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5510B1 - 자동차의비상등점등제어장치및그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비상등점등제어장치및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510B1
KR100385510B1 KR1019970025054A KR19970025054A KR100385510B1 KR 100385510 B1 KR100385510 B1 KR 100385510B1 KR 1019970025054 A KR1019970025054 A KR 1019970025054A KR 19970025054 A KR19970025054 A KR 19970025054A KR 100385510 B1 KR100385510 B1 KR 100385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light
brake
vehicle
vehicle spe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5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1661A (ko
Inventor
반승환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25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5510B1/ko
Publication of KR19990001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60Q1/441Electric switches operable by the driver's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giving flashing caution signals during drive, other than signalling change of direction, e.g. flashing the headlights or hazard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상태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브레이크 센서와, 차량의 속력을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차속센서와, 자동모드, 주행모드, 수동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들로 구성되어 있는 스위치부와, 상기한 브레이크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브레이크가 동작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한 차속 센서와 스위치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의 차속과 주행모드를 판단하고 주행모드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차속의 순간변화율에 따라 급감속 상태를 판단하여 급감속 상태인 경우에 비상등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한 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비상등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비상등 구동수단과, 상기한 비상등 구동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비상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브레이크가 동작되는 경우에 주행모드에 따라 차속센서를 이용하여 급감속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비상등을 동작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 제어장치 및 그 방법
이 발명은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브레이크가 동작되는 경우에 주행모드에 따라 차속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급감속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비상등을 동작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주행중에는 시계확보를 위한 등화장치와, 신호, 표식을 나타내기위한 등화장치가 필요하다. 상기한 시계확보를 등화장치로서는 전조등, 안개등, 실내등, 후진등 등이 있고, 상기한 신호 표식을 위한 등화장치로서는 비상등, 방향 지시등, 미등, 번호등, 정지등 등이 있으며, 각각 목적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규격에 맞는 제품을 의무적으로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비상등은 차량에 이상이 발생되었거나 비상상황이 발생된 경우에 뒷차에게 이를 알려주기 위한 등화장치이고, 상기한 방향 지시등은 주행중인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진행방향을 알려주기 위한 등화장치이다. 통상적으로 상기한 비상등은 황색의 깜박이등으로서 방향 지시등과 겸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비상등은, 그 점등방법이 수동식으로 운전자가 직접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등 점등 스위치를 작동시켜야만 점등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속주행시나 안개등으로 인하여 시야장애가 발생되는 경우에 운전자의 신속한 대응동작을 요구함으로써 운전자를 피로하게 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신속하게 비상등 점등 스위치를 켜지 못한 경우에는 후방 차량과 추돌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 운행도중에 발생되는 차량의 급감속을 감지하여 비상등을 자동적으로 점등시키는 기술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고번호 제91-5655호(공고일자: 서기 1991년 7월 30일)의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장치"나, 동 공고번호 제91-6272호(공고일자: 서기 1991년 8월 22일)의 "자동차의 비상등 자동 점등장치"나, 동 공고번호 제97-3756호(공고일자: 서기 1997년 4월23일)의 "자동차 급감속감지 비상등 자동 점등장치" 등에서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 제어장치는, 차량의 감속상태를 기구적인 장치에 의해서 감지하기 때문에 정밀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브레이크가 동작되는 경우에 주행모드에 따라 차속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급감속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비상등을 동작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 제어장치의 구성 회로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브레이크 센서 20 : 차속센서
30 : 스위치부 40 : 마이크로 컨트롤러
50 : 비상등 구동부 60 : 비상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장치의 구성은,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상태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브레이크 센서와, 차량의 속력을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차속센서와, 자동모드, 주행모드, 수동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들로 구성되어 있는 스위치부와, 상기한 브레이크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브레이크가 동작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한 차속 센서와 스위치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의 차속과 주행모드를 판단하고 주행모드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차속의 순간 변화율에 따라 급감속 상태를 판단하여 급감속 상태인 경우에 비상등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한 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비상등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비상등 구동수단과, 상기한 비상등 구동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비상등을 포함하여이루어진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동작이 시작되면 자동 모드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들여 자동 모드가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자동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브레이크 상태를 감지하여 브레이크가 동작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브레이크가 동작된 경우에 차속 및 주행모드를 감지하여 주행모드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차속의 순간 변화율에 따라 급감속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급감속 상태인 경우에 비상등을 구동하고, 브레이크가 동작되지 않았거나 급감속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자동 모드 스위치가 온되지 않은 경우에 수동동작 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이에따라 비상등을 구동 또는 점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 제어장치의 구성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 제어장치의 구성은,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브레이크 센서(10)와, 차량의 속력을 감지하기 위한 차속센서(20)와, 자동모드, 주행모드, 수동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들로 구성되어 있는 스위치부(30)와, 상기한 브레이크 센서(10)와 차속 센서(20)와 스위치부(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크로 컨트롤러(40)와, 상기한 마이크로 컨트롤러(4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비상등 구동부(50)와, 상기한 비상등 구동부(5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비상등(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마이크로 컨트롤러(40)는 내부에 애널로그/디지틀 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와 메모리(memory)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사용한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 제어방법의 구성은, 전원이 인가되면 동작이 시작되는 단계(S10)와, 모든 메모리 변수를 초기화시키는 단계(S20)와, 자동 모드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들여 자동 모드가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30)와, 자동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브레이크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40)와, 브레이크가 동작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50)와, 브레이크가 동작된 경우에 차속을 감지하는 단계(S60)와, 이어서 주행모드를 감지하는 단계(S70)와, 주행모드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차속의 순간 변화율에 따라 급감속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80)와, 급감속 상태인 경우에 비상등을 구동하는 단계(S90)와, 브레이크가 동작되지 않았거나 급감속 상태가 아닌 경우에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단계(S100)와, 자동 모드 스위치가 온되지 않은 경우에 수동동작 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이에따라 비상등을 구동 또는 점멸시키는 단계(S11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전원이 인가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40)의 내부 메모리에 프로그램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동작 수순이 마이크로 컨트롤러(40)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 제어장치의 동작이 시작된다(S10). 동작이 시작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40)는 모든 메모리 변수를 초기화시킨 뒤에(S20), 스위치부(30)의 자동 모드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들여 자동 모드가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0). 자동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마이크로 컨트롤러(40)는 브레이크 센서(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들여 브레이크 상태를 감지한 뒤에(S40), 이를 이용하여 브레이크가 동작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0). 상기한 브레이크 센서(10)는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되어 있는 스위치 접점으로서 브레이크 페달이 운전자에 의해서 밟혀지는 경우에 이를 전기적으로 변환시키는 동작특성을 갖는다.
브레이크가 동작된 경우에, 마이크로 컨트롤러(40)는 차속 센서(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력을 감지한 뒤에(S60), 이어서 스위치부(30)의 모드설정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의 주행모드, 즉 현재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상태가 눈길인지, 빗길인지, 산악도로인지를 감지한다(S70). 상기한 모드 스위치는 운전자에 의해서 세팅된다.
다음에, 마이크로 컨트롤러(40)는 차속의 순간 변화율을 산출하고, 현재의 주행모드를 감지하여, 차속의 순간 변화율과 주행모드에 따라 실험치가 테이블화되어 있는 메모리맵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내어 급감속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80).차량이 급감속 상태인 경우에 마이크로 컨트롤러(40)는 비상등 구동부(5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비상등 구동부(50)에 의해 비상등(60)이 구동되도록 한다(S90). 그러나, 브레이크가 동작되지 않았거나 급감속 상태가 아닌 경우에 마이크로 컨트롤러(40)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비상등(60)이 점멸되도록 한다(S100).
한편, 스위치부(30)의 자동 모드 스위치가 온되지 않은 경우에, 마이크로 컨트롤러(40)는 수동동작 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하여(S110), 이에따라 비상등을 구동시키거나(S90), 또는 점멸시킨다(S100).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브레이크가 동작되는 경우에 주행모드에 따라 차속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급감속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비상등을 동작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 이 발명의 이러한 효과는 차량 등화 제어장치 분야에서 이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2)

  1.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상태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브레이크 센서와,
    차량의 속력을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차속센서와,
    자동모드, 주행모드, 수동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들로 구성되어 있는 스위치부와,
    상기한 브레이크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브레이크가 동작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한 차속 센서와 스위치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의 차속과 주행모드를 판단하고 주행모드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차속의 순간 변화율에 따라 급감속 상태를 판단하여 급감속 상태인 경우에 비상등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한 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비상등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비상등 구동수단과,
    상기한 비상등 구동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비상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 제어장치.
  2. 동작이 시작되면 자동 모드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들여 자동 모드가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자동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브레이크 상태를 감지하여 브레이크가 동작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브레이크가 동작된 경우에 차속 및 주행모드를 감지하여 주행모드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차속의 순간 변화율에 따라 급감속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급감속 상태인 경우에 비상등을 구동하고, 브레이크가 동작되지 않았거나 급감속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단계와, 자동 모드 스위치가 온되지 않은 경우에 수동동작 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이에따라 비상등을 구동 또는 점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 제어방법.
KR1019970025054A 1997-06-17 1997-06-17 자동차의비상등점등제어장치및그방법 KR100385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5054A KR100385510B1 (ko) 1997-06-17 1997-06-17 자동차의비상등점등제어장치및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5054A KR100385510B1 (ko) 1997-06-17 1997-06-17 자동차의비상등점등제어장치및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661A KR19990001661A (ko) 1999-01-15
KR100385510B1 true KR100385510B1 (ko) 2003-08-25

Family

ID=3741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5054A KR100385510B1 (ko) 1997-06-17 1997-06-17 자동차의비상등점등제어장치및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55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661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5510B1 (ko) 자동차의비상등점등제어장치및그방법
KR200151815Y1 (ko) 전동차용 전조등 원격 제어 장치
KR100488795B1 (ko) 차량의 제동등 작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05613A (ko) 야간 운전시 전조등의 동작상태를 알리는 장치 및 방법
KR200252009Y1 (ko) 안개등자동점멸장치
KR0137998Y1 (ko) 차속감속시 브레이크등 자동점등장치
KR0124989Y1 (ko) 자동차의 차량등 자동 점등장치
KR0127547Y1 (ko) 자동차의 안전 표시판 제어장치
KR200167153Y1 (ko) 자동차 전조등 자동 점멸장치
KR200140884Y1 (ko) 자동차의 계기판조명등과 후미등 점등 지시 장치
KR0153653B1 (ko) 차량의 제동등 제어회로
KR19980049730A (ko) 제동등 시스템
KR19990027126A (ko) 차량의 안개등 구동제어장치
KR19980056468A (ko) 차량용 브레이크 감속량 표시램프
KR19980049337U (ko) 제동등 시스템
KR19980031418A (ko) 차량용 비상램프의 자동점멸회로
KR19980028426A (ko) 자동차의 제동등 점등 장치와 그 방법
KR19980055250U (ko) 차량용 비상등 자동 점등 장치
KR19980048959U (ko) 차량용 제동 식별장치
KR19980078838A (ko) 차량의 급정지 감지 비상등 작동장치
KR19980053867A (ko) 주차 경고 시스템 및 주차 경고방법
KR19980052777A (ko) 비상등 자동 점등장치
KR19990026992A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잠김상태 주행시 경보장치
KR19980066752A (ko)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 장치
KR19980055118U (ko)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점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