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6882A - 음량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음량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6882A
KR19990026882A KR1019970049196A KR19970049196A KR19990026882A KR 19990026882 A KR19990026882 A KR 19990026882A KR 1019970049196 A KR1019970049196 A KR 1019970049196A KR 19970049196 A KR19970049196 A KR 19970049196A KR 19990026882 A KR19990026882 A KR 19990026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noise
level
volume control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태경
김민석
Original Assignee
김덕중
사단법인 고등기술연구원 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중, 사단법인 고등기술연구원 연구조합 filed Critical 김덕중
Priority to KR1019970049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6882A/ko
Publication of KR19990026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882A/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위의 환경에서의 잡음을 측정하고 잡음에 따라 적응하여 적당한 음이 출력부, 통신 단말의 경우에는 수화부, 그리고 A/V(Audio/Video) 기기인 경우에는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자동 설정되어 음량을 출력하도록 하는 음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모든 A/V 기기 및 통신 단말기의 음량 조절은 외부의 영향에 관계없이 수동으로 조작함으로 인하여 크게 또는 작게 설정된 음량으로 인하여 불쾌감을 느끼거나, 또는 재설정 하기 전의 음성 또는 음향을 듣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통신 단말 기기 또는 A/V 기기의 사용함에 따라 음량이 자동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중 큰 음량으로 인한 불쾌감 및 적은 음량으로 인한 음성을 놓치는 불편함을 없앰으로써, 상술한 결점을 개선시킬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음량 제어 장치
본 발명은 음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위의 환경에서의 잡음을 측정하고 잡음에 따라 적응하여 적당한 음이 출력부, 통신 단말의 경우에는 수화부, 그리고 A/V(Audio/Video) 기기인 경우에는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자동 설정되어 음량을 출력하도록 하는 음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모든 A/V 기기 및 통신 단말기의 음량 조절은 외부의 영향에 관계없이 수동으로 조작함으로 인하여 크게 또는 작게 설정된 음량으로 인하여 불쾌감을 느끼거나, 또는 재설정 하기 전의 음성 또는 음향을 듣지 못하였으며, 특히, 종래의 통신 단말기에서는 가입자가 수화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상대편 통화자의 출력음을 듣고 자신에게 알맞은 음을 결정하여 수동으로 음량을 조종하므로 인하여 최초에 상대편 가입자로부터 착신되는 음성을 놓치는 경우가 발생하며, 수동으로 수화부를 귀에 대고 적당한 음량을 찾아 음을 조절하므로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A/V 기기 또는 통신 단말기에서의 음량을 주위의 환경에서의 수신된 잡음에 따라 적당한 음량이 출력되도록 하는 음량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중 잡음 성분을 검출하는 잡음 검출부와, 소정의 레벨을 갖는 소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준 레벨 발생부와, 잡음 검출부의 검출 신호와 기준 레벨 발생부의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비교값을 출력하는 비교부와, 비교부의 비교값을 입력 받아 잡음의 크기에 따라 기준 레벨 발생부가 발생 시키는 기준 신호의 레벨을 재설정하며, 잡음의 크기에 따라 음량 제어용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마이콤의 음량 제어용 신호에 따라 해당 시스템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 조절부를 포함하는 음량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량 제어 장치를 설명한 블록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잡음 검출부 104 : 기준 레벨 발생부
106 : 비교부 108 : 마이콤
110 : 음량 조절부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 만을 제거하고 잡음만을 출력하는 잡음 검출부(102)와, 기준 주파수 레벨을 발생시키는 기준 레벨 발생부(104)와, 잡음 검출부(102)를 통과하여 입력된 음성이 제거되고 남은 잡음 주파수 레벨과 기준 레벨 발생부(104)를 통과하여 입력된 기준 주파수 레벨을 비교하고 비교값을 출력하는 비교부(106)와, 비교부(106)을 통하여 입력된 비교값을 수신하여 출력음의 음량을 결정하고, 기준 주파수 레벨을 재설정하는 마이콤(108)과, 마이콤(108)으로부터 입력된 출력 음량의 레벨을 수신하여 수화기 또는 스피커 등의 출력 장치를 통하여 휴대폰 가입자가 또는 A/V 사용자가 설정된 적당한 레벨의 음량을 듣도록 하는 음량 조절부(11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음량 제어하기에 적합한 장치의 블록 구성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통신 기기 가입자가 발신/착신하여 상대편 가입자와 통화가 이루어 지거나, 또는 A/V 기기의 파워온(Power on)으로 해당 마이크 또는 송화부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하여 음성과 잡음이 혼합된 음향이 입력된다.
여기서, 통신 기기인 경우에는 송화부를 입력 장치로 설정하고 A/V 기기인 경우에는 마이크를 설치하여 음을 감지하여 잡음 검출부(102)로 입력시킨다.
상술한 송화부 또는 마이크를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 및 잡음등이 혼재된 음향이 잡음 검출부(102)로 입력되고 잡음 검출부(102)는 음성 신호가 제거된 잡음만을 출력한다.
잡음 검출부(102)는 입력된 음향중에서 음역대인 300-3400Hz 대의 음성 대역의 음역을 밴드 스탑 필터(Band Stop Filter)를 사용하여 해당 음역의 음성을 제거하거나, 또는, 원하는 잡음의 영역대가 가장 많이 분포한 해당 음역대의 주파수를 설정하고 해당 잡음 영역이 존재하는 주파수 영역만을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를 사용하여 음성 영역의 주파수 영역대는 제거된 잡음 영역만을 출력하도록 한다.
기준 레벨 발생부(104)는 최초에 기준 주파수 레벨을 기억하고 있으며, 잡음 검출부(102)에서 입력된 잡음과 기준 주파수 레벨을 비교부(106)로 전송하여 두 레벨을 비교하도록 한다.
그리고, 기준 레벨 발생부(104)는 비교기(106)을 통하여 비교되어 입력된 주파수 레벨과 마이콤(108)에서 이전에 보유한 기준 주파수 레벨값을 펄스 폭 변조 등의 방법으로 비교하도록 한다.
마이콤(108)은 가입자가 가입자 또는 A/V 기기 사용자가 쾌적하게 들을 수 있는 기준 주파수 레벨을 재결정하여 기준 레벨 발생부(104) 내에 재설정하고 이전에 보유한 기준 주파수 레벨 값을 재설정한 값으로 교체한다.
비교부(106)는 잡음 검출부(102)를 통과하여 입력된 음성이 제거되고 남은 잡음 주파수 레벨과 기준 레벨 발생부(104)내의 재설정된 기준 주파수 레벨을 반복적으로 비교하여 비교값을 마이콤(108)으로 출력한다.
마이콤(108)에서는 비교부(106)에서 기준 레벨 발생부(104)로 비교 입력되어진 레벨을 입력 받아 기준 레벨 발생부(104)가 주파수 레벨을 반복적으로 재설정하도록 한다.
즉, 잡음 검출부(102)를 통하여 입력된 잡음 영역의 주파수 레벨과 기준 레벨 발생부(104)에서 입력된 기준 주파수 레벨을 비교부(106)를 통하여 기준 주파수 레벨 값과 잡음 주파수 레벨 값의 비교된 값을 수신하여 기준 신호 발생기(104)로 재설정 할 기준 주파수 값을 입력하여 기준 주파수 신호를 반복적으로 재설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마이콤(108)은 음량 조절부(110)로부터 기준 주파수 레벨 값과 잡음 주파수 레벨 값의 비교된 값을 수신하여 해당 출력 음량의 주파수 레벨을 결정하여 음량 조절부(110)로 하여금 설정된 쾌적한 음량의 값으로 출력값을 수화부 또는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한다.
음량 조절부(110)는 가장 적당한 음량 레벨을 마이콤(108)으로부터 설정 받아 설정된 가장 적당한 음량을 출력하여 해당하는 음량을 수화부 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통신 단말을 통하여 가입자에게 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A/V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해당하는 적당한 음량 레벨을 통신 단말기의 가입자 또는 A/V 사용자가 주위 환경의 잡음 주파수 레벨의 변화에 따라 변경되어 가장 쾌적한 음량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비교부(106)를 통과한 출력은 마이콤(108)으로 입력되는데 비교되어 출력된 결과를 수신한 마이콤(108)은 펄스 폭 변조기(Pulse Width Modulation)를 사용하여 한 단계 전에 기준 주파수 레벨로 사용한 주파수 레벨과 비교부(106)에서 비교되어 입력된 주파수 레벨을 펄스 폭 변조기를 사용하여 적절한 기준 주파수 레벨을 설정하고 기준 레벨을 반복적으로 변경하도록하는 루프를 형성하여 주위의 잡음의 입력이 변경됨에 따라서 기준 레벨 발생부의 기준 주파수 레벨도 변경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서 출력되는 출력 음량도 주위에서 계속적으로 입력되는 음향의 변화에 따라 변경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 단말 기기 또는 A/V 기기의 사용함에 따라 음량이 자동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중 큰 음량으로 인한 불쾌감 및 적은 음량으로 인한 음성을 놓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정 장치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원리를 전술하였는데, 이러한 기술된 바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

  1.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중 잡음 성분을 검출하는 잡음 검출부(102)와;
    소정의 레벨을 갖는 소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준 레벨 발생부(104)와;
    상기 잡음 검출부(102)의 검출 신호와 상기 기준 레벨 발생부(104)의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비교값을 출력하는 비교부(106)와;
    상기 비교부(106)의 비교값을 입력 받아 상기 잡음의 크기에 따라 상기 기준 레벨 발생부(104)가 발생 시키는 기준 신호의 레벨을 재설정하며, 상기 잡음의 크기에 따라 음량 제어용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108)과;
    상기 마이콤(108)의 음량 제어용 신호에 따라 해당 시스템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 조절부(110)를 포함하는 음량 제어 장치.
KR1019970049196A 1997-09-26 1997-09-26 음량 제어 장치 KR199900268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196A KR19990026882A (ko) 1997-09-26 1997-09-26 음량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196A KR19990026882A (ko) 1997-09-26 1997-09-26 음량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882A true KR19990026882A (ko) 1999-04-15

Family

ID=66045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196A KR19990026882A (ko) 1997-09-26 1997-09-26 음량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68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018B1 (ko) * 1999-01-23 2002-02-04 윤종용 음성대역 잡음 보상장치
KR101007704B1 (ko) * 2008-10-23 2011-01-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음향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9866707B2 (en) 2014-04-16 2018-01-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volume of user terminal, and terminal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018B1 (ko) * 1999-01-23 2002-02-04 윤종용 음성대역 잡음 보상장치
KR101007704B1 (ko) * 2008-10-23 2011-01-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음향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9866707B2 (en) 2014-04-16 2018-01-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volume of user terminal, and terminal
US10200545B2 (en) 2014-04-16 2019-02-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volume of user terminal, and terminal
US10516788B2 (en) 2014-04-16 2019-12-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volume of user terminal, and terminal
US10554826B2 (en) 2014-04-16 2020-02-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volume of user terminal, and terminal
US11044369B2 (en) 2014-04-16 2021-06-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volume of user terminal, and terminal
US11483434B2 (en) 2014-04-16 2022-10-2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volume of user terminal, and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210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ound
KR20010014327A (ko) 전화 울림신호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2200001A (ja) 自動利得制御回路
JPH10304030A (ja) 携帯電話装置
JP2606171B2 (ja) 受話音量自動可変回路
US20140257799A1 (en) Shout mitigating communication device
US7023984B1 (en) Automatic volume adjustment of voice transmitted over a communication device
KR19990026882A (ko) 음량 제어 장치
JPH05122325A (ja) 無線拡声電話装置
JPH07221821A (ja) エコーを減衰するための装置と方法
KR20010017204A (ko) 휴대폰의 착신음 음량 레벨 제어방법
JPH0294954A (ja) ダイヤル確認音出力回路
JPH1042005A (ja) 呼び出し音自動調整装置
WO2012144887A1 (en) Voice immersion smartphone application or headset for reduction of mobile annoyance
JPH10290282A (ja) ハンズフリー制御回路
KR100242410B1 (ko) 전화단말기에서통화시볼륨제어장치및방법
JPH03151746A (ja) 高齢者用電話機
JPH11187112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KR940008777B1 (ko) 전화기의 자동재다이얼 제어회로 및 방법
JPH03117257A (ja) ハンズフリー回路
JPH0522382A (ja) 電話機
KR0177317B1 (ko) 전화기의 이어폰을 이용한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청취 장치 및 방법
JPH07231276A (ja) 携帯用無線電話装置
JPH06252987A (ja) 音声通信装置
KR20020094772A (ko) 전화기의 벨소리 조절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