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111Y1 - 자동차 바디의 정적 내구성 시험용 마그네틱 하우징 - Google Patents

자동차 바디의 정적 내구성 시험용 마그네틱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111Y1
KR200147111Y1 KR2019950045342U KR19950045342U KR200147111Y1 KR 200147111 Y1 KR200147111 Y1 KR 200147111Y1 KR 2019950045342 U KR2019950045342 U KR 2019950045342U KR 19950045342 U KR19950045342 U KR 19950045342U KR 200147111 Y1 KR200147111 Y1 KR 2001471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housing
magnetic
attached
dial gaug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5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5069U (ko
Inventor
이동곤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50045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111Y1/ko
Publication of KR9700450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50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1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1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41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 G01M5/005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by means of external apparatus, e.g. test benches or portable tes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01B7/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using change in magnetic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바디의 정적 내구성 시험용 마그네틱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중량에 따른 변형 정도를 알기 위해 작업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해주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자동차 바디(1)의 이면에는 마그네틱 하우징 (10)을 부착 설치하되 그 마그네틱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상기 바디(1)이면에 부착되게 자성체(12)를 삽입 설치하고, 하부에는 돌봉(14)을 돌출 형성한 후 그 돌봉(14)에는 다이얼 게이지(20)에 양단이 연결된 구리선(18)의 구멍(16)을 형성하여 된 것으로, 다이얼 게이지와 구리선으로 접속된 마그네틱 하우징을 바디의 이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바디의 상면으로 중량을 상치시키면 그 변형의 정도를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바디의 정적 내구성 시험용 마그네틱 하우징
제1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마그네틱 하우징을 보인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디 10 : 마그네틱 하우징
12 : 자성체 14 : 돌봉
16 : 구멍 18 : 구리선
20 : 다이얼 게이지
본 고안은 다이얼 게이지에 구리선이 연결되면서 바디의 이면으로 부착 설치되는 마그네틱 하우징을 구비함으로써 중량에 따른 각 부위의 변형의 정도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자동차 바디의 정적 내구성 시험용 마그네틱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디(Body)는 사람이나 화물을 싣는 객실과 적재함 부분 및 외피(外皮)가 이에 해당한다. 그리고 용도에 따라 승용차, 버스, 화물차 등이 있다. 최근 중소형 승용차 보디는 위 아래 옆면이 일체로 된 상자 모양의 모노코크 보디(Monocoque body)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 형식은 프레임을 따로 두지 않으므로 가볍고 견고하며 실내의 유효 공간을 넓게 할 수 있는 등의 잇점이 있다.
언더 바디(Under body)는 바디 밑면, 즉 바닥 부분이 언더 바디이고, 리어 서스펜션이나 종감속 기어 등의 구동 장치가 부착되어 있으며 보디 강성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서스펜션의 움직임이나 진동의 대책으로서 멤버나 보강재가 있다. 또한 내구성이 고려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바디에는 화물이 적재되고 사람이 탑승하게 되므로 일정 중량이상 견뎌야 하는 내구성을 갖추어야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언더 바디의 경우를 볼 때 각 부위별로 다른 증량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즉 엔진이 위치하는 부위, 화물이 적재되는 부위, 사람이 탑승하는 부위 따위가 서로 다른 중량을 견뎌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하여 바디에 일정 중량이상이 올려지게 되면 바디는 변형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와 같이 각 부위별로 중량에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이 다른 기준을 갖추어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를 시험해 주어야 하는 데, 이를 시험해 줄 수 있는 적당한 장치가 요원한 실정이다. 이러한 시험을 작업 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해 주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마그네틱 하우징을 바디의 이면에 부착 설치하여 각 부위의 변형의 정도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한 자동차 바디의 정적 내구성 시험용 마그네틱 하우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 바디의 이면에는 마그네틱 하우징을 부착 설치하되 그 마그네틱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바디 이면에 부착되게 자성체를 삽입 설치하고, 하부에는 돌봉을 돌출 형성한 후 그 돌봉에는 다이얼 게이지에 양단이 연결된 구리선의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 자동차 바디의 정적 내구성 시험용 마그네틱 하우징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자세하게 기술한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서 마그네틱 하우징을 보인 요부 사시도인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 바디(1)의 이면에는 마그네틱 하우징(10)을 부착 설치하되 그 마그네틱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상기 바디(1)이면에 부착되게 자성체(12)를 삽입 설치하고, 하부에는 돌봉(14)을 돌출 형성한 후 그 돌봉(14)에는 다이얼 게이지(70)에 양단이 연결된 구리선(18)의 구멍(10)을 형성하여 된 것이다.
이때, 상기 마그네틱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로드셀 원리를 이용한 통상적인 하중 측정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즉, 그 내부에는 상기 자성체(12)의 움직임에 의해 변형되는 스프링과 같은 부재가 내장되어 있고, 이 스프링이 하중에 의해 변형될 때 그 변형을 전기 저항으로 변환하는 부재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변환부재는 변화되는 전기 저항을 전기 신호로 바꾸어 상기 다이얼 게이지(20)에 표시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중 측정장치는 로드셀 원리를 이용한 통상적인 장치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중량에 따른 바디의 변형 정도를 시험하기 위해 그 바디(1)를 정반(Base)상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설치한다. 이후 그 바디(1)의 이면으로 다수개의 마그네틱 하우징(10)을 부착 설치하게 된다. 그 마그네틱 하우징(10)의 구멍(16)으로 끼운 구리선(18)의 양단을 다이얼 게이지(20)에 각각 접속시키게 된다.
이렇게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바디(1)의 내부 상측으로 물체를 올려 놓게 된다. 물론 이때의 물체는 중량을 각각 달리하여 상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바디(1)에 물체를 올려 놓게 되면, 상기 바디(1)는 변형되는 것인데, 그 변형 즉, 하중은 상기 바디(1)의 저면에 부착된 마그네틱 하우징(10)의 자성체(12)에 가해지게 되고, 상기와 같이 하중이 가해진 자성체(12)는 마그네틱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을 변형시키게 된다.
상기 자성체(12)에 의해 마그네틱 하우징(10) 내부의 스프링이 변형되면 이 스프링에 흐르는 전류는 그 변형정도에 따라 저항이 다르게 되고, 이러한 저항의 변화는 전기적 신호를 변환시키는 변환부재에 의해 상기 다이얼 게이지(20)에 표시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다이얼 게이지(20)와 마그네틱 하우징(10)이 구리선(18)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바디(1)가 변형되면서 상기 마그네틱 하우징(10)의 자성체(12)에 가해진 하중이 다이얼 게이지(20)의 계기판에 나타나게 되면, 작업자는 상기 다이얼 게이지(20)에 표시되는 수치를 보고 바디(1)가 변형되는 정도를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 자동차 바디의 정적 내구성 시험용 마그네틱 하우징에 따르면, 다이얼 게이지와 구리선으로 접속된 마그네틱 하우징을 바디의 이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바디의 상면으로 중량을 상치시키면 그 변형의 정도를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자동차 바디(1)의 이면에는 마그네틱 하우징(10)을 부착 설치하되 그 마그네틱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상기 바디(1)이면에 부착되게 자성체(12)를 삽입 설치하고, 하부에는 돌봉(14)을 돌출 형성한 후 그 돌봉(14)에는 다이얼 게이지(20)에 양단이 연결된 구리선(18)의 구멍(16)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바디의 정적 내구성 시험용 마그네틱 하우징.
KR2019950045342U 1995-12-22 1995-12-22 자동차 바디의 정적 내구성 시험용 마그네틱 하우징 KR2001471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5342U KR200147111Y1 (ko) 1995-12-22 1995-12-22 자동차 바디의 정적 내구성 시험용 마그네틱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5342U KR200147111Y1 (ko) 1995-12-22 1995-12-22 자동차 바디의 정적 내구성 시험용 마그네틱 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5069U KR970045069U (ko) 1997-07-31
KR200147111Y1 true KR200147111Y1 (ko) 1999-06-15

Family

ID=19436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5342U KR200147111Y1 (ko) 1995-12-22 1995-12-22 자동차 바디의 정적 내구성 시험용 마그네틱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11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5069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09451A1 (en) Seat load measuring apparatus
US7255015B2 (en) Occupant weight sensor for vehicular seats, method for making and system therefor
EP1202032B1 (en) Fixing structure for sensing element
US6797892B2 (en) Force transducer for a motor vehicle seat that includes a housing surrounding an extension member of the force transducer
KR200147111Y1 (ko) 자동차 바디의 정적 내구성 시험용 마그네틱 하우징
CN215004162U (zh) 一种汽车部件震动测试装置
EP1322498A2 (en) Sensor integrated bracket for weight classification
EP1111353A1 (en) Weighing device
KR100380487B1 (ko) 차량 충돌 시험용 조향 휠 고정 장치
CN108613765B (zh) 测量剪切力的传感器和用该传感器测量剪切力的人体模型
KR980003468A (ko)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검사용 게이지
KR0185351B1 (ko) 자동차용 패널의 강성 측정장치
US20040154843A1 (en) Device for receiving a force acting upon a vehicles seat
RU2784680C1 (ru) Датчик деформации
US5789683A (en) Construction in which sensing elements for sensing a load on a vehicle are mounted
JP3730478B2 (ja) 車両荷重測定用センサユニット及びその取付構造
CN208780473U (zh) 一种新型adas实验平台油门刹车位移传感器
KR200372933Y1 (ko) 자동차용 가속도 센서 테스트용 셰이커
JP2000019005A (ja) 車両荷重測定用センサユニット
JPH0634671Y2 (ja) ダミー用センサ取付装置
KR100195994B1 (ko) 차체의 b-필라부 강성 평가 지그
JP2000019004A (ja) 車両荷重測定用センサユニット
KR0131251B1 (ko) 자동차의 범퍼 커버 점검용 지그
RU60453U1 (ru) Компьютер автомобильный маршрутный бортовой
CN111366329A (zh) 一种数控多参数卧式综合试验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