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563A - 거대액정에 의해 안정화된 레티노이드를 함유하는 친수형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거대액정에 의해 안정화된 레티노이드를 함유하는 친수형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563A
KR19990025563A KR1019970047231A KR19970047231A KR19990025563A KR 19990025563 A KR19990025563 A KR 19990025563A KR 1019970047231 A KR1019970047231 A KR 1019970047231A KR 19970047231 A KR19970047231 A KR 19970047231A KR 19990025563 A KR19990025563 A KR 19990025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glyceryl
surfactant
cosmetic composition
alkylglucose
retin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8674B1 (ko
Inventor
강학희
조준철
김중수
이옥섭
Original Assignee
서경배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배,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서경배
Priority to KR1019970047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8674B1/ko
Priority to US08/956,291 priority patent/US5980917A/en
Priority to JP31288897A priority patent/JP3447935B2/ja
Publication of KR19990025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6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1Vitamin A; Derivatives thereof, e.g. ester of vitamin A acid, ester of retinol, retinol, re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티노이드를 함유하는 친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전이 온도가 높은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유적 계면에 액정만을 형성하고, 그 내상에 레티노이드를 함유시켜 레티노이드를 안정화시킨 친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전이 온도가 높은 계면활성제에 의해 형성되는 거대액정(SMLC : Super multi liquid crystal)내에 레티노이드를 함유하는 내상을 고정시킴으로써, 외상인 물에 존재하는 산소로부터의 공격을 차단하여 레티노이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45℃에서 4주간 보관하였을 때, 레티노이드는 82%가 유지되었다.

Description

거대액정에 의해 안정화된 레티노이드를 함유하는 친수형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레티노이드를 함유하는 친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전이 온도가 높은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유적 계면에 액정만을 형성하고, 그 내상에 레티노이드를 함유시켜 레티노이드를 안정화시켜 친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에 있어서, 피부 노화를 지연시키기 위하여, 피부 세포 분화를 촉진시키며 콜라젠의 합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물질로서 생체에 안전한 물질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물질로서 최근 관삼이 집중되고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 비타민류의 활용이다. 비타민 중에서도, 특히 피부상태 개선에 효과가 뛰어난 성분인 레티노이드에 많은 관심이 모여지고 있다.
레티노이드는 주름, 피부 거칠음, 건조함, 이상각화 등에 의해 노화된 피부회복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미국특허 제 4,603,146 호, 미국특허 제 4,877,805 호). 레티노이드에는 레티놀(retinol)을 비롯하여 레티날(retinal), 레티닐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 레티닐아세테이트(retinyl acetate), 레틴산(retinoic acid) 등이 있으며, 특히 효능과 피부안전성을 고려할 때 피부에는 레티놀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주름방지 효과 등의 우수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레티놀은 대기중이나 수용액중에서 쉽게 산화되어 조성물내에서 안정도가 떨어지고, 그에 상당하는 만큼 그의 역가가 저하되어 화장료에서의 제제화가 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레티놀의 안정화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친수형 유화(oil in water emulsion)에서는, 항산화제인 BHT(butylated hydroxytolune : 부틸레이티드 히드록시톨루엔)나, BHA(butylated hydroxyanisole : 부틸레이티드 히드록시아니솔), 토코페롤 및 그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비타민 C), 구연산(citric acid) 등에 의해 안정화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 4,466,805 호에는 레티놀을 항산화제인 BHT, dl-α-토코페롤과 킬레이팅제인 EDTA로 안정화시킨 친수형 화장료가 기재되어 있으며, 미국특허 제 4,247,547 호에는 레티놀을 BHT, BHA, 아스코르빈산, 프로필갈레이트(propylgallate), α-토코페롤 등의 항산화제로 안정화시킨 젤타입의 화장료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레티노이드가 이러한 항산화제들에 의해 어느 정도까지는 안정화될 수 있다하더라도, 과량의 항산화제가 사용되어 피부개선에 거의 도움을 주지 못하고 오히려 피부 부작용이 우려되며, 또한 외상에 존재하는 물과의 접촉이 차단되지 않는 한, 레티노이드의 안정화는 한계가 있다. 특히, 수용액을 매개로 한 산소 공격에 의해 레티노이드의 불안정화가 가속화되기 때문에, 레티노이드의 안정화에 대한 연구는 항산화제 외에 유화시스템의 구조적인 측면에서 활발해지고 있다.
한편, 친수형 유화(water in oill emulsion)에서는 내상의 물이 외상의 오일막으로 차단되어 있어 더 이상 대기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을 수 없기 때문에 친수형 화장료에 비해 레티노이드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하, 미국특허 제 4,826,828 호에는 이러한 유화시스템에 BHT, BHA 등의 지용성 항산화제를 병용하여 레티노이드를 안정화시키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친수형 화장료는 친수형에 비해 피부에서의 사용감이 오일리하고 끈적임이 있으며, 유화 자체를 안정화시키기도 어려운 단점이 있어 많은 화장품이 친수형으로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사용감이 우수한 친수형 화장료에서 레티노이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레티노이드를 안정화시키기 위해서는, 가능한한 공기 및 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친수형 화장료에서 내상에 존재하는 레티노이드와 외상에 존재하는 물과의 접촉을 피하고, 서로간의 이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과정으로 수행되었다.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 지방 알콜, 폴리올 등이 적절히 배합되면 액정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액정은 유동성(flexible)이 있어 액정막을 통하여 내외상간의 이동이 일어나게 되어 레티노이드의 안정화가 어렵다. 본 발명자는 액정형성에 있어서 상전이 온도가 높은 계면활성제를 적절히 사용하는 경우, 내상을 둘러싸고 거대한 띠 모양의 액정이 형성됨을 발견하게 되었으며, 그 막이 매우 단단하고 폭이 넓어 내상을 고정화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내외상간의 물질 이동이 크게 줄어드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전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감이 우수한 친수형 화장료에서 레티노이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적용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드러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의 SMLC의 형성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친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45℃ 이상의 상전이온도를 갖는 계면활성제 0.5~20중량%와, 지방알콜 0.1~10중량% 및 콜레스테롤 0.1~10중량%로 형성되는 액정의 내상에 레티노이드를 함유시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친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활성성분으로서 레티놀, 레티날 및 레틴산 또는 이들의 에스테르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레티노이드를 100~50,000 IU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레티노이드를 친수형 화장료 중에서 안정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액정 형성물질로서 지방알콜 및 콜레스테롤과 함께, 상전이온도가 45℃ 이상인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글리세릴(n=2~12)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테트라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펜타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모노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디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트리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테트라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펜타팔미테이트, 스테아릴 폴리글루코스, 세토스테아릴(cetearyl) 폴리글루코스, 폴리글리세릴(n=2~12) 알킬글루코스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알킬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알킬글루코스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알킬글루코스 테트라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알킬글루코스 펜타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알킬글루코스 모노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알킬글루코스 디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알킬글루코스 트리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알킬글루코스 테트라팔미테이트 및 폴리글리세릴(n=2~12) 알킬글루코스 펜타팔미테이트를 포함하며, 이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특징적인 예로는, 시판되고 있는 NIKKOMULESE-41(Nikko Chemical社 제조 :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베헤닐 알콜(behenyl alcohol)-소듐 스테아로일 락테이트(sodium stearoyl lactylate)), EMULGADEPL-1618(Henkel社 제조 : 세토스테아릴 알콜-세토스테아릴 폴리글루코스) 또는 TEGOCARE 450(Gold Smith社 제조 :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5~20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45℃ 이상의 상전이온도를 갖는 계면활성제와 지방알콜 및 콜레스테롤을 적절히 배합하여 소량의 정제수와 함께 혼합하면, 과량의 계면활성제와 지방알콜, 콜레스테롤은 정제수내에서 라멜라형태로 존재하게 되고, 내상인 오일 주변에는 두터운 액정막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형성되는 액정마은 거대한 띠 모양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거대액정상(SMLC : Super Multi Liquid Crystal)이라 명명하였다.
본 발명의 친수형 화장료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살펴보면,
(1) SMLC 베이스의 제조단계 :
45℃ 이상의 상전이온도를 갖는 계면활성제와 지방알콜 및 콜레스테롤을 적절히 배합하여 소량의 정제수와 함께 약 70℃에서 혼합, 유화시키고, 내상인 레티노이드를 첨가한 후, 이를 실온으로 냉각하여 SMLC 베이스를 만든다.
(2) 젤상 베이스의 제조단계 :
수상에 액정 형성을 위한 계면활성제와 동일한 종류의 계면활성제를 가하여 유화시킨 후, 이를 실온으로 냉각하고, 여기에 적당량의 수용성 폴리머를 가하여 젤상 베이스를 만든다.
(3) 혼합단계 :
상기한 (2)의 젤상 베이스에 (1)의 SMLC 베이스를 혼합하여 친수형 화장료를 만든다.
상기한 (2)의 젤상 베이스에는 임계미셀농도 이상의 계면활성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액정을 구성하고 있는 계면활성제가 젤상으로 급격하게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친수형 화장료에서는 내상을 둘러싸고 있는 SMLC는 상전이온도 이하인 실온에서 단단한 막을 형성하게 되고, 이로 인해 내외상간의 물질이동을 막아주게 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후술하는 시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친수형 화장료에서는, 45℃에서 4주관 보관하여 레티노이드를 82%까지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레티노이드의 안정화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에 EDTA 등의 킬레이팅제와, BHT, BHA 등의 항산화제를 더 배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7]
[실시예 1-7]
[제조방법]
(1) 원료 1-14와 원료 15-16을 각각 70℃로 가열한 후 혼합, 유화(3,600rpm/3분)하고, 원료 27 또는 원료 28을 첨가한 후 이를 실온으로 냉각하여 SMLC 베이스를 만들었다.
(2) 원료 17~20과 원료 21~23를 각각 70℃로 가열한 후 혼합, 유화하고, 원료 26을 첨가한 후, 원료 24~25를 첨가하고 이를 실온으로 냉각하여 젤상 베이스를 만들었다.
(3) 실온에서 (2)의 젤상 베이스에 (1)의 SMLC 베이스를 넣고 교반하여 친수형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레티놀 역시 측정 :
친수형 화장료 중에서의 레티놀 역가를 HPLC(5㎛, C8칼럼(길이 25㎝ × 직경 4.6㎜), 에탄올 추출)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SMLC 형성 및 레티놀 역가 측정 결과
이상의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서와 같이 45℃ 이상의 상전이온도를 갖는 계면활성제와 지방알콜 및 콜레스테롤을 적절히 배합하여 형성되는 액정내에 레티노이드를 고정시킴으로써 외상의 물로부터 레티노이드를 안정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전이 온도가 높은 계면활성제를 이용함으로써 레티노이드를 친수형 화장료 중에서 안정화시킬 수 있다.

Claims (6)

  1. 레티노이드를 함유하는 친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45℃ 이상의 상전이온도를 갖는 계면활성제 0.5~20중량%와, 지방알콜 0.1~10중량% 및 콜레스테롤 0.1~10중량%로 형성되는 액정의 내상에 레티노이드를 함유시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형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레티노이드는 레티놀, 레티날 및 레틴산 또는 이들의 에스테르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100~50,000 IU의 양을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형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45℃ 이상의 상전이온도를 갖는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n=2~12)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테트라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펜타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모노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디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트리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테트라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펜타팔미테이트, 스테아릴 폴리글루코스, 세토스테아릴(cetearyl) 폴리글루코스, 폴리글리세릴(n=2~12) 알킬글루코스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알킬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알킬글루코스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알킬글루코스 테트라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알킬글루코스 펜타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알킬글루코스 모노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알킬글루코스 디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알킬글루코스 트리팔미테이트, 폴리글리세릴(n=2~12) 알킬글루코스 테트라팔미테이트 및 폴리글리세릴(n=2~12) 알킬글루코스 펜타팔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형 화장료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45℃ 이상의 상전이온도를 갖는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베헤닐 알콜-소듐 스테아로일 락테이트, 세토스테아일 알콜-세토스테아릴 폴리글루코스, 또는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형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킬레이팅제로서 EDTA, 항산화제로서 BHT(부틸레이티드 히드록시톨루엔) 또는 BHA(부틸레이티드 히드록시아니솔)을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형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기재된 친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1) SMLC 베이스의 제조단계 :
    45℃ 이상의 상전이온도를 갖는 계면활성제와 지방알콜 및 콜레스테롤을 적절히 배합하여 소량의 정제수와 함께 약 70℃에서 혼합, 유화시키고, 내상인 레티노이드를 첨가한 후, 이를 실온으로 냉각하여 SMLC 베이스를 만든다;
    (2) 젤상 베이스의 제조단계 :
    수상에 액정 형성을 위한 계면활성제와 동일한 종류의 계면활성제를 가하여 유화시킨 후, 이를 실온으로 냉각하고, 여기에 적당량의 수용성 폴리머를 가하여 젤상 베이스를 만든다;
    (3) 혼합단계 :
    상기한 (2)의 젤상 베이스에 (1)의 SMLC 베이스를 혼합하여 친수형 화장료를 만든다.
KR1019970047231A 1997-09-12 1997-09-12 안정성이 개선된 레티노이드를 함유하는 친수형 화장료의 제조방법 KR100258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231A KR100258674B1 (ko) 1997-09-12 1997-09-12 안정성이 개선된 레티노이드를 함유하는 친수형 화장료의 제조방법
US08/956,291 US5980917A (en) 1997-09-12 1997-10-23 Oil-in-water typ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retinoids stabilized by a liquidcrystal
JP31288897A JP3447935B2 (ja) 1997-09-12 1997-10-30 巨大液晶により安定化されたレチノイドを含有する親水型化粧料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231A KR100258674B1 (ko) 1997-09-12 1997-09-12 안정성이 개선된 레티노이드를 함유하는 친수형 화장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563A true KR19990025563A (ko) 1999-04-06
KR100258674B1 KR100258674B1 (ko) 2000-07-01

Family

ID=19521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231A KR100258674B1 (ko) 1997-09-12 1997-09-12 안정성이 개선된 레티노이드를 함유하는 친수형 화장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80917A (ko)
JP (1) JP3447935B2 (ko)
KR (1) KR1002586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154A (ko) * 2001-02-28 2002-09-05 (주)네오팜 피부유용물질 안정화용 다중층상유화물 및 이를 이용한광범위 피부질환 치료용 피부외용제용 기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068B1 (ko) * 2001-09-07 2004-07-0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레티놀을 3중으로 안정화한 화장료
US20050214240A1 (en) * 2002-03-29 2005-09-29 Toshiyuki Ito Cosmetic preparation
US20030232091A1 (en) * 2002-06-17 2003-12-18 Adi Shefer Stabilized retinol for cosmetic dermatological,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JP4731301B2 (ja) * 2005-12-05 2011-07-20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保湿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010001218A (ja) * 2006-10-27 2010-01-07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皮膚外用組成物および皮膚再生促進剤
JP5964176B2 (ja) * 2012-08-21 2016-08-03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皮膚外用組成物
KR102105210B1 (ko) 2012-11-26 2020-04-27 코웨이 주식회사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안정화시킨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JP2014198706A (ja) * 2013-03-12 2014-10-23 御木本製薬株式会社 化粧料
KR102134931B1 (ko) 2013-12-27 2020-07-16 코웨이 주식회사 투명하고 비저블한 구형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1197826B2 (en) * 2015-12-23 2021-12-14 Novartis Ag Oil-in-water emulsions including retinoic acid
JP6752485B2 (ja) * 2016-08-16 2020-09-09 株式会社希松 液晶組成物、及び液晶組成物が配合された化粧料
JP6864094B2 (ja) * 2016-12-13 2021-04-2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レチノイドを含有する安定した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FR3113833B1 (fr) * 2020-09-08 2023-12-0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du retinol
WO2022006038A1 (en) * 2020-06-30 2022-01-06 L'oreal Cosmetic composition having stabilized retinol
FR3114025B1 (fr) * 2020-09-11 2024-02-09 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comportant du rétinol stabilisé
WO2022006032A1 (en) * 2020-06-30 2022-01-06 L'oreal Cosmetic composition having retinol
US11865197B2 (en) * 2020-06-30 2024-01-09 L'oreal Cosmetic compositions having stabilized retinol
CN115803000A (zh) * 2020-06-30 2023-03-14 莱雅公司 具有稳定视黄醇的美容组合物
FR3113834B1 (fr) * 2020-09-07 2023-12-08 Oreal Compositions cosmétiques comportant du rétinol stabilis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22725A1 (de) * 1977-05-20 1978-11-30 Merck Patent Gmbh Kosmetische mittel
US4247547A (en) * 1979-03-19 1981-01-27 Johnson & Johnson Tretinoin in a gel vehicle for acne treatment
US4603146A (en) * 1984-05-16 1986-07-29 Kligman Albert M Methods for retarding the effects of aging of the skin
US4877805A (en) * 1985-07-26 1989-10-31 Kligman Albert M Methods for treatment of sundamaged human skin with retinoids
US4826828A (en) * 1985-04-22 1989-05-02 Avon Products,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ducing wrinkles
FR2709666B1 (fr) * 1993-09-07 1995-10-13 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ou dermatologique constituée d'une émulsion huile dans eau à base de globules huileux pourvus d'un enrobage cristal liquide lamellai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154A (ko) * 2001-02-28 2002-09-05 (주)네오팜 피부유용물질 안정화용 다중층상유화물 및 이를 이용한광범위 피부질환 치료용 피부외용제용 기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47935B2 (ja) 2003-09-16
US5980917A (en) 1999-11-09
JPH1179929A (ja) 1999-03-23
KR100258674B1 (ko) 200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5563A (ko) 거대액정에 의해 안정화된 레티노이드를 함유하는 친수형 화장료조성물
AP789A (en) Skin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retinoids and liposomes.
CA1286928C (en) Micro-capsules
KR100309399B1 (ko) 피부외용제
US5690923A (en) Stable topical retinoid compositions
EP2574337B1 (en) Carotenoid-containing composition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4717166B2 (ja) 安定な液体ミネラルアスコルビン酸塩組成物および製造方法および用途
CN111643376A (zh) 一种纳米乳液组合物及其应用
HU185936B (en) Process for produc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opical treating virus-infestions of skin and mycoderm
EP0471084B1 (en) Oil-in-water emulsion composition containing nonsteroidal antiphlogistic analgesic
JP3887182B2 (ja) 皮膚有用物質安定化用多重層状乳化物及びその皮膚外用剤
JPH08283303A (ja) 高級脂肪酸デキストリンからなる乳化剤、これを含有する乳化組成物および化粧料
JP3609827B2 (ja) 非極性基剤における小胞
KR100789628B1 (ko) 레티노이드를 함유하는 경피흡수가 용이한 캡슐, 이것의 제조방법, 이를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FI79941B (fi) Blandningar foer lokal anvaendning pao huden.
SE515982C2 (sv) Användning av en olja-i-vatten emulsion som bärare för framställning av en topikal kräm eller lotion
MXPA04004570A (es) Composiciones de lidocaina de concentracion alta y metodo para su preparacion.
JPH0899827A (ja) 皮膚外用剤
JP3313148B2 (ja) 皮膚外用剤
KR100517728B1 (ko) 토코페롤 3중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H0261442B2 (ko)
RU2148998C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или ветерина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мпозиции
JPH0899821A (ja) 皮膚外用剤
US20120269908A1 (en) Carrier in oil-in-water emulsion form, particularly for cosmetic or dermatological use
JPH0899826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