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492B1 - 자동차밧데리 방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밧데리 방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492B1
KR100227492B1 KR1019970009175A KR19970009175A KR100227492B1 KR 100227492 B1 KR100227492 B1 KR 100227492B1 KR 1019970009175 A KR1019970009175 A KR 1019970009175A KR 19970009175 A KR19970009175 A KR 19970009175A KR 100227492 B1 KR100227492 B1 KR 100227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output terminal
timer
switch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9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3711A (ko
Inventor
정진상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09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492B1/ko
Publication of KR19980073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3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49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시간 주정차시 일정 시간 후 자동으로 오프 시키는 자동차 밧데리 방전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그 방전 방지 장치는, 리세트단자(R)
Figure kpo00001
인에이블단자(E)

Description

자동차밧데리 방전 방지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안전운행과 편의성을 위한 각종 점등장치가 온 되어 있는 상태로 운전자가 장시간 주차하는 경우 일정 시간 후 자동으로 오프 시켜 전기 소모를 차단하는 자동차 밧데리 방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제너레이터에 의해 충전되는 밧데리 전원으로 기동장치, 점화장치, 점등장치, 기타 편의장치 등을 가동하는데, 이러한 장치의 대부분은 자동차의 시동을 끄는 순간 전원이 차단되어 작동되지 않는다. 그러나 점등장치는 조명용, 지시용, 신호용, 경고용 등 그 사용 용도가 다양하기 때문에 시동을 끄더라도 안전 및 편의성을 위한 부분을 전원이 계속 공급된다.
제1도는 자동차 점등장치의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자동차의 점등장치는 전방으로 배치되는 전조등(11)
Figure kpo00004
차폭등(12)
Figure kpo00005
방향 지시등(13)과, 후방으로 배치되는 제동등(14)
Figure kpo00006
번호판등(15)
Figure kpo00007
미등(16)과, 루프 내측에 배치되는 실내등(17) 등을 주요 구성품으로 지닌다. 이러한 등들은 적절히 합쳐지거나 분기된 와이어하니스(10)를 이용하여 결선되고, 이들과 함께 결선되는 키스위치(18)
Figure kpo00008
점등스위치(19) 및 별도의 스위치(도시 생략)에 의해 온
Figure kpo00009
오프 조작된다.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조작방식에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상기 점등스위치(19)는 전조등(11)
Figure kpo00010
차폭등(12)
Figure kpo00011
번호판등(15)
Figure kpo00012
미등(16)을 작동하기 위한 2~3단계의 제어포지션을 지닌다. 제1단은 모든 등을 오프 시키고 제2단은 차폭등(12)
Figure kpo00013
번호판등(15)
Figure kpo00014
미등(16)을 온 시켜 야간 운행 중 최소한의 안전을 도모하고, 제3단은 전조등(11)을 온 시켜 야간운행의 편의성을 도모한다.
이러한 등들은 키스위치(18)를 거치지 않고 밧데리(2) 전원을 받는 경우가 많은데, 키스위치(18)를 온 시키지 않고도 점등스위치(19)만으로 조작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는 측면을 고려한 것이다. 반면 운전자가 점등스위치(19)를 제2단 또는 제3단에 둔 채로 키스위치(18)를 오프하고 주차시키는 경우 제너레이터(1)가 작동되지 않아 밧데리(2)의 충전 없이 전기 소모만 커지므로 일정 시간 경과 후 밧데리(2)가 방전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기타의 방향 지시등(13)
Figure kpo00015
제동등(14)
Figure kpo00016
실내등(17)
Figure kpo00017
후진등(도시 생략)등은 상기 점등스위치(19)와 무관하게 각각의 온
Figure kpo00018
오프 스위치가 별도로 연결되어 있고, 키스위치(18)에서 키를 뽑는 순간 전원이 차단되기 때문에 자동차 주 정차 중 온 상태로 되어 밧데리를 방전시키는 경우가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안전 운행과 편의성을 위한 각종 점등장치 중에서 일부가 온 되어 있는 상태로 운전자가 장시간 주 정차하는 경우 일정 시간 후 자동으로 오프 시켜 전기소모를 차단하는 자동차 밧데리 방전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자동차 점등장치의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의 일예를 나타내기 위한 로직 다이아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너레이터 2 : 밧데리
10 : 와이어하니스 11 : 전조등
12 : 차폭등 13 : 방향 지시등
14 : 제동&미등 15 : 번호판등
16 : 후진등 17 : 실내등
18 : 키스위치 19 : 점등 스위치
21 : OR 게이트 22 : AND게이트
23,24 : NAND게이트 25 : 인버터
26 : 타이머 E : 인에이블단자
R : 리세트단자 O : 출력단자
Tr : 트랜지스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밧데리 방전 방지장치는, 전조등을 온 시키는 제3단과 미등 등을 온 시키는 제2단과, 모두 오프 시키는 제1단으로 조작되는 점등스위치가 키스위치와 연계되지 않는 전원으로 가동되는 점등장치를 지니는 자동차에 있어서; 리세트단자
Figure kpo00019
인에이블단자
Figure kpo00020
출력단자를 지니며, 그 인에이블단자의 하이 입력시 수분 후에 출력단자로 하이 출력을 발생하고, 점등스위치의 제1단이 직접 타이머의 리세트단자에 연결되는 타이머; 상기 점등스위치의 제2단 및 제3단이 각각 입력단에 연결되는 OR게이트; 상기 키스위치의 엔진의 시동을 유지하는 전원 단자가 인버터를 거쳐 하나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그 OR게이트의 출력단이 키스위치에서 인버터를 거친 출력단과 함께 다른 하나의 입력단에 연결되며, 출력단이 타이머의 인에이블단자에 연결되는 AND게이트; 상기 점등스위치의 제3단으로부터 받은 신호와 타이머의 출력단자로부터 받은 신호가 각각 입력되도록 연결되고, 출력단에 트랜지스터를 개재하여 전조등이 연결되는 NAND게이트: 그리고 출력단에 트랜지스터를 개재하여 미등이 연결되고, 점등스위치의 제3단으로부터 받은 신호와 타이머의 출력단자로부터 받은 신호가 각각 입력단에 입력되도록 연결되는 NAND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의 일예를 나타내기 위한 로직 다이아그램이 도시된다.
본 발명은 전조등(11)을 온 시키는 제3단과, 미등(16)등을 온 시키는 제2단과, 모두 오프 시키는 제1단으로 조작되는 점등스위치(19)가 키스위치(18)와 연계되지 않는 전원으로 가동되는 점등장치를 지니는 자동차에 적용한다.
즉, 키스위치(18)의 오프 상태에서 제너레이터(1)가 작동되지 않아 밧데리(2)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전조등(11)
Figure kpo00021
미등(16) 등에 의한 전기소모를 초래하는 점등장치를 개선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점등장치에는 리세트단자(R)
Figure kpo00022
인에이블단자(E)
Figure kpo00023
출력단자(O) 등을 지니고 인에이블단자(E)의 하이 입력시 수분 후에 출력단자(O)로 하이 출력을 발생하는 타이머(26)를 추가로 구성한다.
상기 타이머(26)는 카운터/타이머 IC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회로에 적용 가능한 시중품을 사용하면 비교적 장시간(예컨대 30분)을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시간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도 있다. 인에이블단자(E)가 하이이면 정해진 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하고, 리세트단자(R)가 하이이면 카운트된 시간을 제로로 복귀시킨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점등스위치(19)의 제1단이 온 되면 상기 타이머(26)의 리세트단자(R)가 온 되고, 제2단 및 제3단 중 어느 하나가 온 되는 동안 키스위치(18)가 오프 되면 상기 타이머(26)의 인에이블단자(E)가 온 되어 출력단자(O)로 하이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점등스위치(19)의 제2단 및 제3단은 OR게이트(21)의 입력단에 연결하고, 상기 OR게이트(21)의 출력단은 키스위치(18)에서 인버터(25)를 거친 출력단과 함께 다시 AND게이트(22)의 입력단에 연결하고, 상기 AND게이트(22)의 출력단은 타이머(26)의 인에이블단자(E)에 연결한다. 점등스위치(19)의 제1단은 직접 타이머(26)의 리세트단자(R)에 연결한다.
이때, 상기 키스위치(18)는 엔진의 시동을 유지하는 전원이 형성되는 단자로부터 신호를 받아 인버터(25)를 거쳐 출력시킨다.
자동차의 키스위치(18)는 키의 회전에 따라 다단계로 회전되며 밧데리(2)의 전원을 주요부에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각종 게이지 등에 전원을 연결하는 예비단계와, 점화장치 등에 전원을 연결하는 주행단계와, 기동전동기에 전원을 연결하는 기동단계를 지닌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행단계의 단자에서 인버터(25)를 통한 신호를 받기 때문에 자동차의 정상주행 중에는 로우가 출력되고 시동을 끄면 하이가 출력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점등스위치(19)가 제2단 및 제3단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있으면 OR게이트(21)가 하이를 출력하고, 키스위치(18)가 오프 상태(전술한 주행단계가 아니 상태)이면 AND게이트(22)의 출력이 하이로 되어 타이머(26)가 한 시작동을 위한 카운팅에 들어간다. 예컨대, 운전자가 자동차를 주차시킬 때 전조등(11) 또는 미등(16)을 켜 놓은 것을 잊고 하차하더라도 시동이 꺼지는 순간부터 타이머(26)가 동작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타이머(26)의 출력단자(O)가 하이이고 점등스위치(19)의 제2단이 온이면 미등(16)을 오프 시키고, 타이머(26)의 출력단자(O)가 하이 이고 점등스위치(19)의 제3단이 온이면 전조등(11)을 오프 시킨다.
이를 위해 점등스위치(19)의 제3단으로부터 받은 신호와 타이머(26)의 출력단자(O)로부터 받은 신호를 NAND게이트(23)의 입력단에 연결한 후 NAND게이트(24)의 출력단에 전조등(11)을 연결하고, 점등스위치(19)의 제3단으로부터 받은 신호와 타이머(26)의 출력단자(O)로부터 받은 신호를 또 다른 NAND게이트(24)의 입력단에 연결한 후 그 NAND게이트(24)의 출력단에 미등(16)을 연결한다 전조등(11) 및 미등(16)은 NAND게이트(23)(24)의 하이 출력으로 밧데리(2) 전원을 온
Figure kpo00024
오프 시키는 각각의 트랜지스터(Tr)를 통하여 작동되는데, 그 밧데리(2) 전원은 각각 점등스위치(19)의 제3단 및 제2단의 단자를 거쳐 공급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타이머(26)가 소정의 세팅 시간 후 출력단자(O)를 통해 하이를 출력하고 그 때까지 점등스위치(19)의 제2단 또는 제3단이 온 되어 있는 상태라면 해당 NAND게이트(23)(24)는 로우를 출력하여 미등(16) 또는 전조등(11)을 오프 시킨다. 상기의 조건 외의 경우에는 NAND게이트(23)(24)가 하이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Tr)를 작동시키더라도 전조등(11) 및 미등(16)은 각각 점등스위치(19)의 제3단 및 제2단의 온
Figure kpo00025
오프 상태에 맞추어 연동 한다.
예컨대, 점등스위치(19)를 제1단에 두고 자동차를 정상 주행하는 경우 타이머(26)가 동작하지 않아(이때 출력단자(O)가 로우신호) NAND게이트(23)(24)가 하이 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Tr)를 온시켜도 점등스위치(19)의 제2단 및 제3단이 오프이므로 미등(16) 및 전조등(11)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이때 운전자가 점등스위치(19)를 제2단 또는 제3단에 두는 순간 미등(16) 또는 전조등(11)이 온 되므로 정상 작동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수의 게이트 및 타이머를 이용한 제어방식으로 구현되었으나, 자동차의 종합제어기이고 마이컴회로로 구성되는 ECU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키스위치(18) 및 점등스위치(19)의 입력신호를 ECU의 입력포트에 연결하고, 메모리상에 동일한 로직의 프로그램을 저장시켜 트랜지스터(Tr)를 온
Figure kpo00026
오프 제어한다.
또, 본 발명은 전조등(11)
Figure kpo00027
미등(16)의 경우에 대한 일예를 설명하였으나 차폭등(12)
Figure kpo00028
번호판등(15)을 각각의 트랜지스터(Tr)를 사용하여 미등(16)과 연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자동차 밧데리 방전 방지장치는 자동차의 안전운행과 편의성을 위한 각종 점등장치 중에서 일부가 온 되어 있는 상태로 운전자가 장시간 주 정차하는 경우 일정 시간 후 자동으로 오프 시킴으로써 전기 소모를 차단하여 밧데리 방전에 따른 불편과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은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

  1. 전조등(11)을 온 시키는 제3단과, 미등(16)등을 온 시키는 제2단과, 모두 오프 시키는 제1단으로 조작되는 점등스위치(19)가 키스위치(18)와 연계되지 않는 전원으로 가동되는 점등장치를 지니는 자동차에 있어서; 리세트단자(R)
    Figure kpo00029
    인에이블단자(E)
    Figure kpo00030
    출력단자(O)를 지니며, 그 인에이블단자(E)에의 하이 입력시 수분 후에 출력단자(O)로 하이 출력을 발생하고, 점등스위치(19)의 제1단이 직접 타이머(26)의 리세트단자(R)에 연결되는 타이머(26); 상기 점등스위치(19)의 제2단 및 제3단이 각각 입력단에 연결되는 OR게이트(21); 상기 키스위치(18)의 엔진의 시동을 유지하는 전원 단자가 인버터(25)를 거쳐 하나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그 OR게이트(21)의 출력단이 키스위치(18)에서 인버터(25)를 거친 출력단과 함께 다른 하나의 입력단에 연결되며, 출력단이 타이머(26)의 인에이블단자(E)에 연결되는 AND게이트(22); 상기 점등스위치(19)의 제3단으로부터 받은 신호와 타이머(26)의 출력단자(O)로부터 받은 신호가 각각 입력되도록 연결되고, 출력단에 트랜지스터(Tr)를 개재하여 전조등(11)이 연결되는 NAND게이트(23); 그리고 출력단에 트랜지스터(Tr)를 개재하여 미등(16)이 연결되고, 점등스위치(19)의 제3단으로부터 받은 신호와 타이머(26)의 출력단자(O)로부터 받은 신호가 각각 입력단에 입력되도록 연결되는 NAND게이트(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밧데리 방전 방지장치.
KR1019970009175A 1997-03-18 1997-03-18 자동차밧데리 방전 방지장치 KR100227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175A KR100227492B1 (ko) 1997-03-18 1997-03-18 자동차밧데리 방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175A KR100227492B1 (ko) 1997-03-18 1997-03-18 자동차밧데리 방전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711A KR19980073711A (ko) 1998-11-05
KR100227492B1 true KR100227492B1 (ko) 1999-11-01

Family

ID=19500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9175A KR100227492B1 (ko) 1997-03-18 1997-03-18 자동차밧데리 방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4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2272A (zh) * 2013-04-05 2015-11-25 日产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电源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4392B (zh) * 2017-08-17 2023-08-04 威海东兴电子有限公司 可自断电式光敏检测汽车示宽灯电路报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2272A (zh) * 2013-04-05 2015-11-25 日产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电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711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2146A (en) Programmable vehicle light controller
KR100227492B1 (ko) 자동차밧데리 방전 방지장치
KR200286996Y1 (ko) 차량용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0178919B1 (ko) 계기판 미등램프 자동소등장치
KR100285450B1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970004947Y1 (ko) 자동차용 전조등 조절장치
JPH02246844A (ja) 車両用前照灯制御装置
KR0120840B1 (ko)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KR0180848B1 (ko) 램프 자동 꺼짐 제어 장치 및 방법
JPS5924595Y2 (ja) 車両用前照灯の点灯自動保持装置
KR100208595B1 (ko) 자동차의 미등점등 감지장치
KR910007756Y1 (ko) 자동차 램프의 점멸 경고 회로
KR200221786Y1 (ko) 자동차 자동 소등 장치
KR950009016Y1 (ko) 자동차의 등화장치
KR970006293Y1 (ko) 자동차의 점멸식 브레이크 조명장치
KR0166291B1 (ko) 자동차의 조합등
KR970006404B1 (ko) 차량의 배터리방전 예방 장치
KR19980035531U (ko) 자동차의 플래셔유니트
JPH0627324U (ja) 後退照明増強装置
KR19990027244A (ko) 자동차용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KR19980023660A (ko) 방전차단 기능을 갖는 안개등 회로
KR970039178A (ko) 밧데리 방전 방지용 타이머 장치
KR19990041814U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20000002590U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19990027646U (ko)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