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280A - 소형 모터 및 모터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모터 및 모터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280A
KR19990028280A KR1019970709594A KR19970709594A KR19990028280A KR 19990028280 A KR19990028280 A KR 19990028280A KR 1019970709594 A KR1019970709594 A KR 1019970709594A KR 19970709594 A KR19970709594 A KR 19970709594A KR 19990028280 A KR19990028280 A KR 19990028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ll motor
motor
support member
terminal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9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지 가와바타
야수시 소야
사토시 나카타
Original Assignee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앱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앱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스카와 히데아키
Publication of KR19990028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28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18Contact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 or slip-ring, e.g. contact brush
    • H01R39/24Laminated contacts; Wire contacts, e.g. metallic brush, carbon fib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ground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02K5/143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s
    • H02K5/145Fixedly supported brushes or brush holders, e.g. leaf or leaf-mounted brus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6Means for adjusting casings relative to thei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7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sliding-contact or spherical cap bea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7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sliding-contact or spherical cap bearings
    • H02K5/1672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sliding-contact or spherical cap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by means of a moun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모터 구동장치(1A)는, 급전회로가 형성된 기판(100)과, 기판(100)에 고정된 지지부재(8)와, 지지부재(8)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소형 모터(2A)를 구비하고 있다. 소형 모터(2A)는 직류식의 진동 모터로서, 케이스(3)과, 케이스(3) 내에 수납되는 고정자(4) 및 회전자(5)와, 회전자(5)에의 급전용의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와, 회전자(5)의 회전축(53)의 선단부에 고정된 편심체(25)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형 모터(2A)에는 구동시에 소형 모터(2A) 전체가 지지부재(8)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수단으로서, 노치부(321) 및 오목부(335)가 형성되고, 지지부재(8)에는 노치부(321)와 결합하는 결합부(83) 및 오목부(335)와 결합하는 결합부(85)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소형 모터 및 모터 구동장치
근년, 무선 호출기(페이저)라든지 휴대전화(PHS를 포함한다)가 보급되고 있지만, 이것들의 기기 또는 그 부속기기(착신알림 전용기기)에 대하여, 기기자체가 진동함으로써 착신을 알리는 형태의 것이 주목되고 있다. 이 형태의 것은, 소형모터의 회전축에 편심체가 고정된 진동모터를 내장하고, 착신시에 진동모터가 구동하여, 이것에 의해, 편심체이 편심 회전하여 진동이 발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 이러한 진동 모터는, 급전회로(전원회로)가 형성된 회로기판에 대하여 납땜 등에 의해 진동 모터를 고정하고, 진동 모터로부터 인출된 2개의 리드선을 각각 회로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소정의 단자에 납땜함으로써 장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 작업에서는, 진동 모터의 고정과 리드선의 납땜 공정을 필요로 하고, 더우기, 납땜은, 수작업에 의해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막대한 수고와 시간을 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일단 장치한 진동 모터를 다른 진동 모터로 교환할 때에도 발생한다.
또한, 수작업에 의한 납땜을 위해서, 에러 결선이라든지, 쇼트(단락), 단선 등의 사고를 일으킬 우려도 있고,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모터 구동시에, 그 회전자의 회전의 반력에 의해, 모터 전체가 회로기판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지만, 진동 모터 전체가 회전하면, 2개의 리드선이 서로 얽히듯이 비틀리고, 단선이 쉽게 생긴다. 이러한 진동 모터 전체가 회전하는 현상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생기는 진동 때문에, 통상의 모터에 비해서 훨씬 발생하기 쉽다.
이와 같은 것에서, 진동 모터의 장치에는, 막대한 수고와 시간을 요하는 동시에, 모터의 신뢰성도 낮다.
본 발명은, 예를들면 진동모터에 적용되는 소형모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미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에 있어서의 후방 브래킷 및 그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지지부재의 밑바닥부 부근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미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태는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배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의 소형 모터에 있어서의 후방 브래킷 및 그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7은 도 16 중의 XVII-XVII선을 절개한 단면도.
도 18은 도 16중의 XVIII-XVIII선을 절개한 단면도.
도 19는 도 16중의 IXX-IXX선을 절개한 단면도.
도 20은 도 16 중의 XX-XX선을 절개한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미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미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미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8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9는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미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0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1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미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2는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3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미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4는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5는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미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6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7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미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8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9는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미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0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1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미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2는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3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미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4는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5는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미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6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7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M : 모터 구동장치2A∼2W : 소형 모터
25 : 편심체3 : 케이스
31 : 본체부311, 313, 811, 812 : 구멍부
312 : 절곡부314 : 연장부
315, 316, 321 : 노치부317 : 후단면
32 : 전방 브래킷33 : 후방 브래킷
331 : 축 구멍332 : 플랜지
333 : 외주벽334 : 스페이서
335, 336 : 오목부337 : 볼록부
34 : 베어링4 : 고정자
41 : 영구자석5 : 회전자
51 : 코어52 : 여자코일
53 : 회전축54 : 정류자
541 : 본체542 : 머리부
543 : 테이퍼면544 : 정류자편
6 : 플러스 단자60, 66 : 기초부
603 : 간격61 : 굴곡부
62, 64 : 접점부63 : 부착부
65 : 브러쉬67, 68 : 접촉부
7 : 마이너스 단자70, 76 : 기초부
701 : 판 스프링702 : 접점부
703 : 간격71 : 선단부
72 : 반환부73 : 절곡부
74 : 부착부75 : 브러쉬
76 : 기초부78 : 납땜부
79 : 납땜 재료8, 8A∼8I : 지지부재
80 : 모터 장전 공간부81 : 저면부
82 : 지지부821 : 가이드부
83 : 결합부84 : 고정부
85 : 결합부86 : 기초부
87 : 보강부재88 : 접촉부
881 : 홈89 : 오목부
9a : 수형 커넥터9b : 암형 커넥터
9c : 암형 커넥터9d : 수형 커넥터
90 : 커넥터 본체91, 92 : 오목부
93, 94 : 접점부재95 : 축경부
96 : 볼록부100 : 기판
101∼107 : 접점부재108 : 결합부
111 : 접점부재121 : 판부재
122 : 돌기123∼126 : 노치부
127 : 만곡부128 : 모서리부
131 : 노치부132∼137 : 결합부
138 : 기초부139 : 선단부
141 : 만곡부142 : 모서리부
143 : 오목부144 : 만곡부
145 : 모서리부151 : 결합부
152 : 중간부153 : 선단부
154 : 결합부155 : 노치부
161 : 탄성부재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모터 전체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신뢰성이 높은 소형 모터 및 모터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 모터를 그 지지부재에 장전(裝塡)할 때에, 소형 모터의 지지부재에의 부적정한 상태에서의 장전을 방지할 수 있는 모터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1) 본 발명은, 기판상에 고정된 지지부재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소형 모터로서,
고정자와, 회전자와, 이것들을 수납하는 케이스와, 상기 회전자에의 급전용의 제1단자 및 제2단자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에의 장전시에, 상기 제1단자 및 상기 제2단자가, 각각, 상기 지지부재 또는 상기 기판에 설치된 소정의 통전부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도통하며, 상기 회전자에의 급전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모터의 장치 작업(모터 내장 장치의 조립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작업성의 향상에 의한 저비용화라든지 양산에 알맞게, 또한, 모터의 수리·점검이라든지, 교환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소형 모터의 장치 때에, 리드선의 납땜 등에 의한 전기적 접속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에러 결선이라든지 단락, 단선 등의 사고가 방지되고, 모터의 원료에 대한 제품의 비율 및 신뢰성이 향상된다.
(2) 상기 제1단자는, 상기 케이스 외에 노출하고,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금속 부분과 도통하고,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케이스의 금속 부분이 절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의 지지부재에의 장전시에 전기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3) 상기 제1단자 및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후단측으로 돌출하여, 이것들의 돌출부가 상기 통전부를 구성하는 암형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수형커넥터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4) 상기 제1단자 및 상기 제2단자는 각각, 오목부를 가지며, 이것들의 오목부가 상기 통전부를 구성하는 수형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암형 커넥터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의 지지부재에의 장전시에 전기 접속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다.
(5) 상기 제1단자 및 상기 제2단자중, 한쪽의 단자는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에 도통하고, 다른쪽의 단자는, 상기 회전축과 절연되어, 해당 다른쪽의 단자와 상기 회전축을 통해 급전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의 지지부재에의 장전시에, 전기 접속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소형 모터측에 한쪽 단자의 굴곡부나 접점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간이한 구성의 소형 모터로 할 수 있다.
(6) 또한, 본 발명은 고정자와, 회전자와, 이것들을 수납하는 케이스와, 상기 회전자에의 급전용의 제1단자 및 제2단자를 가지며, 지지부재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소형 모터로서,
상기 지지부재에의 장전시에, 상기 회전자의 회전의 반력에 의해 소형 모터의 상기 지지부재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경우, 소형 모터가 지지부재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기 때문에, 모터의 장치 작업(모터 내장 장치의 조립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작업성의 향상에 의한 저비용화라든지 양산에 알맞고, 또한, 모터의 수리·점검이나, 교환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방지수단을 설치함에 따라, 소형 모터의 구동시에 지지부재에 대한 소형 모터 전체의 회전이 방지되고, 소형 모터의 자세를 항상 적정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소형 모터의 장치에 있어서 리드선을 사용한 경우라도, 회전 방지수단의 설치에 의해 소형 모터 전체의 회전이 방지되기 때문에, 리드선의 꼬임에 의한 단락이나 단선이 방지되고, 이것에 의해, 모터의 원료에 대한 제품의 비율 및 신뢰성이 향상된다.
(7) 상기 회전 방지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결합하는 결합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의 착탈에 지장이 생기지 않고, 또한, 보다 확실하게 지지부재에 대한 소형 모터 전체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8) 상기 제1단자 및 제2단자는 각각, 상기 케이스의 후단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 방지수단은 상기 양 돌출부를 포함하며, 암형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수형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9) 상기 제1단자 및 제2단자는 각각,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 방지수단은 상기 양 오목부를 포함하는, 수형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암형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한 전기 접속을 할 수 있는 동시에, 지지 부재에 대한 소형 모터 전체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10) 또한, 상기 회전자는 그 일단부에 테이퍼부를 갖는 정류자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의 조립에 있어서 정류자의 테이퍼면이, 예를들면 브러쉬를 안내하는 안내면으로서 기능하고, 브러쉬를 정류자에 대한 적정 위치로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세트할 수 있다.
(11) 또한, 본 발명의 소형 모터는 회전자의 회전축에 고정된 편심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 모터로서는 그 진동을 위해 고정된 모터의 위치 어긋남이라든지 단선 등의 사고가 발생하기 쉽지만, 본 발명을 진동 모터에 적용한 경우에는, 이러한 결점도 해소하고, 상기 효과가 보다 유효하게 발휘된다.
(12) 또한, 본 발명의 소형 모터는 상기 편심체의 최대 회전 반경을 R, 상기 케이스의 외경을 D로 할 때, R>D/2가 되는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심체의 최대 회전 반경(R)은 상기 관계(R>D/2)를 만족하도록 설정하는 것으로, 바람직한 진동 특성이 얻어지고, 특히, 보다 큰 진동을 얻을 수 있고, 진동모터로서의 성능이 향상된다.
(13) 본 발명의 모터 구동장치는 기판에 대하여 고정된 지지부재와 상술한 소정의 소형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의 장치 작업(모터 내장 장치의 조립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작업성의 향상에 의한 저비용화라든지 양산에 알맞고, 또한, 모터의 수리·점검이나, 교환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소형 모터의 구동시에, 지지부재에 대한 소형 모터 전체의 회전이 방지되고, 소형 모터의 자세를 항상 적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14) 상기 지지부재는 밑바닥부에, 모터 장전 공간을 통해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탄성 변형 가능한 다수의 지지부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의 착탈이 용이함과 동시에, 장전시에는 소형 모터를 확실하게 끼워(유지)될 수 있고, 소형 모터의 작동에 의해 생기는 진동에 대하여, 위치 어긋남이라든지 이탈 등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15) 또한, 본 발명은 밑바닥부와 모터 장전 공간을 통해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탄성 변형 가능한 다수의 지지부재를 갖는 지지부재와,
고정자와, 회전자와, 이것들을 수납하는 케이스와, 상기 회전자에의 급전용의 제1단자 및 제2단자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소형모터를 가지며,
상기 소형 모터의 상기 지지부재에의 장전시에 상기 회전자의 회전의 반력에 의한 소형 모터의 상기 지지부재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수단을 설치한 모터 구동장치로서,
상기 회전 방지수단은, 상기 소형 모터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와 결합하는 볼록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모터의 장치 작업(모터 내장 장치의 조립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작업성의 향상에 의한 저비용화라든지 양산에 알맞고, 또한, 모터의 수리·점검이나 교환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소형 모터의 구동시에, 지지부재에 대한 소형 모터 전체의 회전이 방지되고, 소형 모터의 자세를 항상 적정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16) 또한, 본 발명의 밑바닥부와, 모터 장전 공간을 통해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탄성 변형 가능한 다수의 지지부재를 갖는 지지부재와,
고정자와, 회전자와, 이것들을 수납하는 케이스와, 상기 회전자에의 급전용의 제1단자 및 제2단자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소형모터를 가지며,
상기 소형 모터의 상기 지지부재에의 장전시에, 상기 회전자의 회전의 반력에 의한 소형 모터의 상기 지지부재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수단을 설치한 모터 구동장치로서,
상기 회전 방지수단은 상기 소형 모터에 형성된 볼록부와,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볼록부와 결합하는 오목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모터의 장치 작업(모터 내장 장치의 조립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작업성의 향상에 의한 저비용화라든지 양산에 알맞고, 또한, 모터의 수리·점검이나 교환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소형 모터의 구동시에, 지지부재에 대한 소형 모터 전체의 회전이 방지되고, 소형 모터의 자세를 항상 적정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17) 또한, 본 발명의 모터 구동장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소형 모터를 가지며, 상기 소형 모터를 상기 지지부재에 장전할 때에, 상기 소형 모터의 상기 지지부재에의 부적정한 상태에서의 장전을 방지하는 역끼움방지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예를들면, 소형 모터가 그 회전 방향으로 180˚ 정도 어긋나 지지부재에 장전되는 것이라든지, 전후를 반대로 하여 장전되는 것 등이 방지되고, 소형 모터를 적정한 상태로 지지부재에 장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들면,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단락이라든지 접촉 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다.
(18)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밑바닥부와 모터 장전 공간을 통해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탄성 변형 가능한 다수의 지지부재를 가지며, 상기 소형 모터는 고정자와, 회전자와, 이것들을 수납하는 케이스와, 상기 회전자에의 급전용의 제1단자 및 제2단자를 가지며,
상기 소형 모터의 상기 지지부재에의 장전시에, 상기 제1단자 및 상기 제2단자와, 각각, 소정의 통전부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도통하고, 상기 회전자에의 급전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모터의 장치 작업(모터 내장 장치의 조립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작업성의 향상에 의한 저비용화라든지 양산에 알맞고, 또한, 모터의 수리·점검이나 교환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19) 상기 역 끼움 방지수단은, 상기 소형 모터와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소형 모터를 상기 지지부재에 적정한 상태로 장전하는 경우에만 서로 결합 가능한 결합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0) 상기 역 끼움 방지수단은, 상기 소형 모터에 형성된 볼록부와,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소형 모터를 상기 지지부재에 적정한 상태로 장전되는 경우에만,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1) 상기 볼록부는 상기 소형 모터의 축선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상기 소형 모터의 상기 지지부재에의 부적정한 상태에서의 장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22) 상기 역 끼움 방지수단은, 상기 소형 모터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소형 모터를 상기 지부재에 적정한 상태로 장전하는 경우에만,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3) 상기 오목부는, 상기 소형 모터의 한쪽 방향 또는 상기 소형 모터의 상기 지지부재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4) 상기 오목부는 상기 소형 모터의 선단부 또는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오목부와 볼록부가 확실하게 결합하여, 확실하게, 소형 모터를 지지부재에 적정한 상태로 장전할 수 있다.
(25) 상기 역 끼움 방지수단은, 상기 소형 모터에 형성된 모서리부와,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지지부재를 가지며, 상기 소형 모터를 상기 지지부재에 적정한 상태로 장전하는 경우에만, 상기 모서리부와 상기 지지부재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경우, 상기와 같이 확실하게 소형 모터를 지지부재에 적정한 상태로 장전할 수 있다.
(26) 상기 케이스의 외경을 D, 상기 모서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케이스의 폭을 L로 하였을 때, L<D가 되는 관계를 만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별도 위치 결정수단을 설치하지 않고, 상기 모서리부에 의해서, 소형 모터의 축선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27) 상기 오목부는 상기 소형 모터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후단부에 형성된 지지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의 지지부재에의 부적정한 상태에서의 장전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소형 모터의 축선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28)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소형 모터를 그 축선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의 축선 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29) 또한, 소형 모터는 그 회전축에 고정된 편심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 모터에서는 그 진동을 위해, 고정한 모터의 위치 어긋남이라든지 단선 등의 사고가 발생하기 쉽지만, 본 발명을 진동 모터에 적용한 경우에만 이러한 결점도 해소되고, 상기 효과가 보다 유효하게 발휘된다.
(30) 상기 소형 모터의 상기 지지부재에의 장전시에, 상기 소형 모터의 작동에 의한 상기 소형 모터의 상기 지지부재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의 구동시에 지지부재에 대한 소형 모터 전체의 회전이 방지되고, 소형 모터의 자세를 항상 적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31) 또한, 소형 모터의 축선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2) 역 끼움 방지수단이 소형 모터의 축선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수단을 겸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 끼움 방지수단이 상기 위치 결정수단을 겸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별도 위치 결정수단을 설치하지 않고, 소형 모터의 축선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소형 모터 및 모터 구동장치를 첨부도면에 나타나는 적합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미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동일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동일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동일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저면도, 도 5는 동일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동일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에 있어서의 후방 브래킷 및 그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지부재의 저면부 부근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 또한, 도 1 내지 도 4, 도 7 중 좌측을 「전방」 또는 「선단」, 우측을 「후방」 또는 「후단」으로서 설명한다.
이것들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터 구동장치(1A)는, 급전회로(소형 모터(2A)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가 형성된 기판(100)과, 이 기판(100)에 대하여 고정된 지지부재(8)와, 이 지지부재(8)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소형모터(2A)를 구비하고 있다.
우선, 소형 모터(2A)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소형 모터(2A)는 직류식의 진동 모터로서, 케이스(3)과, 해당 케이스(3)내에 수납하는 고정자(스테이터)(4) 및 회전자(로터)(5)와, 회전자(5)에의 급전용의 플러스 단자(제1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제2단자)(7)와 회전자(5)의 회전축(53)의 선단부에 고정된 편심체(25)으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3)는 원통체로 구성되는 본체부(31)와 본체부(31)의 선단측에 설치된(바람직하게는 일체 형성된) 전방 브래킷(32)과, 본체부(31)의 후단측에 장착된 후방 브래킷(33)과, 전방 브래킷(32)의 중심부에 고정된 베어링(34)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31)는 예를들면 스테인리스강, SPCC, SPCE 등의 전자 강판 등의 금속재료로 구성되고 전도성을 가지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브래킷(33)은 각종 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심부에는 회전자(5)의 회전축(53)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성하는 축 구멍(331)이 형성되어 있다.또한, 후방 브래킷(33)의 후단부에는 본체부(31)의 후단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플랜지(332)가 형성되고, 후방 브래킷(33)의 전방측 외주부에는 본체부(31)내에 삽입되는 외주벽(333)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후방 브래킷(33)은 그 자체에서 윤활성을 갖는 수지재료(절연성 재료), 특히 마찰계수가 비교적 낮고, 내마모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예를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액정폴리머(LCP), 폴리테트라플오로에틸렌, 폴리페닐렌슬피드(PPS),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후방 브래킷(33)의 후단면에는 한 쌍의 직사각형의 오목부(33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35)는, 후술하는 지지부재(8)의 결합부(85)와 걸어맞춤하는 결합부이며, 회전자(5)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생기는 반력에 의해서 소형 모터(2A) 전체가 지지부재(8)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수단을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전방 브래킷(32)의 외주면(측면)에는 회전축(53)의 축선을 통해 대향하는 위치에, 평탄면을 형성하는 것 같은 노치부(오목부)(3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노치부(321)는 후술하는 지지부재(8)의 결합부(83)와 걸어맞춤하는 결합부이고, 이와 같이, 소형 모터(2A) 전체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수단을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전방 브래킷(32)은 상기 금속 재료로 구성되고, 베어링(34)은, 상기 절연성 재료(또는 전도성 재료라도 된다)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자(4)는 본체부(31)의 내주면에 고정된 영구자석(스테이터 자석)(4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영구자석(41)으로서는 다극착자(多極着磁)된 원통형자석, 세그먼트형 자석의 어느 것이라도 괜찮다.
영구자석(41)을 구성하는 자성재료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희토류 원소와 천이 금속을 포함하는 것(예를들면, SmCo계 자석, R-Fe-B계 자석(R은, Y를 포함하는 희토류 원소))이, 자기 특성에 우수하며 바람직하다.
또한, 영구자석(41)의 형태도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소결자석, 주조자석, 수지결합형 자석 등, 어느 것이라도 되지만, 성형성 등에 우수하다는 이유로, 수지결합형 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자(4)의 내측에는, 회전자(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자(5)는 코어(51)와, 코어(51)에 코일을 감음으로써 형성된 여자코일(52)과, 코어(51)의 중심에 끼워 넣은 회전축(53)과, 코어(51)의 후단측에 설치된 정류자(54)로 구성되어 있고, 회전축(53)의 양단부가 각각 베어링(34) 및 축구멍부(331)에 삽입됨으로써, 케이스(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53)의 후단면은 만곡 볼록면을 구성하고, 축 구멍부(331)의 저면에 대하여, 소면적(점접촉)으로 접촉하고 있다. 즉, 그 외직경이 후방을 향하여 저감하는 것 같은 테이퍼면(543)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자(5)의 회전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감소하고 있다.
회전축(53)의 구성 재료로서는, 고강도로 또한 저마찰계수의 재료가 바람직하고, 예를들면, 스테인리스강철(SUS), 베어링강철(SUJ) 등의 금속 재료를 들 수 있다.
정류자(54)는 회전축(53)에 끼워 넣은 통형상의 본체(541)와, 본체(541)에 대하여 120°간격으로 또한 서로 절연된 상태로 설치된 3개의 정류자편(544)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정류자편(544)은, 각각 대응하는 여자코일(5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자(5)의 회전 때에, 회전각(60°) 마다에 전류된다.
본체(541)의 후단에는 머리부(5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머리부(542)는, 원추 받침대 형상을 하고 있다. 즉, 그 외직경이 후방을 향하여 저감하는 것 같은 테이퍼면(543)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A)의 조립때에, 머리부(542)의 테이퍼면이 후술하는 브러쉬(65, 75)의 접촉부(67, 77)를 안내하는 안내편으로서 기능하고, 브러쉬(65, 75)를 정류자(54)에 대한 적정 위치에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세트할 수 있다.
후방 브래킷(33)에는 회전자(5)에의 급전을 행하기 위한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가 통과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플러스 단자(6)를 제1단자, 마이너스 단자(7)를 제2단자로서 설명하지만, 이들은 반대라도 좋다.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는 각각 금속제(예를들면, 스테인리스강철, 동 또는 동합금 양백(洋白), 양철)의 판편(板片)을 소정의 형상으로 뚫고, 이것을 원하는 대로 구부리어 형성된 부재이다.
이중, 플러스 단자(6)는 L자 형상(거의 직각)으로 굴곡되고, 그 굴곡부(61)로부터 후단측의 부분(접점부 62)은, 후방 브래킷(33)의 후단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접점부(62)는 후술하는 접점부재(통전부)(101)와 접촉하여 통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접점부(62)는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형상의 것이라도 좋다.
후방 브래킷(33)의 후단면의 굴곡부(61) 부근에는, 스페이서(334)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스페이서(334)의 개재에 의해, 후방 브래킷(33)의 후단면과 접점부(62)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334)를 설치함에 따라, 플러스 단자(6)에 선단 방향에의 압압력(접점부재(101)로부터의 반력)이 작용한 경우에, 후방 브래킷(33)에 대해서 플러스 단자(6)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여 몰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플러스 단자(6)는 후방 브래킷(33)의 절연성에 의해, 마이너스 단자(7) 및 본체부(31)와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한편, 마이너스 단자(7)는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된 부분을 가지며, 그 선단부(71)는 본체부(31)에 형성된 구멍부(311)를 통해 케이스(3) 밖으로 노출하고 있다. 이 선단부(71)는 본체부(31)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용접 또는 납땜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마이너스 단자(7)와 본체부(3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플러스 단자(6)에는 예를들면 동 또는 동합금과 같은 금속재의 판편으로 구성되는 브러쉬(65)가 그 기초부(66)에 있어서 예를들면 납땜에 의해 고정되어, 통전되고 있다. 이 브러쉬(65)는 그 일단측에 좁은 폭의 접점부(67)를 가지며 이 접점부(67)는 그 탄성에 의해 정류자(54)의 측면에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하고 있다.
또한, 마이너스 단자(7)에도 같은 브러쉬(75)가 그 기초부(76)에 있어서 예를들면 납땜에 의해 고정되어, 통전되고 있다. 이 브러쉬(75)는 그 일단측에 좁은 폭의 접촉부(77)를 가지며, 이 접촉부(77)는, 그 탄성에 의해 정류자(54)의 측면에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하고 있다.
양 브러쉬(65, 75)는 그것들의 접촉부(67, 77)끼리가 정류자(54)를 통해 대향하도록, 또한 정류자(54)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점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8 참조). 즉, 접촉부(67, 77)는 정류자(54)의 외주에 대하여, 서로 회전각 180° 어긋난 위치에 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양 단자(6, 7)를 통해 양 브러쉬(65, 75)에 직류를 통전하면, 각 여자코일(52)이 여자되어 회전자(5)가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고, 정류자(54)의 작용에 의해, 60° 회전할 때마다 전류되어, 회전자(5)의 회전이 계속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심체(25)는 그 횡단면형상이 거의 반원형형상을 하는 부재로서, 그 중심이 회전축(53)의 축선과 어긋난 위치에 있고, 회전자(5)의 회전에 의해 편심 회전한다. 이 편심 회전에 의해 진동이 얻어진다.
편심체(25)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를들면, 텅스텐, 또는 텅스텐-동합금 등의 텅스턴계 합금 등의, 비교적 비중이 큰 금속 재료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편심체(25)의 비중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와 같은 진동 모터에 적용되는 경우, 10 내지 20g/cm3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7 내지 20g/cm3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소형 모터(2A)의 모서리부의 치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와 같은 진동 모터인 경우, 케이스(3)의 치수는 다음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케이스(3)의 전체 길이는, 10 내지 2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10 내지 15㎜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3)의 외경은, 3 내지 1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3 내지 6㎜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재(8)는 소형 모터(2A)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재로서, 저면부(81)와, 이 저면부(81)에서 모터 장전 공간(80)을 통해 설치된 다수의 판형상의 지지부(82)와, 지지부재(8)의 선단부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저면부(81)로부터 설치된 한 쌍의 결합부(83)와, 지지부재(8)를 기판(100)에 대하여 고정하는 고정부(84)를 가지며, 이것들이 바람직하게는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즉, 지지부재(8)는 예를들면 상기 본체부(31)로 예를 든 것과 같은 금속 재료에 의한 금속판을 원하는 형상으로 뚫고, 굽힘 가공을 하여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재(8)의 저면부(81)의 소정 위치에는, 소형모터(2A)를 장전하였을 때에, 마이너스 단자(7)의 케이스(3) 밖으로 돌출한 선단부(71)의 도피 공간을 형성하는 구멍부(811)가 형성되어 있다.
각 지지부(82)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케이스(3) 외주면의 만곡에 대응하도록 원호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A)를 확실하게 끼울 수 있고, 소형 모터(2A)의 작동에 의해 생기는 진동에 대하여, 위치 어긋남이라든지 이탈 등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지지부(82) 중 전부 또는 일부는, 소형 모터(2A)를 그 본체부(31)와 접촉하도록 끼우고, 이것에 의해, 지지부재(8)에의 소형 모터(2A)의 장전시에 본체부(31)와 지지부재(8)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이 본체부(31)와 접촉하는 지지부(82)는 통전부를 구성한다.
도 5,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지지부(82)의 상단부에는 각각, 모터 장전 공간(80)으로부터 상측 방향이 또한 외측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구부려진 가이드부(8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821)는 소형 모터(2A)를 지지부재(8)의 모터 장전 공간(80)에 장전할 때 안내부로서 기능한다. 즉, 소형 모터(2A)의 장전에 있어서는, 케이스(3)의 외주면이 가이드부(821)에 접촉하고, 가이드부(821)에 따라서 활주하여, 지지부(82)가 넓혀짐으로써, 소형 모터(2A)가 모터 장전공간(80)에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삽입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지지부(82)의 기초부(저면부(81) 부근)(86)에는 보강부재(보강수단)(87)가 설치되어 있다. 소형 모터(2A)의 장전에 따라 지지부(82)가 변형할 때에는, 기초부(86)에 응력이 집중하지만, 이 보강부재(87)의 설치에 의해, 소형 모터(2A)의 장전에 따르는 기초부(86)의 소성변형을 저지할 수 있고, 따라서, 소형 모터(2A)의 착탈을 반복 행한 경우라도, 지지부(82)에 의한 소형 모터(2A)의 지지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87)의 설치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기초부(86)에 별도의 부재를 용접, 납땜 등에 의해 고착하여도, 기초부(86) 자체를 소성변형시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기초부(86)의 보강은, 이러한 보강부재(87)의 설치 이외의 방법, 예를들면, 기초부(86) 자체의 두께를 다른 곳보다 두껍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행하여도 좋다.
또한, 이러한 보강부재(87)는 결합부(83)이 기초부에도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지지부재(8)의 후단부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부(82)는 각각 모터 장전 공간(80)의 중심 방향으로 향하여 거의 직각으로 형성된 결합부(85)를 가지고 있다. 이것들의 결합부(85)는 소형 모터(2A)의 장전시에, 그 후단에 형성된 오목부(335)에 걸어맞추어(끼워맞춤), 소형 모터(2A)의 지지부재(8)에 대한 회전을 방지한다.
지지부재(8)의 선단측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부(83)는, 저면부(81)에 대하여 거의 직각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이것들의 결합부(83)는 소형 모터(2A)의 장전시에, 그 선단부에 형성된 노치부(321)에 걸어맞추어 지지하고, 소형 모터(2A)의 지지부재(8)에 대한 회전을 방지한다.
이것들의 각 결합부(83, 85)는 상기 회전 방지수단을 구성함과 동시에, 소형 모터(2A)의 축선 방향(전후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수단을 구성한다.
이러한 지지부재(8)는 저면부(81)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각 고정부(84)에 있어서, 기판(100)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납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납땜은 지지부재(8)가 기판(100)상에 형성된 급전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있어서의 그라운드(마이너스 단자측)로 통전되도록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A)의 마이너스 단자(7)는 케이스(3)의 본체부(31) 및 이것을 지지하는 지지부재(8)를 통해 기판(100) 상에 급전회로의 그라운드로 접속된다.
또한, 기판(100)상에 지지부재(8)의 후방 위치에는, U자 형상으로 만곡한 금속제품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접점부재(통전부)(10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점부재(101)는 기판(100)상의 급전회로의 플러스측에 접속되어 있다. 지지부재(8)에의 소형 모터(2A)의 장전시에는 소형 모터(2A)의 후단에 있는 플러스 단자(6)의 접점부(62)가 접점부재(101)와 접촉하여 도통한다. 따라서, 소형 모터(2A)의 플러스 단자(6)는 접점부재(101)를 통해 기판(100)상의 급전회로의 플러스측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소형 모터(2A)를 지지부재(8)에 장전되면, 지지부재(8)에 지지, 고정되는 동시에,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가 각각 기판(100)상의 급전회로의 소정의 단자에 접속되어 급전이 가능하게 된다.
소형 모터(2A)에 급전하여 구동할 때의 소형 모터(2A)에의 인가 전압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0.8 내지 3V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1.5V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소형 모터(2A) 및 모터 구동장치(1A)에서는, 소형 모터(2A)의 지지부재(8)에의 장전 때에, 후술하는 소형 모터(2E)와 다르고, 소형 모터(2A)의 상하(도 1 중에 있어서의 상하)를 반대로 하여 장전하여도 되기 때문에, 그 만큼, 장전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자동 장전 장치(자동 조립 장치)에 의한 장전도 가능하게 된다.
도 10,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이다. 이하, 이것들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은 사항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형편상, 도 10 내지 도 12 중 좌측을 「전방」 또는 「선단」, 우측을 「후방」 또는 「후단」으로서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소형 모터(2B)는 그 후단부의 구조가 상기 소형 모터(2A)와 다르다. 즉, 후방 브래킷(33)의 일부에 오목부(336)가 형성되어 있고, 한편, 본체부(31)의 후단에는 그 외주의 일부를 내측으로 구부린 절곡부(312)가 형성되며, 후방 브래킷(33)이 절곡부(312)에 의해 코킹됨으로써 본체부(31)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는 소형 모터(2B)의 제조에 있어서, 본체부(31)에 후방 브래킷(33)을 삽입한 후, 절곡부(312)를 형성하여 코킹되면 양호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 소형 모터(2B)에서는, 오목부(336)를 지지부재(8)에 대한 회전 방지수단(결합부)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8)측에는, 오목부(336)와 결합하는 예를들면 결합부와 같은 볼록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소형 모터(2C)는, 그 후단부의 구조가 상기 소형 모터(2A)와 다르다. 즉, 마이너스 단자(7)는 그 선단측에 있어서 180° 반전하도록 반환된 반환부(72)를 가지고 있고, 이때 반환부(72)의 후단은 또한 케이스(3)의 외주방향으로 향하여 직각으로 구부려져 있다. 그리고, 이 반환부(72)는 본체부(31)의 내주면과 후방 브래킷(33)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또한, 후방 브래킷(33)의 플랜지(332)의 일부(도 11중 하부)에, 외주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는 볼록부(337)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지지부재(8)의 저면부(81)의 상기 볼록부(337)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볼록부(337)가 결합할 수 있는 오목부(89)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337) 및 오목부(89)는 회전 방지수단을 구성하고, 이것들의 끼워맞춤(걸어맞춤)에 의해, 소형 모터(2C) 전체의 지지부재(8)에 대한 회전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볼록부(337)는 후방 브래킷(33)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본체부(31)의 후단부를 외측 방향을 향하여 구부림으로써, 볼록부(337)와 같은 기능을 갖는 볼록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볼록부는 케이스(3)에 대하여, 별도의 부재를 고착함으로써 설치하여도 된다.
이러한 소형 모터(2C)에서는, 그 제조에 있어서, 본체부(31)와 마이너스 단자(7)를 용접 또는 납땜할 필요가 없고,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선단부(71)와 같은, 케이스(2)의 외측 표면에 돌출 부분이 없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소형 모터(2D)는 마이너스 단자(7)의 본체부(31)에의 접속구조가 상기 소형 모터(2A, 2C)와 다르다. 즉, 후방 브래킷(33)의 일부에 오목부(336)가 형성되어 있고, 마이너스 단자(7)는 그 후단측에 케이스(3)의 외주방향으로 향하여 구부려진 절곡부(73)를 가지며, 이 절곡부(73)는 오목부(336)내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본체부(31)의 후단에는 그 외주의 일부를 내측으로 구부린 절곡부(312)를 가지며, 이 절곡부(312)에 의해 마이너스 단자(7)의 절곡부(73)를 코킹함으로써, 마이너스 단자(7)를 본체부(31)와 후방 브래킷(33)과에 고정함과 동시에, 마이너스 단자(7)와 본체부(31)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얻고 있다.
이 구조에서는, 소형 모터(2D)의 제조에 있어서, 본체부(31), 후방 브래킷(33) 및 마이너스 단자(7)의 고정과, 마이너스 단자(7) 및 본체부(31)의 전기적 접속을 동시에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이 매우 용이하다.
이 소형 모터(2D)에서는 오목부(336)를 지지부재(8)에 대한 회전 방지수단(결합부)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8)측에는 오목부(336)와 결합하는 예를들면 결합부와 같은 볼록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미 장전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동일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측면도, 도 15는 동일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배면도, 도 16은 동일 모터 구동장치의 소형모터에 있어서의 후방 브래킷 및 그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7은 도 16중의 XVII-XVII 선을 절개한 도면, 도 18은 도 16중의 XVIII-XVIII선을 절개한 도면, 도 19는 도 16 중의 IXX-IXX선을 절개한 도면, 도 20은 도 16중의 XX-XX선을 절개한 도면이다.
이하, 이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은 사항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형편상, 도 13, 도 14 중 좌측 및 도 17 내지 도 20의 상측을 「전방」 또는 「선단」, 도 13, 도 14 중 우측 및 도 17 내지 도 20의 하측을 「후방」 또는 「후단」으로서 설명한다.
이것들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터 구동장치(1B)는 급전회로(소형 모터(2E)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가 형성된 상기와 같은 기판(100)과 이 기판(100)에 대하여 고정된 상기와 같은 지지부재(8)와, 이 지지부재(8)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소형 모터(2E)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소형 모터(2E)는 직류식의 진동 모터로서, 상기와 같은 케이스(3), 고정자(4), 회전자(5), 급전용의 플러스 단자(6), 급전용의 마이너스 단자(7) 및 편심체(25)으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3)은 금속(전도성 재료) 제품의 본체부(31)와, 본체부(31)의 양단에 각각 장착된 전방 브래킷(32) 및 후방 브래킷(33)과, 전방 브래킷(32)의 중심부에 고정된 베어링(34)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6 내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브래킷(33)에는 회전자(5)에의 급전을 행하기 위한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가 고정되어 있다.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는 각각 금속제품의 판편을 소정의 형상으로 뚫고, 이것을 원하는 대로 구부려서 형성된 부재이다.
플러스 단자(6)는 기초부(60)와 해당 기초부(6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부착부(63)와 기초부(60)에 대하여 소정 각도(본 실시예에서는 110 내지 135° 정도)경사지도록 구부려진 평판형상의 접점부(64)로 구성되어 있다.
이 플러스 단자(6)는 부착부(63)에 있어서 후방 브래킷(33)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기초부(63)에는 상기와 같은 브러쉬(65)가 고정되어 있다.
접점부(64)는 후방 브래킷(33)의 외주면(측면) 부근에 노출하고 있고, 후술하는 접점부재(통전부)(102)와 접촉하여 도통한다. 또한, 접점부(64)로서는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형상의 것을 이용하여도 된다.
한편, 마이너스 단자(7)는 기초부(70)와 해당 기초부(7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부착부(74)와, 기초부(70)에 대하여 소정 각도(본 실시예로서는 110 내지 135° 정도)경사지도록 구부려진 평판형상의 납땜부(78)로 구성되어 있다.
이 마이너스 단자(7)는 부착부(74)에 있어서 후방 브래킷(33)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기초부(70)에는 상기와 같은 브러쉬(75)가 고정되어 있다.
납땜부(78)는 후방 브래킷(33)의 외주면(측면) 부근에 임하고 있고, 납땜 재료(납땜)(79)에 의해 금속제품의 본체부(31)의 후단부에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모터 구동장치(1B)에 있어서의 지지부재(8)는 각 고정부(84)에 있어서, 기판(100)에 대하여 납땜에 의한, 기판(100)상에 형성된 급전회로에서의 그라운드(마이너스 단자측)로 도통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E)의 마이너스 단자(7)는 케이스(3)의 본체부(31) 및 이것을 지지하는 지지부재(8)를 통해 기판(100) 상에 급전회로의 그라운드로 접속된다.
또한, 기판(100)상의 지지부재(8)의 후단부 부근에는, 원하는 대로 만곡한 금속제품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접점부재(통전부)(10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점부재(102)는 기판(100)상의 급전회로의 플러스측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접점부재(102)는 지지부재(8)의 저면부(81)의 후단부에 형성된 구멍부(812)를 통하여, 모터 장전 공간(80)내로 돌출하고 있다.
지지부재(8)에의 소형 모터(2E)의 장전시에는 소형 모터(2E)의 후방측 외주면에 노출하고 있는 플러스 단자(6)의 접점부(64)가 접점부재(102)와 접촉하여 도통한다. 따라서, 소형 모터(2E)의 플러스 단자(6)는 접점부재(102)를 통해 기판(100)상의 급전회로의 플러스측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소형 모터(2E)를 지지부재(8)에 장전하면, 지지부재(8)에 지지, 고정되는 동시에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가 각각 기판(100)상의 급전회로의 소정의 단자에 접속되어 급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회전 방지수단 즉, 소형 모터(2E)의 전방에서의 노치부(오목부)(321)와 결합부(볼록부)(83)와의 결합, 및 소형 모터(2E)의 후방에서의 오목부(335)와 결합부(볼록부)(85)와의 결합에 의해 소형 모터(2E)의 구동시에 있어서의 소형 모터(2E) 전체의 지지부재(8)에 대한 회전이 방지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소형 모터(2E)에서는 상기 소형 모터(2A)와 같이, 플러스 단자(6)가 케이스(3)의 후단에 노출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측면에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소형 모터(2A)에 비해, 모터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또한 모터의 길이 방향의 설치 스페이스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2는 동일 소형 모터의 배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25는 동일 소형 모터의 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7은 동일 소형 모터의 배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9는 동일 소형 모터의 배면도이다.
이하, 이것들의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은 사항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형편상, 도 21, 도 25, 도 26 및 도 28중의 좌측을 「전방」 또는 「선단」, 우측을 「후방」 또는 「후단」으로서 설명한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소형 모터(2F)는 그 후단부의 구조가 상기 소형 모터(2A) 등과 다르다. 즉,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는 각각 후방 브래킷(33)의 후단면에서 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하고 있다.
한편, 지지부재(8)의 저면부(81)의 후단에는 수직 상측 방향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된 접촉편(88)이 설치되어 있다.
소형 모터(2F)를 지지부재(8)에 장전하였을 때에는 상기 마이너스 단자(7)의 돌출 부분의 접촉편(88)의 상부에 형성된 홈(오목부)(881)에 결합함으로써, 마이너스 단자(7)와 지지부재(8)가 도통한다. 또한, 플러스 단자(6)의 돌출 부분은 기판(100)의 급전회로의 플러스측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단자에 접속되어,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F)에의 급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23에 나타내는 소형 모터(2G)는 그 후단부의 구조가 상기 소형 모터(2A) 등과 다르다. 즉, 후방 브래킷(33)의 후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335)의 위치가, 도 23 중의 하부이고, 한편, 지지부재(8)의 저면부(81)의 후단에는 오목부(335)와 걸어맞추는(끼워맞춤) 결합부(볼록부)(85)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85)는 저면부(81)의 후단 부분을 수직 상측 방향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내는 소형 모터(2H)는 그 후단부의 구조가 상기 소형 모터(2A) 등과 다르다. 즉, 본체부(31)의 후단부에는 그 축선을 통해 대향하는 한쌍의 구멍부(313)가 형성되어 있고,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는 각각 상기 구멍부(313)로부터 케이스(3)의 측면에 노출하고 있다. 또한, 후방 브래킷(33)의 후단면의 도면중 하부에는 오목부(33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기판(100)상에는 한 쌍의 접점부재(통전부)(103, 104)와, 결합부(볼록부)(108)가 설치되어 있다. 접점부재(103 및 104)는 각각 기판(100)상에 형성된 급전회로의 플러스측 및 마이너스측(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소형 모터(2H)를 지지부재(8)에 장전하였을 때에는 접점부재(103 및 104)가 각각,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의 노출 부분에 압압, 접촉하고 도통하여 급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결합부(108)가 오목부(335)에 결합하고, 소형 모터(2H) 전체의 지지부재(8)에 대한 회전이 방지된다.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내는 소형 모터(2I)는 그 후단부의 구조가 상기 소형 모터(2A) 등과 다르다. 즉, 케이스(3)를 구성하는 본체부(31)는 후방 브래킷(33)의 후단을 넘어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연장부(314)에는 본체부(31)의 축선을 통해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의 노치부(오목부)(315, 3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는 각각 후방 브래킷(33)의 후단면에서 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하고 있다. 상기의 경우,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의 돌출 길이는, 거의 같고, 그것들의 후단은 연장부(314)의 후단보다는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의 후단부는 후술하는 암형 커넥터(9b)의 오목부(91, 92)에 삽입하기 쉽고, 그 두께가 후방으로 향해서 점감하여,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소형 모터(2I)의 후단부는 수형 커넥터(9a)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통전부를 구성하는 암형 커넥터(9b)는 상술한 바와 같은 수지 재료로 구성되는 커넥터 본체(90)를 가지며, 해당 커넥터 본체(90)의 선단부에는,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의 후단부가 각각 삽입 가능한 오목부(91, 92)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91)의 내면에는, 급전회로의 플러스측에 접속된 접점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오목부(92)의 내면에는 급전회로의 마이너스측(그라운드)에 접속된 접점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수형 커넥터(9a)와 암형 커넥터(9b)를 접속하였을 때(커넥터 접속시)에는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의 후단부가 각각 오목부(91 및 92)에 삽입되어, 내장된 접점부재와 접촉, 도통하여 소형 모터(2I)에의 급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암형 커넥터(9b)의 선단부는 한 쌍의 볼록부(96)를 제외하고, 축경되어 있다. 이 축경부(95)는 그 외직경이 연장부(314)의 내경에 거의 같거나 또는 그것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커넥터 접속시에 본체부(31)의 연장부(314) 내측에 삽입된다. 또한, 이때, 양 돌출부(96)는 대응하는 노치부(315, 316)에 맞물린다. 이것에 의해, 회전자(5)의 회전 구동의 반력에 의한 소형 모터(2I) 전체의 암형 커넥터(9b)에 대한 회전이 방지된다. 즉, 플러스 단자(6)의 후단부 및 마이너스 단자(7)의 후단부와 오목부(91 및 92), 양 돌출부(96)와 양 노치부(315, 316)에 의해 각각 회전 방지수단이 구성된다.
본 실시예로서는 노치부(315)와 노치부(316)와는, 동일 형상, 동일 치수로 되어 있지만, 예를들면, 노치부(315)형상, 치수 및 그것에 대응하는 돌출부(96)의 형상, 치수와, 노치부(316) 형상, 치수 및 그것에 대응하는 돌출부(96)의 형상, 치수를 다른 것으로 하여, 수형 커넥터(9a)와 암형 커넥터(9b)와의 접속때에, 노치부(315, 316)와 양 돌출부(96)가 적정한 조합인 경우에 한하며, 양 커넥터(9a, 9b)의 결합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커넥터의 에러 결선 방지수단)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9a, 9b)의 접속때에, 그것들의 단자의 극성(플러스-마이너스의 조합)을 잘못하여 접속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소형 모터(2I)는 상술한 지지부재(8)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암형 커넥터(9b)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의 어느것 이라도 된다. 후자인 경우에는 암형 커넥터(9b)는 통전부인 동시에 지지부재(특히, 위치 결정수단을 구비하는 지지부재)에도 상당한다.
도 28 및 도 29에 나타내는 소형 모터(2J)는 그 커넥터 구조가 다른 이외는 상기 소형 모터(2I)와 같다. 즉, 소형 모터(2J)의 후단부에는 상기와 같은 연장부(314) 및 노치부(315, 3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는 각각 그 도중에서 대향하는 2매의 판편으로 구성되고, 양 판편 사이에 간격(오목부)(603 및 70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의 후단은 각각 후방 브래킷(33)의 후단면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소형 모터(2J)의 후단부는 암형 커넥터(9c)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통전부를 구성하는 수형 커넥터(9d)는 상기와 같은 축경부(95) 및 볼록부(96)가 형성된 커넥터 본체(90)를 가지며, 해당 커넥터 본체(90)의 선단에는 플러스 단자(6)의 간격(603) 및 마이너스 단자(7)의 간격(703)으로 각각 삽입 가능한 판형상의 접점부재(93 및 94)가 돌출하고 있다. 접점부재(93 및 94)는 각각 급전회로의 플러스측 및 마이너스측(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수형 커넥터(9d)와 암형 커넥터(9c)를 접속하였을 때(커넥터 접속시)에는 수형 커넥터(9d)의 접점부재(93 및 94)가 플러스 단자(6)의 간격(603) 및 마이너스 단자(7)의 간격(703)에 삽입되어, 이것들이 접촉, 도통하여 소형 모터(2J)에의 급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때, 상기와 같이 양 돌출부(96)가 대응하는 노치부(315, 316)에 맞물리어, 회전자(5)의 회전 구동의 반력에 의해 소형 모터(2J) 전체의 수형 커넥터(9d)에 대한 회전이 방지된다. 즉, 간격(603 및 703)과 접점부재(93 및 94), 양돌출부(96)와 양 노치부(315, 316)에 의해 회전 방지수단이 구성된다.
이러한 소형 모터(2J)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은 커넥터의 에러 결선 방지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소형 모터(2J)는 상술한 지지부재(8)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수형 커넥터(9d)에 대해 지지되는 경우의 어느 것이라도 된다. 후자인 경우에는 수형 커넥터(9d)는 통전부인 동시에 지지부재에도 상당한다.
도 30에 나타내는 소형 모터(2K)는 회전축(53)을 단자로서 이용한 구성의 모터이다.
이 소형 모터(2K)에서의 마이너스 단자(7)는 그 후단측에 절곡부(73)를 가지며, 상기 소형 모터(2D)와 같이 후방 브래킷(33)의 오목부(336)내에서, 절곡부(73)가 본체부(31)의 절곡부(312)에서 코킹됨으로써, 마이너스 단자(7)를 본체부(31)와 후방 브래킷(33)에 고정되고, 또한, 마이너스 단자(7)와 본체부(31)와의 전기적 접속을 얻고 있다.
또한, 플러스 단자(6)는 후방 브래킷(33)에 지지, 고정되어 있다. 플러스 단자(6)에 고정된 브러쉬(65)는 상술한 2개의 좁은 폭의 접촉부(67) 외에, 같은 접촉부(68)를 가지고 있다. 이 접촉부(68)의 단부는 금속제품의 회전축(53)의 외주면에 접촉(압접)하여 회전축(53)과 도통하고 있다.
또한, 마이너스 단자(7) 및 본체부(31)는 절연성 재료로 구성되는 후방 브래킷(33) 및 베어링(34)에 의해, 플러스 단자(6) 및 회전축(53)과는 절연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34)과 편심체(25)의 사이에는 회전축(53)의 외주면과 접촉(압접), 도통하는 접점부재(10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점부재(107)는 상술한 기판(100)상에 설치되고, 또한, 기판(100)상에 형성된 급전회로의 플러스측과 접속되어 있다.
후방 브래킷(33)의 오목부(336)는 상기와 같이 회전 방지수단을 구성한다. 지지부재(8)측에는 오목부(336)와 결합하는 예를들면 결합부와 같은 볼록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소형 모터(2K)에서는 기판(100)에 고정된 상기 지지부재(8)에 소형 모터(2K)를 장전한 상태로, 마이너스측의 지지부재(8) 및 본체부(31)와 플러스측의 접점부재(107) 및 회전축(53)을 통해 소형 모터(2K)에 급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소형 모터(2K)에 있어서, 극성을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즉, 플러스 단자(6)가 본체부(31)와 도통하고, 마이너스 단자(7)가 회전축(53)과 도통하는 것같은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31, 도 32는 각각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미 장전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이것들의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은 사항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1에 나타내는 모터 구동장치(1C)는 지지부재(8)의 구성이 다른 이외는, 상기 모터 구동장치(1A)와 같다. 즉, 모터 구동장치(1C)에 있어서의 지지부재(8)는, 좌우 한 쌍의 지지부(82)가 모터 장전 공간(80)을 통해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고정부(84)는 지지부(82)의 일부를 분할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32에 나타내는 모터 구동장치(1D)는 지지부재(8)의 구성이 다른 이외는, 상기 모터 구동장치(1B)와 같다. 즉, 모터 구동장치(1D)에서의 지지부재(8)는 좌우 한 쌍의 지지부(82)가 모터 장전 공간부(80)를 통해 대향 배치되어 있다. 상기의 경우, 고정부(84)는 지지부(82)의 일부를 분할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이다. 이하, 이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은 사항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형편상, 도 33중의 좌측을 「전방」 또는 「선단」, 우측을 「후방」 또는 「후단」으로서 설명한다.
도 33에 나타내는 소형 모터(2L)는 마이너스 단자(7)의 본체부(31)에의 접속구조가 상기 소형 모터(2A)와 다르다. 즉, 마이너스 단자(7)는 그 선단측에서 180° 반전하도록 반환된 반환부(72)를 가지고 있고, 이때 반환부(72)의 후단는 또한 케이스(3)의 외주 방향으로 향하여 직각으로 구부려져 있다. 그리고, 이 반환부(72)는 본체부(31)의 내주면과 후방 브래킷(33)의 외주면의 사이에 지지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는 소형 모터(2L)의 제조에 있어서, 본체부(31)와 마이너스 단자(7)를 용접 또는 납땜할 필요가 없고,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선단부(71)와 같은 케이스(2)의 외측 표면에 돌출 부분이 없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35는 동일 소형 모터의 측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이하, 이것들의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은 사항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형편상, 도 35 중의 좌측을 「전방」 또는 「선단」, 우측을 「후방」 또는 「후단」으로서 설명한다.
도 34 및 도 35에 나타내는 소형 모터(2M)는 그 후단부의 구조가 상기 소형 모터(2A) 등과 다르다. 즉, 본체부(31)의 후단부에는 그 축선을 통해 대향하는 한쌍의 구멍부(313)가 형성되어 있고,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는 각각 상기 구멍부(313)로부터 케이스(3)의 측면에 노출하고 있다.
한편, 기판(100)상에는 한 쌍의 접점부재(통전부)(103, 104)가 설치되어 있다. 접점부재(103 및 104)는 각각 기판(100)상에 형성된 급전회로의 플러스측 및 마이너스측(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소형 모터(2M)를 지지부재(8)에 장전하였을 때에는, 접점부재(103 및 104)가 각각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의 노출 부분에 압압, 접촉하여 도통한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M)에의 급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36에 나타내는 소형 모터(2N)는 상기 소형 모터(2M)와 같이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가 각각 케이스(3)의 측면에 노출(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의 노출 부분은, 각각 U자 형상으로 구부려진 탄성 변형 가능한 판 스프링(601 및 701)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형 모터(2N)를 지지부재(8)에 장전하였을 때에는, 판스프링(601 및 701)에 각각 형성된 접점(602 및 702)이, 기판(100)상에 형성된 급전회로의 플러스측 및 마이너스측(그라운드)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접점부재(통전부)(105 및 106)에 압압, 접촉하여 도통한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H)에의 급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37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미장전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8은 동일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사시도, 도 39는 동일 모터 구동장치(미장전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40은 동일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이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은 사항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형편상, 도 37 및 도 38 중의 우측을 「전방」 또는 「선단」, 좌측을 「후방」 또는 「후단」으로 하고, 도 39 및 도 40 중의 좌측을 「전방」 또는 「선단」, 우측을 「후방」 또는 「후단」으로서 설명한다.
이것들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터 구동장치(1E)는 급전회로(소형 모터(2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가 형성된 상기와 같은 도시하지 않은 기판과, 이 기판에 대하여 고정된 지지부재(8A)와, 이 지지부재(8A)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소형 모터(2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소형 모터(20)는 직류식의 진동 모터로서, 주로, 상기와 거의 같은 케이스(3), 고정자(4), 회전자(5), 급전용의 플러스 단자(6), 급전용의 마이너스 단자(7) 및 편심체(25)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소형 모터(20)의 내부구조는 상술한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소형 모터(2E)의 그것과 같다.
단지, 본 발명에서는 소형 모터(20)가 상술한 소형 모터(2E) 이외의 소형 모터 구조의 적어도 일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케이스(3)은 금속(전도성 재료) 제품의 본체부(31)와 본체부(31)의 양단에 각각 장착된 전방 브래킷(32) 및 후방 브래킷(33)과, 전방 브래킷(32)의 중심부에 고정된 베어링(34)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31)의 도 37 중 하측에는 돌기(볼록부)(122)가 형성된 판부재(121)가 고정되어 있다. 이 돌기(122)는 후술하는 지지부재(8A)의 노치부(오목부)(131)와 결합하는 결합부이다.
상기의 경우, 돌기(122)는 회전축(53)의 축선에 대하여 도 37 중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본 실시예에서는, 일단측에 하나, 타단측에 2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31)에의 판부재(121)의 고정은 예를들면, 용접, 납땜, 접착 등으로 행할 수 있다.
지지부재(8A)는, 상기와 거의 같은 저면부(81), 지지부(82) 및 고정부(84)를 가지고 있다.
지지부재(8A)의 지지부(82)에는 소형 모터(20)를 지지부재(8A)에 장전하였을 때에, 돌기(122)와 결합하는 노치부(오목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로, 상기 소형 모터(20)의 돌기(122)와 지지부재(8A)의 노치부(131)에 의해서, 역 끼움 방지수단(=소형 모터의 지지부재에의 부적정한 상태에서의 장전을 방지하고, 소형 모터를 지지부재에 적정한 상태로 장전하는 경우에만 장전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 위치 결정수단 및 회전 방지수단이 구성된다.
또한, 지지부재(8A)의 각 고정부(84)에는 각각 기판측(도 37 중 하측)을 향하여 구부려진 절곡부(841)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 구동장치(1E)에서는 지지부재(8A)는 각 고정부(84)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기판에 대한 납땜에 의해, 기판상에 형성된 급전회로에 있어서의 그라운드(마이너스 단자측)로 도통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0)의 마이너스 단자(7)는 케이스(3)의 본체부(31) 및 이것을 지지하는 지지부재(8A)를 통해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그라운드로 접속된다.
또한, 기판상의 지지부재(8A)의 후단부 부근에는, 금속부재의 접점(접촉부)을 갖는 접점부재(통전부)(1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점부재(111)는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플러스측에 접속되어 있다.
지지부재(8A)에의 소형 모터(20)의 장전시에는 소형 모터(20)의 후방측 외주면에 노출하고 있는 플러스 단자(6)의 접점부(64)가 접점부재(111)와 접촉하여 도통한다. 따라서, 소형 모터(20)의 플러스 단자(6)는 접점부재(111)를 통해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플러스측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소형 모터(20)를 지지부재(8A)에 장전하면, 지지부재(8A)에 지지, 고정되는 동시에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가 각각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소정의 단자에 접속되어 급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 모터 구동장치(1E)에서는 소형 모터(20)를 지지부재(8A)에 장전할 때, 역끼움 방지수단, 즉, 소형 모터(20)의 돌기(볼록부)(122)와 지지부재(8A)를 노치부(오목부)(131)에 의해서, 소형 모터(20)의 지지부재(8A)에의 역 끼움(예를들면, 소형 모터(20)가, 그 회전 방향으로 180°정도 어긋나고, 또는 전후 방향을 반대로 하여 지지부재(8A)에 장전되는 것)이 방지되고, 소형 모터(20)를 적정한 자세라든지 방향(적정한 상태)으로 지지부재(8A)에 장전할 수 있다. 즉, 소형 모터(20)의 돌기(122)와 노치부(131)를 결합시킨 경우에만, 소형 모터(20)를 지지부재(8A)에 장전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예를들면, 급전회로의 단락, 접촉 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소형 모터(20)의 도 37 중 상하 방향, 또는 전후 방향을 반대로 하여, 소형 모터(20)를 지지부재(8A)에 장전하고자 하면, 돌기(122)와 지지부(82)가 충돌하여 장전할 수 없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0)의 장전 방향이 잘못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수단, 즉, 소형 모터(20)의 돌기(122)와 노치부(131)와의 결합에 의해, 소형 모터(20)의 지지부재(8A)에 대한 회전축(53)의 축선 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회전 방지수단, 즉, 소형 모터(20)의 돌기(122)와 노치부(131)와의 결합에 의해, 소형 모터(20)의 구동시에 있어서의 소형 모터(20) 전체의 지지부재(8A)에 대한 회전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의 소형 모터(20)에서는 상기 소형 모터(2A)와 같이, 플러스 단자(6)가 케이스(3)의 후단에 노출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측면에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소형 모터(2A)에 비해, 모터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또한 모터의 길이 방향의 설치 스페이스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돌기(122)는 상술한 도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케이스(3)의 일부를 노치, 구부려서 형성하여도 된다.
도 41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미장전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2는 동일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이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은 사항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형편상, 도 41 및 도 42 중 좌측을 「전방」 또는 「선단」, 우측을 「후방」 또는 「후단」으로서 설명한다.
이것들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터 구동장치(1F)는 급전회로(소형 모터(2P)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가 형성된 상기와 같은 도시하지 않은 기판과, 이 기판에 대하여 고정된 지지부재(8B)와, 이 지지부재(8B)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소형 모터(2P)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소형 모터(2P)는 직류식의 진동 모터로서, 주로, 상기와 거의 같은 케이스(3), 고정자(4), 회전자(5), 급전용의 플러스 단자(6), 급전용의 마이너스 단자(7) 및 도시하지 않은 편심체를 구성되어 있다.
특히, 소형 모터(2P)의 내부 구조는 상술한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소형 모터(2E)의 그것과 같다.
단지, 본 발명에서는 소형 모터(2P)가 상술한 소형 모터(2E) 이외의 소형 모터의 구조의 적어도 일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케이스(3)는 금속(전도성 재료) 제품의 본체부(31)와 본체부(31)의 양단에 각각 장착된 전방 브래킷(32) 및 후방 브래킷(33)과, 전방 브래킷(32)의 중심부에 고정된 베어링(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브래킷(32)의 외주면(측면) 중의 도 41 중 좌측에는, 평탄면을 형성하는 노치부(오목부)(1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노치부(123)는 후술하는 지지부재(8B)의 결합부(볼록부)(132)와 걸어맞춤하는 결합부이다.
전방 브래킷(32)에 상기 노치부(123)를 설치함으로써 전방 브래킷(32)의 형상(소형 모터(2P)의 외형)은 회전축(53)의 축선에 대하여 도 41중 좌우 비대칭이 된다.
지지부재(8B)는 상기와 거의 같은 저면부(81), 지지부(82) 및 고정부(8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저면부(81)의 선단부의 도 41중 좌측에는, 판형상의 결합부(볼록부)(1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부(132)는 모터 장전 공간(80)을 통해 지지부(82)와 대향하고, 또한, 저면부(81)에 대하여 거의 직각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또한, 주로 상기 소형 모터(2P)의 노치부(123)와 지지부재(8B)의 결합부(132)에 의해서, 역 끼움 방지수단(=소형 모터의 지지부재에의 부적정한 상태에서의 장전을 방지하고, 소형 모터를 지지부재에 적정한 상태로 장전하는 경우에만 장전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 위치 결정수단 및 회전 방지수단이 구성된다.
모터 구동장치(1F)에서의 지지부재(8B)는 각 고정부(84)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기판에 대한 납땜에 의해, 기판상에 형성된 급전회로에서의 그라운드(마이너스 단자측)로 도통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P)의 마이너스단자(7)는 케이스(3)의 본체부(31) 및 이것을 지지하는 지지부재(8B)를 통해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그라운드로 접속된다.
또한, 기판상의 지지부재(8B)의 후단부 부근에는, 금속제품의 접점부재(통전부)(10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점부재(102)는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플러스측에 접속되어 있다.
지지부재(8B)에의 소형 모터(2P)의 장전시에는 소형 모터(2P)의 후방측 외주면에 노출하고 있는 플러스 단자(6)의 접점부(64)가 접점부재(102)와 접촉하여 도통한다. 따라서, 소형 모터(2P)의 플러스 단자(6)는 접점부재(102)를 통해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플러스측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소형 모터(2P)를 지지부재(8P)에 장전하면, 지지부재(8B)에 지지, 고정되는 동시에,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가 각각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소정의 단자에 접속되어 급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 모터 구동장치(1F)에서는 소형 모터(2P)를 지지부재(8B)에 장전할 때, 역끼움 방지수단, 즉, 소형 모터(2P)의 노치부(오목부)(123)와 지지부재(8B)의 결합부(볼록부)(132)에 의해서, 소형 모터(2P)의 지지부재(8B)에의 역 끼움(예를들면, 소형 모터(2P)가, 그 회전 방향으로 180° 정도 어긋나고, 또는 전후 방향을 반대로 하여 지지부재(8B)에 장전되는 것)이 방지되고, 소형 모터(2P)를 적정한 자세라든지 방향(적정한 상태)으로 지지부재(8B)에 장전할 수 있다.
즉, 소형 모터(2P)의 노치부(123)와 결합부(132)를 결합시킨 경우에만, 소형 모터(2P)를 지지부재(8B)에 장전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예를들면, 급전회로의 단락, 접촉 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소형 모터(2P)의 도 41중 상하 방향을 반대로 하여, 소형 모터(2P)를 지지부재(8B)에 장전하고자 하면, 전방 브래킷(32)의 노치부(123)의 반대측과 결합부(132)가 충돌하여, 장전할 수 없다. 또한, 소형 모터(2P)의 전후 방향을 반대로 하여, 소형 모터(2P)를 지지부재(8B)에 장전하고자 하면, 후방 브래킷(33)과 결합부(132)가 충돌하여 장전할 수 없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P)의 장전 방향이 잘못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수단, 즉, 소형 모터(2P)의 노치부(123)와 결합부(132)의 결합에 의해, 소형 모터(2P)의 지지부재(8B)에 대한 회전축(53)의 축선 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회전 방지수단, 즉, 소형 모터(20)의 노치부(123)와 결합부(132)의 결합에 의해, 소형 모터(2P)의 구동시에 있어서의 소형 모터(2P) 전체의 지지부재(8B)에 대한 회전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의 소형 모터(2P)에서는, 상기 소형 모터(2A)와 같이 플러스 단자(6)가 케이스(3)의 후단에 노출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측면에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소형 모터(2A)에 비해, 모터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또한 모터의 길이 방향의 설치 스페이스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도 43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미장전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4는 동일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이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은 사항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형편상, 도 43 및 도 44중의 좌측을 「전방」 또는 「선단」, 우측을 「후방」 또는 「후단」으로서 설명한다.
이것들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터 구동장치(1G)는 급전회로(소형 모터(2Q)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가 형성된 상기와 같은 도시하지 않은 기판과, 이 기판에 대하여 고정된 지지부재(8C)와, 이 지지부재(8C)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소형 모터(2Q)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소형 모터(2Q)는 직류식의 진동 모터로서, 주로, 상기와 거의 같은 케이스(3), 고정자(4), 회전자(5), 급전용의 플러스 단자(6), 급전용의 마이너스 단자(7) 및 편심체(25)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소형 모터(2Q)의 내부구조는 상술한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소형 모터(2E)의 그것과 같다.
단지, 본 발명에서는 소형 모터(2Q)가 상술한 소형 모터(2E) 이외의 소형 모터구조의 적어도 일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케이스(3)는 금속(전도성 재료) 제품의 본체부(31)와 본체부(31)의 양단에 각각 장착된 전방 브래킷(32) 및 후방 브래킷(33)과, 전방 브래킷(32)의 중심부에 고정된 베어링(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브래킷(32)의 외주면(측면) 중의 도 43중 하측에는 평탄면을 형성하는 노치부(오목부)(1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노치부(124)는 후술하는 지지부재(8C)의 결합부(볼록부)(133)와 걸어맞춤하는 결합부이다.
전방 브래킷(32)에 상기 노치부(124)를 설치함으로써, 전방 브래킷(32)의 형상은 회전축(53)의 축선에 대하여 도 43중 상하 비대칭이 된다.
지지부재(8C)는 상기와 거의 같은 저면부(81), 지지부(82) 및 고정부(8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저면부(81)의 선단에는 판형상의 결합부(볼록부)(13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부(133)는 저면부(81)에 대하여 거의 직각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또한, 주로, 상기 소형 모터(2Q)의 노치부(124)와 지지부재(8C)의 결합부(133)에 의해서, 역 끼움 방지수단(=소형 모터의 지지부재에의 부적정한 상태에서의 장전을 방지하고, 소형 모터를 지지부재에 적정한 상태로 장전하는 경우에만 장전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 위치 결정수단 및 회전 방지수단이 구성된다.
또한, 지지부재(8C)의 각 고정부(84)의 각각 기판측(도 43중 하측)을 향하여 구부려진 절곡부(841)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 구동장치(1G)에서의 지지부재(8C)는 각 고정부(84)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기판에 대한 납땜에 의해, 기판상에 형성된 급전회로에서의 그라운드(마이너스 단자측)로 도통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Q)의 마이너스 단자(7)는 케이스(3)의 본체부(31) 및 이것을 지지하는 지지부재(8C)를 통해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그라운드로 접속된다.
또한, 기판상의 지지부재(8C)의 후단부 부근에는 금속제품의 접점(접촉부)을 갖는 접점부재(통전부)(1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점부재(111)는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플러스측에 접속되어 있다.
지지부재(8C)에의 소형 모터(2Q)의 장전시에는 소형 모터(2Q)의 후방측 외주면에 노출하고 있는 플러스 단자(6)의 접점부(64)가 접점부재(111)와 접촉하여 도통한다. 따라서, 소형 모터(2Q)의 플러스 단자(6)는 접점부재(111)를 통해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플러스측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소형 모터(2Q)를 지지부재(8C)에 장전하면 지지부재(8C)에 지지, 고정되는 동시에,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가 각각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소정의 단자에 접속되어 급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 모터 구동장치(1G)에서는 소형 모터(2Q)를 지지부재(8C)에 장전할 때, 역 끼움 방지수단, 즉, 소형 모터(2Q)의 노치부(오목부)(124)와 지지부재(8C)의 결합부(볼록부)(133)에 의해서, 소형 모터(2Q)의 지지부재(8C)에의 역 끼움(예를들면, 소형 모터(2Q)가, 그 회전 방향으로 180° 정도 어긋나고, 또는 전후 방향을 반대로하여 지지부재(8C)에 장전되는 것)이 방지되고, 소형 모터(2Q)를 적정한 자세라든지 방향(적정한 상태)으로 지지부재(8C)에 장전할 수 있다. 즉, 소형 모터(2Q)의 노치부(124)와 결합부(133)를 결합시킨 경우에만, 소형 모터(2Q)를 지지부재(8C)에 장전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예를들면, 급전회로의 단락, 접촉 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소형 모터(2Q)의 도 43중 상하 방향을 반대로 하여, 소형 모터(2Q)를 지지부재(8C)에 장전하고자 하면, 전방 브래킷(32)의 노치부(123)의 반대측과 결합부(133)가 충돌하여 장전할 수 있다. 또한, 소형 모터(2Q)의 전후 방향을 반대로 하여, 소형 모터(2Q)를 지지부재(8C)에 장전하고자 하면, 후방 브래킷(33)과 결합부(133)가 충돌하여 장전할 수 없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Q)의 장전 방향이 잘못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수단, 즉, 소형 모터(2Q)의 노치부(124)와 결합부(133)의 결합에 의해, 소형 모터(2Q)의 지지부재(8C)에 대한 회전축(53)의 축선 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회전 방지수단, 즉, 소형 모터(2Q)의 노치부(124)와 결합부(133)의 결합에 의해, 소형 모터(2Q)의 구동시에 있어서의 소형 모터(2Q) 전체의 지지부재(8C)에 대한 회전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의 소형 모터(2Q)에서는 상기 소형 모터(2A)와 같이, 플러스 단자(6)가 케이스(3)의 후단에 노출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측면에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소형 모터(2A)에 비해, 모터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또한 모터의 길이 방향의 설치 스페이스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도 45는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미장전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6은 동일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이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은 사항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형편상, 도 45 및 도 46의 우측을 「전방」 또는 「선단」, 좌측을 「후방」 또는 「후단」으로서 설명한다.
이것들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터 구동장치(1H)는 급전회로(소형 모터(2R)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가 형성된 상기와 같은 도시하지 않은 기판과, 이 기판에 대하여 고정된 지지부재(8D)와, 이 지지부재(8D)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소형 모터(2R)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소형 모터(2R)는 직류상의 진동 모터로서, 주로, 상기와 같은 케이스(3), 고정자(4), 회전자(5), 급전용의 플러스 단자(6), 급전용의 마이너스 단자(7) 및 편심체(25)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소형 모터(2R)의 내부구조는 상술한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소형 모터(2E)의 그것과 같다.
단지, 본 발명에서는 소형 모터(2R)가 상술한 소형 모터(2E) 이외의 소형 모터의 적어도 일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케이스(3)은 금속(전도성 재료) 제품의 본체부(31)와, 본체부(31)의 양단에 각각 장착된 전방 브래킷(32) 및 후방 브래킷(33)과, 전방 브래킷(32)의 중심부에 고정된 베어링(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브래킷(32)의 외주면(측면)에는 회전축(53)의 축선을 통해 대향하는 위치에, 평탄면을 형성하는 것 같은 노치부(3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노치부(3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지지부재(8D)의 결합부(83)와 걸어맞춤하는 결합부이고, 소형 모터(2R) 전체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수단을 구성하는 것이다.
후방 브래킷(33)의 외주면(측면) 중의 도 45중 좌측에는, 평탄면을 형성하는 노치부(오목부)(12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노치부(125)는 후술하는 지지부재(8D)의 결합부(볼록부)(134)와 걸어맞춤하는 결합부이다.
후방 브래킷(33)에 상기 노치부(125)를 설치함으로써, 후방 브래킷(33)의 형상(소형 모터(2R)의 외형)은, 회전축(53)의 축선에 대하여 도 45중 좌우 비대칭이 된다.
또한, 노치부(125)는 도 45중 상하 방향, 즉 소형 모터(2R)의 착탈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소형 모터(2R)를 적정한 상태로 착탈하는 경우에는, 그 착탈을 지장없이 행할 수 있다.
지지부재(8D)는 상기와 거의 같은 저면부(81), 지지부(82), 결합부(83) 및 고정부(8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 45중 좌측의 지지부(82) 후단의 중앙부에는, 판형상의 결합부(볼록부)(13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부(134)는 모터 장전 공간(80)의 중심 방향으로 향하여 거의 직각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또한, 주로, 상기 소형 모터(2R)의 노치부(125)와 지지부재(8D)의 결합부(134)에 의해서, 역 끼움 방지수단(=소형 모터의 지지부재에의 부적정한 상태에서의 장전을 방지하고, 소형 모터를 지지부재에 적정한 상태로 장전하는 경우에만 장전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 및 위치 결정수단이 구성된다.
또한, 주로, 상기 소형 모터(2R)의 노치부(321)와, 지지부재(8D)의 결합부(83)에 의해서, 위치 결정수단 및 회전 방지수단이 구성된다.
모터 구동장치(1H)에서의 지지부재(8D)는 각 고정부(84)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기판에 대한 납땜에 의해, 기판상에 형성된 급전회로에서의 그라운드(마이너스 단자측)로 도통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P)의 마이너스 단자(7)는 케이스(3)의 본체부(31) 및 이것을 지지하는 지지부재(8D)를 통해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그라운드로 접속된다.
또한, 기판상의 지지부재(8D)의 후단부 부근에는, 금속제품의 접점부재
(통전부)(10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점부재(102)는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플러스측에 접속되어 있다.
지지부재(8D)에의 소형 모터(2R)의 장전시에는, 소형 모터(2R)의 후방측 외주면에 노출하고 있는 플러스 단자(6)의 접점부(64)가 접점부재(102)와 접촉하여 도통한다. 따라서, 소형 모터(2R)의 플러스 단자(6)는, 접점부재(102)를 통해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플러스측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소형 모터(2R)를 지지부재(8D)에 장전하면, 지지부재(8D)에 지지, 고정되는 동시에,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가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소정의 단자에 접속되어 급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 모터 구동장치(1H)에서는 소형 모터(2R)를 지지부재(8B)에 장전할 때, 역끼움 방지수단, 즉, 소형 모터(2R)의 노치부(오목부)(125)와 지지부재(8D)의 결합부(볼록부)(134)에 의해서, 소형 모터(2R)의 지지부재(8D)에의 역 끼움(예를들면, 소형 모터(2R)가, 그 회전 방향으로 180° 정도 어긋나고, 또는 전후 방향을 반대로 하여 지지부재(8D)에 장전되는 것)이 방지되고, 소형 모터(2R)를 적정한 자세라든지 방향(적정한 상태)으로 지지부재(8D)에 장전할 수 있다. 즉, 소형 모터(2R)의 노치부(125)와 결합부(134)를 결합시킨 경우에만, 소형 모터(2R)를 지지부재(8D)에 장전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예를들면, 급전회로의 단락, 접촉 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소형 모터(2R)의 도 45중 상하 방향을 반대로 하여, 소형 모터(2R)를 지지부재(8D)에 장전하고자 하면, 후방 브래킷(33)의 노치부(125)의 반대측과 결합부(134)가 충돌하여 장전할 수 없다. 또한, 소형 모터(2R)의 전후 방향을 반대로 하여, 소형 모터(2R)를 지지부재(8D)에 장전하고자 하면, 노치부(321)와 결합부(134)가 충돌함과 동시에, 후방 브래킷(33)과 결합부(83)가 충돌하여 장전할 수 없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R)의 장전 방향이 잘못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수단, 즉, 소형 모터(2R)의 노치부(125)와 결합부(134)와의 결합, 및 소형 모터(2R)의 노치부(321)와 결합부(83)와의 결합에 의해, 소형 모터(2R)의 지지부재(8D)에 대한 회전축(53)의 축선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회전 방지수단, 즉, 소형 모터(2R)의 노치부(321)와 결합부(83)와의 결합에 의해, 소형 모터(2R)의 구동시에 있어서의 소형 모터(2R) 전체의 지지부재(8D)에 대한 회전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의 소형 모터(2R)에서는 상기 소형 모터(2A)와 같이, 플러스 단자(6)가 케이스(3)의 후단에 노출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측면에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소형 모터(2A)에 비해, 모터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또한 모터의 길이 방향의 설치 스페이스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도 47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미장전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8은 동일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이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은 사항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형편상, 도 47 및 도 48중의 우측을 「전방」 또는 「선단」, 좌측을 「후방」 또는 「후단」으로서 설명한다.
이것들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터 구동장치(11)는, 급전회로(소형 모터(2S)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가 형성된 상기와 같은 도시하지 않은 기판과, 이 기판에 대하여 고정된 지지부재(8E)와, 이 지지부재(8E)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소형 모터(2S)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소형 모터(2S)는 직류식의 진동 모터로서, 주로, 상기와 같은 케이스(3), 고정자(4), 회전자(5), 급전용의 플러스 단자(6), 급전용의 마이너스 단자(7) 및 편심체(25)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소형 모터(2S)의 내부구조는 상술한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소형 모터(2E)의 그것과 같다.
단지, 본 발명에서는 소형 모터(2S)가 상술한 소형 모터(2E) 이외의 소형 모터 구조의 적어도 일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케이스(3)은, 금속(전도성 재료) 제품의 본체부(31)와, 본체부(31)의 양단에 각각 장착된 전방 브래킷(32) 및 후방 브래킷(33)과, 전방 브래킷(32)의 중심부에 고정된 베어링(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브래킷(32)의 외주면(측면)에는 회전축(53)의 축선을 통해 대향하는 위치에, 평탄면을 형성하는 것 같은 노치부(3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노치부(3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지지부재(8E)의 결합부(83)와 걸어맞춤하는 결합부이고, 소형 모터(2S) 전체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수단을 구성하는 것이다.
후방 브래킷(33)의 외주면(측면) 중의 도 47중 하측에는, 평탄면을 형성하는 노치부(오목부)(1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노치부(126)는, 후술하는 지지부재(8E)의 결합부(볼록부)(135)와 걸어맞춤하는 결합부이다.
후방 브래킷(33)에 상기 노치부(126)를 설치함으로써, 후방 브래킷(33)의 형상은, 회전축(53)의 축선에 대하여 도 47중 상하 비대칭이 된다.
지지부재(8E)는 상기와 거의 같은 저면부(81), 지지부(82), 결합부(83) 및 고정부(8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지지부(82)의 후단 중앙부에는 각각 판형상의 결합부(볼록부)(135)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 지지부재(135)는 모터 장전 공간(80)의 중심방향으로 향하여 거의 직각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또한, 주로, 상기 소형 모터(2S)의 노치부(126)와, 지지부재(8E)의 지지부재(135)에 의해서, 역 끼움 방지수단(=소형 모터의 지지부재에의 부적정한 상태에서의 장전을 방지하고, 소형 모터를 지지부재에 적정한 상태로 장전하는 경우에만 장전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 위치 결정수단 및 회전 방지수단이 구성된다.
또한, 주로, 상기 소형 모터(2S)의 노치부(321)와, 지지부재(8E)의 결합부(83)에 의해서, 위치 결정수단 및 회전 방지수단이 구성된다.
모터 구동장치(1I)에 있어서의 지지부재(8E)는, 각 고정부(84)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기판에 대한 납땜에 의해, 기판상에 형성된 급전회로에서의 그라운드(마이너스 단자측)로 도통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S)의 마이너스 단자(7)는 케이스(3)의 본체부(31) 및 이것을 지지하는 지지부재(8E)를 통해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그라운드로 접속된다.
또한, 기판상의 지지부재(8E)의 후단부 부근에는, 금속제품의 접점부재(통전부)(10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점부재(102)는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플러스측에 접속되어 있다.
지지부재(8E)에의 소형 모터(2S)의 장전시에는, 소형 모터(2S)의 후방측 외주면에 노출하고 있는 플러스 단자(6)의 접점부(64)가 접점부재(102)와 접촉하여 도통한다. 따라서, 소형 모터(2S)의 플러스 단자(6)는 접점부재(102)를 통해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플러스측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소형 모터(2S)를 지지부재(8E)에 장전하면, 지지부재(8E)에 지지, 고정되는 동시에,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가 각각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소정의 단자에 접속되어 급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 모터 구동장치(1I)에서는 소형 모터(2S)를 지지부재(8E)에 장전할 때, 역 끼움 방지수단, 즉, 소형 모터(2S)의 노치부(오목부)(126)와 지지부재(8E)의 결합부(볼록부)(135)에 의해서, 소형 모터(2S)의 지지부재(8E)에의 역 끼움(예를들면, 소형 모터(2S)가, 그 회전 방향으로 180° 정도 어긋나고, 또는 전후 방향을 반대로 하여 지지부재(8E)에 장전되는 것)이 방지되고, 소형 모터(2S)를 적정한 자세라든지 방향(적정한 상태)으로 지지부재(8E)에 장전할 수 있다. 즉, 소형 모터(2S)를 노치부(126)와 지지부재(135)를 결합시킨 경우에만, 소형 모터(2S)를 지지부재(8E)에 장전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급전회로의 단락, 접촉 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소형 모터(2S)의 도 47 중 상하 방향을 반대로 하여, 소형 모터(2S)를 지지부재(8E)에 장전하고자 하면, 후방 브래킷(33)의 노치부(126)의 반대측과 지지부재(135)가 충돌하여 장전할 수 없다. 또한, 소형 모터(2S)의 전후 방향을 반대로 하여, 소형 모터(2S)를 지지부재(8E)에 장전하고자 하면, 전방 브래킷(32)과 지지부재(135)가 충돌함과 동시에, 후방 브래킷(33)과 결합부(83)가 충돌하여 장전할 수 없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S)의 장전 방향이 잘못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수단, 즉, 소형 모터(2S)의 노치부(126)와 지지부재(135)와의 결합, 및 소형 모터(2S)의 노치부(321)와 결합부(83)와의 결합에 의해, 소형 모터(2S)의 지지부재(8E)에 대한 회전축(53)의 축선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회전 방지수단, 즉, 소형 모터(2S)의 노치부(126)와 지지부재(135)와의 결합이라든지, 소형 모터(2S)의 노치부(321)와 결합부(83)와의 결합에 의해, 소형 모터(2S)의 구동시에 있어서의 소형 모터(2S) 전체의 지지부재(8E)에 대한 회전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의 소형 모터(2S)에서는, 상기 소형 모터(2A)와 같이, 플러스 단자(6)가 케이스(3)의 후단에 노출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측면에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소형 모터(2A)에 비해, 모터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또한 모터의 길이 방향의 설치 스페이스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도 49는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미장전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0은 동일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이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은 사항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형편상, 도 49 및 도 50중의 우측을 「전방」 또는 「선단」, 좌측을 「후방」 또는 「후단」으로서 설명한다.
이것들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터 구동장치(1J)는 급전회로(소형 모터(2T)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가 형성된 상기와 같은 도시하지 않은 기판과, 이 기판에 대하여 고정된 지지부재(8F)와, 이 지지부재(8F)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소형 모터(2T)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소형 모터(2T)는 직류식의 진동 모터로서, 주로 상기와 거의 같은 케이스(3), 고정자(4), 회전자(5), 급전용의 플러스 단자(6), 급전용의 마이너스 단자(7) 및 편심체(25)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소형 모터(2T)의 내부구조는 상술한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소형 모터(2E)의 그것과 같다.
단지, 본 발명에서는 소형 모터(2T)가 상술한 소형 모터(2E) 이외의 소형 모터구조의 적어도 일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케이스(3)은 금속(전도성 재료) 제품의 본체부(31)와, 본체부(31)의 양단에 각각 장착된 전방 브래킷(32) 및 후방 브래킷(31)과, 전방 브래킷(32)의 중심부에 고정된 베어링(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브래킷(32)의 외주면(측면)에는, 회전축(53)의 축선을 통해 대향하는 위치에 평탄면을 형성하는 것 같은 노치부(3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노치부(3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지지부재(8F)의 결합부(83)와 걸어맞춤하는 결합부이고, 소형 모터(2T) 전체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수단을 구성하는 것이다.
후방 브래킷(33)은 원호형상으로 만곡한 외주면을 구비한 한 쌍의 만곡부(127)와, 상기 만곡부(127) 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한 한 쌍의 모서리부(128)를 가지고 있다.
상기의 경우, 모서리부(128)는 만곡부(127)의 도 49중 상측에 위치하고 있고, 이들 모서리부(128)에 의해, 후방 브래킷(33)의 형상은 회전축(53)의 축선에 대하여 도 49중 상하 비대칭이 된다.
이 후방 브래킷(33)은 후술하는 지지부재(8F)의 지지부재(137)와 결합하는 결합부이다. 즉, 후방 브래킷(33)의 만곡부(127)는 후술하는 결합부(137)의 기초부(138)와 결합하고, 모서리부(128)는 후술하는 결합부(137)의 선단부(139)와 결합한다.
지지부재(8F)는, 상기와 거의 같은 저면부(81), 지지부(82), 결합부(83) 및 고정부(8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지지부(82)의 후단에는 각각 결합부(137)가 설치되어 있다. 각 결합부(137)는 각각, 후방 브래킷(33)에 있어서의 만곡부(127)의 외주면의 만곡에 대응하도록 원호형상으로 만곡한 기초부(138)와, 모서리부(128)에 대응하는 판형상의 선단부(139)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들 결합부(137)는 모터 장전 공간(80)을 통해 서로 대항하고 있고, 각 결합부(137)의 선단부(139)는 각각 저면부(81)에 대하여 거의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결합부(137)의 후단의 중앙부에는, 각각 판형상의 결합부(볼록부)(136)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 지지부재(136)는 각각 모터 장전 공간(80)의 중심방향으로 향하여 거의 직각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들 지지부재(136)는 소형 모터(2T)의 장전시에, 후방 브래킷(33)의 후단측에 접촉하고, 소형 모터(2T)의 회전축(53)의 축선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또한, 주로, 상기 소형 모터(2T)의 모서리부(128)(후방 브래킷(33))와, 지지부재(8F)의 결합부(137)에 의해서, 역 끼움 방지수단(=소형 모터의 지지부재에의 부적정한 상태에서의 장전을 방지하고, 소형 모터를 지지부재에 적정한 상태로 장전하는 경우에만 장전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 및 회전 방지수단이 구성된다.
또한, 주로, 상기 소형 모터(2T)의 노치부(321)와, 지지부재(8F)의 결합부(83)에 의해서, 위치 결정수단 및 회전 방지수단이 구성된다.
또한, 주로, 상기 소형 모터(2T)의 후방 브래킷(33)과, 지지부재(8F)의 결합부(136)에 의해서, 위치 결정수단이 구성된다.
모터 구동장치(1J)에 있어서의 지지부재(8F)는 각 고정부(84)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기판에 대한 납땜에 의해 기판상에 형성된 급전회로에서의 그라운드(마이너스 단자측)로 도통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T)의 마이너스 단자(7)는 케이스(3)의 본체부(31) 및 이것을 지지하는 지지부재(8F)를 통해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그라운드로 접속된다.
또한, 기판상의 지지부재(8F)의 후단부 부근에는, 금속제품의 접점부재(통전부)(10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점부재(102)는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플러스측에 접속되어 있다.
지지부재(8F)에의 소형 모터(2T)의 장전시에는, 소형 모터(2T)의 후방측 외주면에 노출하고 있는 플러스 단자(6)의 접점부(64)가 접점부재(102)와 접촉하여 도통한다. 따라서, 소형 모터(2T)의 플러스 단자(6)는 접점부재(102)를 통해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플러스측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소형 모터(2T)를 지지부재(8F)에 장전하면, 지지부재(8F)에 지지, 고정되는 동시에,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가 각각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소정의 단자에 접속되어 급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 모터 구동장치(1J)에서는, 소형 모터(2T)를 지지부재(8F)에 장전할 때, 역 끼움 방지수단, 즉, 소형 모터(2T)의 모서리부(128)(후방 브래킷(33))과, 지지부재(8F)의 결합부(137)에 의해서, 소형 모터(2T)의 지지부재(8F)에의 역 끼움(예를들면, 소형 모터(2T)가, 그 회전 방향으로 180° 정도 어긋나고, 또는 전후 방향을 반대로 하여 지지부재(8F)에 장전되는 것)이 방지되고, 소형 모터(2T)를 적정한 자세라든지 방향(적정한 상태)으로 지지부재(8F)에 장전할 수 있다. 즉, 소형 모터(2T)의 후방 브래킷(33)과 결합부(137)를 결합시킨 경우(만곡부(127)와 기초부(138)를 결합시킨 경우)에만, 소형 모터(2T)를 지지부재(8F)에 장전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예를들면, 급전회로의 단락, 접촉 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소형 모터(2T)의 도 49중 상하 방향을 반대로 하여, 소형 모터(2T)를 지지부재(8F)에 장전하고자 하면, 후방 브래킷(33)의 모서리부(128)와 결합부(137)의 기초부(138)가 충돌하여 장전할 수 없다. 또한, 소형 모터(2T)의 전후 방향을 반대로 하여, 소형 모터(2T)를 지지부재(8F)에 장전하고자 하면, 후방 브래킷(33)과 결합부(83)가 충돌하여 장전할 수 없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T)의 장전 방향이 잘못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수단, 즉, 소형 모터(2T)의 후방 브래킷(33)과 결합부(136)와의 결합 및 소형 모터(2T)의 노치부(321)와 결합부(83)와의 결합에 의해, 소형 모터(2T)의 지지부재(8F)에 대한 회전축(53)의 축선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회전 방지수단, 즉, 소형 모터(2T)의 후방 브래킷(33)과 결합부(136)와의 결합이라든지, 소형 모터(2T)의 노치부(321)와 결합부(83)와의 결합에 의해, 소형 모터(2T)의 구동시에 있어서의 소형 모터(2T) 전체의 지지부재(8F)에 대한 회전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의 소형 모터(2T)에서는 상기 소형 모터(2A)와 같이, 플러스 단자(6)가 케이스(3)의 후단에 노출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측면에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소형 모터(2A)에 비해, 모터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또한, 모터의 길이 방향의 설치 스페이스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모서리부(128)를 설치하는 부위(위치)는, 후방 브래킷(33)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본체부(31)라든지 전방 브래킷(32) 등이라도 된다.
또한, 모서리부(128)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 49중 좌우 대칭인 현상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좌우 비대칭인 현상이라도 된다.
도 51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미장전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2는 동일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이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은 사항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형편상, 도 51 및 도 52중 우측을 「전방」 또는 「선단」, 좌측을 「후방」 또는 「후단」으로서 설명한다.
이것들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터 구동장치(1K)는 급전회로(소형 모터(2U)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가 형성된 상기와 같은 도시하지 않은 기판과, 이 기판에 대하여 고정된 지지부재(8G)와, 이 지지부재(8G)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소형 모터(2U)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소형 모터(2U)는 직류식의 진동 모터로서, 주로, 상기와 거의 같은 케이스(3), 고정자(4), 회전자(5), 급전용의 플러스 단자(6), 급전용의 마이너스 단자(7) 및 편심체(25)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소형 모터(2U)의 내부구조는 상술한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소형 모터(2E)의 그것과 같다.
단지, 본 발명에서는 소형 모터(2U)가 상술한 소형 모터(2E) 이외의 소형 모터의 적어도 일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케이스(3)은 금속(전도성 재료) 제품의 본체부(31)와, 본체부(31)의 양단에 각각 장착된 전방 브래킷(32) 및 후방 브래킷(33)과, 전방 브래킷(32)의 중심부에 고정된 베어링(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브래킷(32)의 외주면(측면)에는 회전축(53)의 축선을 통해 대향하는 위치에, 평탄면을 형성하는 것 같은 노치부(3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노치부(3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지지부재(8G)의 결합부(83)와 걸어맞춤하는 결합부이고, 소형 모터(2U) 전체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수단을 구성하는 것이다.
후방 브래킷(33)은 원호형상으로 만곡한 외주면을 구비한 한 쌍의 만곡부(141)와, 상기 만곡부(141) 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한 한 쌍의 모서리부(142)를 가지고 있다. 상기의 경우, 모서리부(142)는, 만곡부(141)의 도 51중 상측에 위치하고 있고, 이들 모서리부(142)에 의해, 후방 브래킷(33)의 현상은, 회전축(53)의 축선에 대하여 도 51중 상하 비대칭이 된다.
후방 브래킷(33)의 폭(모서리부(142)에 있어서의 케이스(3)의 폭)(L)은, 본체부(31)의 외경(케이스(3)의 외경)(D)보다 작게(L<D가 되는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체부(31)의 후단면(317)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하고, 그 노출된 후단면(317)은 소형 모터(2U)의 장전시에, 후술하는 지지부재(8G)의 결합부(151)에 접촉하고, 소형 모터(2U)의 회전축(53)의 축선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또한, 소형 모터(2U)의 전후 방향의 역 끼움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후방 브래킷(33)의 폭(L)은, 양 결합부(83)의 대향하는 내면 사이의 거리보다 큰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후방 브래킷(33)은 후술하는 지지부재(8G)의 결합부(151)와 걸어맞춤하는 결합부(끼워 맞춤부)이다. 즉, 후방 브래킷(33)의 만곡부(141)는 후술하는 결합부(151)의 중간부(152)와 결합하고, 모서리부(142)는 후술하는 결합부(151)의 선단부(153)와 결합한다.
지지부재(8G)는 상기와 거의 같은 저면부(81), 지지부(82), 결합부(83) 및 고정부(8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지지부(82)의 후단에는, 결합부(151)가 설치되어 있다. 각 결합부(151)는 각각, 후방 브래킷(33)에 있어서의 만곡부(141)의 외주면의 만곡에 대응하도록 원호형상으로 만곡한 중간부(152)와, 모서리부(142)에 대응하는 판형상의 선단부(153)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들 결합부(151)는 모터 장전 공간(80)을 통해 서로 대향하고 있고, 각 지지부재 (151)의 선단부(153)는, 각각 저면부(81)에 대하여 거의 직각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또한, 주로, 상기 소형 모터(2U)의 모서리부(142)(후방 브래킷(33))와, 지지부재(8G)의 결합부(151)에 의해서, 역 끼움 방지수단(=소형 모터의 지지부재에의 부적정한 상태에서의 장전을 방지하고, 소형 모터를 지지부재에 적정한 상태로 장전하는 경우에만 장전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 및 회전 방지수단이 구성된다.
또한, 주로, 상기 소형 모터(2U)의 노치부(321)와, 지지부재(8G)의 결합부(83)에 의해서, 위치 결정수단 및 회전 방지수단이 구성된다.
또한, 주로, 상기 소형 모터(2U)의 본체부(31)의 후단면(317)과, 지지부재(8G)의 결합부(151)에 의해서, 위치 결정수단이 구성된다.
모터 구동장치(1K)에서의 지지부재(8G)는, 각 고정부(84)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기판에 대한 납땜에 의해, 기판상에 형성된 급전회로에서의 그라운드(마이너스 단자측)로 도통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U)의 마이너스 단자(7)는, 케이스(3)의 본체부(31) 및 이것을 지지하는 지지부재(8G)를 통해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그라운드로 접속된다.
또한, 기판상의 지지부재(8G)의 후단부 부근에는, 금속제품의 접점부재(통전부)(10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점부재(102)는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플러스측에 접속되어 있다.
지지부재(8G)에의 소형 모터(2U)의 장전시에는, 소형 모터(2U)의 후방측 외주면에 노출하고 있는 플러스 단자(6)의 접점부(64)가 접점부재(102)와 접촉하여 도통한다. 따라서, 소형 모터(2U)의 플러스 단자(6)는 접점부재(102)를 통해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플러스측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소형 모터(2U)를 지지부재(8G)에 장전하면, 지지부재(8G)에 지지, 고정되는 동시에,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가 각각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소정의 단자에 접속되어 급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 모터 구동장치(1K)에서는 소형 모터(2U)를 지지부재(8G)에 장전할 때, 역 끼움 방지수단, 즉, 소형 모터(2U)의 모서리부(142)(후방 브래킷(33))과, 지지부재(8G)의 결합부(151)에 의해서, 소형 모터(2U)의 지지부재(8G)에의 역 끼움(예를들면, 소형 모터(2U)가, 그 회전 방향으로 180˚정도 어긋나고, 또는 전후 방향을 반대로 하여 지지부재(8G)에 장전되는 것)이 방지되고, 소형 모터(2U)를 적정한 자세라든지 방향(적정한 상태)으로 지지부재(8G)에 장전할 수 있다. 즉, 소형 모터(2U)의 후방 브래킷(33)과 결합부(151)를 결합시킨 경우(만곡부(141)와 중간부(152)를 결합시킨 경우)에만, 소형 모터(2U)를 지지부재(8G)에 장전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예를들면, 급전회로의 단락, 접촉 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소형 모터(2U)의 도 51중 상하 방향을 반대로 하여, 소형 모터(2U)를 지지부재(8G)에 장전하고자 하면, 후방 브래킷(33)의 모서리부(142)와 결합부(151)의 중간부(152)가 충돌하여 장전할 수 없다. 또한, 소형 모터(2U)의 전후 방향을 반대로 하여, 소형 모터(2U)를 지지부재(8G)에 장전하고자 하면, 후방 브래킷(33)과 결합부(83)가 충돌하여 장전할 수 없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U)의 장전 방향이 잘못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수단, 즉, 소형 모터(2U)의 본체부(31)의 후단면(317)과 결합부(151)와의 결합, 및 소형 모터(2U)의 노치부(321)와 결합부(83)와의 결합에 의해, 소형 모터(2U)의 지지부재(8G)에 대한 회전축(53)의 축선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회전 방지수단, 즉, 소형 모터(2U)의 후방 브래킷(33)과 결합부(151)와의 결합이라든지, 소형 모터(2U)의 노치부(321)와 결합부(83)와의 결합에 의해, 소형 모터(2U)의 구동시에 있어서의 소형 모터(2U) 전체의 지지부재(8G)에 대한 회전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의 모터 구동장치(1K)에서는, 상기 모터 구동장치(1J)와 같이 결합부(136)를 설치하지 않고, 본체부(31)의 후단면(317)과 결합부(151)와의 결합, 및 노치부(321)와 결합부(83)와의 결합에 의해, 소형 모터(2U)를 지지하는 것, 즉, 소형 모터(2U)의 회전축(53)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모터 구동장치(1J)에 비해, 구조가 간소화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소형 모터(2U)에서는, 상기 소형 모터(2A)와 같이, 플러스 단자(6)가 케이스(3)의 후단에 노출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측면에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소형 모터(2A)에 비해, 모터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또한 모터의 길이 방향의 설치 스페이스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모서리부(142)를 설치하는 부위(위치)는, 후방 브래킷(33)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전방 브래킷(32) 등이라도 된다.
도 53은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미장전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4는 동일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이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은 사항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형편상, 도 53 및 도 54중 우측을 「전방」 또는 「선단」, 좌측을 「후방 」 또는 「후단」으로서 설명한다.
이것들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터 구동장치(1L)는, 급전회로(2V)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가 형성된 상기와 같은 도시하지 않은 기판과, 이 기판에 대하여 고정된 지지부재(8H)와, 이 지지부재(8H)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소형 모터(2V)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소형 모터(2V)는 직류식의 진동 모터로서, 주로 상기와 거의 같은 케이스(3), 고정자(4), 회전자(5), 급전용의 플러스 단자(6), 급전용의 마이너스 단자(7) 및 편심체(25)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소형 모터(2V)의 내부구조는 상술한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소형 모터(2E)의 그것과 같다.
단지, 본 발명에서는 소형 모터(2V)가 상술한 소형 모터(2E) 이외의 소형 모터 구조의 적어도 일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케이스(3)은 금속(전도성 재료) 제품의 본체부(31)와, 본체부(31)의 양단에 각각 장착된 전방 브래킷(32) 및 후방 브래킷(33)과, 전방 브래킷(32)의 중심부에 고정된 베어링(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브래킷(32)의 외주면(측면)에는 회전축(53)의 축선을 통해 대향하는 위치에, 평탄면을 형성하는 것 같은 노치부(3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노치부(3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지지부재(8H)의 결합부(83)와 걸어맞춤하는 결합부이고, 소형 모터(2V) 전체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수단을 구성하는 것이다.
후방 브래킷(33)의 후단면에는 오목부(14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오목부(143)는 후술하는 지지부재(8H)의 결합부(볼록부)(154)와 걸어맞춤하는 결합부이다.
또한, 오목부(143)는 도 53중 상하 방향, 즉 소형 모터(2V)의 착탈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소형 모터(2V)를 적정한 상태로 착탈하는 경우에는, 그 착탈을 지장없이 행할 수 있다.
지지부재(8H)는 상기와 거의 같은 저면부(81), 지지부(82), 결합부(83) 및 고정부(8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 53중 좌측의 지지부(82)의 후단 중앙부에는, L자 형상의 결합부(볼록부)(15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부(154)는 모터 장전 공간(80)의 중심 방향으로 향하여 거의 직각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또한, 주로, 상기 소형 모터(2V)의 오목부(143)와, 지지부재(8H)의 결합부(154)에 의해서, 역 끼움 방지수단(=소형 모터의 지지부재에의 부적정한 상태에서의 장전을 방지하고, 소형 모터를 지지부재에 적정한 상태로 장전하는 경우에만 장전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 위치 결정수단 및 회전 방지수단이 구성된다.
또한, 주로 상기 소형 모터(2V)의 노치부(321)와, 지지부재(8H)의 결합부(83)에 의해서, 위치 결정수단 및 회전 방지수단이 구성된다.
모터 구동장치(1L)에서의 지지부재(8H)는 각 고정부(84)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기판에 대한 납땜에 의해, 기판상에 형성된 급전회로에서의 그라운드(마이너스 단자측)로 도통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V)의 마이너스 단자(7)는 케이스(3)의 본체부(31) 및 이것을 지지하는 지지부재(8H)를 통해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그라운드로 접속된다.
또한, 기판상의 지지부재(8H)의 후단부 부근에는, 금속제품의 접점부재(통전부)(10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점부재(102)는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플러스측에 접속되어 있다.
지지부재(8H)에의 소형 모터(2V)의 장전시에는, 소형 모터(2V)의 후방측 외주면에 노출하고 있는 플러스 단자(6)의 접점부(64)가 접점부재(102)와 접촉하여 도통한다. 따라서, 소형 모터(2V)의 플러스 단자(6)는 접점부재(102)를 통해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플러스측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소형 모터(2V)를 지지부재(8H)에 장전하면, 지지부재(8H)에 지지, 고정되는 동시에,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가 각각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소정의 단자에 접속되어 급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 모터 구동장치(1L)에서는, 소형 모터(2V)를 지지부재(8H)에 장전할 때, 역 끼움 방지수단, 즉, 소형 모터(2V)의 오목부(143)와 지지부재(8H)의 결합부(볼록부)(154)에 의해서, 소형 모터(2V)의 지지부재(8H)에의 역 끼움(예를들면, 소형 모터(2V)가, 그 회전 방향으로 180˚ 정도 어긋나고 또는 전후 방향을 반대로 하여 지지부재(8H)에 장전되는 것)이 방지되고, 소형 모터(2V)를 적정한 자세라든지 방향(적정한 상태)으로 지지부재(8H)에 장전할 수 있다. 즉, 소형 모터(2V)의 오목부(143)와 결합부(154)를 결합시킨 경우에만, 소형 모터(2V)를 지지부재(8H)에 장전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예를들면, 급전회로의 단락등,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소형 모터(2V)의 도 53중 상하 방향을 반대로 하여, 소형 모터(2V)를 지지부재(8H)에 장전하고자 하면, 후방 브래킷(33)과 결합부(154)가 충돌하여, 장전할 수 없다. 또한, 소형 모터(2V)의 전후 방향을 반대로 하여, 소형 모터(2V)를 지지부재(8H)에 장전하고자 하면, 후방 브래킷(33)과 결합부(83)가 충돌함과 동시에, 전방 브래킷(33)과 결합부(154)가 충돌하여 장전할 수 없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V)의 장전 방향이 잘못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수단, 즉, 소형 모터(2V)의 오목부(143)와 결합부(154)와의 결합, 및 소형 모터(2V)의 노치부(321)와 결합부(83)와의 결합에 의해, 소형 모터(2V)의 지지부재(8H)에 대한 회전축(53)의 축선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회전 방지수단, 즉, 소형 모터(2V)의 오목부(143)와 결합부(154)와의 결합이라든지, 소형 모터(2V)의 노치부(321)와 결합부(83)와의 결합에 의해, 소형 모터(2V)의 구동시에 있어서의 소형 모터(2V) 전체의 지지부재(8H)에 대한 회전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의 소형 모터(2V)에서는, 상기 소형 모터(2V)와 같이, 플러스 단자(6)가 케이스(3)의 후단에 노출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측면에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소형 모터(2V)에 비해, 모터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또한 모터의 길이 방향의 설치 스페이스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도 55는 본 발명의 소형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미장전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6은 동일 모터 구동장치(장전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이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은 사항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형편상, 도 55 및 도 56중의 좌측을 「전방」 또는 「선단」, 우측을 「후방」 또는 「후단」으로서 설명한다.
이것들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터 구동장치(1M)는, 급전회로(소형 모터(2W)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가 형성된 상기와 같은 도시하지 않은 기판과, 이 기판에 대하여 고정된 지지부재(2W)와, 이 소형모터(2W)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소형 모터(2W)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소형 모터(2W)는, 직류식의 진동 모터로서, 주로, 상기와 같은 케이스(3), 고정자(4), 회전자(5), 급전용의 플러스 단자(6), 급전용의 마이너스 단자(7) 및 편심체(25)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소형 모터(2W)의 내부구조는 상술한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소형 모터(2E)의 그것과 같다.
단지, 본 발명에서는 소형 모터(2W)가 상술한 소형 모터(2E) 이외의 소형 모터 구조의 적어도 일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케이스(3)은 금속(전도성 재료) 제품의 본체부(31)와, 본체부(31)의 양단에 각각 장착된 전방 브래킷(32) 및 후방 브래킷(33)과, 전방 브래킷(32)의 중심부에 고정된 베어링(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브래킷(32)의 외주면(측면)에는 회전축(53)의 축선을 통해 대향하는 위치에, 평탄면을 형성하는 것 같은 노치부(3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노치부(3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지지부재(8I)의 결합부(83)와 걸어맞춤하는 결합부이고, 소형 모터(2W)전체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수단을 구성하는 것이다.
후방 브래킷(33)은 원호형상으로 만곡한 외주면을 구비한 한 쌍의 만곡부(144)와, 상기 만곡부(144) 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한 한 쌍의 모서리부(볼록부)(145)를 가지고 있다. 상기의 경우, 모서리부(145)는, 만곡부(144)의 도 55중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모서리부(144)에 의해, 후방 브래킷(33)의 형상은, 회전축(53)의 축선에 대하여 도 55중 상하 비대칭이 된다. 또한, 모서리부(145)와 만곡부(144)의 사이에는 단차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서리부(145)는 후술하는 지지부재(8I)의 노치부(155)와 결합하는 결합부이다. 지지부재(8I)는 상기와 거의 같은 저면부(81), 지지부(82), 결합부(83) 및 고정부(8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지지부(82)에 있어서는 후단부의 도 55중 상측에는, 각각 노치부(오목부)(15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저면부(81)의 후단에는, 모터 장전 공간(80)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한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탄성부재(가압수단)(16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탄성부재(161)는 그 복원력에 의해, 소형 모터(2W)의 장전시에, 후방 브래킷(33)의 후단면을 선단측에 압압하여, 후방 브래킷(33)의 모시리부(145)를 지지부(82)의 단면에 가압하는 동시에, 노치부(321)의 후단(단차부)을 결합부(83)에 가압한다. 즉, 탄성부재(161)와 지지부(82)에 의해서, 후방 브래킷(33)이 확실하게 지지(유지)되어,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W)의 회전축(53)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로, 상기 소형 모터(2W)의 모서리부(145)와, 지지부재(8I)의 노치부(155)에 의해서, 역 끼움 방지수단(=소형모터의 지지부재에의 부적정한 상태에서의 장전을 방지하고, 소형 모터를 지지부재에 적정한 상태로 장전하는 경우에만 장전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 위치 결정수단 및 회전 방지수단이 구성된다.
또한, 주로, 상기 소형 모터(2W)의 노치부(321)와, 지지부재(8I)의 결합부(83)에 의해서, 위치 결정수단 및 회전 방지수단이 구성된다.
모터 구동수단(1M)에서의 지지부재(8I)는, 각 고정부(84)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기판에 대한 납땜에 의해, 기판상에 형성된 급전회로에서의 그라운드(마이너스 단자측)로 도통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V)의 마이너스 단자(7)는, 케이스(3)의 본체부(31) 및 이것을 지지하는 지지부재(8I)를 통해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그라운드로 접속된다.
또한, 기판상의 지지부재(8I)의 후단부 부근에는, 금속제품의 접점부재(통전부)(10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점부재(102)는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플러스측에 접속되어 있다.
지지부재(8I)에의 소형 모터(2W)의 장전시에는, 소형 모터(2W)의 후방측 외주면에 노출하고 있는 플러스 단자(6)의 접점부(64)가 접점부재(102)와 접촉하여, 도통한다. 따라서, 소형 모터(2W)의 플러스 단자(6)는, 접점부재(102)를 통해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플러스측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소형 모터(2W)를 지지부재(8I)에 장전하면, 지지부재(8I)에 지지, 고정되는 동시에, 플러스 단자(6) 및 마이너스 단자(7)가 각각 기판상의 급전회로의 소정의 단자에 접속되어, 급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 모터 구동장치(1M)에서는, 소형 모터(2W)를 지지부재(8I)에 장전할 때, 역 끼움 방지수단, 즉, 소형 모터(2W)의 모서리부(볼록부)(145)와 지지부재(8I)의 노치부(오목부)(155)에 의해서, 소형 모터(2W)의 지지부재(8I)에의 역 끼움(예를들면, 소형 모터(2W)가, 그 회전 방향으로 180˚ 정도 어긋나고, 또는 전후 방향을 반대로 하여 지지부재(8I)에 장전되는 것)이 방지되고, 소형 모터(2W)를 적정한 자세라든지 방향(적정한 상태)으로 지지부재(8I)에 장전할 수 있다. 즉, 소형 모터(2W)의 만곡부(144)를 지지부(82)에서 지지하고, 지지부재(2W)의 모서리부(145)와 노치부(155)를 결합시킨 경우에만, 소형모터(2W)를 지지부재(8I)에 장전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예를들면, 급전회로의 단락, 접촉 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소형 모터(2W)의 도 55중 상하 방향을 반대로 하여, 소형 모터(2W)를 지지부재(8I)에 장전하고자 하면, 후방 브래킷(33)의 모서리부(145)의 도 55중 상측면과 노치부(155)가 충돌하여 장전할 수 없다. 또한, 소형 모터(2W)의 전후 방향을 반대로 하여, 소형 모터(2W)를 지지부재(8I)에 장전하고자 하면, 후방 브래킷(33)과 결합부(83)가 충돌함과 동시에, 전방 브래킷(32)과 탄성부재(161)가 충돌하여 장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W)의 장전 방향이 잘못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수단, 즉, 소형 모터(2W)의 모서리부(145)와 노치부(155)와의 결합, 및 소형 모터(2W)의 노치부(321)와 결합부(83)와의 결합에 의해, 소형 모터(2W)의 지지부재(8I)에 대한 회전축(53)의 축선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수단, 즉, 탄성부재(161)에 의해, 후방 브래킷(33)의 후단면이 선단측에 압압되어, 이것에 의해, 후방 브래킷(33)의 모서리부(145)가 지지부(82)의 단면에, 노치부(321)가 결합부(83)에 각각 가압된다. 이것에 의해, 소형 모터(2W)의 회전축(53)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또한, 회전 방지수단, 즉, 소형 모터(2W)의 모서리부(145)와 노치부(155)와의 결합이라든지, 소형 모터(2W)의 노치부(321)와 결합부(83)와의 결합에 의해, 소형 모터(2W)의 구동시에 있어서의 소형 모터(2W) 전체의 지지부재(8I)에 의한 회전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161) 등의 가압수단은, 상기 모터 구동장치(1M)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각 모터 구동장치에도 설치할 수 있다.
이상 서술한 각 소형 모터(2A 내지 2W)에서는, 편심체(25)의 케이스(3)에 대한 크기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편심 회전에 의한 진동을 보다 크게하기 위해서는, 편심체(25)의 비중을 보다 크게하는 것과 동시에, 편심체(25)의 최대 회전 반경을 가능한 한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편심체(25)의 최대 회전 반경을 크게하는데 유리하다.
즉, 도 5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소형 모터(2A 내지 2W)에서는, 편심체(25)의 최대 회전 반경을 R, 케이스(3)의 외경을 D로 할때, R>D/2가 되는 관계, 보다 바람직하게는 D>R>D/2가 되는 관계를 만족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소형 모터(2A 내지 2W)를 지지부재(8 내지 8I)에 의해 지지, 고정되기 대문에, 기판(100)과의 사이에, 적어도 지지부재(8 내지 8I)의 저면부(81)의 두께에 상당하는 거리의 틈이 생기고, 그 만틈, 편심체(25)의 최대 회전 반경(R)을 크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판(100)의 편심체(25) 위치에, 예를들면 오목부, 노치, 홈 등과 같은, 편심체(25)과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한 도피부(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함으로써, 편심체(25)의 최대 회전 반경(R)을 보다 크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심체(25)의 최대 회전 반경(R)을 상기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하는 것으로, 바람직한 진동 특성이 얻어지고, 특히, 보다 큰 진동이 얻어지며, 진동 모터로서의 성능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의 소형 모터 및 이것을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를 도시의 각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소형 모터 및 모터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상술한 각 구성 요소라든지 수단은, 그 형상, 구조, 치수, 재질 등의 여러 가지 조건이, 같은 기능을 하는 다른 것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와 같은, 편심체를 갖는 진동 모터에 적용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진동의 발생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모든 모터에 적용할 수 있고, 또한, 모터의 형태에 관하여도, 브러쉬레스모터, 스텝 모터 등의 각종 모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것들의 경우, 모터의 형상, 구조, 모터 내외에 있어서의 극수라든지 배선, 지지부재의 형상, 구성 재료 등에 관하여도, 상술한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각 회전 방지수단, 각 위치 결정수단, 각 역 끼움 방지수단 등을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결합부를 갖는 소정의 부재가, 회전 방지수단, 위치 결정수단 및 역 끼움 방지수단 중 적어도 2개를 겸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소형 모터 및 모터 구동장치는, 무선 호출기라든지 휴대전화(PHS를 포함한다) 등의 기기 또는 그 부속기기(착신 유지 전용 기기)에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Claims (32)

  1. 기판상에 고정된 지지부재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소형 모터에 있어서,
    고정자와, 회전자와, 이것들을 수납하는 케이스와, 상기 회전자로의 급전용 제1단자 및 제2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로의 장전시에, 제1단자 및 제2단자는 지지부재 또는 기판에 각각 설치된 소정의 통전부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도통(導通)되고, 회전자로의 급전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상기 케이스 밖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2단자는 케이스의 금속 부분과 도통되고, 상기 제1단자와 케이스의 금속 부분이 절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 및 상기 제2단자는 케이스의 후단측에 각각 돌출되고, 이 돌출부는 통전부를 구성하는 암형 커넥터와 접속가능한 수형 커넥터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 및 상기 제2단자는 오목부를 각각 가지며, 이 오목부는 통전부를 구성하는 수형 커넥터와 접속가능한 암형 커넥터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 및 상기 제2단자중 어느 한쪽의 단자는 회전자의 회전축에 도통되고, 다른쪽의 단자는 회전축과 절연되며, 다른쪽의 단자와 상기 회전축을 통해 급전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모터.
  6. 고정자와, 회전자와, 이것들을 수납하는 케이스와, 상기 회전자로의 급전용 제1단자 및 제2단자를 가지며, 지지부재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소형 모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로의 장전시에, 회전자의 회전 반력에 의한 소형 모터의 지지부재에 대하여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모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수단은 지지부재에 대하여 결합하는 결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모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 및 상기 제2단자는 케이스의 후단측으로 각각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며, 회전 방지수단은 양 돌출부를 포함하며, 암형 커넥터와 접속가능한 수형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모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 및 제2단자는 오목부를 가지며, 회전 방지수단은 양 오목부를 포함하고, 수형 커넥터와 접속가능한 암형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모터.
  10.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그 일단부에 테이퍼부를 갖는 정류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모터.
  11.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에 고정된 편심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모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체의 최대 회전 반경을 R, 상기 케이스의 외경을 D로 할 때, R>D/2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모터.
  13. 기판에 대해 고정된 지지부재와,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소형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저면부와, 모터 장전 공간을 통해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탄성 변형가능한 다수의 고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15. 저면부와, 모터 장전 공간을 통해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탄성 변형가능한 다수의 고정부를 갖는 지지부재와,
    고정자와, 회전자와, 이것들을 수납하는 케이스와, 상기 회전자로의 급전용 제1단자 및 제2단자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소형 모터를 가지며,
    상기 소형 모터의 지지부재로의 장전시에, 상기 회전자의 회전 반력에 의한 소형 모터의 상기 지지부재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수단을 설치한 모터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수단은, 소형 모터에 형성된 오목부와, 지지부재에 형성되어 오목부와 결합하는 볼록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16. 저면부와, 모터 장전 공간을 통해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탄성 변형가능한 다수의 고정부를 갖는 지지부재와,
    고정자와, 회전자와, 이것들을 수납하는 케이스와, 상기 회전자로의 급전용 제1단자 및 제2단자를 가지며, 지지부재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소형 모터를 가지며,
    상기 소형 모터의 지지부재로의 장전시에, 상기 회전자의 회전 반력에 의한 소형 모터의 지지부재에 대하여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수단을 설치한 모터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수단은, 소형 모터에 형성된 볼록부와, 지지부재에 형성되어, 볼록부와 결합하는 오목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17.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소형 모터를 가지며, 상기 소형 모터를 지지부재로의 장전할 때에, 소형 모터의 지지부재로의 부적정한 상태에서 장전을 방지하는 역 끼움 방지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저면부와, 모터 장전 공간을 통해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탄성변형가능한 다수의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소형 모터는 고정자와, 회전자와, 이것들을 수납하는 케이스와, 상기 회전자로의 급전용 제1단자 및 제2단자를 가지며,
    상기 소형 모터의 지지부재로의 장전시에, 제1단자 및 제2단자는 소정의 통전부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각각 도통하여, 회전자에 급전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역 끼움 방지수단은, 소형 모터와 지지부재에 형성되어, 소형 모터를 지지부재에 적정한 상태로 장전하는 경우에만 결합가능한 결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20.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역 끼움 방지수단은, 소형 모터에 형성된 볼록부와, 지지부재에 형성된 오목부를 가지며, 소형 모터를 지지부재에 적정한 상태로 장전하는 경우에만, 볼록부와 오목부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소형 모터의 축선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22.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역 끼움 방지수단은, 소형 모터에 형성된 오목부와, 지지부재에 형성된 볼록부를 가지며, 소형 모터를 지지부재에 적정한 상태로 장전되는 경우에만, 오목부와 볼록부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소형 모터의 한쪽 방향 또는 소형 모터의 지지부재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소형 모터의 선단부 또는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역 끼움 방지수단은, 소형 모터에 형성된 모서리부(角部)와, 지지부재에 형성된 걸어맞춤편을 가지며, 소형 모터를 지지부재에 적정한 상태로 장전하는 경우에만, 모서리부와 걸어맞춤편이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경을 D, 상기 모서리부에서의 케이스의 폭을 L로 하였을 때, L<D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소형 모터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는 지지부재의 후단부에 형성된 걸어맞춤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28. 제17항, 제18항, 제21항 또는 제23 내지 제2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소형 모터를 그 축선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29. 제17항, 제18항, 제21항 또는 제23항 내지 제2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된 편심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30. 제17항, 제18항, 제21항 또는 제23항 내지 제2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모터의 지지부재로의 장전시에, 소형 모터의 작동에 의한 소형 모터의 지지 부재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31. 제14항 내지 제18항, 또는 제21항 또는 제23항 내지 제2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역 끼움 방지수단은, 소형 모터의 축선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32. 제14항 내지 제18항, 또는 제21항 또는 제23항 내지 제2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모터의 축선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KR1019970709594A 1996-04-22 1997-03-19 소형 모터 및 모터 구동 장치 KR199900282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56296 1996-04-22
JP10056196 1996-04-22
JP96-100561 1996-04-22
JP96-100562 1996-04-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280A true KR19990028280A (ko) 1999-04-15

Family

ID=26441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9594A KR19990028280A (ko) 1996-04-22 1997-03-19 소형 모터 및 모터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4) EP1119089A3 (ko)
JP (1) JP3731210B2 (ko)
KR (1) KR19990028280A (ko)
CN (1) CN1195429A (ko)
DE (1) DE69733846T2 (ko)
TW (1) TW351027B (ko)
WO (1) WO199704056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418A (ko) * 2000-06-26 2002-01-05 이형도 휴대폰용 진동 모터의 전원 인가 구조
KR100691142B1 (ko) * 2004-11-08 2007-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Dc모터의 브러쉬 및 dc모터
KR100802504B1 (ko) * 2001-09-06 2008-02-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진동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1702B1 (fr) * 2002-06-27 2004-09-10 Somfy Actionneur electrique muni d'une piece de connexion
DE60327108D1 (de) * 2003-05-22 2009-05-20 Cqua Elektromotor zur montage in einem motorgestell und verfahren zur montage und positionierung desselben
JP2005198366A (ja) * 2003-12-26 2005-07-21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表面実装型振動モータ及び表面実装型振動モータの固定構造
JP2005295752A (ja) * 2004-04-02 2005-10-20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表面実装型振動モータ及びそれを搭載した携帯通信機器
TW200620788A (en) * 2004-08-10 2006-06-16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Surface mounting type vibration motor and mounting structure
JP2007075331A (ja) * 2005-09-14 2007-03-29 Samii Kk 加振源の保持構造、収納ケース、演出ボタンユニット、及び遊技機
JP4823694B2 (ja) * 2006-01-13 2011-11-24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小型ファンモータ
JP4891645B2 (ja) * 2006-04-14 2012-03-07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振動モータ
FR2904491B1 (fr) * 2006-07-31 2008-10-17 Somfy Sas Procede d'assemblage d'un actionneur tubulaire
WO2008096581A1 (ja) * 2007-02-06 2008-08-14 Mabuchi Motor Co., Ltd. モータ用ブラシ装置
JP5047663B2 (ja) * 2007-03-29 2012-10-10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モータ組立体
JP5060197B2 (ja) * 2007-08-06 2012-10-31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モータの基板実装構造
JP5590968B2 (ja) * 2010-05-31 2014-09-17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表面実装用モータ
JP5894473B2 (ja) * 2012-03-14 2016-03-3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光学ユニット
CN108616194B (zh) * 2012-10-12 2021-04-20 国际计测器株式会社 马达单元、扭转测试装置、线性致动器和振动装置
GB2510189A (en) * 2013-01-29 2014-07-30 Johnson Electric Sa Vibration Safe Motor Fixation in an Actuator
CN104638814B (zh) * 2013-11-13 2018-04-17 Abb技术有限公司 一种旋转装置
US9559561B2 (en) * 2013-11-14 2017-01-31 Nidec Motor Corporation Mounting base for motor/generator
CN109981865B (zh) * 2017-12-28 2020-10-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离心电机、电子装置以及调整电子装置角度的方法
CN108151186A (zh) * 2018-01-09 2018-06-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机支架及空调室外机
JP7131246B2 (ja) * 2018-09-25 2022-09-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モーター
TWI682620B (zh) * 2019-03-29 2020-01-11 台睿精工股份有限公司 線性振動馬達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6476U (ko) * 1979-01-22 1980-07-25
JPS5680648U (ko) * 1979-11-21 1981-06-30
JP2531124Y2 (ja) * 1987-10-08 1997-04-02 日本電気株式会社 モータ実装構造
JPH0632762Y2 (ja) * 1987-11-12 1994-08-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ファン装置
JPH0640439Y2 (ja) * 1988-04-27 1994-10-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モータの保持装置
JPH02136455U (ko) * 1989-04-15 1990-11-14
JPH031651U (ko) * 1989-05-18 1991-01-09
JPH0363060U (ko) * 1989-10-24 1991-06-20
JP2854679B2 (ja) * 1990-06-12 1999-02-03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電池型小型振動モータとこのモータを用いる振動利用装置
JP2545622Y2 (ja) * 1991-10-21 1997-08-25 マブチモーター株式会社 小型モータ用支持装置
JP3051222B2 (ja) * 1991-10-25 2000-06-12 マブチモーター株式会社 小型モータ
US5313129A (en) * 1993-08-05 1994-05-17 Ametek Technical Motor Division Sleeve bearing ground lead for motors
GB9323932D0 (en) * 1993-11-20 1994-01-05 Johnson Electric Sa Splashproof cover for a miniature electric motor
JP2591284Y2 (ja) * 1993-12-20 1999-03-03 ジェコー株式会社 接続端子構造
JPH08229253A (ja) * 1995-02-27 1996-09-10 Sanyo Electric Co Ltd モーターを内蔵する携帯用電気機器
JPH08275430A (ja) * 1995-03-31 1996-10-18 Copal Co Ltd 小型モー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418A (ko) * 2000-06-26 2002-01-05 이형도 휴대폰용 진동 모터의 전원 인가 구조
KR100802504B1 (ko) * 2001-09-06 2008-02-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진동모터
KR100691142B1 (ko) * 2004-11-08 2007-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Dc모터의 브러쉬 및 dc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0424A1 (en) 1998-05-06
WO1997040568A1 (fr) 1997-10-30
EP1119089A3 (en) 2001-11-14
EP1119090A2 (en) 2001-07-25
CN1195429A (zh) 1998-10-07
EP1119090A3 (en) 2001-11-14
EP1119090B1 (en) 2005-07-27
EP0840424A4 (en) 2000-06-14
DE69733846T2 (de) 2006-01-26
TW351027B (en) 1999-01-21
EP1119091A3 (en) 2001-11-14
JP3731210B2 (ja) 2006-01-05
EP1119091A2 (en) 2001-07-25
EP1119089A2 (en) 2001-07-25
DE69733846D1 (de) 200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8280A (ko) 소형 모터 및 모터 구동 장치
KR100431061B1 (ko) 진동모터
US6954015B2 (en) Motor
US7969053B2 (en) Flat type vibration motor with increased vibration amount
US7265465B2 (en) Small-sized motor, small-sized vibration motor, and portable information device
US6271610B1 (en) Electromagnetic vibrator and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JP2003174753A5 (ko)
US8513844B2 (en) Motor
US6765331B2 (en) Eccentric rotor having high density memb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lat coreless vibrator motor using the eccentric rotor
KR20110023834A (ko) 모터
KR100541103B1 (ko) 바-타입 진동모터
US11942740B2 (en) Motor having columnar brush
KR100853239B1 (ko)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CN111668974A (zh) 电刷保持构造以及马达
US7088022B2 (en) Axial air-gap vibration motor
JPH11299165A (ja) 小型dcモータ
CN211239584U (zh) 一种安装方便的微型扁平马达
JP2000324763A (ja) 小型モータおよびモータホルダ
JP5502380B2 (ja) モータ
JP2007215375A (ja) モータ装置、及びモータ装置製造方法
KR20020009408A (ko) 모터
JP2003134721A (ja) 小型振動モータ
KR100743892B1 (ko) 진동모터
JPWO2003098779A1 (ja) モータ
JP2007221883A (ja) モータ装置、及びモータ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