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620Y1 - 자동차용 밧데리의 전류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밧데리의 전류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620Y1
KR0134620Y1 KR2019960015289U KR19960015289U KR0134620Y1 KR 0134620 Y1 KR0134620 Y1 KR 0134620Y1 KR 2019960015289 U KR2019960015289 U KR 2019960015289U KR 19960015289 U KR19960015289 U KR 19960015289U KR 0134620 Y1 KR0134620 Y1 KR 01346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icroprocessor
driver
key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52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5640U (ko
Inventor
서정원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152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620Y1/ko
Publication of KR9800056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56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6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02J7/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disconnection of loads if battery is not under charge, e.g. in vehicle if engine is not ru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밧데리의 전류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각종 조작 키이들로 이루어진 키이 입력부를 통해 운전자의 선택 사양을 입력받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타이머로 부터 시간 정보를 입력받으면서 전기 장치의 동작등을 비롯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고, 밧데리의 전원이 제1 내지 제3전류/전압 변환기를 거치고 PNP 트랜지스터들을 각각 경유하여 전조등과 실내등 및 오디오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의 PNP 트랜지스터들의베이스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는 NPN 트랜지스터들을 각각 연결하여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도록 하고, 운전자가 시동을 걸기 위해 시동 키이를 삽입하였는가를 키이 박스를 통하여 인식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시동 키이를 꽂은 상태에서만 전조등이나 실내등이 점등되고, 시동 키이를 뺀상태에서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소동되도록하여 불필요한 밧데리 전류의 낭비로 인한 차량의 손실을 방지토록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밧데리의 전류 제어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마이크로 프로세서 4, 7, 10 : 전류/전압 변환부
13, 14, 15 : NPN 트랜지스터 17 : 타이머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밧데리의 전류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행하기 위하여 시동 키이를 꽂은 상태에서만 전조등이나 실내등이 점등되고, 시동 키이를 뺀 상태에서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소등되도록하여 불필요한 밧데리 전류의 낭비로 인한 차량의 손실을 방지하토록 한 자동차용 밧데리의 전류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엔진의 내부에서 가솔린이나 경유 등을 연소시키고, 가솔린이나 경유를 흡입, 압축, 폭발시키면서 연소시킬 때 발생되는 폭발력에 의해 터어빈을 회전시키면서 차량의 바퀴를 회전시킨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차량을 이동시키기 위한 엔진을 처음 가동시키는 수단으로 밧데리를 사용하고 있으며, 엔진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밧데리에 전원을 충진하는 동시에 자동차 내부의 각종 전기장치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였다.
그러므로 차량이 운행 중이거나 정차 중에 어느 전기장치에 과전류가 흐르게되거나, 밧데리의 과방전이 발생하게 되면 자동차가 이상 상태가 되어 운전자가 낭패를 보게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특히, 운전자가 자동차의 각종 전기 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끄지 않은 상태로 시동을 끄고 장시간 주차시켜두면, 온 상태의 전기 장치에서 계속전류가 소비되고, 그 전원은 충전이 되지 않는 밧데리의 전원이므로 장시간 후에 운전자가 돌아와서 시동을 걸려고 해도 밧데리의 충전 전류가 모자라서 시동이 걸리지 않게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행하기 위하여 시동 키이를 꽂은 상태에서만 전조등이나 실내등이 점등되고, 시동 키이를 뺀 상태에서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소등되도록하여 불필요한 밧데리 전류의 낭비로 인한 차량의 손실을 방지토록한 자동차용 밧데리의 전류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각종 조작 키이들로 이루어진 키이 입력부를 통해 운전자의 선택 사양을 입력받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타이머로 부터 시간 정보를 입력받으면서 각종 전기 장치의 동작 등을 비롯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고,
밧데리의 전원이 제1전류/전압 변환기를 거치고 PNP 트랜지스터를 경유하여 전조등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밧데리의 전원이 제2전류/전압 변환기를 거치고 PNP 트랜지스터를 경유하여 실내등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밧데리의 전원이 제3전류/전압 변환기를 거치고 PNP 트랜지스터를 경유하여 오디오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의 PNP 트랜지스터들의 베이스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는 NPN 트랜지스터들을 각각 연결하여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도록 하고,
운전자가 시동을 걸기 위해 시동 키이를 삽입하였는가를 키이 박스를 통하여 인식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시동 키이를 꽂은 상태에서만 전조등이나 실내등이 점등되고, 시동 키이를 뺀 상태에서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소등되도록하여 불필요한 밧데리 전류의 낭비로 인한 차량의 손실을 방지토록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기술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밧데리의 전류 제어회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전조등 점등 스위치, 실내등 점등 스위치, 오디오 스위치등의 각종 조작 키이들로 이루어진 키이 입력부(1)를 통해 운전자의 선택 사양을 입력받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서 각종 전기 장치의 동작 등을 비롯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고,
밧데리(3)의 전원이 제1전류/전압 변환기(4)를 거치고 PNP 트랜지스터(5)의 에미터-콜렉터를 경유하여 전조등(6)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밧데리(3)의 전원이 제2전류/전압 변환기(7)를 거치고 PNP 트랜지스터(8)의 에미터-콜렉터를 경유하여 실내등(9)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밧데리(3)의 전원이 제3전류/전압 변환기(10)를 거치고 PNP 트랜지스터(11)의 에미터-콜렉터를 경유하여 오디오(12)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의 PNP 트랜지스터(5),(8)(11)들의 베이스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의 제어를 받는 NPN 트랜지스터(13),(14),(15)들을 각각 연결하여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도록 하고,
운전자가 시동을 걸기위해 시동 키이를 삽입하였는가를 키이 박스(16)를 통하여 인식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 전달하도록 하여 타이머(17)를 통하여 시간 정보에 따라 내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자동차용 밧데리의 전류 제어회로는, 운전자가 시동을 걸기 위해 시동 키이를 삽입한 상태를 키이 박스(16)를 통하여인식한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서 전조등 점등 스위치, 실내등 점등 스위치, 오디오 스위치 등의 각종 조작 키이들로 이루어진 키이 입력부(1)를 통해 운전자의 선택 사양을 입력받으면, NPN 트랜지스터(13)를 온시키면서 밧데리(3)의 전원이 제1전류/전압 변환기(4)를 거치고 PNP 트랜지스터(5)의 에미터-콜렉터를 경유하여 전조등(6)으로 공급되도록하거나, NPN 트랜지스터(14)를 온시키면서 밧데리(3)의 전원이 제2전류/전압 변환기(7)를 거치고 PNP 트랜지스터(8)의 에미터-콜렉터를 경유하여 실내등(9)으로 공급되도록하거나, 또는 NPN 트랜지스터(15)를 통하여 밧데리(3)의 전원이 제3전류/전압 변환기(10)를 거치고 PNP 트랜지스터(11)의 에미터-콜렉터를 경유하여 오디오(12)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운전자가 시동을 끄기 위해 시동 키이를 키이 박스(16)에서 뽑은 상태를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서 인식하면 타이머(17)를 통하여 입력되는 시간 정보에 따라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NPN 트랜지스터(13),(14),(15)들을 모두 오프시켜 밧데리(3)의 전원이 전조등(6)과 실내등(9) 및 오디오(12)로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자동차용 밧데리의 전류 제어회로에 의하여서는, 각종 조작 키이들로 이루어진 키이 입력부를 통해 운전자의 선택 사양을 입력받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타이머로 부터 시간 정보를 입력받으면서 각종 전기장치의 동작 등을 비롯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고,
밧데리의 전원이 제1 내지 제3전류/전압 변환기를 거치고 NPN 트랜지스터들을 각각 경유하여 전조등과 실내등 및 오디오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의 PNP 트랜지스터들의 베이스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는 NPN 트랜지스터들을 각각 연결하여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도록 하고,
운전자가 시동을 걸기 위해 시동 키이를 삽입하였는가를 키이박스를 통하여 인식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시동 키이를 꽂은 상태에서만 전조등이나 실내등이 점등되고, 시동 키이를 뺀 상태에서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소등되도록하여 불필요한 밧데리 전류의 낭비로 인한 차량이 손실을 방지토록한 것이다.

Claims (1)

  1. 키이 입력부(1)를 통해 운전자의 선택 사양을 입력받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서 각종 전기 장치의 동작 등을 비롯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고, 밧데리(3)의 전원이 제1 내지 제3전류/전압 변환기(4),(7),(10)를 거치고 PNP 트랜지스터(5),(8),(11)의 에미터-콜렉터를 경유하여 전조등(6)과 실내등(9) 및 오디오(12)들로 공급되도록 한 자동차용 밧데리의 전류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의 PNP 트랜지스터(5),(8)(11)들의 베이스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의 제어를 받는 NPN 트랜지스터(13),(14),(15)들을 각각 연결하여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도록 하고, 운전자가 시동을 걸기위해 시동 키이를 삽입하였는가를 키이 박스(16)를 통하여인식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 전달하도록 하여 타이머(17)를 통하여 시간 정보에 따라 내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밧데리의 전류 제어회로.
KR2019960015289U 1996-06-10 1996-06-10 자동차용 밧데리의 전류 제어회로 KR01346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5289U KR0134620Y1 (ko) 1996-06-10 1996-06-10 자동차용 밧데리의 전류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5289U KR0134620Y1 (ko) 1996-06-10 1996-06-10 자동차용 밧데리의 전류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5640U KR980005640U (ko) 1998-03-30
KR0134620Y1 true KR0134620Y1 (ko) 1999-04-15

Family

ID=19458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5289U KR0134620Y1 (ko) 1996-06-10 1996-06-10 자동차용 밧데리의 전류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6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5640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4620Y1 (ko) 자동차용 밧데리의 전류 제어회로
KR0148540B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무단방전 방지장치
JP2518904Y2 (ja) バッテリレス車両用始動装置
KR200193992Y1 (ko)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100285450B1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100192912B1 (ko) 자동차 밧데리의 방전방지장치
JPH0143950Y2 (ko)
KR0165187B1 (ko) 자동차의 손전등 겸용 시거 라이터장치
KR100227492B1 (ko) 자동차밧데리 방전 방지장치
JPS6022181B2 (ja) バツテリの監視装置を持ち,かつ,レバ−操作によるエンジンの自動運転装置
KR100347591B1 (ko) 자동차 엔진의 정지 및 시동장치
KR200173155Y1 (ko) 차량용 밧데리 방전 장치
KR200246563Y1 (ko) 차량용예열플러그작동시엔진시동방지장치
KR0120840B1 (ko)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KR19980047974A (ko) 자동차의 연료 펌프 구동 장치
KR100208598B1 (ko) 자동차의 엔진정지에 따른 각종 램프의 소등장치
KR0130372Y1 (ko) 자동차의 전조등 점등 제어장치
KR0124539Y1 (ko)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차단 회로
KR960019904A (ko) 자동차의 전원차단장치
KR0140019Y1 (ko) 자동차 배터리 방전 방지회로
KR19990018560A (ko)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KR0134318Y1 (ko) 자동차의 알터네이터 고장시 자동 경고 장치
KR0166469B1 (ko) 자동차의 미등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900006284Y1 (ko) 점멸주기 변화식 브레이크 등화장치
JPS6474142A (en) Lighting system for vehicle mounte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