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351B1 -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351B1
KR0185351B1 KR1019960051229A KR19960051229A KR0185351B1 KR 0185351 B1 KR0185351 B1 KR 0185351B1 KR 1019960051229 A KR1019960051229 A KR 1019960051229A KR 19960051229 A KR19960051229 A KR 19960051229A KR 0185351 B1 KR0185351 B1 KR 0185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vehicle
load
fixed
rig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1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1671A (ko
Inventor
정세호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51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351B1/ko
Publication of KR19980031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3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4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dead weight, e.g. pendulum; generated by springs ten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성을 시험하고자 하는 자동차를 강성 측정장치가 구비된 곳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함은 물론 간편하고 신속하게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손잡이(10)가 형성되고, 타측에 하부로 절곡된 절곡부(12)를 갖는 자루(14)와, 상기 절곡부(12)의 자유단에 고정되고, 자동차용 패널(22)로 전달되는 하중을 감지하여 표시하는 로드 셀(16)과, 상기 로드 셀(16)의 하단에 고정된 누름판(18)과, 상단이 상기 자루(14)에 고정되고, 하단이 누름판(18)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며, 하중이 자동차용 패널(22)로 전달됨에 따라 자동차용 패널(22)이 변위되는 것을 측정하는 다이얼 게이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 측정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성을 시험하고자 하는 자동차를 강성 측정장치가 구비된 곳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함은 물론 간편하고 신속하게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크게 나누어 차체(Body)와 섀시(Shassis)로 구분되어 있으며, 차체는 자동차의 외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서, 승객이 승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승객룸과, 엔진이 설치되는 엔진룸과, 짐을 보관할 수 있는 트렁크로 나누어진다. 또한, 섀시는 차체와 그 부속품들을 제외한 부분으로서, 기관이나 주행에 필요한 각종 장비가 프레임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한편, 프레임은 차량이 주행중에 받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나 화물의 하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굽음, 비틀림, 인장 및 진동 등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강도와 강성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를 제작후에는 자동차의 여러 부위에 강성을 측정하였다. 예를 들면 도어패널의 아웃핸들이 설치된 부분과, 엔진후드의 후드래치가 고정된 부분과, 트렁크도어의 후드래치가 고정된 부분과, 루프패널 등에 강성을 측정하였으나, 강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의 부피가 큼에 따라 강성을 시험하고자 하는 자동차를 강성 측정장치가 구비된 곳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자동차를 강성 측정장치가 구비된 곳으로 이동시켜야 함에 따라 작업성이 저하되는 요인이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강성을 시험하고자 하는 자동차를 강성 측정장치가 구비된 곳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함은 물론 간편하고 신속하게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 측정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 측정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손잡이 12 : 절곡부
14 : 자루 16 : 로드 셀
18 : 누름판 20 : 다이얼 게이지
22 : 패널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측에 하부로 절곡된 절곡부를 갖는 자루와, 상기 절곡부의 자유단에 고정되고, 자동차용 패널로 전달되는 하중을 감지하여 표시하는 로드 셀과, 상기 로드 셀의 하단에 고정된 누름판과, 상단이 상기 자루에 고정되고, 하단이 누름판를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며, 하중이 자동차용 패널로 전달됨에 따라 자동차용 패널이 변위되는 것을 측정하는 다이얼 게이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 측정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 측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 측정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 측정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설명하면, 일측에 손잡이(10)가 형성되고, 타측에 하부로 절곡된 절곡부(12)를 갖는 자루(14)가 구비된다. 절곡부(12)의 자유단에는 로드 셀(Load Cell)(16)이 고정되고, 이 로드 셀(16)은 강제(鋼製)의 원주 둘레에 변형을 전기저항으로 변환시키는 변형 게이지를 접착시킨 것으로, 하중이 전달되면 응력에 비례하는 변형이 발생하고 변형에 따라 변형 게이지의 전기저항이 변화하여 하중을 직접 숫자로 표시하는 것이다. 로드 셀(16)의 하단에 누름판(18)이 고정되고, 이 누름판(18)은 목재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단이 자루(14)에 고정되고, 하단이 누름판(18)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다이얼 게이지(Dial Gauge)(20)가 구비되고, 이 다이얼 게이지(20)는 미소한 변위(變位)를 확대하여 길이나 변위를 정밀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강성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을 측정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강성을 측정하고자 하는 자동차용 패널(22)에 강성 측정장치의 누름판(18)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손잡이(10)를 가압하면 하중이 로드 셀(16) 및 누름판(18)을 통하여 자동차용 패널(22)로 전달된다. 자동차용 패널(22)로 하중이 전달됨에 따라 자동차용 패널(22)이 변형되고, 하중에 따라 자동차용 패널(22)이 변위된 것을 다이얼 게이지(20)가 표시한다. 이때 절곡부(12)의 자유단에 고정된 로드 셀(16)이 자동차용 패널(22)로 전달되는 하중을 감지하여 숫자로 표시한다.
즉, 강성 측정장치의 누름판(18)을 자동차용 패널(22)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강성 측정장치의 손잡이(10)를 가압하면 절곡부(12)의 자유단에 고정된 로드 셀(16)이 자동차용 패널(22)로 전달되는 하중을 감지하여 출력하며 동시에 자동차의 패널(22)로 전달되는 하중에 의하여 자동차의 패널(22)이 변위는 것을 다이얼 게이지(20)가 표시한다. 이에 따라 자동차를 강성 측정장치가 구비된 곳으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자동차용 패널(22)의 강성을 측정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 측정장치는 자루의 절곡부 자유단에 고정되고, 자동차용 패널로 전달되는 하중을 감지하여 표시하는 로드 셀과, 하중이 자동차용 패널로 전달됨에 따라 자동차용 패널이 변위되는 것을 측정하는 다이얼 게이지를 갖는 강성 측정장치를 구비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을 측정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일측에 손잡이(10)가 형성되고, 타측에 하부로 절곡된 절곡부(12)를 갖는 자루(14)와,
    상기 절곡부(12)의 자유단에 고정되고, 자동차용 패널(22)로 전달되는 하중을 감지하여 표시하는 로드 셀(16)과,
    상기 로드 셀(16)의 하단에 고정된 누름판(18)과,
    상단이 상기 자루(14)에 고정되고, 하단이 누름판(18)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며, 하중이 자동차용 패널(22)로 전달됨에 따라 자동차용 패널(22)이 변위되는 것을 측정하는 다이얼 게이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 측정장치.
KR1019960051229A 1996-10-31 1996-10-31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 측정장치 KR0185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229A KR0185351B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229A KR0185351B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671A KR19980031671A (ko) 1998-07-25
KR0185351B1 true KR0185351B1 (ko) 1999-05-15

Family

ID=19480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1229A KR0185351B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3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072B1 (ko) * 2002-08-29 2004-08-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패널의 덴트 시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072B1 (ko) * 2002-08-29 2004-08-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패널의 덴트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671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07559A3 (en) Collision sensing apparatus
KR0185351B1 (ko)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 측정장치
KR101927051B1 (ko) 시험 지그 및 그 시험 지그를 이용한 센터 필러의 충돌 시험 방법
CN215004162U (zh) 一种汽车部件震动测试装置
CN210269150U (zh) 一种电动车减震器检测装置
CN214702770U (zh) 一种乘用车车身扭转刚度试验装置
CN2638052Y (zh) 一种用于覆盖件表面刚度测量的传感器
DE50006205D1 (de) Anbindung für die Instrumententafel eines mit einem Airbag ausgerüsteten Personenkraftwagens
KR200147111Y1 (ko) 자동차 바디의 정적 내구성 시험용 마그네틱 하우징
KR100428122B1 (ko) 자동차의 충돌시험용 도어 구조
KR980003468A (ko)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검사용 게이지
GB2316176A (en) A motor vehicle fuel load measuring system
KR200152959Y1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경적 시험장치
CN211425825U (zh) 安全带车感带感测试装置
CN213813130U (zh) 一种汽车辅助拉手的强度测试装置
US4608760A (en) Frame alignment indicator
CN214149193U (zh) 一种二手车检测辅助工具
KR20100044604A (ko) 차량의 적재하중 측정장치
KR20030017774A (ko) 자동차의 범퍼 충격 시험용 속도조절장치
KR100235879B1 (ko) 스티어링 지지계의 강성 측정장치
KR100195994B1 (ko) 차체의 b-필라부 강성 평가 지그
CN117928921A (zh) 一种汽车天窗扭曲性能测试台
KR19990025329U (ko) 진직도 시험장치
KR200155435Y1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보호막 곡률 피로 시험기
JPH03110411A (ja) 車体変形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