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552A - 수분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고압케이블 - Google Patents

수분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고압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8552A
KR19990018552A KR1019970041739A KR19970041739A KR19990018552A KR 19990018552 A KR19990018552 A KR 19990018552A KR 1019970041739 A KR1019970041739 A KR 1019970041739A KR 19970041739 A KR19970041739 A KR 19970041739A KR 19990018552 A KR19990018552 A KR 19990018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able
cap
cable
high voltag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1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석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1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8552A/ko
Publication of KR19990018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552A/ko

Links

Landscapes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고압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선단부에 단자로 체결되는 중심단자를 갖고 상기 중심단자를 둘러싸는 원주형상의 고압케이블 캡이 선부에 결합되는 자동차의 고압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고압케이블 캡의 내주면에 고리형상으로 돌출형성된 밀폐리브를 구비하여 엔진룸의 온도상승으로 인한 열 팽창으로 일부 변형되더라도 고압케이블 캡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아 엔진의 점화플러그에서 불꽃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수분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고압케이블
본 발명은 수분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고압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룸의 온도상승으로 인한 열 팽창으로 일부 변형되더라도 고압케이블 캡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는 수분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고압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가솔린 엔진에서는 주로 축전지 점화식(battery ignition type)을 사용하며, 그 구성은 축전지를 비롯하여 점화스위치, 점화1차저항, 점화코일, 배전기 어셈블리(단속와 축전기 포함), 점화플러그 케이블(고압케이블), 점화플러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화스위치를 넣으면(on으로) 축전지의 저압전류(1차전류)가 전류계, 점화스위치, 점화코일의 1차코일을 거쳐 배전기 어셈블리내의 단속기 접점에 도달한다. 이때, 단속기 접점이 닫혀 있으면 접점과 접지를 거쳐서 흐른다. 이 상태에서 엔진이 회전을하여 단속기 접점이 열리면 1차코일에 흐르던 전류가 차단되고 동시에 점화코일의 2차코일에 고전압(2차전압)이 유도된다. 이 고전압은 고압케이블을 거쳐 배전기의 회전자(rotor)에 들어오고, 다시 배전기 캡을 통하여 각 점화플러그로 보내져 불꽃방전을 일으켜서 혼합기에 점화한다.
그 중, 배전기는 점화코일에 발생한 고전압의 전류를 하이텐션코드(high tension code)를 통하여 각 실린더에 설치되어 있는 스파크 플러그에 타이밍이 좋게 분배하는 장치로, 전류의 분배장치와 이그니션 코일에 고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류를 단속하는 장치(브레이커)와, 엔진의 회전에 따라 점화시기를 조정하는 장치(진각장치)로 구성된다. 엔진의 크랭크축 또는 캠축에 부착되어 엔진회전의 1/2속도로 회전하고 있다.
배전기 캡(distributor cap)은 합성수지로 만들어 외부에는 점화코일의 2차단자와 하이텐션 코드로 연결되는 중심단자 및 스파크 플러그와 하이텐션 코드로 연결되는 스파크 플러그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면에는 중심단자와 연결된 카본 피스 및 스파크 플러그 단자와 연결된 세그먼트(SEGMENT)가 설치되어 있다. 배전기 캡은 내전압 및 내열성이 크고 기계적 강도가 높다.
점화코일의 중심단자와 배전기 캡의 중심단자, 배전기 캡의 플러그단자와 점화플러그의 단자를 연결하는 절연전선인 고압케이블(high tension cable)은, 10∼20개의 주석도금전선을 철심으로 하고 그 주위에 두꺼운 고무를 입힌후 방습처리한 것으로, 점화플러그 단자쪽과 배전기 캡 플러그쪽에는 고무제의 캡이 씌워져 있으며, 그 속에 태그(tag)가 있어 단자에 끼울수 있다.
도 1은 종래 고압케이블에 배전기 캡이 끼워진 모습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바와 같이 고압케이블 캡(46) 내부에는 케이블(42)이 있고, 케이블(42)은 선단부의 중심단자(44)에 고정결합된다. 이 케이블(42)과 중심단자(44)는 고압케이블 캡(46)으로 둘러싸여진다. 중심단자(44)와 고압케이블 캡(46)사이에는 여분의 틈새가 존재하고 이 틈새로는 배전기 캡(20)이 억지끼움된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고압케이블은 고압케이블(40)의 중심단자(44)에 배전기 캡(20)이 끼움결합되더라도 배전기 캡(20)이 결합된 상태에서 배전기 캡(20)의 원주면과 고압케이블 캡(46)은 면접촉으로 되어, 그 내주면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던가 아니면, 엔진룸 내의 열변형으로 인해 틈새가 발생하고, 주행중의 차량이 수로지역을 통과시에는 열변형으로 생긴 틈새로 물 또는 수분이 내부로 유입되어 엔진의 점화플러그에 불꽃을 발생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 은 엔진룸의 온도상승으로 인한 열 팽창으로 일부 변형되더라도 고압케이블 캡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는 수분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고압케이블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단부에 단자로 체결되는 중심단자를 갖고 상기 중심단자를 둘러싸는 원주형상의 고압케이블 캡이 선부에 결합되는 자동차의 고압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고압케이블 캡의 내주면에 고리형상으로 돌출형성된 밀폐리브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 고압케이블에 배전기 캡이 끼워진 모습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고압케이블에 배전기 캡이 끼워진 모습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40: 고압케이블 12: 케이블몸체
14,44: 중심단자 16,46: 고압케이블 캡
18: 밀폐리브 20: 배전기 캡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배전기 캡에 끼워진 모습을 보인 본 발명 고압케이블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 케이블몸체(12)의 선단부에는 중심단자(14)가 체결되어 있고 중심단자(14)가 체결된 케이블몸체(12)의 선부에는 고압케이블 캡(16)이 융착되어 중심단자(14)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고압케이블(10)의 중심단자(14)에는 배전기 캡(20)이 결합되고 배전기 캡(20)의 외주면에는 고압케이블 캡(16)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환형의 밀폐리브(18)가 밀착된다.
이때, 밀폐리브(18)는 배전기 캡(20)과 선접촉을 이루어 변형에 따라 대처하며 밀폐시키게 되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밀폐리브(18)는 엔진의 열방출로 인한 엔진룸내의 온도상승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게 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의 고압케이블(10)은 케이블몸체(12) 선단부의 중심단자(14)에 배전기 캡(20)을 끼워 맞추면 고압케이블 캡(16) 내주면의 밀폐리브(18)는 배전기 캡(20)을 내려 누른다.
이때, 밀폐리브(18)와 배전기 캡(20)은 중심부에서 점접촉으로되어 고압케이블(10)의 중심단자(14)에 밀착된 밀폐리브(18)에 의해 케이블몸체(12) 내부로는 수분이나 기타 불순물이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엔진이 회전을하여 단속기 접점이 열리면 1차코일에 흐르던 전류가 차단되면서 점화코일의 2차코일에 고전압이 유도되고, 이 고전압은 고압케이블(10)을 거쳐서 배전기의 회전자에 들어오고, 다시 배전기 캡(20)을 통하여 각 점화플러그로 보내져 불꽃방전을 일으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룸의 온도상승으로 인한 열 팽창으로 일부 변형되더라도 고압케이블 캡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아 엔진의 점화플러그에서 불꽃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선단부에 단자로 체결되는 중심단자(14)를 갖고 상기 중심단자(14)를 둘러싸는 원주형상의 고압케이블 캡(16)이 선부에 결합되는 자동차의 고압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고압케이블 캡(16)의 내주면에 고리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케이블몸체(12) 내부로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는 밀폐리브(18)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고압케이블.
KR1019970041739A 1997-08-27 1997-08-27 수분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고압케이블 KR199900185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739A KR19990018552A (ko) 1997-08-27 1997-08-27 수분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고압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739A KR19990018552A (ko) 1997-08-27 1997-08-27 수분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고압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552A true KR19990018552A (ko) 1999-03-15

Family

ID=66046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1739A KR19990018552A (ko) 1997-08-27 1997-08-27 수분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고압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85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462B1 (ko) * 2002-08-13 2005-05-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히터 제어 버튼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462B1 (ko) * 2002-08-13 2005-05-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히터 제어 버튼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8224A (ko) 내연 기관용의 점화 플러그와 점화 코일을 연결하는 구조물
EP0793319B1 (en) Spark plug boot insulator
JP2780964B2 (ja) コイル及びスパークプラグの組立体
JPH09158820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KR19990018552A (ko) 수분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고압케이블
KR100517655B1 (ko) 점화코일
US6907872B2 (en) Ignition coi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938341B2 (ja) 内燃機関用プラグソケット
JP4348184B2 (ja) 内燃機関の点火装置のための接続手段
US4677411A (en) Explosion-proof or flame-proof plug having a transformer disposed in a compression-resistant chamber
JPH0233473A (ja) 点火コイルのプラグキャップ
SU1024016A3 (ru) Пульсатор высокого напр жени с фотохимически активной ионизацией дл системы зажигани двигател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KR100196361B1 (ko) 스파크 플러그의 메탈 실
KR200179586Y1 (ko) 플래시오버 방지용 점화플러그 구조
US5078103A (en) Ignition distribu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3579992B2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CN216119880U (zh) 一种绝缘效果好的汽车点火线圈
KR950013856A (ko)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US1008351A (en) Ignition-plug.
CN107508145B (zh) 发动机新型火花塞
KR200384746Y1 (ko) 압력 스위치
KR200182737Y1 (ko) 스파크 플러그
JP3706979B2 (ja) エンジンの点火コイル装置
JPS5912165A (ja) 内燃エンジンの点火装置
JPH0842437A (ja) 点火プラグ用プラグ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