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286B1 -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286B1
KR100841286B1 KR1020060101650A KR20060101650A KR100841286B1 KR 100841286 B1 KR100841286 B1 KR 100841286B1 KR 1020060101650 A KR1020060101650 A KR 1020060101650A KR 20060101650 A KR20060101650 A KR 20060101650A KR 100841286 B1 KR100841286 B1 KR 100841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oltage
input
outpu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5241A (ko
Inventor
고상경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1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1286B1/ko
Publication of KR20080035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암 전류 절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내부의 각종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에서 입력받은 전압을 차량 내부의 각종 회로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압시켜 항상 일정한 출력전압을 유지하도록 마련된 전압조정기와; 각종 신호를 출력시켜 차량 내부의 각종 전기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 마이크로컨트롤유닛과; 상기 전압조정기의 출력전압이 입력단자부에 입력되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의 제어신호가 제어단자부에 입력되며, 본 제어단자부에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되어야만 상기 입력단자부에 입력된 전압이 출력단자부에서 출력되어 차량 내부의 각종 회로에 전압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암전류제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상기 차량내부회로가 동작하지 않을 때, 본 차량내부회로와 연결된 안정기에서 발생하는 암 전류 발생을 방지하여 전원부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LEAKAGE CURRENT REDUCTION DEVICE FOR VEHICLE}
도 1은, 종래 차량내부회로에 전원이 공급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키스위치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의 차량내부회로에 전원이 공급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라, PNP형트랜지스터를 암전류제한유닛으로 구성한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의 제1실시예를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NPN형트랜지스터를 암전류제한유닛으로 구성한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의 제2실시예를 위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스위치 11 : 락(LOCK)
12 : ACC(ACCESSORY) 13 : 온(ON)
14 : 스타트(START) 21 : 전원부
22 : 전압조정기 23 : 마이크로컨트롤유닛
24 : 안정기 25 : 암전류제한유닛
25-1 : 입력단자부 25-2 : 제어단자부
25-3 : 출력단자부 26 : 차량내부전기장치
27, 27-1, 27-2 : 차량내부회로 35 : PNP형트랜지스터
35-1, 45-3 : 에미터(Emitter) 35-2, 45-2 : 베이스(Base)
35-3, 45-1 : 컬렉터(Collector) 45 : NPN형트랜지스터
50 : 제어신호 51 : 로우(Low)신호
52 : 하이(High)신호 110 : 전원부
120 : 전압조정기 130 : 안정기
140 : 차량내부회로 R : 저항
C : 커패시터
본 발명은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키스위치의 위치에 따라 차량내부회로에 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차량내부회로에 연결된 안정기에서 발생하는 암 전류를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부에는 전기장치를 제어하거나 구동하기 위하여 다양한 소자들로 구성된 상기 차량내부회로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차량내부회로가 구동되는데 필요한 전압은,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다르기 때문에, 상기 차량내부회로는 전압조정기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받아 구동된다.
또한, 상기 차량내부회로는 상기 키스위치의 위치에 따라 동작하거나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내부회로 중에서 일부는 상기 키스위치가 ACC 위치에서만 동작하도록 마련되며, 온 위치에서는 동작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내부회로 중에서 일부는 상기 키스위치가 온 위치에서만 동작하도록 마련되며, 온 위치에서는 동작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키스위치(10)를 온(13) 위치에 스위칭시키면, 상기 전원부(100)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상기 전압조정기(110)를 통해 회로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압되어 상기 온(13) 위치에서만 동작하는 상기 차량내부회로(140)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차량내부회로(140)에 공급되는 전압은 순간적인 스위칭으로 인해 리플(Ripple)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차량내부회로(140)는, 공급되는 전압의 리플로 인한 회로의 손상을 막기 위해 상기 안정기(130)를 마련하여 본 안정기(130)를 통해 리플없이 전압을 완만하게 공급받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키스위치(10)를 ACC(11) 위치에 위치시키면, 상기 차량내부회로(140)는 동작을 멈추게 되는데, 이때, 상기 키스위치(10)가 상기 ACC(11) 위치에 위치되어있더라도, 즉, 상기 차량내부회로(140)의 동작이 멈추더라도 상기 차량내부회로(140)에 연결된 상기 안정기(130)를 통해 암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상기 안정기(130)가 연결된 상기 차량내부회로(140) 중에서, 상기 키스위치(10)의 위치에 따라 동작하지 않는 상기 차량내부회로(140)의 상기 안정기(130)에서 발생하는 암 전류로 인해 상기 전원부(110)가 방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의 암 전류 절감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나, 종래에는 암 전류 감지센서에서 암 전류를 감지하여 릴레이스위치를 통해 암 전류를 차단하겠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암 전류 절감장치는, 회로의 구성을 복잡하게 하고 제조비용을 상승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암 전류 감지센서나 릴레이스위치는 불량률이 높아, 암 전류 절감장치로써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상기 키스위치를 상기 차량내부회로가 동작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경우, 동작하지 않는 상기 차량내부회로에는 공급되는 전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차량내부회로에 연결된 상기 안정기에 흐르는 암 전류 발생을 방지하여 상기 전원부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암전류제한유닛만을 사용하여 상기 안정기에 흐르는 암 전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회로구성이 단순해지고 제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 내부의 각종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에서 입력받은 전압을 차량 내부의 각종 회로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압시켜 항상 일정한 출력전압을 유지하도록 마련된 전압조정기와; 각종 신호를 출력시켜 차량 내부의 각종 전기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 마이크로컨트롤유닛과; 상기 전압조정기의 출력전압이 입력단자부에 입력되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의 제어신호가 제어단자부에 입력되며, 본 제어단자부에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되어야만 상기 입력단자부에 입력된 전압이 출력단자부에서 출력되어 차량 내부의 각종 회로에 전압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암전류제한유닛;을 포함하는 자동차 암 전류 절감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은 키스위치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조정기의 출력전압이 4볼트 내지 6볼트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전류제한유닛은 상기 입력단자부가 에미터(Emitter), 상기 제어단자부가 베이스(Base), 상기 출력단자부가 컬렉터(Collector)인 PNP형트랜지스터(Transistor)로 마련되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은 로우(Low)신호를 상기 제어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전류제한유닛은 상기 입력단자부가 상기 컬렉터, 상기 제어단자부가 상기 베이스, 상기 출력단자부가 상기 에미터인 NPN형트랜지스터로 마련되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은 하이(High)신호를 상기 제어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는, 차량 내부의 각종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1)와; 상기 전원부(21)에서 입력받은 전압을 차량 내부의 각종 회로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압시켜 항상 일정한 출력전압을 유지하도록 마련된 전압조정기(22)와; 각종 신호를 출력시켜 차량내부의 각종 전기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 마이크로컨트롤유닛(23)과; 상기 전압조정기(22)의 출력전압이 입력단자부(25-1)에 입력되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23)의 제어신호(50)가 제어단자부(25-2)에 입력되며, 본 제어단자부(25-2)에 상기 제어신호(50)가 입력되어야만 상기 입력단자부(25-1)에 입력된 전압이 출력단자부(25-3)에서 출력되어 차량 내부의 각종 회로에 전압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상기 암전류제한유닛(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23)은 차량의 키스위치(1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50)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부(21)는 상기 차량내부전기장치(26) 및 상기 차량내부회로(27)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며, 일반적으로, 상기 차량용 전원부(21)는 12볼트의 배터리로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21)에서 공급되는 12볼트의 전압은 상기 차량내부회 로(27)가 구동되기 위한 전압으로 적절하지 못하다.
따라서, 상기 전원부(21)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각종 상기 차량내부회로(27)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압시켜 항상 일정한 출력전압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전압조정기(22)가 마련된다.
즉, 상기 전압조정기(22)는 상기 전원부(21)에서 입력받은 12볼트의 전압을 4볼트 내지 6볼트의 전압으로 변압시켜 항상 일정한 출력전압이 유지되도록 한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상기 차량내부회로(27)는 4볼트 내지 6볼트의 전압으로 구동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차량내부회로(27)는 상기 전압조정기(22)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거나 구동시킨다.
예를 들어, 전조등, 방향지시등, 정지등 등과 같은 각종 신호등을 제어하거나, 차체의 창문을 여닫기 위한 모터를 구동시키거나, 주행중 도로상황 등을 파악하여 최적의 주행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등의 각종 상기 차량내부회로(27)가 마련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키스위치(10)는 락(LOCK)(11) 위치와, ACC(ACCESSORY)(12) 위치와, 온(ON)(13) 위치와, 스타트(START)(14) 위치로 구분된다.
여기서, 도 2에서는 상기 키스위치(10)를 상기 ACC(12) 위치에 위치시킨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키스위치(10)는 차량의 키를 상기 키스위치(10)의 상기 락(11) 위치에 서만 꽂거나 뺄 수 있으며, 키를 삽입한 상태에서만 스위칭된다.
또한, 상기 키스위치(10)는 차량의 키를 삽입하여 상기 ACC(12) 위치와 상기 온(13) 위치와 상기 스타트(14) 위치의 순서로 돌려가며 스위칭 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키스위치(10)를 상기 ACC(12) 위치에 위치시키면, 차량의 오디오장치 등 일부 전기장치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된다.
또한, 상기 키스위치(10)를 상기 온(13) 위치에 위치시키면, 차량 내 대부분의 전기장치와 상기 차량내부회로(27)에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되며, 차량의 시동이 걸릴 것에 대비한다.
한편, 상기 키스위치(10)를 상기 스타트(14) 위치에 위치시키면 차량의 엔진점화장치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차량의 시동이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키스위치(10)를 상기 스타트(14) 위치에 위치시켰다가 놓으면, 자동으로 상기 온(13) 위치에 오게 된다.
한편, 상기 차량내부회로(27)는 상기 키스위치(10)가 상기 온(13) 위치에서만 동작하도록 마련된 상기 차량내부회로(27-1)와, 차량의 키가 상기 오프 되더라도 전압을 공급받아 항상 동작하도록 마련된 상기 차량내부회로(27-2)가 나뉜다.
즉, 상기 차량내부회로(27)는 상기 키스위치(10)의 위치에 따라, 동작하거나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마련된다.
예를 들어, 야간에 운전자가 차량의 키를 상기 키스위치(10)에 삽입하기에 용이하도록 시인성을 높여주기 위해 상기 키스위치(10)의 테두리에 마련된 조명부는, 상기 키스위치(10)가 상기 락(11) 위치에 위치될 때만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 며, 상기 키스위치(10)를 상기 ACC(12) 위치에 위치시키면 전원이 차단되어 소멸된다.
또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 등과 같은 상기 차량내부회로(27-2)는 상기 키스위치(10)가 상기 락(11) 위치에 위치하거나 상기 키스위치(10)에서 키가 뽑혀져 있더라도 항상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23)은 차량의 각종 상기 차량내부전기장치(26)나 상기 차량내부회로(27) 등을 통합하여 제어하며, 각종 신호를 입력받아 연산하거나 상기 차량내부전기장치(26) 또는 상기 차량내부회로(27)에 상기 제어신호(50)를 출력하여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23)의 상기 제어신호(50)는 상기 키스위치(10)가 상기 ACC(12) 또는 상기 온(13)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만 출력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28)은 상기 제어신호(50)를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23)은, 상기 키스위치(10)가 조작된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내부회로(27)가 동작하도록 상기 제어신호(50)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암전류제한유닛(25)은 상기 제어단자부(25-2)에 상기 제어신호(50)가 입력되어야만 상기 출력단자부(25-3)에서 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입력단자부(25-1)에서 입력된 전압이 상기 출력단자부(25-3)에서 출력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암전류제한유닛(25)의 상기 입력단자부(25-1)에는 상기 전압조정기(22)의 출력전압이 입력되며, 상기 제어단자부(25-2)에는 상기 마이크로컨트롤 유닛(23)의 상기 제어신호(50)가 입력되어, 상기 제어단자부(25-2)에 상기 제어신호(50)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상기 입력단자부(25-1)에서 입력된 전압이 상기 출력단자부(25-3)에서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암전류제한유닛(25)의 상기 출력단자부(25-3)에서 출력된 전압은 상기 차량내부회로(27-1)에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차량내부회로(27)는 공급되는 전압에 의한 회로의 손상을 막기 위해 공급받는 측에 상기 안정기(24)를 마련하여, 상기 안정기(24)를 통해 완만한 전압이 공급되도록 한다.
즉, 공급이 중단되어 있던 전압이 상기 키스위치(10)에 의해 회로가 닫히게 되면, 스위칭 되는 순간에, 정격전압 이상으로 상승하다가 안정되는 리플(Riplle)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안정기(24)는 이러한 리플로부터 상기 차량내부회로(27)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차량내부회로(27)의 선단에 각각에 마련된다.
상기 안정기(24)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패시터(C)와 저항(R)이 병렬 연결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정기(24)와 연결된 접지를 통해 암 전류가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차량내부회로(27-1)가 동작하지 않을 때는 불필요한 암전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차량내부회로(27-1)는 상기 키스위치(10)를 상기 ACC(12) 또는 상기 온(13)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만 상기 암전류제한유닛(25)의 상기 출력단자부(25-3)로부터 전압을 공급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키스위치(10)를 상기 락(11) 위치에 위치시키면,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23)은 상기 제어신호(50)를 출력시키지 않으므로, 상기 암전류제한유닛(25)의 상기 제어단자부(25-2)에 상기 제어신호(50)가 입력되지 않고, 또한, 상기 출력단자부(25-3)에서 상기 차량내부회로(27-1)에 전압을 공급하지 않으므로, 상기 차량내부회로(27-1)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안정기(24)에 발생 될 수 있는 암 전류를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전류제한유닛(25)은 상기 PNP형트랜지스터(35)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PNP형트랜지스터(35)는 상기 에미터(Emitter)(35-1), 상기 베이스(Base)(35-2), 상기 컬렉터(Collector)(35-3)로 마련되며, 상기 에미터(35-1)는 상기 암전류제한유닛(25)의 상기 입력단자부(25-1), 상기 베이스(35-2)는 상기 제어단자부(25-2), 상기 컬렉터(35-3)는 상기 출력단자부(25-3)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PNP형트랜지스터(35)는 상기 베이스(35-2)에 로우(Low)신호(51)가 입력되면, 상기 에미터(35-1)에서 입력된 전압을 상기 컬렉터(35-3)에서 출력시키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키스위치(10)를 상기 ACC(12) 또는 상기 온(13) 위치에 위치시키면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23)은 상기 로우신호(51)의 상기 제어신호(50)를 출력하여 상기 제어단자부(25-2)인 상기 베이스(35-2)에 입력시킨다.
따라서, 상기 키스위치(10)를 상기 ACC(12) 또는 상기 온(13) 위치에 위치시 키면,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23)은 상기 로우신호(51)의 상기 제어신호(50)를 출력하고, 출력된 상기 로우신호(51)는 상기 PNP형트랜지스터(35)의 상기 베이스(51)에 입력되어, 상기 에미터(51)에 입력되는 4볼트 내지 6볼트의 전압이 상기 컬렉터(51)에서 출력된다.
또한, 상기 키스위치(10)를 상기 락(11) 위치에 위치시키면,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23)은 상기 제어신호(50)를 출력하지 않고, 상기 PNP형트랜지스터(35)는 상기 베이스(35-2)에 상기 제어신호(50)를 입력받지 않으므로 상기 에미터(35-1)에 입력되는 전압을 차단하여 상기 컬렉터(35-1)에서 출력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키스위치(10)를 상기 락(11) 위치에 위치시키면, 상기 PNP형트랜지스터(35)의 상기 컬렉터(35-3)에서 전압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상기 안정기(24)에서 발생 될 수 있는 암 전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암전류제한유닛(25)은 상기 NPN형트랜지스터(45)로 마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NPN형트랜지스터(45)는 상기 PNP형트랜지스터(35)와 같이, 상기 에미터(Emitter)(45-3), 상기 베이스(Base)(45-2), 상기 컬렉터(Collector)(45-1)로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NPN형트랜지스터(45)는 상기 PNP형트랜지스터(35)와 반대로, 상기 컬렉터(45-1)는 상기 암전류제한유닛(25)의 상기 입력단자부(25-1), 상기 베이스(45-2)는 상기 제어단자부(25-2), 상기 에미터(45-3)는 상기 출력단자부(25-3)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NPN형트랜지스터(45)는 상기 베이스(45-2)에 하이(High)신호(52)가 입력되면, 상기 컬렉터(45-1)에서 입력된 전압을 상기 에미터(45-3)에서 출력시키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키스위치(10)를 상기 ACC(12) 또는 상기 온(13) 위치에 위치시키면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23)은 상기 하이신호(52)의 상기 제어신호(50)를 출력하여 상기 제어단자부(25-2)인 상기 베이스(45-2)에 입력시킨다.
따라서, 상기 키스위치(10)를 상기 ACC(12) 또는 상기 온(13) 위치에 위치시키면,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23)은 상기 하이신호(52)의 상기 제어신호(50)를 출력하고, 출력된 상기 하이신호(52)는 상기 NPN형트랜지스터(45)의 상기 베이스(45-2)에 입력되어, 상기 컬렉터(45-1)에 입력되는 4볼트 내지 6볼트의 전압이 상기 에미터(45-3)에서 출력된다.
또한, 상기 키스위치(10)를 상기 락(11) 위치에 위치시키면,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23)은 상기 제어신호(50)를 출력하지 않고, 상기 NPN형트랜지스터(45)는 상기 베이스(45-2)에 상기 제어신호(50)를 입력받지 않으므로 상기 컬렉터(45-1)에 입력되는 전압을 차단하여 상기 에미터(45-3)에서 출력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키스위치(10)를 상기 락(11) 위치에 위치시키면, 상기 NPN형트랜지스터(45)의 상기 에미터(45-3)에서 전압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상기 안정기(24)에서 발생 될 수 있는 암 전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키스위치(10)를 상기 ACC(12) 위치 또는 상기 온(13) 위치에 위치시켰을 때만,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23)이 상기 제어신호(50)를 출력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상기 키스위치(10)가 상기 락(11)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동작하도록 마련된 상기 차량내부회로(27)의 구동을 위해,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23)이 상기 제어신호(50)를 상기 키스위치(10)가 상기 락(11) 위치에서 상기 제어신호(50)를 출력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암전류제한유닛(25)은 필요에 따라 다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PNP형트랜지스터(35)와 상기 NPN형트랜지스터(45)가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제1실시예(도4)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암전류제한유닛(25)을 상기 PNP형트랜지스터(35)로 마련하여 구성된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는 상기 키스위치(10)를 ACC(12) 위치 또는 온(13) 위치에 위치시켰을 때 동작하도록 마련된 상기 차량내부회로(27)에 관해 도시한 것이다.
먼저, 상기 키스위치(10)의 조작에 관계없이 항상 동작하도록 마련된 상기 차량내부전기장치(26)는 상기 전원부(21)에서는 직접 전압을 공급받으며, 상기 키스위치(10)의 조작에 관계없이 항상 동작하도록 마련된 상기 차량내부회로(27-2)는 상기 전원부(21)에서 상기 전압조정기(22)를 통해 출력된 4볼트 내지 6볼트의 전압을 공급받는다.
한편, 상기 키스위치(10)가 상기 락(1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23)은 상기 제어신호(50)를 출력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PNP형트랜지스터(35)의 상기 제어단자부(25-2)인 상기 베이스(35-2)에 상기 로우신호(51)가 입력되지 않으므로, 상기 PNP형트랜지스터(35)는 상기 입력단자부(25-1)인 상기 에미터(35-1)에 입력된 전압을 상기 출력단자부(25-3)인 상기 컬렉터(35-3)에서 출력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키스위치(10)를 상기 ACC(12) 위치에 위치시키면, 차량용 오디오장치 등 일부 전기장치에만 전원이 공급된다.
이때, 상기 키스위치(10)의 조작에 관계없이 항상 동작하도록 마련된 상기 차량내부회로(27-2) 또는 상기 차량내부전기장치(26)에도 전원은 공급된다.
한편, 상기 키스위치(10)를 상기 온(13) 위치에 위치시키면,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23)이 상기 제어신호(50)를 출력하는데, 이때, 상기 제어신호(50)는 상기 로우(Low)신호(51)이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23)에서 출력된 상기 로우신호(51)는 상기 PNP형트랜지스터(35)의 상기 제어단자부(25-2)인 상기 베이스(35-2)에 입력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35-2)에 입력된 상기 로우신호(51)에 의해, 상기 PNP형트랜지스터(35)는 상기 에미터(35-1)에 입력된 4볼트 내지 6볼트의 전압을 상기 컬렉터(35-3)에서 출력하여, 상기 차량내부회로(27-1)에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키스위치(10)를 상기 ACC(12) 위치에 다시 위치시키면, 차량용 오디오 장치 등 일부 전기장치를 제외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23)을 포함한 대부분의 상기 차량내부회로(27-1)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며, 전원을 공급받지 않는 상기 차량내부회로(27-1)는 작동하지 않는다.
이때에도, 상기 키스위치(10)의 조작에 관계없이 항상 동작하도록 마련된 상기 차량내부회로(27-2) 또는 상기 차량내부전기장치(26)에는 전원이 공급된다.
한편, 상기 키스위치(10)를 상기 락(11) 위치에 위치시키면, 상기 키스위치(10)의 조작에 관계없이 항상 동작하도록 마련된 상기 차량내부회로(27-2) 및 상기 차량내부전기장치(26)를 제외한 대부분의 상기 차량내부회로(27-1)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며, 전원을 공급받지 않는 상기 차량내부회로(27-1)는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는, 차량의 상기 키스위치(10)를 상기 차량내부회로(27)가 동작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경우, 동작하지 않는 상기 차량내부회로(27)에는 공급되는 전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본 차량내부회로(27)에 연결된 상기 안정기(24)에 흐르는 암 전류 발생을 방지하여 상기 전원부(21)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는, 상기 암전류제한유닛(25)만을 사용하여 상기 안정기(24)에 흐르는 암 전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회로구성이 단순해지고 제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실시예(도5)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작동 과정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암전류제한유닛(25)을 상기 NPN형트랜지스터(45)로 마련하여 구성된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키스위치(10)를 상기 ACC(12) 위치 또는 상기 온(13) 위치에 위치시키면,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23)이 상기 제어신호(50)를 출력하는데, 이때, 상기 제어신호(50)는 상기 하이(High)신호(52)이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23)에서 출력된 상기 하이신호(52)는 상기 NPN형트랜지스터(45)의 상기 제어단자부(25-2)인 상기 베이스(45-2)에 입력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45-2)에 입력된 상기 하이신호(52)에 의해, 상기 NPN형트랜지스터(45)는 상기 컬렉터(45-1)에 입력된 4볼트 내지 6볼트의 전압을 상기 에미터(45-3)에서 출력하여, 상기 차량내부회로(27-1)에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는, 차량의 상기 키스위치(10)를 상기 차량내부회로(27)가 동작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경우, 동작하지 않는 상기 차량내부회로(27)에는 공급되는 전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본 차량내부회로(27)에 연결된 상기 안정기(24)에 흐르는 암 전류 발생을 방지하여 상기 전원부(21)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는, 상기 암전류제한유닛(25)만을 사용하여 상기 안정기(24)에 흐르는 암 전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회로구성이 단순해지고 제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스위치(10)를 상기 ACC(12) 위치 또는 상기 온(13) 위치에 위 치시켰을 때만,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23)이 상기 제어신호(50)를 출력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상기 키스위치(10)가 상기 락(11)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동작하도록 마련된 상기 차량내부회로(27)의 구동을 위해,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23)이 상기 제어신호(50)를 상기 키스위치(10)가 상기 락(11) 위치에서 상기 제어신호(50)를 출력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는, 차량의 상기 키스위치를 상기 차량내부회로가 동작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경우, 동작하지 않는 상기 차량내부회로에는 공급되는 전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차량내부회로에 연결된 상기 안정기에 흐르는 암 전류 발생을 방지하여 상기 전원부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는, 암전류제한유닛만을 사용하여 상기 안정기에 흐르는 암 전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회로구성이 단순해지고 제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5)

  1. 차량 내부의 각종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에서 입력받은 전압을 차량 내부의 각종 회로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압시켜 항상 일정한 출력전압을 유지하도록 마련된 전압조정기와;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시켜 차량 내부의 각종 전기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 마이크로컨트롤유닛과;
    상기 전압조정기의 출력전압이 입력단자부에 입력되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의 제어신호가 제어단자부에 입력되며, 본 제어단자부에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되어야만 상기 입력단자부에 입력된 전압이 출력단자부에서 출력되어 차량 내부의 각종 회로에 전압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암전류제한유닛;을 포함하는 자동차 암 전류 절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은 키스위치의 락(LOCK) 위치 또는 ACC(ACCESSORY)위치 또는 온(ON) 위치 또는 스타트(START) 위치 중에서 상기 키스위치가 위치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조정기의 출력전압이 4볼트 내지 6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전류제한유닛은 상기 입력단자부가 에미터(Emitter), 상기 제어단자부가 베이스(Base), 상기 출력단자부가 컬렉터(Collector)인 PNP형트랜지스터(Transistor)로 마련되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은 로우(Low)신호를 상기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전류제한유닛은 상기 입력단자부가 컬렉터, 상기 제어단자부가 베이스, 상기 출력단자부가 에미터인 NPN형트랜지스터로 마련되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은 하이(High)신호를 상기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
KR1020060101650A 2006-10-19 2006-10-19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 KR100841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650A KR100841286B1 (ko) 2006-10-19 2006-10-19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650A KR100841286B1 (ko) 2006-10-19 2006-10-19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241A KR20080035241A (ko) 2008-04-23
KR100841286B1 true KR100841286B1 (ko) 2008-07-10

Family

ID=39574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650A KR100841286B1 (ko) 2006-10-19 2006-10-19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12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6103A (ko) * 2012-08-24 2014-03-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시스템 전원 회로
KR20150041270A (ko) * 2013-10-08 2015-04-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전원 제어 장치
KR101738606B1 (ko) 2011-04-18 2017-05-2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전류 입력회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204Y1 (ko) * 1993-12-29 1999-05-15 한승준 배터리방전제어장치
JP2001322515A (ja) * 2000-05-11 2001-1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用暗電流低減方法および装置
JP2005149092A (ja) * 2003-11-14 2005-06-09 Calsonic Kansei Corp 車載電子装置の電源制御回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204Y1 (ko) * 1993-12-29 1999-05-15 한승준 배터리방전제어장치
JP2001322515A (ja) * 2000-05-11 2001-1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用暗電流低減方法および装置
JP2005149092A (ja) * 2003-11-14 2005-06-09 Calsonic Kansei Corp 車載電子装置の電源制御回路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606B1 (ko) 2011-04-18 2017-05-2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전류 입력회로
KR20140026103A (ko) * 2012-08-24 2014-03-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시스템 전원 회로
KR101945743B1 (ko) * 2012-08-24 2019-02-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시스템 전원 회로
KR20150041270A (ko) * 2013-10-08 2015-04-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전원 제어 장치
KR102123868B1 (ko) 2013-10-08 2020-06-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전원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241A (ko) 200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286B1 (ko)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
JP4465817B2 (ja) ヘッドライト制御装置
JPH10982A (ja) 自動車用ランプ制御装置
KR100285450B1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0182471B1 (ko) 자동차의 배터리방전 차단장치
KR0178919B1 (ko) 계기판 미등램프 자동소등장치
KR100224166B1 (ko) 연료캡 미장착시 시동불등 및 경고장치
KR970005199Y1 (ko) 자동차용 미등 자동제어장치
KR200286996Y1 (ko) 차량용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200352271Y1 (ko) 자동차의 미등 켜짐 경보장치
JP5255488B2 (ja) 車両の電源供給装置及び電源供給方法
KR100197144B1 (ko) 자동차의 등화단선 검출장치
KR100208595B1 (ko) 자동차의 미등점등 감지장치
KR200174830Y1 (ko) 배터리의 방전 상태 경보 장치
KR20050006450A (ko) 차량용 전원 차단시스템
KR0166469B1 (ko) 자동차의 미등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66470B1 (ko) 자동차 뒷번호판의 미등 제어 장치
KR19980023576A (ko) 자동차의 미러 자동 접개 장치
KR19990055659A (ko) 차량 배터리 보호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66177U (ko) 자동차의 배터리 과방전 방지장치
KR19980031616U (ko) 차량주행중 트렁크오픈 방지회로
KR19980013295U (ko) 자동차의 실내 조명장치
KR970041627A (ko) 자동차의 본네트 로킹 표시장치
KR20050065187A (ko) 자동차용 점등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9980023660A (ko) 방전차단 기능을 갖는 안개등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