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107A - 연속 언로더 - Google Patents

연속 언로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107A
KR19990022107A KR1019970708586A KR19970708586A KR19990022107A KR 19990022107 A KR19990022107 A KR 19990022107A KR 1019970708586 A KR1019970708586 A KR 1019970708586A KR 19970708586 A KR19970708586 A KR 19970708586A KR 19990022107 A KR19990022107 A KR 19990022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ocket
link
frame
cylinde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8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1035B1 (ko
Inventor
이사오 미야자와
Original Assignee
다께이 도시후미
이시가와지마 하리마 쥬우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77088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4540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77089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4282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77087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4540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77086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75656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6074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02962B2/ja
Application filed by 다께이 도시후미, 이시가와지마 하리마 쥬우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께이 도시후미
Publication of KR19990022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6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ulk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스프로켓트와 상기 상부 스프로켓트 아래쪽의 근원 스프로켓트와 상기 근원 스프로켓트 앞쪽의 선단 스프로켓트에 순환형의 버켓콘베어를 맞물린 연속 언로더로서, 상기 상부 스프로켓트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하단부에 상기 근원 스프로켓트 및 선단 스프로켓트를 근접시에는 하강시킴과 동시에 멀어질 때에는 상승시키는 링크기구를 통해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근원 스프로켓트 및 선단 스프로켓트의 거리조절과 승강을 공통의 링크기구에 의해 행하고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결하게 되어 중량이 가볍게 된다. 또한, 복잡한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제작비용도 싸진다. 상기 링크기구가 한쪽 끝이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은 선단 스프로켓트 쪽에 접속되는 메인링크와, 한쪽 끝이 메인링크의 중간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근원 스프로켓트 쪽에 접속되는 보조링크와, 한쪽 끝이 보조링크의 중간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스테이링크를 가지고 있어도 바람직하다. 이런 링크기구에 의해, 근원 스프로켓트 및 선단 스프로켓트의 거리조절과 승강이 달성된다.

Description

연속 언로더
연속 언로더는 도 27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부 스프로켓트(sprocket)(a)와 상기 스프로켓트 아래쪽에 위치한 근원 스프로켓트(b)와 상기 근원 스프로켓트 앞쪽에 위치한 선단 스프로켓트(c)에 순환형의 버켓콘베어(d)를 맞물리게 하여 구성되어 있다. 선창(e) 내의 벌크물(f)(석탄, 철광석 등)은 선단 스프로켓트(c)와 근원 스프로켓트(b)와의 사이의 버켓콘베어(d)에 의해 파여져서, 근원 스프로켓트와 상부 스프로켓트 사이의 버켓콘베어에 의해 상부로 이송된다. 버켓은 반전 스프로켓트(g )에 의해 반전되어 톱지지 프레임(h) 내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테이블 피더(feeder)에 짐이 내려지조, 빔(beam)(ⅰ)내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콘베어 및 슈우트(chute)(j) 등을 통해 부두(k)에 운반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선창(e)의 해치(hatch)(m)의 개구폭은 선창(e) 내부의 폭보다도 좁기 때문에, 선단 스프로켓트(c)와 근원 스프로켓트(b)와의 간격을 좁혀 해치(m)를 통과시키고, 그 간격을 넓혀 선창(e) 내부의 짐을 퍼담을 수 있도록 한다면 편리하다. 이와 같이 선단 스프로켓트(c)와 근원 스프로켓트(b)와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한 연속 언로도로서, 도 28에 나타낸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연속 언로더의 선단 스프로켓트(c)와 근원 스프로켓트(b)는 내통(o)과 외통(p)으로 이루어지는 신축 프레임(q)의 양단부에 부착되어 있고, 신축 실린더(r)에 의해 가까워지거나 멀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외통(p)에 접속부재(s)를 통해 연결된 가이드 로드(rod)(t)는 상구 스프로켓트(a)를 지지하는 프레임(n)(엘리베이터 케이싱)의 하단부에 설치된 가이드구(u)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승강 실린더(v)에 의해 승강되도록 되어 있다. 이 승강 실린더(v)의 신축에 의해 외통(p)과 상구 스프로켓트(a)와의 간격이 변경되게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신축 실린더(r)를 수축시키면서 승강 실린더(v)를 연장시킴으로써, 버켓콘베어(d)의 체인(w)을 과도하게 느슨하게 하지 않고, 선단 스프로켓트(c)와 근원 스프로켓트(b)와의 간격을 좁힐 수 있고, 반대로, 신축 실린더(r)을 연장시키면서 승강 실린더(v)를 수축시킴으로써, 버켓콘베어(d)의 체인(w)을 과도하게 당기지 않고, 선단 스프로켓트(c)와 근원 스프로켓트(b)와의 간격을 넓힐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연속 언로더는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었다.
선단 스프로켓트(c)와 근원 스프로켓트(b)와의 간격을 조절하는데, 신축 실린더(r)와 승강 실린더(v) 2개의 실린더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장치전체의 구성이 복잡하게 된다. 또한, 신축 프레임(q)을 신축·승강시킬 때, 버켓콘베어(d)의 체인(w)에 과도한 신축이완이 생기지 않도록 신축 실린더(r)의 신축과 승강 실린더(v)의 신축을 보조를 맞추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복잡한 유압제어가 필요하다.
또한, 신축 실린더(r)는 신축 프레임(q)의 신축 스트로크(stroke)와 같은 스트로크가 길고 대형인 특수한 실린더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대형화·대용량화함과 동시에 제작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승강 실린더(v)가 신축 프레임(q)을 신축 실린더(r)까지 끌어 올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 실린더(v)의 끌어올리는 힘에 신축 실린더(r)의 중량이 포함되게 되고, 승강 실린더(v)의 대형화 더 나아가서는 장치전체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이상의 사정을 고려해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결하고, 중량이 가벼우며, 복잡한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제작비용이 싼 연속 언로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 스프로켓트와 그 아래쪽의 근원 스프로켓트와 그 앞쪽의 선단 스프로켓트에 순환형의 버켓콘베어를 맞물리게 한 연속 언로더에 있어서, 상기의 상부 스프로켓트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하단부에 상기의 근원 스프로켓트 및 선단 스프로켓트를 그 근접시에 하강시킴과 동시에 멀어질 때 상승시키는 링크(link, 연결)구조를 통해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근원 스프로켓트 및 선단 스프로켓트의 거리조절과 승강을 공통의 링크구조에 의해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결하게 되고 중량이 가볍게 된다. 또한, 복잡한 제어가 필요없고, 제작비용도 싸진다.
상기의 선단 스프로켓트와 근원 스프로켓트가 신축가능한 신축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그 신축 프레임이 상기의 링크구조에 의해 신축이 자유롭도록 매달려 있어도 바람직하다. 이러면, 선단 스프로켓트와 근원 스프로켓트와의 거리조절이 신축 프레임의 신축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의 링크구조는 한쪽 끝이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접속되고 다른쪽끝이 선단 스프로켓트쪽에 접속되는 메인링크와, 한쪽 끝이 메인링크와 중간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근원 스프로켓트쪽에 접속되는 보조링크와, 한쪽 끝이 보조링크의 중간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스테이링크를 가지고 있어도 바람직하다. 이런 링크구조에 의해, 근원 스프로켓트 및 선단 스프로켓트의 거리조절과 승강이 달성된다.
상기의 링크구조에 그 링크구조를 변위시켜 유지하기 위한 액츄에이터(actuator)를 접속해도 바람직하다. 이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킴으로써, 근원 스프로켓트와 선단 스프로켓트와의 간격 및 높이를 변경해서 그것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의 액츄에이터가 실린더로 이루어지고, 그 한쪽 끝을 상기 링크구조가 접속되는 프레임의 하단부에 접속하고, 다른쪽 끝을 상기 링크구조를 구성하는 어느 한 링크에 접속해도 바람직하다. 이 실린더를 신축거리면, 링크구조가 작동하고, 근원 스프로켓트 및 선단 스프로켓트의 거리조절과 승강이 달성된다.
상기의 스테이링크에, 스테이링크의 양단간의 길이를 신축시키는 실린더를 내장해도 바람직하다. 이러면, 이 실린더를 신축시킴으로써, 근원 스프로켓트와 선단 스프로켓트를 연결하는 선을 수평선에 대해 변경할 수 있고, 근원 스프로켓트와 선단 스프로켓트 사이의 버켓콘베어를 선창바닥판의 경사에 일치시킬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에, 그 액츄에이터에 의한 링크구조의 지지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접속시켜도 바람직하다. 이러면, 근원 스프로켓트와 선단 스프로켓트와의 사이의 버켓콘베어를 선착바닥판에 접촉시키는 바닥을 긁어낼 때에, 제어수단에 의해 액츄에이터에 의한 링크기구의 보유력을 약화시킴으로써, 버켓콘베어의 선착바닥판에 대한 닿는 부분을 부드럽게 할 수 있고, 파도 등에 의한 선착바닥판의 요동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의 액츄에이터가 상기 링크기구와 그 링크기구가 접속되는 프레임의 하단부와의 사이에 끼워져 설치된 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의 제어수단이 그 실린더의 유압을 제어하는 유압회로로 이루어져 있어도 바람직하다.
상기 유압회로가 실린더에 소정의 압력을 공급하고 상기 링크기구와 선단 및 근원 스프로켓트와 이들 스프로켓트 사이에 맞물려진 버켓콘베어의 중량의 일부를 보유하는 어큐무레이터(accumulator)를 구비하고 있어도 바람직하다.
상기의 어큐무레이터에 대한 지지력이 상기 링크기구와 선단 및 근원 스프로켓트와 이들 스프로켓트 사이에 맞물려진 버켓콘베어의 중량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어도 바람직하다.
상기 선단 스프로켓트에, 상기 근원 스프로켓트와의 사이의 버켓콘베어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선단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선단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와의 사이에 상기 선단 프레임을 수평으로 유지하며 승강시키는 평행링크기구를 사이에 설치해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연속 언로더는 상부 스프로켓트와 그 아래쪽의 근원 스프로켓트와 그 앞쪽의 선단 스프로켓트에 순환형의 버켓콘베어를 맞물린 연속 언로더에 있어서, 상기의 상부 스프로켓트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하단부에 상기 선단 및 근원 스프로켓트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를 승강기구를 통해 접속하고, 그 베이스부에 상기 선단 및 근원 스프로켓트를 그 근접시에 하강시킴과 동시에 멀어질 때에 상승시키는 링크기구를 통해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승강기구가, 한쪽 끝이 베이스부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프레임의 하단부에 접속된 상부보유링크와, 그 상부보유링크와 평행하게 되도록 한쪽끝이 베이스부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프레임의 하단부에 접속된 하부보유링크를 갖는 평행 링크기구로 이루어져도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기구는, 한쪽 끝이 상기 베이스부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선단 스프로켓트에 접속되는 메인링크와, 한쪽 끝이 그 메인링크의 중간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근원 스프로켓트에 접속되는 보조링크와, 한쪽 끝이 보조링크의 중간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베이스부에 접속되는 스테이링크를 가지고 있어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선박 등에 하적된 석탄이나 철광석 등의 벌크물을 연속적으로 퍼서 운반하는 연속 언로더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연속 언로더의 전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디깅부를 수축시킨 모양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서부터 도 3의 링크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링크기구의 스테이링크에 실린더를 내장시킨 타입의 연속 언로더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상기 실린더를 신축시켜 디깅부를 기울여 움직이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은 도 7에 나타낸 연속 언로더의 디깅부를 수축시킨 모양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0은 상기 링크기구를 보유하는 실린더에 그 링크기구를 탄성적으로 보유하는 제어수단을 접속한 연속 언로더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1은 제어수단으로서의 유압회로를 나타낸 그림이다(디깅부의 신장시).
도 12는 제어수단으로서의 유압회로를 나타낸 그림이다(디깅부의 수축시).
도 13은 제어수단으로서의 유압회로를 나타내는 그림이다(디깅부의 탄성보유시).
도 14는 디깅부의 기울어져 움직이는 모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평행링크기구를 구비한 연속 언로더의 작동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낸 연속 언로더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ⅩⅤⅡ-ⅩⅤⅡ선에서 본 입면도이다.
도 18은 평행링크기구를 구비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연속 언로더의 요부 개요도이다.
도 19는 링크기루를 베이스부도 함께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한 연속 언로더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ⅩⅩⅡ-ⅩⅩⅡ선에서 본 도면이다.
도 23은 도 19에 나타낸 연속 언로더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19에 나타낸 연속 언로더의 디깅부를 수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19에 나타낸 연속 언로더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6은 연속 언로더의 부분측면도이다.
도 27은 종래예를 설명하기 위한 연속 언로더의 전체도이다.
도 28은 종래예를 나타낸 연속 언로더의 요부 측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
본 발명의 알맞은 실시의 형태를 첨부도면에 기초해서 상술한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연속 언로더(1)는 선박(34)의 선창(36) 내에 수용된 벌크물을 부두(33)에 내리는 것이고, 부두(33)를 달리는 주행부(2)와 주행부(2)로부터 해상쪽으로 뻗어나와 수평면상을 선회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붐(boom)(3)과 붐(3)이 뻗어나온 끝에 톱지지 프레임(4)을 통해 연직방향으로 늘어뜨린 연직축 주위에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5)(이하 선회마스트(mast)(5)라고 한다)과 선회마스트(5)에 설치된 순환형의 버켓콘베어(7)를 갖는다.
버켓콘베어(7)는 그 하단이 선박(34)의 해치구(35)에서부터 선창(36) 내로 삽입되고, 선창(36) 내에 수용된 벌크물을 퍼담는다. 버켓콘베어(7)는 선회마스트(5)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스프로켓트(8)와 그 아래쪽에 설치된 근원 스프로켓트(14)와 그 앞쪽(도면에서 수평방향 좌측)에 설치된 선단 스프로켓트(13)에 순환형으로 맞물려진 체인(7a)과 그 체인(7a)에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버켓(9)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스프로켓트(8)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 도 1에 있어서 시계반대방향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부 스프로켓트(8)의 아래쪽에는 버켓(9)을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 스프로켓트(8a)가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구 스프로켓트(8)를 구동함으로써, 버켓콘베어(7)는 상부 스프로켓트(8)에서 반전 스프로켓트(8a)를 통해 선단 스프로켓트(13)에 이르고, 근원 스프로켓트(14)를 경유한 후 다시 상부 스프로켓트(8)로 되돌아오도록 순환한다. 이 때, 각 버켓(9)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단 스프로켓트(13)와 근원 스프로켓트(14)와의 사이에서 개구(37)에서 벌크물을 집어, 근원 스프로켓트(14)와 상부 스프로켓트(8)와의 사이에서 벌크물을 윗쪽으로 이송하고, 상부 스프로켓트(8)와 반전 스프로켓트(8a)와의 사이에서 버켓(9)의 개구(37)가 반전되어 집어올린 벌크물을 톱지지 프레임(4) 내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테이블피더에 놓는다. 그 후, 테이블 피더 내의 벌크물은 붐(3) 내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콘베어 및 슈우트(3a) 등을 통해 부두(33)에 하적된다.
상기의 선단 스프로켓트(13)와 근원 스프로켓트(14)와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내통(19)과 외통(18)이 신축가능하도록 중합된 신축 프레임(15)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선회마스트(5)의 하단부에는 상기 내통(19)과 외통(18)을 링크기구(11)를 통해 매달기 위한 고정 프레임(23)이 설치되어 있다.
링크기구(11)는 한쪽 끝이 접속점(24)에 상기 고정 프레임(23)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접속점(50)에서 외통(18)에 접속된 메인링크(20)와, 한쪽 끝이 접속점(25)에서 메인링크(20)의 중간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접속점(31)에서 내통(19)에 접속된 보조링크(21)와, 한쪽 끝이 접속점(51)에서 보조링크(21)의 중간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접속점(26)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23)에 접속된 스테이링크(22)와, 한쪽 끝이 메인링크(20)의 고정 프레임(23)에 대한 접속점(25)이고 다른쪽 끝이 스테이링크(22)의 고정 프레임(23)에 대한 접속점(26)인 가상링크(52)로 구성되어 있다. 각 링크의 접속은 각각 핀접속으로 되어 있다.
이런 링크기구(11)에는 그 링크기구(11)를 변위시키고 그 변위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로서 실린더(12)가 접속되어 있다. 실린더(12)는 로드(rod)부(27)가 고정 프레임(23)에 접속점(30)에서 핀접속되고, 헤드(head)부(28)가 메인링크(20)에 접속점(29)에서 핀접속되어 있다. 이 실린더(12)를 도 2의 상태에서 수축시키면,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링크기구(11)가 작동해서 외통(18)으로 내통(19)이 들어가고, 선단 스프로켓트(13)와 근원 스프로켓트(14)와의 간격이 수평상태를 유지한채 좁혀지고, 동시에 선단 스프로켓트(13)와 근원 스프로켓트(14)가 하강하게 되지만, 이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덧붙여 말하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실린더(12)의 고정 프레임(23)쪽의 접속점 30은 접속점 24와 접속점 26과의 사이이고, 실린더(12)의 메인링크(20) 쪽의 접속점 29는 접속점 25와 접속점 24와의 사이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실린더(12)의 한쪽 끝을 고정 프레임(23)의 임의의 장소에 핀접속하고, 다른쪽 끝은 스테이링크(22) 또는 보조링크(21)의 임의의 장소에 핀접속해도 바람직하다. 또한 실린더(12)의 양끝을 메인링크(20)와 보조링크(21)와의 사이, 보조링크(21)와 스테이링크(22)와의 사이, 또는 스테이링크(22)와 메인링크(20)와의 사이에 각각 핀접속해도 바람직하다. 중요한 것은 실린더(12)의 신축에 의해 링크기구(11)를 작동할 수 있다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3의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우측면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버켓콘베어(7)의 체인(7a)은 고정간격을 두고 2개 배치되어 있고, 그들체인(7a, 7a)의 사이에 걸쳐지도록 한 버켓(9)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선단 스프로켓트(13) 및 근원 스프로켓트(14)는 각 체인(7a, 7a)에 대응시켜 2개씩 설치된다. 또한 근원 스프로켓트(14)의 비스듬한 위쪽에 배치되는 가이드 스프로켓트(38)도 각 체인(7a, 7a)에 대응시켜 2개 설치된다.
상기 각 링크(20, 21, 22) 및 가상링크(52)의 구체적인 치수비의 한 예는 메인링크(20)를 약 3411㎜로 한 경우, 보조링크(21)는 약 1806㎜이고, 스테이링크(22)는 약 2252㎜이고 가상링크(23)는 약 1226㎜이다. 가상링크(52)의 양끝을 형성하는 접속점 24와 접속점 26의 위치는 수직방향으로 274㎜ 정도 벗어남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1195㎜ 정도 벗어나 있다. 또한 접속점 24와 접속점 25와의 거리는 약 1600㎜이고, 스테이링크(22)의 보조링크(21)로의 접속점(51)은 링크기구(11)의 작동시에 메인링크(20)의 아래쪽 끝과 보조링크(21)의 아래쪽 끝이 같은 높이가 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연속 언로더(1)의 버켓콘베어(7)의 아래쪽 끝을 선박(34)의 헤치구(35)에서부터 선창(36) 내로 삽입하는 경우, 붐(3)을 조작해서 버켓콘베어(7)를 해치구(35)의 위쪽에 위치시킨 후, 도 2의 상태에서 실린더(12)를 수축시켜 링크기구(11)를 작동시키고,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선단 스프로켓트(13)와 근원 스프로켓트(14)와의 간격을 해치구(35)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길이까지 축소한다.
이 때, 링크기구(11)는 도 6에 점선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변화한다. 즉, 실린더(12)가 수축하면, 메인링크(20)가 접속점(24) 주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보조링크(21)가 접속점(25) 주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스테이링크(22)가 접속점(26) 주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보조링크(21)는 메인링크(20)에 의해 작동되지만, 그 작동이 스테이링크(22)에 의해 규제되기 때문에, 다른 링크(20, 22)와는 반대로 접속점(25) 주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그 결과, 메인링크(20)의 접속점(50)은 원호상으로 하강하고, 보조링크(21)의 접속점(31)은 대략 수직방향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접속점(50)은 접속된 외통(18)에 접속점(31)에 접속된 내통(19)이 수용되고, 선단 스프로켓트(13)와 근원 스프로켓트(14)와의 간격이 좁아지고, 이와 동시에 선단 및 근원 스프로켓트(13, 14)가 수평상태를 유지한 채 하강하고, 상부 스프로켓트(8)와의 간격이 넓어진다. 이 때문에, 링크기구(11)의 작동시, 버켓콘베어(7)의 체인(7a)이 과도하게 느슨한 일도 팽팽해지는 일도 없다. 즉, 선단 스프로켓트(13)와 근원 스프로켓트(14)와의 간격이 좁아지면 그만큼 체인(7a)이 남게 되지만, 그 남는 체인은 선단 및 근원 스프로켓트(13, 14)와 상부 스프로켓트(8)와의 간격이 넓어짐으로써 흡수된다.
이리하여, 선단 스프로켓트(13)와 근원 스프로켓트(14)와의 간격을 좁히면, 붐(3)을 기울여 선회마스트(5)를 하강시키고, 버켓콘베어(7)의 하단부를 해치구(35)에 삽입한다. 그 후, 실린더(12)를 다시 연장하여 뻗게하고, 링크기구(11)가 도 6에 실선에서 점선으로 나타나는 것과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는 반대로 작동시킨다. 그러면, 메인링크(20)의 접속점(50)은 원호상으로 상승하고, 보조링크(21)의 접속점(31)은 대략 수직방향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서, 외통(18)으로부터 내통(19)이 나와 선단 스프로켓트(13)와 근원 스프로켓트(14)와의 간격이 넓어지고, 이와 동시에 선단 및 근원 스프로켓트(13, 14)가 수평상태를 유지한채 상승하고, 상부 스프로켓트(8)와의 간격이 좁아진다. 이 때문에, 링크기구(11)의 작동시, 버켓콘베어(7)의 체인(7a)이 과도하게 느슨한 일도 팽팽해지는 일도 없다. 즉, 선단 스프로켓트(13)와 근원 스프로켓트(14)와의 간격이 넓어지면 그만큼 체인(7a)이 부족하게 되지만, 그 부족한 체인은 선단 및 근원 스프로켓트(13, 14)와 상부 스프로켓트(8)와의 간격이 좁아짐으로써 공급된다.
이리하여 선단 스프로켓트(13)와 근원 스프로켓트(14)와의 간격조절이 종료되면, 다시 선회마스크(5)를 하강시켜 선단 스프로켓트(13) 및 근원 스프로켓트(14)를 하강시키고, 선단 스프로켓트(13) 및 근원 스프로켓트(14) 사이의 버켓콘베어(7)의 버켓(9)을 선창(36) 내의 벌크물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 상부 스프로켓트(8)를 회전시켜 순환형의 버켓콘베어(7)를 도 1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돌린다.
이에 의해, 선창(36) 내의 벌크물은 선단 스프로켓트(13)와 근원 스프로켓트(14)와의 사이의 버켓콘베어(7)에 의해 퍼지고, 근원 스프로켓트(14)와 상부 스프로켓트(8)와의 사이의 버켓콘베어(7)에 의해 위쪽으로 이송되고, 반전 스프로켓트(8a)에 의해 반전되어 톱지지 프레임(4) 내에 설치된 테이블피더(도시되지 않음)에 놓여지고, 붐(3) 내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콘베이어 및 슈우트(3a) 등을 통해 부두(33)에 하역된다.
상세하게는, 이 때 선회마스트(5)를 수평이동 내지 선회시키면서 버켓콘베어(7)를 순환시키고, 선단 스프로켓트(13)와 근원 스프로켓트(14)와의 사이의 버켓콘베어(7)(이하 디깅부(10)라고 한다)에 의해, 선창(36) 내의 벌크물의 쌓인 높이를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벌크물의 윗면을 균등하게 퍼담는다. 평면이 직사각형으로 된 선창(36)에 있어서, 디깅부(10)의 선단 스프로켓트(13)가 선창(36) 내의 모서리부에 이르렀을 때에는 선회마스트(5)를 연직축 주위에 선회시켜 디깅부(10)의 방향을 바꾼다.
이 때, 선창(36) 내의 모서리부에 있는 벌크물을 남기지 않도록, 선회마스트(5)를 선회시키면서 디깅부(10)의 길이를 신축시켜, 선단 스프로켓트(13)를 선창(36)의 모서리에 따른 직선궤도를 따라 이동시킨다. 또한, 디깅부(10)를 연장시킬 때,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디깅부(10)는 상승이동하기 때문에, 버켓(9)이 벌크물에 접속하도록 디깅부(10)의 연장에 맞춰 선회마스크(5)를 하강조절한다.
이리하여 선창(36) 내의 벌크물을 내리는 일을 완료하면, 다시 실린더(12)를 수축시켜 디깅부(10)의 길이를 해치구(35)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길이로 수축시키고, 선회마스트(5)를 위쪽으로 끌어올려 버켓콘베어(7)를 해치구(35)에서 선창(36)의 외부로 내놓는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선회마스트(5)의 하단에 선단 스프로켓트(13)와 근원 스프로켓트(14)를 링크기구(11)를 통해 매달고, 그 링크기구(11)를 실린더(12)로 작동시킴으로써 디깅부(10)를 신축·승강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도 28에 나타낸 종래의 것과 같이 내통(o)과 외통(p)과의 사이에 신축 실린더(r)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고, 하나의 실린더(12) 만으로 디깅부(10)의 신축과 이에 따라 움직이는 승강이 달성된다. 따라서, 장치전체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12)의 신축 스트로크(stroke)는 링크기구(11)의 레버비에 의해 증폭되어 선단 스프로켓트(13)와 근원 스프로켓트(14)와의 거리조절을 하기 때문에, 도 28에 나타낸 종래의 신축 실린더(r)와 비교해 작은 신축 스트로크로 해결된다. 따라서, 소형의 실린더(12)를 이용할 수 있고, 경량화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저비용도 이루어진다.
이것을 정리하면, 도 28에 나타낸 종래의 것은 선단 스프로켓트(c)와 근원 스프로켓트(b)와의 거리조절 및 승강을 신축 실린더(r)와 승강 실린더(v)로 행하고 있고, 게다가 그 승강 실린더(v)는 신축 실린더(r)와 중량을 끌어 올리는 힘이 필요한 대형의 것이 필요하고, 장치전체가 중량화·대형화되어 버리지만,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나의 실린더(12)만으로 선단 스프로켓트(13)와 근원 스프로켓트(14)와의 거리조절 및 그에 따라 움직이는 승강을 달성할 수 있고, 게다가 그 실린더(12)가 소형의 것으로 해결되기 때문에, 장치전체의 경량화·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선단 스프로켓트(13)와 근원 스프로켓트(14)를 내통(19)과 외통(18)으로 이루어지는 신축가능한 신축 프레임(15)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하고, 링크기구(11)에 의해서 그들 내통(19)과 외통(18)을 넣고 빼내어 선단 스프로켓트(13)와 근원 스프로켓트(14)를 거리조절하도록 했기 때문에, 선단 스프로켓트(13)와 근원 스프로켓트(14)와의 거리조절이 내통(19) 및 외통(18)으로 안내되어 원활하게 된다.
또한, 링크기구(1)의 각 링크의 설치치수를 적절하게 설정했기 때문에, 실린더(12)에 의한 디깅구(10)의 신축과 동시에, 버켓콘베어(7)의 체인(7a)에 과도한 당김이나 느슨함이 생기지 않도록 디깅부(1)가 자동적으로 승강하게 된다. 따라서, 도 28에 나타낸 종래의 것과 같이, 신축 실린더(r)와 승강 실린더(v)와의 복잡한 동조제어는 일체 불필요하게 된다.
게다가, 링크기구(11)의 각 링크의 설치치수의 비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에 제한되지 않고,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 치수비라도 바람직하다. ① 디깅부(10)의 신축과 승강을 동시에 행할 때에 버켓콘베어(7)의 체인(7a)에 과도한 당김이나 느슨함이 생기지 않는 것. ② 디깅부(10)가 거의 수평상태를 유지한채 승강하는 것. ③ 근원 스프로켓트(14)가 수평방향으로 벗어나지 않고 대략 연직방향으로 승강하는 것.
그런데,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선회마스트(5)와 디깅부(10)와의 사이에 링크기구(11)를 설치해 디깅부(10)를 신축시키도록 한 연속 언로더(1)의 경우, 디깅부(10)를 기울여 움직이게 하는 수단은 없다. 또한 이 연속 언로더(1)는 링크기구(11)의 각 링크를 변위시켜 디깅부(10)를 신축시킴으로써, 각 링크가 작동해서 디깅부(10)를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선회마스트(5)와 디깅부(10)의 사이에 도 28의 실린더(x)와 같은 기울여 움직이게 하는 실린더를 설치할 수는 없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스테이링크(22)에 이 링크(22)의 양끝의 길이를 신축시키는 실린더(22a)를 내장시키고,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그 실린더(22a)를 신축시켜 디깅부(10)의 각도를 수평선에 대해 기울여 움직이도록 한 것을 개발했다. 이하 이 타입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것과 같이, 스테이링크(22)에는 그 링크(22)의 양끝의 길이를 신축시키는 실린더(22a)가 내장되어 있다. 그외 다른 구성부품은 상기의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연속 언로더(1)의 버켓콘베어(7)의 디깅부(10)를 배(34)의 해치구(35)에서 선창(36) 내로 넣었을 경우, 디깅부(10)를 해치구(35)의 위쪽에 위치시킨 후, 스테이링크(22)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한채 실린더(12)를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수축시키고, 도 9에 나타난 것과 같이 디깅부(10)의 길이를 해치구(35)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길이로까지 축소한다.
이 때, 실린더(12)가 수축함으로써, 메인링크(20)는 뒤쪽 아래로 끌어내려지고, 외통(18)을 뒤쪽으로 수축시킴과 동시에 아래쪽으로 끌어내린다. 그리고 게다가, 보조링크(21)는 메인링크(20)의 중간에 한쪽 끝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링크(21)에는 뒤쪽 아래로 밀어내리는 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단지, 보조링크(21)는 중간이 스테이링크(22)에 연결되어 뒤쪽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움직임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 뒤쪽 아래로 밀리는 일 없이, 내통(19)과의 연결점이 접속점(31)을 메인링크(20)에 대해 앞쪽 아래로 향해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접속점(31)은 메인링크(20)에 눌려 뒤쪽으로 이동하는 속도와 스테이링크(22)에 눌려 앞쪽으로 이동하는 속도가 균형이 잡혀 연직방향으로 내려가게 된다.
다음에 붐(3)을 기울게 하여 선회마스트(5)를 하강시키고, 디깅부(1)가 해치구(35)를 통과하면 디깅부(10)의 끝이 선창(36)의 모서리까지 다다르도록 스테이링크(22)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한채 실린더(12)를 연장시켜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디깅부(10)의 길이를 길게 하여 조절한다.
이 때, 실린더(12)가 늘어남으로써 메인링크(20)는 앞쪽 위로 밀려올려지고, 외통(18)을 앞쪽으로 늘임과 동시에 앞쪽으로 밀어올린다. 그리고 다시 보조링크(21)는 메인링크(20)의 중간에 한쪽 끝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링크(21)에는 앞쪽 위로 끌어올리는 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단지, 보조링크(21)는 중간에 스테이링크(22)에 연결되어 앞쪽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움직임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 앞쪽 위로 끌어올려지는 일 없이, 내통(19)과의 연결점이 접속점(31)의 메인링크(20)에 대해 위쪽 뒤로 향해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접속점(31)은 메인링크(20)에 끌려 앞쪽으로 이동하는 속도와 스테이링크(22)에 끌려 뒤쪽으로 이동하는 속도가 균형을 이루어 연직방향으로 올라가게 된다.
그 후, 붐(3)을 기울게 하여 선회마스트(5)를 하강시키고, 디깅부(10)에 의해 선창(36) 내의 벌크물을 퍼담지만, 선창(36) 내의 벌크물이 줄어 선체가 균형잡히면, 도 8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실린더(12)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 스테이링크(22)를 신축시키고, 디깅부(10)의 경사각도를 배 바닥의 경사각도에 맞춘다. 이 때, 디깅부(10)를 앞쪽 아래로 경사지게 하는 경우에는, 실린더(12)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한채 스테이링크(22)를 수축시키고, 디깅부(10)를 뒤쪽 아래로 경사지게 하는 경우에는, 실린더(12)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한채 스테이링크(22)를 늘인다.
여기서, 실린더(12)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한채 스테이링크(22)를 신축시킨 경우, 스테이링크(22)의 수축에 따라 보조링크(21)는 접속점(25)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회전되고, 신축 프레임(15)의 후단쪽이 뒤쪽 및 위쪽으로 끌어올려진다. 이 때, 실린더(12)의 길이는 일정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링크(20)가 접속점(24)을 중심으로 위아래방향으로 회전하는 일 없이, 신축 프레임(15)의 앞끝쪽이 메인링크(20)와의 접속점(50)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메인링크(20)에 의해 전후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외통(18)에서 내통(19)이 뒤쪽으로 빠져 신축 프레임(15)이 늘어나게 된다.
또한, 실린더(12)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한채 스테이링크(22)를 늘인 경우, 스테이링크(22)의 신장에 따라 보조링크(21)는 접속점(25)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전되고, 신축 프레임(15)의 뒤끝쪽이 아래쪽으로 밀려내려간다. 이 때, 실린더(12)의 길이는 일정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링크(20)가 접속점(24)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일 없이, 신축 프레임(15)의 앞쪽끝은 메인링크(20)와의 접속점(32)을 중심으로 앞쪽에서 회전됨과 동시에, 메인링크(20)에 의해 전후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외통(18)을 향해 내통(19)이 끼워지고, 신축 프레임(15)이 수축되게 된다.
벌크물을 내리는 일이 종료되면, 다시 스테이링크(22)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한채 실린더(12)을 수축시켜 디깅부(10)의 길이를 해치구(35)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길이까지 축소시켜, 선회마스트(5)와 함께 디깅장치(6)를 위쪽으로 끌어올려 해치구(35)로부터 선창(36)의 외부로 내놓는다.
이와 같이, 연속 언로더(1)의 디깅부(10)가 경사져 움직이는 것을 상기의 링크기구(11)의 일부를 구성하는 스테이링크(22)를 신축함으로써 달성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지극히 간단한 구성으로 아울러 저비용으로 디깅부(10)를 용이하게 경사지게하여 움직일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실린더(12)의 신축과 스테이링크(22)의 신축을 동시에 행하고, 디깅부(10)의 승강과 경동을 동시에 제어하도록 해도 바람직하다.
그런데, 도 1에 있어서, 선창(36) 내의 벌크물을 남기지 않고 바닥을 깨끗이하는(clean up) 경우, 디깅부(10)의 버켓(9)을 선창바닥판(36a)에 가볍게 접촉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파도나 쌓인 물건의 중량변화 등에 의해 배가 요동하기 때문에, 디깅부(2)를 선창바닥판(36a)의 요동에 부드럽게 대응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한편, 통상의 디깅시(clean up 이외의 경우)에는 디깅부(10)를 고정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자는 전환할 수 있는 연속 언로더를 실현하고,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실린더(12)에, 그 실린더(12)에 의한 링크기구(11)의 지지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수단(136)을 접속한 것을 개발했다. 이에 의하면, 디깅부(10)를 선창바닥판(36a)에 접촉시켜 바닥을 긁어낼 때에는 제어수단(136)에 의해 실린더(12)의 지지력을 약화시키고, 디깅부(10)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이에 의해, 파도 등으로 선창바닥판(36a)이 요동해도 디깅부(10)는 이런 요동에 부드럽게 대응한다. 또한, 통상 운전시에는 제어수단(136)에 의해 실린더(12)의 지지력을 높여 디깅부(10)를 고정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제어수단(136)은 실린더(12)로의 유압을 제어하는 유압회로(138)로 구성되어 있다. 유압회로(138)에는 실린더(12)에 소정의 유압을 공급하여 상기 디깅부(10)의 중량의 일부를 지지하는 어큐무레이터(13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어큐무레이터(137)에 의한 지지력은 디깅부(10)에 중량보다 약간 적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디깅부(10)의 선창바닥판(36a)에 대한 접촉압을 가급적 적게 할 수 있다. 이하 이 타입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린더(12)는 자연상태에서는 도 10에 점선으로 나타난 것과 같이 중력에 의해 디깅부(10)(선단 및 근원 스프로켓트(13, 14), 신축 프레임(15))가 하강하여 메인링크(2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수축된다. 따라서, 실린더(12)를 신장시킬 때에는, 그 중력에 의해 부가되는 힘을 이겨낼 유압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유압의 공급을 멈추면, 디깅부(10)가 중력에 의해 하강되고, 신축 실린더(12)가 자연스럽게 수축한다. 또한, 신축 실린더(12)로의 유압을 잠그면, 디깅부(10)가 소정의 높이에 고정유지된다. 또한 실린더(12)에 어큐무레이터(137)를 접속하고, 어큐무레이터(137)의 압력에 의해 디깅부(10)의 자중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하면, 디깅부(10)의 지지력이 약화된다.
실린더(12)에는 이런 유압의 전환을 행하고, 디깅부(10)의 지지력을 조절하는 제어수단(136)으로서 유압회로(138)가 접속되어 있다. 유압회로(138)에는 실린더(12)에 소정의 압력을 공급하여 디깅부(10)의 자중의 일부를 지지하는 어큐무레이터(137)가 설치되어 있다. 어큐무레이터(137)에 의한 디깅부(10)의 지지력은 디깅부(10)의 자중보다 약간 적게 설정되어 있다. 유압회로(138)의 개요는 도 11∼도 13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린더(12)의 헤드쪽의 방(139)에는 제1배관(140)을 통해 어큐무레이터(137)가 접속되어 있다. 어큐무레이터(137)의 압력은 디깅부(10)(선단 스프로켓트(13), 근원 스프로켓트(14), 신축 프레임(15) 등)의 자중을 들어올리기에는 약간 부족한 압력으로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디깅부(10)의 중량이 10톤이라면, 어큐무레이터(137)의 압력은 8톤을 들어올릴 정도의 압력으로 되어있다.
상기 제1배관(140)에는 릴리프(relief) 밸브(141), 제1전환식 체크밸브(142), 가압펌프(143), 고정식 체크밸브(144), 체크밸브 유니트(145), 릴리프밸브(146)가 설치되어 있다. 릴리프밸브(141)와 제1회전식 체크밸브(142)와의 사이의 부분과 고정식 체크밸브(144)와 체크밸브 유니트(145)와의 사이의 부분과는 제2배관(147)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2배관(147)에는 제2전환식 체크밸브(14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릴리프밸브(141)와 제1전환식 체크밸브(142)와의 사이의 부분과 릴리프밸브(146)와 신축 실린더(133)와의 사이의 부분과는 제3배관(149)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3배관(149)에는 제3전환식 체크밸브(1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제3전환식 체크밸브(142, 148, 150)의 각각 제1∼제3전환밸브(151, 152, 153)에 접속되어 있고, 이들에 의해 한 방향으로만 통과시키는 역지기능과 두 방향으로 자유롭게 통과시키는 자유기능으로 전환되도록 되어있다. 제1∼제3전환밸브(151, 152, 153)에는 작동유체로서의 오일이 펌프(154)에서 제4배관(155)을 통해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각각 솔레노이드(solenoid)(156, 157, 158)에 의해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제4배관(155)에는 릴리프밸브(159)가 설치되어 있다.
제4배관(155)의 릴리브밸브(159)와 펌프(154)와의 사이의 부분과 제1배관(140)의 어큐무레이터(137)와 릴리프밸브(141)와의 사이의 부분과는 제5배관(16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5배관(160)에는 고정식 체크밸브(161), 압력스위치(162)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 스위치(162)는 어큐무레이터(137) 내의 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낮은 경우에 작동되고, 펌프(154)에 접속된 모터(163)를 작동시켜 어큐무레이터(137)의 압력을 회복시키는 것이다. 다만, 통상은 어큐무레이터(137)의 압력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체크밸브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압력 스위치(162)가 작동하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 제1배관(140)의 펌프(143)와 고정식 체크밸브(144)와의 사이의 부분에는 제6배관(164)이 접속되어 있고, 제6배관(164)에는 릴리프밸브(16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12)의 로드쪽의 방(166)은 제7배관(167)을 통해 오일탱크(16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체크밸브 유니트(145)는 4개의 고정식 체크밸브(169, 170, 171, 172)와 1개의 가변식 조절판(173)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압회로(138)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실린더(12)의 신장, 수축, 고정유지, 탄성유지 상태로 전환한다.
실린더(12)를 신장시킬 때에는, 도 1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제1전환밸브(151)의 솔레노이드(156)에 전기를 통하게 하여 제1전환식 체크밸브(142)를 열고, 모터(163)에 의해 펌프(143)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어큐무레이터(137)내의 오일은 제1전환식 체크밸브(142), 펌프(143), 고정식 체크밸브(144), 체크밸브(172), 조절판(173), 체크밸브(170)를 지나 제1배관(140)을 통해 펌프(143)에서 압력이 가해져 실린더(12)의 헤드쪽의 방(139)으로 유도되고, 실린더(12)가 신장한다.
이 때, 펌프(143)는 그 흡입구쪽에 어큐무레이터(137)가 접속되고, 토출구쪽에 실린더(12)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어큐무레이터(137) 내의 압력을 기준으로 해서 압력을 가하는 일을 행한다. 따라서, 펌프(143)의 작업량은 어큐무레이터(137)가 없는 것과 비교하면, 어큐무레이터(137)의 압력만큼만 경감된다. 실린더(12)가 늘어나면, 도 10에 나타난 것과 같이 디깅부(10)가 링크기구(11)를 통해 상승한다. 게다가, 실린더(12)의 로드쪽의 방(166)의 오일은 제7배관(167)을 통해 오일탱크(168)에 배출된다.
실린더(12)를 고정유지할 때에는, 펌프(143)를 정지시키면 좋다. 이에 의해, 디깅부(10)의 상승이 멈추고, 디깅부(10)가 원하는 높이에 유지된다. 왜냐하면, 이 때 실린더(12)의 헤드쪽의 방(139) 내의 유압은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체크밸브(169), 조절판(173), 체크밸브(171), 체크밸브(144), 제2전환식 체크밸브(148), 제3전환식 체크밸브(144, 150)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이다. 이 때, 제2 및 제3전환식 체크밸브(144, 150)는 역류방지 기능이 발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실린더(12)를 수축시킬 때에는,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2전환밸브(152)의 솔레노이드(157)에 전기를 통해 제2전환식 체크밸브(148)를 열고, 펌프(143)를 정지한다. 그러면, 도10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실린더(12)가 디깅부(10)의 중량에 눌려 수축되기 때문에,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린더(12)의 헤드쪽의 방(139) 내의 오일이 체크밸브(169), 조절판(173), 체크밸브(171), 제2전환식 체크밸브(148)를 지나 제2배관(147)을 통해 어큐무레이터(137)로 유도된다. 실린더(12)가 수축하면, 도 10에 나타난 것과 같이 디깅부(10)가 하강한다. 게다가, 실린더(12)의 로드쪽의 방(166)은 오일탱크(168)로부터 제7배관(167)을 통해 오일을 빨아들인다. 그 후, 제2전환식 체크밸브(148)를 작동시켜 역류방지 기능을 발휘시키면, 실린더(12)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그 위치에 지지고정된다.
실린더(12)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때에는, 도 1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제3전환밸브(153)의 솔레노이드(158)에 전기를 통해 제3전환식 체크밸브(150)를 연다. 그러면, 실린더(12)의 헤드쪽의 방(139)과 어큐무레이터(137)가 제3배관(149)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방(139)에 어큐무레이터(137) 내의 유압이 가해진다. 그러면, 어큐무레이터(137)의 압력에 의해 디깅부(10)(선단 스프로켓트(13), 근원 스프로켓트(14), 신축 프레임(15) 등)의 자중의 일부가 들려진다. 따라서, 바닥을 긁어낼 때, 디깅부(10)의 버켓(9)을 선창바닥판(36a)에 접촉시켰을 때의 접촉압이 적어진다.
예를 들면, 디깅부(10)의 중량이 10톤인 경우에 어큐무레이터(137)의 들어올리는 힘을 8톤으로 설정해 놓으면, 접촉압은 2톤이 된다. 따라서, 선창바닥판(36a)이 파도의 작용이나 하적에 의한 중량 발란스의 변화 등에 기인하여 상하로 요동하여도, 디깅부(10)가 소정의 접촉압(2톤)을 유지한채 그 요동에 부드럽게 대응하게 된다. 이에 의해 디깅부(10)의 버켓(9)이 선창바닥판(36a)에 심하게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버컷(9) 및 선창바닥판(36a)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하적작업시에는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유압을 잠궈 실린더(12)를 고정해 놓는다. 이것에 의해 안정되게 퍼담을 수 있다.
게다가, 도 13중의 릴리프밸브(141)의 릴리프압력을 가변으로 해서, 이것을 적당하게 조절하면 상기 접촉압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릴리프밸브(141)의 릴리프압력을 높이면 접촉압이 적어지고, 릴리프압력을 낮추면 접촉압이 커진다.
다른 실시형태를 도 14에 나타낸다.
도시한바와 같이, 이것은 스테이링크(22)를 도 3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린더(22a) 내장형으로 하고, 이 실린더(22a)를 신축시킴으로써 디깅부(10)의 각도(선단 스프로켓트(13)와 근원 스프로켓트(14)를 연결한 직선의 각도)를 비스듬히 움직이도록 하고, 이 실린더(22a)에 상기에서 설명한 도 11∼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유압회로(138)를 접속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바닥을 긁어낼 때에, 디깅부(10)는 선창바닥판(36a)이 기울어져 움직이는 것에 대해서도 부드럽게 응할 수 있다.
게다가, 도 14에 나타낸 디깅부(10)가 기울어져 움직이는 것을 제어하는 실린더(22a)와 도 10에 나타낸 다깅부(10)의 승강을 제어하는 실린더(12)의 양쪽에 도 11∼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유압회로(138)를 각각 접속하고, 바닥을 긁어낼 때에 디깅부(10)를 선창바닥판(36a)의 승강과 기울어서 움직이는 것에 동시에 대응시키도록 해도 바람직하다.
그런데, 도 2에 나타낸 연속 언로더에 있어서는 선단 스프로켓트(23)와 근원 스프로켓트(14)와의 사이에 버켓콘베어(7)의 중력에 의한 느슨함은 외통(18)의 하단에 부착한 가이드 레일(18a)에 각 버켓(9)에 부착한 가이드 롤러(9a)를 연결시켜 방지하고 있다(도 4 참조).
그러나, 이 타입에 대해서, 가이드 레일(18a)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선단 스프로켓트(13)와 근원 스프로켓트(14)와의 사이에 외통(18)과 내통(19)으로 이루어져서 서로 끼워지는 모양의 신축 프레임(15)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디깅부(10)의 중량이 무겁게 되어 버리고, 실린더(12)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또한, 디깅부(10)와 균형을 맞추는 도 1에 나타낸 평형추(3b)의 대형화를 초래하고, 장치전체가 대형화되어 비용상승(cost up)으로 이어진다. 또한, 신축 프레임(15)은 그 연결부분에 벌크물인 석탄가루 등이 침입하는 일이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정비가 필요하다.
여기서, 본 발명자는 신축 프레임(15)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도 1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선단 스프로켓트(13)에 근원 스프로켓트(14)와의 사이에 버켓콘베어(7)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선단 프레임(218)을 설치하고, 그 선단 프레임(218)과 고정 프레임(23)과의 사이에 선단 프레임(218)을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승강시키는 평행 링크기구(233)를 사이에 설치한 것을 개발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디깅부(10)에는 버켓콘베어(7)의 가이드부재로서의 선단 프레임(219)만을 설치하면 바람직하고, 종래의 신축 프레임(15)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경량화 및 비용절감을 추진할 수 있다. 이하, 이 타입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디깅부(10)의 선단 스프로켓트(13)에는 그 선단 스프로켓트(13)를 축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근원 스프로켓트(14) 쪽으로 연장하여 뻗게 한 선단 프레임(218)이 설치되어 있다. 선단 프레임(218)의 연장길이(L2)는 도 15에 점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선단 스프로켓트(13)와 근원 스프로켓트(14)와의 간격(L)을 가장 좁혔을 때에, 근원 스프로켓트(14)와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한한 길게 설정되어 있다. 뒤에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선단 프레임(218)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219)에 의해 스프로켓트(13, 14) 사이에 발생하는 버켓콘베어(7)의 느슨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선단 프레임(218)은 도 17에도 나타낸 것과 같이, 근원 스프로켓트(14)쪽에 연장하여 뻗어진 로드 형상의 본체(220)와, 선단 스프로켓트(13)를 축으로 지지하는 브래킷(bracket)(221)과, 링크기구(11)가 부착되는 브래킷(223)과, 선단 스프로켓트(13)과 근원 스프로켓트(14)와의 사이의 버켓콘베어(7)를 수평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219)를 갖고 있다. 가이드 레일(219)은 단면이 약간 U자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빔(beam)재로 이루어지고, 각 버켓(9)의 배면부에 설치된 한 쌍의 주판알모양의 가이드 롤러(9a)에 연결하고, 스프로켓트(13, 14) 사이에 발생하는 버켓콘베어(7)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것이다.
선단 프레임(218)과 근원 스프로켓트(14)와 고정 프레임(23)과의 사이에는,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선단 및 근원 스프로켓트(13, 14)를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그 간격(L1)을 넓히면서 상승시키고, 좁히면서 하강시키는 링크기구(11)가 설치되어 있다. 링크기구(11)는 도 16에도 나타낸 것과 같이 한쪽 끝이 고정 프레임(23)에 접속점(24)에서 접속되고 다른쪽 끝은 선단 프레임(218)에 접속점(50)에서 접속된 메인링크(20)와, 한쪽 끝이 메인링크(20)의 중간부에 접속점(25)에서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접속점(31)에서 직접 근원 스프로켓트(14)에 접속된 보조링크(21)와, 한쪽 끝이 접속점(51)에서 보조링크(21)의 중간부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접속점(26)에서 고정 프레임(23)에 접속된 스테이링크(22)를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링크(22)의 고정 프레임(23) 쪽의 접속점(26)과 메인링크(20)의 고정 프레임(23) 쪽의 부착점(24)과는 소정의 거리고 떨어져 있다. 보조링크(21)의 접속점(31)은 직접 근원 스프로켓트(14)를 축으로 지지한다. 메인링크(20)의 접속점(50)은 브래킷(223)을 통해 선단 프레임(218)에 접속되어 있다. 메인링크(20)와 고정 프레임(23)과의 사이에는, 상기 링크기구(11)를 작동시키는 실린더(12)가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12)는 그 고정 프레임(23) 쪽의 접속점(30)이 접속점(24)과 접속점(26)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메인링크(20)쪽의 접속점(29)이 접속점(25)과 접속점(24)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선단 프레임(218)과 고정 프레임(23)과의 사이에는, 선단 프레임(218)을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승강시키는 평행 링크 기구(233)가 설치되어 있다. 평행 링크기구(233)는 상기 메인링크(20)와, 이것에 평행으로 배치되고 한쪽 끝이 접속점(238)에서 고정 프레임(23)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접속점(236)에서 선단 프레임(218)의 브래킷(223)에 접속된 긴 링크(234)와, 선단 프레임(218)쪽의 접속점(236)과 접속점(50)과의 사이에 가상적으로 형성되는 가상링크(237)와, 고정 프레임(23) 쪽의 접속점(238)과 접속점(24)과의 사이에 가상적으로 형성되는 가상링크(239)로 구성되어 있다. 가상링크(237)와 가상링크(239)와는 평행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서술한다.
도 15에 실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늘린 상태의 실린더(12)를 축소시키면, 링크기구(11)가 점선과 같이 움직이고, 근원 스프로켓트(14)와 선단 스프로켓트(13)가 수평으로 유지된 상태로 그 간격(L1)을 좁히면서 하강한다. 선단 및 근원 스프로켓트(13, 14) 사이가 좁혀짐으로써 버켓콘베어(7)의 체인(7a)이 남는 것은 선단 및 근원 스프로켓트(13, 14)가 일체적으로 하강함으로써 상부 스프로켓트(8)(도 1a 참조)와의 간격이 넓어짐으로써 흡수된다. 이 상태에서 실린더(12)를 늘리면, 링크기구(11)가 반대로 움직이고, 선단 스프로켓트(13)와 근원 스프로켓트(14)와는 수평으로 유지된 상태로 그 간격(L1)을 넓히면서 상승하고, 실선의 위치로 돌아온다.
이런 디깅부(10)의 승강시, 선단 프레임(218)은 고정 프레임(23)으로부터 평행 링크기구(233)를 통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으로 유지된채 승강한다. 따라서, 선단 프레임(218)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219)도 수평으로 유지된채 승강하고, 선단 스프로켓트(13)와 근원 스프로켓트(14)와의 사이의 버켓콘베어(7)의 각 버켓(9)의 가이드 롤러(9a)가 가이드 레일(219)에 연결되어 항상 수평으로 안내된다. 만약, 평행 링크기구(233)를 구성하는 긴 링크(234)가 없다면, 선단 스프로켓트(13)는 메인링크(20)의 접속점(50)을 지점으로 아래쪽으로 매달려(회전하여) 버린다. 긴 링크(234)는 이것을 끌어당겨 지지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디깅부(10)에는 가이드 레일(219)을 갖는 선단 프레임(218)을 설치하면 바람직하고,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은 외통(18)과 내통(19)으로 이루어지는 신축 프레임(15)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디깅부(10)가 가벼워진다. 선단 프레임(218)은 스프로켓트(13, 14) 사이의 버켓콘베어(7)를 수평으로 가이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바람직하고, 강판 등에 의해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결과, 디깅부(10)에 매다는 도 1에 나타낸 카운터웨이트(3b)를 소형화할 수 있고, 장치전체가 소형화되어 비용절감이 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신축 프레임(15)은 그 연결부분에 벌크물(석탄가루 등)이 침입하는 일이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정비가 필요하지만, 이것이 불필요하게 된다.
다른 실시형태를 도 18에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것은 메인링크(20)의 하단의 접속점(50)에 직접 선단 스프로켓트(13)를 부착한 것이다. 이 경우, 평행 링크기구(233)를 구성하는 긴 링크(2234)는 메인링크(20)의 아래쪽에 평행으로 배치되게 된다.
그런데, 앞에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은 링크기구(11)를 이용한 연속 언로더(1)에 있어서는, 링크기구(11)를 작동시켜 선단 및 근원 스프로켓트(13, 14)의 거리조절과 승강을 행하고 있지만, 이 때, 버켓콘베어(7)의 체인(7a)의 길이를 완전히 일정하게 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고, 체인(7)이 어느 정도 느슨해지거나 팽팽해지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또한, 몇 년 사용에 의해, 체인(7)의 각 틈의 부시(bush)가 마모하여 틈 사이의 피치(pitch)가 넓어져 소위 체인(7)이 늘어나면, 체인(7)이 느슨해져 버린다. 이와 같이해서 느슨한 체인(7)은 스프로켓트(13, 14)로부터 분리될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서, 본 발명자는 이런 체인(7)의 느슨함 또는 팽팽함을 해소하고, 도 19에 나타낸 것을 개발했다. 이것은 링크기구(319)를 지지하는 베이스부(305)를 승강기구(307)에 의해 승강시킴으로써, 선단 및 근원 스프로켓트(302, 301)와 상부 스프로켓트(350)(도 26 참조)와의 간격을 조정하고, 상기의 체인(329)의 느슨함 또는 팽팽함을 흡수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이 타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속 언로더는 기본적으로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부 스프로켓트(350)와 그 아래쪽의 근원 스프로켓트(301)와 그 앞쪽의 선단 스프로켓트(302)에 순환형의 버켓콘베어(303)를 맞물려 구성하고 있다. 상부 스프로켓트(350)는 프레임(351)에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351)은 상부 스프로켓트(350) 및 반전 스프로켓트(352)를 덮는 상부 커버(353)와 버켓콘베어(303)의 수직부분을 덮는 엘리베이터 케이싱(354)으로 구성되어 있고, 톱지지 프레임(355)에 부착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싱(354)의 하단부에는 베이스부(305)를 매달기 위한 고정부(306)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306)에는 선단 및 근원 스프로켓트(302, 301)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305)가 승강기구(307)를 통해 승강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승강기구(307)는 상부지지링크(308)와 하부지지링크(309)와 베이스부(305)와 가상링크(310)로 이루어지는 평행링크기구(311)로 구성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상부지지링크(308) 및 하부지지링크(309)는 각각 한쪽 끝이 고정부(306)에 핀(312, 313)으로 접속되어 있고, 베이스부(305)는 상부지지링크(308) 및 하부지지링크(309)의 다른쪽 끝을 연결하여 핀(314, 315)으로 접속되어 있고, 가상링크(310)는 핀(312)과 핀(313)을 연결하는 가상적인 링크이다. 그리고, 상부지지링크(308)와 하부지지링크(309)가 평행하게 배치되고, 베이스부(305)와 가상링크(310)가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부지지링크(308)에 설치된 브래킷(360)과 고정부(306)에 설치된 브래킷(361)과의 사이에 끼워 설치한 지지 실린더(316)(유압 또는 전동)를 신축시킴으로써, 도 2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부지지링크(308) 및 하부지지링크(309)가 각각 핀(312, 313)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고, 평행링크기구(311)가 작동하여 베이스부(305)가 승강하게 된다.
상기 상부지지링크(308) 및 하부지지링크(309)는 도 2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버켓콘베어(303)를 좁히도록 그 좌우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부지지링크(308, 308)들은 연결부재(31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305, 305)도 버켓콘베어(303)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그것들이 연결부재(31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도 22 참조).
이 구성에 의하면, 각 연결부재(317, 318)에 의해 좌우의 상부지지링크(308, 308)와 하부지지링크(309, 309)와 베이스부(305, 305)가 각각 연결되어 움직인다. 이 때문에, 상기 지지 실린더(316)는 좌우의 어느 한 쪽에 설치하면 바람직하다. 다만 좌우양쪽에 설치하여 분담하중을 줄이도록 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이런 평행링크기구(311)에 의해 승강되는 베이스부(305)에는 상기 선단 및 근원 스프로켓트(302, 301)를 그 근접시에 하강시키고, 떨어질 때에 상승시키는 다른 링크기구(319)가 접속되어 있다(도 21 참조). 링크기구(319)는 도 19 내지 도 22에도 나타낸 것과 같이, 한쪽 끝이 상부지지링크(308)에 핀(320)으로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선단 스프로켓트(302)를 축으로 지지하는 메인링크(321)와, 한쪽 끝이 메인링크(321)의 중간부에 핀(322)으로 접속되고 다른쪽 끝에서 근원 스프로켓트(301)를 축으로 지지하는 보조링크(323)와, 한쪽 끝이 보조링크(323)의 도중에 핀(324)으로 지지되고 다른쪽 끝이 하부지지링크(309)에 핀(315)으로 접속된 스테이링크(325)로 구성되어 있다.
도 2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메인링크(321)의 핀(320)은 베이스부(305)의 핀(314)과 같은 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상적으로는 베이스부(305)에 메인링크(321)가 핀 접속되어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테이링크(325)의 핀(315)도 베이스부(305)의 핀(315)과 공용되고 있고 같은 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상적으로는 베이스부(305)에 스테이링크(325)가 핀 접속되어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게닫가, 메인링크(321) 및 스테이링크(325)를 직접 베이스부(305)에 핀 접속해도 바람직한 것은 물론이다. 중요한 것은, 베이스부(305)가 승강할 때에 그것과 일체적으로 메인링크(321) 및 스테이링크(325)가 승강하면 바람직한 것이다.
이런 링크기구(319)는 도 19에 나타낸 것과 같이, 메인링크(321)에 설치된 브래킷(326)과 베이스부(305)의 연결부재(318)에 설치된 브래킷(327)과의 사이에 끼워져 설치된 신축 실린더(328)(유압 또는 전동)에 의해 작동된다. 신축 실린더(328)를 늘리면, 메인링크(321)가 핀(314)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회전하고, 보조링크(323)가 핀(322)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회전하고, 스테이링크(325)가 핀(315)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회전하고, 도 1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선단 스프로켓트(302)와 근원 스프로켓트(301)가 수평상태를 유지한채 멀어지면서 상승한다. 반대로, 신축 실린더(328)를 수축시키면, 도 2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선단 스프로켓트(302)와 근원 스프로켓트(301)가 수평상태를 유지한채 근접하면서 하강한다.
이 때, 버켓콘베어(303)의 체인(329)의 길이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링크기구(319)의 각 링크의 레버비가 설정되어 있다. 즉, 선단 스프로켓트(302)의 근원 스프로켓트(301)가 멀어지면 그 만큼 체인(329)이 부족하게 되기 때문에 두 스프로켓트(302, 301)를 상승시켜 상부 스프로켓트(350)(도 26 참조)와의 간격을 좁혀 부족분을 보충하고, 선단 스프로켓트(302)와 근원 스프로켓트(301)가 근접하면 그 만큼 체인(329)이 남기 때문에 두 스프로켓트(302, 301)를 하강시켜 상부 스프로켓트(350)와의 간격을 넓혀 잉여분을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선단 스프로켓트(302)와 근원 스프로켓트(301)와의 사이의 거리 즉, 디깅부의 길이를 조절할 때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도 19 및 도 2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신축 실린더(328)를 신축시켜 링크기구(319)를 작동시켜 행한다.
이 때, 선단 및 근원 스프로켓트(302, 301)는 그 근접시에 하강하고 멀어질 때에 상승하기 때문에, 버켓콘베어(303)의 체인(329)의 길이를 거의 일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완전히 일정하게 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체인(329)에 느슨함 또는 팽팽함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또한, 몇 년 사용에 의해, 소위 체인(329)이 늘어나면, 체인(329)이 느슨해진다.
이런 체인(329)의 느슨함을 해소하는데는, 도 2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지지 실린더(316)를 신장시켜 베이스부(305)를 하강시키면 바람직하다. 베이스부(305)의 하강에 의해 링크기구(319) 전체가 각 링크의 위치관계를 유지한채 하강하고, 선단 및 근원 스프로켓트(302, 301)와 상구 스프로켓트(350)와의 간격이 넓어지고(도 26 참조), 이에 의해 앞에서 설명한 체인(329)의 느슨함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베이스부(305)의 하강에 의해 링크기구 전체(319)를 하강시키고 있기 때문에, 도 2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선단 스프로켓트(302)와 근원 스프로켓트(301)가 각각 베이스부(305)의 하강 스트로크분만큼만 하강하게 되고, 베이스부(305)의 하강 스트로크의 약 2배의 길이의 체인(329)의 느슨함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체인(329)의 느슨함(남는 길이만큼)을 흡수하기 위한 베이스부(305)의 하강 스트로크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지지 실린더(316)의 핀(330)과 상부지지링크(308)의 핀(312)과의 간격과 상부지지링크(308)의 핀(312)과 메인링크(321)의 핀(320)(핀(314))과의 간격으로 결정되는 레버비에 의해, 도 2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지지 실린더(316)의 신장 스트로크가 적어도 베이스부(305)를 크게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지 실린더(316)를 소형화할 수 있다. 게다가, 통상의 굴삭작업시에는 신축 실린더(328) 및 지지 실린더(316)를 함께 유압 블록 상태로 한다. 또한, 체인(329)의 당김을 흡수하는 데에는 베이스부(305)를 상승되게 하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선단 및 근원 스프로켓트(302, 301)가 부착된 링크기구(319) 전체가 평행 링크기구(311) 및 지지 실린더(316)를 통해 고정부(306)에 유동하도록 지지되므로, 지지 실린더(316)에는 버켓콘베어(303)의 체인(329)의 장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지지 실린더(316)와 유압원과의 사이에 어큐무레이터를 설치해 지지 실린더(316)로의 공급유압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체인(329)의 장력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자동적으로 체인(329)의 느슨함 또는 팽팽함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지지 실린더(316)의 신장 스트로크가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체인(329)의 늘어남이 커진다고 추정되므로, 지지 실린더(316)의 신장 스트로크가 소정값 이상이 되었다면 체인(329)의 늘어남이 한계가 되었다고 추정할 수있다. 이 경우, 지지 실린더(316)에 스트로크 센서를 설치하여 그 신장 스트로크를 자동검출해도 바람직하고, 지지 실린더(316)의 로드부에 눈금을 그어 육안으로 검출해도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형태를 도 25에 나타낸다.
도시한 것과 같이, 이것은 지지 실린더(316)를 수직으로 배치한 점만이 전 실시형태와 다르고, 그 외는 전부 전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지지 실린더(316)는 한쪽 끝이 상부지지링크(38)에 핀(330)으로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엘리베이커 케이싱(354)에 핀(331)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의 작용효과는 전 실시형태와 같은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선박 등으로부터 석탄이나 철광석 등의 벌크물을 하적하는 연속 언로더에 이용하는데에 좋은 것이다.

Claims (15)

  1. 상부 스프로켓트와 상기 상부 스프로켓트 아래의 근원 스프로켓트와 상기 근원 스프로켓트 앞쪽의 선단 스프로켓트에 순환형의 버켓콘베어를 맞물린 연속 언로더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프로켓트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하단부에 상기 근원 스프로켓트 및 상기 선단 스프로켓트를 그들의 근접시에 하강시킴과 동시에 멀어질 때에 상승시키는 링크기구를 통해 접속하고, 상기 링크기구를 한쪽 끝은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은 상기 선단 스프로켓트에 접속되는 메인링크와, 한쪽 끝은 상기 메인링크의 중간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은 상기 근원 스프로켓트에 접속되는 보조링크와, 한쪽 끝이 상기 보조링크의 중간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스테이링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언로더.
  2. 제1항에서, 상기 선단 스프로켓트와 상기 근원 스프로켓트가 신축가능한 신축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신축 프레임이 상기 링크기구에 의해 신축가능하게 매달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언로더.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링크기구에 상기 링크기구를 변위시켜 유지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언로더.
  4. 제3항에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한쪽 끝은 상기 링크기구가 접속되는 프레임의 하단부에 접속하고, 다른쪽 끝은 상기 링크기구를 구성하는 어느 한 링크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언로더.
  5. 제1항에서, 상기 스테이링크에 그 스테이링크의 양단간의 길이를 신축시킬 수 있는 실린더를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언로더.
  6. 상기 스프로켓트와 상기 상부 스프로켓트 아래쪽의 근원 스프로켓트와 상기 근원 스프로켓트 앞쪽의 선단 스프로켓트에 순환형의 버켓콘베어를 맞물린 연속 언로더에 있어서, 상기 선단 스프로켓트와 상기 근원 스프로켓트와의 사이에, 이들 스프로켓트를 지지함과 동시에 양 스프로켓트의 간격을 조절하는 자유롭게 신축하는 신축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신축 프레임과 상기 상부 스프로켓트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하단부와의 사이에 상기 신축 프레임을 그 수축시에 하강시킴과 동시에 신장시에 상승시키는 링크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링크기구를 한쪽 끝이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신축 프레임의 상기 선단 스프로켓트 쪽에 접속되는 메인링크와, 한쪽 끝이 상기 메인링크의 중간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신축 프레임의 상기 근원 스프로켓트 쪽에 접속되는 보조링크와, 한쪽 끝이 상기 보조링크의 중간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스테이링크로 구성하고, 상기 스테이링크에 상기 스테이링크의 양단간의 길이를 신축시키는 실린더를 내장하고,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와 상기 링크기구를 구성하는 어느 한 링크와의 사이에 상기 링크기구를 변위시켜 유지하기 위한 실린더를 끼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언로더.
  7. 제4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실린더의 한쪽 끝을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접속하고, 다른쪽 끝을 상기 링크기구의 상기 메인링크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언로더.
  8. 제6항 또는 제7항에서, 상기 실린더에 상기 실린더에 의한 상기 링크기구의 지지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언로더.
  9. 제8항에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실린더로의 유압을 제어하는 유압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언로더.
  10. 제9항에서, 상기 유압회로가 상기 실린더에 소정의 유압을 공급하여 상기 링크기구와 상기 선단 스프로켓트 및 상기 근원 스프로켓트와 이들 스프로켓트 사이에 맞물린 버켓콘베어의 중량의 일부를 지지하는 어큐무레이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언로더.
  11. 제10항에서, 상기 어큐무레이터에 의한 지지력이 상기 링크기구와 상기 선단 스프로켓트 및 상기 근원 스프로켓트와 이들 스프로켓트 사이에 맞물린 상기 버켓콘베어의 중량보다 약간 적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언로더.
  12. 제1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선단 스프로켓트에 상기 근원 스프로켓트와의 사이의 상기 버켓콘베어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선단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선단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와의 사이에, 상기 선단 프레임을 수평하게 유지하면서 승강시키는 평행 링크기구를 끼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언로더.
  13. 상부 스프로켓트와 상기 상부 스프로켓트 아래쪽의 근원 스프로켓트와 상기 근원 스프로켓트 앞쪽의 선단 스프로켓트에 순환형의 버켓콘베어를 맞물린 연속 언로더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프로켓트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하단부에 상기 선단 스프로켓트 및 상기 근원 스프로켓트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를 승강기구를 통해 접속하고, 사익 베이스부에 상기 선단 스프로켓트 및 상기 근원 스프로켓트를 그 근접시에 하강시킴과 동시에 멀어질 때에 상승시키는 링크기구를 통해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언로더.
  14. 제13항에서, 상기 승강기구가 한쪽 끝이 상기 베이스부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접속된 상부지지링크와, 상기 상부지지링크와 평행하게 되도록 한쪽 끝이 상기 베이스부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접속된 하부지지링크를 갖는 평행 링크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언로더.
  15. 제13항에서, 상기 링크기구가 한쪽 끝이 상기 베이스부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선단 스프로켓트에 접속되는 메인링크와, 한쪽 끝이 상기 메인링크의 중간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근원 스프로켓트에 접속되는 보조링크와, 한쪽 끝이 상기 보조링크의 중간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베이스부에 접속되는 스테이링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언로더.
KR1019970708586A 1996-03-29 1997-03-28 연속언로더 KR100341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7708896A JP3454001B2 (ja) 1996-03-29 1996-03-29 連続アンローダの掻取装置
JP8-77086 1996-03-29
JP07708996A JP3428285B2 (ja) 1996-03-29 1996-03-29 連続アンローダ
JP8-77089 1996-03-29
JP07708796A JP3454000B2 (ja) 1996-03-29 1996-03-29 連続アンローダの掻取り装置
JP8-77088 1996-03-29
JP8-77087 1996-03-29
JP07708696A JP3756569B2 (ja) 1996-03-29 1996-03-29 連続アンローダ
JP06074497A JP3802962B2 (ja) 1997-03-14 1997-03-14 連続アンローダ
JP9-60744 1997-03-14
PCT/JP1997/001083 WO1997036809A1 (fr) 1996-03-29 1997-03-28 Systeme de dechargement continu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107A true KR19990022107A (ko) 1999-03-25
KR100341035B1 KR100341035B1 (ko) 2002-11-29

Family

ID=27523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8586A KR100341035B1 (ko) 1996-03-29 1997-03-28 연속언로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984081A (ko)
EP (1) EP0837018B1 (ko)
KR (1) KR100341035B1 (ko)
CN (1) CN1066119C (ko)
AU (1) AU712798B2 (ko)
DE (1) DE69722884T2 (ko)
TW (1) TW458159U (ko)
WO (1) WO19970368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7683B2 (ja) * 2003-12-26 2010-10-06 株式会社大気社 搬送設備
US20080092507A1 (en) * 2006-10-18 2008-04-24 Dragotec Usa, Inc. Corn head with tension control for deck plates
DE102009051316B4 (de) * 2009-10-29 2015-11-05 Eisenmann Ag Anlage zum Behandeln, insbesondere zum kataphoretischen Tauchlackieren, von Gegenständen
JP5944148B2 (ja) * 2011-12-01 2016-07-05 住友重機械搬送システム株式会社 連続式アンローダ
CN103183241A (zh) * 2011-12-28 2013-07-03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链斗式连续卸船机的挖掘取料头
WO2013175919A1 (ja) * 2012-05-22 2013-11-28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連続アンローダ
DE102012105449A1 (de) * 2012-06-22 2013-12-24 Thyssenkrupp Resource Technologies Gmbh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Schüttgut aus einem Behältnis, insbesondere aus einem Schiffsladeraum
CN103466259A (zh) * 2013-09-26 2013-12-25 芜湖市爱德运输机械有限公司 一种输矿装置及其使用方法
JP6284753B2 (ja) * 2013-11-27 2018-02-28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連続アンローダ
CN106429536A (zh) * 2016-12-05 2017-02-22 大连华锐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连续卸船机上部提升装置
KR102241236B1 (ko) * 2019-07-24 2021-04-15 이충길 링크식 스크레이퍼 리크레이머
CN111717795B (zh) * 2020-07-01 2022-06-17 南通润邦重机有限公司 新型埋刮板卸船机垂直取料装置位置的补偿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634A (en) * 1902-01-14 1902-09-09 William C Gregg Cane-unloading machine.
JPS5869635A (ja) * 1981-10-20 1983-04-25 Ube Ind Ltd 連続式アンロ−ダ
JPS63267607A (ja) * 1987-04-24 1988-11-04 Sumitomo Heavy Ind Ltd バケツトエレベ−タ式連続アンロ−ダ
JPH0352923U (ko) * 1989-09-28 1991-05-22
JPH055741A (ja) * 1990-10-09 1993-01-14 Idemitsu Petrochem Co Ltd 免疫学的定量分析方法
JPH0826489A (ja) * 1994-07-14 1996-01-30 Mitsui Miike Mach Co Ltd アンロー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12798B2 (en) 1999-11-18
WO1997036809A1 (fr) 1997-10-09
DE69722884D1 (de) 2003-07-24
EP0837018A1 (en) 1998-04-22
DE69722884T2 (de) 2004-05-19
TW458159U (en) 2001-10-01
EP0837018B1 (en) 2003-06-18
EP0837018A4 (en) 2001-04-11
AU2176897A (en) 1997-10-22
CN1066119C (zh) 2001-05-23
CN1194621A (zh) 1998-09-30
KR100341035B1 (ko) 2002-11-29
US5984081A (en) 1999-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1035B1 (ko) 연속언로더
US5769206A (en) Continuous unloader
CN106170595B (zh) 用于建筑机械的提升布置
US4453872A (en) Handling apparatus for pipe and other tubulars
US4592155A (en) Dredger with transport basin having loading and unloading mechanism
JPH0124694B2 (ko)
US5651447A (en) Self-scooping bucket conveyor
JP3756569B2 (ja) 連続アンローダ
JP3047782B2 (ja) 連続アンローダ
JP4488603B2 (ja) 連続式アンローダおよび連続式アンローダの運転方法
JP3294063B2 (ja) バケットチェーン掘削装置
JPS5928500B2 (ja) バケツトエレベ−タの緩衝装置
JP3853493B2 (ja) 連続式アンローダ
JP2607453Y2 (ja) トラフ形ベルトコンベア
KR100194374B1 (ko) 자기-스쿠핑 버킷 컨베이어
JPH05255946A (ja) 表面掘削ショベルと地表物質を掘削する方法
JPH055741U (ja) 連続アンローダ
JPS58162444A (ja) バケツトチエンの支持装置
JP3428285B2 (ja) 連続アンローダ
JPS6132915Y2 (ko)
KR100675662B1 (ko) 엘리베이터
JP3802962B2 (ja) 連続アンローダ
CN115744371A (zh) 具有臂架升降系统的卸船机
CN115744374A (zh) 具有臂架升降系统的卸船机
JPS59127607A (ja) 沈砂掻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