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4471B1 - 폴리에스테르/아스테이트 복합사 직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아스테이트 복합사 직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4471B1
KR100454471B1 KR1019970040548A KR19970040548A KR100454471B1 KR 100454471 B1 KR100454471 B1 KR 100454471B1 KR 1019970040548 A KR1019970040548 A KR 1019970040548A KR 19970040548 A KR19970040548 A KR 19970040548A KR 100454471 B1 KR100454471 B1 KR 100454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abric
acetate
polyester
composite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570A (ko
Inventor
양광웅
이은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to KR1019970040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4471B1/ko
Publication of KR19990017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4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1/00Successive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1/00Treatment of selected parts of textile materials, e.g. partial dyeing
    • D06B11/0003Treatment of selected parts of textile materials, e.g. partial dyeing of fibres, slivers or rovings
    • D06B11/0006Treatment of selected parts of textile materials, e.g. partial dyeing of fibres, slivers or rovings in connection with a spinning ste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발명은 폴리에스테르 가연사/아세테이트사의 복합사를 위사로 하고 폴리에스테르 가연사를 경사로 한 직물을 릴렉서에서 3 단계로 정련, 축소시키고 히트셋팅하는 복합사 직물의 제조방법임.
상기 복합사는 폴리에스테르가연사의 주위를 아세테이트사로 300 ∼ 2000TPM으로 커버링한 것임.
본발명은 아세테이트사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1 단계공정으로 아세테이트섬유의 촉감과 같은 촉감을 가진 부드러운 직물을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아세테이트 복합사 직물의 제조방법
본발명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사와 아세테이트사를 혼합하여 정전기발생이 없고, 청량감이 우수한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와 아세테이트섬유의 교직물은 서로 전혀 다른 성질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상용성이 있다. 따라서 두섬유를 혼합하면 독특한 촉감을 발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두섬유를 혼용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두가지 섬유를 혼합하는 방법으로 한국공개 특허공보 95-6040에서는 두섬유를 동시에 한 노즐에 투입하여 공기로 인터레이스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상기 방법으로 복합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섬도에 따라 노즐을 교환해야하고, 두 섬유간에 강, 신도등의 차가 심해 원사 제조시 공기압을 변경해야하며, 사종이 바뀜에 따라 여러 가지 부수적으로 변화시킬 조건들이 많아서 생산성, 재현성 등 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같은 인터레이스 방법으로 제조한 섬유를 이용하여 직물에 반발 탄력성을 부여하려면 연사장치에서 꼬임을 주어야하므로 2 단계의 공정을 거쳐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발명은 아세테이트사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물성이 균일한 복합사를 적정한 꼬임수로 연사하는 방법에 의하여 1 단계공정만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노 2데니어 수준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가 연사를 심사로 사용하고, 이것을 회전체인 두 롤러사이로 통과시키되 이때 두 롤러간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하여 심사로 들어가는 폴리에스테르가연사에 연신이 일어나지 않게 한다. 한편 별도 구동장치로 아세테이트사를 이펙트사로 공급하여서 상기 심사를 피복시킨다. 심사의 주위를 이펙트사로 커버링하기 위해서 이펙트사를 300∼2000TPM으로 꼬임을 주어야한다. 만일 300TPM보다 적게 꼬임을 주면 두 원사 사이에 포합력이 약해 지고 제직시 위사방향으로 제직이 잘 되지 않는다. 또한 2000TPM을 초과하면 이펙트사로 사용된 아세테이트사의 사절이 일어나거나 지나친 토크(Torque)에 의해 표면을 거칠게하여 촉감이 딱딱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 연사한 복합사를 권취할때에는 내열성이 강한 구멍 뚫린 프라스틱관을 사용하여 권취하며, 열셋팅장치를 이용하여 위 복합사를 70∼95℃에서 30분간 처리하였다.
본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이 제조한 복합사를 위사로 사용하였다. 상술한 바와같은 복합사 제조방법의 원리는 내부로 들어가는 심사에는 전혀 꼬임이 들어 가지않고, 외부의 이펙트사는 단지 스핀들의 회전에 의해 커버링되므로 아세테이트사에는 전혀 무리가 가지 않아서 사절율이 감소되고 벨트의 균일한 구동에 의해 물성이 균일한 복합사가 제조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복합사를 위사로 사용하고 폴리에스테르계 가연사를 경사로 사용하여 직물을 제조하였다.
경, 위사 모두에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복합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제조한 직물의 가공 공정은 다음과 같다. 직물의 정련축소를 위해 지금까지 대부분의 폴리에스테르-아세테데트 교직물은 로타리워셔에서 실시하였으나 본발명에서는 직물의 평활성을 높여주고 릴렉서에서의 갑작스런 축소를 방지하기 위해 3 단으로 이루어진 릴렉서에서 호발제와 통상의 비이온계 정련제를 투입하고 60 ∼ 70℃에서 5분처리후 80 ∼ 100℃에서 10분간, 70 ∼ 80℃에서 5분간 다단 축소하되 직물표면에 복합사가 드러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열고정을 위해 180℃, 1분간 프리셋팅후 120∼130℃에서 염색하고, 170℃, 1분간 최종 열고정하여 아세테이트와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가연사를 이용한 복합직물을 제조할 수 있었다.
이렇게 제조한 직물의 가공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대전 방지성능은 가네보제 마찰대전압 측정기(ELECTRO STATIC METER)로 측정하였으며, 촉감은 가와바다 시스템을 이용하여 파악하였으며, 제조비용은 원사 준비공정의 비용과 생산량을 고려한 것이다.
실시예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75데니어 36필라멘트사를 심사로 하고 디아세테이트 120데니어 30필라멘트사를 이펙트사로 하되 심사에는 연신을 주지 않으면서 이펙트사로 커버링하였다. 이때 디아세테이트 120데니어 30필라멘트사의 꼬임수는 500TPM으로 하여서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상기 복합사를 위사로 사용하고, 경사로는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75데니어 36필라멘트사를 싸이징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준비한 실을 경사 밀도 160본/인치, 위사 밀도65본/인치로 에어젯트 직기로 제직하였다. 직물가공을 위하여 3단 릴렉서에서 70℃ 5분, 90℃10분, 60℃ 5분동안 다단 정련하고, 180℃ 에서 1분 동안 프리셋팅하고, 125℃에서 30분동안 염색하였다. 직물의 최종 열고정을 위하여 170℃에서 1분 동안처리하여 제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아세테이트 교직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와 동일한 원사를 사용하여 2.2Kg/Cm2의 압력으로 인터레이스한 원사로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제직한 직물을 정련 축소를 위해 120℃ 에서 30분간 로타리워셔에서 처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직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커버링시 250TPM으로 위사를 준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직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커버링시 2100TPM으로 위사를 준비한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직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준비한 직물을 가공 공정에서 릴렉서에서 90℃ 10분 처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직물을 가공 공정에서 로타리워셔에서 120℃에서 30분간 처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 1∼5의 결과는 표와 같았다.
[표 1]
Figure pat00001
본발명은 폴리아세테이트가연사의 주위를 아세테이트사로 커버링한 복합사를 위사로 사용하는 방법이므로 종래의 인터레이싱법으로 제조하는 경우에 비하여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균일한 물성의 사를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직물을 릴렉서에서 3 단계에 걸쳐서 서서히 단계적으로 정련, 축소시키므로 아세테이트섬유 고유의 매우 부드러운 촉감을 발현시킬 수 있다.

Claims (1)

  1. 폴리에스테르 가연사의 주위를 아세테이트사로 300∼2000TPM의 꼬임을 주어서 커버링한 사를 위사로 사용하고,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가연사를 경사로 사용하여 제직한 직물을 릴렉서에서 3 단으로 정련, 축소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아세테이트 복합사직물의 제조방법.
KR1019970040548A 1997-08-25 1997-08-25 폴리에스테르/아스테이트 복합사 직물의 제조방법 KR100454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548A KR100454471B1 (ko) 1997-08-25 1997-08-25 폴리에스테르/아스테이트 복합사 직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548A KR100454471B1 (ko) 1997-08-25 1997-08-25 폴리에스테르/아스테이트 복합사 직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570A KR19990017570A (ko) 1999-03-15
KR100454471B1 true KR100454471B1 (ko) 2005-04-06

Family

ID=37301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548A KR100454471B1 (ko) 1997-08-25 1997-08-25 폴리에스테르/아스테이트 복합사 직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44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652B1 (ko) * 2001-06-18 2005-01-2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흡습성이 우수한 신축성 직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424A (ko) * 1984-06-29 1986-01-28 강은자 표면효과를 지닌 폴리에스터/아크릴 직물의 제조방법
JPH06306764A (ja) * 1993-03-31 1994-11-01 Teijin Ltd 化合繊複合布帛
JPH07305265A (ja) * 1994-05-06 1995-11-21 Teijin Ltd アセテートシボ織物の製造方法
KR970010730A (ko) * 1995-08-26 1997-03-27 백영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럽의 제조방법
KR100248116B1 (ko) * 1993-12-30 2000-04-01 조민호 물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아세테이트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424A (ko) * 1984-06-29 1986-01-28 강은자 표면효과를 지닌 폴리에스터/아크릴 직물의 제조방법
JPH06306764A (ja) * 1993-03-31 1994-11-01 Teijin Ltd 化合繊複合布帛
KR100248116B1 (ko) * 1993-12-30 2000-04-01 조민호 물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아세테이트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JPH07305265A (ja) * 1994-05-06 1995-11-21 Teijin Ltd アセテートシボ織物の製造方法
KR970010730A (ko) * 1995-08-26 1997-03-27 백영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럽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570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7842B2 (ja) ヌバック調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447489A (en) Filament yarns of multicomponent fibers and utilization therefor in textile fabrics
KR100454471B1 (ko) 폴리에스테르/아스테이트 복합사 직물의 제조방법
JPH0931781A (ja) 中空状撚糸とその製造方法及び布帛
KR100285542B1 (ko) 이수축혼섬사및그직물의제조방법
KR100257338B1 (ko) 신축성이 우수한 양방향 신축성직물의 제조방법
WO199700098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uede-like woven fabrics
KR100240595B1 (ko) 흡습성과 라이팅 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JPS6320939B2 (ko)
KR950003497A (ko)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직물의 제조방법
KR100332560B1 (ko) 소모조 이수축 혼섬사 직물의 제조 방법
KR100279238B1 (ko) 양방향 신축성직물의 제조방법_
KR100260024B1 (ko) 촉감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아세테이트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KR20000020145A (ko) 크림프성이 우수한 해도형 극세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32384B1 (ko) 경.위사 방향에 동시에 스트레치성을 갖는 직물의 제조방법
KR0138223B1 (ko)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직물의 제조방법
KR930011948B1 (ko)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 제조방법
KR100211219B1 (ko) 폴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
JPH07216687A (ja) スエード調織物の製造方法
KR100314560B1 (ko) 태세복합 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0234558B1 (ko)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JP2633279B2 (ja) 新規な風合効果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布帛
KR970065800A (ko) 방적사와 장섬유사로 제조된 평행사 및 평행사로 제작된 연마포용 직물기재
KR960010932A (ko) 폴리에스테르 가연가공사 직물의 제조방법
JPH05214634A (ja) 弾性織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