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802A - 흡습성과 라이팅 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흡습성과 라이팅 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802A
KR19990024802A KR1019970046166A KR19970046166A KR19990024802A KR 19990024802 A KR19990024802 A KR 19990024802A KR 1019970046166 A KR1019970046166 A KR 1019970046166A KR 19970046166 A KR19970046166 A KR 19970046166A KR 19990024802 A KR19990024802 A KR 19990024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olyester
fabric
sued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0595B1 (ko
Inventor
심수경
김진홍
Original Assignee
김윤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김윤
Priority to KR1019970046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0595B1/ko
Publication of KR19990024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7Shapes or effects upon shrinkag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06C7/02Set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34Material containing ester groups
    • D06P3/52Polye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Woven Fabric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조건으로 제조한 경사와 위사를 사용하여 주자직으로 제직한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정련, 축소-열고정-감량-샌딩-염색 및 폴리우레탄수지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흡습성과 라이팅 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임.
경사는 중공용출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와 열수축율이 25∼35%인 고수축 폴리에스테르사를 공기교락시키고 호부한 것을, 위사는 좌연 또는 우연의 방적사를 제조하고 각각의 방적사를 다시 동일방향으로 연사한 면/폴리에스테르 혼방사를 사용하여 제작한 것을 정련, 축소 감량 및 샌딩하고 염색가공하여 제조하는 방법임.

Description

흡습성과 라이팅 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흡습성, 드레이프성 및 라이팅(Writing) 효과가 우수하고 천연스웨드와 유사한 촉감 및 외관을 갖는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에는 일반 폴리에스테르 폴리머와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복합방사하여 가연한 것을 고수축사와 공기교락시켜서 이수축혼섬사를 제조하고, 이것을 호부한 것을 경사로 사용하여 스웨드조 직물을 제조하였으나, 상기 스웨드조 직물은 일반 폴리에스테르와 이용성 폴리에스테르의 비율이 부적합하고 비중공 타입으로 제조되어 있으므로 이용성 폴리에스테르의 용출속도가 늦고, 표면효과가 균일하지 못하며 또 모우밀도가 적어서 천연 스웨드의 촉감 및 외관을 발현시킬 수 없었다.
또한, 종래에는 스웨드조 직물의 위사에 일반 폴리에스테르 사를 연사하여 사용하였으나 흡습성 및 쾌적성이 저하되어 이를 보완하고자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면 또는 면과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혼섬한 방적사를 위사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흡습성은 향상시킬 수 있으나 방적사의 낮은 열수축성으로 인해 직물표면의 기모밀도를 높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용성 폴리머를 물리적으로 빠르게 용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화학적인 방법으로 용출할때의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15∼20%의 중공도를 갖는 복합사를 이용하여 고수축사와 이수축혼섬 하였으며, 이 원사를 경사로 사용하여 기모밀도를 높여 라이팅 효과를 향상시키고, 용출공정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또한 적절하게 꼬임을 준 방적사를 위사로 사용함으로서 드레이프성이 향상되도록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경사로 중공용출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와 고수축 폴리에스테르사를 공기교락시키고 호부한 것을, 위사로는 좌연 또는 우연의 방적사를 제조하고 각각의 방적사를 다시 동일방향으로 연사한 면/폴리에스테르 혼방사를 사용하여 제직, 가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흡습성과 라이팅(Writing)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천연스웨드의 독특한 표면 특성인 라이팅 효과를 직물에서 발현시킬 수 있도록 일반 폴리에스테르 폴리머와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폴리머의 비율이 중량비로 7:3-8:2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폴리머를 15-20%의 중공도를 갖도록 복합방사하여 이를 통상의 방법으로 가연(false twisting)하고, 이것과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용출시킨 후에 극세섬유를 표면에 도출시킬 수 있도록 고수축사를 통상의 방법으로 공기교락시켜서 중공용출형 이수축혼섬사를 제조한 후에 통상의 호부공정을 거쳐 경사로 사용하였다.
이때 중공도가 15% 미만일 경우 이용성 폴리머의 용출이 점점 어려워지고, 20%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조상의 문제점이 있으며 가공 후 드레이프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의 고수축사의 경우 수축률이 25% 미만일 경우 기모효과를 극대화할 수 없으며 수축율이 3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공공정중 불량발생 및 원가상승 요인이 되므로 열수축율(100℃의 물)이 25∼35%인 고수축사가 적당하다.
본 발명에서 위사로는 면과 폴리에스테르섬유를 혼방하여 좌연(Z연) 또는 우연(S연)의 꼬임을 준 방적사를 사용하였다. 좌연의 원사는 다시 좌연으로 1000-1600 T/M의 꼬임을 부여하였으며, 우연의 원사 역시 우연으로 1000-1600 T/M의 꼬임을 부여하였다. 이때 꼬임수가 1,000T/M 미만일 경우에는 드레이프성 및 탄발력이 저하하고, 1,600T/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조상의 문제점이 있으며 과축으로 인하여 표면의 스웨드 터치가 손상을 받는다.
상기 좌연의 방적사와 우연의 방적사는 통상의 비율로 제직하되 경사를 표면에 많이 현출시킬 수 있는 주자직으로 직물을 제조하는 것이 좋다. 제조된 직물은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가공방법 즉, 정련.축소-열고정 제조된 직물을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가공방법 즉, 정련.축소-열고정-감량(이용성 폴리에스테르 폴리머 용출)-샌딩-염색하고 폴리우레탄수지 등의 가공처리를 하여서 스웨드조 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일반 폴리에스테르 폴리머와 이용성 폴리에스 폴리머를 7.5:2.5의 중량비율로 20%의 중공도를 갖도록 복합방사한 모노섬도 0.2 데니어 수준의 100 데니어의 용출형 복합사를 통상의 방법으로 가연하여 이것을 열수축을 (100w)이 30%인 40데니어/12필라멘트 고수축 폴리에스테르사와 교락수 90개/m로 공기교락한 중공 용출형 이수축혼섬사를 통상의 호부공정을 거쳐 경사로 사용하되 경사밀도는 220본/인치가 되게 하였다. 그리고 위사로는 면과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5:5의 중량비로 통상의 방법대로 혼방하여 20수의 좌연 또는 우연의 방적사를 제조하고, 각각의 방적사를 다시 같은 방향으로 1,450T/M 연사하여 위사밀도가 70본/인치가 되도록 하되 좌연과 우연의 위사를 2:2의 비율로 사용하였다. 이때 경사와 위사의 중량비는 1.7:1이 되게 하였다.
직물조직은 주자직으로 하였다. 상기 직물은 정련.축소-열고정-감량(이용성 폴리에스테르 폴리머 용출)-샌딩-염색 및 폴리우레탄수지 등의 가공처리를 해서 스웨드조 직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중공도가 0%인 경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게 하였다.
[비교예 2]
면과 폴리에스테르 5:5의 중량비로 혼방한 20수의 방적사를 재연사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게 하였다.
[비교예 3]
경사는 비교예 1과 동일한 원사 및 조건으로, 위사는 비교예 2와 동일한 원사 및 조건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직 및 가공하였디.
[비교예 4]
위사로는 면과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5:5의 중량비로 통상의 방법대로 혼방하여 20수의 좌연 또는 우연의 방적사를 제조하고, 각각의 방적사를 다시 같은 방향으로 800T/M 연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5]
열수축율(100w)이 20%인 40데니어/12필라멘트 고수축 폴리에스테르사를 교락수 90개/m로 공기교락한 중공 용출형 이수축혼섬사를 통상의 호부공정을 거쳐 경사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표 1]
◎ : 우수,○ : 양호,× : 불량
본 발명으로 제조된 스웨드조 직물은 흡습성, 드레이프성 및 라이팅 효과가 우수하고 천연 스웨드와 유사한 촉감 및 외관을 가지며, 본 발명에서 사용한 중공용출형 이수축혼섬사는 일반 용출형 이수축혼섬사에 비해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폴리머의 용출이 빨라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일반 폴리에스테르 폴리머와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복합방사하여 중공도가 15∼20%인 중공용철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제조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가연한 것과 고수축 폴리에스테르사를 공기교락하여 제조한 중공용출형 이수축혼섬사의 호부사를 경사로 사용하고, 좌연 또는 우연의 면/폴리에스테르 혼방사를 다시 같은 방향으로 1,000∼1,600T/M의 꼬임을 준 것을 위사로 사용하여 제직, 가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흡습성과 라이팅(Writing) 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고수축 폴리에스테르사는 열수축율(100w)이 25∼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습성과 라이팅(Writing)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KR1019970046166A 1997-09-08 1997-09-08 흡습성과 라이팅 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KR100240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166A KR100240595B1 (ko) 1997-09-08 1997-09-08 흡습성과 라이팅 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166A KR100240595B1 (ko) 1997-09-08 1997-09-08 흡습성과 라이팅 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802A true KR19990024802A (ko) 1999-04-06
KR100240595B1 KR100240595B1 (ko) 2000-01-15

Family

ID=1952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166A KR100240595B1 (ko) 1997-09-08 1997-09-08 흡습성과 라이팅 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05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518B1 (ko) * 1998-09-29 2005-10-26 주식회사 휴비스 흡습성이 우수한 신축성직물의 제조방법
KR100583462B1 (ko) * 2004-12-14 2006-05-26 (주)버팔로 견뢰도가 우수한 포토 프린트용 타월 직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561B1 (ko) * 1999-09-10 2002-04-17 김윤 인테리어용 스웨드조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제조방법
KR100308751B1 (ko) * 1999-09-15 2001-12-28 김윤 모직물과 유사한 외관과 촉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제조방법
KR102136594B1 (ko) 2019-12-03 2020-07-23 (주)두상섬유 폴리에스테르원단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원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518B1 (ko) * 1998-09-29 2005-10-26 주식회사 휴비스 흡습성이 우수한 신축성직물의 제조방법
KR100583462B1 (ko) * 2004-12-14 2006-05-26 (주)버팔로 견뢰도가 우수한 포토 프린트용 타월 직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0595B1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91676B1 (en) An improved chenille woven or knitted fabric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4447489A (en) Filament yarns of multicomponent fibers and utilization therefor in textile fabrics
JP3014114B2 (ja) 混合紡績糸
KR100240595B1 (ko) 흡습성과 라이팅 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JPH0931781A (ja) 中空状撚糸とその製造方法及び布帛
JPS60134042A (ja) 表面に凹凸を有する織物の製造方法
JP2003301350A (ja) デニ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3264965A (ja) ソフト布帛の製造方法
JPH09119034A (ja) バインダー繊維含有紡績糸
JP2954827B2 (ja) 極細繊維の製造方法
KR100240596B1 (ko)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KR19990016162A (ko) 스웨드 촉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제조방법
JP2000226753A (ja) 伸縮性織物の製造方法
JPH09302543A (ja) 中空紡績糸及びそれからなる織編物
JPH07216687A (ja) スエード調織物の製造方法
JP2004225179A (ja) 羽毛袋体用織物
JPH07316992A (ja) 透かし柄を有する織編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930011949B1 (ko) 이수축복합사직물의 제조방법
KR100454471B1 (ko) 폴리에스테르/아스테이트 복합사 직물의 제조방법
JPH11100737A (ja) 嵩高糸及び該嵩高糸の製造方法、並びに嵩高織編物及び該嵩高織編物の製造方法
KR0178126B1 (ko) 발수성 고밀도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H0147569B2 (ko)
JPH02289144A (ja) 通気性防水布の製造方法
JP3062584U (ja) 伸縮性織編物
KR100332561B1 (ko) 인테리어용 스웨드조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