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5531U - 자동차의 플래셔유니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플래셔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5531U
KR19980035531U KR2019960048507U KR19960048507U KR19980035531U KR 19980035531 U KR19980035531 U KR 19980035531U KR 2019960048507 U KR2019960048507 U KR 2019960048507U KR 19960048507 U KR19960048507 U KR 19960048507U KR 19980035531 U KR19980035531 U KR 199800355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emergency light
turn signal
terminal
oscil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8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용현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48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5531U/ko
Publication of KR199800355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531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3Manually actuated switch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giving flashing caution signals during drive, other than signalling change of direction, e.g. flashing the headlights or hazard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에서 방향지시등이나 비상등에 점멸신호를 출력하는 플래셔유니트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플래셔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저항, 릴레이등으로 플래셔유니트를 구성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이 차지하는 원가가 높아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그니션스위치(SWIG)에는 비상등스위치(16)의 상시접속단자(NC)를 매개하고 상시공급전원(B+)단에는 비상등스위치(16)의 제1상시개방단자(NO1) 통해 오실레이터(18b)의 전원단과 콘덴서(C1)와 저항(R2)으로 이루어지는 시정수조정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오실레이터(18b)의 발진출력단에는 릴레이(18c)와 비상등스위치(16)의 제2상시개방단자(NC2)를 통해 턴시그날램프(22,24,26,28)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오실레이터(18b)의 다른 발진출력단에는 저항(R3)과 방향지시등스위치(20)를 매개로 턴시그날램프(22,24,26,28)가 각각 연결되어 이루어진 고안임.

Description

자동차의 플래셔유니트
본 고안은 자동차에서 방향지시등이나 비상등에 점멸신호를 출력하는 플래셔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플래셔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상에서 주행중일 때 주행하는 차량간에 자기 차량의 상태에 대해 타 차량에 알려주기 위한 신호로서, 차체의 전후좌우 모서리에 턴시그날램프가 설치되어 운전자가 턴시그날램프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좌측 턴시그날램프 또는 우측 턴시그날램프가 점멸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운전자가 상기 턴시그날램프 스위치와는 별도로 설치된 비상등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비상등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동작하게 되는 플래셔유니트의 작동으로 좌,우측 턴시그날램프가 동시에 일정 주기를 가지고 점멸되어 위급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전후방에 주행하는 차량에 알려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턴시그날램프 작동 스위치를 통상 컴비네이션스위치라 부르며, 운전자가 차선을 변경하고자 할 때나 방향을 변경시키고자 할 때 작동시키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통상 주행중 운전자가 차선변경을 하고자 할 경우 컴비네이션스위치를 작동시켜 턴시그날램프를 작동시킨 후 차선을 변경하게 되면 변경예정차선에서 주행하고 있던 차량은 앞차량의 턴시그날램프의 점멸상태를 보고 속도를 줄이거나 하여 그에 대비한 방어운전을 함으로써 추돌사고를 방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컴비네이션스위치와는 별도로 설치된 비상등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자동차의 전후좌우측에 설치되어 있는 턴시그날램프가 모두 동시에 일정 주기를 가지고 점멸됨으로써 이를 비상등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와같이 턴시그날램프는 방향지시등으로서 작동될 뿐만 아니라 비상등으로서도 작동되고 있는 바, 좌측 또는 우측의 턴시그날램프만 점멸되고 있을 때에는 방향변경을 위한 것이고, 좌우측 모두가 동시에 점멸되고 있을 때에는 비상을 알리기 위한 것임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즉, 자동차배터리(10)에 퓨우즈(12,14)와 비상등스위치(16) 및 플래셔유니트(18) 그리고 방향지시등스위치(20)를 통해 턴시그날램프(22,24,26,28)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턴시그날램프(22)는 전방 좌측, 턴시그날램프(24)는 후방 좌측, 턴시그날램프(26)는 전방 우측 그리고 턴시그날램프(28)는 후방 우측에 설치되는 것이고, 방향지시등스위치(20)는 이그니션스위치(SWIG)에 연결되어 있어서 이그니션키실린더에 자동차키가 삽입되어 온상태로 접속될 때 전원이 공급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한편 비상등스위치(16)는 자동차배터리(10)에 직접 연결되어 이그니션스위치(SWIG)의 작동에 관계없이 비상등회로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비상등스위치(16)가 온상태로 접속되는 경우에는 자동차배터리(10)의 전원이 비상등스위치(16)와 플래셔유니트(18)를 통해 턴시그날램프(22,24,26,28)에 인가됨으로써 이그니션스위치(SWIG)나 방향지시등스위치(20)의 접속상태에 관계없이 항상 점멸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비상등스위치(16)가 오프상태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동차배터리(10)에서 출력되는 전원이 방향지시등스위치(20)를 통해 플래셔유니트(18)로 인가될 때 플래셔유니트(18)내의 릴레이(RY)의 구동으로 접속되는 릴레이스위치(RYsw)를 통해 오실레이터(18a)에서 출력되는 발진신호가 턴시그날램프(22,24,26,28)로 인가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에는 방향지시등스위치(20)의 접속상태에 따라 턴시그날램프(22,24) 또는 턴시그날램프(26,28)가 점멸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비상등 및 방향지시등 구동회로에 사용되는 플래셔유니트는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저항 그리고 릴레이등의 전자부품으로 구성되고 회로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구성부품이 이루는 원가가 저렴한 플래셔유니트를 구성하기 위하여 저항, 코일 및 콘덴서등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플래셔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그니션스위치가 온상태로 접속될 때 전원이 인가될 수 있는 이그니션전원단과 이그니션스위치의 접속과 무관하게 항상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단에 2회로 2접점스위치로 이루어진 비상등스위치와 방향지시등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칭수단의 작동으로 이그니션전원이나 상시공급전원이 공급되어 발진출력을 내는 플래셔유니트 그리고 턴시그날램프로 이루어지되, 상기 플래셔유니트는 저항가 콘덴서 및 코일 회로의 내부를 간단하게 처리한 집적회로를 이용하여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플래셔유니트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래셔유니트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차배터리, 12,14 - 퓨우즈,
16 - 비상등스위치, 18 - 플래셔유니트,
18a,18b - 오실레이터, 18c - 릴레이,
20 - 방향지시등스위치, 22,24,26,28 - 턴시그날램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이그니션스위치(SWIG)에는 비상등스위치(16)의 상시접속단자(NC)를 매개하고 상시공급전원(B+)단에는 비상등스위치(16)의 제1상시개방단자(NO1) 통해 오실레이터(18b)의 전원단과 콘덴서(C1)와 저항(R2)으로 이루어지는 시정수조정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오실레이터(18b)의 발진출력단에는 릴레이(18c)와 비상등스위치(16)의 제2상시개방단자(NC2)를 통해 턴시그날램프(22,24,26,28)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오실레이터(18b)의 다른 발진출력단에는 저항(R3)과 방향지시등스위치(20)를 매개로 턴시그날램프(22,24,26,28)가 각각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비상등스위치(16)는 2회로2접점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시접속단자(NC)와 상시개방단자(NO1)(NO2)로 이루어져 있는데, 비상등스위치(16)가 인위적으로 비상모우드로 조작되지 않았을때에 상시접속단자(NC)는 온상태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고 상시개방단자(NO1)(NO2)는 오프상태로 개방되어 있는 것이다.
오실레이터(18b)는 비상등스위치(16)가 비상모우드로 조작되거나 방향지시등스위치(20)가 방향지시모우드로 조작된 경우 콘덴서(C1)와 저항(R2)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에 따라 릴레이(18c)로 발진신호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릴레이(18c)가 반복적으로 온오프되면 그의 스위치접접도 반복적으로 온오프됨으로써 이그니션전원(IG)이나 상시공급전원(B+)이 턴시그날램프(22,24,26,28)로 공급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비상등스위치(16)가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 방향지시등스위치(20)가 턴시그날램프(22,24)로 접속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이때는 비상등스위치(16)의 상시접속단자(NC)는 온상태로 접속되어 있고 상시개방단자(NO1)(NO2)는 오프상태로 개방되어 있게 되며, 오실레이터(18b)는 릴레이(18c)로 발진신호를 출력한다.
릴레이(18c)가 반복적으로 스위칭작용을 하는 동안 이그니션전원(IG)이 이그니션스위치(SWIG)와 저항(R1), 릴레이(18c) 및 방향지시등스위치(20)을 통해 턴시그날램프(22,24)로 인가됨으로써 좌측 방향지시등이 작동된다.
이와는 달리 방향지시등스위치(20)가 턴시그날램프(26,26)로 접속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이때도 비상등스위치(16)의 상시접속단자(NC)는 온상태로 접속되어 있고 상시개방단자(NO1)(NO2)는 오프상태로 개방되어 있게 되며, 오실레이터(18b)는 릴레이(18c)로 발진신호를 출력한다.
릴레이(18c)가 반복적으로 스위칭작용을 하는 동안 이그니션전원(IG)이 이그니션스위치(SWIG)와 저항(R1), 릴레이(18c) 및 방향지시등스위치(20)을 통해 턴시그날램프(26,28)로 인가됨으로써 우측 방향지시등이 작동된다.
한편, 비상등스위치(16)가 비상모우드로 선택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이때는 비상등스위치(16)의 상시접속단자(NC)는 오프상태로 개방되어 있고 상시개방단자(NO1)(NO2)는 온상태로 접속되어 있게 되며, 오실레이터(18b)는 방향지시등의 작동모우드와 마찬가지로 릴레이(18c)로 발진신호를 출력한다.
이때는 릴레이(18c)가 반복적으로 스위칭작용을 하는 동안 이그니션전원(IG)의 공급여부와 관계없이 상시공급전원(B+)이 저항(R1), 릴레이(18c) 및 비상등스위치(16)의 제2상시개방단자(NO2)를 통해 모든 턴시그날램프(22,24,26,28)로 인가됨으로써 턴시그날램프(22,24,26,28)는 비상등으로써 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서 비상등과 방향지시등을 동작시킬 수 있는 플래셔유니트의 구성이 가능하므로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이그니션스위치(SWIG)에는 비상등스위치(16)의 상시접속단자(NC)를 매개하고 상시공급전원(B+)단에는 비상등스위치(16)의 제1상시개방단자(NO1) 통해 오실레이터(18b)의 전원단과 콘덴서(C1)와 저항(R2)으로 이루어지는 시정수조정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오실레이터(18b)의 발진출력단에는 릴레이(18c)와 비상등스위치(16)의 제2상시개방단자(NC2)를 통해 턴시그날램프(22,24,26,28)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오실레이터(18b)의 다른 발진출력단에는 저항(R3)과 방향지시등스위치(20)를 매개로 턴시그날램프(22,24,26,28)가 각각 연결된 자동차의 플래셔유니트.
KR2019960048507U 1996-12-13 1996-12-13 자동차의 플래셔유니트 KR1998003553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8507U KR19980035531U (ko) 1996-12-13 1996-12-13 자동차의 플래셔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8507U KR19980035531U (ko) 1996-12-13 1996-12-13 자동차의 플래셔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531U true KR19980035531U (ko) 1998-09-15

Family

ID=5398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8507U KR19980035531U (ko) 1996-12-13 1996-12-13 자동차의 플래셔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553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330B1 (ko) * 1999-11-12 2001-12-12 류정열 전자파차단용 플래셔장치
KR20040023402A (ko) * 2002-09-11 2004-03-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감사표시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330B1 (ko) * 1999-11-12 2001-12-12 류정열 전자파차단용 플래셔장치
KR20040023402A (ko) * 2002-09-11 2004-03-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감사표시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4788A (en) Automated ambient condition responsive daytime running light system
US5353007A (en) Automotive turn signal warning device
KR19980035531U (ko) 자동차의 플래셔유니트
KR200149946Y1 (ko) 자동차의 비상등 구동장치
KR100227492B1 (ko) 자동차밧데리 방전 방지장치
KR0138195B1 (ko) 자동차의 아우터 미러에 설치된 등화 장치
KR0143656B1 (ko)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및 비상등 구동장치
KR0120293Y1 (ko) 방향지시등 작동장치
KR200352271Y1 (ko) 자동차의 미등 켜짐 경보장치
KR200286996Y1 (ko) 차량용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0165645B1 (ko) 자동차의 비상등 장치
KR200158488Y1 (ko) 리어 포그 램프 제어회로
KR0166291B1 (ko) 자동차의 조합등
KR200277833Y1 (ko)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점등시스템
KR0135898Y1 (ko) 차량 제동 경보 릴레이
KR0123503Y1 (ko) 차량용 제동등 회로
JPH0221308Y2 (ko)
KR890006965Y1 (ko) 자동차 코너램프의 제어 유니트
JP2928087B2 (ja) リヤフォグランプ点灯制御装置
JPS5924595Y2 (ja) 車両用前照灯の点灯自動保持装置
KR960005546B1 (ko) 자동차용 코너라이트 시스템(corner-light system)
JP3003685U (ja) 車両等の補助停止合図灯の制御装置
KR0166470B1 (ko) 자동차 뒷번호판의 미등 제어 장치
KR0180205B1 (ko) 자동차의 주간 주행등 제어회로
JPH035218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