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329U - 진직도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진직도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329U
KR19990025329U KR2019970037836U KR19970037836U KR19990025329U KR 19990025329 U KR19990025329 U KR 19990025329U KR 2019970037836 U KR2019970037836 U KR 2019970037836U KR 19970037836 U KR19970037836 U KR 19970037836U KR 19990025329 U KR19990025329 U KR 199900253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straightness
fixed
dial gauge
hemming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8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78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329U/ko
Publication of KR199900253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329U/ko

Links

Landscapes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이하게 다이얼 게이지를 장착할 수 있으며 동시에 소망하는 헤밍 다이의 진직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진직도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에 작동편(50)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실린더(52)가 장착되고, 하단에 헤밍 다이(54)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56)가 장착된 프레임(53)과, 하단 일측에 체결공(60)이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실린더(52)의 작동편(50)이 고정되는 이동편(58)과, 상단에 상기 이동편(58)의 체결공(60)에 삽입고정되는 나사부(62)를 갖는 지지막대(64)와, 상기 나사부(62)의 하단에 통상의 체결요소에 의하여 고정되어 헤밍 다이(54)의 진직도를 측정하는 다이얼 게이지(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진직도 시험장치(TEST JIG FOR MEASURING HEIGHT OF HEMMING DIE FOR A CAR)
본 고안은 진직도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다이얼 게이지를 장착할 수 있으며 동시에 소망하는 헤밍 다이의 진직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진직도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크게 나누어 차체(Body)와 섀시(Shassis)로 구분되어 있으며, 차체는 자동차의 외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서, 승객이 승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승객룸과, 엔진이 설치되는 엔진룸과, 짐을 보관할 수 있는 트렁크로 나누어진다. 섀시는 차체와 그 부속품들을 제외한 부분으로서, 기관이나 주행에 필요한 각종 장비가 프레임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프레임은 차량이 주행중에 받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나 화물의 하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굽음, 비틀림, 인장 및 진동 등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강도와 강성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프레임은 프레스작업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태로 제작되어지며, 이 프레스는 여러 가지의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진직도를 측정하였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진직도 시험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편 및 지지편이 이동편에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설명하면, 상단에 작동편(2)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실린더(4)가 장착되어진 프레임(6)이 구비되어지고, 이 프레임(6)의 하단에는 헤밍 다이(8)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10)가 장착되어진다. 실린더(4)의 작동편(2) 자유단에 이동편(12)이 고정되어지고, 이 이동편(12)의 하단 일측에는 체결공(14)이 형성되어진다. 이동편(12)에 형성된 체결공(14)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안내공(16)이 형성된 고정편(18)이 구비되어진다. 상단에 고정편(18)의 안내공(16)과 동일선상을 갖는 관통공(20)이 형성된 지지편(22)이 구비되어지고, 이 지지편(22)의 하단 일측에 압입공(24)이 형성되어있다. 고정편(18) 및 지지편(22)을 이동편(12)에 고정하는 체결볼트(26)가 구비되어진다. 지지편(22)의 압입공(24)에 일측이 삽입고정되어 헤밍 다이(8)의 진직도를 측정하는 다이얼 게이지(28)가 구비된다.
진직도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헤밍 다이의 진직도를 측정할 경우, 헤밍 다이(8)를 고정플레이트(10)에 밀착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헤밍 다이(8)의 상단에 다이얼 게이지(28)의 일측이 접촉되도록 헤밍 다이(8)를 고정플레이트(10)에 고정한다. 헤밍 다이(8)가 고정플레이트(10)에 밀착고정되면, 진직도 시험장치(30)의 일측에 장착된 작동스위치(미도시)를‘온’상태로 변환시켜 실린더(4)를 작동시킨다. 실린더(4)가 작동됨에 따라 실린더(4)의 작동편(2)이 하부로 이동하게되고, 이에 따라 실린더(4)의 작동편(2) 자유단에 고정된 이동편(12)이 하부로 이동된다. 이동편(12)이 실린더(4)에 의하여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다이얼 게이지(28)의 일측이 헤밍 다이(8)의 일측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헤밍 다이(8)의 진직도를 측정한다.
반대로, 진직도 시험장치(30)의 일측에 장착된 작동스위치(미도시)를‘오프’상태로 변환시키면, 실린더(4)의 작동편(2)이 상부로 이동하게되고, 이에 따라 실린더(4)의 작동편(2) 자유단에 고정된 이동편(12)이 상부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직도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헤밍 다이의 진직도를 측정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경우 다이얼 게이지를 진직도 시험장치에 고정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즉, 다이얼 게이지를 지지편에 고정하기 위하여는 고정편의 안내공이 이동편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공에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고정편 및 지지편을 이동편의 하단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편 및 지지편을 이동편에 고정한 후, 다이얼 게이지를 지지편에 고정하여야 함으로 작업자가 다이얼 게이지를 지지편에 고정하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다이얼 게이지를 지지편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다이얼 게이지를 정위치에 고정하지 못하면 정확하게 헤밍 다이의 진직도를 측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용이하게 다이얼 게이지를 장착할 수 있으며 동시에 소망하는 헤밍 다이의 진직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진직도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진직도 시험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편 및 지지편이 이동편에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직도 시험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얼 게이지가 이동편에 체결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작동편 52 : 실린더
53 : 프레임 54 : 헤밍 다이
56 : 고정플레이트 58 : 이동편
60 : 체결공 62 : 나사부
64 : 지지막대 66 : 다이얼 게이지
75 : 진직도 측정장치
본 고안의 목적은 상단에 작동편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실린더가 장착되고, 하단에 헤밍 다이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가 장착된 프레임과, 하단 일측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실린더의 작동편이 고정되는 이동편과, 상단에 상기 이동편의 체결공에 삽입고정되는 나사부를 갖는 지지막대와, 상기 나사부의 하단에 통상의 체결요소에 의하여 고정되어 헤밍 다이의 진직도를 측정하는 다이얼 게이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직도 시험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진직도 시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직도 시험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얼 게이지가 이동편에 체결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설명하면, 상단에 작동편(50)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실린더(52)가 장착된 프레임(53)이 구비되고, 이 프레임(53)의 하단에는 헤밍 다이(54)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56)가 장착된다. 실린더(52)의 작동편(50) 자유단에 이동편(58)이 고정되고, 이 이동편(58)의 하단 일측에는 체결공(60)이 형성된다. 실린더(52)의 작동편(50)에 이동편(58)이 고정됨에 있어서는 볼트 및 용접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한다. 상단에 이동편(58)의 체결공(60)에 삽입고정되는 나사부(62)를 갖는 지지막대(64)가 구비된다. 나사부(62)의 하단에 통상의 체결요소에 의하여 고정되어 헤밍 다이(54)의 진직도를 측정하는 다이얼 게이지(66)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이얼 게이지가 이동편에 고정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다이얼 게이지(66)를 진직도 측정장치(75)에 고정하기 위하여 다이얼 게이지(66)를 지지막대(64)의 하단에 통상의 체결요소를 이용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지지막대(64)의 나사부(62)를 이동편(58)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공(60)에 대응되게 위치시킨다. 지지막대(64)의 나사부(62)가 이동편(58)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공(60)에 대응되게 위치되면, 지지막대(64)를 일측으로 회전시킨다. 지지막대(64)가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지지막대(64)의 나사부(62)가 이동편(58)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공(60)에 체결된다. 이때, 다이얼 게이지(66)의 일측이 헤밍 다이(54)의 일측에 밀착된다. 다이얼 게이지(66)를 지지막대(64)의 하단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지지막대(64)의 나사부(62)를 이동편(58)에 형성된 체결공(60)에 체결하면 용이하게 다이얼 게이지(66)를 진직도 시험장치(75)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다이얼 게이지를 지지편에 고정하기 위하여는 고정편의 안내공이 이동편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공에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고정편 및 지지편을 이동편의 하단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편 및 지지편을 이동편에 고정한 후, 다이얼 게이지를 지지편에 고정하여야 함으로 작업자가 다이얼 게이지를 지지편에 고정하기가 매우 불편하였으며 동시에 다이얼 게이지를 지지편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다이얼 게이지를 정위치에 고정하지 못하면 정확하게 헤밍 다이의 진직도를 측정할 수 없었지만, 본 고안은 상단에 작동편(50)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실린더(52)가 장착되고, 하단에 헤밍 다이(54)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56)가 장착된 프레임(53)과, 하단 일측에 체결공(60)이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실린더(52)의 작동편(50)이 고정되는 이동편(58)과, 상단에 상기 이동편(58)의 체결공(60)에 삽입고정되는 나사부(62)를 갖는 지지막대(64)와, 상기 나사부(62)의 하단에 통상의 체결요소에 의하여 고정되어 헤밍 다이(54)의 진직도를 측정하는 다이얼 게이지(66)를 구비하여 용이하게 다이얼 게이지를 장착할 수 있으며 동시에 소망하는 헤밍 다이의 진직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직도 측정장치는 하단에 다이얼 게이지가 고정된 지지막대의 상부가 이동편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도록 구성하여 용이하게 다이얼 게이지를 장착할 수 있으며 동시에 소망하는 헤밍 다이의 진직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상단에 작동편(50)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실린더(52)가 장착되고, 하단에 헤밍 다이(54)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56)가 장착된 프레임(53)과,
    하단 일측에 체결공(60)이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실린더(52)의 작동편(50)이 고정되는 이동편(58)과,
    상단에 상기 이동편(58)의 체결공(60)에 삽입고정되는 나사부(62)를 갖는 지지막대(64)와,
    상기 나사부(62)의 하단에 통상의 체결요소에 의하여 고정되어 헤밍 다이(54)의 진직도를 측정하는 다이얼 게이지(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직도 시험장치.
KR2019970037836U 1997-12-16 1997-12-16 진직도 시험장치 KR1999002532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836U KR19990025329U (ko) 1997-12-16 1997-12-16 진직도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836U KR19990025329U (ko) 1997-12-16 1997-12-16 진직도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329U true KR19990025329U (ko) 1999-07-05

Family

ID=69679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836U KR19990025329U (ko) 1997-12-16 1997-12-16 진직도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32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028750A (ja) 緩衝器の検査装置
KR19990025329U (ko) 진직도 시험장치
KR100235881B1 (ko) 도어 프레임 변형량 측정장치
US10488301B2 (en) Jig for strength test of side door of motor vehicle
KR20010004823A (ko) 차체패널의 가공 작업시 차체패널의 고정을 위한 지그 클램프장치
CN110806312A (zh) 一种用于汽车转向管柱压溃性能试验的夹具、装置及方法
KR0173887B1 (ko) 자동차 가동부의 작동 소음 측정용 테스터 리그 장치
CN211477829U (zh) 一种汽车模具零部件用硬度检测装置
KR100196131B1 (ko) 자동차의 잭 포인트 로드효과 테스트용 지그
CN218543742U (zh) 白车身测量定位装置
KR100501345B1 (ko) 밀러탈취시험용밀러고정지그
CN215153771U (zh) 高度调节装置
KR0185351B1 (ko)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 측정장치
KR980003468A (ko)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검사용 게이지
KR100270430B1 (ko) 에어백과 스티어링 컬럼 단품 시험 장치
KR0146179B1 (ko) 자동차의 외판강성 시험장치
KR100201110B1 (ko)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의 측정용 치구
BE1007009A3 (nl) Verbeterde kolom voor richtbank.
CN207683251U (zh) 车载拆胎机
CN220751834U (zh) 一种汽车线缆拉力检测装置
CN219309100U (zh) 一种用于汽车车门涂装的隔离夹具
JP2508258Y2 (ja) 部品締結装置
KR0131832Y1 (ko) 자동차의 콤비네이션 스위치 진동시험용 지그
KR950026763A (ko) 자동차 차체 조립 지그의 클램프장치
JP3997443B2 (ja) シートスライドレールの摺動なら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