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2018B1 - 음성대역 잡음 보상장치 - Google Patents

음성대역 잡음 보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2018B1
KR100322018B1 KR1019990002066A KR19990002066A KR100322018B1 KR 100322018 B1 KR100322018 B1 KR 100322018B1 KR 1019990002066 A KR1019990002066 A KR 1019990002066A KR 19990002066 A KR19990002066 A KR 19990002066A KR 100322018 B1 KR100322018 B1 KR 100322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control
signal
voice
control circuit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1544A (ko
Inventor
김재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02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2018B1/ko
Publication of KR20000051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0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2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 H04M19/04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according to the level of ambien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잡음 보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이동 전화기나 음향기기의 사용시, 음성대역에서 발생되는 외부 잡음의 변화를 보상하여, 항상 일정한 출력을 유지하는, 음성대역 잡음 보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음성대역 잡음의 크기가 변화하는 환경에 위치한 음향기기나 이동 전화기에 있어서,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입력받으며 음량 제어값에 따라 상기 전기적인 음성 신호의 크기를 제어하는 음량제어회로와;상기 음량제어회로에 의하여 크기가 제어된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외부잡음을 수집하여 양자화함으로써 제 1 양자화 신호를 생성하는 잡음 수집부;상기 음량제어회로에 의하여 크기가 제어된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양자화함으로써 제 2 양자화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양자화부;상기 제 1 양자화 신호와 제 2 양자화 신호의 비율을 계산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에 의하여 계산된 비율에 따라 상기 음량제어회로의 음량 제어값을 결정하는 음량 제어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성대역 잡음 보상장치{APPARATUS FOR COMPENSATING VOICE BAND NOISE}
본 발명은 외부잡음(voice band noise) 보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Cellular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을 위한 이동 전화기(Mobile Telephone)나 음향기기(Acoustic Device)의 사용시 음성대역(Voice Band)에서 발생되는 외부 잡음의 변화를 보상하여, 항상 일정한 출력을 유지하는, 음성대역 잡음 보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기기나 이동 전화기의 경우, 상기 음향기기나 이동 전화기의 위치가 이동되거나 주변환경이 변화되면, 음향기기나 이동 전화기로 유입되는 음성대역의 외부잡음이 증가된다. 통상적인 음향기기나 이동 전화기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음량(Volume) 제어장치를 가진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한 음량 제어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그 음량을 제어하는 음량제어회로(110)와, 음량제어회로(11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120)와,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하여 상기 음량제어회로의 음량 제어량을 결정하는 음량 제어부(130)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외부잡음이 증가되면 음량 제어부(130)를 조절하여 음량 제어량을 증가시킨다. 음량 제어량이 증가되면, 상기 음량제어회로(110)는 음성 신호를 음량 제어량만큼 증폭한 다음, 스피커(120)로 전달한다. 외부잡음이 감소되면, 사용자는 다시 음량 제어부(130)를 조절하여 음량을 감소시킨다.
외부잡음은 매우 불규칙하게 변화하는데, 상기와 같은 음량 제어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외부잡음이 변화될 때마다 일일이 음량을 조절해 주어야만 한다. 게다가 이동 전화기의 경우, 외부잡음이 본래의 음성신호를 매우 심하게 훼손하게 되면, 통화를 중단하고 다시 통화를 시도하여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음향기기나 이동 전화기에 있어서는, 음성대역의 외부잡음이 증가되면 수동으로 그 음량을 조절하여야 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하였으며, 특히 이동 전화기의 경우 현재의 통화를 중단하여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음향기기나 이동 전화기의 사용시 위치이동이나 주변환경의 변화로 인한 외부잡음의 변화를 자동으로 보상할 수 있도록, 외부잡음의 증감에 따라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음량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음성대역 잡음 보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한 음량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음성대역 잡음 보상장치 구성의 일 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음량제어회로 120 : 스피커
130 : 제어부
210 : 음량제어회로 220 : 스피커
230 : 외부잡음 수집센서 240 : 잡음 양자화부
250 : 신호 양자부 260 : 비교부
270 : 음량 제어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따른 음성대역 잡음 보상장치의 실시예는,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음성대역 잡음의 크기가 변화하는 환경에 위치한 음향기기나 이동 전화기에 있어서,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입력받으며 음량 제어값에 따라 상기 전기적인 음성 신호의 크기를 제어하는 음량제어회로;
상기 음량제어회로에 의하여 크기가 제어된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외부잡음을 수집하여 양자화함으로써 제 1 양자화 신호를 생성하는 잡음 수집부;
상기 음량제어회로에 의하여 크기가 제어된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양자화함으로써 제 2 양자화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양자화부;
상기 제 1 양자화 신호와 제 2 양자화 신호의 비율을 계산하는 비교부;
상기 계산된 비율에 따라 상기 음량제어회로의 음량 제어값을 결정하는 음량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음성대역 잡음 보상장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그 크기를 제어하는 음량제어회로(210)와, 음량제어회로(21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220), 외부잡음을 수집하는 외부잡음 수집센서(230), 수집된 외부잡음을 양자화하여 제 1 양자화 신호를 생성하는 잡음 양자화부(240), 상기 음량제어회로(210)의 출력 신호를 양자화하여 제 2 양자화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양자화부(250), 상기 제 1 양자화 신호와 제 2 양자화 신호의 비율을 계산하는 비교부(260), 상기 계산된 비율에 따라 상기 음량제어회로(210)의 음량 제어값을 결정하는 음량 제어부(27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외부잡음 수집센서(230)는 외부잡음을 수집하며, 잡음 양자화부(240)는 수집된 외부잡음을 제 1 양자화 신호로 양자화한다. 신호 양자화부(250)는 스피커(220)로 출력되는 신호를 피드백시키고 피드백된 상기 신호를 제 2 양자화 신호로 양자화한다.
비교부(260)는 상기 양자화된 두 신호를 비교한 다음 그 결과를 음량 제어부(27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제 2 양자화 신호에 대한 제 1 양자화 신호의 비율을 음량 제어부(270)로 전달한다.
음량 제어부(270)는 상기 비교 결과를 참조하여 음량제어회로(210)의 음량 제어값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양자화 신호에 대한 제 1 양자화 신호의 비율이 기준 비율보다 크면 외부 잡음이 증가된 것이라고 판단하고 음량의 제어값을 증가시킨다. 또한 제 2 양자화 신호에 대한 제 1 양자화 신호의 비율이 기준 비율보다 작으면 외부 잡음이 감소된 것이라고 판단하고 음량의 제어값을 감소시킨다.
상기 음량제어회로(210)는 상기 음량 제어부가 결정한 제어값만큼 상기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증폭한다. 비교결과의 증감은 음량제어회로(210)를 제어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스피커(220)로 출력되는 신호음량의 증감으로 나타난다.
상기와 같은 절차는 상기 비교부(260)의 비교결과, 즉 제 2 양자화 신호에 대한 제 1 양자화 신호의 비율이 기 입력되어 있는 기준 비율과 일치할 때까지 반복되어 스피커(220)로 출력되는 신호는 음성 신호와 잡음의 비율이 일정하도록 항상 유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스피커로 출력되는 신호와 외부 잡음을 비교하고 스피커로 출력되는 신호의 음량을 조절함으로써, 위치이동에 따라 주변환경이 변화되어 잡음이 증감었을 때 이러한 잡음의 증감을 보상하여 항상 양호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음성대역 잡음 보상장치를 음향기기나 이동 전화기에 적용하는 경우 해당 음향기기나 이동 전화기는 주변잡음의 변화에 관계없이 언제나 일정한 음량의 음성을 출력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언제나 양호한 음성을 들을 수 있다.

Claims (4)

  1.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입력받으며 음량 제어값에 따라 상기 전기적인 음성 신호의 크기를 제어하는 음량제어회로와;
    상기 음량제어회로에 의하여 크기가 제어된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외부잡음을 수집하여 양자화함으로써 제 1 양자화 신호를 생성하는 잡음 수집부;
    상기 음량제어회로에 의하여 크기가 제어된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양자화함으로써 제 2 양자화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양자화부;
    상기 제 1 양자화 신호와 제 2 양자화 신호의 비율을 계산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에 의하여 계산된 비율에 따라 상기 음량제어회로의 음량 제어값을 결정하는 음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성대역 잡음 보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량제어회로는, 입력받은 전기적인 음성 신호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출력되는 음성의 음량을 제어하는, 음성대역 잡음 보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수집부는,
    외부잡음 수집센서;
    상기 외부잡음 수집센서에 의하여 수집된 외부잡음을 양자화하여 제 1 양자화 신호를 생성하는 잡음 양자화부를 포함하는, 음성대역 잡음 보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잡음 수집센서는 음성대역의 외부잡음을 수집하는, 음성대역 잡음 보상장치.
KR1019990002066A 1999-01-23 1999-01-23 음성대역 잡음 보상장치 KR100322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066A KR100322018B1 (ko) 1999-01-23 1999-01-23 음성대역 잡음 보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066A KR100322018B1 (ko) 1999-01-23 1999-01-23 음성대역 잡음 보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544A KR20000051544A (ko) 2000-08-16
KR100322018B1 true KR100322018B1 (ko) 2002-02-04

Family

ID=19572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066A KR100322018B1 (ko) 1999-01-23 1999-01-23 음성대역 잡음 보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20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4381A (ko) 2020-01-21 2021-07-29 삼광선재 주식회사 거푸집 전용 가설구조재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739A (ko) * 1987-08-28 1989-04-17 이삭 야코브스키 부스피론의 다형성결정질 형태의 전환 방법
KR980005026A (ko) * 1996-06-29 1998-03-30 김주용 플래쉬 메모리 장치
KR980005026U (ko) * 1996-06-28 1998-03-30 외부잡음에 의한 오디오 음량레벨 자동조절 장치
KR19990026882A (ko) * 1997-09-26 1999-04-15 김덕중 음량 제어 장치
KR19990059602A (ko) * 1997-12-31 1999-07-26 전주범 주위잡음의영향을고려한휴대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739A (ko) * 1987-08-28 1989-04-17 이삭 야코브스키 부스피론의 다형성결정질 형태의 전환 방법
KR980005026U (ko) * 1996-06-28 1998-03-30 외부잡음에 의한 오디오 음량레벨 자동조절 장치
KR980005026A (ko) * 1996-06-29 1998-03-30 김주용 플래쉬 메모리 장치
KR19990026882A (ko) * 1997-09-26 1999-04-15 김덕중 음량 제어 장치
KR19990059602A (ko) * 1997-12-31 1999-07-26 전주범 주위잡음의영향을고려한휴대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4381A (ko) 2020-01-21 2021-07-29 삼광선재 주식회사 거푸집 전용 가설구조재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544A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50378B1 (en) Side-tone control within a telecommunication instrument
CN100514989C (zh) 通信设备话筒增益调节器
US4560840A (en) Digital handsfree telephone
CN101267189A (zh) 音量自动调节装置、方法以及移动终端
US8363820B1 (en) Headset with whisper mode feature
JP2730868B2 (ja) オーディオシステムおよび明瞭度増加方法
KR20010014327A (ko) 전화 울림신호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3012905B2 (ja) 包絡線検波器を備えた電話機用の集積回路
CN101415045A (zh) 通信网中实现智能自动电平控制的方法与装置
JP3204287B2 (ja) 信号処理器においてノイズ・バースト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1089526A2 (en) Telephone with sound customizable to audiological profile of user
KR100742140B1 (ko) 이동전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 이득을 자동으로 조정하는방법 및 장치
KR100322018B1 (ko) 음성대역 잡음 보상장치
US6487178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olume control in communicating systems including a linear echo canceler
US708539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multi-mode audio gain balance
KR0120594B1 (ko) 전화기의 자동음량 제어장치
CN101562461B (zh) 模拟信号时分收发信机及模拟信号时分传输方法
JPH02250455A (ja) 電話機のスピーカ音量可変方式
KR10038641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 폰 장치 및 스피커 폰장치에서의 스피커 하울링 제거방법
JPH11187112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H05235789A (ja) 音声通信端末装置
JPH04352545A (ja) スピーカーホーン付電話装置
JPH03289743A (ja) 電話器
WO2015111415A1 (ja) 音声スイッチ及びそれを用いる通話装置、通話システム
JPH0421298A (ja) 音声レベル調整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