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199Y1 - 자동차용 미등 자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미등 자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199Y1
KR970005199Y1 KR2019950004512U KR19950004512U KR970005199Y1 KR 970005199 Y1 KR970005199 Y1 KR 970005199Y1 KR 2019950004512 U KR2019950004512 U KR 2019950004512U KR 19950004512 U KR19950004512 U KR 19950004512U KR 970005199 Y1 KR970005199 Y1 KR 9700051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microcomputer
power
state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4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1031U (ko
Inventor
최대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부품 주식회사
김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부품 주식회사, 김희수 filed Critical 엘지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500045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199Y1/ko
Publication of KR9600310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10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1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1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미등 자동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미등인식 경고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미등 자동제어장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릴레이 20 : 제어스위치
30 : 전원회로부 40 : 입력부
50 : 마이컴 60 : 트랜지스터
70 : 제2릴레이 80 : 기준시간설정부
90 : 디스플레이부 D1, D2 : 발광다이오드
본원 고안은 자동차용 미등 자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시동스위치를 오프(off)시키는 경우에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미등의 입력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자동차용 미등 자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미등을 켜놓은 상태로 주차하는 경우에 배터리(battery)의 방전이 발생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미등의 상태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는 미등인식 경고장치가 사용되었다.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미등인식 경고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동차의 시동상태를 나타내는 시동스위치(110)와, 상기 시동스위치(110)의 상태를 반전시키는 인버터(120)와, 미등의 상태를 나타내는 미등스위치(130)와, 운전석도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어스위치(140)와, 상기 인버터(120) 및 미등스위치(130)의 출력을 입력받는 제1앤드게이트(150)와, 상기 제1앤드게이트(150) 및 도어스위치(140)의 출력을 입력받는 제2앤드게이트(160)와, 상기 제2앤드게이트(160)의 출력을 베이스(base)단자로 입력받는 동시에 이미터(emitter)단자가 접지된 트랜지스터(170)와, 상기 트랜지스터(170)의 콜렉터(collecter)단자와 배터리전원(B+)사이에 연결되는 릴레이(relay)(180)와, 상기 릴레이(180)의 내부스위치에 연결되는 스피커(190)로 구성된다.
상기 시동스위치(110)는 자동차가 시동이 걸려 있는 경우에 온(on)이 되어 "하이(HIGH)"를 출력하고, 상기 미동스위치(130)는 미등이 켜져 있는 경우에 온이 되어 "하이(HIGH)"를 출력하고, 상기 도어스위치(140)는 운전석도어가 열려 있는 경우에 온이 되어 "하이(HIGH)"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자동차를 미등이 켜진 상태에서 끄고 운전석도어를 열게 되면 상기 시동스위치(110)는 오프(off)되고, 상기 미등스위치(130)는 온(on)이 되고, 상기 도어스위치(140)는 온(on)이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1앤드게이트(150)는 "하이(HIGH)"를 출력하게 되고, 상기 제2앤드게이트(160)도 "하이(HIGH)"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2앤드게이트(160)가 "하이(HIGH)"를 출력하게 되면 상기 트랜지스터(170)는 도통이 되어 상기 릴레이(180)가 동작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릴레이(180)의 내부스위치가 온(ON)이 되어 상기 스피커(190)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미등인식 경고장치는 미등의 상태에 따라 운전자에게 경고음으로서 알려주어 미등을 끄도록 하기 때문에 운전석도어에 스위치설치 및 별도의 스피커부착등 부가 공정이 필요하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으로서 알려주기 때문에 주위의 상황에 따라 경고음을 듣지 못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미등을 끄지 않게 되어 배터리의 방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주차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미등에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미등 자동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미등 자동제어장치는 자동차의 시동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동작하여 배터리전원을 인가하는 제1릴레이와, 상기 제1릴레이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배터리전원을 인가받아 정전압을 출력하는 전원회로부와, 미등의 상태를 판단하는 입력부와, 상기 전원회로부의 출력을 구동전원으로하여 상기 입력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출력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가 온(on)되는 경우에 동작하여 미등에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2릴레이와 , 상기 마이컴의 동작시간을 결정하는 기준시간설정부로 구성되어, 상기 마이컴에서 일정시간 경과 후 트랜지스터를 온(on)시킴으로서 미등에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원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미등 자동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 고안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동차의 시동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동작하여 배터리전원(B+)을 인가하는 제1릴레이(10)와, 상기 제1릴레이(10)의 다음단에 연결되어 시스템 전체의 동작여부를 결정하는 제어스위치(20)와, 상기 제1릴레이(1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배터리전원(B+)을 상기 제어스위치(20)를 통해 인가받아 정전압을 출력하는 전원회로부(30)와, 미등의 상태를 판단하는 입력부(40)와, 상기 전원회로부(30)의 출력을 구동전원으로하여 상기 입력부(40)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마이컴(50)과, 상기 마이컴(50)의 출력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60)와, 상기 트랜지스터(가) 온(on)되는 경우에 동작하여 미등에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2릴레이(70)와, 상기 마이컴(50)의 동작시간을 결정하는 기준시간설정부(80)와, 상기 마이컴(50)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90)로 구성된다.
상기 트랜지스터(60)는 이미터단자가 접지된 앤피앤(NPN)트랜지스터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90)는 전원의 인가상태를 나타내는 제1발광다이오드(D1)와, 상기 제2릴레이(7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제2발광다이오드(D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고안은 상기 제어스위치(120)가 오프(off)되어 있는 경우는 시스템 전체가 동작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어스위치(20)가 온(on)되어 있는 경우에 시동스위치가 온(on)되어 있으면 상기 제1릴레이(10)가 동작하여 상기 전원회로부(30)에 배터리전원(B+)이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마이컴(50)은 동작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어스위치(10)가 온(on)되어 있는 경우에 시동스위치를 끄게 되면 상기 전원회로부(30)에서는 상기 마이컴(50)에 구동전원(Vcc)을 인가하게 되고, 상기 마이컴(50)은 시동스위치의 상태를 체크한다. 이때 시동스위치가 온(on)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입력부(40)에서 입력되는 상태신호에 따라 미등이 온(on)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미등이 온(on)되어 있으면 상기 마이컴(50)에서는 상기 기준시간설정부(80)에서 설정된 일정시간이 결과한 후 상기 트랜지스터(60)를 온(on)시켜 상기 제2릴레이(70)를 동작시킴으로서 미등의 전원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90)의 제1, 2 발광다이오드(D1, D2)는 점등되어 상기 제2릴레이(70)의 동작상태를 나타낸다.
본원 고안은 상기 제1릴레이(10)의 접지단에 부(-)의 전원을 연결하여 차종에 따라 시동스위치의 전원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부(40)에 실내 등의 상태를 입력시켜 실내 등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하는 본원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미등 자동제어장치는 일정시간 경과후 릴레이를 동작시켜 미등의 전원을 차단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조작없이 자동적으로 제어되어 배터리의 방전을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자동차의 시동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동작하여 배터리전원을 인가하는 제1릴레이와, 상기 제1릴레이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배터리전원을 인가받아 정전압을 출력하는 전원회로부와, 미등의 상태를 판단하는 입력부와, 상기 전원회로부의 출력을 구동전원으로하여 상기 입력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출력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가 온(on)되는 경우에 동작하여 미등에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2릴레이와, 상기 마이컴의 동작시간을 결정하는 기준시간설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미등 자동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릴레이와 전원회로부 사이에는 시스템전체의 동작여부를 결정하는 제어스위치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미등 자동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의 출력단자에는 전원의 인가상태 및 제2릴레이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미등 자동제어장치.
KR2019950004512U 1995-03-15 1995-03-15 자동차용 미등 자동제어장치 KR9700051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4512U KR970005199Y1 (ko) 1995-03-15 1995-03-15 자동차용 미등 자동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4512U KR970005199Y1 (ko) 1995-03-15 1995-03-15 자동차용 미등 자동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031U KR960031031U (ko) 1996-10-22
KR970005199Y1 true KR970005199Y1 (ko) 1997-05-27

Family

ID=19409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4512U KR970005199Y1 (ko) 1995-03-15 1995-03-15 자동차용 미등 자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1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031U (ko)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095450A (en) Warning device
KR970005199Y1 (ko) 자동차용 미등 자동제어장치
KR100841286B1 (ko)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
KR0166469B1 (ko) 자동차의 미등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77366B1 (ko) 자동차 미등 자동꺼짐 장치 및 그 방법
KR200174830Y1 (ko) 배터리의 방전 상태 경보 장치
KR0141397B1 (ko) 자동차의 안개등 장치
KR0178919B1 (ko) 계기판 미등램프 자동소등장치
KR20050092920A (ko)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KR200252009Y1 (ko) 안개등자동점멸장치
KR200195825Y1 (ko) 후미동 자동 소등 시스템
JP3580515B2 (ja) 車両用オートライト装置
KR0166470B1 (ko) 자동차 뒷번호판의 미등 제어 장치
KR0133192B1 (ko) 자동차계기판 및 테일-라이트자동오프제어방법 및 장치
KR200168063Y1 (ko) 경보음을 이용한 배터리 과방전 방지장치
KR20020044510A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KR19990030703U (ko) 카-오디오를 이용한 백업전류 방전방지장치
KR0166285B1 (ko) 전조등 제어회로
KR19990056178A (ko) 카오디오의 전조등 상태 알림장치
JPH1035356A (ja) 車両用ヘッドライト制御装置
KR970037445A (ko) 차량용 안개등 자동점소등장치
JPH1029459A (ja) 自動車用ライト自動点消灯装置
KR20000003594U (ko) 차량의 혼 음량 조절 장치
KR19990041814U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19980039439U (ko) 주차브레이크조작주행시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