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9439U - 주차브레이크조작주행시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주차브레이크조작주행시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9439U
KR19980039439U KR2019960052509U KR19960052509U KR19980039439U KR 19980039439 U KR19980039439 U KR 19980039439U KR 2019960052509 U KR2019960052509 U KR 2019960052509U KR 19960052509 U KR19960052509 U KR 19960052509U KR 19980039439 U KR19980039439 U KR 199800394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brake
vehicle
signal
driving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2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희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2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9439U/ko
Publication of KR199800394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43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08Braking
    • B60Y2300/18141Braking for p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차브레이크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재출발하게 되면 즉각적으로 자동경보해 줌으로써 본의 아닌 부품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주차브레이크조작주행시 경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차량의 속도를 센싱하는 차량속도센서(10)와, 상기 차량속도센서(10)로부터의 신호를 전압성분으로 변환시키는 F/V변환기(12), 상기 F/V변환기(12)로부터의 신호를 근거로 차량주행상태에서 주차브레이크가 당겨져 있으면 경보동작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26) 및, 상기 제어부(26)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경음기(24)를 구동시키는 경음기구동부(28)로 구성되어, 운전자의 실수에 대한 인지도를 높혀주게 될 뿐만 아니라 즉각적인 상황대처(즉, 주차브레이크를 해지시키는 동작)를 하게 된다.

Description

주차브레이크조작주행시 경보장치
본 고안은 주차브레이크조작주행시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브레이크가 당겨진 상태로 차량이 주행하게 되면 자동으로 경보해 주도록 한 주차브레이크조작주행시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상시 사용하는 풋브레이크와는 독립된 회로를 가진 주차브레이크가 갖추어지게 되는데, 그 주차브레이크는 자동차를 장시간 세워 둘 때에 사용하는 브레이크이다.
이러한 주차브레이크가 갖추어진 차량을 이용하여 국도 또는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특히 국도를 주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극심한 교통체증으로 인해 장시간 정차해 있게 될 경우 운전자는 풋브레이크를 사용하지 않고 주차브레이크를 사용하게 되는데, 그 일정시간동안의 정차이후에 재출발할 경우 현재 주차브레이크가 걸려져 있다는 사실을 깜밖 잊고 출발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엔진과부하 및 주차브레이크계통에 손상이 가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주차브레이크를 당기게 되면 계기판넬에 점등표시되지만 초심자의 경우 그 점등표시를 제대로 보지 않고 전방의 상황만을 주시하기 때문에 재출발시 주차브레이크를 해지시켜야 된다는 것을 깜밖 잊을 때가 많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주차브레이크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재출발하게 되면 즉각적으로 자동경보해 줌으로써 본의 아닌 부품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주차브레이크조작주행시 경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속도를 센싱하는 차량속도센서와, 그 차량속도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전압성분으로 변환시키는 F/V변환기, 그 F/V변환기로부터의 신호를 근거로 차량주행상태에서 주차브레이크가 당겨져 있으면 경보동작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그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경음기를 구동시키는 경음기구동부로 구성된 주차브레이크조작주행시 경보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브레이크조작주행시 경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차량속도센서12: F/V변환기
14: 비교기16: 주차브레이크스위치
18: 논리소자(앤드게이트)20: 스위칭트랜지스터
22: 릴레이24: 경음기
26: 제어부28: 경음기구동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브레이크조작주행시 경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차량속도센서(10), F/V변환기(12), 제어부(26), 경음기구동부(28), 경음기(24)로 구성된다.
상기 차량속도센서(10)는 차량이 주행상태이게 되면 그 차량의 차속을 센싱하게 된다. 여기서, 센싱되는 값은 통상적으로 주파수성분이다.
F/V변환기(12)는 그 차량속도센서(10)로부터의 신호를 그에 상응하는 전압성분으로 변환시킨다.
제어부(26)는 그 F/V변환기(12)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현재 차량이 주행(출발도 포함됨)하고 있는지를 판단함과 더불어 주차브레이크가 당겨진 상태에서 주행하게 되면 자동경보동작이 행해지도록 제어하게 되는 바, 그 제어부(26)는 비반전단자(+)가 F/V변환기(12)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반전단자(-)가 접지된 비교기(14)와, 일입력단이 주차브레이크스위치(16)의 일단에 접속되고 다른 입력단이 그 비교기(14)의 출력단에 접속된 논리소자(18)로서의 앤드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경음기구동부(28)는 그 제어부(26)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음기(24)를 구동시켜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바, 그 경옴기구동부(28)는 베이스가 상기 논리소자(18)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컬렉터에는 경음기(24)와 연결된 릴레이(22)가 접속된 스위칭트랜지스터(20)로 구성된다.
이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브레이크조작주행시 경보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차량속도센서(10)에서는 현재의 차량의 속도를 센싱하게 되고, 그 센싱되는 값(즉, 주파수성분의 값)은 F/V변환기(12)에서 그에 상응하는 전압성분으로 변환되어 제어부(26)를 구성하는 비교기(14)의 비반전단자(+)로 입력된다.
이어, 그 비교기(14)에서는 그 입력된 신호 및 반전단자(-)의 접지신호를 상호 비교한 결과치를 논리소자(18)로서의 앤드게이트의 일입력단으로 인가하게 된다. 여기서, 그 비교기(14)는 차량이 주행(출발도 포함)하고 있으면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차량이 정지상태이면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 논리소자(18)에서는 비교기(14)로부터의 신호 및 주차브레이크스위치(16)의 온/오프에 따른 신호를 앤드처리한 결과치를 경음기구동부(28)를 구성하는 스위칭트랜지스터(20)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논리소자(18)로부터의 신호가 로우레벨의 신호인 경우(즉, 주차브레이크스위치(16)가 오프되었다거나 비교기(14)의 신호가 로우레벨의 신호인 경우)에는 그 스위칭트랜지스터(20)가 비도통되므로 릴레이(22)가 비활성화되어 경음기(24)는 동작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논리소자(18)로부터의 신호가 하이레벨의 신호인 경우(즉, 주차브레이크스위치(16)가 온(ON)됨과 더불어 비교기(14)로부터의 신호가 하이레벨의 신호인 경우)에는 그 스위칭트랜지스터(20)가 도통되므로 릴레이(22)가 활성화되어 경옴기(24)가 동작한다. 그에 따라, 운전자는 현재 주차브레이크가 당겨졌음을 즉각적으로 인식하고 주차브레이크를 해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주차브레이크가 당겨진 상태에서 차량이 재출발하게 되면 자동으로 경보음이 발생되므로, 운전자의 실수에 대한 인지도를 높혀주게 될 뿐만 아니라 즉각적인 상황대처(즉, 주차브레이크를 해지시키는 동작)를 하게 된다.

Claims (1)

  1. 차량의 속도를 센싱하는 차량속도센서(10)와, 상기 차량속도센서(10)로부터의 신호를 전압성분으로 변환시키는 F/V변환기(12), 상기 F/V변환기(12)로부터의 신호를 근거로 차량주행상태에서 주차브레이크가 당겨져 있으면 경보동작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26) 및, 상기 제어부(26)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경음기(24)를 구동시키는 경음기구동부(2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브레이크조작주행시 경보장치.
KR2019960052509U 1996-12-20 1996-12-20 주차브레이크조작주행시 경보장치 KR199800394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509U KR19980039439U (ko) 1996-12-20 1996-12-20 주차브레이크조작주행시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509U KR19980039439U (ko) 1996-12-20 1996-12-20 주차브레이크조작주행시 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439U true KR19980039439U (ko) 1998-09-15

Family

ID=53992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2509U KR19980039439U (ko) 1996-12-20 1996-12-20 주차브레이크조작주행시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943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3007A (en) Automotive turn signal warning device
KR19980039439U (ko) 주차브레이크조작주행시 경보장치
KR100187471B1 (ko) 주차 브레이크 경보장치
KR200252009Y1 (ko) 안개등자동점멸장치
KR19990026992A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잠김상태 주행시 경보장치
KR910010208B1 (ko) 자동차의 전조등자동점멸장치
KR970005199Y1 (ko) 자동차용 미등 자동제어장치
KR200141692Y1 (ko) 노면 돌출물 감지용 경고장치
KR910006818Y1 (ko)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JPH0727243Y2 (ja) 車輌用室内灯の点灯制御装置
KR0177366B1 (ko) 자동차 미등 자동꺼짐 장치 및 그 방법
KR100385510B1 (ko) 자동차의비상등점등제어장치및그방법
KR970037438A (ko) 자동차의 안개등 장치
KR960021850A (ko) 자동차의 전조등 자동 점.소등장치
KR960039528A (ko)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19990021080U (ko) 브레이크 램프 보조등 장치
KR19990002446A (ko) 자동 브레이크 장치
KR19980024249U (ko) 차량의 헤드라이트 장치
KR970037426A (ko) 전조등 제어회로(A control circuit of a headlamp)
JPS63106163A (ja) 車両用パ−キングブレ−キオ−トリリ−ス装置
KR19980060480A (ko) 메인 스위치의 구동장치
KR980001339A (ko) 차량의 시동정지시 비상등 자동제어회로
KR19980084624A (ko) 자동차의 자동 점멸 야간 주차등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960021852A (ko) 자동차의 전조등 자동 점 · 소등 장치
GB2083718A (en) Car lights on ind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