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1110B1 -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의 측정용 치구 - Google Patents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의 측정용 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110B1
KR100201110B1 KR1019960057547A KR19960057547A KR100201110B1 KR 100201110 B1 KR100201110 B1 KR 100201110B1 KR 1019960057547 A KR1019960057547 A KR 1019960057547A KR 19960057547 A KR19960057547 A KR 19960057547A KR 100201110 B1 KR100201110 B1 KR 100201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frame
irregular shape
jig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7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8632A (ko
Inventor
신석만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57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1110B1/ko
Publication of KR19980038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8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1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의 측정용치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을 용이하게 검사(Check)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긋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의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정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의 측정장치는,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의 측정용치구에 있어서, 눈금이 새겨진 직선상의 측정자(10)와, 상기 측정자(10)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를 정확하게 위치선정할 수 있도록 위치선정부가 마련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슬라이더 측정바아(12)와, 상기 측정자(10)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고정수단(17)은 선단에 점접촉지지부(14a)를 갖는 작동간(14)이 방사상의 등간격으로 3개가 설치되어 조절봉(16)의 회전작동에 따라 상기 작동간(14)이 상,하로 이동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의 측정용치구
본 발명은 프레임의 측정용치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을 용이하게 검사(Check)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긋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의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되는 프레임은 섀시를 구성하는 각 장치나 보디를 장치하는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장치한 부품이나 보디에서 전달되는 하중, 전후의 차축에서의 반력을 지지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그 때문에 프레임은 자동차가 주행중에 받는 노면에서의 충격이나 반력을 지지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프레임은, 자동차가 주행중에 받는 노면에서의 충격이나 하중등에 의하여 생기는 굽힘, 비틀림, 텐션, 진동등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와 강성을 가짐과 동시에 경량인 것이 필요하므로 다양한 형상으로된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자동차에 설치되는 프레임중 승용차의 서스펜션(Suspension)장치에 사용되는 너클(Knuckle)부재는 금형에 의하여 주물을 부어 응고시켜 소요의 형상으로 성형하게 된다. 이러한 너클은 차체에 작용하는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과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곡면부와 복잡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너클부재에는 다른부재와의 결합을 위하여 다수의 고정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너클부재는 주물에 의한 성형후, 차체에 설치전 정확한 형상으로 성형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부분을 정확하게 측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주물에 의한 성형시 주물의 응고시 발생하는 수축과, 불균일한 부분의 가공등으로 인하여 원래의 설계치수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차체에 설치전 각부분의 치수에 대한 측정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너클(Knuckle)의 성형후 측정용 공구로서 적당한 공구가 없어 3차원측정기를 사용하여 너클의 중요부분을 검사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측정방법에 의하면, 너클부재에 차체에 설치전 치수측정을 위하여 별도의 장소로 옮겨 측정을 해야하는 불편함과 측정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의 측정작업을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의 측정용치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의 측정용치구는,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의 측정용치구에 있어서,
눈금이 새겨진 직선상의 측정자와, 상기 측정자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를 정확하게 위치선정할 수 있도록 위치선정부가 마련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슬라이더 측정바아와, 상기 측정자의 일측에 마련되고, 선단에 점접촉지지부를 갖는 작동간이 방사상의 등간격으로 3개가 설치되어 조절봉의 회전작동에 따라 상기 작동간이 상,하로 이동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더 측정바아는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가이드를 마련하고, 상기 연장가이드는 선단에 뾰족부가 마련된 보조슬라이더가 상기 연장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일정위치에 고정되는 구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측정용치구가 너클부재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용치구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측정자 12 : 슬라이더 측정바아
14 : 작동간 16 : 조절봉
18 : 연장가이드 20 : 보조슬라이더
22 : 고정나사 24 : 뾰족부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가 너클부재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정면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3 는 도 1 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3 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1은 차체의 현가장치에 설치되는 너클부재를 도시하는 것으로, 상기 너클부재(1)는 하부측에 원형의 관통구멍(2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26)을 중심으로 외측둘레에 형성된 연장부(30)에는 너클부재(32)를 현가장치의 다른 부분에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구멍(28)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관통구멍(26)의 상부에는 상부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3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3a)의 선단에도 고정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너클부재(1)를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설치시, 너클부재(1)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구멍(5)이 정확한 위치에 형성될 필요가 있으며, 오차발생시 너클부재(1)의 설치에 곤란을 겪게 된다.
이러한 너클부재의 각부분을 측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금이 새겨진 직선상의 측정자(10)와, 상기 측정자(10)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를 선정하는 슬라이더 측정바아(12)와, 상기 측정자(10)를 측정하고자 하는 부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17)으로 이루어져 있다.
참조번호 10은 측정자를 도시하는 것으로, 상기 측정자(10)는 얇은 박편의 직사각형으로된 것으로 몸체부분에 눈금이 형성되어 있다. 참조번호 12는 슬라이더 측정바아를 도시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더 측정바아(12)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에 오목홈(9)이 형성되어 상기 측정자(10)의 일측에 끼워져 상,하로 슬라이딩되고, 또한 상기 본체(11)에는 고정나사(22)가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측정바아(12)를 측정자(10)의 일정위치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의 일측에는 상기 측정자(10)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가이드(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가이드(18)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를 정확하게 위치선장을 할수 있도록 선단에 뾰족부(18a)가 마련된 보조슬라이드(20)가 설치되어 상기 연장가이드(18)를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보조슬라이드(20)에는 고정나사(22)가 설치되어 상기 연장가이드(18)상의 일정위치에 상기 보조슬라이드(2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측정바아(12)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 2개가 설치되어 있지만, 측정하고자 하는 개소에 따라 2개이상으로 다수개 설치될 수 있다.
참조번호 17은 측정자를 측정하고자하는 위치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도시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수단(17)은 측정자(10)에 직각되게 측정자(10)의 중앙부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수단(17)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용 치구의 측정기준점이 되는 것으므로, 설치위치를 정확하게 선정할 필요가 있다. 상기 고정수단(17)은 상기 너클부재(1)의 관통구멍(7)에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3점지지방식으로 되어 있다.
도 3 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수단(17)은 너클부재(1)의 관통구멍(7)의 내경에 접촉지지될 수 있도록 선단에 점접촉부로 뾰족부(14a)를 갖는 작동간(14), 즉 상기 너클부재(1)의 관통구멍(7)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작동간(14)은 방사상의 등간격으로 3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간(14)은 중앙부에 설치된 조절봉(16)의 회전작동에 따라 상기 작동간(16)이 서로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측정장치가 설치되는 관통구멍(26)의 대소에 따라 상기 조절봉(16)을 회전시켜 상기 작동간(14)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측정장치를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다. 고정수단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작동간을 너클부재의 외부로부터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작동간을 사용하지 않고 자석과 같은 고착수단을 사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측정하고자 하는 너클부재(1)의 관통구멍(7)에 측정장치의 고정수단(17)을 설치한 상태에서 조절봉(16)을 회전시켜 상기 작동간(14)을 관통구멍(7)의 내면에 3지점지지방식으로 정확하게 고정한다. 상기 측정장치가 피측정부재에 정확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측정장치의 상,하 2개의 슬라이드 측정바아(12)를 상,하로 이동시켜 피측정위치에 정확하게 설치하게 된다.
즉, 상,하 2개의 슬라이더 측정바아(12)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부측정위치인 너클부재(1)상부 연장부의 고정구멍(5)과 하부측정위치인 너클부재(1)하부의 고정구멍(5)상에 위치시켜 상하 슬라이드 측정바아(12)가 위치한 측정자(10)의 눈금을 읽으면, 상하 2위치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 측정바아(12)의 연장가이드(18)상에 설치된 보조슬라이드(20)의 선단에는 뾰족부(20a)가 마련되어 가공위치를 정확하게 포인팅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위치선정 작업이 이루어진 부위에 대하여 구멍뚫기작업을 진행하거나 작업부위에 대한 금긋기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의 측정용치구에 의하면,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에 대한 측정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긋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의 측정용치구에 있어서, 눈금이 새견진 직선상의 측정자와, 상기 측정자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를 정확하게 위치선정할 수 있도록 위치선정부가 마련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슬라이더 측정바아와, 상기 측정자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선단에 뾰족부를 갖는 작동간이 방사상의 등간격으로 3개가 설치되어 조절봉의 회전작동에 따라 상기 작동간이 상,하로 이동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의 측정용치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측정바아는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가이드를 마련하고, 상기 연장가이드는 선단에 뾰족부가 마련된 보조슬라이더가 상기 연장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일정위치에 고정되는 구조로 된 것을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의 측정용치구.
KR1019960057547A 1996-11-26 1996-11-26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의 측정용 치구 KR100201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7547A KR100201110B1 (ko) 1996-11-26 1996-11-26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의 측정용 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7547A KR100201110B1 (ko) 1996-11-26 1996-11-26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의 측정용 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632A KR19980038632A (ko) 1998-08-05
KR100201110B1 true KR100201110B1 (ko) 1999-06-15

Family

ID=19483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7547A KR100201110B1 (ko) 1996-11-26 1996-11-26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의 측정용 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11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538B1 (ko) 2011-03-29 2013-06-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제품용 변형 감지장치
WO2013105684A1 (ko) * 2012-01-10 2013-07-18 Lee Jeong Hyun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0083B (zh) * 2019-01-08 2024-05-03 同济大学 自锁定内倾式应变传感器快速安装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538B1 (ko) 2011-03-29 2013-06-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제품용 변형 감지장치
WO2013105684A1 (ko) * 2012-01-10 2013-07-18 Lee Jeong Hyun 스케이트 날과 구두의 결합위치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632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34133A (en) Vehicle body and frame alignment apparatus
KR100201110B1 (ko)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의 측정용 치구
CN211401267U (zh) 传感器标定与测试台架
CN210981794U (zh) 一种用于汽车nvh及结构疲劳测试轮轴调整的定位系统
CN114905431A (zh) 一种白车身减震塔定位装置、定位方法及检测方法
KR100287684B1 (ko) 허브 및 드럼의 계측장치
KR100202723B1 (ko) 실린더 헤드의 밸브 가이드 설치 깊이 측정 지그
KR100213814B1 (ko) 스냅링 삽입홈 위치 측정기
CN205279931U (zh) 翼子板安装支架的检测工具
CN220647512U (zh) 一种角度调节式水平仪
KR100207921B1 (ko) 자동차용 펜더의 제작상태 측정기구
CN221077685U (zh) 一种探针座抬杆装置
CN220626182U (zh) 一种视觉传感器的安装座
CN114147540B (zh) 一种数控机床旋转台误差的标定装置
CA1114153A (en) Wheel camber and castor measurement apparatus
CN210375496U (zh) 一种测力方向盘安装装置及方向盘测力装置
CN220794208U (zh) 主销后倾角测量工装、测量装置及前桥
CN100504341C (zh) 汽车底盘扭转刚度测量装置
KR0174425B1 (ko) 트럭용 프론트스프링의 프론트브라켓 장착치수 측정장치
CN1235704C (zh) 连铸机扇形段对中检测设备
KR0139087Y1 (ko) 자동차용 셋팅 지그
CN2707402Y (zh) 连铸机扇形段对中检测设备
KR100260213B1 (ko) 조향컬럼 고유 주파수 측정을 위한 조향 컬럼 장착용 지그
KR100368151B1 (ko) 자동차의 머플러 제작용 지그
JPH0752563Y2 (ja) ディスクホイールのデッシング測定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