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560A -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8560A
KR19990018560A KR1019970041747A KR19970041747A KR19990018560A KR 19990018560 A KR19990018560 A KR 19990018560A KR 1019970041747 A KR1019970041747 A KR 1019970041747A KR 19970041747 A KR19970041747 A KR 19970041747A KR 19990018560 A KR19990018560 A KR 19990018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battery
start switch
switch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1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지훈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1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8560A/ko
Publication of KR19990018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560A/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는 시동스위치의 조작여부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전기장치Ⅱ를 시동스위치의 조작과 관계없이 구동가능하도록 배터리와 전기장치Ⅱ를 직접 접속시키는 전원공급스위치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에 의하여 시동모터를 제외한 간단한 전기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반드시 시동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자동차키이가 없는 승객이 에어콘이나 오디오와 같은 전기장치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동스위치가 온되지 않더라도 일부 전장품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모든 전기, 전자장치의 전력공급은 배터리와 발전기에 의해서 전원 시스템이 실행된다. 배터리는 엔진을 시동시키는 스타팅 모터를 구동시키는 것이 가장 큰 역할인데,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작동시키고자 하는 전장품에 일시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과 ECU의 램에 기억된 데이터를 보유하기 위한 백업 전원으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시스테블록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는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의 주 전력원인 배터리(10)와, 운전자가 키 홀더에 키이를 삽입하여 시동스위치(50)를 조작함에 따라 배터리(1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전기장치Ⅱ(30)와, 시동스위치(50)의 조작없이 배터리(10)로부터 직접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실내등,후미등 등과 같은 전기장치Ⅰ(20)와, 시동스위치(50)의 조작신호에 따라 배터리(1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어 엔진을 시동시키는 시동모터(4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시동스위치(50)의 조작단계는 일반적으로 ACC(악세사리),ON(점화),START(시동)의 3단계로 구분되며, 운전자가 시동스위치(50)를 ACC단(51)으로 조작하게 되면 시계 및 오디오등에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게 되고, 시동스위치(50)를 ON단(52)으로 조작하게 되면 에어콘, 파워 윈도우 및 와이퍼등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시동스위치(50)를 START단(53)으로 조작하게 되면 시동모터(40)가 구동되어 엔진 기동이 개시되고, 발전기의 구동에 따라 배터리(10)가 충전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시동스위치(50)의 ACC단(51) 및 ON단(52)에 접속되어 구동되는 전기장치들은 반드시 시동스위치(50)의 조작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 키이를 가진 운전자가 부재시 동승자가 편의를 위하여 에어콘을 틀거나 음악을 듣고 싶거나 혹은 파워 윈도우를 개폐하고자 하는 경우 에어콘, 오디오등의 사용이 불가능하였으며 따라서, 반드시 자동차 키이에 의해 시동스위치를 조작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자동차 키이가 없는 경우에도 간단한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시동모터를 제외한 전기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는 배터리와, 운전자에 의한 시동스위치의 조작여부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전기장치Ⅱ와, 상기 시동스위치의 조작없이 배터리로부터 직접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전기장치Ⅰ와, 상기 시동스위치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시동모터와, 상기 시동스위치의 조작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전기장치Ⅱ에 직접 공급 및 차단하도록 상기 시동스위치와 병렬연결된 전원공급스위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 에 따른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의 전원공급스위치는 도통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비도통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전기장치Ⅱ의 구동으로 인한 배터리의 과방전을 방지하는 타이머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배터리, 20:전기장치Ⅰ,
30:전기장치Ⅱ, 40:시동모터,
50:시동스위치, 60:전원공급스위치.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인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는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의 주 전력원인 배터리(10)와, 운전자가 키 홀더에 키이를 삽입하여 시동스위치(50)를 단계적으로 조작함에 따라 상기 배터리(1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전기장치Ⅱ(30)와, 시동스위치(50)의 조작없이 배터리(10)로부터 직접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실내등,후미등 등과 같은 전기장치Ⅰ(20)와, 시동스위치(50)의 조작신호에 따라 배터리(1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어 엔진을 시동시키는 시동모터(40)와, 시동스위치(50)의 조작여부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온오프되어 상기 전기장치Ⅱ(30)를 구동시키도록 배터리(10)의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스위치(6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시동스위치(50)의 조작단계는 일반적으로 ACC(악세사리),ON(점화),START(시동)의 3단계로 구분되며, 운전자가 시동스위치(50)를 ACC단(51)으로 조작하게 되면 비교적 배터리(10)의 전원을 적게 소모하는 시계 및 오디오등에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게 되고, 시동스위치(50)를 ON단(52)으로 조작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배터리전원을 많이 소모하는 에어콘, 파워 윈도우 및 와이퍼등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시동스위치(50)를 START단(53)으로 조작하게 되면 시동모터(40)가 구동되어 엔진 기동이 개시되고, 발전기의 구동에 따라 배터리가 충전되게 된다.
한편, 전원공급스위치(60)는 시동스위치(50)의 조작여부에 관계없이 전기장치Ⅱ(3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배터리(10)와 전기장치Ⅱ(30)의 사이에 시동스위치(50)와 병렬로 접속된다. 또한, 이러한 전원공급스위치(60)로는 전기장치Ⅱ(30)의 구동으로 인한 배터리의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스위치가 자동으로 비도통(오프)상태로 전환되는 타이머스위치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운전자가 자동카 키이를 키홀더에 삽입시키지 않은 상태 혹은 자동차 키이를 소지한 운전자가 부재중인 상황에서 동승자가 시계나 오디오 혹은 에어콘등의 전기장치Ⅱ(30)를 구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운전자 혹은 동승자가 시동스위치(50)와 별도로 마련된 전원공급스위치(60)를 온시키게 된다. 이때 전원공급스위치(60)가 도통(온)됨으로 인해 배터리(10)의 전원이 직접 전기장치Ⅱ(30)에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키이가 없는 상태에서도 오디오나 에어콘등을 구동시킬 수 있어 승객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는 시동스위치의 조작여부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전기장치Ⅱ를 시동스위치의 조작과 관계없이 구동가능하도록 배터리와 전기장치Ⅱ를 직접 접속시키는 전원공급스위치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에 의하여 시동모터를 제외한 간단한 전기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반드시 시동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자동차키이가 없는 승객이 에어콘이나 오디오와 같은 전기장치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배터리(10)와,
    운전자에 의한 시동스위치(50)의 조작여부에 따라 상기 배터리(1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전기장치Ⅱ(30)와,
    상기 시동스위치(50)의 조작없이 배터리(10)로부터 직접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전기장치Ⅰ(20)와,
    상기 시동스위치(50)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1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시동모터(40)와,
    상기 시동스위치(50)의 조작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배터리(10)의 전원을 상기 전기장치Ⅱ(30)에 직접 공급 및 차단하도록 상기 시동스위치(50)와 병렬연결된 전원공급스위치(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스위치(60)는 도통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비도통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전기장치Ⅱ(30)의 구동으로 인한 배터리(10)의 과방전을 방지하는 타이머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KR1019970041747A 1997-08-27 1997-08-27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KR199900185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747A KR19990018560A (ko) 1997-08-27 1997-08-27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747A KR19990018560A (ko) 1997-08-27 1997-08-27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560A true KR19990018560A (ko) 1999-03-15

Family

ID=66046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1747A KR19990018560A (ko) 1997-08-27 1997-08-27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85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6762B2 (en) 2013-04-05 2017-04-11 Nissan Motor Co., Ltd. Vehicle power suppl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6762B2 (en) 2013-04-05 2017-04-11 Nissan Motor Co., Ltd. Vehicle power suppl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8560A (ko)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KR100841286B1 (ko)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
KR0148540B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무단방전 방지장치
KR20090108439A (ko) 비상 안전 기능을 갖는 차량 전력공급 제어장치
ES2177189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arrancar un vehiculo automovil.
KR0134620Y1 (ko) 자동차용 밧데리의 전류 제어회로
KR0135543Y1 (ko)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의 구동장치
KR100282875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시동 장치 및 그 방법
KR0178919B1 (ko) 계기판 미등램프 자동소등장치
KR100208818B1 (ko) 차량용 키를 이용한 충전식 무전 원격 제어 장치
KR970005199Y1 (ko) 자동차용 미등 자동제어장치
KR200151596Y1 (ko) 자동차용 디지털 시계의 전원 공급 장치
KR100204283B1 (ko) 스테레오를 이용한 알람경보장치
KR0177484B1 (ko) 차량 운전자 탑승시 자동 온되는 키홀 램프 장치 및 방법
KR19980043246U (ko) 차량용 전원 제어장치
JP3147388B2 (ja) 車載用空気清浄器
KR0128346Y1 (ko) 자동차의 점화회로
JPH0436996Y2 (ko)
JP2002293205A (ja) 車両用サブ電源装置
KR19990051957A (ko) 자동차의 시간설정 자동 시동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31462A (ko) 운전자 전용 밧데리 차단장치
KR20030012099A (ko) 차량의 테일램프 자동 소등 장치
KR19980039523U (ko) 이그니션 키 뭉치의 조명 장치
KR20030012097A (ko) 차량의 실내등 자동 소등 장치
KR19990030703U (ko) 카-오디오를 이용한 백업전류 방전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