및 디인터컬레이션 작용을 가역적으로 반복할 수 있어, 긴 사이클수명이 기대된다. 고전압 및 고에너지밀도의 2차전지로서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음극에 금속리튬을 사용한 리튬2차전지에서는, 충전에 의해 금속리튬이 음극에 침전하여 전해액내의 리튬농도를 떨어뜨렸지만, 충전의 종료단계에서부터 과충전된 영역까지, 수지상결정금속리튬결정이 침전해서 세퍼레이터를 관통하여 내부단락을 일으키며, 그 결과 전지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 뿐만 아니라, 셀온도의 급작스런 상승으로 인해 발화 또는 파열상태가 일어날 위험이 있었다. 리튬이온 2차전지에서는, 과충전되지 않는 한, 수지상결정금속리튬결정이 침전되지 않아 안전성 및 신뢰성이 매우 많이 향상된다. 그러나, 이 리튬이온2차전지에서는, 저온에서 충전될 때에는, 리튜이온의 확산이 불충분하여, 수지상결정금속리튬결정이 음극에 침전할 수도 있어서, 내부단락이 일어날 수도 있다.
리튬2차전지와 리튬이온2차전지용 세퍼레이터는 비수전해액인 유기전해액내의 에테르와 에스테르 등의 유기용매에 용해되지 않고, 전해액이 충분히 침투할 수 있고, 리튬이온의 확산이 용이한 폴리올레핀(PE)와 폴리프로필렌(PP)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미소다공질의 얇은 격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50μm 두께에 40 내지 70%의 다공을 가진 PE격막 및 PP격막으로 된 다층하이브리드격막 또는 PE와 PP의 이중층 이상의 층으로 된 다층 하이브리드격막이 사용되어 왔다.
한편, 고에너지밀도에 대한 요구를 고용량의 전지로 충존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셀의 특정체적전부를 가능한 한 많은 양·음극활성물질로 채우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음극과 양극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가능한 한 얇게 형성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상기 언급한 내부단락방지의 견지에서 보아 상대적으로 두꺼운 세퍼레이터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것과는 모순되는 수단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높은 용해열을 가지는 PE 또는 PE와 PP의 다층으로 이루어진 미소다공질 폴리올레핀계 격막으로 이루어진 세퍼레이터를 사용하는 종래기술에서 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고온에서 일어나는 전지활성물질과 전해액내의 유기용매사이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세퍼레이터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의해 셀온도의 상승을 억제하고, 셀내부압력의 상승을 억제해서, 전해액누출을 방지하여, 고온에서의 전해액누출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셀용량의 희생없이, 신뢰성이 향상된 비수전해액 2치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비수전해액 2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해열에 의한 단위면적당 흡열칼로리가 0.07cal/cm2이상이고 두께가 15 내지 30μm인 폴리올레핀계, 바람직하게는 PE 또는 PE와 PP의 다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올레핀계를, 하이브리드세퍼레이터로서 사용한, 리튬이온 2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세퍼레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셀용량을 희생시키지 않고, 고온에서의 전지활성물질과 전해액내의 유기용매사이의 반응열에 의한 내부단락 및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고, 가스발생이 억제되어, 셀내부압력의 상승으로 인해 전해액이 누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신뢰성이 보장된다.
본 발명은 비수전해액 2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것의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나선형의 전극군 구성을 가지는 워통형 비수전해액 2차전지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세퍼레이터2:양극
3:음극4:양극인출편
5:음극인출편6:바닥절연플레이트
7:셀용기8:상부절연플레이트
9:개스킷10:밀봉플레이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과 표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수전해액 2차전지의 실시예를 도시한, 원통형 리튬이온 2차전지(직경 17mm, 전체높이 50mm)의 종단면도이다.
도 1에서, 전극그룹은 밴드형상 양극(2)과 음극을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나선형으로 복수회 감아서 구성된다. 알루미늄제 양극인출편(4) 및 니켈제음극인출편(5)은 양극(2) 및 음극(3)에 각각 용접된다. 전극군의 상부 및 하부표면에 인출되어 있는 세퍼레이터는 가열해서 수축시키고, PE제 바닥절연플레이트(6)를 장착하여, 니켈도금된 강판구조물로 된 셀용기(7)내에 설치하고, 음극인출편(5)의 타단부는 셀용기(7)의 내부바닥에 스팟용접한다. PE제 상부절연플레이트(8)를 전극군의 상부표면상에 장착하고, 셀용기(7)의 개구부에서 특정위치에 홈을 형성하여, 비수전해액인, 특정량의 유기전해액을 그 안에 부어서 주입한다. 양극인출편(4)의 타단부를, 주변가장자리에 PP제 개스캣(9)이 고정된, 스테인레스스틸로 이루어진 밀봉플레이트(10)의 하부표면에 스팟용접한 후, 개스킷(9)을 통해 밀봉플레이트(10)를 셀용기(7)의 개구부내로 고정하고, 셀용기(7)의 상부가장자리를 안쪽으로 비틀어서(curl) 단단히 밀봉시키고, 이에 의해 셀을 완성한다.
(예 1)
다음과 같이 양극을 제조했다. 먼저, 탄산리튬, Li2CO3과 코바트(IV)코발트(II)산화물, Co3O4을 혼합하여, 900℃의 공기중에서 10시간 동안 구워서 합성하여 산화코발트가 함유된 리튬, LiCoO2을 얻었다. LiCoO2의 중량 100과 도전제로서 아세틸렌블렉의 중량 3과, 바인더로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중량 7의 비율로 혼합하여, 1wt%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수용액(CMC)의 중량 100에 이 혼합물을 첨가하고, 섞어서 혼합하여, 양극용 페이스트를 얻는다.
전기콜렉터로서 두께가 30μm인 알루미늄(Al)박의 양쪽에 양극용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건조시켜 압연하여, 특정크기로 절단해서 양극을 얻는다.
음극은 다음과 같이 제조했다. 먼저, 메소탄소미소알갱이(MCMB)를 2800℃에서 흑연화하여 평균입자크기가 약 3μm가 되도록 분쇄해서, 체질하여 선별한(screening) 흑연분말을 얻는다. X선회절로 측정한 이 흑연분말의 (002) 평면의 평면간격(d2)는 3.360이었고, BET법에 의한 특정표면적은 4.0m2/g이었다.
이 흑연분말의 중량 100과 부타디엔스티렌고무의 중량 5의 비율로 혼합하여, 그 혼합물을 1wt%CMC수용액의 중량 100에 붓고, 섞어서 혼합하여, 음극용 페이스트를 얻는다.
전기콜렉터로서 두께 20μm인 구리(Cu)박의 양쪽에 음극용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건조시켜 압연하여, 특정크기로 절단해서 음극을 얻는다.
용해열이 표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70 내지 150℃의 온도범위내에서 변화하기 때문에 단위면적당 흡열칼로리가 다르더라도 25μm의 균일한 두께를 가진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전극군을 조립해서, 셀 A 내지 G를 제조했다. 세퍼레이터의 흡열칼로리는 시차열분석장비로 측정했다.
비수전해액은 리튬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LiPF6를 에틸렌카보네이트(EC) 및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를 부피 1:3의 비율로 혼합한 용액 1.5몰/리터의 농도에서 용해시켜 조제한 유기전해액이다.
각 종류마다 5개씩의 셀을 준비하여 20℃에서 일정전압 4.2V로 고정하여, 일정전류 630mA에서 2시간 동안 일정전류 및 일정전압으로 셀을 충전시켰다. 그리고 일정전류 720mA에서 3.0V의 말기전압까지 방전시켰다. 충·방전사이클을 20회 반복한 후, 모든 셀을 완전히 충전시켰고 가열시험을 실시하여 셀온도와 전해액누출의 발생률을 조사했다.
가열시험에서는, 각 셀을 실온에서 분당 5℃비율로 150℃까지 가열하여 150℃에서 10분간 유지하였다. 이 상태에서 셀온도와 전해액누출비율을 조사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요약하여 나타낸다.
[표 1]
표 1의 결과로부터 0.07cal/cm2이상의 큰 흡열칼로리를 가지는 세퍼레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셀온도상승 및 전해액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명백히 알 수 있다.
종래의 리튬이온 2차전지에서는, 셀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셀활성물질과 비수전해액내의 유기용매간의 반응에 의해 열이 발생한다고 공지되어 있다. 그 결과로서, 유기용매의 증발 또는 분해로 인해, 셀내부압력이 높아지거나, 셀의 방폭형 안전기계가 작동되어 전해액누출사태를 야기시켰다.
그러나, 큰 흡열칼로리를 가지는 세퍼레이터를 사용함으로써, 반응열로 인한 그러한 온도상승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서, 이 반응에 의한 가스발생이 억제되기 때문에, 셀내부압력이 거의 상승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러한 전해액누출사태를 방지할 수도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예에서,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25μm로 고정된다. 동일한 용해열을 가진 PE격막에서는, 두께가 증가할수록, 단위면적당 흡열칼로리가 커진다. 그러나 셀의 내부저항이 상승하고 양극 및 음극활성물질 충전량이 희생되어, 셀용량이 저하된다. 그러므로 세퍼레이터의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는 것은 좋지 않다.
한편, 세퍼레이터의 두께를 약 10μm까지 감소시키는 경우, 세퍼레이터강도의 문제를 수반한다. 즉 내부단락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혹 큰 용해열을 가지는 물질에서도, 두께가 극도로 얇으면, 본 발명의 열흡수현상에 의해 셀의 열발생율 억제하는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여기에서는 생략되었지만, 다양한 용해열을 가지는 PE를 사용함으로써, PE세퍼레이터의 적절한 두께는 15 내지 30μm의 범위내임을 알았다.
이 예에서는, 세퍼레이터가 단일 PE격막으로 만들어졌지만, 70 내지 150℃의 온도범위내에서 단위면적당 흡열칼로리가 0.07cal/cm2이상이라면, 두께 약 15μm의 미소다공질 PP격막과 PE격막으로 이루어진 적층 하이브리드격막세퍼레이터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예 2)
본 예의 양극활성물질은, 예 1의 LiCoO2대신, 산화니켈이 함유된 리튬 LiNiO2를 사용했다. 즉, 수산화리튬 LiOH·H2O와, 수산화니켈 Ni(OH)2를 혼합하여 10시간 동안 750℃의 공기내에서 구워서, LiNiO2를 얻는다. 이 LiNiO2의 중량 100의 혼합물에, 도전제로서 아세틸렌블랙의 중량 3, 바인더로서 폴리플루오르비닐리덴의 중량 4, N메틸피롤리딘의 중량 100의 비율로 붓고 섞어서, 양극용 페이스트를 얻었다.
그후, 예 1과 동일한 도포, 건조, 압연, 절단의 공정에 의해 양극을 얻는다.
음극은 예 1과 동일하게 제조했다. 그러나, 음극용 흑연분말을 변경시켰다. 즉, MCMB를 흑연화하기 위한 온도를 3000, 2800, 2500, 2300, 2100℃로 다양하게 한 흑연분말(분쇄해서 채질하여 선별함으로써 평균입자크기를 약 3μm로 조정함)과, 평균입자크기가 약 50, 30, 20, 10, 5μm인, 고도의 결정체로 된 척연흑연인편상(flake)흑연으로 구성된 총 10가지 형의 흑연분말을 사용했다. 준비한 모든 셀은 양극용량이 커서 음극용량에 의해 방전용량이 결정되므로 음극용 흑연분말을 평가했다.
모든 셀의 세퍼레이터는, 용해열에 의한 단위면적당 흡연칼로리가 70 내지 150℃의 온도범위내에서 0.07cal/cm2인 PE격막으로 하고, 비수전해액은 예 1과 동일한 유기전해액으로 해서, 셀 H 내지 Q를 제조했다. 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충·방전사이클을 20회 반복한 후, 각 종류마다 5개씩의 셀에 가열시험을 행하여, 셀내부온도와 전해액누출을 조사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요약하여 나타낸다.
[표 2]
표 2에서 명백히 알 수 있듯이, 셀 P와 Q를 제외한, 셀 H 내지 O에서는 가열시험시 셀내부온도가 160℃이하이고 누출은 0/5으로, 도 1과 동일했으며, 따라서, 두께 25μm에 흡열칼로리가 0.07cal/cm2인 PE세퍼레이터가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MCMB를 흑연화해서 얻은 분말에서, 흑연화온도는 낮았고, d2가 3.38을 초과한 경우, 초기특정용량(mAh/g)이 극도로 낮아졌다. 이것은 흑연의 개재층거리가 너무 넓고 리튬의 인터컬레이션양이 감소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d2가 작아질수록, 가열시험시 셀내부온도는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흑연화온도가 높아질수록, 비수전해액내의 유기용매와의 반응성이 높아지게 되어, 열발생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므로, MCMB를 가열하여 흑연화할때는, d2는 3.350이상 3.380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히 고도의 결정체인 편상흑연분말에서는, 분쇄함으로써 특정 표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초기특정용량이 증가한다. 그러나, 가열시험시의 셀초기온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어서, 셀 P와 Q에서는, 셀내부온도가 160℃를 초과하여, 전해액누출이 있었다. 그것은, 본 발명에서와 같이 큰 흡열칼로리를 가지는 세퍼레이터를 사용해도, 셀활성물질과 유기용매사이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많은 경우 전해액이 누출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편상흑연분말에서는, 특정 표면적은 초기특정용량에서 보면 2.0m2/g이상이고, 전해액누출비율로 보면 8.0m2/g이하인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즉, 편상흑연분말에서는, 평균입자크기가 30μm이하이며 10μm를 초과하는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평균입자크기가 특정표면적을 가지는 편상흑연분말을 음극에 사용함으로써, 용량이 높고, 또한 셀이 고온으로 가열되는 경우, 셀활성물질과 비수전해액내의 유기용매사이의 반응이 억제되고, 따라서 가스발생이 저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예 3)
본 예의 양극활성물질은 예 1의 LiCoO2나 예 2의 LiNiO2대신, 산화망간이 함유된 리튬, LiMn2O4을 사용했다. 즉, Li2CO3와 이산화망간 MnO2을 혼합하여, 30시간 동안 800℃의 공기중에서 구워서, LiMn2O4를 얻는다. 예 1의 LiCoO2대신, LiMn2O4를 사용하여, 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양극을 얻는다.
음극은 예 1과 동일하게 제조했고, 세퍼레이터도 예 1과 동일한 PE격막으로 했으며, 비수전해액내의 유기용매를 다양하게 하여 셀을 제조했다. 즉, EC의 부피 1에, EMC의 부피 3(예 1과 동일), 디에틸카보네이트(DEC)의 부피 3, 디메틸카보네이트(DMC)의 부피 3, DEC의 부피 2와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의 부피 1, DEC의 부피 2와 메틸프로피오네이트(MP)의 부피 1, DEC의 부피 2와 에틸프로피오네이트(EP)의 부피 1, 1,2-디메톡시에탄(DME)의 부피 3,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의 부피 3을 각각 혼합한 8가지 형의 용매 각각을 5mol/liter의 농도로 하여, LiPF6를 용해해서, 얻은 유기전해액을 사용했다.
각 종류마다 5개의 셀에서, 예 1과 예 2와 동일한 가열시험으로 셀내부온도와 전해액누출비율을 조사했다. 그 결과를 표 3에 요약하여 나타낸다.
비수전해액으로서 사용되는 유기전해액의 용매로서, EC는 열안정성면에서는 우수하지만, 용융점(34℃)이 높으며, 점도도 높기 때문에, EC의 혼합비율을 높게하는 경우, 리튬이온의 전기전도성이 낮아진다. 본 예에서는, 유기전해액의 혼합용매내의 EC함유량을 25부피%로 고정했다.
[표 3]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THF와 같은 고리식(cyclic)의 에테르를 혼합한 경우, 셀내부온도의 상승이 두드러졌다. 이에 비해, DME와 같은 사슬식(chain)에테르를 혼합함으로써, 셀내부온도의 상승은 다소 억제시켰지만, 분해가스의 발생으로 인해 셀내부압력이 상승하여, 전해액이 누출하는 것을 막을 수 없었다. 한편, 고리식 및 사슬식카보네이트의 혼합물은 셀내부온도의 상승을 억제하는 데에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THF와 같은 고리식의 에테르 및 DME와 같은 사슬식 에테르의 산화전위는 고리식 및 사슬식 카보네이트와 같은 에스테르의 산화전위보다 낮고, 그러므로 충전시에 용매의 혼합반응이 일어나고, 셀용량이 떨어진다.
그러므로, 비수전해액의 용매로서, EC, PC, DMC, EMC, MP, EP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1종이상의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고온의 셀에서도 셀활성 물질과의 반응에 의한 가스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셀내부압력의 상승으로 인한 전해액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 1, 2, 3에서는, 양극물질로서, LiCoO2, LiNiO2, LiMn2O4를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활성물질만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공식 LixMyO2(여기서 M은, Mn, Fe, Co, N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의 천이금속이며, 0.5≤x≤1.0, 1.0≤y≤2.0)로 나타내어지는 산화천이금속을 함유한 리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극 역시, 리튬이온을 충·방전에 의해 가역적으로 인터컬레이션 및 디인터컬레이션을 반복가능한 물질로서 탄소물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탄소물질과 마찬가지로 리튬이온의 인터컬레이션 및 디인터컬레이션을 가역적으로 반복할 수 있는 산화천이금속으로 이루어진 음극, 또는 금속리튬이나 리튬합금으로 이루어진 음극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서 일탈하지만 않는다면, 셀형상 역시 원통형상만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5)

  1. 두께가 15 내지 30μm이고, 70 내지 150℃의 온도범위내에서 용해열에 의한 단위면적당 흡열칼로리가 0.07cal/cm2이상인 폴리올레핀계 미소다공질격막으로 이루어진 세퍼레이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전해액 2차전지.
  2. 두께가 15 내지 30μm이고, 70 내지 150℃의 온도범위내에서 용해열에 의한 단위면적당 흡열칼로리가 0.07cal/cm2이상인 폴리올레핀 독립 미소다공질격막, 또는 상기 미소다공질 폴리에틸렌격막과 미소다공질 폴리프로필렌의 다층하이브리드격막을, 세퍼레이터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전해액 2차전지.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양극활성물질은 공식 LixMyO2(여기서 M은, Mn, Fe, Co, N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의 천이금속이며, 0.5≤x≤1.0, 1.0≤y≤2.0)로 나타내어지는 산화천이금속이 함유된 리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전해액 2차전지.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음극용 탄소물질은 3.380Å이하의 X선회절에 의한 (002)평면의 평면간격이(d2)이고, BET법에 의한 특정표면적이 2.0m2/g이상이고 8.0m2/g이하인 인조흑연이나 천연흑연분말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전해액 2차전지.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수전해액으로서의 유기전해액은 리튬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로 주로 이루어진 용질을,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메틸에틸카보네이트, 메틸프로피오네이트, 에틸프로피오네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유기용매에 용해시킴으로써 조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전해액 2차전지.
KR1019980700104A 1996-05-09 1997-05-07 비수전해액2차전지 KR1003312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14538 1996-05-09
JP11453896 1996-05-09
PCT/JP1997/001530 WO1997042676A1 (en) 1996-05-09 1997-05-07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804A true KR19990028804A (ko) 1999-04-15
KR100331209B1 KR100331209B1 (ko) 2002-08-08

Family

ID=14640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104A KR100331209B1 (ko) 1996-05-09 1997-05-07 비수전해액2차전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13217B2 (ko)
EP (1) EP0838098B1 (ko)
KR (1) KR100331209B1 (ko)
CN (1) CN1127774C (ko)
DE (1) DE69706797T2 (ko)
HK (1) HK1009211A1 (ko)
ID (1) ID18173A (ko)
WO (1) WO19970426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720B1 (ko) * 2001-10-25 2006-01-20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양극활성물질 및 이것을 포함하는 비수전해질 2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2586B1 (en) 2000-04-10 2002-08-13 Celgard Inc. Separator for a high energy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US6586912B1 (en) 2002-01-09 2003-07-01 Quallion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mplitude limiting battery temperature spikes
US6894456B2 (en) * 2001-11-07 2005-05-17 Quallion Llc Implantable medical power module
US6891353B2 (en) * 2001-11-07 2005-05-10 Quallion Llc Safety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n energy storage device
US7592776B2 (en) * 2001-11-07 2009-09-22 Quallion Llc Energy storage device configured to discharge energy in response to unsafe conditions
US7443136B2 (en) * 2002-01-09 2008-10-28 Quallion Llc Method and device employing heat absorber for limiting battery temperature spikes
US7003356B2 (en) 2002-03-08 2006-02-21 Quallion Llc Battery terminal sealing and supporting device and method
US20070063105A1 (en) * 2004-02-10 2007-03-22 Mann Alfred E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in satellites
US20050193551A1 (en) * 2004-03-04 2005-09-08 Celgard Inc. Method of preventing short circuiting in a lithium ion battery
JP2005285385A (ja) * 2004-03-29 2005-10-13 Sanyo Electric Co Ltd セパレータ及びこのセパレータを用いた非水電解質電池
DE102004041065A1 (de) * 2004-08-19 2006-02-23 Varta Microbattery Gmbh Galvanisches Element
KR100670526B1 (ko) 2005-03-09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이차 전지 및 그 형성 방법
KR100906253B1 (ko) * 2006-05-01 2009-07-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과전류의 인가시 파괴되는 파단부가 형성되어 있는전극단자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US7662510B2 (en) * 2007-09-20 2010-02-16 Celgard Llc X-ray sensitive battery separator and a method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separator in a battery
DE102009034597A1 (de) * 2009-07-07 2011-01-2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Elektrolytmischung und dessen Verwendung
JP4920122B2 (ja) * 2010-03-23 2012-04-18 帝人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非水系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非水系二次電池及び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の製造方法
ES2661935T3 (es) * 2011-04-14 2018-04-04 Toda Kogyo Corp. Polvo de partículas de óxido de un compuesto de li-ni y proceso para la producción del mismo y batería secundaria de electrolito no acuoso
KR101336083B1 (ko) 2011-05-23 2013-1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출력 밀도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의 리튬 이차전지
WO2012161476A2 (ko) 2011-05-23 2012-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너지 밀도 특성이 향상된 고에너지 밀도의 리튬 이차전지
CN103548188B (zh) 2011-05-23 2016-03-30 株式会社Lg化学 具有增强的能量密度特性的高能量密度锂二次电池
CN103503204B (zh) 2011-05-23 2016-03-09 株式会社Lg化学 具有增强的功率密度特性的高输出锂二次电池
WO2012161479A2 (ko) 2011-05-23 2012-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출력 밀도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의 리튬 이차전지
WO2012161477A2 (ko) 2011-05-23 2012-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출력 밀도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의 리튬 이차전지
CN103650212B (zh) 2011-07-13 2016-03-30 株式会社Lg化学 具有增强的能量密度特性的高能量锂二次电池
GB2534198A (en) 2015-01-16 2016-07-20 Henkel IP & Holding GmbH Sealant material
GB2534199A (en) 2015-01-16 2016-07-20 Henkel IP & Holding GmbH Sealant material
CN106785035A (zh) * 2016-12-05 2017-05-31 钦州市钦南区生产力促进中心 一种锂离子电池电解液及其制备方法
US20190157722A1 (en) * 2017-11-17 2019-05-23 Maxwell Technologies, Inc. Non-aqueous solvent electrolyte formulations for energy storage devices
CN110391459B (zh) * 2018-04-20 2021-01-1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解液及电化学装置
CN111244428B (zh) * 2020-01-22 2021-06-22 浙江工业大学 一种高循环性能和高安全性能的锂离子电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6503A (en) * 1986-04-07 1993-10-26 Scimat Limited Process for making a composite membrane
US4751147A (en) * 1986-05-05 1988-06-14 The Dow Chemical Company Low viscosity, semicrystalline chlorinated polyethylene resins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US5028500A (en) * 1989-05-11 1991-07-02 Moli Energy Limited Carbonaceous electrodes for lithium cells
US5316875A (en) * 1991-07-19 1994-05-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condary battery with nonaqueous electroly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DE69320927T2 (de) * 1992-12-21 1999-02-18 Mitsubishi Chem Corp Poröse(r) Film oder Folie, Batterie-Separator und Lithium-Batterie
US5336573A (en) * 1993-07-20 1994-08-09 W. R. Grace & Co.-Conn. Battery separator
JP3048808B2 (ja) 1993-11-10 2000-06-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H07192753A (ja) * 1993-12-27 1995-07-28 Sanyo Electric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JP3091944B2 (ja) 1994-05-09 2000-09-25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負極用カーボン粒子の製造方法
US5691047A (en) 1994-05-12 1997-11-25 Ube Industries, Ltd. Porous multi-layer film
JP3011309B2 (ja) 1994-05-12 2000-02-21 宇部興産株式会社 電池用セパレ−タ及びその製法
US5667660A (en) * 1995-09-12 1997-09-16 Alliant Techsystems Inc. Synthesis of charged Lix CoO2 (0<×<1) for primary and secondary batteri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720B1 (ko) * 2001-10-25 2006-01-20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양극활성물질 및 이것을 포함하는 비수전해질 2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16289A1 (en) 2001-08-23
DE69706797D1 (de) 2001-10-25
KR100331209B1 (ko) 2002-08-08
HK1009211A1 (en) 1999-05-28
DE69706797T2 (de) 2002-05-29
EP0838098B1 (en) 2001-09-19
CN1127774C (zh) 2003-11-12
US6713217B2 (en) 2004-03-30
WO1997042676A1 (en) 1997-11-13
ID18173A (id) 1998-03-12
EP0838098A1 (en) 1998-04-29
CN1190494A (zh) 1998-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1209B1 (ko) 비수전해액2차전지
US7811708B2 (en)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US20070212609A1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101676085B1 (ko) 실리콘계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0325868B1 (ko) 유기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 리튬 2차전지
KR20070100957A (ko) 리튬 이온 2차 배터리
US20090297937A1 (en)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KR20010107665A (ko) 비수성 전해질 이차 배터리
JPH04328278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10080407A (ja) 正極活物質、正極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に関する。
JP7166265B2 (ja) 電極、非水電解質電池及び電池パック
JP5583265B2 (ja) 端子付電池
WO2015001411A1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4994628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09200043A (ja) 電池
JP2003272704A (ja) 非水系二次電池
CN116783731A (zh) 电极、电池及电池包
JP3508464B2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H11273726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H08180878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JP4938923B2 (ja) 二次電池
JP2004200122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02279998A (ja) 非水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非水二次電池
JP2002033132A (ja) 非水系二次電池
JPH1131527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